KR20140049793A -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자수기 - Google Patents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자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793A
KR20140049793A KR1020120116039A KR20120116039A KR20140049793A KR 20140049793 A KR20140049793 A KR 20140049793A KR 1020120116039 A KR1020120116039 A KR 1020120116039A KR 20120116039 A KR20120116039 A KR 20120116039A KR 20140049793 A KR20140049793 A KR 20140049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force
setting
needle bar
embroidery machine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스타
Priority to KR1020120116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9793A/ko
Publication of KR20140049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8Thread-tens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5/00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 D05C5/02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by electrical or magnetic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이 개시된다.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은 (a) 생산관리 시스템이 자수 작업에 대한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을 포함하는 전자 파일 형태의 작업 지시서를 작성하는 과정; (b) 상기 생산 관리 시스템이 상기 작업 지시서를 상기 오퍼레이션 박스로 전송하는 과정; (c) 상기 오퍼레이션 박스가 상기 작업 지시서를 수신하고, 수신된 작업 지시서에 포함된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을 읽어내어 상기 자수기에 제공하는 과정; 및 (d) 상기 자수기가 상기 오퍼레이션 박스에서 제공된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자동 실장력 조절장치를 조절하여 실장력을 설정하는 과정;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자수기{Method for setting thread tension in embroidering machine and embrodering machine threrof}
본 발명은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조건에 따라 자수기의 실장력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자수기에 관한 것이다.
자수기(embroidering machine)는 원단(작업천)을 수틀 장치에 고정시켜 평편하게 하고 수틀을 평면에서 임의의 X, Y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면서 자수용 색실을 사용하여 선택된 무늬가 매듭지어 지도록 자수를 놓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다두 자수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다두 자수기는 자수 작업을 수행하는 수십 쌍의 바늘대와 가마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다두 자수기는 지지대(1)와, 상기 지지대(1)에 설치된 작업 테이블(3)과, 상기 작업 테이블(3)의 상부에 다수 개 설치된 헤드(5)와, 상기 헤드(5)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가마와, 상기 자수기 지지대(1)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주 컨트롤러(11)와, 상기 작업 테이블(3)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조작 패널(13) 등으로 구성된다.
통상의 다두 자수기 바늘대는 상축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며, 가마는 하축의 회전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이들은 캠 또는 레버기구와 같은 매개수단에 의해 구동된다.
자수 작업에 있어서 실 장력에 대한 중요성은 매우 높다. 실장력에 따라서 자수 품질이 큰 영향을 받게 되며, 또한 작업중 단사도 실장력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실장력은 자수기의 생산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통상적으로 자수기의 실장력은 수작업에 의해 행해진다. 작업자가 바늘대별로 일일이 장력 조절 장치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최적으로 값을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실장력 설정 방법은 작업자의 경험에 의존하는 것으로서, 바늘대별로 균일하게 실장력을 맞추기가 불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헤드들을 가지는 다두 기종의 경우에는 모든 헤드마다 바늘대 장력을 조절하는 과정은 많은 손실 시간을 야기하며, 작업 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다.
이에 따라, 작업물의 종류에 따른 자수기의 실장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물의 종류에 따른 자수기의 실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두 자수기의 실장력을 바늘대별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에 적합한 자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은
자동 실장력 조절 장치를 구비하는 자수기 및 상기 자수기를 제어하는 오퍼레이션 박스를 포함하는 자수 시스템에서 상기 자수기의 실장력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생산관리 시스템이 자수 작업에 대한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을 포함하는 전자 파일 형태의 작업 지시서를 작성하는 과정;
(b) 상기 생산 관리 시스템이 상기 작업 지시서를 상기 오퍼레이션 박스로 전송하는 과정;
(c) 상기 오퍼레이션 박스가 상기 작업 지시서를 수신하고, 수신된 작업 지시서에 포함된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을 읽어내어 상기 자수기에 제공하는 과정; 및
(d) 상기 자수기가 상기 오퍼레이션 박스에서 제공된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자동 실장력 조절장치를 조절하여 바늘대별로 실장력을 설정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d)과정은
(d-1) 실장력 설정 변경의 요청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
(d-2) 실장력 설정 변경의 요청이 있을 경우, 작업물 종류에 따른 설정 항목들을 포함하는 메뉴를 제시하는 과정;
(d-3) 상기 메뉴를 통해 설정된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자동 실장력 조절장치를 조절하여 바늘대별로 실장력을 설정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수기는
오퍼레이션 박스에 의해 제어되며 실장력 조절 장치를 구비하는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션 박스에서 제공되는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을 수신하는 과정;
수신된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 작업천의 두께 및 실의 종류에 따른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들 중의 하나를 선택받는 과정; 및
선택된 바늘대별 실장력에 의해 상기 실장력 조절 장치를 제어하여 바늘대별 실장력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도록 프로그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에 따르면 자수 작업에 따른 실장력을 작업지시서에 포함되는 실장력 설정값에 의해 자수기의 실장력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가 있어서 우수한 자수 품질이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에 따르면 자수기의 실장력을 바늘대별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다두 자수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수 시스템에서의 작업 지시서 전달 과정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수 시스템에서의 작업 지시서 전달 과정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생산관리 시스템(SDMS, 302) 상에서 작업 지시서(작업 지시서_1 내지 작업지시서_4)가 작성되고, 작성된 작업 지시서들은 네트워크(304)를 통하여 자수기(MC_1~MC_4)의 오퍼레이션 박스(OB_1 ~OB_4)에 온라인으로 전송된다. 전체 자수기들에 대한 일괄 전송 혹은 타겟 자수기별 전송이 가능하다.
전송된 작업 지시서는 오퍼레이션 박스(OB_1~OB_4)에 순차적으로 등록된다. 오퍼레이션 박스(OB_1~OB_4)에 등록된 작업 지시서는 기본적으로 작업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그렇지만, 작업자는 오퍼레이션 박스(OB_1~OB_4)를 통하여 등록된 작업지시서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거나 순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생산관리 시스템(SDMS)에서 작업 지시서를 생성하고(s502), 생성된 작업지시서를 전송할 자수기의 오퍼레이션 박스를 선택하여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을 설정하고(s504~s506),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이 포함된 작업 지시서를 온라인으로 전송한다(s508). s502 내지 s506는 도 2에 도시된 생산관리 시스템(302)에서 수행된다.
SDMS는 생산 관리 시스템의 일종으로서 공유된 데이터 저장소를 이용하여 사내외의 모든 자원, 정보 및 사무 기능들을 관리하고 통합하는 데 사용되는 전사적 컴퓨터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이러한 SDMS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은 통상의 생산 관리 시스템의 그것과 유사하므로 SDMS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타겟 자수기의 오퍼레이션 박스가 작업 지시서를 수신한다.(s510) 수신된 작업 지시서는 오퍼레이션 박스에 등록되며, 전송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등록된다.(s512)
작업 지시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1번 항목을 보면 No.1의 바늘대에 대하여 15를 설정한다.
오퍼레이션 박스는 터치 패널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구비한다. 오퍼레이션 박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단의 작업 지시서 아이콘을 활성화시켜 수신된 작업 지시서가 있음을 작업자에게 알린다(s514)
작업자는 작업 지시서 리스트를 확인한다.(s516) 여기서, 오퍼레이션 박스의 운영 프로그램은 등록된 작업 지시서들 중에서 가장 빠른 순서의 작업 지시서 아이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작업 지시서를 선택하면,(s518) 오퍼레이션 박스는 자수 작업에 대한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을 작업지시서로부터 읽어내고 이를 자수기로 전송한다. (s520)
작업자가 작업을 개시시키면(s522), 자수기는 해당 바늘대에 맞는 실 컬러 정보를 참조하여 컬러 체인지(color change)를 수행한다.(s524) 자수기의 헤드는 복수의 바늘대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바늘대들은 서로 다른 색상의 실에 대응할 수 있다.
실장력 설정을 위한 초기 상태인 원점 모션을 수행한다.(s526)
바늘대별로 실장력 변경이 필요한 지를 검사한다. (s528)
자수기는 작업 영역의 위치에 따라 즉, 바늘대별로 실장력을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자수기는 작업물의 두께 및 실의 종류에 따라 실장력을 설정하여야 한다. 또한, 특정의 바늘대에 대하여 실장력을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바늘대별로 실장력 변경이 필요하다면 s546단계로 진행하고, 필요가 없다면 s530단계로 진행한다.
자수기는 현 바늘대에 해당하는 장력값을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이고(s530), 읽어들인 실장력 설정값에 해당하는 모터 지령 펄스로 변환하여 자동 실장력 조절 장치로 전송한다.(s532) 자동 실장력 조절 장치는 수신한 모터 지령 펄스에 따라 실장력 조절을 위한 모터를 구동한다.(s534) 각각의 헤드에 바늘대별로 실장력을 적용한다.(s536)
자수 작업이 개시된다.(s538)
작업중 단사가 발생하면(s540), s526과정으로 복귀하고 발생하지 않으면 s542과정으로 진행하여 자수 작업을 종료한다.(s542)
실장력 설정을 위한 초기 상태인 원점 모션을 수행한다. (s544)
s528과정에서 바늘대별 실장력 변경이 필요하면, s546과정으로 진행한다. 바늘대별 실장력 변경 요청은 자수기의 조작 패널(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조작 패널(13))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장력 변경이 필요하면, 자수기는 실장력 변경을 위한 메뉴를 제공한다.
도 4는 자수기에 의해 제공되는 실장력 변경을 위한 메뉴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장력 변경을 위한 메뉴는 2단계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먼저, 상위 메뉴에 의해 작업물 종류에 따른 설정 혹은 바늘대별 실장력 수동 설정 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s546),
s546과정에서 작업물 종류에 따른 설정이 선택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위 메뉴에 의해 선택된 작업물에 대한 실장력을 설정한다(s550~s554).
도 4를 참조하면, 선택 가능한 작업물의 종류는 "사용자(SDMS), "박물", "중물", "후물", "Origin"을 포함한다. 사용자(SDMS)는 SDMS에 의해 제공된 작업지시서에 포함된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에 의해 바늘대별 실장력을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고, "박물", "중물" 그리고 "후물"은 작업천의 두께에 따라 바늘대별 실장력을 일괄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것이고, "Origin"은 디폴트값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물은 얇은 천, 중물은 중간두께의 천, 후물은 두꺼운 천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박물은 브라우스, 니트, 한복 천을 의미하고, 중물은 신사복, 숙녀복, Y셔츠 천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후물은 가방, 청바지, 방한복, 잠바의 천을 의미한다. 작업천의 두께에 따라 실장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도 4에는 "박물"을 선택한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박물에 대하여 인견사와 폴리사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선택된 실의 종류에 대한 치수를 설정할 수 있다.(s552)
선택된 작업물에 대해 필요한 실장력 설정값은 오퍼레이션 박스로부터 제공된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 즉, SDMS에서 생성된 작업지시서에 포함된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을 참조하거나 자수기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얻어진다.(s554) 데이터베이스는 작업천의 종류 및 실의 종류에 따른 실장력 설정값을 가지며 수치 데이터 형태의 테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 테이블은 자수기를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에 내장된 것일 수 있다.
설정된 장력값을 적용한다.(s556) 자수기는 선택된 작업물에 따른 실장력 설정값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여기서, 작업천 및 실의 종류에 대한 실장력 설정값은 모든 바늘대의 실장력 설정에 일률적으로 적용된다.
s546과정에서 바늘대별 실장력 수동 설정이 선택되면, 설정메뉴로 이동하여 바늘대별 실장력을 수동으로 설정한다.(s548) 바늘대별 실장력을 수동으로 설정하는 것은 종래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있어서, 실장력 설정을 위한 초기 상태인 원점 모션을 수행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원점 모션(original point motion)은 실장력 조절 장치의 기준 원점을 캘리브레이션하는 것을 말한다.
도 5는 장력 조절 장치의 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장력 조절 장치(130)는 장력 조절 모터 및 장력조절 편심축의 작용에 의해 실에 인가되는 장력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장력 조절 장치(130)의 장력 조절축(136)의 일단은 장력 조절 접시(135)에 연결되고 타단은 장력 조절 편심축(134a)에 면접촉되어 있어서, 장력 조절 편심축(134a)의 회전에 따라 장력 조절축(136)이 장력 조절 편심축(134a)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하로 슬라이딩한다. 장력 조절축(136)의 슬라이딩 운동에 따라 그에 연결된 장력조절 접시(135)가 진퇴되고 이에 따라 실에 인가되는 장력이 조절된다.
장력 조절 편심축(134a)의 일단에는 장력 조절 편심축(134a)의 회전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감지판(134b) 및 편심축 센서(134c)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 감지판(134b)은 반원형의 회전판으로 구현된다.
원점 모션은 장력 조절 편심축(134a)의 기준 구동 위치(원점)을 설정하는 것을 말하며,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도 6은 센서 감지판(134b)과 편심축 센서(134c)의 배치를 보인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센서 감지판 및 편심축 센서를 이용하여 원점 모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의 (a)는 원점 모션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 즉, 센서 감지판(134b)의 일단이 편심축 센서(134c)에 접하고 있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의 (a) 상태에서 장력 조절 편심축(134a)를 정방향으로 방향성을 주어 회전시킨다.(도 7의 (b) 참조) 장력 조절 편심축(134a)의 회전에 따라 센서 감지판(134b)도 회전한다.
센서 감지판(134b)의 일단이 편심축 센서(134c)에 의해 검출되면 장력 조절 편심축(134a)을 정지시킨다.(도 7의 (c) 참조)
정지후 미리 정의된 이송량만큼 장력 조절 편심축(134a)을 정방향으로 더 회전시킨 후에 정지시킨다.(도 7의 (d) 참조)
장력 조절 편심축(134a)을 편심축 센서(134c)의 감지 상태가 해제될 때까지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해제 상태가 감지되면 정지시킨다.(도 7의 (e) 참조)
해지 위치에서 미리 정의된 이송량만큼 장력 조절 편심축(134a)을 역방향으로 더 회전시킨 후에 정지시킨다.(도 7의 (e) 참조)
정지 위치에서 다시 장력 조절 편심축(134a)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편심축 센서(134c)에 의해 검출되면 정지시킨다.(도 7의 (f) ~ (g) 참조)
1...지지대 3...작업테이블
5...헤드 11..주컨트롤러
13...조작 패널

Claims (9)

  1. 자동 실장력 조절 장치를 구비하는 자수기 및 상기 자수기를 제어하는 오퍼레이션 박스를 포함하는 자수 시스템에서 상기 자수기의 실장력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생산관리 시스템이 자수 작업에 대한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을 포함하는 전자 파일 형태의 작업 지시서를 작성하는 과정;
    (b) 상기 생산 관리 시스템이 상기 작업 지시서를 상기 오퍼레이션 박스로 전송하는 과정;
    (c) 상기 오퍼레이션 박스가 상기 작업 지시서를 수신하고, 수신된 작업 지시서에 포함된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을 읽어내어 상기 자수기에 제공하는 과정; 및
    (d) 상기 자수기가 상기 오퍼레이션 박스에서 제공된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자동 실장력 조절장치를 조절하여 실장력을 설정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력을 설정하기 전에 실장력 조절 장치의 기준 위치를 캘리브레이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력 설정값은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이며, 상기 자수기는 상기 오퍼레이션 박스에서 제공된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 값에 근거하여 상기 자동 실장력 조절장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과정은
    (d-1)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 변경이 필요한 지를 검사하는 과정;
    (d-2) 실장력 설정 변경이 필요한 경우, 작업물 종류에 따른 설정 항목들을 포함하는 메뉴를 제시하는 과정; 및
    (d-3) 상기 메뉴를 통해 설정된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자동 실장력 조절장치를 조절하여 바늘대별로 실장력을 설정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의 종류에 따른 설정 항목은 작업천의 두께 및 실의 종류에 따라 분류된 것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천의 두께 및 실의 종류가 선택되면 상기 자수기는 선택된 작업천 및 실의 종류에 따른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을 가지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을 읽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수기는 상기 설정 메뉴를 통해 설정된 작업천 및 실의 종류에 따른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을 모든 바늘대의 실장력 설정에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
  8. 오퍼레이션 박스에 의해 제어되며 실장력 조절 장치를 구비하는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션 박스에서 제공되는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을 수신하는 과정;
    수신된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을 판단하여 바늘대별 실장력 설정값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작업천의 두께 및 실의 종류에 따른 실장력 설정값들 선택받는 과정; 및
    선택된 실장력 설정값에 의해 상기 실장력 조절 장치를 제어하여 실장력을 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수기는 상기 선택된 작업천 및 실의 종류에 따른 실장력 설정값을 모든 바늘대의 실장력 설정에 일률적으로 적용하도록 프로그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KR1020120116039A 2012-10-18 2012-10-18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자수기 KR20140049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039A KR20140049793A (ko) 2012-10-18 2012-10-18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자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039A KR20140049793A (ko) 2012-10-18 2012-10-18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자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793A true KR20140049793A (ko) 2014-04-28

Family

ID=50655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039A KR20140049793A (ko) 2012-10-18 2012-10-18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자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97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75886A (zh) * 2024-02-26 2024-03-29 太原理工大学 一种用于纤维缠绕的高性能张力控制方法及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75886A (zh) * 2024-02-26 2024-03-29 太原理工大学 一种用于纤维缠绕的高性能张力控制方法及系统
CN117775886B (zh) * 2024-02-26 2024-05-10 太原理工大学 一种用于纤维缠绕的高性能张力控制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4414B2 (ja) ミシンの糸張力制御装置
KR101240387B1 (ko) 재봉기의 천두께변화 검출장치
US7971543B2 (en) Sewing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sewing machine operation program
US8180475B2 (en) Embroidery data processor, embroidery sewing system,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multi-needle embroidery sewing machine
JP2016154723A (ja) ミシン及びプログラム
JP5318547B2 (ja) ミシン
JP7156821B2 (ja) ミシン
JP2010158291A (ja) ミシン
US10626534B2 (en) Sewing machin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2006158497A (ja) ミシン
JPH11253676A (ja) 刺繍縫製装置用生産管理システム
KR20100033944A (ko) 단춧구멍내기 재봉기의 천 절단장치
KR20140049793A (ko) 자수기의 실장력 설정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자수기
JP5384956B2 (ja) ミシン
JP2008272345A (ja) ミシン制御装置
WO2017056676A1 (ja) ミシン及びミシンプログラム
KR20130036969A (ko) 재봉기 및 이를 이용한 재봉 방법
JP2019166039A (ja) ミシン
WO2017130734A1 (ja) ミシン及び縫製データ編集プログラム
JP4576547B2 (ja) ミシン
KR20140049213A (ko) 자수기 실장력 조절 장치의 실장력 설정 방법 및 자수기
JP4569816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制御装置
JP2000202179A (ja) ミシン
CN101538778A (zh) 纽扣孔锁边缝纫机
CN101858016B (zh) 缝纫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