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9596A - 액세서리에 커스터마이즈 가능한, 신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액세서리에 커스터마이즈 가능한, 신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596A
KR20140049596A KR1020147006795A KR20147006795A KR20140049596A KR 20140049596 A KR20140049596 A KR 20140049596A KR 1020147006795 A KR1020147006795 A KR 1020147006795A KR 20147006795 A KR20147006795 A KR 20147006795A KR 20140049596 A KR20140049596 A KR 20140049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wearer
base
accessory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5451B1 (ko
Inventor
쟝-이브 핀느
Original Assignee
제말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말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제말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40049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3/00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3/00 - H04B11/00
    • H04B13/005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medium consists of the human body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6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functions not related to time can be display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 착용자의 피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접촉 표면(3)을 포함하는, 신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모듈(2),
- 이러한 모듈을 포함하는 베이스(4, 14),
- 피부와 접촉하여 디바이스를 착용자의 신체의 일부분에 고정시키는 수단(5A, 5B)
- 개인용 액세서리(7) 또는 시계 케이스(8)를 디바이스에 부착하는 수단(6A, 6B)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와 관련된다; 디바이스는 베이스(4, 14) 또는 이러한 고정 수단(5A, 5B)에 배치된 개인용 액세서리(7) 또는 시계 케이스(8)를 부착하는 수단(6A, 6B)을 포함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Description

액세서리에 커스터마이즈 가능한, 신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디바이스{DEVICE FOR COMMUNICATING THROUGH THE BODY, CUSTOMISABLE WITH AN ACCESSORY}
본 발명은 전자적인 트랜잭션 동안에 개체를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특허 제 EP 1695296 Bl호 또는 http://ego-project.eu/site에 기술된 eGo 타입의 디바이스 등의, 신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디지털 식별 퍼스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출원인의 특허 제 EP 1695296 Bl호는 사용자의 사전 인증이 지문에 의해 제공되는, 신체를 통한 통신의 원리를 기술한다.
본 발명은 (시계 또는 임의의 다른 오브젝트를 갖는) 사람 모두가 신중하고 또한 우아한 방식으로 퍼스널 디지털 식별 디바이스를 휴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새로운 오브젝트 또는 액세서리 없이)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디바이스의 잠금 해제를 검출할 수 있는 유닛 디바이스가 요구가 발생한다.
대안적으로, 요청되는 안전성과 함께 쉬우면서도 심미적인 방식으로 디지털 시그니처(signature)를 형성하기 위해, 디바이스에 통합된 움직임 검출 성능에 대한 요구 또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원리는 임의의 시계 케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액세서리를 디바이스에 적응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디바이스는 신체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랩(strap)에 고정되기 위한 시스템을 가지며, 신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신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시계 또는 액세서리의 심미적인 디자인에 의해 가려진다. 바람직하게는, 액세서리는 통신 모듈로부터 탈착가능하며, 이러한 통신 모듈은 특히 액세서리 또는 시계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고 액세서리나 시계 없이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신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eGo" 타입의)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와 관련되어 있고, 상기 모듈은 착용자의 피부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접촉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 상기 모듈을 포함하는 베이스,
- 디바이스를 피부에 접촉시켜 착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고정(secure)시키기 위한 수단
- 개인용 액세서리 또는 시계 케이스를 디바이스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한다.
다른 특징들에 따르면,
- 상기 고정 수단은 스트랩 상에 배치된 시계 케이스 고정자(fastener)를 포함하는 스트랩을 포함한다;
- 상기 베이스는 통신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수용 하우징은 모듈을 탈착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 상기 디바이스는 용량성 플레이트(capacitive plate)에 기초하여 착용자에 대한 고정 및 착용자로부터의 분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 상기 디바이스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착용자의 인증 및 착용자에 대한 고정이 행해진 후 및/또는 착용자로부터의 분리에 대한 검출이 행해지기 전에 트랜잭션 또는 검증(validation)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 상기 디바이스는 시그니처를 형성하기 위해 착용자에 의한 움직임을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예시에 의해 제공된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는 동안에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 도 2는 인터페이스들 및/또는 커넥터들의 예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신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모듈을 도시한 도면.
- 도 3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등의 액세서리를 지원하는, 본 발명에 따라 신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 도 4는 시계 케이스를 지원하는, 본 발명에 따라 신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 도 5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의 이용 및/또는 동작의 단계들에 대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
유사한 요소들은 도면들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정된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신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eGo-타입의) 모듈(2)을 포함하며; 이 모듈은 착용자의 피부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접촉 표면(3)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표면은 모듈에 접속된 디바이스의 도전성 부분에 속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모듈(2)을 포함하는 베이스(4)(또는 베이스 하우징)를 포함하며; 또한, 디바이스를 피부에 접촉시켜 착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5A, 5B)을 포함한다.
또한, 디바이스는 개인용 액세서리(7) 또는 시계 케이스(8)를 디바이스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6A, 6B)을 포함한다.
신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eGo 타입의 모듈은 특허 EP 1695296 Bl에 기술되어 있고, 그 본질적인 특징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써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은 지문 센서 등의 생체인식(biometric) 식별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모듈의 외부에 위치한 상기 센서에 접속될 수 있다. 그 외의 임의의 식별 수단, 예컨대 음성 인식 수단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모듈은 사용자의 전기 디바이스에 의해, 신체를 통해 전기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수단,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량성 타입의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전기 디바이스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밀의 식별 데이터 및/또는 패스워드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 또는 모듈은 사용자의 생체인식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비교, 암호화 계산, 전자적 트랜잭션을 위한 검증 및/또는 인증, 동작의 활성화, 검출 등의) 위조 방지 단계들을 구현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러 등의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모듈 및/또는 디바이스는 무선 주파수 칩, 안테나 또는 안테나 커넥터 등의 RF 또는 NFC 무선 주파수 통신 수단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트랜잭션은 스마트 카드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타입의 동작(액세스, 지급, 커스터마이즈화, 위조방지 동작 등)을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데이터 교환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은 디바이스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듈의 베이스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탈착가능하거나 추출가능하다. 본 예에서, 상기 모듈은 특히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코팅 또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탈착가능한 마이크로하우징(2)으로서 설계되는데, 이러한 마이크로 하우징은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수 개의 접속부 또는 인터페이스 요소들(15)을 갖는다.
이러한 요소들 중에서, 모듈은 모듈의 하부면에 생체인식 센서(9)(도시되지 않음), 또는 대안적으로는 다른 부분에 배치된 생체인식 센서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예컨대 베이스에 포함된 배터리에 대한 전력 커넥터(1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는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의 전기 충전을 위한 콘택트들 또는 커넥터(11)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은 PC/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특징들 및 대안적인 해결책에 따르면, 액세서리 또는 시계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6A, 6B)은 베이스(4) 상에 또는 고정 수단(5A, 5B), 즉 스트랩 상에 위치할 수 있다.
-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수단은 스트랩(5A, 5B) 상에 배치된 시계 케이스 고정자(6A, 6B)가 제공된 스트랩(5A, 5B)을 포함한다.
또한, 스트랩(5A, 5B)은 베이스를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자(6A, 6B)에 포함된 것과 유사한 시계 고정자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4)는 통신 모듈(2)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12)을 포함한다.
- 수용 하우징(12)은 모듈을 탈착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하우징에는, 모듈에 배치된 노치(notch), 가이드(guide), 숄더(shoulder) 등의 보완 수단과 협력하기 위해,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타입의 탈착가능한 고정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서, 디바이스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에 정사각형 모양을 갖는 감응형 디스플레이(7)를 액세서리로서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는 도 1에서 도시된 타입의 베이스(14)에 의해 지지된다.
디스플레이 및/또는 액세서리 또는 베이스는 컨트롤러 및/또는 다양한 통신 및/또는 NFC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특히 PIN을 입력하기 위한 감응형 영숫자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보안 모듈(2) 및/또는 베이스(14)와 접속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시각적 액세스 제어를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에 사용자의 사진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어 키들(13)이 베이스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서, 디바이스(8)는 사용자의 시계(8)를 액세서리로서 포함한다. 시계는 시계 고정자(6A, 6B)에 의해 베이스에 각각 고정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시계는 심미적인 목적을 위해 눈에 보이는 반면, 베이스(4)는 숨겨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는 착용자에 대한 고정 및 착용자로부터의 분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전체가 도시되어 있지는 않음)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단은, 예컨대 베이스(4, 14)로부터 브랜치 또는 스트랩의 서브-섹션(5A, 5B)으로 확장하며, 단부에 용량성 플레이트(17, 18)를 포함하는 도전성 회로(1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이 닫힌 위치에 있는 경우, 용량성 플레이트들은 서로 대항하여 위치함으로써 전기 회로(16)를 닫는다. 또한, 디바이스는 용량성 플레이트들의 간격에 의존하는 스트랩의 닫힌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로는 베이스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또한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입력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인증 및 고정이 행해진 이후 및/또는 분리의 검출이 행해지기 전에 트랜잭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는 시그니처를 형성하기 위해 착용자에 의한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인증된 경우에는, 통합된 가속도계 및/또는 움직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팔 또는 손목을 이용한 제스쳐 또는 일련의 제스쳐 및/또는 가속을 자신의 가상 시그니처로서 공간에 생성함으로써 트랜잭션을 검증할 수 있다.
이러한 시그니처는 검증을 위해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된다. 그 후, 암호화 되었거나 또는 (일회용의) OTP 타입일 수 있는 인에이블 신호가 디바이스에 의해 피부를 통한 통신에 의해 통신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 있다.
움직임 데이터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화면을 터치하고, 다른 한 손으로 서명하는 동안에 암호화된 형태로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검증을 위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바이스에의 액세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진행중인 트랜잭션을 위해 움직임 데이터를 해독하고, 해독된 시그니처를 디바이스에 저장된 것과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서명을 하지만, 이 사용자는 생체인식적으로 분리되어 인증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디바이스에 액세서리를 부착하기 위한 탈착가능한 타입의 수단과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다른 특징들 또는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어떠한 액세서리도 없고 또한 액세서리나 시계 케이스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도 없는 그러한 버전에 의한 이용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는, 일례의 이용 및 일레의 동작이 기술된다.
사용자는 디바이스에 의한 안전한 컴퓨터 인증을 사용하기를 희망한다(단계 10). 그/그녀는 착용자 인식을 위해 자신의 손가락을 지문 센서(9)에 위치시킨다; 그 후, 그/그녀는 베이스를 자신의 손목 주변에 고정시키고 스트랩을 닫을 미리 정해진 시간을 갖는다. 스트랩을 닫을 때에, 커패시티(17, 18)는 접근하고, 이러한 서로에 대한 접근은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 회로는 마이크로컨트롤러에게 통지한다(단계 20). 착용자가 허용된 시간 내에 인증되었다는 것이 마이크로컨트롤러에 통지된 경우, 원하는 트랜잭션을 위해 작동하도록 준비된다(단계 30). 인증은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음성 인식 수단을 포함하고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신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을 구비한 컴퓨터를 터치하고,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식별 트랜잭션이 발생한다(단계 40).
컴퓨터 또는 인터넷 상의 세션 트랜잭션의 보안 시스템은,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그리고 도면에서는 점선으로 표시된) 특정 액세서리(7)에 사용되는 감응형 디스플레이에 자신의 코드를 입력하는 사용자에 의한 PIN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단계 50). 이러한 코드는 모듈에 의해 착용자의 인증을 재활성화할 수 있고, 및/또는 특히 상업적 사이트에서 트랜잭션 검증의 온라인 전송을 허용할 수 있다(단계 60). 이것은 트랜잭션 동안에 추가적인 액세서리를 제공할 필요없이 트랜잭션을 개별적으로 검증하거나 또는 각각의 트랜잭션(ATM으로부터의 예금 인출, 액세스 제어 등)을 검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 후, 사용자는 자신의 스트랩을 제거하며, 이에 의해 커패시티(17, 18)가 서로 멀어지게 된다; 이 분리 상태는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되고, 마이크로컨트롤러에 통지된다(단계 70).
그 후,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신체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임의의 트랜잭션 인증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제한한다(단계 80).

Claims (9)

  1. 신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모듈(2)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1)로서 - 상기 모듈은 착용자의 피부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접촉 표면(3)을 포함함 - ,
    상기 모듈을 포함하는 베이스(4, 14);
    상기 디바이스를 피부에 접촉시켜 상기 착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5A, 5B)
    을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베이스(4, 14)에 또는 고정 수단(5A, 5B)에 배치된 개인용 액세서리(7) 또는 시계 케이스(8)를 부착하는 수단(6A, 6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5A, 5B)은 스트랩 상에 배치된 시계 케이스 또는 개인용 액세서리 고정자들을 포함하는 상기 스트랩을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5A, 5B)은 상기 베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시계 고정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4, 14)는 상기 통신 모듈(2)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은 상기 모듈(2)을 탈착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에 대한 고정 및 상기 착용자로부터의 분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16, 17, 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용량성 플레이트들(17, 18)을 포함하는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인증 및 고정이 행해진 후, 및/또는 분리의 검출이 행해지기 전에 트랜잭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시그니처(signature)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착용자에 의한 움직임을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KR1020147006795A 2011-08-18 2012-08-10 액세서리에 커스터마이즈 가능한, 신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1555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306055.2 2011-08-18
EP11306055A EP2560303A1 (fr) 2011-08-18 2011-08-18 Dispositif de communication à travers le corps personnalisable par accessoire
PCT/EP2012/065762 WO2013024058A1 (fr) 2011-08-18 2012-08-10 Dispositif de communication a travers le corps personnalisable par accesso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596A true KR20140049596A (ko) 2014-04-25
KR101555451B1 KR101555451B1 (ko) 2015-09-23

Family

ID=46642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795A KR101555451B1 (ko) 2011-08-18 2012-08-10 액세서리에 커스터마이즈 가능한, 신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194061A1 (ko)
EP (2) EP2560303A1 (ko)
JP (1) JP2014524702A (ko)
KR (1) KR101555451B1 (ko)
WO (1) WO20130240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3149B1 (en) 2012-11-12 2019-08-06 Square, Inc. Secure data entry using a card reader with minimal display and input capabilities having a display
US9613353B1 (en) 2013-12-26 2017-04-04 Square, Inc. Passcode entry through motion sensing
CN105814752A (zh) * 2013-12-29 2016-07-27 苹果公司 电连接机构和机械连接机构
EP2897085A1 (fr) 2014-01-20 2015-07-22 Gemalto SA Dispositif électronique portable d'identification numérique comprenant un interrupteur
EP2940534A1 (fr) 2014-04-28 2015-11-04 Gemalto SA Système de fermeture/ouverture de bracelet réalisant une fonction électrique
ITMI20150583A1 (it) * 2015-04-23 2016-10-23 Cerioli Mattia Dispositivo da polso programmabile intelligente, in particolare per realizzare video e foto aeree
EP3106052A1 (fr) * 2015-06-19 2016-12-21 Omega SA Bracelet de montre
US10137777B2 (en) 2015-11-03 2018-11-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system control based on physiological traits
EP3182222A1 (fr) * 2015-12-15 2017-06-21 Omega SA Bracelet de montr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29176B (en) * 1982-10-12 1986-03-19 Roundel Electronics Indentification system
US6104913A (en) * 1998-03-11 2000-08-15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Personal area network for personal telephone services
JP4019742B2 (ja) * 2001-05-14 2007-12-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伝送装置及び情報伝送システム
JP2003324396A (ja) * 2002-04-26 2003-11-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データ通信装置
JP4156531B2 (ja) * 2003-02-03 2008-09-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通信機器
US20040233786A1 (en) * 2003-05-23 2004-11-25 Shao-Chieh Ting USB disk watch
ATE423364T1 (de) * 2003-12-18 2009-03-15 Gemalto Sa System zum identifizieren eines individuums in einer elektronischen transaktion
JP2008232935A (ja) 2007-03-22 2008-10-02 Nec Corp 携帯端末装置及び腕時計
US8212650B2 (en) * 2008-02-01 2012-07-03 Wimm Labs, Inc. Situationally aware and self-configuring electronic data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090280861A1 (en) * 2008-05-09 2009-11-12 Ashana Sabana Nisha Khan Multifunctional all-in-one detachable wrist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668145B2 (en) * 2009-04-21 2014-03-11 Technology Innovators Inc. Automatic touch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169952B1 (ko) * 2013-10-18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24058A1 (fr) 2013-02-21
EP2745435A1 (fr) 2014-06-25
JP2014524702A (ja) 2014-09-22
EP2560303A1 (fr) 2013-02-20
US20140194061A1 (en) 2014-07-10
KR101555451B1 (ko)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451B1 (ko) 액세서리에 커스터마이즈 가능한, 신체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디바이스
JP6808850B2 (ja) 指紋認識カード及び指紋認識カードを用いた電源作動方法
EP2924665A1 (en) Settlement terminal device
JP2019165449A (ja) セキュア・モバイ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およびモバイル装置ケース
US11995161B2 (en) Biometric enrolment
US20190065918A1 (en) Fingerprint authorisable device
KR20080005263A (ko)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WO2013123453A1 (en) Data storag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JP2023520699A (ja) ユーザトラスト結合を有する多目的スマートカード
WO2020075317A1 (ja) 認証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スマートフォンケース
KR20180124027A (ko) 전자 기기, 인증 방법 및 프로그램
WO20191552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secure payment and data transaction with biometric enrollment and authentication
KR101826300B1 (ko) 다중 생체인식을 이용한 본인 인증 웨어러블 장치 및 그 방법
WO2018087336A1 (en) Fingerprint authorisable demonstrator device
KR20180103805A (ko) 지문 인식 카드 및 지문 인식 카드를 이용한 전원 동작 방법
TWI830784B (zh) 生物特徵註冊
GB2408235A (en) Portable smartcard reader/writer with user authentication
CN103178960B (zh) 保护功能运作控制过程系统
KR20170112852A (ko) 웨어러블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웨어러블 장치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JP2009251885A (ja) 音声認証機能を備えたsimホルダー
KR20110073200A (ko) 인체 통신을 이용한 인증 장치, 인체 통신을 이용한 인증 기능을 구비한 휴대 장치 및 인체 통신을 이용한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