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9320A - 해적 침입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해적 침입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320A
KR20140049320A KR1020120115440A KR20120115440A KR20140049320A KR 20140049320 A KR20140049320 A KR 20140049320A KR 1020120115440 A KR1020120115440 A KR 1020120115440A KR 20120115440 A KR20120115440 A KR 20120115440A KR 20140049320 A KR20140049320 A KR 20140049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rate
protrusion
present
intrusion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5570B1 (ko
Inventor
신상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5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5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49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13/00Other 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해적 침입 방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는 데크의 상부에 위치하는 파이프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파이프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사람이 상기 파이프를 통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적 침입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Trespassing of Pirate}
본 발명은 해적 침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크의 상부에 위치하는 파이프를 통하여 해적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적 침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말리아 해상 등에서 운항되는 선박이 해적들에 의해 피랍되는 문제가 국제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해적의 침입은 금전적으로도 큰 손해일 뿐만 아니라 많은 인명 피해 또한 동반하기 때문에 해적의 침입은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해적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박에 구비되어 해적을 퇴치하거나 또는 해적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 및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 중 해적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들은 선원들의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부분 선원들이 생활하는 거주구에 설치된다.
그리고, 거주구에 설치되는 해적 침입 방지 장치 중 대부분은 해적이 거주구의 에이데크(A-Deck)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해적들이 파이프를 이용하여 거주구로 침입한다. 엔진 케이싱과 거주구 사이에는 대형 파이프가 2~3개 정도 위치하는데, 이 대형 파이프를 통하여 해적들은 선원이 거주하는 거주구로 쉽게 침입할 수 있다.
선행문헌 1: 한국공개특허 10-2012-0065462 선행문헌 2: 미국공개특허 2010/0288469 선행문헌 3: 한국공개특허 10-2012-001011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해적이 거주구와 엔진 케이싱 사이의 대형 파이프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파이프를 통해 이동하는 시간을 지연시켜 거주구에서 생활하는 선원들이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고 선원들의 안전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해적 침입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적 침입 방지 장치는 체결부 및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데크의 상부에 위치하는 파이프의 외주면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파이프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사람이 상기 파이프를 통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직경이 상기 파이프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종단면이 반원형인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의 끝단에는 상기 체결부의 지름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서로 맞닿아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부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방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체결부에 데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파이프보다 직경이 큰 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파이프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해적 침입 방지 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의 해적 침입 방지 장치가 선원들의 거주구와 엔진 케이싱 사이의 대형 파이프에 구비되어 해적이 파이프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해적이 파이프를 통해 이동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거주구에서 생활하는 선원들이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선원들의 안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가 파이프에 다수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의 돌출부가 파이프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가 선박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의 사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가 파이프에 다수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100)는 체결부(100) 및 돌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의 상부에 위치하는 파이프(30)의 외주면에 체결될 수 있다.
돌출부(120)는 체결부(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일부가 파이프(30)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사람이 파이프(30) 상부를 밟고 넘어오거나, 파이프(30)에 매달려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부(100)는 파이프(30)의 외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파이프(30)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100)는 파이프(30)에 용이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종단면이 반원형인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반원형의 체결부(100) 끝단에는 체결부(100)의 지름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반원형 체결부(100) 중 하나가 파이프(30)의 일측에서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가 파이프(30)의 반대측에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결합부(112)는 서로 맞닿아 결합부재(11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재(114)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100)가 반원형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볼팅 결합 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체결부(100) 및 결합부재(114)는 앞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파이프(30)에 고정될 수 있는 것라면 어떤 식으로든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100)의 돌출부(120)는 파이프(30)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120)는 체결부(10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방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20)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호 인접한 돌출부(120) 사이에는 보강부(130)재가 구비되어 돌출부(120)의 휨이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120)의 끝단은 뾰족하게 이루어져 사람이 파이프(30)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보다 어렵게 할 수 있다.
핀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120)는 체결부(100)재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 때 돌출부(120) 중 적어도 일부는 체결부(100)에 데크를 향하는 방향으로, 즉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파이프(30)의 상부에 구비되는 돌출부(120)가 사람이 파이프(30)의 상부를 밟고 파이프(30)의 상부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면, 파이프(30)의 하부에 구비되는 돌출부(120)는 사람이 파이프(30)에 매달려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0)는 파이프(3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파이프(30) 상부에 발로 디딜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파이프(30) 상부에 로프나 고리 등을 걸기 어려워지고, 로프나 고리 등을 걸었다 하더라도 다시 빼내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사람이 파이프(30)를 통해 이동하는 경우 이동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의 돌출부가 파이프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돌출부(120)는 파이프(3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3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가 선박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원들이 생활하는 거주구(10)와 엔진 케이싱(20) 사이에 위치하는 대형 파이프(30)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실제로 많은 해적들이 파이프(30)를 이용하여 거주구(10)로 침입한다. 엔진 케이싱(20)과 거주구(10) 사이에는 대형 파이프(30)가 2~3개 정도 위치하는데, 이 대형 파이프(30)를 통하여 해적들은 선원이 거주하는 거주구(10)의 에이데크(12)로 쉽게 침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100)를 거주구(10)와 엔진 케이싱(20) 사이에 위치하는 파이프(30)에 설치하여 해적이 파이프(30)를 통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해적이 파이프(30)를 통해 이동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로써, 거주구(10)에서 생활하는 선원들이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여 선원들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의 사시도 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봐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체결부(110) 및 돌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100)의 체결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돌출부(120)가 핀으로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본 실시예의 돌출부(130)는 파이프(30)보다 직경이 큰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100)의 돌출부(130)가 원형의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돌출부(130)의 형상을 원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해적이 파이프(30)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식으로든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돌출부(130)는 파이프(3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돌출부(130)는 면으로 형성되므로, 돌출부(130)는 돌출부(130)가 고정되는 체결부(110)로부터 파이프(30)의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넓어지는 고깔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장치(100) 또한 선원들이 생활하는 거주구(10)와 엔진 케이싱(20) 사이에 위치하는 대형 파이프(30)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해적이 파이프(30)를 통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해적이 파이프(30)를 통해 이동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거주구 12: 에이데크
20: 엔진 케이싱 30: 파이프
100: 해적 침입 방지 장치 110: 체결부
112: 결합부 114: 결합부재
120: 돌출부 130: 돌출부
140: 보강부

Claims (7)

  1. 데크의 상부에 위치하는 파이프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파이프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사람이 상기 파이프를 통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해적 침입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직경이 상기 파이프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림으로 이루어지는 해적 침입 방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종단면이 반원형인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의 끝단에는 상기 체결부의 지름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서로 맞닿아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해적 침입 방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부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해적 침입 방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체결부에 데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해적 침입 방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파이프보다 직경이 큰 면으로 이루어지는 해적 침입 방지 장치.
  7. 제 4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해적 침입 방지 장치.
KR1020120115440A 2012-10-17 2012-10-17 해적 침입 방지 장치 KR101505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440A KR101505570B1 (ko) 2012-10-17 2012-10-17 해적 침입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440A KR101505570B1 (ko) 2012-10-17 2012-10-17 해적 침입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320A true KR20140049320A (ko) 2014-04-25
KR101505570B1 KR101505570B1 (ko) 2015-03-24

Family

ID=5065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440A KR101505570B1 (ko) 2012-10-17 2012-10-17 해적 침입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5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851A (ko) * 2015-04-27 2016-1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적 침입 방지 장치
KR20210030645A (ko) 2019-09-10 2021-03-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적 접근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075Y1 (ko) * 1999-07-26 2000-02-15 최병수 오름방지용 체결구
KR19990078951A (ko) * 1999-08-23 1999-11-05 강대웅 건축물 외벽 배관용 방범커버
KR200344529Y1 (ko) * 2003-11-17 2004-03-11 이찬수 가스관용 방범장치
KR100768756B1 (ko) * 2006-08-25 2007-10-23 박재홍 선박용 쥐막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851A (ko) * 2015-04-27 2016-1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적 침입 방지 장치
KR20210030645A (ko) 2019-09-10 2021-03-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적 접근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570B1 (ko) 201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6698B2 (en) Cap for anchor of post-tension anchorage system
US10056746B1 (en) Electrical slip conduit coupler
US10480703B2 (en) Sliding cable safety device for conduits or similar equipments subject to pressure and corresponding installation including such safety device
KR20140049320A (ko) 해적 침입 방지 장치
US8158882B1 (en) Electrical box hanger
EP3078862B1 (en) Sensor fixation device
US8076573B1 (en) Electrical box hanger
JP2018035582A (ja) 鳥獣保護取付装具
KR200420665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립
KR200455943Y1 (ko) 케이블 포설기구
KR101311687B1 (ko) 해저케이블 보호관
KR102640377B1 (ko) 해적 접근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5965357B2 (ja) 害獣捕獲装置
EP2607575B1 (en) Fixing system, fence, and method for fixing a fence to a fence support
KR20110105067A (ko) 해저케이블 접속장치
KR100755183B1 (ko) 클램핑 장치
KR20140005923U (ko) 파일 안전캡
RU2580245C1 (ru) Протектор для крепления кабельного удлинителя на насосных секциях погружной установки
KR102315516B1 (ko) 지주용 고정밴드 체결구
CN211287785U (zh) 盾构隧道中支架的安装单元及盾构隧道内管线的布置系统
KR20160032971A (ko) 가두리 양식장용 와이어 고정밴드
KR100740212B1 (ko) 가스관 보호커버
KR101862616B1 (ko) 케이블 옵셋 제한장치
CN205574231U (zh) 一种船用保护装置
RU50038U1 (ru) Шлейф приводов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и защиты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