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941A -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941A
KR20140048941A KR1020147001780A KR20147001780A KR20140048941A KR 20140048941 A KR20140048941 A KR 20140048941A KR 1020147001780 A KR1020147001780 A KR 1020147001780A KR 20147001780 A KR20147001780 A KR 20147001780A KR 20140048941 A KR20140048941 A KR 20140048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real
time media
source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6786B1 (ko
Inventor
마티아스 라압스
마르쿠스 베르크
안드레아스 메츠
아일린 포글
존야 랑한스
헤르베르트 구이스트
지크프리트 하우체네데르
Original Assignee
인스티튜트 퓌어 룬트퐁크테크닉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스티튜트 퓌어 룬트퐁크테크닉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인스티튜트 퓌어 룬트퐁크테크닉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48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2Multiplexing isochronously with the video sync, e.g. according to bit-parallel or bit-serial interface formats, as SD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로 스위칭을 위한 장치(1)를 참조한다. 장치(1)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을 접속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 포트들(QA1, QA2, QA3) 뿐만 아니라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을 접속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 포트들(SA1, SA2, SA3)을 포함한다. 장치(1)는, 스위칭 싱크(SS)를 제공하고, 이를 제 1 소스(Q1)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으로 스위칭하도록 적응된다. 스위칭 싱크(SS)는, 패킷-교환 포맷으로 제 1 소스(Q1)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패킷-교환 포맷으로 포워딩하도록 적응되고, 스위칭 싱크(SS)에 의해 포워딩되는 제 1 소스(Q1)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과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2)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해, 포워딩 동안 스위칭 싱크(SS)에 할당되는 제 1 멀티-포인트 수신지 어드레스(IPMZS)가 패킷들에 제공된다. 스위칭 싱크(SS)는, 장치에 접속된 싱크들(S1, S2, S3)의 "시점"으로부터, 스위칭 싱크(SS)에 의해 포워딩되는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의 소스를 표현하고, 싱크들(S1, S2, S3)은 멀티-포인트 수신지 어드레스(IPMZS)를 통해 장치와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 싱크/소스(SS)가 각각 장치(1)의 엘리먼트 또는 컴포넌트로서 스위칭가능하게 제공되는 경우, 장치(1) 내에서 투명한 스위칭 프로세스가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REAL-TIME MEDIA STREAMS}
본 발명은,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로부터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그에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전문 TV 스튜디오들의 영역에서, 예를 들어, TV 카메라 생성 실시간 비디오 스트림들과 같은 실시간 미디어 플로우들의 소스들과, 예를 들어, 적절한 스튜디오 모니터들 또는 디지털 편집 세트(suites) 및 대응하는 싱크들을, 영어로 "Serial Digital Interface(SDI)"로 지칭되는 지칭되는 직렬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시키는 것이 통상적이다. SDI-인터페이스는, 동축 케이블들 또는 광학 도파관들을 통해, 압축되지 않고 암호화되지 않은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의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임베딩된 시간 코드 스트림들 및/또는 오디오 스트림들의) 송신을 허용하고, 상이한 비디오 포맷들 및 비트 레이트들 각각에 대해 SMPTE(영어 "Society of Motion Pictures and Television Engineers")에 의해 특정되는 전체 표준군을 포함한다. 따라서, SD-SDI로서 또한 공지된 표준 SMPTE 259M(영어 "Standard Definition")은, 예를 들어, 270 Mbit/s의 비트 레이트를 갖는 576i 포맷(영어, "interlaced")으로 PAL 비디오 신호들(영어 "Phase Alternating Line")의 디지털 송신을 정의하고, ED-SDI로서 또한 공지된 표준 SMPTE 344M(영어 "Enhanced Definition")은, 540 Mbit/s의 비트 레이트를 갖는 576p 포맷(영어 "progressive")으로 PAL 비디오 신호들의 디지털 송신을 허용한다. 고해상도 HDTV 애플리케이션들(영어 "High Definition Television")의 경우, HD SDI로서 또한 공지된 표준 SMPTE 292M은, 1.485 Gbit/s 및 1.485/1.001 Gbit/s의 비트 레이트들을 갖는 720p 또는 1080i 포맷으로 비디오 신호들의 디지털 송신을 허용한다. 더욱 더 큰 비디오 포맷들의 경우,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또는 3D-영화의 영역에서, 그에 대응하여 더욱 더 큰 비트 레이트들을 갖는 적절한 표준들이 또한 이용가능하다. 이에 대한 예들은, 듀얼-링크 HD-SDI로서 또한 공지된 표준 SMPTE 372M, 및 3G-SDI로 또한 지칭되는 표준 SMPTE 424M(영어 "Third Generation")이다.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소스들과 싱크들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해, 텔레비젼 스튜디오 스튜디오 엔지니어링에서는 소위 SDI 크로스바들(crossbars)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이 디바이스들은, 이들의 장비 컴포넌트들에 따라, 예를 들어, SD-SDI, HD-SDI 및 3G-SDI와 같은 상이한 SDI 포맷들에 대해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에 대한 소스 및 싱크 포트들을 특징으로 하고, 싱크들로부터 소스들로의 투명한 스위칭을 허용하는데, 즉, 2개의 시간순서상 순차적인 액세스 유닛들 사이에서, 즉, 예를 들어,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을 갖는 2개의 시간순서상 순차적인 프레임들 사이에서 스위칭이 발생하는 것이 보장된다. 스위칭 동작은, 이러한 시간순서상 미리 결정된 스위칭 포인트들에 대해 또는 미리 결정된 스위칭 범위들 각각 내에서 발생하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SDI 포맷의 비디오 스트림들에 대한 다이렉티브 SMPTE RP168(영어 타이틀 "Definition of Vertical Interval Switching Point for Synchronous Video Switching") 내에서 정의된다.
그러나, SDI 인터페이스에 의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의 송신, 및 텔레비젼 스튜디오의 대응 SDI 크로스바들을 이용한 스위칭은, 이에 필수적인 스튜디오 기술이 값비싸고, 송신을 위해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동축 케이블들의 최대 케이블 길이가 제한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장래에는, 특히 경제적 측면들 때문에, 텔레비젼 스튜디오들에서 이용되는 직렬 디지털 인프라 구조를 패킷-교환 인프라구조, 즉, 예를 들어, IP-기반(영어 "Internet Protocol")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패킷-교환 인프라구조가 최근의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에서 이미 널리 이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패킷-기반 솔루션은, 현재 스튜디오들에서 이용되는 "특수한" 솔루션보다 결국 더 값쌀 수 있고, 이것은, SDI 포맷으로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의 송신에 부가하여, 예를 들어, MXF(영어 "Material eXchange Format")와 같은 콘테이너 포맷들 또는 JPEG200과 같은 압축된 비디오 포맷들과 같은 다른 포맷들의 송신에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소프트웨어-기반 이미지 프로세싱 및 그에 대응하는 저장 미디어의 통합은, 패킷-교환 인프라구조 내에서 또한 더 용이할 것이다.
SMPTE 2022 표준군으로 IP-기반 네트워크들에 의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의 송신을 위한 기존의 솔루션들이 이미 존재하고, 구체적으로 표준 SMPTE 2022-6(영어 타이틀 "High Bit Rate Media Transport over IP Networks" (HBRMT))은 IP-기반 네트워크들에 의한 SDI 포맷으로 제공되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의 송신(또한, "IP를 통한 SDI"로 지칭됨)을 허용하지만, 지금까지 이러한 신호들을 투명하게, 즉, "패킷-교환 분야"에서 2개의 시간순서상 순차적인 액세스 유닛들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한 적절한 솔루션들은 부족하다.
따라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로부터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로 스위칭하여, "패킷-교환 분야", 예를 들어, IP-기반 네트워크에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의 투명한 스위칭을 허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태스크이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로부터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로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의 스위칭을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이 장치는,
-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을 접속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 포트들,
-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을 접속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 포트들을 포함하고,
장치는, 스위칭 싱크를 제공하고, 이를 제 1 소스로부터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으로 스위칭하도록 적응되고,
스위칭 싱크는, 패킷-교환 포맷으로 제 1 소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패킷-교환 포맷으로 포워딩하도록 적응되고, 스위칭 싱크에 의해 포워딩되는 제 1 소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과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해, 포워딩 동안 스위칭 싱크에 할당되는 제 1 멀티-포인트 수신지 어드레스가 패킷들에 제공된다.
스위칭 싱크를 제공하고, 이를, 예를 들어, 텔레비젼 카메라와 같은 제 1 소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으로 스위칭하도록 장치를 적응시킴으로써, 그리고 예를 들어, IP-기반 포맷과 같은 패킷-교환 포맷으로 제 1 소스로부터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수신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패킷-교환 포맷으로 포워딩하도록 스위칭 싱크를 적응시킴으로써 ―여기서, 스위칭 싱크에 할당된 제 1 멀티-포인트 수신지 어드레스가 패킷들에 제공됨―, 스위칭 싱크는, 예를 들어, IP-기반 네트워크의 적절한 스튜디오 모니터들 또는 디지털 편집 세트와 같은, 장치에 접속된 싱크들의 "시점"으로부터, 스위칭 싱크에 의해 포워딩되는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의 소스를 구성하고, 싱크들은 멀티-포인트 수신지 어드레스를 통해 스위칭 싱크와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 싱크/소스는 장치의 엘리먼트 또는 포트로서 각각 스위칭가능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장치에서 투명한 스위칭 프로세스가 구현될 수 있다. 즉, 장치에 의해 스위칭 싱크의 추가적인 "레벨"을 제공하는 것은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의 투명한 스위칭이 실현되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멀티-포인트 수신지 그룹들에 대한 비-실시간 참여는 통계적 구성으로 간주될 수 있고, 이것은 동축 케이블들을 이용하는 경우의 케이블링(cabling)에 대응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의의 물리적인 액세스를 요구하지 않는다. 그 다음, 실제 스위칭 프로세스는 "스위칭 싱크"의 싱크 또는 소스의 참가 없이 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SNMP(영어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에 의해 또는 웹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용어 "스위칭 싱크"는 각각 장치의 엘리먼트 또는 포트로서 추상적으로 이해될 것이고, 여기서 장치는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의 스위칭을 위한 스위칭 로직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실현한다.
장치는, 제 2 소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이 스위칭 싱크에 의해 수신되도록, 스위칭 싱크를 제 1 소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으로부터 제 2 소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으로 스위칭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것이 선호된다.
게다가, 장치는 버퍼를 더 포함하고, 스위칭 싱크를 제 1 소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으로부터 제 2 소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으로 스위칭하는 동안, 제 1 소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의 데이터 및/또는 제 2 소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의 데이터를 버퍼에 버퍼링하도록 적응되는 것이 선호된다. 이러한 버퍼링, 즉, 스위칭 프로세스 동안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의 버퍼에서의 버퍼링은 일반적으로, 패킷-교환 네트워크들에서 동기성이 주어지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그리고 가능하게는 2개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 사이의 위상 시프팅에 기인하여 필수적일 것이다.
게다가, 장치는, 스위칭 싱크를 제 1 소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으로부터 제 2 소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으로 스위칭하는 동안, 이러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에 대해 미리 결정된 제 1 스위칭 포인트에서 또는 이러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제 1 스위칭 범위 내에서 스위칭 싱크에 의한 제 1 소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의 포워딩을 종료시키고, 이러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에 대해 미리 결정된 제 2 스위칭 포인트에서 또는 이러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에 대해 미리 결정된 제 2 스위칭 범위 내에서 스위칭 싱크에 의한 제 2 소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의 포워딩을 개시하도록 적응되는 것이 선호된다. 스위칭 포인트들 또는 스위칭 범위들은, 투명한 스위칭이 보장되도록, 즉, 예를 들어, 2개의 시간순서상 순차적인 프레임들 사이의 비디오 스트림들에 대해, 각각 시간순서상 순차적인 액세스 유닛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P를 통한 SDI"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에 대해, 적절한 스위칭 포인트들 또는 스위칭 범위들은, 예를 들어, 앞서 언급된 다이렉티브 SMPTE RP 168에서 각각 정의된다.
게다가, 제 1 및/또는 제 2 스위칭 포인트 또는 제 1 및/또는 제 2 스위칭 범위는 각각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의 미디어 포맷에 의존하는 것이 선호된다. 게다가, 장치는,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의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의 미디어 포맷을 식별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것이 선호된다. 이러한 식별 데이터, 예를 들어, "IP를 통한 SDI" 포맷에 포함되는 "비디오 페이로드 식별자"(VPID)(아래 참조)는,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의 미디어 포맷(예를 들어, SDI 포맷 720p @ 1.485 Gbit/s)의 용이한 식별을 허용하고, 따라서 이러한 미디어 포맷에 대해 미리 결정된 스위칭 포인트에서 또는 이러한 미디어 포맷에 대해 각각 미리 결정되는 미리 결정된 스위칭 범위 내에서 정확하고 투명한 스위칭을 허용한다. 스위칭 범위의 경우, 패킷 경계들이 스위칭 범위 내에 위치되는 경우 패킷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것이 선호된다. 이것이 가능하지 않으면, 하나의 패킷 내에서 구(old) 소스와 새로운 소스 사이에서 스위칭되어야 한다.
장치는,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스위칭 포인트 또는 스위칭 범위를 정의하는 스위칭 규칙들의 입력에 의해 확장가능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것이 추가로 선호된다. 이것은, 장치(1)에 의해 지금까지 지원되지 않은 미디어 포맷들을 갖는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이 프로세싱되도록 허용한다.
적어도 하나의 소스 포트는, 패킷-교환 포맷으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송신하고 있는 하나의 소스가 그에 접속가능하도록 적응되는 것이 선호된다.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싱크 포트는, 패킷-교환 포맷으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고 있는 하나의 싱크가 그에 접속가능하도록 적응되는 것이 선호된다. 따라서, 장치는, 대응하는 패킷-교환 환경에서, 예를 들어, IP-기반 네트워크에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스위칭하기 위해 직접 이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소스 포트는 소스 포트 변환기를 포함하고, 소스 포트 변환기는 소스 포트에 접속된 소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직렬 포맷으로부터 패킷-교환 포맷으로 변환하도록 적응되는 것이 선호된다.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싱크 포트는, 싱크 포트에 접속된 싱크에 대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패킷-교환 포맷으로부터 직렬 포맷으로 변환하도록 적응되는 싱크 포트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이 선호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SDI 포맷과 같은 직렬 포맷만을 지원하는 싱크들에 대한 및/또는 소스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이 장치로 스위칭될 수 있다.
장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 포트들 중 하나의 실시간 미디어를 패킷-교환 포맷으로 포워딩하도록 적응되는 것이 선호되고, 패킷들은,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 포트들 중 하나에 의해 포워딩되는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과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의 접속을 허용하는 제 2 멀티-포인트 수신지 어드레스를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패킷-교환 포맷은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포맷을 포함하고, 제 1 멀티-포인트 수신지 어드레스는 IP 멀티캐스트 수신지 어드레스, 즉, IP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에 따른 멀티캐스트 수신지 어드레스인 것이 선호된다. 이러한 프로토콜 또는 프로토콜들 각각은, 최근의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 영역에서 널리 확산되어 있고, 특히 장치의 스위칭 기능의 구현을 위해 이용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로 스위칭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 포트들에 접속시키는 단계,
-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 포트들에 접속시키는 단계,
- 스위칭 싱크를 제공하고, 이를 제 1 소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으로 스위칭하는 단계,
- 제 1 소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스위칭 싱크에서 패킷-교환 포맷으로 수신하는 단계,
- 수신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스위칭 싱크에 의해 패킷-교환 포맷으로 포워딩하는 단계 ―여기서 패킷들에는, 포워딩동안 스위칭 싱크에 할당된 제 1 멀티-포인트 수신지 어드레스가 제공됨―,
-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을 스위칭 싱크에 의해 포워딩된 제 1 소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과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로 스위칭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제 1 항에 따른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 상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 14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는 제 1 항에 따른 장치를 도출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한다.
제 1 항에 따른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 제 14 항에 따른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로 스위칭하기 위한 방법 뿐만 아니라 제 15 항에 따른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특히 종속항들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유사하고 그리고/또는 동일한 선호되는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음이 적시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들은 후속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이고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스위칭 프로세스 동안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이고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제 2 스위칭 상태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이고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로 스위칭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설명에서 그리고 도면들에서, 어떠한 추가적인 구별이 필요하거나 타당하지 않는 한, 반복을 회피하기 위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컴포넌트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에 의해 각각 표기된다.
도 1은, 제 1 스위칭 상태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 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 S1, S2, S3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1)의 개략적이고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의 소스들 Q1, Q2, Q3으로서 예시적으로 텔레비젼 카메라들이 제공되고, 이들은 장치(1)의 대응하는 소스 포트들 QA1, QA2, QA3에 접속되고, 싱크들 S1, S2, S3으로서 2개의 모니터들 및 디지털 편집 세트가 제공되고, 이들은 장치(1)의 대응하는 싱크 포트들 SA1, SA2, SA3에 접속된다.
이 실시예에서, 카메라들 Q1 및 Q3 모두는, 이더넷 케이블들(2)에 의해 장치(1)의 대응하는 소스 포트들 QA1 및 QA3에 접속되고, 패킷-교환 포맷으로, 여기서는 표준 SMPTE 2022-6에 따른 패킷-교환 포맷으로(이하, 짧게 "IP를 통한 SDI" 포맷으로 또한 지칭됨)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을 직접 생성한다. "IP를 통한 SDI" 포맷은 계층 모델에 기초하고, 여기서 SDI 포맷으로 제공된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은 IP 패킷들(영어 "Internet Protocol")에서 송신되고, 여기서 프로토콜 계층들 UDP(영어 "User Datagram Protocol") 및 RTP(영어 "Real-Time Transport Protocol")에 부가하여, 타이밍, 암호화 등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가 제공된다. 이것은 또한, 소위 "비디오 페이로드 식별자"(VPID), 표준 SMPTE 352M(영어 타이틀 "Television - Video Payload Identification for Digital Television Interfaces") 정의 식별자, 송신된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의 미디어 포맷을 식별하는 식별 데이터를 포함한다.
카메라 Q2는, 동축 케이블(3)에 의해 장치(1)의 대응하는 소스 포트 QA2에 접속되고, 직렬 포맷으로, 이 예에서는 SDI 포맷으로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하고, 이 포맷은, 소스 포트 QA2에 포함된 소스 포트 변환기(4)에 의해 "IP를 통한 SDI" 포맷으로 변환된다.
장치(1)는, 여기서는 3개의 텔레비젼 카메라들인 소스들 Q1, Q2, Q3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을, 대응하는 소스 포트들 QA1, QA2, QA3으로부터 "IP를 통한 SDI" 포맷으로 내부적으로 포워딩하도록 적응된다.
모니터 S2 및 디지털 편집 세트 S3은 또한, 이더넷 케이블들(2)에 의해 장치(1)의 대응하는 싱크 포트들 SA2 및 SA3에 접속되고,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을 "IP를 통한 SDI" 포맷으로 직접 수신하도록 적응된다. 모니터 S1은, 동축 케이블(3)에 의해 장치(1)의 대응하는 싱크 포트 SA1에 접속되고,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을 직렬 SDI 포맷으로 수신하도록 적응된다. 싱크 포트 SA1은, 장치(1)에서 싱크 포트 SA1로 포워딩되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을 "IP를 통한 SDI" 포맷으로부터 직렬 SDI 포맷으로 변환하도록 적응되는 싱크 포트 변환기(5)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3개의 텔레비젼 카메라들인 소스들 Q1, Q2, Q3에 의한 포워딩을 위해 장치(1)에서 생성된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의 "IP를 통한 SDI" 포맷의 패킷들은, 이 실시예에서는 IP 멀티캐스트 수신지 어드레스인 멀티-포인트 수신지 어드레스를 각각 특징으로 하고, 이 어드레스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 각각에 대해 별개로 구성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 실시예의 카메라들 Q1 및 Q3은, 이들이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을 "IP를 통한 SDI" 포맷으로 직접 생성하는 경우, 조절가능한 IP 멀티캐스트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는 패킷들을 이들이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을 SDI 포맷으로 생성하는 카메라 Q2의 경우, "IP를 통한 SDI" 포맷으로의 변환은, 소스 포트 QA2에 포함된 소스 포트 변환기(4)에서 먼저 발생하는데, 소스 포트 변환기(4)는, 조절가능한 IP 멀티캐스트 수신지 어드레스를 갖는 "IP를 통한 SDI" 포맷의 패킷들을 생성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 설명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예의 카메라들 Q1 및 Q3은 이들이 IP 멀티캐스트 수신지 어드레스들 IPMZ1 및 IPMZ3을 갖는 패킷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소스 포트 변환기(4)는 이것이 IP 멀티캐스트 수신지 어드레스 IPMZ2를 갖는 패킷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IP 멀티캐스트 수신지 어드레스들은, 여기서는 2개의 모니터들 및 편집 세트인 싱크들 S1, S2, S3을, 소스 포트들 QA1, QA2, QA3에 의해 "IP를 통한 SDI" 포맷으로 포워딩되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과 접속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이를 위해, 장치(1)는, 이 실시예에서는 IP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인 멀티캐스트 프로토콜 뿐만 아니라, IP 멀티캐스트 그룹들의 구성을 위해 기능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패밀리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인, 예를 들어, 소위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IGMP)"과 같은 대응하는 제어 프로토콜들을 지원한다. 대응하는 IGMP 메시지들의 도움으로, 모니터 S2 및 디지털 편집 세트 S3은 그에 따라, 이들이 "특정한 IP 멀티캐스트 어드레스를 갖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을 수신하기를 원하는 것을 장치(1)에 알릴 수 있다. 네트워크 전문용어의 단어들에서, 모니터 S2 및 디지털 편집 세트 S3은, 자신들이 특정한 IP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것, 즉, 자신들이, 특정한 IP 멀티캐스트 어드레스(여기서는 예를 들어, IPMZ1)를 갖는 "IP를 통한 SDI" 포맷으로 소스 포트들 QA1, QA2, QA3에 의해 포워딩되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의 패킷들을 수신하기를 원하는 것을, 대응하는 IGMP 메시지들의 도움으로, 장치(1)에 알릴 수 있다. 직렬 SDI 포맷으로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적응되는 모니터 S1의 경우, 특정한 IP 멀티캐스트 그룹의 참여는 싱크 포트 SA1에 포함된 싱크 포트 변환기(5)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장치(1)의 디지털 편집 세트 S3은, 자신이, IP 멀티캐스트 수신지 어드레스들 IPMZ1, IPMZ2 및 IPMZ3을 갖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을 수신하기를 원하는 것, 즉, 자신이 모든 3개의 소스 포트들 QA1, QA2, QA3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을 수신하기를 원하는 것을, 대응하는 IGMP 메시지들의 도움으로 알리고; 따라서,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은, 장치(1)에 의해 싱크 포트 SA3으로 포워딩된다 (도면에서 연결 실선들로 표현됨). 싱크 포트 변환기(5)는 여기서, 자신이 IP 멀티캐스트 수신지 어드레스 IPMZ1을 갖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기를 원하는 것, 즉, 자신이 소스 포트 QA1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기를 원하는 것을, 대응하는 IGMP 메시지들의 도움으로 장치(1)에 알리고; 따라서,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은, 장치(1)로부터 싱크 포트 SA1에 포워딩된다 (도면에서 접속 실선들로 표현됨).
지금까지 설명된 장치(1)의 기능은 기본적으로, IGMP 또는 소위 "인터넷 프로토콜을 위한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버전 6"(IC-MPv6)과 같은 표준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의 도움으로 IP 멀티캐스트 스트림들을 대응하게 분배하는 이미 이용가능한 IP 멀티캐스트 라우터들의 기능에 대응한다. 여기서, 또한 일반적으로, 여기서는 2개의 모니터들 및 편집 세트인 싱크들 S1, S2, S3을, "현재의 동작들" 동안, 즉, 여기서는 3개의 텔레비젼 카메라들인 소스들 Q1, Q2, Q3이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을 생성하고 이들을 장치(1)로 피딩하는 동안, 상이한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것은 투명한 스위칭을 허용하지 않는데, 즉, 예를 들어, 2개의 시간순서상 연속적인 프레임들 사이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의 경우와 같이, 각각의 스위칭이 2개의 후속 액세스 유닛들 각각 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전에 설명된 멀티캐스트 라우팅 기능은 "고정식" 구성을 설정하는 것, 즉, "현재의 동작들"의 개시 전에 싱크들 S1, S2, S3에 소스들 Q1, Q2, Q3의 고정된 할당을 설정하는 것에 오히려 적합하다.
반대로, 투명한 스위칭을 또한 허용하기 위해, 따라서 장치(1)는, 소스들 Q1, Q2, Q3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을 스위칭 싱크 SS에서 각각 수신하기 위해 이들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 있는 "인턴" 스위칭 싱크 S1, S2, S3을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스위칭 싱크 SS는 카메라 Q1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으로 먼저 스위칭되어(도면에서 파선으로 표현됨), 카메라 Q1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은 "IP를 통한 SDI" 포맷으로 스위칭 싱크 SS에서 수신된다. 이 스위칭 프로세스는 또한, 이 실시예에서, 앞서 설명된 IP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에 기초하는데, 즉, 스위칭 싱크는 대응하는 IGMP 메시지들에 의한 알림 이후, 특정한 IP 멀티캐스트 수신지 어드레스(여기서는 IPMZ1)를 갖는 IP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여한다. 스위칭 싱크 SS의 액티브 스위칭 상태(여기서는 "IP 멀티캐스트 어드레스 IPMZ1을 갖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으로 스위칭됨)는 장치(1)에서, 예를 들어, 대응하는 스위칭 표 등(미도시)의 형태에서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이제 스위칭 싱크 SS는, 수신된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을 패킷-교환 포맷(여기서는 대응적으로 또한 "IP를 통한 SDI 포맷")으로 포워딩하도록 적응되고, 여기서 패킷들에는, 스위칭 싱크 SS에 할당된 멀티-포인트 수신지 어드레스(이 실시예에서는 또한 IP 멀티캐스트 수신지 어드레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모호하지 않게 구성가능함)가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향후 설명을 위해, 싱크 S3에 의해 포워딩되는 "IP를 통한 SDI" 포맷의 패킷들에는 IP 멀티캐스트 수신지 어드레스 IPMZ5가 제공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 어드레스는 IP 멀티캐스트 수신지 어드레스들 IPMZ1, IPMZ2 및 IPMZ3(상기 참조)과는 상이한데, 즉, 이것은 장치(1)에서 모호하지 않다.
스위칭 싱크 SS에 할당되는 IP 멀티캐스트 수신지 어드레스(여기서는 IPMZS)는, 여기서는 2개의 모니터들 및 편집 세트인 싱크들 S1, S2, S3의 접속을 허용하며,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은 "IP를 통한 SDI" 포맷으로 스위칭 싱크 SS에 의해 포워딩된다. 즉, 스위칭 싱크 SS는 (장치(1) 내에서 모호하지 않은) 2개의 모니터들의 S1 및 S2 및 디지털 편집 세트의 S3의 "시점"으로부터의 IP 멀티캐스트 소스를 표현한다. "소스"로서의 스위칭 싱크 SS와 싱크들 S1, S2, S3의 접속은, 예를 들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IGMP 메시지들의 도움으로 또한 발생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장치(1)의 모니터 S2는, 자신이 IP 멀티캐스트 수신지 어드레스 IPMZS를 갖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기를 원하는 것, 즉, 자신이 스위칭 싱크 SS에 의해 포워딩되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여기서는 카메라 Q1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기를 원하는 것을, 대응하는 IGMP 메시지들의 도움으로 알리고; 따라서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은, 장치(1)에 의해 싱크 포트 SA2에 포워딩된다(도면에서 연결 실선으로 표현됨).
스위칭 싱크/소스 SS의 이용은, 스위칭 프로세스가 장치(1)에서 쉽게 투명하게 구현될 수 있는 한, 이전에 설명된 싱크들 S1, S2, S3으로의 소스들 Q1, Q2, Q3의 "직접" 스위칭에 유리하다. 이것은,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고, 도 2는, 스위칭 프로세스 동안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 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 S1, S2, S3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1)의 개략적이고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위칭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해, 장치(1)는, IP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들의 관리를 위해 이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 패밀리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인, 예를 들어, 소위 "간단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과 같은 적절한 제어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대응하는 SNMP 메시지들의 도움으로, 예를 들어, 모니터 S2 또는 디지털 편집 세트 S3은, 그 다음, 스위칭 싱크 SS가 예를 들어 카메라 Q1과 같은 제 1 소스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예를 들어, 카메라 Q2와 같은 제 2 소스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으로 스위칭될 것을 장치(1)에 알릴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스위칭 프로세스는, 대응하는 SNMP 메시지의 도움으로, 디지털 편집 세트 S3에 의해 개시된다.
스위칭 프로세스, 즉, 스위칭 싱크 SS의 스위칭은, 차례로, 이 실시예에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IP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에 기초하지만, 이것은, 장치(1)에서 스위칭이 투명하게 발생하도록, 즉, 예를 들어, 2개의 시간순서상 연속적인 프레임들 사이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에서와 같이, 스위칭이 2개의 시간순서상 연속적인 액세스 유닛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장치(1)에서 구현된다. 따라서, 추가적인 장치(1)는, 버퍼(6)(여기서는 스위칭 싱크 SS의 포트로서 도시됨)를 포함하고, 버퍼에서 (스위칭 싱크 SS가 현재로부터 스위칭된) 제 1 소스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이 예에서는 카메라 Q1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의 데이터, 및/또는 (스위칭 싱크 SS가 스위칭될) 제 2 소스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이 경우에는 카메라 Q2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의 데이터는 스위칭 프로세스 동안 버퍼링될 수 있다. 투명한 스위칭을 위해, 제 1 소스의(여기서는 카메라 Q1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의 포워딩은, 그 다음, 이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미리 결정된 제 1 스위칭 포인트에서, 또는 이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미리 결정된 제 1 스위칭 범위 내에서 각각 스위칭 싱크 SS에 의해 종료되고, 제 2 소스(여기서는 카메라 Q1)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의 포워딩은, 이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미리 결정된 제 2 스위칭 포인트에서 또는 이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미리 결정된 제 2 스위칭 범위 내에서 각각 스위칭 싱크 SS에 의해 개시된다. 여기서,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 둘 모두의 데이터는, IP의 동기성이 주어지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그리고 가능하게는 2개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 사이의 위상 시프팅(도면에서 파선들로 표현됨)에 기인하여, 짧은 시간 기간 동안 버퍼(6)에 존재한다. 투명한 스위칭을 위해 각각 미리 결정된 스위칭 포인트들 또는 스위칭 범위들은 각각의 스트림의 미디어 포맷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IP를 통한 SDI" 포맷의 경우, 이들은, 이전에 언급된 가이드라인 SMTPE RP 168 (영어 타이틀 "Definition of Vertical Interval Switching Point for Synchronous Video Switching")에서 "SDI 레벨" 상에 설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장치(1)는, "IP를 통한 SDI" 포맷의 패킷들에서 송신된 "비디오 페이로드 식별자" (VPID)에 기초한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의 미디어 포맷(예를 들어, SDI 포맷 720p @ 1.485 Gbit/s)을 식별한다. 식별된 미디어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각각 미리 결정된 스위칭 포인트 또는 스위칭 범위는 장치(1)에서, 예를 들어, 표 등에 저장될 수 있다. "IP를 통한 SDI"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의 스위칭의 경우, 두 비디오 스트림들 모두의 각각의 미리 결정된 스위칭 포인트들 또는 스위칭 범위들은, 그 다음, 대응하는 패킷들에서 먼저 식별되어야 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2개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 각각의 경우, 소위 "RTP 마커 비트"가 설정되는 다음 패킷이 먼저 탐색되는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 비트는, 대응하는 패킷이 프레임의 끝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비디오 페이로드 식별자" (VPID)에 의해 식별되는 SDI 포맷, 예를 들어, 720p @ 1.485 Gbit/s 및 이 미디어 포맷에 대해 각각 미리 결정된 스위칭 포인트 또는 스위칭 범위의 정보,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패킷당 송신될 수 있는 페이로드 데이터 비트들(비디오 스트림 비트들)의 수에 대한 정보에 기인하여, 스위칭 포인트를 포함하는 패킷은, 그 다음, 2개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 각각에서 결정될 수 있고, 따라서 투명한 스위칭이 실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위칭 포인트들을 포함하는 패킷들 또는 스위칭 범위 내의 패킷들 각각은, 또한 소위 "확장 헤더"의 도움으로 직접 마킹될 수 있어서, 장치(1)는 이 헤더들을 갖는 패킷들만을 탐색하면 된다. 스위칭 싱크 SS의 액티브 스위칭 상태(여기서는, "IP 멀티캐스트 어드레스 IMPZ1을 갖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IP 멀티캐스트 어드레스 IMPZ2를 갖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으로의 스위칭")는 장치(1)에서, 예를 들어, 대응하는 스위칭 표 등(미도시)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의 스위치 요청 패킷들 동안,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스위칭 포인트에 도달되는 한, 스위칭 싱크 SS에 의해 포워딩된다. 스위칭 포인트가 2개의 패킷들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 패킷들은, 스위칭 포인트 이후 스위칭 싱크 SS에 의해 제 2 소스로부터 포워딩된다. 스위칭 포인트가 2개의 패킷들 사이에서 설정될 수 없는 경우, 이것은 패킷 내에서 스위칭되어야 한다. 따라서, 스위칭 포인트까지의 제 1 소스의 데이터 및 스위칭 포인트 이후의 제 2 소스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새로운 패킷이 생성되고, 이것은, 스위칭 싱크 SS에 의해 스위칭 포인트를 갖는 패킷 대신에 포워딩된다. 최소의 반응 시간을 허용하기 위해, 하나의 소스의 각각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영어 "videoframe") 길이의 버퍼를 제공하는 것이 선호된다.
앞서 설명된 스위칭 동작에 기인하여, 데이터 스트림은 "SDI 레벨"에서 흠결이 없지만, 패킷 지향 프로토콜들(특히, RTP 및 HBRMT)은 시퀀스 번호들 및 타임 스탬프들에서 연속 에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싱크 SS의 데이터 스트림은, 대응하는 데이터를 특징으로 하는 모든 프로토콜 레벨들에서 적응되는 것이 선호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각각의 영향받는 프로토콜 필드에 대해 오프셋이 이용될 수 있고, 이것은, 각각의 스위칭 요청 동안, 스위칭될 소스들 사이의 차에 대응하게 적응된다.
도 3은, 제 2 스위칭 상태(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스위칭 프로세스)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 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 S1, S2, S3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1)의 개략적이고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도면은, 이 상태에서 스위칭 싱크 SS가 이제 카메라 Q2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도면에서 파선으로 표현됨)으로 스위칭되어, 카메라 Q2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은 스위칭 싱크 SS에서 "IP를 통한 SDI" 포맷으로 수신되고, 장치(1)에 의해 싱크 포트 SA2에 포워딩된다. 스위칭 싱크 SS의 액티브 스위칭 상태(여기서는 "IP 멀티캐스트 어드레스 IMPZ2를 갖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으로 스위칭됨")는 장치(1)에서, 예를 들어, 대응하는 스위칭 표 등(미도시)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도 4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 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 S1, S2, S3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방법은,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장치(1)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단계(101)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 Q1, Q2, Q3이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 포트들 QA1, QA2, QA3에 접속된다.
단계(102)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 S1, S2, S3이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 포트들 SA1, SA2, SA3에 접속된다.
단계(103)에서, 스위칭 싱크 SS가 제공되고 제 1 소스 Q1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으로 스위칭된다.
단계(104)에서, 제 1 소스 Q1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이 패킷-교환 포맷으로 스위칭 싱크 SS에서 수신된다.
단계(105)에서, 수신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은 스위칭 싱크 SS에 의해 패킷 교환 포맷으로 포워딩되고, 여기서, 패킷들에는, 스위칭 싱크 SS에 할당된 제 1 멀티-포인트 어드레스 IPMZS가 제공된다.
단계(106)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 S2가, 스위칭 싱크 SS에 의해 포워딩되는 제 1 소스 Q1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에 접속된다.
앞서 언급된 프로세스 단계들은 반드시 그 순서로 수행되는 것은 아님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 Q1, Q2, Q3이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 포트들 QA1, QA2, QA3에 접속되기(단계(101)) 전에,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 S1, S2, S3이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 포트들 SA1, SA2, SA3에 접속될 수 있다(단계(102)).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주로 "IP를 통한 SDI"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들(선택적으로, 임베딩된 시간 코드 및/또는 오디오 스트림들을 가짐)의 스위칭에 관한 것이지만, 장치(1)는 또한, 패킷-교환 포맷인 다른 종류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 예를 들어, 디지털 오디오 스트림들, JPEG2000과 같은 압축된 비디오 포맷들 또는 MXF와 같은 콘테이너 포맷들을 스위칭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이 미디어 포맷들에 대해 각각 미리 결정된 스위칭 포인트들, 스위칭 범위들은 또한, 장치(1)에서 표 등에 저장될 수 있고, 각각의 미디어 포맷의 식별은, 예를 들어, 적절한 식별 데이터에 의해, 즉, 앞서 설명된 "비디오 페이로드 식별자" (VPID)와 유사하게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장치(1)는, 장치(1)로부터 이전에는 지원되지 않은 주어진 미디어 포맷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각각의 스위칭 포인트 또는 스위칭 범위를 명시하는 스위칭 규칙들의 입력에 의해 확장가능하도록 추가로 적응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실시예들에서, 스위칭 싱크 SS는 장치(1)에 의해 제공된다. 임의의 수의 싱크들에 대해 투명하게 최대의 유연성으로 임의의 수의 소스들을 스위칭할 수 있기 위해, 장치(1)는 또한 다수의 스위칭 싱크들을 제공할 수 있다.
장치(1)의 물리적 포트들은 반드시 배타적으로 소스 포트로서 또는 배타적으로 싱크 포트로서 기능하지는 않음을 주목해야 한다. 대신에, 단일의 물리적 포트에 소스가 접속되는지 또는 싱크가 접속되는지에 따라, 단일의 물리적 포트를 소스 포트 및 싱크 포트 모두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패킷-교환 포맷으로 송신하는) 소스 또는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패킷-교환 포맷으로 수신하는) 싱크에 접속되는 이러한 포트들의 경우, 포트는 동시에 소스 포트 및 싱크 포트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 포트에서 접속된 디바이스가 동시에 소스 및 싱크로서 기능하는 경우).
단어들 "특징으로 한다" 및 "포함한다"는 다른 엘리먼트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고, 단수 표현은 복수형을 배제하지 않는다.
단일의 유닛 또는 디바이스는, 청구항들에서 특정되는 다수의 엘리먼트들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이한 독립항들에서 단일의 기능들 및/또는 엘리먼트들이 특정된다는 사실은, 상기 기능들 및/또는 엘리먼트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청구항들에서의 참조 부호들은, 청구항들의 요지 및 보호 범위가 이러한 참조 부호들에 의해 제한되는 방식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5)

  1.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로 스위칭을 위한 장치(1)로서,
    -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을 접속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 포트들(QA1, QA2, QA3),
    -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을 접속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 포트들(SA1, SA2, SA3)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1)는, 스위칭 싱크(SS)를 제공하고, 상기 스위칭 싱크(SS)를 제 1 소스(Q1)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으로 스위칭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스위칭 싱크(SS)는, 패킷-교환 포맷으로 상기 제 1 소스(Q1)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패킷-교환 포맷으로 포워딩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스위칭 싱크(SS)에 의해 포워딩되는 상기 제 1 소스(Q1)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과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2)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해, 포워딩 동안 스위칭 싱크(SS)에 할당되는 제 1 멀티-포인트 수신지 어드레스(IPMZS)가 상기 패킷들에 제공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로 스위칭을 위한 장치(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제 2 소스(Q2)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이 상기 스위칭 싱크(SS)에서 수신되도록, 상기 스위칭 싱크(SS)를 제 1 소스(Q1)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제 2 소스(Q2)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으로 스위칭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로 스위칭을 위한 장치(1).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버퍼(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소스(Q1)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제 2 소스(Q2)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으로의 상기 스위칭 싱크(SS)의 스위칭 동안, 상기 제 1 소스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의 데이터 및/또는 상기 제 2 소스(Q2)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의 데이터를 상기 버퍼(6)에 버퍼링하도록 적응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로 스위칭을 위한 장치(1).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상기 제 1 소스(Q1)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제 2 소스(Q2)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으로의 상기 스위칭 싱크(SS)의 스위칭 동안, 상기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에 대해 미리 결정된 제 1 스위칭 포인트에서 또는 상기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제 1 스위칭 범위 내에서 상기 스위칭 싱크(SS)에 의한 상기 제 1 소스(Q1)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의 포워딩을 종료시키고, 상기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에 대해 미리 결정된 제 2 스위칭 포인트에서 또는 상기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에 대해 미리 결정된 제 2 스위칭 범위 내에서 상기 스위칭 싱크(SS)에 의한 상기 제 2 소스(Q2)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의 포워딩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로 스위칭을 위한 장치(1).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또는 상기 제 2 스위칭 포인트 또는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스위칭 범위는 각각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의 미디어 포맷에 의존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로 스위칭을 위한 장치(1).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상기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의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의 미디어 포맷을 식별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로 스위칭을 위한 장치(1).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주어진 미디어 포맷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스위칭 포인트 또는 스위칭 범위를 명시하는 스위칭 규칙들의 입력에 의해 확장가능하도록 추가로 적응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로 스위칭을 위한 장치(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소스 포트(QA1, QA3)는, 패킷-교환 포맷으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송신하는 소스(Q1, Q3)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포트(QA1, QA3)에 접속가능하도록 적응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로 스위칭을 위한 장치(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싱크 접속(SA2, SA3)은, 패킷-교환 포맷으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는 싱크(SA2, SA3)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접속(SA2, SA3)에 접속가능하도록 적응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로 스위칭을 위한 장치(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소스 포트(QA2)는, 상기 소스 포트(QA2)에 접속된 소스(Q2)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직렬 포맷으로부터 패킷-교환 포맷으로 변환하도록 적응되는 소스 포트 변환기(4)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로 스위칭을 위한 장치(1).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싱크 포트(SA1)는, 상기 싱크 포트(SA1)에 접속된 싱크(S1)에 대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패킷-교환 포맷으로부터 직렬 포맷으로 변환하도록 적응되는 싱크 포트 변환기(5)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로 스위칭을 위한 장치(1).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 포트들(QA1, QA2, QA3) 중 하나로부터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패킷-교환 포맷으로 포워딩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패킷들은,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A1, QA2, QA3) 중 하나에 의해 포워딩되는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과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3)의 접속을 허용하는 제 2 멀티-포인트 수신지 어드레스(IPMZ1, IPMZ2, IPMZ3)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로 스위칭을 위한 장치(1).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교환 포맷은,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른 포맷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멀티-포인트 수신지 어드레스(IPMZ1, IPMZ2, IPMZ3)는 IP 멀티캐스트 수신지 어드레스인,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로 스위칭을 위한 장치(1).
  14.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로 스위칭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을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 포트들(QA1, QA2, QA3)에 접속시키는 단계(101),
    -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 포트들(SA1, SA2, SA3)에 접속시키는 단계(102),
    - 스위칭 싱크(SS)를 제공하고, 상기 스위칭 싱크(SS)를 제 1 소스(Q1)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으로 스위칭하는 단계(103),
    - 상기 제 1 소스(Q1)로부터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상기 스위칭 싱크(SS)에서 패킷-교환 포맷으로 수신하는 단계(104),
    - 수신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을 상기 스위칭 싱크(SS)에 의해 패킷-교환 포맷으로 포워딩하는 단계(105) ―상기 패킷들에는, 포워딩 동안 상기 스위칭 싱크(SS)에 할당된 제 1 멀티-포인트 수신지 어드레스(IPMZ3)가 제공됨―,
    -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2)을 상기 스위칭 싱크(SS)에 의해 포워딩된 상기 제 1 소스(Q1)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과 접속시키는 단계(106)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로 스위칭하기 위한 방법.
  15.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로 스위칭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 1 항에 따른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 상에서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제 1 항에 따른 장치가 제 14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스들(Q1, Q2, Q3)의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하나 또는 다수의 싱크들(S1, S2, S3)로 스위칭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47001780A 2011-06-22 2012-06-12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76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78021A DE102011078021A1 (de) 2011-06-22 2011-06-22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chalten von Echtzeitmedienströmen
DE102011078021.1 2011-06-22
PCT/EP2012/061054 WO2012175363A1 (en) 2011-06-22 2012-06-12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real-time media strea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941A true KR20140048941A (ko) 2014-04-24
KR101976786B1 KR101976786B1 (ko) 2019-05-09

Family

ID=4626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780A KR101976786B1 (ko) 2011-06-22 2012-06-12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143716B2 (ko)
EP (1) EP2724491B1 (ko)
JP (1) JP6066221B2 (ko)
KR (1) KR101976786B1 (ko)
CN (1) CN103907358B (ko)
AU (1) AU2012272031B2 (ko)
BR (1) BR112013032838B8 (ko)
CA (1) CA2839618C (ko)
DE (1) DE102011078021A1 (ko)
RU (1) RU2634206C2 (ko)
TW (1) TWI511542B (ko)
WO (1) WO20121753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6316A (en) 2013-07-19 2015-01-21 Sony Corp Video network
WO2015093345A1 (ja) * 2013-12-17 2015-06-25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パケット監視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038651B2 (en) * 2015-09-05 2018-07-31 Nevion Europe As Asynchronous switching system and method
CN114143606A (zh) * 2018-08-22 2022-03-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视频流切换的方法、装置和系统
JP7170621B2 (ja) * 2018-12-10 2022-11-14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装置、及び方法
CN111327923B (zh) 2018-12-13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音频流切换方法及装置
CN111064908B (zh) * 2019-12-23 2022-05-03 深圳市创凯智能股份有限公司 信号传输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5314643B (zh) * 2022-07-28 2023-12-15 中央广播电视总台 一种实现净切换的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US20240098128A1 (en) * 2022-09-19 2024-03-21 Disney Enterprises, Inc. Seamless Video Switching by Commercial Off-The-Shelf (COTS) Devi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3502A (ko) * 2005-11-21 2007-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멀티캐스트 패킷 스트림을 위한 이더넷 기반 스위칭방법 및 장치, 이를 구비한 이더넷 기반 스위칭 시스템
US20090097496A1 (en) * 2006-05-02 2009-04-16 Kazunori Nakamura Video Signal Switching System
WO2011018368A1 (en) * 2009-08-12 2011-02-17 Koninklijke Kpn N.V. Dynamic rtcp rela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8508B2 (en) * 2001-12-21 2007-01-02 Lucent Technologies Inc. Setting up calls over circuit and packet-switched resources on a network
WO2004064277A2 (en) * 2003-01-16 2004-07-29 Sony United Kingdom Limited Video network
GB2400254A (en) * 2003-03-31 2004-10-06 Sony Uk Ltd Video processing
EP2375749B1 (en) * 2005-10-11 2016-11-23 Nokia Technologies Oy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scalable stream adaptation
US8347341B2 (en) * 2006-03-16 2013-01-01 Time Warner Cab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entralized content and data delivery
US20080066095A1 (en) * 2006-08-28 2008-03-13 Ses Americom, Inc. IPTV blackout management
JP2009100411A (ja) * 2007-10-19 2009-05-07 Hitachi Ltd 映像配信システム、映像中継装置、及び映像中継方法
US20090106807A1 (en) 2007-10-19 2009-04-23 Hitachi, Ltd. Video Distribution System for Switching Video Streams
JP5062031B2 (ja) * 2008-05-19 2012-10-31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信号処理プログラム
US8547995B2 (en) * 2009-11-25 2013-10-01 Barox Kommunikation Ag High definition video/audio data over IP networ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3502A (ko) * 2005-11-21 2007-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멀티캐스트 패킷 스트림을 위한 이더넷 기반 스위칭방법 및 장치, 이를 구비한 이더넷 기반 스위칭 시스템
US20090097496A1 (en) * 2006-05-02 2009-04-16 Kazunori Nakamura Video Signal Switching System
WO2011018368A1 (en) * 2009-08-12 2011-02-17 Koninklijke Kpn N.V. Dynamic rtcp re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32838B1 (pt) 2022-08-16
BR112013032838A2 (pt) 2017-02-21
JP6066221B2 (ja) 2017-01-25
TW201313009A (zh) 2013-03-16
RU2634206C2 (ru) 2017-10-24
US20140184909A1 (en) 2014-07-03
TWI511542B (zh) 2015-12-01
WO2012175363A1 (en) 2012-12-27
CA2839618C (en) 2020-07-21
AU2012272031B2 (en) 2016-12-08
EP2724491A1 (en) 2014-04-30
BR112013032838B8 (pt) 2023-01-10
CN103907358B (zh) 2017-06-27
CN103907358A (zh) 2014-07-02
RU2014101701A (ru) 2015-07-27
KR101976786B1 (ko) 2019-05-09
EP2724491B1 (en) 2017-11-22
AU2012272031A1 (en) 2014-01-30
CA2839618A1 (en) 2012-12-27
US9143716B2 (en) 2015-09-22
JP2014517648A (ja) 2014-07-17
DE102011078021A1 (de)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786B1 (ko)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을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635626B2 (ja) メディア・ストリームの同期の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KR101291990B1 (ko) 변경된 스트림 동기화
EP2728830B1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audio and video streams in media relay conferencing
US8335172B2 (en) Switchable conference multicast streaming with dynamic asymmetry
US20100088426A1 (e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10304739A1 (en) Camera system, video selection apparatus and video selection method
US9641771B2 (en) Camera system, video selection apparatus and video selection method
JP2015510349A (ja) オーディオ信号、ビデオ信号、および制御信号を変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TWI536815B (zh) 經由一網路發射及接收一資訊信號之方法、應用該方法之發射器及接收器及應用於該網路內之分離器單元
CA2976838A1 (en) Standardized hot-pluggable transceiving unit with bandwidth optimization functionalities
JP6166692B2 (ja) Ipベースの映像伝送装置および放送システム
JP2010272943A (ja) ネットワークデコーダ装置
JP5928561B2 (ja) カメラシステム、映像選択装置及び映像選択方法
Montalvo et al. Implementation of a TV studio based on Ethernet and the IP protocol stack
JP2008294663A (ja) 受信装置、受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ストリーム送受信システム
Friedl et al. Low-latency transmissions for remote collaboration in post-production
Laabs SDI over 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