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617A - Membrane module comprising air diffuser for reducing membrane fouling - Google Patents
Membrane module comprising air diffuser for reducing membrane foul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48617A KR20140048617A KR1020120114786A KR20120114786A KR20140048617A KR 20140048617 A KR20140048617 A KR 20140048617A KR 1020120114786 A KR1020120114786 A KR 1020120114786A KR 20120114786 A KR20120114786 A KR 20120114786A KR 20140048617 A KR20140048617 A KR 201400486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brane module
- diffuser
- header structure
- air
- upper head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9285 membrane fouling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374 membrane filt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5465 channe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abstract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9000012510 hollow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1700004678 SLIT3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7339 Slit homolog 3 prote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97 polymer membr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1—Specific headers, end c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처리용 분리막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의 상승 흐름을 수평 흐름으로 전환시키는 상부 헤더 구조체가 장착된 산기관을 포함하여 분리막 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는 수처리용 분리막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including an acid pipe equipped with an upper header structure for converting an upward flow of air into a horizontal flow. .
고분자 분리막은 최근 들어 그 기술의 진보와 함께 다양한 분야로의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환경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수처리 분야에서 그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Recently, the polymer membrane has been expanded to various fields with the advancement of the technology, and in particular, the demand for water treatment is increasing due to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종래의 분리막 모듈은 침지형 분리막으로 사용함에 있어, 분리막 표면에 활성슬러지 및 기타 반응 부산물의 부착 등으로 인하여 투과성능 및 분리막의 수명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막 모듈 하단에서 공기를 폭기시키거나, 난류를 형성시키거나, 초음파 또는 진동을 주어 분리막 모듈을 흔들어 줌으로써 분리막 표면이나 분리막간에 축적되는 활성슬러지 및 기타 반응 부산물을 제거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비하여 세정 주기가 짧은 단점이 있다.Conventional membrane module has a problem in that the permeation performance and the life of the membrane is reduced due to the adhesion of activated sludge and other reaction by-products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 in the immersion type membrane.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activated sludge and other reaction by-products accumulated in the membrane surface or between membranes are removed by aeration of air at the bottom of the membrane module, the formation of turbulence, or the shaking of the membrane module by ultrasonic waves or vibration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effect is insignificant and the cleaning cycle is shor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침지형 중공사 분리막 모듈(1)의 개략단면도로서, 중공사 분리막(2)을 이용한 수처리시 분리막 하부(3)에서 발생한 산기 또는 폭기(aeration)에 의해 공기세정을 실시한다. 즉, 분리막 하부에 홀 또는 관 형태로 위치한 산기관(4)에서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과 부력에 의해 수직 상향 방향으로 공기 흐름이 형성되고 서서히 수평 방향으로 확산되어 모듈 내 분리막(2) 표면을 세정한다.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ubmerge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ir cleaning is performed by air or aeration generated in the
분리막(2)과 산기관(4)의 위치가 근접한 경우 수평 방향 확산이 적어 산기관 주위로 공기가 접촉되지 않는 데드 존(dead zone)이 형성된다. 특히 수직형으로 배치된 분리막 모듈의 경우 중력에 의해 모듈 하부에 오염물 슬러지가 쌓이는 경향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러한 데드 존의 형성은 분리막 하부가 슬러지에 의해 폐색되는 원인이 된다. 데드 존을 최소화 하기 위해 분리막과 산기관의 거리를 일정 간격 이상으로 확보하여 공기세정을 하는 경우, 공기 주입 압력에 의한 공기 속도가 감소하여 세정 효과가 떨어지고 분리막 모듈 외부로 주입 공기가 확산되어 주입 공기량 대비 공기 세정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When the
한편, 산기관 내부에 공기 확산 장치를 장착하여 넓은 면적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한 분리막 모듈은 분리막 하부에 넓은 영역으로 산기가 가능하지만, 배관 내 공기 확산에 의해 공기 주입압력에 의한 공기 진행 속도가 크게 감소하고 공기 유속을 늘이기 위해 산기량이 매우 커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분리막 모듈에서는 수직 흐름만이 존재하여 슬러지를 밖으로 밀어내는 효과가 없고 장치가 복잡하며, 분리막 모듈 형태별로 맞춤 제작이 필요하여 범용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On the other hand, the membrane module, which is equipped with an air diffusion device inside the diffuser to inject air with a large area, can diffuse into a large area under the separator, but the air velocity due to the air injection pressure is caused by the diffusion of air into the pipe.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amount of acid must be very large in order to greatly reduce and increase the air flow rate. In addition, the membrane module has only a vertical flow, there is no effect to push the sludge out, and the device is complicated, it is difficult to use universally because it needs to be customized for each type of membrane module.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분리막 모듈 폐색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안정적 운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처리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는 침지형 분리막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mersion type membrane module that can increase the water treatment capacity by minimizing contamination due to blockage of the lower membrane module, enabling stable operation for a long tim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상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산기관을 포함하는 침지형 분리막 모듈에 있어서, 상기 산기관은 상부는 폐쇄되고 측면부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구비한 산기관 상부 헤더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산기관 상부 헤더 구조체의 상단 일부는 분리막 모듈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형 분리막 모듈에 관한 것이다.
In the submerged membrane module comprising an diffuser, the diffuser includes a diffuser upper header structure having a top closed and a side portion having one or more openings, wherein a top portion of the diffuser upper header structure is located within the separator module. It relates to an immersion type membran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에 의한 분리막 모듈은 주입 공기의 상승 흐름을 수평 흐름으로 전환하는 구조체를 산기관에 포함하여 모듈 폐색에 의한 막여과 채널링을 방지하고, 공기세정 효율을 극대화하여 세정주기를 늘일 수 있다. 또한, 막여과 부하가 감소되어 공기세정을 위한 주입 공기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운전에너지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ucture for converting the upward flow of the injected air into a horizontal flow in the diffuser to prevent membrane filtration channeling due to the blockage of the module, and maximize the air cleaning efficiency to increase the cleaning cycle. In addition, the membrane filtration load is reduced to minimize the amount of inlet air for air cleaning, thereby reducing the operating energy.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침지형 분리막 모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침지형 분리막 모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산기관 상부 헤더 구조체의 개략사시도이다.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 immersion type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immersion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diffuser upper head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침지형 분리막 모듈(10)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21) 내에 중공사 분리막(20)이 설치되고 분리막 모듈 하부(30) 중앙부에 산기관(40)이 위치된다. 도 2에서는 편의상 중공사 분리막(20)을 1가닥만 도시하였다.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상기 분리막 장치를 운전함에 있어 외부의 블로워(미도시)에 의해 공기 또는 산소가 모듈 중앙에 위치한 산기관(40)을 통해 폭기되며, 분리막 모듈(10)에 투과된 처리수는 처리수 이송관(미도시)을 따라 배출된다. In operation of the membrane device, air or oxygen is aerated by an external blower (not shown) through the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의하면, 상기 산기관(40)은 상부는 폐쇄되고 측면부는 개방된 산기관 상부 헤더 구조체(41)를 포함한다. 상기의 산기관 상부 헤더 구조체(41)의 상단 일부는 분리막 모듈(10) 내부로 침입되어 있다. 즉, 산기관 상부 헤더 구조체(41)는 분리막 모듈 하부(30) 및 분리막 모듈(10) 내부에 걸쳐서 위치되며, 산기관 상부 헤더 구조체(41)의 최상부는 소정의 높이만큼 분리막 모듈(10) 내부에 침입하도록 구성되어 중공사 분리막(20) 하부 전체에 세정 공기가 직접 접촉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산기관 상부 헤더 구조체(41)의 개략사시도이다. 상기의 산기관 상부 헤더 구조체(41)의 상부(41a)는 막혀 있고, 측면부(41b)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 측면으로 개방되어 모듈 내부로 주입된 공기의 흐름을 수직 방향에서 수평 방향으로 전환하여 모듈 하부 전체적으로 세정 공기가 접촉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모듈 하부의 슬러지를 모듈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세정 데드 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모듈의 일정 부분으로만 여과가 진행되는 막여과 채널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세정 효율을 증대시켜 세정 주기를 늘릴 수 있다.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diffuser
본 발명에서 산기관 상부 헤더 구조체(41)는 공기 또는 산소 발생 구멍이 형성된 산기관(4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때, 사용가능한 연결 부재는 나사 결합이나 클램프 방식의 연결 부재가 가능하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user
상기 산기관 상부 헤더 구조체(41)은 고분자 성형체, 세라믹 또는 금속재질일 수 있으며, 원통형 또는 다각기둥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측면부(41b)의 개구부는 원주면을 따라 균등하게 분포되고 개구부 면적은 원주면의 10% 내지 9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이다. 개구부 면적 비율이 10% 미만일 경우 주입된 공기가 모듈 하부 중공사막에 골고루 확산되지 못하여 세정효과가 저하되며, 95%를 초과할 경우 구조체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주입된 공기의 진행속도가 감소하고 공기량을 늘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 diffuser
상기의 산기관 상부 헤더 구조체(41)가 분리막 모듈(10) 내부로 침입하는 높이(h)는 1 내지 200mm일 수 있다. 상기 높이가 1 mm 미만일 경우 공기가 모듈 내부로 주입되기 어렵고, 200mm를 초과하면 분리막 하부에 데드 존 없이 효과적으로 세정 공기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The height h of penetration of the diffuser
한편, 상기 중공사 분리막(20)은 섬유간의 평균 거리를 0.01 mm 내지 50 mm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분리막이 가능한 조밀하게 배열되도록해야 하지만,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막간 간격을 0.01 mm 이하로 지나치게 좁히면 분리막 사이로 원수 및 공기의 유동이 어렵기 때문에 막간 폐색이 유발되기 쉽다. 또한, 50mm 이상으로 막간간격을 넓히면 모듈의 분리막 충진밀도가 떨어져 수처리 능력이 저하된다.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에서 분리막 모듈(10)은 성능이 저하될 경우 역세척 공기 라인(미도시)를 통해 역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분리막 모듈(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산기관 상부헤더 구조체 높이를 초과하는 외벽 또는 상향 슬릿(22)을 설치하여 수평 방향으로 확산된 세정 공기가 분리막 모듈(10)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벽 또는 상향 슬릿(22)의 간격은 1 내지 300 mm이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구조를 다양하게 변경하고 변형할 수 있다는 사실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 10: 분리막 모듈 2, 20: 중공사 분리막
21: 하우징 22: 상향 슬릿
3, 30: 모듈 하부 4, 40: 산기관
41: 산기관 상부 헤더 구조체 41a: 산기관 상부 헤더 구조체 상부
41b: 산기관 상부 헤더 구조체 측면부1, 10:
21: housing 22: upward slit
3, 30:
41: diffuser
41b: side portion of the diffuser upper header structure
Claims (8)
In the submerged membrane module comprising an diffuser, the diffuser includes a diffuser upper header structure having a top closed and a side portion having one or more openings, wherein a top portion of the diffuser upper header structure is located within the separator module. Immersion type membran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mmersion type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ffuser upper header structure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iffuser or made integrally.
The immersion type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ffuser upper header structure is made of a polymer molded body, ceramic, or metal material.
The submerged membrane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diffuser upper header structure has a cylindrical or polygonal column shape.
The immersion type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s are evenly distribu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surface of the diffuser upper header structure, and the opening area is 10% to 95%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immersion type membrane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height of the diffuser upper header structure is located within the membrane module.
The immersion type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mbrane module includes an outer wall or an upward slit that is installed below the membrane module and exceeds the height of the upper header structure of the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4786A KR20140048617A (en) | 2012-10-16 | 2012-10-16 | Membrane module comprising air diffuser for reducing membrane foul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4786A KR20140048617A (en) | 2012-10-16 | 2012-10-16 | Membrane module comprising air diffuser for reducing membrane foul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8617A true KR20140048617A (en) | 2014-04-24 |
Family
ID=50654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4786A KR20140048617A (en) | 2012-10-16 | 2012-10-16 | Membrane module comprising air diffuser for reducing membrane foul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48617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717703A (en) * | 2020-12-10 | 2021-04-30 | 哈尔滨乐普实业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separation membrane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
-
2012
- 2012-10-16 KR KR1020120114786A patent/KR20140048617A/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717703A (en) * | 2020-12-10 | 2021-04-30 | 哈尔滨乐普实业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separation membrane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8772B1 (en) | Waste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cartridge-type submerged end-fre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aeration apparatus having intermittent/continuous aeration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1402291B1 (en) | Membrane cleaning with pulsed airlift pump | |
JP4906269B2 (en) | Filtration device | |
CN103442789B (en) | Filter plant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for this filter plant | |
JP2008518748A (en) | Immersion cross flow filtration | |
JP5472312B2 (en) | Membrane module, membrane unit and membrane separator | |
KR20130082363A (en) | Membrane module using hallow fiber | |
WO2009006850A1 (en) | Hollow fiber membrane or capillary membrane filter and water filtration method using such a filter | |
JPWO2012008115A1 (en) | Immersion type membrane filtration unit and immersion type membrane filtration device | |
JP5175695B2 (en) | Membrane separator | |
KR101830068B1 (en) | Air diffuser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JP2007203254A (en) | Membrane module for membrane separation type water-purifying apparatus | |
TW201641151A (en) | Filtration device | |
KR20140048617A (en) | Membrane module comprising air diffuser for reducing membrane fouling | |
CN101874987A (en) | Pipe type membrane element and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 |
JPWO2017061141A1 (en) | Filtration unit | |
KR20020039383A (en) | Free-en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 |
JP6411051B2 (en) | Immersion membrane separato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20044594A (en) | Air diffuser forming separated diffuser frame and air chamber | |
JP5065506B2 (en) | Filtration device | |
JP3827410B2 (en) | Air diffuser for membrane separator | |
JP2011050907A (en) | Flat membrane element | |
JP2007268415A (en) |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and water producing method | |
JP5481603B2 (en) | Immersion typ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
JP6910850B2 (en) | An air diffuser,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cluding the air diffuser, and a water treatment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