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383A -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 Google Patents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383A
KR20140048383A KR1020120112892A KR20120112892A KR20140048383A KR 20140048383 A KR20140048383 A KR 20140048383A KR 1020120112892 A KR1020120112892 A KR 1020120112892A KR 20120112892 A KR20120112892 A KR 20120112892A KR 20140048383 A KR20140048383 A KR 20140048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tele
shaft
ro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석
박수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2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8383A/ko
Publication of KR20140048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1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power actuated adjustment, e.g. with position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60Y2200/112City movers, small sized city mot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Abstract

차량의 MDPS모터; 상기 MDPS모터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컬럼축 또는 틸트텔레축으로 전환하는 동력전환기구; 스티어링휠의 틸트 동작과 텔레스코픽 동작을 구현하는 틸트기구 및 텔레기구; 상기 틸트기구와 텔레기구에 각각 연결되어 틸트 또는 텔레를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틸트로드 및 텔레로드; 상기 틸트로드 및 텔레로드의 단부가 결합되며, 수평이동을 통해 틸트로드 또는 텔레로드가 상기 틸트텔레축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틸트텔레전환기구; 및 상기 MDPS모터, 동력전환기구 및 틸트텔레전환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합형 전동조향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United type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본 발명은 전동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1개의 전자석클러치를 이용하여 MDPS 모터의 동력을 틸트업/다운과 텔레스코픽을 위한 동력으로 전환할 수 있는 통합형 전동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조향장치인 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는 유압을 이용하지 않고 모터동력으로 조향파워를 어시스트(assist)하는 방식으로서, 주로 소형차량에 적용되어진다.
MDPS는 조타력의 어시스트(assist)를 위해 모터로 회전되는 웜축(Worm-Shaft)/웜휠(Worm Wheel)로 이루어진 감속기가 구비되고, 틸트(Tilt)와 텔레스코픽(Telescopic)을 각각 구현하기 위한 틸트 모터와 텔레스코픽 모터를 갖춘 전동컬럼장치가 적용되어진다.
MDPS 모터는 MDPS ECU로 제어되고, 틸트 모터와 텔레스코픽 모터는 별도의 틸트/텔레 ECU로 제어되어진다.
도 4는 상기와 같이 MDPS 모터와 틸트 모터 및 텔레스코픽 모터가 구비되고, 이들을 제어하는 MDPS ECU와 틸트/텔레 ECU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MDPS에는 조향축(100a)을 감싼 컬럼튜브(100)에는 조타력을 어시스트하기 위한 감속기와 함께 MDPS 모터(200)가 구비되고, 틸트기구를 틸트업 및 다운시키기 위한 틸트모터(400)와 더불어 텔레기구를 텔레스코픽 이송시키기 위한 텔레모터(500)가 구비되며, 상기 MDPS 모터(200)를 제어하기 위한 MDPS ECU(300)와 함께 틸트모터(400) 및 텔레모터(500)를 제어하기 위한 틸트/텔레 ECU도 각각 구비되어진다.
이와 더불어 MDPS용 모터/각도센서와 틸트용 모터/각도센서 및 텔레용 모터/각도센서도 구비되어진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된 MDPS에는 조타력 어시스트를 위한 MDPS 모터와 MDPS ECU가 구비되고, 이와 별도로 틸트 모터 및 텔레스코픽 모터와 틸트·텔레 ECU가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되면서 동력전환을 위한 전자석클러치도 최소한 2개를 적용함으로써, MDPS의 패키지 자유도가 낮고 중량상승은 물론 비용상승을 가져올 수밖에 없게 된다.
국내특허공개 10-2009-0100496(2009.09.24)은 전동파워스티어링 자동차의 스티어링컬럼 틸트 및텔레스코픽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는 도 1내지 도 7 참조.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조타력 어시스트를 위한 MDPS 모터의 동력을 틸트(Tilt)와 텔레스코픽(Telescopic)을 위한 동력으로 절환시켜줌으로써 틸트모터와 텔레모터 없이 MDPS 모터만을 이용할 수 있고, MDPS ECU에 MDPS 모터의 동력절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틸트·텔레 ECU 없이 MDPS ECU만을 이용할 수 있으며, MDPS모터의 동력을 틸트업/다운과 텔레를 위한 동력전환을 1개의 전자석클러치만을 이용하여 중량저감과 팩키지화를 더욱 높여주고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통합형 전동조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전동조향장치는, 차량의 MDPS모터; 상기 MDPS모터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컬럼축 또는 틸트텔레축으로 전환하는 동력전환기구; 스티어링휠의 틸트 동작과 텔레스코픽 동작을 구현하는 틸트기구 및 텔레기구; 상기 틸트기구와 텔레기구에 각각 연결되어 틸트 또는 텔레를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틸트로드 및 텔레로드; 상기 틸트로드 및 텔레로드의 단부가 결합되며, 수평이동을 통해 틸트로드 또는 텔레로드가 상기 틸트텔레축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틸트텔레전환기구; 및 상기 MDPS모터, 동력전환기구 및 틸트텔레전환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MDPS기능의 구현시에는 동력전달기구를 제어하여 MDPS모터의 동력이 컬럼축으로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틸트텔레기능의 구현시에는 동력전달기구를 제어하여 MDPS모터의 동력이 틸트텔레축으로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환기구는 전자석 클러치가 구비되어 MDPS모터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컬럼축 또는 틸트텔레축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틸트텔레축, 틸트로드의 단부 및 텔레로드의 단부에는 각각 치합되는 기어가 형성되어 틸트텔레전환기구의 작동에 따라 틸트텔레축이 틸트로드의 단부 또는 텔레로드의 단부에 치합되어 동력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틸트텔레전환기구는 일단에 틸트로드의 단부 및 텔레로드의 단부가 자유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고 타단에 구동모터가 연결된 이동로드가 구비되어, 구동모터의 시계 또는 반시계회전에 따라 이동로드가 수평이동하고 그에 따라 틸트텔레축이 틸트로드의 단부 또는 텔레로드의 단부에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틸트텔레축이 틸트로드의 단부와 연결된 경우 텔레로드는 회전되지 않고 틸트로드가 회전되어 틸트기구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틸트텔레축이 텔레로드의 단부와 연결된 경우 틸트기구는 회전되지 않고 텔레로드가 회전되어 텔레기구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통합형 전동조향장치는, 차량의 컬럼샤프트와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MDPS모터; 상기 MDPS모터의 하단에 마련되며 MDPS모터의 동력을 컬럼축 또는 틸트텔레축으로 전환하는 동력전환기구; 상기 컬럼샤프트측에 마련되어 스티어링휠의 틸트 동작과 텔레스코픽 동작을 구현하는 틸트기구 및 텔레기구; 상기 틸트기구와 텔레기구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는 틸트로드 및 텔레로드; 상기 동력전환기구의 틸트텔레축 측에 마련되며, 틸트로드 및 텔레로드의 단부가 결합되고, 수평이동을 통해 틸트로드 또는 텔레로드가 상기 틸트텔레축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틸트텔레전환기구; 및 상기 MDPS모터, 동력전환기구 및 틸트텔레전환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통합형 전동조향장치에 따르면, 조타력 어시스트를 위한 MDPS 모터로 틸트(Tilt)와 텔레스코픽(Telescopic)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고 MDPS ECU로 틸트·텔레 ECU기능을 구현하므로 1개의 모터와 1개의 ECU만으로 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1개의 모터와 1개의 ECU만으로 MDPS를 구성함으로써 MDPS의 패키지 자유도를 높이고 중량과 비용을 낮추는 효과도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MDPS 모터의 동력을 틸트(Tilt)와 텔레스코픽(Telescopic)을 위한 동력으로 절환시키는 전자석 클러치를 이용해 MDPS 모터잠김시 매뉴얼모드로 전환됨으로써 페일-세이프(Fail-Safety)기능도 구현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1개의 전자석클러치만을 이용하여 중량저감과 팩키지화를 더욱 높여줄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그리고, 틸트나 텔레를 위한 구동부에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이 불필요하고 와이링의 이동에 따른 내구성 저하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전동조향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합형 전동조향장치의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통합형 전동조향장치의 틸트텔레전환기구의 구성도.
도 4는 종래에 따른 전동조향장치의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합형 전동조향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전동조향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합형 전동조향장치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통합형 전동조향장치는, 차량의 MDPS모터(M); 상기 MDPS모터(M)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컬럼축(420) 또는 틸트텔레축(440)으로 전환하는 동력전환기구(100); 스티어링휠의 틸트 동작과 텔레스코픽 동작을 구현하는 틸트기구(200) 및 텔레기구(300); 상기 틸트기구(200)와 텔레기구(300)에 각각 연결되어 틸트 또는 텔레를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틸트로드(220) 및 텔레로드(320); 상기 틸트로드(220) 및 텔레로드(320)의 단부(221,321)가 결합되며, 수평이동을 통해 틸트로드(220) 또는 텔레로드(320)가 상기 틸트텔레축(44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틸트텔레전환기구(400); 및 상기 MDPS모터(M), 동력전환기구(100) 및 틸트텔레전환기구(4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통합형 전동조향장치는, 차량의 컬럼샤프트(S)와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MDPS모터(M); 상기 MDPS모터(M)의 하단에 마련되며 MDPS모터(M)의 동력을 컬럼축(420) 또는 틸트텔레축(440)으로 전환하는 동력전환기구(100); 상기 컬럼샤프트(S)측에 마련되어 스티어링휠의 틸트 동작과 텔레스코픽 동작을 구현하는 틸트기구(200) 및 텔레기구(300); 상기 틸트기구(200)와 텔레기구(300)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는 틸트로드(220) 및 텔레로드(320); 상기 동력전환기구(100)의 틸트텔레축(440) 측에 마련되며, 틸트로드 및 텔레로드의 단부(221,321)가 결합되고, 수평이동을 통해 틸트로드(220) 또는 텔레로드(320)가 상기 틸트텔레축(44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틸트텔레전환기구(400); 및 상기 MDPS모터(M), 동력전환기구(100) 및 틸트텔레전환기구(400)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하나의 MDPS모터(M)와 하나의 제어부를 통해 MDPS기능과 틸트텔레기능을 모두 동시 구현 가능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차량의 컬럼샤프트(S)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MDPS모터(M)를 마련한다. MDPS모터는 동력전환기구에 의해 MDPS기능 또는 틸트텔레기능을 위한 동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동력전환기구(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MDPS모터(M)의 하단에 마련되며, MDPS모터(M)의 동력을 컬럼축(420) 또는 틸트텔레축(440)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상기 동력전환기구(100)에는 전자석 클러치가 구비되어 MDPS모터(M)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컬럼축(420) 또는 틸트텔레축(440)으로 전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MDPS모터의 회전축에 전환기어를 마련하고, 그 전환기어가 평상시에는 스프링의 압력으로 컬럼축(420)에 물려있도록 하여 평상시 MDPS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전자석 클러치의 작동을 통해 전환기어가 이동하여 틸트텔레축(440)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틸트텔레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스프링과 전자석 클러치의 기능을 반대로 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컬럼샤프트(S)측에는 틸트기구(200) 및 텔레기구(300)가 마련되어 스티어링휠의 틸트 동작과 텔레스코픽 동작을 구현하도록 한다. 틸트기구(200)는 틸트스크류(240)의 직선운동에 따라 링크(260)가 회전되어 차체에 고정된 틸트브라켓(280)을 중심으로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자체가 회전되어 틸트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링크(260)의 일단(264)은 틸트스크류(240)에 연결되고 타단(262)은 틸트브라켓(280)에 연결한다.
또한, 텔레기구(300)의 경우에는 텔레스크류(340)의 직선운동에 따라 텔레브라켓(380)이 직선운동하고 그에 따라 컬럼샤프트(S)가 직선운동하여 텔레스코픽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틸트기구(200)와 텔레기구(300)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틸트스크류(240)와 텔레스크류(340)가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틸트로드(220) 및 텔레로드(320)가 마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로드(220)와 텔레로드(320)는 이격되어 있는 틸트텔레축(440)과 틸트스크류(240) 또는 텔레스크류(34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틸트로드(220) 또는 텔레로드(320)의 회전에 따라 틸트스크류(240) 또는 텔레스크류(340)는 직선운동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틸트 또는 텔레 기능이 구현되는 것이다. 도시된 도 2의 점선은 텔레기능의 동력전달방향을 나타낸 것이고, 실선은 틸트기능의 동력전달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통합형 전동조향장치의 틸트텔레전환기구의 구성도로서, 틸트텔레전환기구(400)는 동력전환기구(100)의 틸트텔레축(440) 측에 마련되며, 틸트로드 및 텔레로드의 단부(221,321)가 결합되고, 수평이동을 통해 틸트로드(220) 또는 텔레로드(320)가 상기 틸트텔레축(44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틸트텔레축(440), 틸트로드의 단부(221) 및 텔레로드의 단부(321)에는 각각 치합되는 기어가 형성되어 틸트텔레전환기구(400)의 작동에 따라 틸트텔레축(440)이 틸트로드의 단부(221) 또는 텔레로드의 단부(321)에 치합되어 동력이 전달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틸트텔레전환기구(400)는 일단에 틸트로드의 단부(221) 및 텔레로드의 단부(321)가 자유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고 타단에 구동모터(470)가 연결된 이동로드(460)가 구비되어, 구동모터(470)의 시계 또는 반시계회전에 따라 이동로드(460)가 수평이동하고 그에 따라 틸트텔레축(440)이 틸트로드의 단부(221) 또는 텔레로드의 단부(321)에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MDPS모터의 동력은 상기 동력전환기구에 의해 컬럼축(420) 또는 틸트텔레축(440)으로 전환된다. 틸트기능 또는 텔레기능의 선택에 따라 MDPS모터(M)의 동력은 틸트텔레축(440)에 부여되는데, 이때 틸트기능 또는 텔레기능의 선택에 따라 동시에 구동모터(470)가 제어되어 구동모터가 시계 또는 반시계회전을 수행한다.
시계방향의 회전시에는 구동모터의 축(47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구동모터의 축(472)에 물린 너트스크류(474)가 회전하도록 한다. 너트스크류(474)의 회전에 따라 이동로드(460)가 전진되고 그에 따라 틸트텔레축(440)에는 텔레로드의 단부(221)가 물리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텔레로드(220)는 틸트텔레축(440)을 통해 MDPS모터(M)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데, MDPS모터(M)의 회전방향에 따라 텔레스코픽의 방향도 결정되는 것이다.
반대로 틸트기능의 경우에는 구동모터(4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구동모터의 축(472)에 물린 너트스크류(474)가 회전하도록 한다. 너트스크류(474)의 회전에 따라 이동로드(460)가 후진되고 그에 따라 틸트텔레축(440)에는 틸트로드의 단부(321)가 물리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틸트로드(320)는 틸트텔레축(440)을 통해 MDPS모터(M)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데, MDPS모터(M)의 회전방향에 따라 틸트의 방향도 결정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기능을 위해 구동모터의 축(472)과 너트스크류(474)는 웜과 웜휠방식의 기어로 조합될 수 있으며, 너트스크류(474)의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동로드(460)가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기능의 구현을 위해 제어부는 상기 MDPS모터(M), 동력전환기구(100) 및 틸트텔레전환기구(400)를 제어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MDPS기능의 구현시에는 동력전달기구(100)를 제어하여 MDPS모터(M)의 동력이 컬럼축(420)으로만 전달되도록 하고, 틸트텔레기능의 구현시에는 동력전달기구(100)를 제어하여 MDPS모터(M)의 동력이 틸트텔레축(440)으로만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틸트텔레축(440)이 틸트로드의 단부(221)와 연결된 경우 텔레로드(320)는 회전되지 않고 틸트로드(220)가 회전되어 틸트기구(200)가 작동되도록 하며, 틸트텔레축(440)이 텔레로드의 단부(321)와 연결된 경우 틸트로드(220)는 회전되지 않고 텔레로드(320)가 회전되어 텔레기구(300)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제어부는 MDPS기능의 수행시에는 동력전달기구(100)를 제어하여 MDPS모터(M)의 동력이 컬럼축(420)으로만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틸트기능의 수행시에는 동력전달기구(100)를 제어하여 MDPS모터(M)의 동력이 틸트텔레축(440)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동시에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틸트텔레축에 틸트로드가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MDPS모터의 방향을 제어하여 요청된 방향으로 틸트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텔레기능의 수행시에는 동력전달기구(100)를 제어하여 MDPS모터(M)의 동력이 틸트텔레축(440)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동시에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틸트텔레축에 텔레로드가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MDPS모터의 방향을 제어하여 요청된 방향으로 텔레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통합형 전동조향장치에 따르면, 조타력 어시스트를 위한 MDPS 모터로 틸트(Tilt)와 텔레스코픽(Telescopic)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고 MDPS ECU로 틸트·텔레 ECU기능을 구현하므로 1개의 모터와 1개의 ECU만으로 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1개의 모터와 1개의 ECU만으로 MDPS를 구성함으로써 MDPS의 패키지 자유도를 높이고 중량과 비용을 낮추는 효과도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MDPS 모터의 동력을 틸트(Tilt)와 텔레스코픽(Telescopic)을 위한 동력으로 절환시키는 전자석 클러치를 이용해 MDPS 모터잠김시 매뉴얼모드로 전환됨으로써 페일-세이프(Fail-Safety)기능도 구현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1개의 전자석클러치만을 이용하여 중량저감과 팩키지화를 더욱 높여줄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그리고, 틸트나 텔레를 위한 구동부에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이 불필요하고 와이링의 이동에 따른 내구성 저하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M : MDPS모터 100 : 동력전환기구
200 : 틸트기구 220 : 틸트로드
240 : 틸트스크류 300 : 텔레기구
320 : 텔레로드 340 : 텔레스크류
400 : 틸트텔레전환기구 420 : 컬럼축
440 : 틸트텔레축

Claims (9)

  1. 차량의 MDPS모터(M);
    상기 MDPS모터(M)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컬럼축(420) 또는 틸트텔레축(440)으로 전환하는 동력전환기구(100);
    스티어링휠의 틸트 동작과 텔레스코픽 동작을 구현하는 틸트기구(200) 및 텔레기구(300);
    상기 틸트기구(200)와 텔레기구(300)에 각각 연결되어 틸트 또는 텔레를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틸트로드(220) 및 텔레로드(320);
    상기 틸트로드(220) 및 텔레로드(320)의 단부(221,321)가 결합되며, 수평이동을 통해 틸트로드(220) 또는 텔레로드(320)가 상기 틸트텔레축(44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틸트텔레전환기구(400); 및
    상기 MDPS모터(M), 동력전환기구(100) 및 틸트텔레전환기구(4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MDPS기능의 구현시에는 동력전달기구(100)를 제어하여 MDPS모터(M)의 동력이 컬럼축(420)으로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틸트텔레기능의 구현시에는 동력전달기구(100)를 제어하여 MDPS모터(M)의 동력이 틸트텔레축(440)으로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환기구(100)는 전자석 클러치가 구비되어 MDPS모터(M)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컬럼축(420) 또는 틸트텔레축(440)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트텔레축(440), 틸트로드의 단부(221) 및 텔레로드의 단부(321)에는 각각 치합되는 기어가 형성되어 틸트텔레전환기구(400)의 작동에 따라 틸트텔레축(440)이 틸트로드의 단부(221) 또는 텔레로드의 단부(321)에 치합되어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트텔레전환기구(400)는 일단에 틸트로드의 단부(221) 및 텔레로드의 단부(321)가 자유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고 타단에 구동모터(470)가 연결된 이동로드(460)가 구비되어, 구동모터(470)의 시계 또는 반시계회전에 따라 이동로드(460)가 수평이동하고 그에 따라 틸트텔레축(440)이 틸트로드의 단부(221) 또는 텔레로드의 단부(321)에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틸트텔레축(440)이 틸트로드의 단부(221)와 연결된 경우 텔레로드(320)는 회전되지 않고 틸트로드(220)가 회전되어 틸트기구(200)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틸트텔레축(440)이 텔레로드의 단부(321)와 연결된 경우 틸트로드(220)는 회전되지 않고 텔레로드(320)가 회전되어 텔레기구(300)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9. 차량의 컬럼샤프트(S)와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MDPS모터(M);
    상기 MDPS모터(M)의 하단에 마련되며 MDPS모터(M)의 동력을 컬럼축(420) 또는 틸트텔레축(440)으로 전환하는 동력전환기구(100);
    상기 컬럼샤프트(S)측에 마련되어 스티어링휠의 틸트 동작과 텔레스코픽 동작을 구현하는 틸트기구(200) 및 텔레기구(300);
    상기 틸트기구(200)와 텔레기구(300)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는 틸트로드(220) 및 텔레로드(320);
    상기 동력전환기구(100)의 틸트텔레축(440) 측에 마련되며, 틸트로드 및 텔레로드의 단부(221,321)가 결합되고, 수평이동을 통해 틸트로드(220) 또는 텔레로드(320)가 상기 틸트텔레축(44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틸트텔레전환기구(400); 및
    상기 MDPS모터(M), 동력전환기구(100) 및 틸트텔레전환기구(4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KR1020120112892A 2012-10-11 2012-10-11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KR20140048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892A KR20140048383A (ko) 2012-10-11 2012-10-11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892A KR20140048383A (ko) 2012-10-11 2012-10-11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383A true KR20140048383A (ko) 2014-04-24

Family

ID=50654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892A KR20140048383A (ko) 2012-10-11 2012-10-11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83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987258U (zh) 车辆的转向装置
JP5759311B2 (ja) 単一モータタイプ電動コラム装置
JP5957302B2 (ja) 車両操向装置および車両操向制御システム
US8887860B2 (en) Steering apparatus of vehicle and system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849413B1 (ko) 자율이동 4륜차의 자유로운 주행이 가능한 주행 방향이동장치
KR101219934B1 (ko)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US20030178243A1 (en) Steering-shaft train
KR101042401B1 (ko) 차량의 독립형 sbw 조향 장치
JP6706025B2 (ja) ウィング開閉装置
US8909433B2 (en) System of controlling steering apparatus of vehicle and method for supplying current thereof
KR20140048383A (ko)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KR101316171B1 (ko)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CN105667586B (zh) 运载工具及其转向系统
KR20140065578A (ko)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KR20200121393A (ko) 캠핑카의 자율주행이 가능한 주행 방향이동장치
KR101755885B1 (ko) Atv 제어기구장치
KR101854108B1 (ko) 차량용 조향장치
JP2008201161A (ja) 車両用操舵装置
JP2008273347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60044035A (ko) 단일 모터 구동식 조향 칼럼의 2축 제어 장치
KR101244562B1 (ko) 틸트 및 텔레스코픽 기능을 가진 조향칼럼
KR20060072714A (ko) 랙 스트로크 가변장치
KR20140083805A (ko)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JP2008168828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200144609A (ko) 차량용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