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322A -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 Google Patents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322A
KR20140048322A KR1020147006317A KR20147006317A KR20140048322A KR 20140048322 A KR20140048322 A KR 20140048322A KR 1020147006317 A KR1020147006317 A KR 1020147006317A KR 20147006317 A KR20147006317 A KR 20147006317A KR 20140048322 A KR20140048322 A KR 20140048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efficient
coefficients
bitstream
mod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에이 코헨
산타누 레인
안소니 베트로
후이팡 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8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3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04N19/467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embedded information being invisible, e.g.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9Scanning of coding units, e.g. zig-zag scan of transform coefficients or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F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et of transform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04N19/19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be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omputation of encoding parameters, e.g. by averaging previously computed encod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04N19/463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by compressing encoding parameters befo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mpressed domain processing techniques other than decoding, e.g. modification of transform coefficients, variable length coding [VLC] data or run-length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sub-band based transform, e.g. wavelets
    • H04N19/6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sub-band based transform, e.g. wavelets characterised by ordering of coefficients or of bits for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방법이,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를 복호한다. 픽처는 부호화되어, 계수의 벡터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각 계수는 양자화된 형태를 취한다. 벡터의 주사 순서에 근거하여 각 벡터내의 특정의 계수가 선택된다. 그 후, 특정의 계수의 특성에 근거하여 모드 세트가 추측된다. 그 후, 모드 세트에 따라 비트 스트림이 복호된다.

Description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METHOD FOR DECODING PICTURE IN FORM OF BIT-STREAM}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는 픽처를 부호화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경된 계수의 특성에 근거하여 복호의 연산을 추측할 수 있도록,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변경하는 것을 이용하여 픽처를 복호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픽처, 비디오, 화상 또는 다른 유사한 데이터가 상이한 모드를 이용하여 비트 스트림으로 압축될 때, 후속의 데이터를 복호하는 중에 복호기가 모드를 적용하기 전에, 복호기가 어느 모드를 사용할지를 알 수 있도록, 통상, 비트 스트림의 헤더 필드내에 모드 정보가 기억된다.
통상의 비디오 또는 화상 압축 시스템에 있어서, 복호기는, 엔트로피 복호기에 의해 구문 분석된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수신한다. 이들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그 후, 역변환으로 전달된다. 역변환된 데이터는, 그 후, 원래의 신호를 재구성하도록 각종의 방법에서 이용된다. 양자화기, 변환부 및 후속의 복호 연산은,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복호하기 전에, 엔트로피 복호기로부터 또한 구문 분석된 헤더 데이터에 있어서 수신된 각종의 모드 지시자에 근거하여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부호화 시스템에 있어서 추가의 모드 신호가 요구될 때, 그러한 신호에 의해, 부호화된 신호를 나타내는데 이용되는 비트 스트림의 사이즈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그 부호화 시스템이, 이전에 합의된 표준 규격 또는 사양에 따르는 경우에는, 그러한 사양은, 추가적인 지시자에 대응하기 위해서 변경될 필요가 있다.
모드가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되었을 경우보다, 비트 스트림의 사이즈를 저감하도록 하여 모드 정보를 암시적으로 시그널링할 방법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
또한, 결과적으로 생성된 비트 스트림을 미리 정의된 비트 스트림 구문을 이용하여 복호할 수 있도록, 모드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방법도 필요하게 되어 있다. 이 방법을 실용화하는데, 부호화기 또는 복호기에 있어서 비트 스트림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복잡함이 증가하는 것을 제한할 필요도 있다. 일반적으로,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 부호화기 및 복호기는 「코덱」으로서 알려져 있다.
부호화기: 데이터의 블록 또는 벡터가 변환부에 입력된다. 변환부의 출력은, 변환 계수의 블록 또는 벡터이다. 이들 변환 계수는 그 후, 양자화기에 전달되고, 양자화기는, 특정의 순서에 있어서 계수를 양자화한다.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그 후, 엔트로피 부호화기에 입력되고, 엔트로피 부호화기는, 그들 변환 계수를 전송 또는 기억하기 위한 2치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이 프로세스 중에 각종의 모드를 이용하여, 변환 타입, 양자화기 타입 또는 다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복호기: 2치 비트 스트림이 복호되어, 결과로서, 각종의 모드 데이터, 및 변환 계수의 블록 또는 벡터가 생성된다. 그러한 계수는 역변환부에 전달되고, 역변환부의 출력은, 비디오, 화상 또는 다른 데이터를 재구성하도록 각종의 방법에서 이용된다. 복호된 모드 데이터는 복호 프로세스의 각종의 형태를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워터마킹(watermarking) 및 데이터 은폐
몇몇의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픽처 또는 비디오에, 가시성 또는 불가시성의 디지털 워터마크가 디지털 데이터로서 추가된다. 워터마크는 통상, 기록된 매체를 인증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워터마크는, 일반적으로는, 픽처 또는 비디오로부터 검출 또는 제거하는 것이 어렵도록 설계된다. 워터마크는, 본 발명에 의해 바람직한 바와 같이, 비디오 코덱의 부호화 효율을 높이는 것이 아니고, 비디오의 부호화 효율을 개선하는 목적으로 종래 기술의 워터마킹 기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부호화 모드 데이터를 내장하는 종래 기술이 존재한다. 통상, 그 종래 기술은, 2개 이상의 모드 중 어느 모드를 사용해야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데, 복호된 변환 계수의 절대치의 합의 패리티(기수 또는 우수)를 사용한다.
방법이,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를 복호한다. 그 픽처는 부호화되어, 계수의 벡터에 의해 표현된다. 각 계수는 양자화된 형태를 취한다.
벡터의 주사 순서에 근거하여, 각 벡터내의 특정의 계수가 선택된다. 그 후, 그 특정의 계수의 특성에 근거하여, 모드 세트가 추측된다. 그 후, 그 모드 세트에 따라, 비트 스트림이 복호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그 모드 세트는, 최후에 주사된 비0 계수로부터 추측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사용하는 코덱의 복호기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모드 추측 모듈의 블럭도이다.
도 3(a)는 일례의 주사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일례의 주사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일례의 주사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d)는 일례의 주사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비트 스트림(109)의 형태의 픽처를 복호한다. 그 픽처는 블록으로 분할되어, 부호화된다. 각 블록은, 계수의 벡터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블록내의 계수는 양자화된 형태를 취한다.
코덱의 복호기(100)에 있어서, 엔트로피 복호기(201)가 비트 스트림(109)을 구문 분석하여, N개의 (미리 양자화된) 변환 계수(101)의 벡터 또는 블록을 출력한다. 또한, 비트 스트림은, 인터/인트라 예측 데이터(105)도 포함한다. 벡터의 주사 순서에 근거하여, 각 벡터내의 특정의 계수가 선택된다. 주사 순서는 이후에 기술된다.
블록(210)은, 그 특정의 계수에 근거하여 (2개 이상의) 모드 세트를 추측하고, 추측된 모드(102)를 이용하여, 이후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조정된 계수(214)를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조정된 계수는, 가능하면, 0을 향해 조정된다. 조정된 계수는 역양자화되고(203), 그 후, 역변환(204)이 실시된다.
추측된 모드 세트에 따라, 복호기(100)의 각종의 모듈에 있어서, 추측된 모드(102)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측된 모드(102)는, 역양자화(203) 및/또는 역변환(204)에서 이용할 수 있다.
역변환부의 출력은, 인트라/인터 예측 모듈(207)의 출력에 가산되고(205), 버퍼(206)에 기억되고, 최종적으로는 블록(208)을 출력한다.
벡터 또는 블록(101)은[x0, x1,···xN -1]이다. 통상의 압축 시스템에서는, 부호화기는, 변환 계수의 대부분을 0으로 양자화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초점은, 이들 비0 계수 중의 특정의 계수를 선택하고, 그 특정의 계수의 특성에 근거하여 블록(210)에서 모드 또는 모드 세트를 추측하는 것이다.
그러한 계수는, 특정의 순서, 예를 들면, 래스터 주사, 지그재그, 수직, 사선 위쪽 등에서 횡단 또는 주사되고, 그 후, 구문 분석된다. 도 3(a)∼도 3(d)는 각종의 주사예를 나타낸다.
통상, 그 주사 순서는, 먼저 비0 계수에 액세스하도록 선택되고, 그 후, 그 벡터내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의 나머지를 0으로 할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기로부터 수신된 변환 계수를 구문 분석할 때, 예를 들면, 수신된 벡터는,[5 -3 -4 2 0 1 0 0 0 0 0 0]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소 x5는 최후의 비0 계수이다.
최후의 비0 계수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에 부가하여, 다른 비0 계수의 위치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비0 계수의 위치를 나타내는 맵을 도출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주어진 벡터 예의 경우, 비0 계수의 2치 맵은[1 1 1 1 0 1 0 0 0 0 0 0]으로 할 수 있다. 양음 부호 정보를 나타내는 대안적인 3치 맵, 예를 들면,[1 -1 -1 1 0 1 0 0 0 0 0 0]도 도출할 수 있다.
복호된 계수의 벡터가 구문 분석된 후에, 벡터내에 내장된 모드 정보를 추출하고, 추측할 수 있다. 2개의 모드 「A」 및 「B」에 대해 고려한다. 예를 들면, 복호기는, 2개의 상이한 종류의 양자화기, 2개의 상이한 종류의 변환부를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2개의 상태를 갖는 다른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모드 정보가 추출된 후에, 복호기는 그 후, 예를 들면, 모드 A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역양자화기(230) A를 이용할 수 있고, 모드 B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역양자화기 B를 이용할 수 있다. 내장된 모드 정보를 추출하는 몇몇의 실시 형태가 여기서 기술된다.
N개의 계수로 이루어지는 벡터[x0, x1,···xN -1]에 있어서, x0은 최초의 계수이며, xN -1은, 최후의 계수이다. 벡터내에 내장된 모드 M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2개의 가능한 모드는, 예를 들면, 모드 A 및 모드 B이다.
종래 기술과의 비교
종래 기술에서는, 모드는 일반적으로 각 블록내의 모든 계수의 합의 패리티에 근거한다. 이것은, 계산하는데 시간이 걸리고, 이동 전화 비디오 교환과 같은, 수많은 최신의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서 실용적이지 않은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복호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단일의 계수,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것에 계속되는 계수에 근거하여 모드를 결정한다. 이것은, 명백하게 종래 기술보다 유리하다.
추측 모듈
도 2는 모드 추측 모듈(210)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모드 선택 장치(212)에 의해 모드 세트, 예를 들면, A 또는 B를 추측할 수 있도록, 복호된 계수는, 비0 계수 로케이터 모듈(211)에 전달된다. 옵션으로는, 세트 내의 모드 중 하나가, 그 후, 계수 조정기 모듈(213)에 의해 사용되고, 조정된 계수(214)가 생성된다. 조정된 계수는, 역양자화기(203)에 전달되고, 역양자화기는 옵션으로, 선택된 모드에 따라 제어되는 경우가 있다. 모드 결정을 이용하여 역변환부(204) 및 인트라/인터 예측부(207)와 같은 복호기의 다른 부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추측 모듈의 실시 형태
(실시 형태 1)
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후의 비0 계수(215)의 위치가 특정될 때까지, 계수가 주사된다. 그 계수가 기수인 경우에는, 모드 A가 추측된다. 그 계수가 우수인 경우에는, 모드 B가 추측된다. 그러한 계수가 차례로 조사되어, 최후의 비0 계수 xk가 결정되며, 여기서, k는 0과 N-1의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If xk가 기수, then 모드 M←A
If xk가 우수, then 모드 M←B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의 우수 및 기수는, 서로 바꾸어 넣을 수 있다.
(실시 형태 2)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택된 주사 순서에 있어서, 최후의 계수가 비0이고, 또한 기수인 경우에는, 모드 A가 추측되고, 우수인 경우에는, 모드 B가 추측된다. 최후의 계수가 0인 경우에는, 최후의 비0 계수의 위치가 특정된다. 그 값은, 모드 타입을 나타내는 플래그로 간주된다. 그 플래그가 1인 경우에는, 그 모드는 A이다. 그 플래그가 -1인 경우에는, 그 모드는 B이다. 그 후, 그 계수를 0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플래그가 제거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플래그가 이용될 때, 부호화기는 그 위치에 플래그를 삽입하므로, 복호기는 부호화기에 의해 이용된 것과 동일한 계수 세트를 복구할 수 있다(즉, 가역적이다). 플래그가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정확한 모드 결정이 행해지는 것을 확실하게 하도록, 부호화기에서 최후의 계수가 조정되었으므로, 그 변화는 불가역적이다. 복호기의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다.
If 최후의 계수 xN -1이 비0, then:
If xk가 기수, then 모드 M←A
If xk가 우수, then 모드 M←B
else
If 최후의 계수 xN -1이 0, then 계수를 차례로 조사하여, 최후의 비0 계수 xk를 결정한다.
If xk=1, then 모드 M←A, and then xk←0
If xk=-1, then 모드 M←B, and then xk←0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2는 상기 기술한 1 또는 -1 플래그에 대한 위치로서 최후의 계수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변경할 수 있다.
If 최후의 계수 xN -1이 비0이며, 또한 1 또는 -1과 동일하지 않음, then:
If xk가 기수, then 모드 M←A
If xk가 우수, then 모드 M←B
else
If 최후의 계수 xN -1이 0 또는 1 또는 -1, then 계수를 차례로 조사하여, 최후의 비0 계수 xk를 결정한다.
If xk=1, then 모드 M←A, and then xk←0
If xk=-1, then 모드 M←B, and then xk←0
(실시 형태 4)
부호화기에 있어서 최후의 비0 계수로서 1 또는 -1이 빈번하게 발생할 때, 다른 실시 형태의 경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그러한 계수를 플래그로서 취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모드 A가, 우수 계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변경이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 그러한 계수가 차례로 조사되어, 최후의 비0 계수 xk가 결정된다.
If xk가 1,-1 또는 우수, then 모드 M←A
If xk가 기수, then 모드 M←B
부호화기의 실시 형태
부호화기에서는, 양자화기가 계수의 블록 또는 벡터를 출력한다. 상기의 실시 형태 중 하나를 이용하는 복호기가, 그러한 계수를 이용하여 정확한 모드 결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특히 아무것도 행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이들 계수의 값이, 복호기가 잘못한 결정을 행하도록 하는 값인 경우에는, 부호화기는, 엔트로피 부호화기에 계수를 전달하기 전에, 그러한 계수를 변경해야 한다.
모드 데이터를 내장하는 2개의 방법, 즉 가역적 방법 및 불가역적 방법이 있으며, 가역적 방법인 경우, 즉, 복호기에서 변경이 검출되고, 제거되고, 그 결과, 복호기에 있어서의 계수의 벡터가 부호화기의 계수의 벡터와 일치하고, 불가역적 방법인 경우, 모드 결정을 추출한 후에, 복호기는 정확한 벡터를 정확하게 복구할 수 없다. 부호화기 및 복호기의 실시 형태에 따라, 가역적 방법 및 불가역적 방법의 한쪽 또는 양쪽을 이용할 수 있다. 부호화기내의 계수의 벡터는[v0, v1,···vN-1]이다.
(부호화기의 실시 형태 1)
계수가 차례로 조사되어, 최후의 비0 계수 vk가 결정된다.
If 모드 M = A 또한 vk가 우수, then:
If vk>0 then vk←vk-1. 이것은 vk를 기수로 한다.
If vk<0 then vk←vk+1. 이것은 vk를 기수로 한다.
If 모드 M = B 또한 vk가 기수, then:
If vk=1 then vk←2. 이것은 vk를 우수로 하지만, 0으로는 하지 않는다.
If vk=-1 then vk←-2. 이것은 vk를 우수로 하지만, 0으로는 하지 않는다.
If vk가 1도 아니고 -1도 아님, then:
If vk>0 then vk←vk-1. 이것은 vk를 우수로 한다.
If vk<0 then vk←vk+1. 이것은 vk를 우수로 한다.
(부호화기의 실시 형태 2)
If 최후의 계수 vN -1이 비0, then vk←vN -1 and then 부호화기의 실시 형태 1에서 기술된 연산이 vk에 관해서 실행된다.
else
If 최후의 계수 vN -1이 0, then 계수가 차례로 조사되어, 최후의 비0 계수 vk가 특정되고, and
If 모드 M = A, vk +1←1
If 모드 M = B, vk +1←-1
(부호화기의 실시 형태 3)
If 최후의 계수 vN -1이 비0, then vk←vN -1 and:
If 모드 M = A, then
If vk=-1 then vk←1; else
If vk가 우수, then 이 조정이 vk=-1로 하지 않는 한, 0을 향해 1만큼 vk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vk가 기수로 된다. 그 경우, vk는 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조정된다. 즉, vk=3이다.
If 모드 M = B, then
If vk=1 then vk←-1; else
If vk가 기수, then 0을 향해 1만큼 vk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vk가 우수로 된다.
(부호화기의 실시 형태 4)
최후의 비0 계수 vk의 위치를 특정한다.
모드 M = B이며, 또한 vk가 기수인 경우, 0을 향해 1만큼 vk를 조정한다. 이 조정이 vk=0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대신에 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1만큼 vk를 조정한다.
모드 M = A이며, 또한 vk가 우수인 경우, 0을 향해 1만큼 vk를 조정한다.
(추가적인 실시 형태)
최후의 비0 계수를 이용하는 대신에, 최대의 크기(절대치)를 갖는 계수를 사용한다. 2개 이상의 계수가 최대의 크기를 갖는 경우에는, 가장 높은 벡터 인덱스를 갖는 계수(즉, 최대의 크기를 갖는 최후의 계수)를 사용한다.
기수/우수를 이용하여 결정을 행하는 대신에, 2개의 (인접하는) 계수 간의 차이를 사용한다. 차이가 양인 경우에는, 모드 A를 추측한다. 음인 경우에는, 모드 B를 추측한다.
소정의 계수의 양음 부호(양 또는 음)를 이용하여, 모드를 추정할 수도 있다. 부호화기는 계수의 양음 부호를 변경할 수 있고, 복호기는 그 양음 부호를 이용하여,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모드를 추측한 후에, 그러한 계수내의 다른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기내의 조정된 계수가 부호화기내의 원래의 계수와 일치하도록, 재차 양음 부호를 변경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양자화기가 레이트 왜곡 최적화된 양자화(RDO-Q)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모드 플래그 또는 모드 정보의 내장을 RDO-Q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행할 수 있다. 어느 계수가 0으로 설정될지를 결정하는 동안, RDO-Q 프로세스는 계수의 비용에 부가하여, 모드 플래그의 비용을 포함할 수 있다.
3개 이상의 모드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개의 모드 A, B 및 C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한, 복수 세트의 모드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트 1은 모드 A, B 및 C를 포함하고, 세트 2는 모드 W, X, Y, Z를 포함한다. 각 계수 세트마다, 세트 1로부터의 하나의 모드 및 세트 2로부터의 하나의 모드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최후의 비0 계수를 이용하여 모드를 시그널링하는 대신에, 최대 계수 또는 최소 계수와 같은 다른 특성을 이용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계수가 지정된 판정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2차 결정 프로세스가, 정보를 내장하는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정된 판정 기준이 최대 계수를 사용하는 것이며, 계수 중 2개가 동일한 최대치를 갖는 경우에는, 이들 2개의 계수 중 최후의 계수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는 연속적인, 즉 인접하는 비0 계수군의 수를 특정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형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모드 정보를 내장하도록, 가장 많은 비0 계수를 갖는 군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복호된 계수로부터 2치 또는 3치 맵을 도출할 수 있다. 하나의 블록에 대한 모드를, 이들 맵의 함수에 근거하여, 또는 맵내의 패턴에 근거하여 추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모드는 비0 계수의 수에 근거하여 추측할 수 있다. 부호화기에 있어서, 이들 맵내에 2치 코드 워드를 내장하여 각종의 모드를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Claims (21)

  1.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를 복호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픽처는 부호화되어, 계수의 벡터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각 계수는 양자화된 형태를 취하며,
    상기 방법은,
    각 벡터의 주사 순서에 근거하여 각 벡터내의 특정의 계수를 선택하는 스텝과,
    상기 특정의 계수의 특성에 근거하여 부호화 모드 세트를 추측하는 스텝과,
    상기 부호화 모드 세트에 따라 상기 비트 스트림을 복호하는 스텝을 포함하며,
    상기 스텝은, 복호기에서 실행되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모드 세트는, 최후에 주사된 비0 계수로부터 추측되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최후에 주사된 비0 계수의 값은, 1 또는 -1인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측 후에 상기 값을 0으로 설정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최후에 주사된 비0 계수의 값이 1, -1 또는 우수인 경우, 제 1 부호화 모드를 추측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제 2 부호화 모드를 추측하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측 후에 상기 값을 0을 향해 조정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측 전에, 상기 최후에 주사된 계수 값이 1 또는 -1인 경우에는, 상기 값을 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조정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최후에 주사된 계수의 값은, 2 또는 -2이며, 기수 값으로의 조정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값을 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조정하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계수는 상기 계수의 벡터 중에서 최대의 크기를 갖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의 크기는 2개 이상의 계수에서 발생하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모드 세트는 2개의 계수 간의 차이의 양음 부호로부터 추측되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음 부호는 상기 추측 후에 조정되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모드 세트는 레이트 왜곡 최적화된 양자화 프로세스를 병용하여 추측되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비용을 이용하여 상기 계수내의 정보의 내장을 결정하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모드 세트는 연속적인 비0 계수의 수로부터 추측되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모드 세트는 상기 계수에 적용되는 함수를 이용하여 추측되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는 의사 랜덤인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모드 세트는 부호화기에 의해 결정되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비0 계수의 위치(location)를 맵내에서 나타내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20. 제 1 항에 있어서,
    각 비0 계수의 양음 부호를 맵내에서 나타내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2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측 후에 상기 특정의 계수의 값을 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조정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KR1020147006317A 2011-09-30 2012-05-30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KR201400483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50,972 2011-09-30
US13/250,972 US20120230396A1 (en) 2011-03-11 2011-09-30 Method for Embedding Decoding Information in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s
PCT/JP2012/064492 WO2013046808A1 (en) 2011-09-30 2012-05-30 Method for decoding picture in form of bit-strea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9127A Division KR20140096395A (ko) 2011-09-30 2012-05-30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322A true KR20140048322A (ko) 2014-04-23

Family

ID=463191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317A KR20140048322A (ko) 2011-09-30 2012-05-30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KR1020147019127A KR20140096395A (ko) 2011-09-30 2012-05-30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9127A KR20140096395A (ko) 2011-09-30 2012-05-30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20230396A1 (ko)
JP (1) JP5855139B2 (ko)
KR (2) KR20140048322A (ko)
CN (1) CN103843346B (ko)
BR (1) BR112014005291B1 (ko)
MX (1) MX338400B (ko)
RU (1) RU2584763C2 (ko)
SG (1) SG2014010011A (ko)
TW (1) TWI533670B (ko)
WO (1) WO20130468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7811A1 (en) * 2012-02-06 2013-08-15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coding and an apparatus
US10225562B1 (en) * 2017-08-21 2019-03-05 Google Llc Embedding information about EOB positions
JP6981540B2 (ja) * 2017-12-06 2021-12-15 富士通株式会社 モード情報のコーディングとデコーディング方法、装置及び電子機器
CN109919821B (zh) * 2017-12-12 2020-12-25 深圳大学 三维数字模型双重盲水印的嵌入、提取方法和存储介质
KR102662646B1 (ko) * 2018-07-02 2024-05-03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종속 스칼라 양자화에 적합한 변환 계수의 엔트로피 코딩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O521897A0 (en) * 1997-02-20 1997-04-11 Telstra R & D Management Pty Ltd Invisible digital watermarks
US6208735B1 (en) * 1997-09-10 2001-03-27 Nec Research Institute, Inc. Secure spread spectrum watermarking for multimedia data
SE512291C2 (sv) * 1997-09-23 2000-02-28 Ericsson Telefon Ab L M Inbäddad DCT-baserad stillbildskodningsalgoritm
EP1415266A2 (en) * 2001-06-29 2004-05-06 Oki Electric Industry Compan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watermarking an electrically depicted image
JP2003169205A (ja) * 2001-11-30 2003-06-13 Toshiba Corp 電子透かし埋め込み方法及び装置並びに電子透かし検出方法及び装置
JP3937841B2 (ja) * 2002-01-10 2007-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510465B2 (ja) * 2002-01-22 2010-07-21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イメージ/ビデオ符号器及び/又は復号器における変換係数の符号化
US7567721B2 (en) * 2002-01-22 2009-07-28 Digimarc Corporation Digital watermarking of low bit rate video
KR100627597B1 (ko) * 2002-04-26 2006-09-25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화상 부호화 장치, 화상 복호 장치, 화상 부호화 방법, 화상 복호 방법, 화상 부호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화상 복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P1487113B1 (de) * 2002-05-02 2006-10-1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Kodierung und Dekodierung von Transformationskoeffizienten in Bild- oder Videokodierern
US7352903B2 (en) * 2004-08-17 2008-04-01 Pegasus Imaging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JPEG 2000 encoding operations
US7620252B2 (en) * 2005-04-22 2009-11-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compressing an image
JP4942548B2 (ja) * 2007-05-17 2012-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透かし埋め込み装置、電子透かし検出装置、電子透かし埋め込みプログラム及び電子透かし検出プログラム
US8891615B2 (en) * 2008-01-08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Quantization based on rate-distortion modeling for CABAC coders
CN101534436B (zh) * 2008-03-11 2011-02-02 深圳市融创天下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视频图像宏块级自适应码率分配方法
US8681874B2 (en) * 2008-03-13 2014-03-25 Cisco Technology, Inc. Video insertion information insertion in a compressed bitstr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43346A (zh) 2014-06-04
US20120230396A1 (en) 2012-09-13
JP2014520410A (ja) 2014-08-21
KR20140096395A (ko) 2014-08-05
BR112014005291B1 (pt) 2022-06-14
JP5855139B2 (ja) 2016-02-09
MX2014003721A (es) 2014-07-09
MX338400B (es) 2016-04-15
TWI533670B (zh) 2016-05-11
CN103843346B (zh) 2017-06-23
RU2584763C2 (ru) 2016-05-20
BR112014005291A2 (pt) 2017-05-30
RU2014117312A (ru) 2015-11-10
TW201320757A (zh) 2013-05-16
WO2013046808A1 (en) 2013-04-04
SG2014010011A (en) 201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681B1 (ko) 상황-기반의 적응형 이진 산술 코딩(cabac)비디오 스트림 준수
KR101885258B1 (ko) 비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101832792B1 (ko) 데이터를 손실 압축-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데이터를 재구성하기 위한 대응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91601B1 (ko) 최적의 임계치를 이용한 지수 골롬 이진화에 의한 영상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및 영상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JP2004507177A (ja) デジタル画像データへ電子透かしを埋め込む方法
KR20080082147A (ko) 컨텍스트 기반 적응적 이진 산술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장치
KR20140048322A (ko) 비트 스트림의 형태의 픽처의 복호 방법
JP2019080352A (ja) 逆変換シフトメモリにより削減されたダイナミックレンジ変換を行う動画像を復号する方法
KR101631280B1 (ko) 스킵 모드에 기초한 영상을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00102386A (ko) 레지듀얼 값 분포에 적응적인 부호표 선택에 기초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01754016A (zh) 用于插入数据的方法、用于读取所插入的数据的方法
CN108024114B (zh) 一种基于标志位参数修改的大容量无损hevc信息隐藏方法
WO2012124787A1 (en) A method for decoding video
Seki et al. Quantization-based image steganography without data hiding position memorization
Zhang et al. Additional sign bit hiding of transform coefficients in HEVC
CN112449186B (zh) 编码方法、解码方法、相应的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631274B1 (ko) 모드 정보를 부호화,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365673A1 (en) Video Decoder with Reduced Dynamic Range Transform with Inverse Transform Clipping
JP2007535262A (ja) 圧縮情報信号に透かしを入れる方法
Sarkar et al. Double embedding in the quantization index modulation framework
KR101631278B1 (ko) 모드 정보를 부호화,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31277B1 (ko) 스킵 모드에 따라 영상을 부호화,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AU2023201244A1 (en) Video decoder with reduced dynamic range transform with inverse transform shifting memory
RU2023110868A (ru) Способ и оборудование кодирования/декод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атрицы квантования и способ для передачи потока битов
JPH0670173A (ja) 画像復号化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復号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