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301A - 기구 안내구 - Google Patents

기구 안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301A
KR20140048301A KR1020147004680A KR20147004680A KR20140048301A KR 20140048301 A KR20140048301 A KR 20140048301A KR 1020147004680 A KR1020147004680 A KR 1020147004680A KR 20147004680 A KR20147004680 A KR 20147004680A KR 20140048301 A KR20140048301 A KR 20140048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umen
refractive
flang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버나드 요셉 부르크
마이클 찰스 페라가모
스테판 버나드 레이놀즈
Original Assignee
스미스 앤드 네퓨,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스 앤드 네퓨, 인크. filed Critical 스미스 앤드 네퓨,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048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64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ip
    • A61B17/1668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ip for the upper fem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96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for holes for sutures or flexibl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5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97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specially adapted for wir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14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for applying tendons or lig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39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764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27Details of heads or jaw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ead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61B2017/3405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using mechanical guide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가요성 부재를 위한 안내구는 고정 부재, 굴절 부재 및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굴절 부재는 제1 루멘을 형성한다. 고정 부재, 굴절 부재 및 작동 부재는 작동 부재가 고정 부재에 대해 이동될 때 굴절 부재가 고정 부재에 대해 피벗하도록, 하나 이상의 아치형 홈 또는 플랜지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고정 부재 및 작동 부재는 제1 루멘 및 제2 루멘 내에서 동일선상으로 연장되게 가요성 부재를 수용하도록 배열된 제2 루멘을 형성한다.

Description

기구 안내구 {INSTRUMENT GUID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1년 7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513,320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2012년 1월 12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기구 안내구(INSTRUMENT GUIDE)"인 미국 특허 출원 제13/348,877호의 국제 출원이며 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선행 출원들의 내용은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참조로 통합되었다.
본 발명은 수술용 안내구에 관한 것이다.
몇몇 수술 절차는 뼈 속에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파열되어 회복 불가능한 전방 십자인대(ACL)는 관절경으로 조직 이식편으로 교체될 수 있다. 교체 조직 이식편은 대퇴골 내의 통로 내에 형성된 소켓 내에 조직 이식편의 일 단부를 고정시키고, 경골 내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이식편의 타 단부를 통과시킴으로써 이식될 수 있다.
일 태양에서, 가요성 부재를 위한 안내구는 고정 부재, 굴절 부재 및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굴절 부재는 제1 루멘을 형성한다. 고정 부재, 굴절 부재 및 작동 부재는 작동 부재가 고정 부재에 대해 이동될 때 굴절 부재가 고정 부재에 대해 피벗하도록, 하나 이상의 아치형 홈 또는 플랜지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고정 부재 및 작동 부재는 제1 루멘 및 제2 루멘 내에서 동일선상으로 연장되게(coextensively) 가요성 부재를 수용하도록 배열된 제2 루멘을 형성한다.
구현예는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 굴절 부재 및 작동 부재는 제1 루멘 및 제2 루멘이 작동 부재가 고정 부재에 대해 제1 위치에 있을 때 동축으로 배열되고, 작동 부재가 고정 부재에 대해 제2 위치에 있을 때 비동축으로 배열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제1 아치형 홈 또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굴절 부재는 제1 아치형 홈 또는 플랜지에 결합되는 제2 아치형 홈 또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하부 연장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연장 부분은 고정 부재 내의 슬롯 내에 수납될 수 있다.
굴절 부재는 제1 아치형 홈 또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굴절 부재는 제1 아치형 홈 또는 플랜지에 결합되는 제2 아치형 홈 또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상부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연장 부분은 고정 부재 내의 슬롯 내에 수납될 수 있다.
굴절 부재는 본체 부재의 상부 부분 내에 형성된 제1 아치형 홈을 구비한 본체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아치형 홈은 작동 부재 상의 제1 아치형 플랜지에 결합된다. 굴절 부재는 본체의 하부 부분에 결합되는 하부 연장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연장 부분은 고정 부재의 슬롯 내에 수납될 수 있다. 하부 연장 부분은 슬롯 내에 형성된 아치형 플랜지에 결합되는 제2 아치형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는 손잡이의 작동으로 인해 작동 부재가 고정 부재에 대해 이동하도록, 고정 부재 및 작동 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는 작동 부재에 결합되는 제1 부재 및 고정 부재에 결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제1 부재가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2 부재에 대해 회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는 핀을 포함할 수 있다. 핀은 제1 부재가 제2 부재에 대해 회전하도록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결합시킨다.
손잡이는, 제1 부재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허용하며 제1 부재가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래칫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으로의 제1 부재의 회전은 작동 부재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래칫 메커니즘은 제2 부재 상의 하나 이상의 치형부 및 제1 부재 상의 핑거를 포함할 수 있다. 핑거는 치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핑거는 치형부와 맞물리도록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치형부와 분리되도록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래칫 메커니즘은 치형부와 맞물리도록 제1 방향으로 핑거에 힘을 인가하고, 치형부로부터 핑거를 분리하기 위해 핑거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태양에서, 의료용 장치는 고정 부재, 굴절 부재 및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는 원위 영역 및 근위 영역을 갖는다. 굴절 부재는 제1 루멘을 형성하고, 고정 부재 및 작동 부재는 제2 루멘을 형성한다. 가요성 부재가 제1 루멘 및 제2 루멘 내에서 동일선상으로 연장되게 배열된다. 고정 부재, 굴절 부재 및 작동 부재는 작동 부재가 고정 부재에 대해 이동될 때 굴절 부재가 고정 부재에 대해 피벗하도록, 하나 이상의 아치형 홈 또는 플랜지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고정 부재에 대한 굴절 부재의 피벗은 가요성 부재가 실질적인 직선 구성으로부터 구부러진 구성으로 변화하게 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의 세부는 첨부된 도면 및 아래의 설명에서 설명된다. 다른 특징, 태양 및 이점은 설명, 도면 및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슬관절과 수술용 안내구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슬관절 및 수술용 안내구의 선단의 평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수술용 안내구 및 안내 와이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수술용 안내구의 고정 부재의 원위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수술용 안내구의 작동 부재의 원위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수술용 안내구의 작동 부재의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4c는 수술용 안내구의 작동 부재의 원위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수술용 안내구의 굴절 선단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수술용 안내구의 원위 선단의 사시도이다.
도 6c 및 도 6d는 수술용 안내구의 원위 단부의 평면도이다.
도 6e는 수술용 안내구의 원위 선단의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수술용 안내구의 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수술용 안내구의 손잡이 내의 래칫 메커니즘의 절결도이다.
도 7c는 수술용 안내구의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수술용 안내구의 원위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는, 예를 들어, 전방 십자 인대(ACL) 수술 중에 사용되는 가요성 핀 안내구(100)와 같은 수술용 안내구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가요성 핀 안내구(100)는 원위 단부(102a) 및 근위 단부(102b)를 포함하는 세장형 샤프트(102)를 포함한다. 원위 단부(102a)는 굴절 부재(104)를 포함하고, 샤프트(102)의 근위 단부(102b)는 가위형 손잡이(106)에 결합된다. 안내 와이어 또는 통과 핀으로 달리 불리는 가요성 부재(108)가 샤프트(102) 내의 루멘을 통과하고, 핀(108)의 원위 단부(110)가 굴절 부재(104) 내의 개방부의 외부로 연장한다. 손잡이(106)의 사용을 통해, 굴절 부재(104)는 샤프트(102)의 종축(A)에 대해 피벗될 수 있다.
ACL 수술 중에 사용될 때, 의사는 경골(113) 내에 터널(112)을 형성하고, 샤프트(102)의 원위 단부(102a)가 경골 터널(112)의 단부 내의 개방부로부터 진출하여 슬관절로 진입하도록, 경골 터널(112)을 통해 세장형 샤프트(102)를 통과시킨다. 의사는 손잡이(106)를 조작하고, 이는 굴절 부재(104)가 경골 터널(112)의 종축에 대응하는 종축(A)에 대해 피벗하게 한다. 굴절 부재(104)를 피벗시킴으로써 핀(108)이 구부러지고, 이는 핀(108)의 원위 단부(110)가 경골 터널(112)의 종축(A)에 대해 각도를 이루어 대퇴골(114)의 외측과와 맞물리도록 허용한다. 핀(108)은 그 다음 외측과를 통해 드릴링되거나 달리 통과되어, 대퇴골(114)의 외측과를 통해 터널을 드릴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요성 드릴을 위한 안내구로서 사용된다. 결과적인 대퇴골 터널은 경골 터널(112)의 종축(A)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종축을 갖는다.
각도를 이룬 대퇴골 터널은 대퇴골 터널과 경골 터널이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루지 않는 것보다 더 해부학적으로 정확한 ACL 회복을 제공할 수 있다. 무릎이 90°로 굽혀진 상태에서, 가요성 핀 안내구(100)를 사용하는 것은 의사가 전내측 삽입구와 같은 추가의 삽입구에 대한 필요가 없이 각도를 이룬 대퇴골 터널을 생성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아울러, 몇몇 의사는 경경골 접근을 사용하여 훈련받을 수 있고, 가요성 핀 안내구를 사용하는 것은 의사들이 이러한 접근을 계속하지만, 대퇴골 터널이 경골 터널과 정렬된 것에 비해, 더 해부학적으로 정확한 회복을 생성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더 상세하게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세장형 샤프트(102)는 고정 부재(116), 작동 부재(118), 및 굴절 선단으로서 기능하는 굴절 부재(104)를 포함한다. 손잡이(106)는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가 핀(122)의 축 둘레에서 고정식 손잡이 부재(119)에 대해 피벗하도록, 핀(122)에 의해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에 결합되는 고정식 손잡이 부재(119)를 포함한다. 편평 스프링(124)이 손잡이(119 및 120)들이 그들의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도록, 손잡이 부재(119 및 120)들을 분리하는 경향이 있는 힘을 제공하기 위해 손잡이 부재(119 및 120)들 사이에 위치된다. 고정 부재(116)는 고정식 손잡이 부재(119)에 결합되고, 작동 부재(118)는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에 결합된다.
손잡이 부재(119 및 120)들이 그들의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굴절 부재(104)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비피벗 위치에 있다.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가 (예를 들어, 손잡이(119 및 120)들을 쥐는 의사에 의해) 핀(122) 둘레에서 고정식 손잡이 부재(119)에 대해 회전되면, 작동 부재(118)는 화살표(B)의 방향으로 고정 부재(116)에 대해 이동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고정 부재(116), 작동 부재(118) 및 굴절 부재(104)는 고정 부재(116)에 대한 작동 부재(118)의 이동이 굴절 부재(104)가 고정 부재(116)에 대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개방 위치로 피벗하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플랜지 및 홈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고정 부재(116)는 대체로 편평한 상부 부분(302) 및 라운딩된 하부 부분(304)을 갖는, 대체로 반원형 단면이다. 슬롯(306)이 고정 부재(116)의 원위 선단 내에 형성되고, 단부 벽(306c)에 대해 연결된 측벽(306a 및 306b)들을 포함한다. 개방부(310)가 슬롯(306)의 바닥에 형성되고, 고정 부재(116)를 통해 연장한다. 연결 부재(306d)가 측벽(306a 및 306b)들의 원위 단부(310a 및 310b)들을 연결하고, 구조적 완결성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2개의 탭(314a 및 314b)을 포함한다.
제1 아치형 플랜지(308a)가 측벽(306a) 상에 형성된다. 플랜지(308a)는 고정 부재(116) 아래에서 중심점을 갖는다 (즉, 플랜지(308a)는 상부 부분(302)으로부터 하부 부분(304)으로 관찰할 때 볼록하다). 유사하게, 제2 아치형 플랜지(308b)가 측벽(306b) 상의 아치형 플랜지(308a)에 대향하여 위치되고, 고정 부재(116) 아래에서 중심점을 갖는다. 플랜지(308a 및 308b)는 도브테일 형상이다. 홈(312)이 단부 벽(306c)으로부터 고정 부재(116)의 근위 단부로 이어진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작동 부재(118)는 또한 대체로 편평한 하부 부분(402) 및 라운딩된 상부 부분(404)을 구비한, 반원형 단면이다. 노치(406)가 작동 부재(118)의 원위 선단 내에 형성되고, 하부 부분(402)으로부터 상부 부분(404)으로 연장한다. 노치(406)는 단부 벽(406c)에 의해 연결된 측벽(406a 및 406b)들을 포함한다. 작동 부재(118)는 작동 부재(118)의 각 측면 상에서 2개의 홈(418a 및 418b)을 형성한다.
제1 아치형 플랜지(408a)가 측벽(406a) 상에 형성된다. 플랜지(408a)는 작동 부재(118) 위에서 중심점을 갖는다 (즉, 플랜지(408a)는 상부 부분(404)으로부터 하부 부분(402)으로 관찰할 때 오목하다). 유사하게, 제2 아치형 플랜지(408b)가 측벽(406b) 상의 아치형 플랜지(408a)에 대향하여 위치되고, 작동 부재(118) 위에서 중심점을 갖는다. 플랜지(408a 및 408b)는 도브테일 형상이다. 홈(412)이 단부 벽(406c)으로부터 작동 부재(118)의 근위 단부(414)로 이어진다. 근위 단부(414)는 또한 작동 부재(118)의 종축에 대해 직교하는 중심 축을 구비한 원형 개방부(420)를 포함하는 플랜지 부재(416)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굴절 부재(104)는 본체(502) 및 하부 연장 부분(504)을 포함한다. 본체(502)는 상부(502a), 바닥(502b), 제1 측면(502c), 제2 측면(502d: 도 6a), 전면(502e) 및 후면(502f)을 포함한다. 루멘(510)이 전면(502e)으로부터 후면(502f)으로 연장한다. 본체(502)는 굴절 부재(104)의 후면(502f)에서 노치(503)를 형성한다.
하부 연장 부분(504)은 본체(502)의 하부 부분에 결합된다. 하부 연장 부분(504)은 굴절 부재(104)의 아래에서 중심점을 구비한 제1 아치형 홈(506)을 포함한다. 제1 아치형 홈(506)은 고정 부재(116)의 측벽(306b) 상의 도브테일 아치형 플랜지와 정합하도록 성형된다. 유사하게 성형된 제2 아치형 홈(도시되지 않음)이 제1 아치형 홈(506)에 대향하여 하부 연장 부분(504) 내에 형성된다. 제2 아치형 홈은 고정 부재(116)의 측벽(306a) 내의 도브테일 아치형 플랜지(308a)와 정합하도록 성형된다.
제3 아치형 홈(508a)은 측면(502c) 내의 본체(502)의 상부 부분에 형성된다. 제3 아치형 홈(508a)은 굴절 부재(104) 위에서 중심점을 갖는다. 제3 아치형 홈(508a)은 작동 부재(118)의 측벽(406a) 상의 도브테일 아치형 플랜지(408a)와 정합하도록 성형된다. 제4 아치형 홈(508b)이 제3 아치형 홈(508a)에 대향하여 측면(502d: 도 6a) 내에 형성된다. 제4 아치형 홈(508b)은 작동 부재(118)의 측벽(406b) 내의 도브테일 아치형 플랜지(408b)와 정합하도록 성형된다.
또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조립되었을 때, 굴절 부재(104)의 하부 연장 부분(504)은 고정 부재(116)의 슬롯(306) 내에 수납된다. 하부 연장 부분(504) 상의 아치형 홈들은 측벽(306a 및 306b)들 상의 도브테일 아치형 플랜지들과 정합되고, 굴절 부재의 전면(502e)은 측벽(306a 및 306b)들의 원위 단부(310a 및 310b)들의 방향으로 향한다. 플랜지(308a, 308b, 408a, 408b) 및 홈(506, 508a, 508b)에 대한 도브테일의 사용은 사용 중에 굴절 부재, 고정 부재 및 작동 부재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작동 부재(118)는 작동 부재(118)의 편평한 하부 부분(402)이 고정 부재(116)의 편평한 상부 부분(302)과 대면하도록 배열된다. 홈(416a 및 416b)들은 각각 탭(314a 및 314b)을 수납한다. 굴절 부재(104)의 상부 부분은 작동 부재(118)의 노치(406) 내에 수납되고, 상부 부분 상의 홈(508a 및 508b)들은 작동 부재(118)의 도브테일 아치형 플랜지(408a 및 408b)들과 정합된다. 고정 부재(116)의 홈(312)은 작동 부재(118)의 홈(412)과 함께, 샤프트(102)의 길이로 이어지는 루멘을 형성한다. 굴절 부재(104)가 비피벗 위치에 있을 때, 홈(312 및 412)들에 의해 형성된 루멘은 굴절 부재(104) 내의 루멘(510)과 동축으로 정렬된다. 이어서, 가요성 핀(108)은 핀(108)의 원위 단부(110)가 굴절 부재(104)의 전면에서 외부로 통과하면서, 양 루멘 내에서 동일선상으로 연장되게 배열될 수 있다.
작동 부재(118)가 방향(B)으로 고정 부재(116)에 대해 이동될 때, 굴절 부재(104)는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멘(510)의 축이 홈(312 및 412)들에 의해 형성된 루멘의 축과 각도를 형성하도록, 고정 부재(116)에 대해 피벗한다. 바꾸어 말하면, 루멘들은 비동축으로 배열된다. 핀(108)이 양 루멘 내에서 동일선상으로 연장되게 배열되면, 이러한 비동축 배열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가요성 핀(108)을 구부러지게 한다. 노치(503)는 굴절 부재(104)가 홈(312 및 412)들에 의해 형성된 루멘을 차단하거나 가요성 부재(108)를 조이지 않고서 회전하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축들 사이의 각도는 작동 부재(118)가 방향(B)으로 더욱 이동됨에 따라 증가한다. 작동 부재(118)가 반대 방향(C)으로 이동될 때, 각도는 각도가 0에 도달할 때까지 감소하고, 굴절 부재(104)는 (도 6d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비피벗 위치에 있게 된다. 탭(314a 및 314b)과 홈(416a 및 416b) 사이의 상호 작용은 고정 부재(116)에 대한 작동 부재(118)의 운동을 제한하여, 도브테일 러그(308a, 308b, 408a 및 408b)와 홈(508a 및 508b)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조립되었을 때, 고정식 손잡이 부재(119)의 상부 단부(710)는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 내의 슬롯(712) 내에 끼워지고, 2개의 손잡이 부재(119 및 120)들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핀(122)에 의해 결합된다. 작동 부재(118)의 편평한 하부 부분(402)은 고정 부재(116)의 편평한 상부 부분(302)과 접촉하고, 2개의 부재들은 고정식 손잡이 부재(119) 내의 개구(706)를 통해 끼워진다. 작동 부재(118)는 핀(702)에 의해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에 결합된다. 핀(702)은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 내의 슬롯(704)을 통과하며 플랜지 부재(416: 도 4b) 내의 원형 개방부(420)를 통과한다. 고정 부재(116)는 고정식 손잡이 부재(119)에 고정된다.
사용 시에, 핀(702) 및 슬롯(704) 구성은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의 운동을 작동 부재(118)의 운동에 결합시킨다.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가 핀(122)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의 하부 단부(708a)는 고정식 손잡이 부재(119)에 더 가까이 이동하고,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의 상부 단부(708b)는 고정식 손잡이 부재(119)로부터 멀리 이동한다. 이러한 회전은 작동 부재(118)가 B의 방향으로 장치(100)의 근위 단부를 향해 이동하게 한다. 반대도 적용된다.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의 하부 단부(708a)가 고정식 손잡이 부재(119)에 더 가까이 이동될 때,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의 상부 단부(708b)는 고정식 손잡이 부재(119)에 더 가까이 이동하여, 작동 부재(118)를 B의 방향과 반대로, 수술용 장치의 근위 단부로부터 더 멀리 이동시킨다. 슬롯(704)은 굴절식 손잡이의 상부 단부(708b)가 원형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핀(702)과 이에 따라 작동 부재(118)가 선형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이제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손잡이(106)는 (도 7c에서 관찰할 때)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허용하고, (도 7c에서 관찰할 때)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래칫 메커니즘(715)을 포함한다. 래칫 메커니즘(715)은 로킹 메커니즘(716), 스프링(720) 및 치형부(714)를 포함한다. 치형부(714)는 고정식 손잡이 부재(119)의 상부 단부(710) 상에 위치된다. 로킹 메커니즘(716)은 치형부(714)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핑거(716f)를 갖는다. 로킹 메커니즘(716)은 또한 각각 슬롯(713 및 715) 내로 끼워지는 플랜지(716a 및 716b)를 갖는다. 슬롯(713 및 715)은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 내에 위치된다. 플랜지(716a)는 슬롯(716c)을 포함한다. 로킹 핀(718)이 슬롯(716c)과, 슬롯(715)의 대향 측면들 상에 위치된 개구(716d 및 716e)들을 통과한다. 스프링(720)은 플랜지(716b)와 슬롯(713)의 후방 벽(713a) 사이에서 슬롯(713) 내에 위치된다.
사용 시에, 로킹 핀(718)은 로킹 메커니즘(716)과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로킹 메커니즘(716)이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의 종축을 따라 활주하도록 허용한다. 수술 중에, 의사가 손잡이(106)를 쥠으로써 굴절 부재(104)를 피벗시켜서 (도 7c에서 관찰할 때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면), 로킹 메커니즘(716)은 (도 7c에서 관찰할 때)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굴절 부재(104)를 현재의 각도로 로킹시킨다. 특히, 로킹 메커니즘(716)의 핑거(716f)는 고정식 손잡이 부재(119)에 관련된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의 운동을 로킹시켜서, 고정 부재(116)에 대한 굴절 부재(104)의 각도를 로킹시키기 위해, 고정식 손잡이 부재(119) 상의 치형부(714)와 상호 작용한다. 스프링(720)은 플랜지(716b)에 힘을 인가하여, 핑거(716f)가 치형부(714)와 맞물리도록, 로킹 메커니즘(716), 및 특히 핑거(716f)를 치형부를 향해 편위시킨다. 치형부(714)의 라운딩된 상부는 로킹 메커니즘(716)의 핑거(716f)가 일 방향으로 활주하도록 허용하고, 치형부(714)의 대향하는 편평한 측면은 래칫과 같이 타 방향으로의 운동을 방지한다. 로킹 메커니즘(716)은 잠금을 해제하여 양 방향으로의 굴절식 손잡이 부재(120)와 고정식 손잡이 부재(119) 사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로킹 메커니즘(716)을 치형부(714)로부터 멀리 수동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치형부(71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8은 가요성 기구 안내구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추가적으로 안내구에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또는 대안적으로 탭(314a 및 314b) 및 홈(416a 및 416b)에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링 튜브(710)가 사용된다. 링 튜브(710)는 굴절 부재(104)에 근접한 위치에서 고정 부재(116) 및 작동 부재(118) 둘레에 위치된다. 링 튜브(710)는 사용 중에 작동 부재(118) 및 고정 부재(116)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내구에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수의 구현예가 설명되었다. 그럼에도, 다양한 변형예가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가요성 핀 안내구(100)가 사용 시에 슬관절과 함께 도시되어 있지만, 안내구는 신체의 다른 부위, 예를 들어, 고관절 또는 견관절 내에서 사용될 수 있고, 적절하게 크기 설정된다. 다른 예에서, 플랜지 및 홈은, 예를 들어 도브테일 형상으로 설명된 것과 상이하게 성형될 수 있다. 래칫형 메커니즘이 설명되었지만, 핀에 의해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손잡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클램프를 사용하는 등과 같은 다른 로킹 방법이 또한 고려된다. 손잡이(106)는 또한 고정 부재(116)와 같은 기준에 대한 굴절 부재(104)의 각도 또는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굴절 부재(104)는 만곡될 수 있다. 굴절 부재(104) 내의 루멘(510)은 만곡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구현예들이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다.

Claims (15)

  1. 가요성 부재를 위한 안내구이며,
    고정 부재;
    제1 루멘을 형성하는 굴절 부재; 및
    작동 부재
    를 포함하고,
    고정 부재, 굴절 부재 및 작동 부재는 작동 부재가 고정 부재에 대해 이동될 때 굴절 부재가 고정 부재에 대해 피벗하도록, 하나 이상의 아치형 홈 또는 플랜지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고정 부재 및 작동 부재는 제1 루멘 및 제2 루멘 내에서 동일선상으로 연장되게(coextensively) 가요성 부재를 수용하도록 배열된 제2 루멘을 형성하는,
    안내구.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 굴절 부재 및 작동 부재는, 제1 루멘 및 제2 루멘이 작동 부재가 고정 부재에 대해 제1 위치에 있을 때 동축으로 배열되고, 작동 부재가 고정 부재에 대해 제2 위치에 있을 때 비동축으로 배열되도록 결합되는, 안내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는 제1 아치형 홈 또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굴절 부재는 제1 아치형 홈 또는 플랜지에 결합되는 제2 아치형 홈 또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하부 연장 부분을 포함하는,
    안내구.
  4. 제3항에 있어서, 하부 연장 부분은 고정 부재 내의 슬롯 내에 수납되는, 안내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1 아치형 홈 또는 플랜지가 플랜지이고, 제2 아치형 홈 또는 플랜지가 홈인, 안내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굴절 부재는 제1 아치형 홈 또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굴절 부재는 제1 아치형 홈 또는 플랜지에 결합되는 제2 아치형 홈 또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는,
    안내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굴절 부재는,
    본체 부재의 상부 부분 내에 형성된 제1 아치형 홈을 갖는 본체 부재 - 제1 아치형 홈은 작동 부재 상의 제1 아치형 플랜지에 결합됨 -; 및
    본체의 하부 부분에 결합되는 하부 연장 부분 - 하부 연장 부분은 고정 부재의 슬롯 내에 수납되고, 하부 연장 부분은 슬롯 내에 형성된 아치형 플랜지에 결합되는 제2 아치형 홈을 포함함 -
    을 포함하는 안내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잡이의 작동이 작동 부재를 고정 부재에 대해 이동하게 하도록, 고정 부재 및 작동 부재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안내구.
  9. 제8항에 있어서, 손잡이는,
    작동 부재에 결합되는 제1 부재;
    고정 부재에 결합되는 제2 부재
    를 포함하고,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제1 부재가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2 부재에 대해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안내구.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손잡이는 제1 부재가 제2 부재에 대해 회전하도록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결합시키는 핀을 포함하는, 안내구.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잡이는 제1 부재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허용하고, 제1 부재가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래칫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안내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은 작동 부재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안내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래칫 메커니즘은 제2 부재 상의 하나 이상의 치형부 및 제1 부재 상의 핑거를 포함하고, 핑거는 치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안내구.
  14. 제13항에 있어서, 핑거는 치형부와 맞물리도록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치형부와 분리되도록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래칫 메커니즘은, 치형부와 맞물리도록 제1 방향으로 핑거에 힘을 인가하고, 치형부로부터 핑거를 분리하기 위해 핑거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안내구.
  15. 의료용 장치이며,
    원위 영역 및 근위 영역을 갖는 고정 부재;
    제1 루멘을 형성하는 굴절 부재;
    작동 부재 - 고정 부재 및 작동 부재는 제2 루멘을 형성함 -; 및
    제1 루멘 및 제2 루멘 내에서 동일선상으로 연장되게 배열되는 가요성 부재
    를 포함하고,
    고정 부재, 굴절 부재 및 작동 부재는 작동 부재가 고정 부재에 대해 이동될 때 굴절 부재가 고정 부재에 대해 피벗하도록, 하나 이상의 아치형 홈 또는 플랜지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굴절 부재는 고정 부재에 대해 피벗하여, 가요성 부재가 실질적인 직선 구성으로부터 구부러진 구성으로 변화하게 하는,
    의료용 장치.
KR1020147004680A 2011-07-29 2012-07-27 기구 안내구 KR201400483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13320P 2011-07-29 2011-07-29
US61/513,320 2011-07-29
US13/348,877 2012-01-12
US13/348,877 US9545261B2 (en) 2011-07-29 2012-01-12 Instrument guide
PCT/US2012/048650 WO2013019660A1 (en) 2011-07-29 2012-07-27 Instrument gu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301A true KR20140048301A (ko) 2014-04-23

Family

ID=46650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680A KR20140048301A (ko) 2011-07-29 2012-07-27 기구 안내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545261B2 (ko)
EP (1) EP2736424B1 (ko)
JP (1) JP2014528745A (ko)
KR (1) KR20140048301A (ko)
CN (1) CN103826552B (ko)
AU (2) AU2012290297B2 (ko)
BR (1) BR112014002057A2 (ko)
MX (1) MX2014001140A (ko)
RU (1) RU2605999C2 (ko)
WO (1) WO2013019660A1 (ko)
ZA (1) ZA20140083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873A1 (ko) * 2016-10-06 2018-04-1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대퇴터널 유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4047B (zh) 2011-03-11 2016-10-19 史密夫和内修有限公司 切削器械
US9289223B2 (en) * 2012-10-27 2016-03-22 Danamed, Inc. Surgical guide instrument and system for ACL reconstruction and method of using same
AU2014228369A1 (en) * 2013-03-12 2015-09-03 Smith & Nephew, Inc. Retro guidewire reamer
US9243881B2 (en) 2014-05-29 2016-01-26 Smith & Nephew, Inc. Retrograde reamer depth tub gage
WO2016053834A1 (en) 2014-10-01 2016-04-07 Smith & Nephew, Inc. Bone marrow lesion drill
CN105615931B (zh) * 2014-10-29 2017-12-19 上海理工大学 经心尖植入人工腱索修复二尖瓣反流的微创手术器械
CN109567904A (zh) * 2018-12-03 2019-04-05 张连连 一种心内科介入治疗辅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2545A (en) 1984-04-05 1987-12-15 Acufex Microsurgical, Inc. Surgical instrument
JPH027525Y2 (ko) * 1985-01-25 1990-02-22
US4758035A (en) 1987-04-24 1988-07-19 Harrington Arthritis Research Center Self-gripping reacher
US5643273A (en) 1995-02-17 1997-07-01 Clark; Ron ACL bone tunnel projection drill guide and method for its use
US20030109778A1 (en) * 1997-06-20 2003-06-12 Cardiac Assist Devices, Inc. Electrophysiology/ablation catheter and remote actuator therefor
NL1009471C2 (nl) 1998-06-23 1999-12-27 Univ Delft Tech Boor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gekromd kanaal, boor voor het aanbrengen van een gat in een pedikel, en verankeringsconstructie voor ruggewervels.
US20040044350A1 (en) * 1999-04-09 2004-03-04 Evalve, Inc. Steerable access sheath and methods of use
US8216256B2 (en) * 1999-04-09 2012-07-10 Evalve, Inc. Detachment mechanism for implantable fixation devices
US6599309B1 (en) * 1999-09-09 2003-07-29 Tnco, Inc. Pin-less surgical instrument
US6322565B1 (en) 1999-11-08 2001-11-27 Steven A. Garner Avascular neucrosis instrument and method
US6520556B1 (en) 2001-07-25 2003-02-18 Shih Hao Hsu Gripping device having length adjusting mechanism
US8298161B2 (en) * 2002-09-12 2012-10-30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Shape-transferring cannula system and method of use
US7083620B2 (en) * 2002-10-30 2006-08-01 Medtronic, Inc. Electrosurgical hemostat
US7842028B2 (en) * 2005-04-14 2010-11-30 Cambridge Endoscopic Devices, Inc. Surgical instrument guide device
US8221424B2 (en) 2004-12-20 2012-07-17 Spinascope, Inc. Surgical instrument for orthopedic surgery
DE202005020819U1 (de) 2005-06-14 2006-08-10 Karl Storz Gmbh & Co. Kg Medizinisches Greif- und/oder Schneidinstrument
US20070123889A1 (en) 2005-10-14 2007-05-31 Malandain Hugues F Mechanical cavity-creation surgical device and methods and kits for using such devices
US20070270679A1 (en) * 2006-05-17 2007-11-22 Duy Nguyen Deflectable variable radius catheters
US7955315B2 (en) * 2006-07-24 2011-06-07 Ethicon, Inc. Articulating laparoscopic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y of medical fluid
US20080114364A1 (en) 2006-11-15 2008-05-15 Aoi Medical, Inc. Tissue cavitation device and method
CN100473360C (zh) * 2007-03-28 2009-04-01 新奥博为技术有限公司 一种介入手术器械导引仪
US20080294167A1 (en) 2007-05-21 2008-11-27 Brian Schumacher Articulating cavitation device
US7815646B2 (en) 2007-06-06 2010-10-19 Karl Storz Gmbh & Co. Kg Drill guide and method for placing a fixation device hole
KR100925561B1 (ko) 2007-11-02 2009-11-05 한국원자력연구원 관절을 가진 방사선 차폐시설용 원격 집게 장치
EP2072015B1 (en) 2007-12-17 2015-06-03 Karl Storz GmbH & Co. KG Surgical drill for providing holes at an angle
US20090171147A1 (en) * 2007-12-31 2009-07-02 Woojin Lee Surgical instrument
CA2646110A1 (en) 2008-11-21 2010-05-21 Ramon B. Gustilo Bone dril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20100298832A1 (en) 2009-05-20 2010-11-25 Osseon Therapeutics, Inc. Steerable curvable vertebroplasty drill
US8911474B2 (en) 2009-07-16 2014-12-16 Howmedica Osteonics Corp. Suture anchor implantation instrumentation system
DE102010013459B3 (de) 2010-03-30 2011-06-22 S. u. A. Martin GmbH & Co KG, 78604 Chirurgische Stanz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873A1 (ko) * 2016-10-06 2018-04-1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대퇴터널 유도기
US11116523B2 (en) 2016-10-06 2021-09-14 Samsung Life Public Welfare Foundation Femoral tunnel guid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26552A (zh) 2014-05-28
MX2014001140A (es) 2014-02-27
RU2605999C2 (ru) 2017-01-10
WO2013019660A1 (en) 2013-02-07
EP2736424B1 (en) 2018-10-10
AU2012290297B2 (en) 2017-03-02
CN103826552B (zh) 2019-06-28
BR112014002057A2 (pt) 2017-02-21
RU2014106900A (ru) 2015-09-10
EP2736424A1 (en) 2014-06-04
AU2017200940A1 (en) 2017-03-02
AU2012290297A1 (en) 2014-02-20
US20130184610A1 (en) 2013-07-18
JP2014528745A (ja) 2014-10-30
US9545261B2 (en) 2017-01-17
ZA201400835B (en) 201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8301A (ko) 기구 안내구
EP1058520B1 (en) Bone fixation device introducer
JP5800253B2 (ja) 位置合わせツール
US20180221074A1 (en) Alignment guide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US9522014B2 (en) Multi-degree-of-freedom forceps
ES2295254T3 (es) Guia de corte femoral de rodilla.
US81824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patella resection guide during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8282647B2 (en) Femoral guide for ACL repair having adjustable offset
JP2013248400A (ja) 大腿骨整形外科用器具及びその使用方法
JPWO2013073523A1 (ja) 医療機器
US20230397918A1 (en) System for Connecting a Connecting Device, in Particular a Distractor, to a Bone
US11819224B2 (en) Patient specific instruments and methods of use
US11844704B2 (en) Instruments and method for ankle replacement surgery
JP6765833B2 (ja) 患者の骨に外科用器具を取り付け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5415423B2 (ja) 調節可能な外科器具
US20230240720A1 (en) Surgical instruments, guides, and methods of use
JP2014023942A (ja) 外科器具の取り付け
US20220346627A1 (en) Videoscopic arthroscopic instruments,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e and assembly
US11553928B2 (en) Tibial cutting guide assemblies and associated instrumentation for performing surgical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