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928A -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928A
KR20140047928A KR1020120114294A KR20120114294A KR20140047928A KR 20140047928 A KR20140047928 A KR 20140047928A KR 1020120114294 A KR1020120114294 A KR 1020120114294A KR 20120114294 A KR20120114294 A KR 20120114294A KR 20140047928 A KR20140047928 A KR 20140047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cultivation
light source
soil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7379B1 (ko
Inventor
차재상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14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379B1/ko
Publication of KR2014004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인삼 및 산양산삼재배 시스템이 개시된다. 인삼 및 산양산삼재배 시스템은 외부의 자연광이 차단된 재배실, 상기 재배실 내에 배치되고 묘삼이 정식되는 토양이 수용된 재배조, 상기 재배조 위에 배치되어 상기 묘삼의 잎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재배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재배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재배 환경 정보 수집부,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제어하는 광도 제어부, 상기 재배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재배조에 정식된 묘삼을 촬영하는 비디오 카메라,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상기 비디오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서버, 및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은 청색 LED 및 적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광도 제어부는 상기 측정 온도가 30℃를 초과하면 상기 광원의 밝기를 6,000lx 내지 8,000lx가 되도록 제어하며, 30℃ 이하에서는 12,000lx 내지 18,000lx가 되도록 상기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비디오 카메라로에 의해 촬영된 묘삼의 비디오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Description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A SYSTEM FOR CULTIVATING GINSENGS AND WILD GINSENGS}
본 발명은 인삼 및 산양산삼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공 광원을 사용하여 인삼 및 산양산삼의 생육을 촉진시키고, 인삼 및 산양산삼이 재배되는 환경에 관한 정보를 인삼 및 산양산삼의 소비자 및 인삼 및 산양산삼의 재배를 위탁한 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삼 및 산양산삼에 포함된 사포닌 등의 성분에 관한 약리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 활동이 있기 오래전부터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하는 동아시아권에서는 인삼 및 산양산삼을 약재로 널리 사용해 왔다.
최근의 연구에 의해 밝혀진 바에 따르면, 비영양 물질로 알려졌던 사포닌은 항암, 항산화, 콜레스테롤 저하 등 다양한 약리효과를 가진다. 인삼 및 산양산삼에서 추출된 사포닌을 영양보조식품이나 약품에 사용하면서 이러한 사포닌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인삼 및 산양산삼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뛰어난 효능에도 불구하고 인삼 및 산양산삼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의 증가는 더딘데, 인삼 및 산양산삼의 생육 조건이 까다로워 재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인삼 및 산양산삼은 다년생 식물로, 4~6년간 동일한 장소에서 재배하여야 수확이 가능하므로 파종에서 수확까지 긴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인삼 및 산양산삼은 광합성 광보상점이 최저 5,000lx 정도에 불과한, 생육에 비교적 낮은 광도의 빛만을 필요로 하는 반음지성식물로서 빛이 가장 중요한 생육제한요소이므로, 생육기간 중 광량의 변화에 따라 인삼 및 산양산삼의 품질 및 수확량이 달라지게 된다. 또한, 인삼 및 산양산삼은 내병성이 약하고 토양내 과다 수분에 약해 수해나 병충해에 의해 수확량이 대폭 감소될 수 있다.
인삼 및 산양산삼의 재배 환경의 조절 실패에도 인삼 및 산양산삼이 생존하는 경우에도 사포닌 함량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어 상품성을 잃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인삼 및 산양산삼은 재배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힘들며, 재배 후 수확율도 매우 낮은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인삼 및 산양산삼을 외부 환경의 불확실성으로부터 차단하고 생육 환경을 인공적으로 제어하여 최적의 생육 조건을 조성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한 기술의 예로서, 인삼 및 산양산삼수경재배장치는 온실의 내부에 묘삼을 정식한 다음, 정식된 묘삼에 각종 영양분이 포함되어 있는 양액을 공급하고, 온실 내부의 온도와 습도와 통풍 및 햇빛량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여 인삼 및 산양산삼을 재배 방법이다. 인삼 및 산양산삼수경재배장치는, 인삼 및 산양산삼의 생육환경, 즉, 영양분, 온도, 습도, 햇빛량, 통풍 등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줌으로써, 고품질의 인삼 및 산양산삼의 수확량을 늘릴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인삼 및 산양산삼수경재배장치는, 온실로 투사되는 햇빛을 이용하여 인삼 및 산양산삼을 재배하는 구조이므로, 햇빛이 투사될 수 있는 곳이라야만 인삼 및 산양산삼을 재배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햇빛이 투사될 수 있는 곳이야라만 인삼 및 산양산삼을 재배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인삼 및 산양산삼의 재배량을 증가시키기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고품질의 인삼 및 산양산삼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인삼 및 산양산삼수경재배장치는, 온실로 투사되는 햇빛을 이용하여 인삼 및 산양산삼을 재배하는 구조이므로, 노지에서 재배되는 인삼 및 산양산삼보다 일조량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흐리거나 비가 오는 날이 많을 경우에는, 인삼 및 산양산삼의 성장속도가 오히려 더 늦어지고 내부에 포함된 사포닌 성분이 오히려 더 떨어질 수 있다.
또한, 국내의 고려인삼 및 산양산삼에 비해 효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외국산 인삼 및 산양산삼이 수입되고 있지만, 상당한 양의 외국산 인삼 및 산양산삼이 원산지를 허위로 표시한 채 국내산으로 유통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불신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원산지 표시에 대한 불신은 인삼 및 산양산삼을 약재로 사용하는 한의원 또는 건강보조제 제조 업체들에 대한 불신으로 확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인삼 및 산양산삼의 생육환경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재배시설을 제공함으로써, 노지 및 수경재배 시설에서의 종래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방법에 따른 인삼 및 산양산삼 품질의 불균일성, 외부환경 요소에 따른 수확량의 편차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인삼 및 산양산삼의 재배 현황 및 재배시설 내에서 생육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의 생육 상태를 인삼 및 산양산삼의 수요처에 공개함으로써 인삼 및 산양산삼의 원산지에 대한 불신을 줄이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은 외부의 자연광이 차단된 재배실, 재배실 내에 배치되고 묘삼이 정식되는 토양이 수용된 재배조, 재배조 위에 배치되어 묘삼의 잎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재배실 내에 배치되어 재배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재배 환경 정보 수집부,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제어하는 광도 제어부, 재배실 내부에 배치되어 재배조에 정식된 묘삼을 촬영하는 비디오 카메라,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비디오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서버, 및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광원은 청색 LED 및 적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광도 제어부는 측정 온도가 30℃를 초과하면 광원의 밝기를 6,000lx 내지 8,000lx가 되도록 제어하며, 30℃ 이하에서는 12,000lx 내지 18,000lx가 되도록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고 비디오 카메라로에 의해 촬영된 묘삼의 비디오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은, 재배실 내에 배치된 냉난방부,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재배실 내의 온도를 15℃ 내지 20℃로 유지하도록 냉난방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냉난방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삼 및 산양산삼재배 시스템은,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는 재배실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에 따라 재배실 내부의 대기를 환기할 수 있도록 재배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재배실 내부로 송풍하는 환풍유닛, 및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에 따라 환풍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환풍유닛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및 산양산삼재배 시스템은 재배조 내의 토양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는 재배조 내의 토양의 상태를 측정하는 토양상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토양상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토양의 상태정보에 따라 양액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양액공급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양액 공급부와 토양상태 센서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토양상태 센서는 토양의 산성도(pH) 및 함수율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재배환경 정보를 기록하고 재배환경 정보 기록을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재배환경 정보는 재배실 내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 및 토양의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에 의해 재배된 인삼 및 산양산삼을 구매하려는 자 또는 이러한 인삼 및 산양산삼의 재배를 위탁한 자는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재배환경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재배되는 인삼 및 산양산삼에 대한 신뢰가 확보될 수 있다.
광원은 하나 이상의 황색 L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은, 외부의 자연광이 차단된 재배실, 재배실 내에 배치되고 묘삼이 정식되는 토양이 수용된 재배조, 재배조 위에 배치되어 묘삼의 잎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제어하는 광도 제어부, 재배실 내부에 배치되어 재배조에 정식된 묘삼을 촬영하는 비디오 카메라,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비디오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서버, 및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광원은 청색 LED 및 적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광도 제어부는 묘삼의 전엽기에는 광원의 밝기를 6,000lx 내지 8,000lx가 되도록 제어하며, 묘삼의 전엽 완료 후에는 6,000lx 내지 18,000lx가 되도록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며 비디오 카메라로에 의해 촬영된 묘삼의 비디오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또한, 재배실 내에 배치되어 재배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재배 환경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묘삼의 전엽 완료 후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30℃를 초과하면 광원의 밝기를 6,000lx 내지 8,000lx가 되도록 제어하며, 30℃ 이하에서는 12,000lx 내지 18,000lx가 되도록 광원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재배실 내에 배치된 냉난방부,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묘삼의 전엽기에는 재배실 내의 온도를 15℃ 내지 23℃로 유지하고, 묘삼의 전엽 완료 후에는 재배실 내의 온도를 18℃ 내지 25℃로 유지하도록 냉난방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냉난방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는 재배실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재배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재배실 내부로 송풍하는 환풍유닛, 및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에 따라 환풍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환풍유닛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재배조 내의 토양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는 재배조 내의 토양의 상태를 측정하는 토양상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토양상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토양의 상태정보에 따라 양액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양액공급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토양상태 센서는 토양의 산성도(pH) 및 함수율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의 서버는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재배환경 정보를 기록하고 재배환경 정보 기록을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수 있다.
재배환경 정보는 재배실 내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 및 토양의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원은 하나 이상의 황색 L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은 인삼 및 산양산삼의 생육환경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재배시설을 제공함으로써, 노지 및 수경재배 시설에서의 종래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방법에 따른 인삼 및 산양산삼 품질의 불균일성, 외부환경 요소에 따른 수확량의 편차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인삼 및 산양산삼의 재배 현황 및 재배시설 내에서 생육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의 생육 상태를 인삼 및 산양산삼의 수요처에 공개함으로써 인삼 및 산양산삼의 원산지에 대한 불신을 줄임으로써 인삼 및 산양산삼을 소비하는 소비자 및 인삼 및 산양산삼의 재배를 위탁한 자가 인삼 및 산양산삼의 품질 및 원산지에 대해 신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삼 및 산양산삼재배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도 1의 인삼 및 산양산삼재배 시스템의 광도 조절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인삼 및 산양산삼재배 시스템의 또 다른 광도 조절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통신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의 서버에 의해 전송된 재배환경 정보가 표시된 도 1의 클라이언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보다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징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면들에 있어서, 각 장치 영역들의 크기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또한 각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다양한 부가 장치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은 재배실(100), 재배실(100) 내에 배치되고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를 위한 토양(111)이 담긴 재배조(110), 광원부(120),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130), 광도 제어부(140), 비디오 카메라(150),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400), 서버(200), 클라이언트(300)를 포함한다.
재배실(100)은 외부의 자연광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재배조(110)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를 위한 토양(111)을 수용하고 있으며, 재배실(100) 내부에 배치된다.
재배조(110)의 상부에는 재배조(110)에 정식된 묘삼(112)의 광합성에 필요한 빛을 제공하는 광원부(120)가 배치된다. 광원부(120)는 다수의 광원(121)을 포함하는데, 광원(121)들은 LED 램프(121)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LED 램프(121)들은, 재배조(110)에 정식된 인삼 및 산양산삼에 특정 파장의 빛을 조명한다.
광원(121)들은, 경우에 따라 백열등, 형광등, 기타 다른 조명장치고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LED 램프(121)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LED 램프(121)는, 인삼 및 산양산삼의 엽록소 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파장(440㎚, 655㎚)과, 인삼 및 산양산삼의 광합성 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파장(430㎚, 670㎚)과, 인삼 및 산양산삼의 신장 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는 파장(780㎚)의 빛을 조명할 수 있는 램프, 즉 청색계열과 적색계열의 LED 램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광원을 사용함으로써 인삼 및 산양산삼의 생장속도를 증진시키고, 인삼 및 산양산삼의 생장기간을 단축시킨다.
황색광은 인삼 및 산양산삼의 내병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병충해를 줄이기 위해 광원부(120)에 황색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추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130)는 온도센서(131)를 포함한다. 온도센서(131)는 재배실(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다.
광도 제어부(140)는 온도센서(131)에서 측정된 온도 정보를 기초로 광원부(120)의 광원(121)의 밝기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온도센서(131) 및 광도 제어부(140)가 광원(121)의 밝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온도센서(131)가 재배실(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온도값은 광도 제어부(140)에 의해 수신되고, 광도 제어부(140)는 측정된 온도가 30℃를 초과하면 광원(121)의 밝기를 6,000lx 내지 8,000lx가 되도록 제어한다. 만약 측정된 온도가 30℃ 이하인 경우에는 12,000lx 내지 18,000lx가 되도록 광원(121)의 밝기를 제어한다.
인삼 및 산양산삼의 광합성 효율은 온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이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호흡량이 증가하여 순광합성량이 포화되는 현상과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낮은 광도에서 순광합성량이 포화되므로, 높은 온도에서는 광원(121)의 광도를 광합성량이 포화되는 정도로 낮춤으로써 재배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재배 시스템은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에 사용되는 광원(121)의 에너지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배실(100) 내부의 온도에 따라 광원(121)의 광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인삼 및 산양산삼은 생육 단계에 따라 광합성 효율이 최대가 되는 광도가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뇌두 안의 잠아는 줄기, 잎, 꽃의 모든 구조를 갖추고서 출아하여 지상으로 나온 지상부의 줄기가 바로 서고 말려있던 잎이 활짝 전개되어 광합성을 시작할 수 있는 시기인 전엽기에는 광강도 6,000~8,000lx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인삼 및 산양산삼의 전엽 완료 후에는 온도에 따라 광강도 6,000~18,000lx의 범위에서 광합성이 최대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은 재배조(110)에 정식된 묘삼(112)의 생육 단계에 따라 광원(121)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세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광원(121)의 제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묘삼(112)이 전엽기인 경우, 광도 제어부(140)는 광원(121)의 광도를 6,000~8,000lx가 되도록 제어한다. 묘삼(112)이 전엽 완료된 경우, 광도 제어부(140)는 광원(121)의 광도를 6,000~18,000lx가 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온도센서(131)에 의해 측정된 재배실(100) 내부의 온도가 30℃ 이하이면 12,000~18,000lx가 되도록 광원(121)의 광도를 제어하고, 30℃를 넘으면 6,000~8,000lx가 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은 이산화탄소 농도센서(132) 및 토양상태 센서(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농도센서(132)는 재배실(100) 내부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고, 토양상태 센서(133)는 재배조(110) 내의 토양(111)의 산성도(pH) 및 함수율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은 재배실(100) 내에 배치된 냉난방부(160) 및 냉난방부(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냉난방 제어부(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난방부(160)는 에어컨디셔너 또는 온풍기 등의 냉난방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열을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등을 포함한다.
냉난방 제어부(161)는 온도센서(131)와 연결되어 온도센서(131)로부터 재배실(100) 내부의 온도에 관한 측정값을 수신하고, 측정된 온도에 따라 재배실(100) 내부의 온도롤 조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냉난방 제어부(161)는 묘삼(112)의 전엽기에는 재배실(100) 내의 온도를 15℃ 내지 23℃로 유지하고, 묘삼(112)의 전엽 완료 후에는 재배실(100) 내의 온도를 18℃ 내지 25℃로 유지하도록 냉난방부(16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은 재배조(110) 내의 토양(111)에 인삼 및 산양산삼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양액공급부(180) 및 양액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양액공급 제어부(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액공급부(180)는 인삼 및 산양산삼의 생육에 필요한 물, 양분 및 토양(111)의 산성도를 조절하기 위한 용액 등이 포함된 양액을 저장하고 있으며, 공급관을 통해 양액을 토양(111)에 공급한다. 공급관에는 양액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181)가 제공된다.
양액공급 제어부(182)는 토양(111) 상태 센서와 연결되어 토양상태 센서(133)에 의해 측정된 토양(111)의 산성도 및 함수율 등의 정보를 수신한다. 양액공급 제어부(182)는 토양(111)의 산성도 및 함수율 등의 정보를 기초로 밸브(181)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양액의 공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토양(111)의 함수율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 토양(111) 내의 인삼 및 산양산삼 뿌리가 부패할 염려가 있으므로 함수율이 적정치로 떨어질 때까지 양액 공급 밸브(181)를 잠가 양액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및 산양산삼재배 시스템은 이산화탄소 농도센서(132)와 연결된 환기 제어부(171) 및 환기 제어부(171)와 연결된 환기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기부(170)는 재배실(100) 내부의 대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미도시) 및 재배실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교환하는 환풍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환기 제어부(171)는 이산화탄소 농도센서(132)에 의해 측정된 이산화탄소 측정값에 따라 순환팬 및 환풍팬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환기 제어부(171)는 인삼 및 산양산삼의 광합성에 적당한 이산화탄소 농도 500~1,000ppm을 유지하도록 환기부(1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비디오 카메라(150)는 재배조(110) 및 재배조(110)에 정식된 묘삼(112)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서버(200)는 비디오 카메라(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비디오 카메라(150)의 동작, 예컨대 비디오 카메라(150)의 턴-온, 턴-오프, 줌-인, 줌-아웃 등의 동작을 제어하며, 비디오 카메라(150)가 촬영한 비디오를 수신한다. 서버(200)는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130)와 연결되어 있으며,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130)에서 수집된 재배환경 정보를 수신한다.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400)는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임의의 통신 네트워크(400)로, 특히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 가능한 광대역 네트워크, 즉 인터넷 또는 무선 데이터 패킷 통신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300)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에서 재배 중인 인삼 및 산양산삼의 현황을 요청하는 고객이 사용하는 통신 장치로서,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 또는 무선 데이터 패킷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스마트폰, 태블릿, PDA 등의 모바일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의 서버(200)와 클라이언트(300)의 통신 및 그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클라이언트(300)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버(200)에 서비스를 요청한다(S100). 서비스 요청을 받은 서버(200)는 비디어 카메라(150)가 재배조(110) 및 재배조(110)에 정식된 묘삼(112)을 촬영하라는 지시를 비디오 카메라(150)에 전달한다(S200). 촬영 개시 지시를 받은 비디오 카메라(150)는 재배조(110) 내의 인삼 및 산양산삼(112)을 촬영하고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를 서버(200)에 전송한다.(S300). 동시에, 서버(200)는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130)로부터 재배환경 정보를 전송 받는다. 서버(200)는 비디오 카메라(150)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데이터 및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130)로부터 전송된 재배환경 정보를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클라이언트(300)에 전송한다(S400).
클라이언트(300)의 사용자는 전송된 비디오 및 재배환경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인삼 및 산양산삼의 재배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클라이언트(300)는 필요한 경우, 예컨대 비디오 카메라(150)의 줌-인, 줌-아웃 등의 추가적 동작이 필요한 경우 이를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서버(200)는 추가적 요청에 응답하여, 예컨대 카메라(150)의 줌-인, 줌-아웃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서버에 의해 전송된 재배환경 정보가 표시된 도 1의 클라이언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및 재배환경 정보는 클라이언트(3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클라이언트(300)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및 재배환경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자신이 주문하거나 재배를 위탁한 인삼 및 산양산삼의 생육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재배실 110 : 재배조
120 : 광원부 130 :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
140 : 광원 제어부 150 : 비디오 카메라
160 : 냉난방부 170 : 환기부
180 : 양액공급부 200 : 서버
300 : 클라이언트 400 : 데이터통신 네트워크

Claims (23)

  1. 외부의 자연광이 차단된 재배실;
    상기 재배실 내에 배치되고 묘삼이 정식되는 토양이 수용된 재배조;
    상기 재배조 위에 배치되어 상기 묘삼의 잎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재배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재배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재배 환경 정보 수집부;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제어하는 광도 제어부;
    상기 재배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재배조에 정식된 묘삼을 촬영하는 비디오 카메라;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상기 비디오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서버; 및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300)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은 청색 LED 및 적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광도 제어부는 상기 측정 온도가 30℃를 초과하면 상기 광원의 밝기를 6,000lx 내지 8,000lx가 되도록 제어하며, 30℃ 이하에서는 12,000lx 내지 18,000lx가 되도록 상기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비디오 카메라로에 의해 촬영된 묘삼의 비디오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실 내에 배치된 냉난방부;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재배실 내의 온도를 15℃ 내지 20℃로 유지하도록 상기 냉난방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냉난방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는 상기 재배실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상기 재배실 내부로 송풍하는 환풍유닛; 및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농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상기 환풍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환풍유닛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조 내의 토양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는 상기 재배조 내의 토양의 상태를 측정하는 토양상태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상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토양의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양액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양액공급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상태 센서는 상기 토양의 산성도 및 함수율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재배환경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재배환경 정보 기록을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환경 정보는 재배실 내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상기 토양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하나 이상의 황색 LE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12. 외부의 자연광이 차단된 재배실;
    상기 재배실 내에 배치되고 묘삼이 정식되는 토양이 수용된 재배조;
    상기 재배조 위에 배치되어 상기 묘삼의 잎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제어하는 광도 제어부;
    상기 재배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재배조에 정식된 묘삼을 촬영하는 비디오 카메라;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상기 비디오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서버; 및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은 청색 LED 및 적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광도 제어부는 상기 묘삼의 전엽기에는 상기 광원의 밝기를 6,000lx 내지 8,000lx가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묘삼의 전엽 완료 후에는 6,000lx 내지 18,000lx가 되도록 상기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비디오 카메라로에 의해 촬영된 묘삼의 비디오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재배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재배 환경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묘삼의 전엽 완료 후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30℃를 초과하면 상기 광원의 밝기를 6,000lx 내지 8,000lx가 되도록 제어하며, 30℃ 이하에서는 12,000lx 내지 18,000lx가 되도록 상기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실 내에 배치된 냉난방부;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묘삼의 전엽기에는 상기 재배실 내의 온도를 15℃ 내지 23℃로 유지하고, 상기 묘삼의 전엽 완료 후에는 상기 재배실 내의 온도를 18℃ 내지 25℃로 유지하도록 상기 냉난방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냉난방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는 상기 재배실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농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상기 재배실 내부로 송풍하는 환풍유닛; 및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상기 환풍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환풍유닛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조 내의 토양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는 상기 재배조 내의 토양의 상태를 측정하는 토양상태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상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토양의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양액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양액공급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상태 센서는 상기 토양의 산성도 및 함수율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재배환경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재배환경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재배환경 정보 기록을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환경 정보는 재배실 내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상기 토양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하나 이상의 황색 LE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및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KR1020120114294A 2012-10-15 2012-10-15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KR101457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294A KR101457379B1 (ko) 2012-10-15 2012-10-15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294A KR101457379B1 (ko) 2012-10-15 2012-10-15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928A true KR20140047928A (ko) 2014-04-23
KR101457379B1 KR101457379B1 (ko) 2014-11-03

Family

ID=50654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294A KR101457379B1 (ko) 2012-10-15 2012-10-15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37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966A (ko) 2014-06-09 2016-12-21 가부시키가이샤 쓰무라 고려인삼의 재배 방법
KR20180062018A (ko) 2016-11-30 2018-06-08 윤용길 배지묘삼의 재배방법
GR20170100134A (el) * 2017-03-30 2018-10-31 Τεχνολογικο Εκπαιδευτικο Ιδρυμα Ανατολικης Μακεδονιας Και Θρακης Οικιακο θερμαινομενο σποριο
KR20200083088A (ko)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이콘비즈 다년생 작물 재배 시스템
WO2022059856A1 (ko) * 2020-09-18 2022-03-24 주식회사 애그유니 모듈형 토양관제화 식물재배기
KR20220096271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지능디자인 뿌리 작물의 수경재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254B1 (ko) * 2008-06-27 2010-05-25 대한민국 청정수삼 및 인삼 엽 생산방법
KR20110079483A (ko) * 2009-12-31 2011-07-07 (주)와이즈산전 유비쿼터스 식물공장 환경조절 시스템
KR20120064763A (ko) * 2010-12-10 2012-06-2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인삼 재배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966A (ko) 2014-06-09 2016-12-21 가부시키가이샤 쓰무라 고려인삼의 재배 방법
CN106413380A (zh) * 2014-06-09 2017-02-15 株式会社津村 人参的栽培方法
CN106413380B (zh) * 2014-06-09 2019-11-12 株式会社津村 人参的栽培方法
KR20180062018A (ko) 2016-11-30 2018-06-08 윤용길 배지묘삼의 재배방법
GR20170100134A (el) * 2017-03-30 2018-10-31 Τεχνολογικο Εκπαιδευτικο Ιδρυμα Ανατολικης Μακεδονιας Και Θρακης Οικιακο θερμαινομενο σποριο
KR20200083088A (ko)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이콘비즈 다년생 작물 재배 시스템
WO2022059856A1 (ko) * 2020-09-18 2022-03-24 주식회사 애그유니 모듈형 토양관제화 식물재배기
KR20220096271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지능디자인 뿌리 작물의 수경재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379B1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379B1 (ko) 인삼 또는 산양산삼 재배 시스템
US20160000020A1 (en) Cultivation system, cultivation program, and cultivation method
JP4876439B2 (ja) 植物育成情報の提供方法
Hovi et al. Interlighting improves production of year-round cucumber
US20170027112A1 (en) Modular indoor farm
KR20130041702A (ko) 가변형 인공광원을 이용한 온실내 딸기재배방법 및 시스템
CN103026878A (zh) 一种苜蓿芽苗菜的培植方法
Merrill et al. Next evolution of agriculture: A review of innovations in plant factories
CN102461456A (zh) 无土栽培牧草种植系统
US20220408673A1 (en) Closed-loop, pressurized and sterile, controlled micro-environment cultivation
CN105830685A (zh) 一种运用led植物灯进行黄瓜育苗的技术
Harun et al. WSN application in LED plant factory using continuous lighting (CL) method
CN107065797A (zh) 一种植物栽培系统及其栽培方法
WO2019227680A1 (zh) 一种提高植物工厂内叶菜类蔬菜Vc含量的方法
CN105766506A (zh) 一种基于无自然光条件下led植物灯的水稻培育技术
CN101743866A (zh) 植物培养箱
JP7127067B2 (ja) 作物を栽培する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CN109601374B (zh) 利用植物全生育期育种工厂开展水稻杂交育种的方法
KR20120119126A (ko) 식물생육 조절장치
JP2002345337A (ja) 人工光を用いたイネ科植物の育苗装置
Falah et al. Controlled environment with artificial lighting for hydroponics production systems.
Fleming et al. Controlled environments for cannabis cultivation to support “omics” research studies and production
WO2022210552A1 (ja) 苗の育苗方法、育苗システム及び苗
JP7367482B2 (ja) 苗木生育方法及び苗木生育システム
TWM551815U (zh) 模擬自然環境之植物植栽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