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911A - 지붕 구조를 갖는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지붕 구조를 갖는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911A
KR20140047911A KR1020120114253A KR20120114253A KR20140047911A KR 20140047911 A KR20140047911 A KR 20140047911A KR 1020120114253 A KR1020120114253 A KR 1020120114253A KR 20120114253 A KR20120114253 A KR 20120114253A KR 20140047911 A KR20140047911 A KR 20140047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ost
posts
vertica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직
Original Assignee
이홍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직 filed Critical 이홍직
Priority to KR1020120114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7911A/ko
Publication of KR20140047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9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1912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cubical connect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연장, 전시장, 집회장, 광고탑, 창고, 농작물 재배 하우스 등의 건축물로 사용되는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포스트들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의 부재를 최소로 모듈화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각 포스트들의 개별적인 유지보수뿐만 아니라 공간의 확장 및 축소에 따른 구조 변경이 용이한 지붕 구조를 갖는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수직 혹은 수평 포스트들이 사방 결합면에서 수직 결합되게 육면체 형상되는 제1 연결유닛과; 수직 혹은 수평 포스트들이 사방 결합면에서 수직 결합되되, 하나의 경사 포스트가 결합되게 제1 경사면을 갖는 제2 연결유닛과; 수직 혹은 수평 포스트들이 사방 결합면에서 수직 결합되되, 대칭 구조를 이루는 2개의 경사 포스트가 결합되게 제1,2 경사면을 갖는 제3 연결유닛; 및 상기 제1,2,3 연결유닛의 선택된 결합면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수직, 수평 혹은 경사 포스트에 삽입 결합되는 연결블록으로 이루어진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지붕 구조를 갖는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Connecting device for assemblable truss structure}
본 발명은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닛화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트러스 구조물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확장 및 축소에 따른 트러스 구조물의 구조 변경이 용이한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장, 공연장, 전시장, 집회장, 광고탑, 창고, 농작물 재배 하우스, 축사 등의 건축물은 다수개의 포스트들을 서로 연결하여 입체구조를 이루는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이 많이 이용된다.
도 1은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의 한 형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은 골조 기능을 하는 포스트(1,2,3)들의 끝단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연결유닛(5)을 이용하여 연결부분을 서로 결합시켜 하나의 구조체를 제작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 트러스 구조물을 구성하는 포스트(1,2,3)들의 맞대어지는 위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연결유닛(5-1,2,3,4,5,6,7)들을 필요로 하게 된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구조를 이루는 지붕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경사 포스트(3)를 연결하기 위한 더욱 더 많은 수의 연결유닛들을 필요로 하게 된다.
즉, 수직 포스트(1)와 수직 포스트(1)의 연결부분, 수직 포스트(1)와 수평 포스트(2)의 연결부분, 수평 포스트(2)와 수평 포스트(2)의 연결부분, 수직 포스트(1)와 수평 포스트(2)의 교차부분, 수직 혹은 수평 포스트(1)(2)와 경사 포스트(3)의 연결부분, 그리고 경사 포스트(3)와 경사 포스트(3)의 연결부분에서 각각 서로 다른 연결유닛(5-1,2,3,4,5,6,7)들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포스트(1,2,3)들의 연결부분마다 매번 서로 다른 연결유닛들을 제작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현장에서 조립 시 매번 서로 다른 조립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스트(1,2,3)들의 연결부분마다 서로 다른 형태의 연결유닛들이 구성되기 때문에, 전체 트러스 구조물의 균일한 강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트러스 구조물의 확장 및 축소에 따른 구조 변경을 고려할 경우에는 포스트(1,2,3)들의 연결부분의 변화에 따라 많은 수의 연결유닛(5-1,2,3,4,5,6,7)들이 준비되어야 하며, 이러한 이유로 항상 여유분의 연결유닛(5-1,2,3,4,5,6,7)들을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하나의 연결유닛(5-1,2,3,4,5,6,7)을 해제하게 되면, 하나의 연결유닛으로 연결되어 있는 주위 포스트(1,2,3)들이 모두 분리되어, 연결유닛의 분리 및 재결합에 따른 작업 공정에 불편함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경사진 지붕을 가지는 트러스 구조물의 제작 시 포스트들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의 부재를 최소로 모듈화하여 제작비용을 줄이고,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트러스 구조물의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지붕 구조를 갖는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트러스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포스트들의 개별적인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수평방향 및 높이방향에 대한 공간의 확장 및 축소에 따른 구조 변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지붕 구조를 갖는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경사진 지붕 구조에 대한 공간의 확장 및 축소에 따른 구조 변경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지붕 구조를 갖는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포스트들의 연결부분에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지붕 구조를 갖는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수직, 수평 및 경사 포스트를 서로 연결하는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 혹은 수평 포스트들이 사방 결합면에서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육면체 형상되는 제1 연결유닛;
상기 수직 혹은 수평 포스트들이 사방 결합면에서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육면체 형성되되, 사방 결합면들 중 하나의 결합면에는 상기 경사 포스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경사면을 구비하는 제2 연결유닛;
상기 수직 혹은 수평 포스트들이 사방 결합면에서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육면체 형성되되, 사방 결합면들 중, 대칭 구조를 이루는 양쪽 결합면에는 상기 경사 포스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2 경사면을 구비하는 제3 연결유닛; 및
상기 제1,2,3 연결유닛의 선택된 결합면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수직, 수평 혹은 경사 포스트에 삽입 결합되는 연결블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많은 수의 연결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고 모듈화된 제1,2,3 연결유닛으로부터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체계적인 조립으로부터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트러스 구조물의 조립을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3 연결유닛에 의해 각 포스트들의 개별적인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각 포스트들의 개별적인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각 포스트들의 개별적인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수평 혹은 높이방향에 대한 공간의 확장 혹은 축소의 구조 변경을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경사 결합면을 구비하는 제2,3 연결유닛에 의해 경사진 지붕 구조에 대한 공간의 확장 및 축소에 따른 구조 변경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의 한 형태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의 한 형태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포스트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연결블록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제1 연결유닛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제1 연결유닛과 연결블록이 결합상태를 보이는 부분 단면도.
도 7은 제2 연결유닛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제2 연결유닛과 연결블록이 결합상태를 보이는 부분 단면도.
도 9는 П제3 연결유닛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10은 제3 연결유닛과 연결블록이 결합상태를 보이는 부분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의 형태를 보이는 실시 예.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히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의 한 형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제1,2,3 연결유닛(10,20,30)과 연결블록(50:도 4참조)을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3가지 타입의 제1,2,3 연결유닛(10,20,30)들이 상기 연결블록(50)을 매개로 수직, 수평 및 경사 포스트(1)(2)(3)들을 서로 연결하며, 지붕 구조를 갖는 트러스 구조물을 완성하게 된다.
도 3은 포스트(1)(2)(3)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하면 포스트(1)(2)(3)는 П자형 단면을 갖는 포스트(1)(2)(3)를 보이고 있으나, 이와 달리 공지의 포스트와 마찬가지 L자형, П자형, C자형, 사각형, 원형 구조의 단면을 갖는 포스트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직, 수평 및 경사 포스트(1)(2)(3)는 서로 다른 형태의 것을 사용할 필요 없이 모두 동일한 포스트를 이용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포스트(1)(2)(3)의 명칭에서 수직, 수평 및 경사로 각각 분리하여 부여한 이유는 설명 상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설치 상태를 고려하여 부여한 것일 뿐이다.
그리고 각 포스트(1)(2)(3)들의 끝단부에는 후술되는 연결블록(50)과 제2 고정구(9)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103)이 모두 동일하게 가공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포스트(1)(2)(3)들은 일정 길이를 가지는 미리 제작되는 것으로, 현장에서 실제 조립 시 구조물의 크기에 부합하여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2 고정구(9)가 체결되는 체결공(103)을 현장에서 포스트(1)(2)(3)의 절단된 끝단부에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현장에서 매번 가공할 필요 없이 각 포스트(1)(2)(3)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체결공(103)을 미리 가공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블록(50)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블록(50)은, 상기 포스트(1)(2)(3)의 끝단부와 제2 고정구(9)에 의하여 결합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연결블록(50)은 포스트(1)(2)(3)의 끝단부와 외측면이 면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포스트(1)(2)(3)의 끝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П자형 단면을 갖는 포스트(1)(2)(3)의 끝단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대응하여 П자형 단면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참고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L자형 단면의 포스트에는 L자형 단면을 갖도록, C자형 단면의 포스트에는 C자형 단면을 갖도록, 사각형 단면의 포스트에는 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원형 단면의 포스트에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연결블록(50)에는 포스트(1)(2)(3)의 끝단부의 삽입된 상태에서 포스트(1)(2)(3)에 형성된 체결공(103)과 대응하는 체결공(503)이 형성된다.
그리고 포스트(1)(2)(3)의 끝단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을 향하는 연결블록(50)의 일단은, 후술되는 제1,2,3 연결유닛(10,20,30)과 결합 시 면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2,3 연결유닛(10,20,30)에 형성된 결합면(11,31: 도 5 내지 7참조)과 대응하는 결합면(51)을 끝단에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면(51)은 주변부에 단턱(512)이 형성되도록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면(51)의 중앙부에는 나사 체결공(510)이 형성된다.
결국 이와 같이 하나의 유닛구조를 이루는 연결블록(50)을 이용하여, 후술되는 제1,2,3 연결유닛(10,20,30)과 포스트(1)(2)(3)의 연결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미 설명 부호 "505"는 "보강리브"이다.
도 5는 제1 연결유닛(10)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6은 제1 연결유닛(10)과 연결블록(50)이 결합상태를 보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연결유닛(10)은, 수직 포스트(1)와 수직 포스트(1)를 서로 연결하거나, 수평 포스트(2)와 수평 포스트(2)를 연결하거나, 혹은 수직 포스트(1)와 수평 포스트(2)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이다.
즉, 이러한 제1 연결유닛(10)은 수직 포스트(1) 혹은 수평 포스트(2)가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결국 사방 면에 동일 구조를 이루는 6개의 결합면(11)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각 결합면(11)은 제1 연결유닛(10)의 사방 면으로부터 음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블록(50)의 양각 형성된 결합면(51)과 대응하도록 주변부에 홈턱(112)이 형성된다.
결국 제1 연결유닛(10)의 각 결합면(11)과 연결블록(50)의 결합면(51)이 면 결합된 상태에서 홈턱(112)과 단턱(512)이 면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유닛(10)의 결합면(11)에 연결블록(5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1 연결유닛(10)과 연결블록(50)의 외면에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단차는 포스트(1,2,3)의 두께에 해당하게 되며, 차후 포스트(1,2,3)가 결합된 상태에서 포스트(1,2,3)의 끝단면이 제1 연결유닛(10)의 결합면에 정확히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제1 연결유닛(10)과 연결블록(50)의 맞닿는 결합부가 소정 깊이로 삽입되어 면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1 연결유닛(10)에 연결블록(50)이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블록(50)의 튀틀림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조립 과정에서도 작업자가 제1 연결유닛(10)에 형성된 체결공(110)을 향해 연결블록(50)에 형성된 체결공(510)을 세밀하게 일치시킬 필요 없이, 제1 연결유닛(10)의 홈턱(112)에 연결블록(50)의 단턱(512)을 일치시킴과 동시에 체결 위치가 정확히 일치된다.
또한 사방 명에 형성된 결합면(51)에 대하여 연결블록(50)이 독립적으로 분리 및 결합됨으로써, 제1 연결유닛(10)에 연결된 다수개의 포스트(1)(2)(3)들에 대한 개별적인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며, 이로 인한 포스트(1)(2)(3)들의 개별적인 유지보수의 이점이 발생됨은 물론 트러스 구조물의 확장 및 축소에 따른 구조 변경이 매우 용이한 이점이 발생된다.
도 7은 제2 연결유닛(20)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8은 제2 연결유닛(20)과 연결블록(50)이 결합상태를 보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연결유닛(20)은, 수직 포스트(1)와 수직 포스트(1)를 서로 연결하거나, 수평 포스트(2)와 수평 포스트(2)를 연결하거나, 혹은 수직 포스트(1)와 수평 포스트(2)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이며, 특히 주요 특징부로써 제2 연결유닛(20)은 하나의 경사 포스트(3)를 포함하여 연결시킨다.
즉, 이러한 제2 연결유닛(20)은 수직 포스트(1) 혹은 수평 포스트(2)가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사방 결합면(11)들 중 하나의 결합면에는 경사 포스트(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 각도의 기울어지게 형성된 제1 경사면(21)을 포함한다.
결국 제2 연결유닛(20)은 육면체 형상의 상기 제1 연결유닛(10)과 동일한 구조를 유지하되, 하나의 경사 포스트(3)를 연결하기 위한 제1 경사면(21)을 포함한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제2 연결유닛(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구조물을 구성하는 지붕 구조물의 사방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면(21)의 경사각도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제1 경사면(21)의 경사각도에 따라서 지붕 구조물이 급격한 경사구조를 이루거나 혹은 완만한 경사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경사면(21)을 포함한 제2 연결유닛(40)의 각 결합면(11) 역시 제1 연결유닛(10)과 마찬가지 사방 면으로부터 음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블록(50)의 양각 형성된 결합면(51)과 대응하도록 주변부에 홈턱(112)이 형성된다.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제3 연결유닛(30)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10은 제3 연결유닛(30)과 연결블록(50)이 결합상태를 보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연결유닛(30)은, 수직 포스트(1)와 수직 포스트(1)를 서로 연결하거나, 수평 포스트(2)와 수평 포스트(2)를 연결하거나, 혹은 수직 포스트(1)와 수평 포스트(2)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이며, 특히 주요 특징부로써 제3 연결유닛(30)은 두개의 경사 포스트(3)를 포함하여 연결시킨다.
즉, 이러한 제3 연결유닛(30)은 수직 포스트(1) 혹은 수평 포스트(2)가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사방 결합면(11)들 중 대칭 구조를 이루는 양쪽 결합면에는 경사 포스트(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2 경사면(31,33)을 포함한다.
결국 제3 연결유닛(30)은 육면체 형상의 상기 제1 연결유닛(10)과 동일한 구조를 유지하되, 양쪽으로 대칭 구조를 이루는 두개의 경사 포스트(3)를 연결하기 위한 제1,2 경사면(31,33)을 포함한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제3 연결유닛(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구조물을 구성하는 지붕 구조물의 최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호 대칭 구조를 이루는 제1,2 경사면(31,33)의 경사각도는 상기 제2 연결유닛(20)의 제1 경사면(21)과 마찬가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제1,2 경사면(31,33)의 경사각도에 따라서 지붕 구조물이 급격한 경사구조를 이루거나 혹은 완만한 경사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제2 연결유닛(20)의 제1 경사면(21)의 경사각도와, 제3 연결유닛(30)의 제1,2 경사면(31,33)의 경사각도는 서로 동일한 기울기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1,2 경사면(31,33)을 포함한 제3 연결유닛(30)의 각 결합면(11) 역시 제1 연결유닛(10)과 마찬가지 사방 면으로부터 음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블록(50)의 양각 형성된 결합면(51)과 대응하도록 주변부에 홈턱(112)이 형성된다.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1과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지붕 구조를 갖는 트러스 구조물에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의 확장된 구조의 트러스 구조물을 보이고 있다.
예컨대 도 11과 같이 다수개의 지붕을 갖는 트러스 구조물로 확장하고자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지붕의 사방 모서리에 구성된 제2 연결유닛(20)을 분리한 다음 제3 연결유닛(30)으로 대체함으로써, 다수개의 지붕 구조를 갖는 트러스 구조물의 연속된 확장이 가능하다.
아울러 도 12와 같이 지붕을 구성하는 경사 포스트(3)와 경사 포스트(3)의 사이에 수평 포스트(2)를 연결시킴으로써, 도 2에 도시된 트러스 구조물에 비하여 넓은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지붕 구조에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경사 포스트(3)와 경사 포스트(3)의 사이에 수평 포스트(2)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제3 연결유닛(30)을 분리한 다음 제2 연결유닛(20)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수직 포스트 (2) : 수평 포스트
(3) : 경사 포스트 (8) : 제1 고정구
(9) : 제2 고정구 (10) : 제1 연결유닛
(11) : 결합면 (110) : 체결공
(112) : 홈턱 (20) : 제2 연결유닛
(21) : 제1 경사면 (30) : 제3 연결유닛
(31) : 제1 경사면 (33) : 제2 경사면
(50) : 연결블록 (51) : 결합면
(510) : 체결공 (512) : 단턱

Claims (3)

  1. 다수개의 수직, 수평 및 경사 포스트(1)(2)(3)를 서로 연결하는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 혹은 수평 포스트(1)(2)들이 사방 결합면(11)에서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육면체 형상되는 제1 연결유닛(10);
    상기 수직 혹은 수평 포스트(1)(2)들이 사방 결합면(11)에서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육면체 형성되되, 사방 결합면(11)들 중 하나의 결합면에는 상기 경사 포스트(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경사면(21)을 구비하는 제2 연결유닛(20);
    상기 수직 혹은 수평 포스트(1)(2)들이 사방 결합면(11)에서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육면체 형성되되, 사방 결합면(11)들 중, 대칭 구조를 이루는 양쪽 결합면에는 상기 경사 포스트(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2 경사면(31,33)을 구비하는 제3 연결유닛(30); 및
    상기 제1,2,3 연결유닛(10,20,30)의 선택된 결합면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수직, 수평 혹은 경사 포스트(1)(2)(3)에 삽입 결합되는 연결블록(50);
    으로 이루어진 것을 지붕 구조를 갖는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 연결유닛(10,20,30)의 각 결합면(11)은 상기 연결블록(50)의 결합면(51)이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음각으로 형성되어 주변부에 홈턱(112)이 형성되며,
    상기 홈턱(112)과 대응하도록 상기 연결블록(50)의 결합면(51)은 양각으로 형성되어 주변부에 단턱(5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구조를 갖는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 연결유닛(10,20,30)의 각 결합면(11) 중앙부와, 상기 연결블록(50)의 결합면(51) 중앙부에는, 제1 고정구(8)가 체결되는 체결공(110)(510)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구조를 갖는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
KR1020120114253A 2012-10-15 2012-10-15 지붕 구조를 갖는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 KR20140047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253A KR20140047911A (ko) 2012-10-15 2012-10-15 지붕 구조를 갖는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253A KR20140047911A (ko) 2012-10-15 2012-10-15 지붕 구조를 갖는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911A true KR20140047911A (ko) 2014-04-23

Family

ID=5065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253A KR20140047911A (ko) 2012-10-15 2012-10-15 지붕 구조를 갖는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791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04820A1 (de) 2014-04-22 2015-10-22 Mando Corporation Elektromotor
WO2019086733A1 (es) * 2017-10-30 2019-05-09 Gaptec 2011, S.L. Pieza para cambiar la orientación de un pilar en un sistema de construcción modular
KR20190110357A (ko) * 2018-03-20 2019-09-30 (주)골든포스트 조립식 건물의 지붕 구조물
KR20240044678A (ko) 2022-09-29 2024-04-05 올레팜 주식회사 조립형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트러스 모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04820A1 (de) 2014-04-22 2015-10-22 Mando Corporation Elektromotor
WO2019086733A1 (es) * 2017-10-30 2019-05-09 Gaptec 2011, S.L. Pieza para cambiar la orientación de un pilar en un sistema de construcción modular
KR20190110357A (ko) * 2018-03-20 2019-09-30 (주)골든포스트 조립식 건물의 지붕 구조물
KR20240044678A (ko) 2022-09-29 2024-04-05 올레팜 주식회사 조립형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트러스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807B1 (ko) 모듈형 플로어링 시스템
KR20140047911A (ko) 지붕 구조를 갖는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장치
KR101223458B1 (ko) 파티션 연결구조
KR101262852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US8835776B2 (en) Guideway mechanism
KR20160133080A (ko)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JP2019532204A (ja) 建築構造
JP6427120B2 (ja) 木造建築物の構造躯体の接合構造
KR20110136398A (ko) 고저압 수배전반, 분전반 및 모터제어반을 위한 판넬 조립용 장치
JP4092251B2 (ja) 建造物の躯体構造及び該躯体構造の施工方法
KR20140094399A (ko) 조립식 격자지보의 결합구조
US20200232203A1 (en) Structural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2436102B1 (ko) 조립형 비닐하우스 파이프 구조물
KR20200122154A (ko) 축사 건축용 파이프 연결장치
KR20130036487A (ko) 모듈러 건축물의 코너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21634B1 (ko) 조립식 구조물
JP2018123601A (ja) 間仕切り用パネル
JP6284101B2 (ja) 熨斗瓦設置構造
KR200325941Y1 (ko) 피.브이.씨 파이프 스페이셔
CN213206207U (zh) 一种十字形异型管组
JP5687919B2 (ja) 組立建物及び組立建物の施工方法
KR200178991Y1 (ko) 구조물용 조립부재
JP6950963B2 (ja) レール式免震装置の中間レールの井桁直交連結方法
JPH0351473Y2 (ko)
JP3178079U (ja) フェ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