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5782A -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 - Google Patents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5782A
KR20140045782A KR1020120111963A KR20120111963A KR20140045782A KR 20140045782 A KR20140045782 A KR 20140045782A KR 1020120111963 A KR1020120111963 A KR 1020120111963A KR 20120111963 A KR20120111963 A KR 20120111963A KR 20140045782 A KR20140045782 A KR 20140045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ntimicrobial
antibacterial
expanded polystyrene
polystyrene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1165B1 (ko
Inventor
이규봉
조영진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너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너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너지화학
Priority to KR1020120111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165B1/ko
Publication of KR20140045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포폴리스티렌(EPS) 수지의 비드 표면에 항균제와 코팅제로 항균코팅하여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을 제조함으로써 가공성 및 물성이 향상되고 동시에 항균 및 항곰팡이성이 우수하여 과일, 야채, 생선, 곡류 등의 농수산물 또는 가공식품의 포장, 보관 및 수송 시 장시간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어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패킹(Packing)용 완충제와 포도, 딸기, 어상자 등 각종 농수산물 식품의 포장용기 등에 활용할 수 있는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Anti-bacteria expanded polystyrene foam}
본 발명은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에 관한 것이다.
발포폴리스티렌(EPS) 수지는 현탁 중합한 후 수득된 폴리스티렌 비드에 발포제(pentane)를 압입하여 제조하는 발포성 수지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발포폴리스티렌(EPS) 수지는 발포 및 성형하여 건축단열재와 전자제품 패킹(Packing)용 완충제 및 포도, 딸기, 어상자 등 농수산물 상자(Box)포장 용기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는 과일, 야채 및 생선 등을 장기간 보관하거나, 여름철과 같이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는 각종 세균과 곰팡이균이 쉽게 침투하여 번식하면서 식품의 변질과 영양소의 파괴 등의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발포폴리스티렌(EPS) 수지를 원료로 가공 시 발포속도, 성형속도, 발포립의 배율, 수분 흡수성, 정전기, 융착, 블로킹(Blocking), 성형 시 표면퍼짐성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여 성형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한편 나노산화아연은 UV 차단성능, 투명성, 전기전도성, 항균성, 대전방지성 및 안전성 등에 유용하여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산업전반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나노산화아연은 항균 및 항곰팡이성 기능이 우수하여 살균제, 방부제, 세정제, 항균섬유, 항균플라스틱, 항균필름 및 항균필터 등의 항균력을 필요로 하는 제품들에 적용함으로써 탁월한 항균력을 보여주고 있다.
종래에는 항균력을 부여한 발포폴리스티렌에 대해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81409호는 5 ~ 150㎚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콜로이드실버를 초산비닐수지에 가하고 교반한 다음, 이 혼합물을 발포되지 아니한 발포폴리스티렌(EPS)에 콜로이드실버의 함량이 0.04 ~ 20ppm이 되도록 가하고 교반하며, 교반에 의하여 코팅이 완료된 비즈를 50도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시킨 다음, 건조된 비즈를 통상의 방법으로 1차 및 2차 발포시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성 스티로폼의 제조방법에 관해 제안되어 있어 항균력이 우수한 스티로폼을 얻을 수 있으나,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며 고가의 은을 사용함으로써 경제적 원가 상승부담으로 스티로폼의 가볍고 값이 저렴하다는 소비자 인식에 쉽게 접근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356924호에는 산화아연, 황산철, 살리실산, 벤조산 등을 혼합한 항균성 시약을 제조하여 1 차 발포된 발포폴리스티렌(EPS) 비드 원료에 직접 혼입하는 방식으로 제조된 과일 저장용 스티로폴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해 제안되어 있으나 무기시료 코팅으로 인해 융착 문제 등 제품 품질 및 생산성 문제를 해소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발포폴리스티렌을 원료로 가공 시 발생하는 발포속도, 성형속도, 발포립의 배율, 수분흡수성, 융착 등의 문제들을 해소하면서 농수산물의 패킹(Packing)용 상자에 항균 및 항곰팡이성 살균력을 가지는 기능을 부여하고 인체에 유익한 친환경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EPS) 수지에 대해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 산업계나 소비자의 웰빙 및 위생 측면에서 항균소재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이용한 제품의 성형 시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인 문제들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포폴리스티렌(EPS) 수지의 비드 표면에 항균제과 코팅제를 사용하여 항균코팅함으로써 항균력을 필요로 하는 포장재의 보존성 유지특성, 가공성 및 물성을 동시에 만족한다는 사실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폴리스티렌 수지의 비드표면이 항균코팅된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발포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항균제 0.05~0.5 중량부와 (a)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20~40 중량%, (b) 글리세롤 트리스테아레이트 10~30 중량% 및 (c) 징크 스테아레이트 40~60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제 0.1~0.5 중량부를 포함하는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은 발포폴리스티렌(EPS) 수지의 비드 표면에 항균제와 코팅제를 혼합하여 항균코팅함으로써 가공성 및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은 항균 및 항곰팡이성이 우수하여 과일, 야채, 생선, 곡류 등의 농수산물 또는 가공식품의 포장, 보관 및 수송 시 장시간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함으로써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패킹(Packing)용 완충제와 포도, 딸기, 어상자 등 각종 농수산물 식품의 포장용기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해 제조된 나노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수지를 이용하여 (a)~(d)에 대조시료(좌)와 실험시료(우)를 24시간 균배양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해 제조된 나노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수지를 이용하여 대조시료(좌)와 실험시료(우)에 24시간 곰팡이균 배양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써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발포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항균제 0.05 ~ 0.5 중량부와 (a)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20~40 중량%, (b) 글리세롤 트리스테아레이트 10~30 중량% 및 (c) 징크 스테아레이트 40~60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제 0.1 ~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항균제는 나노산화아연, 은 및 구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항균제로 나노산화아연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상기 나노산화아연은 습식중합 방법으로 제조된 것으로 입자크기가 10 ~ 500 nm이고 겉보기 비중이 0.2~1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노산화아연은 부피밀도(Bulk Density)가 0.2 ~ 0.5로 기존의 코팅제에 비해 비중차에 의한 트러블(Trouble)없이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에 잘 코팅되어 발포폴리스티렌(EPS) 수지 고유의 물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항균제의 함량은 0.05~0.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항균제의 함량이 0.05 중량부 보다 적으면 항균특성이 저하 될 수 있으며, 0.5 중량부 보다 많으면 항균특성은 탁월하나 가공성 문제 즉 융착 불량, 공정시간 지연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제는 항균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징크 스테아레이트에 의해 발포폴리스티렌(EPS) 수지와 결합력을 좋게하여 항균력을 오래 지속시킬 수 있으며 발포폴리스티렌(EPS) 수지의 가공성 및 물성을 향상시키는 특성이 있다. 또한 상기 코팅제의 구성성분은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20~40 중량%, 글리세롤 트리스테아레이트 10~30 중량% 및 징크 스테아레이트 40~60 중량%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3:2:5 중량부로 혼합된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제의 구성성분인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는 블로킹(Blocking) 방지, 배율향상, 발포속도 증가, 정전기 방지 및 융착 향상 등의 장점이 있으며, 함량이 20~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함량이 20 중량% 보다 적으면 정전기발생 및 융착 저하가 발생 할 수 있으며, 반대로 40 중량% 보다 많으면 친수성의 성질로 인해 수분흡수 및 성형속도가 증가되어 공정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제의 글리세롤 트리스테아레이트는 가공 시 제품 표면의 퍼짐성을 향상시키거나 발포립 수분 방지의 장점이 있으며 함량이 10~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함량이 10 중량% 보다 적으면 성형속도가 증가되어 공정시간이 길어 질 수 있고, 반대로 30 중량% 보다 많으면 발포 시 정전기를 발생시키며 발포속도 및 배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제의 징크 스테아레이트는 흡착성이 향상되고 블로킹(Blocking) 방지와 발포립 수분 방지의 장점이 있으며 함량이 40~6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함량이 40 중량% 보다 적으면 수분흡수 및 항균제의 분산성 문제로 항균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반대로 60 중량% 보다 많으면 정전기를 발생시키며, 제품의 융착 저하를 초래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습식중합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10 ~ 500㎚ 입자 크기를 가지는 상기 나노산화아연을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스테아레이트 및 징크 스테아레이트를 3:2:5의 비율로 제조한 코팅제와 함께 혼합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조한 후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에 항균 코팅시키는 코팅공법으로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은 발포폴리스티렌(EPS) 수지의 비드 표면에 항균제와 코팅제를 혼합하여 항균코팅함으로써 발포립의 정전기, 블로킹(Blocking) 및 성형속도 등의 가공성 및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제품 패킹(Packing)용 완충제와 포도, 딸기, 어상자 등 각종 농수산물 식품의 포장용기 등에 우수한 항균 및 항곰팡이성을 나타내어 과일, 야채, 생선, 곡류 등의 농수산물 또는 가공식품의 포장, 보관 및 수송 시 장시간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에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습식중합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부피 밀도(Bulk Density)가 0.2 ~ 0.5이고 10 ~ 500㎚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나노산화아연을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 원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중량부가 되도록 계량하여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스테아레이트, 징크 스테아레이트를 3:2:5의 비율로 제조한 코팅제 0.25 중량부와 함께 혼합 및 교반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발포성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 100 중량부에 제조 된 마스터배치를 0.30 중량부 투입하여 코팅 Mixer를 통해 10 분간 교반하여 코팅하였다. 마스터배치로 코팅된 항균항곰팡이성 기능의 발포성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를 발포, 숙성, 성형 등 통상의 가공단계를 거쳐 수득 된 밀도 15.5㎏/㎥인 스티로폼에 대하여 항균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
부피 밀도(Bulk Density)가 0.2 ~ 0.5이고 10 ~ 500㎚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나노산화아연을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 원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0중량부를 투입하여 코팅 Mixer를 통하여 5분간 1차 코팅하였다. 그런 다음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스테아레이트, 징크 스테아레이트를 3:2:5의 비율로 제조한 코팅제를 발포성폴리스티렌(EPS) 원료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25중량부를 투입하여 코팅 Mixer를 통하여 5분간 2차 코팅하였다. 1, 2차로 코팅 된 항균항곰팡이성 기능의 발포성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를 발포, 숙성, 성형 등 통상의 가공단계를 거쳐 수득 된 밀도 15.4㎏/㎥인 스티로폼에 대하여 항균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스테아레이트, 징크 스테아레이트를 3:2:5의 비율로 제조한 코팅제를 발포성폴리스티렌(EPS) 원료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5 중량부를 투입하여 코팅 Mixer를 통하여 5분간 1차 코팅하였다. 그런 다음 부피 밀도(Bulk Density)가 0.2 ~ 0.5이고 10 ~ 500㎚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나노산화아연을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 원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0 중량부를 투입하여 코팅믹서(Mixer)를 통하여 5분간 2차 코팅하였다. 1, 2차로 코팅 된 항균항곰팡이성 기능의 발포성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를 발포, 숙성, 성형 등 통상의 가공단계를 거쳐 수득 된 밀도 15.4㎏/㎥인 스티로폼에 대하여 항균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나노산화아연 0.10 중량부를 사용하였고, 제조 마스터배치는 0.35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그런 다음 마스터배치로 코팅된 항균항곰팡이성 기능의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를 발포, 숙성, 성형 등 통상의 가공단계를 거쳐 수득 된 밀도 15.5㎏/㎥인 스티로폼에 대하여 항균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나노산화아연 0.15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그런 다음 마스터배치로 코팅 된 항균항곰팡이성 기능의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를 발포, 숙성, 성형 등 통상의 가공단계를 거쳐 수득된 밀도 15.3㎏/㎥인 스티로폼에 대하여 항균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1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 원료수지 100 중량부에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스테아레이트, 징크 스테아레이트를 3:2:5의 비율로 제조한 코팅제 0.25 중량부를 투입하고 코팅믹서(Mixer)에서 10분간 교반하여 코팅하였다. 코팅된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를 발포, 숙성, 성형 등 통상의 가공단계를 거쳐 수득 된 15.5㎏/㎥인 스티로폼에 대하여 항균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2
발포성폴리스티렌(EPS) 원료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부피 밀도(Bulk Density)가 0.2~0.5, 10~500㎚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나노산화아연을 0.10 중량부를 사용하여 코팅믹서(Mixer)를 통하여 10분간 코팅하였다. 상기 나노산화아연만 사용하여 코팅 된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를 발포, 숙성, 성형 등 통상의 가공단계를 거쳐 수득 된 밀도 15.1㎏/㎥인 스티로폼에 대하여 가공성과 물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3
발포성폴리스티렌(EPS) 원료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부피밀도(Bulk Density) 0.2~0.5, 10~500㎚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나노산화아연을 0.10 중량부를 계량하여 글리세롤 트리스테아레이트, 징크 스테아레이트를 4:6의 비율로 제조한 코팅제 0.10~0.50 중량부와 함께 혼합하고 교반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 원료수지 100 중량부에 제조된 마스터배치를 0.15~0.40 중량부를 투입하여 코팅믹서(Mixer)를 통해 10분간 교반하여 코팅하였다. 마스터배치로 코팅된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를 발포, 숙성, 성형 등 통상의 가공단계를 거쳐 수득된 밀도 15.7 ㎏/㎥인 스티로폼에 대하여 가공성과 물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상기 비교예 3과 동일하고 코팅제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징크 스테아레이트를 4:6의 비율로 제조한 마스터배치를 사용하였다. 통상의 가공단계를 거쳐 수득 된 밀도 15.2㎏/㎥ 인 스티로폼에 대하여 가공성과 물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5
상기 비교예 3과 동일하고 코팅제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스테아레이트를 5:5의 비율로 제조한 마스터배치를 사용하였다. 통상의 가공단계를 거쳐 수득 된 밀도 15.6㎏/㎥ 인 스티로폼에 대하여 가공성과 물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1 ~ 5로 제조된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EPS)수지에 대하여 발포, 성형 등의 통상의 가공단계를 거쳐 제조된 최종 스티로폼 제품의 가공성 및 물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가공성 및 물성 테스트를 하기 위해 사용한 장비는 120ℓ 용량의 가압식발포기와 900*600*500 Size의 성형기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 5는 배율, 성형속도, 흡수량 및 굴곡파괴하중에서 우수한 가공성 및 물성을 나타내는 반면 비교예 2 및 3은 코팅된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는 발포 시 발포속도 증가, 정전기 및 블로킹(Blocking) 과다의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성형 시 정전기로 인한 원료이송 지연, 발포립 원료 충진 불량, 성형속도 증가, 제품융착 저하로 강도 및 흡수량 증가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비교예 4는 코팅된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는 발포 시의 문제점은 없었으나 성형 시 성형속도 증가, 흡수량 증가의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상기 비교예 5는 코팅된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는 발포 시 함수율 증가로 건조시간이 지연되었으며, 성형 시 제품의 흡수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구 분 가공성 물성 밀도(㎏/㎥)
배율 성형시간(sec) 흡수량(g/100㎠) 굴곡파괴하중
(N)
실시예 1 68 250 0.17 23 15.5
실시예 2 69 260 0.22 24 15.4
실시예 3 68 237 0.17 23 15.4
실시예 4 68 228 0.10 25 15.5
실시예 5 69 272 0.13 25 15.3
비교예 1 68 230 0.15 24 15.5
비교예 2 70 900 1.10 16 15.1
비교예 3 65 100 1.20 18 15.7
비교예 4 70 700 0.60 24 15.2
비교예 5 67 450 1.60 22 15.6
실험예 2
상기 발포폴리스트렌(EPS) 수지에 나노산화아연을 미첨가 또는 첨가하여 시료의 항균력을 실험하였고, 상기 발포폴리스티렌(EPS) 수지에 발포, 성형 등의 통상의 가공단계를 거쳐 상기 실시예 1 ~ 5에서 제조된 최종 스티로폼 제품을 이용하여 항균력 및 항곰팡이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1a 및 도 1b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4의 나노산화아연을 함유한 발포폴리스티렌(EPS) 수지의 항균력은 나노산화아연 미첨가 대조시료(좌)와 나노산화아연 첨가 실험시료(우)로 항균력을 비교했을 때 대조시료에 비해 실험시료에서 대장균(escherichia coli),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효모균(candida albicans) 및 곰팡이균(aspergillus niger)이 모두 99.9%의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 5에서 제조된 최종 스티로폼 제품을 이용한 항균력 및 항곰팡이성을 실험한 결과, 실시예 1~ 5에서 모두 99.9% 완벽한 항균력과 실시예 4, 5에서 99.9% 항곰팡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은 항균력과 항곰팡이성이 20~40%로 많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2와 5의 경우 항균성에서 실시예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내고 항곰팡이 역시 현저하게 낮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3 및 4의 경우 99.9% 완벽한 항균성과 우수한 항곰팡이성을 나타내었으나, 가공성 및 물성이 실시예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균 종류 세 균 곰팡이균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Candida albicans Aspergilus niger
배양 24hr후 배양 24hr후 배양 24hr후 배양 24hr후 배양 24hr후
실시예 1 균 감소율
(%)
99.9 99.9 99.9 99.9 68.9
실시예 2 99.9 99.9 99.9 99.9 98.4
실시예 3 99.9 99.9 99.9 99.9 98.3
실시예 4 99.9 99.9 99.9 99.9 99.9
실시예 5 99.9 99.9 99.9 99.9 99.9
비교예 1 35.2 26.7 22.7 28.5 26.7
비교예 2 98.2 95.2 90.4 94.2 79.2
비교예 3 99.9 99.9 99.9 99.9 98.6
비교예 4 99.9 99.9 99.9 99.9 98.8
비교예 5 98.6 96.0 91.2 94.9 79.7
따라서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은 발포립의 정전기, 블로킹(Blocking) 및 성형속도 등의 가공성 및 물성이 향상되고 동시에 항균 및 항곰팡이성이 우수하여 과일, 야채, 생선, 곡류 등의 농수산물 또는 가공식품의 포장, 보관 및 수송 시 장시간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4)

  1. 발포폴리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항균제 0.05 ~ 0.5 중량부와 (a)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20~40 중량%, (b) 글리세롤 트리스테아레이트 10~30 중량% 및 (c) 징크 스테아레이트 40~60 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제 0.1 ~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나노산화아연, 은 및 구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산화아연은 입자크기가 10 ~ 5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산화아연은 겉보기 비중이 0.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
KR1020120111963A 2012-10-09 2012-10-09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 KR101471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963A KR101471165B1 (ko) 2012-10-09 2012-10-09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963A KR101471165B1 (ko) 2012-10-09 2012-10-09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782A true KR20140045782A (ko) 2014-04-17
KR101471165B1 KR101471165B1 (ko) 2014-12-11

Family

ID=50653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963A KR101471165B1 (ko) 2012-10-09 2012-10-09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1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473A1 (ko) 2016-12-23 2018-06-28 롯데첨단소재(주)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
CN109983060A (zh) * 2016-12-23 2019-07-05 乐天尖端材料株式会社 发泡树脂组合物、其制备方法和使用其的发泡体
US11124643B2 (en) 2016-12-27 2021-09-21 Lotte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9435A (ja) * 1998-10-16 2000-04-25 Mitsubishi Kagaku Form Plastic Kk 抗菌性のスチレン系発泡性樹脂粒子
US7128973B2 (en) * 2004-01-30 2006-10-31 Bong-Kuk Park Expanded polystyrene bead having functional skin layer,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and functional EPS product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using the same
MX2009006104A (es) * 2006-12-18 2009-06-17 Basf Se Polimeros de estireno expansibles y espumas con absorcion de agua disminuida.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473A1 (ko) 2016-12-23 2018-06-28 롯데첨단소재(주)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
CN109983060A (zh) * 2016-12-23 2019-07-05 乐天尖端材料株式会社 发泡树脂组合物、其制备方法和使用其的发泡体
CN109983060B (zh) * 2016-12-23 2022-01-28 乐天尖端材料株式会社 发泡树脂组合物、其制备方法和使用其的发泡体
US11365304B2 (en) 2016-12-23 2022-06-21 Lotte Chemical Corporation Foaming resin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foam using same
US11124643B2 (en) 2016-12-27 2021-09-21 Lotte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165B1 (ko)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06380A1 (en) Gas generating polymers
CN101979432B (zh) 具有高透气性功能的水果保鲜包装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471165B1 (ko) 항균성 발포폴리스티렌 폼
CN102886950A (zh) 果蔬防霉气调保鲜膜及其制备方法
PH12018000082A1 (en) Oxo-biodegradable transparent bio wrap film composite
CN111333888A (zh) 可降解聚乳酸抗菌膜及其制备方法
CN107286427A (zh) 一种复合抑菌薄膜及其制备方法
KR101264313B1 (ko) 식품포장용 가스흡착 수지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물
CN104262744A (zh) 一种果蔬保鲜包装薄膜
KR20110014001A (ko) 항균 및 항곰팡이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이를 이용한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4381B1 (ko) 철이 코팅된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포장재의 제조방법
US8404340B2 (en) Permeable films
CN112442259A (zh) 一种防菌保鲜袋及其制备方法
CN113736119B (zh) 一种可生物降解的抗氧化果蔬保鲜膜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2347039B1 (ko) 선도 유지 기능성 포장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3077B1 (ko) 항균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11748130A (zh) 一种抗微生物可完全降解的食品用包装材料及其制备方法
US20120121836A1 (en) containers and permeable films
KR20170005266A (ko) 필름 형성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포장용 필름 및 상기 필름의 제조방법
JP7075714B2 (ja) 鮮度保持用途に適した押出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用途
KR20010077332A (ko) 천연항균제를 포함하는 항균필름
US20130034638A1 (en) Biodegradable, biocompatible and non-toxic material, sheets consisting of said material and the use thereof in food, pharmaceutical, cosmetic and cleaning products
EP3891215B1 (en) Polyolefin compositions with improved oxygen scavenging capability
AU2006279266B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tainers and permeable films
TWI768437B (zh) 保鮮膜結構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