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562A -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562A
KR20140044562A KR1020120110679A KR20120110679A KR20140044562A KR 20140044562 A KR20140044562 A KR 20140044562A KR 1020120110679 A KR1020120110679 A KR 1020120110679A KR 20120110679 A KR20120110679 A KR 20120110679A KR 20140044562 A KR20140044562 A KR 20140044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amera module
loading case
insertion device
magnet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천
박성제
권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주)피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주)피엔티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0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4562A/ko
Publication of KR20140044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화 공정을 통해 마그넷을 카메라 모듈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마그넷이 적재되는 마그넷적재케이스;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에 적재된 마그넷을 푸쉬하는 마그넷푸쉬로드;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마그넷이 적재된 위치에 따라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에서 공급된 마그넷을 카메라 모듈에 장착하는 마그넷삽입부재; 그리고 상기 마그넷삽입부재가 내부에 수용된 지주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MAGNET INSERTION DEVICE OF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화 공정을 통해 마그넷을 카메라 모듈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 PDA 및 타블렛PC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최근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한 전화기능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으로 멀티 컨버전스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멀티 컨버전스로의 전개를 이끌어 가는 것 중의 하나로서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이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고화소 중심으로 변화됨과 동시에 자동초점(Auto Focusing : AF), 광학 줌(optical zoom)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의 구현으로 변화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소형으로 제작되어 카메라폰이나 PDA,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 등의 다양한 IT 기기에 적용되고 있는바, 최근에 이르러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맞추어 소형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기기의 출시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은 CCD나 CMOS 등의 이미지 센서를 주요 부품으로 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상기 이미지센서를 통해 사물의 이미지를 집광시켜 기기내의 메모리상에 데이터로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기기내의 LCD 또는 PC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를 통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기판과, 기판상에 밀착 결합된 보빈과 보빈에 결합되는 홀더 및 홀더 내부에 수용되는 렌즈배럴을 포함한다.
또한 홀더 및 보빈에는 렌즈배럴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다.
액추에이터는 자성체로 구성된 마그넷과 전원을 공급받아 자력을 발생하는 코일을 포함한다.
마그넷과 코일은 각각 홀더 내부나 보빈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설치 위치의 경우 카메라 모듈의 설계에 따라 그 위치가 결정된다.
그런데, 종래 카메라 모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액추에이터는 렌즈배럴을 정확하게 승강시키기 위한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자동화된 공정이 아닌 수작업을 통해 설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균일한 작동성능을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1998-00542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화된 공정을 통해 불량률을 최소화시켜 균일한 제품의 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다수개의 마그넷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마그넷이 적재되는 마그넷적재케이스;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에 적재된 마그넷을 푸쉬하는 마그넷푸쉬로드;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마그넷이 적재된 위치에 따라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에서 공급된 마그넷을 카메라 모듈에 장착하는 마그넷삽입부재; 그리고 상기 마그넷삽입부재가 내부에 수용된 지주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는 원통형 케이스로서 중앙부위에 상기 회전모터와 결합되는 결합홀과, 원주를 따라 형성된 마그넷적재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는 둘레면에 너얼링 또는 손잡이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적재홀은 마그넷과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원주를 따라 각각 이격된 상태로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주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성된 마그넷삽입로드와 상기 마그넷삽입로드의 이동에 따라 승강하는 연결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에 적재된 마그넷의 수량을 검출하는 감지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삽입부재는 연결대와 연결되어 승강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대의 이동에 따라 압축 및 복원을 반복하는 쿠션스프링과, 상기 쿠션스프링의 압축 및 복원에 따라 승강하는 안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가이드는 가압플레이트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내부에 마그넷이 적재되는 마그넷적재케이스;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에 적재된 마그넷을 푸쉬하는 마그넷푸쉬로드;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에서 공급된 마그넷을 카메라 모듈에 장착하는 마그넷삽입부재; 상기 마그넷삽입부재가 내부에 수용된 지주대; 그리고 상기 지주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스테이지가 구비된 승강가이드;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는 자동화된 공정을 통해 불량률을 최소화시켜 균일한 제품의 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다수개의 마그넷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의 구성요소 중 마그넷적재케이스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중 높이조절가이드를 생략한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중 마그넷삽입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중 마그넷 삽입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의 구성요소 중 마그넷적재케이스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중 높이조절가이드를 생략한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중 마그넷삽입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중 마그넷 삽입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100)는 마그넷(80)이 적재되는 마그넷적재케이스(10)와 마그넷(80)을 푸쉬하는 마그넷푸쉬로드(20)와 마그넷적재케이스(1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0)와 마그넷(80)을 카메라모듈(B)에 장착하는 마그넷삽입부재(40)와 마그넷삽입부재(40)를 내부에 수용하는 지주대(50) 및 지주대(5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가이드(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넷적재케이스(10)는 네방향에 배치되며, 원통형 케이스로서 중앙부위에 결합홀(14)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홀(14)은 후술하게될 회전모터의 구동축(32)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구동축(32)의 직경과 거의 동일 직경을 유지하여 회전모터의 구동축(32)이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마그넷적재케이스(10)의 양 측면에는 마그넷(80)이 적재되기 위한 마그넷적재홀(1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마그넷적재홀(12)은 양 측면의 원주를 따라 다수개가 천공되어 있으며, 마그넷(8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그넷적재홀(12)의 개수를 대략 8개 정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마그넷적재홀(12)의 개수는 적재되는 수량에 따라 또는 설계상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마그넷적재케이스(10)의 둘레면에는 마그넷적재케이스(10)를 손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너얼링이나 손잡이홈이 형성될 수 있다. 너얼링은 마그넷적재케이스(10)의 둘레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둘레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너얼링이 형성된 상태는 도시하지 않았다.
손잡이홈(16)의 경우에는 마그넷적재케이스(10)의 둘레면을 따라 대향된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둘레면에 두 쌍 또는 그 이상의 쌍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마그넷적재케이스(10)는 마그넷푸쉬로드(20)의 작동에 따라 마그넷이 모두 소진될때까지 마그넷(80)을 일정한 하중으로 푸쉬하게 된다.
이렇게 마그넷(80)이 마그넷적재케이스(10)에서 모두 소진되면, 마그넷적재케이스의 결합홀(14)과 연결된 회전모터(30)가 구동됨으로써, 인접한 위치의 마그넷적재홀(12)이 결합홀(1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마그넷적재홀(12)에 적재된 마그넷이 모두 소진될 경우 마그넷의 수량을 감지센서(70)가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송신하고, 제어부에서 마그넷 삽입장치(100)의 작동을 정지키시게 된다. 감지센서는 마그넷적재홀(12) 내부에 설치되거나 마그넷적재케이스(10)의 인접한 위치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마그넷푸쉬로드의 로드(22)와 밀착된 마그넷(20)은 마그넷삽입부재(40)를 통해 카메라모듈의 내부에 설치된다.
마그넷삽입부재(4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50) 내부에 설치된다. 지주대(50)는 하우징(52)과 하우징(52) 내부에 설치된 마그넷삽입로드(54)와 마그넷삽입로드(54)의 이동에 따라 승강하는 연결대(56)를 포함한다.
하우징(52)은 내부가 관통되거나 선단부가 차단된 관체 또는 용기이며, 내부에 마그넷삽입로드(54)와 연결대(56)가 설치된다. 연결대(56)는 마그넷삽입로드(54)의 하측에 배치되며, 마그넷삽입로드(54)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된다.
지주대(50)의 하측에는 마그넷삽입부재(40)가 마그넷삽입로드(54)의 승강에 따라 하우징(52)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된다.
마그넷삽입부재(40)는 연결대(56)와 연결되어 승강하는 가압플레이트(42)와 연결대(56)의 이동에 따라 압축 및 복원을 반복하는 쿠션스프링(44)과 쿠션스프링(44)의 압축 및 복원에 따라 승강하는 안내가이드(46)를 포함한다.
가압플레이트(42)는 선단이 연결대(56)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공간에는 쿠션스프링(44)이 끼워진 다음 안내가이드(46)가 결합된다.
안내가이드(46)는 상단의 직경과 하단의 직경이 다르도록 단차부(46a)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46a)는 가압플레이트(42)의 수용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구성되기 위하여 가공된 것이다.
이때, 쿠션스프링(44)은 안내가이드(46)와 가압플레이트(42)의 하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가이드(46)는 쿠션스프링(44)이 압축되면 가압플레이트(42)의 내주면과 슬라이드되면서 단차부(46a)가 가압플레이트(42)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됨과 동시에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반대로 쿠션스프링(44)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면 단차부(46a)가 가압플레이트(42)의 내측과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상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각 구성요소들은 조절스테이지(62)가 구비된 승강가이드(60)를 통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승강가이드(60)는 지주대(50)와 연결되어 있어서, 조절스테이지(62)를 조작할 경우 지주대(5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조절스테이지(62)는 승강가이드(60)의 하측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지주대(50)를 승강시키게 된다. 여기서, 조절스테이지(62)에 의해 지주대(50)가 상승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설계상에 따라 지주대(50)와 승강가이드(60)를 일체로 구성하여 승강가이드(60) 전체가 승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100)는 마그넷(80)을 카메라 모듈(B)에 설치되기 위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먼저 마그넷푸쉬로드(20)가 작동된다.
여기서, 감지센서(70)가 마그넷적재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된 경우 감지센서(70)에 의해 적재된 마그넷(80)이 감지되지 않게 되면 마그넷푸쉬로드(20)는 작동되지 않는다.
마그넷푸쉬로드(20)가 마그넷(80)을 푸쉬하기 시작하면, 마그넷삽입로드(54)가 하강한다. 마그넷삽입로드(54)의 하강시에는 마그넷삽입로드(54)에 결합된 연결대(56) 또한 함께 하강한다. 이들이 동시에 하강하게 되면, 연결대(56)에 결합된 가압플레이트(42)가 하강하게 되면서 안내가이드(46)에 밀착된 마그넷(80)을 하측으로 밀어 카메라 모듈(B)에 마그넷(80)을 장착하게 된다.
이때, 가압플레이트(42)의 하강 시 가압플레이트(42)의 내부에 설치된 안내가이드(46)는 하강하면서 단차부(46a)가 압축된 쿠션스프링(44)의 폭만큼 가압플레이트(42)의 수용공간으로 슬라이드된다.
이러한 작동을 통해 마그넷(80)이 카메라 모듈(B)에 작창된 후에는 마그넷삽입로드(54)가 상승한다. 마그넷삽입로드(54)의 상승시에는 연결대(56)와 가압플레이트(42)가 함께 상승하게 되고, 압축되었던 쿠션스프링(44)이 원래 형상으로 복원하여 안내가이드(46)와 함께 원위치하게 된다.
안내가이드(46)까지 모두 원위치로 복귀한 후에는 마그넷푸쉬로드(20)를 통해 마그넷적재케이스(10)에 적재된 마그넷(80)이 안내가이드(46)의 외측으로 마그넷(80)을 밀어 다음 공정을 대기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된 후 마그넷적재홀(12)에 적재된 마그넷(80)이 모두 소진되면, 감지센서(7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에서 회전모터(30)에 전원을 공급하여 마그넷적재케이스(10)를 회전시킨다.
마그넷적재케이스(10)는 마그넷푸쉬로드(20)가 설치된 위치까지 마그넷적재홀(12)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지주대(50)를 중심으로 네방향에 마그넷적재케이스(10)와 마그넷푸쉬로드(20) 그리고 회전모터(30)가 설치된 경우 카메라 모듈(B)에 마그넷(80)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게 된다.
10: 마그넷적재케이스 12: 마그넷적재홀
14: 결합홀 16: 손잡이홈
20: 마그넷푸쉬로드 22: 로드
30: 회전모터 32: 구동축
40: 마그넷삽입부재 42: 가압플레이트
44: 쿠션스프링 46: 안내가이드
46a: 단차부 50: 지주대
52: 하우징 54: 마그넷삽입로드
56: 연결대 60: 승강가이드
62: 조절스테이지 70: 감지센서
80: 마그넷 100: 마그넷삽입장치

Claims (16)

  1. 내부에 마그넷이 적재되는 마그넷적재케이스;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에 적재된 마그넷을 푸쉬하는 마그넷푸쉬로드;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마그넷이 적재된 위치에 따라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에서 공급된 마그넷을 카메라 모듈에 장착하는 마그넷삽입부재; 그리고
    상기 마그넷삽입부재가 내부에 수용된 지주대;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는 원통형 케이스로서 중앙부위에 상기 회전모터와 결합되는 결합홀과, 원주를 따라 형성된 마그넷적재홀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는 둘레면에 너얼링 또는 손잡이홈이 형성된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적재홀은 마그넷과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원주를 따라 각각 이격된 상태로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에 관통 형성된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성된 마그넷삽입로드와 상기 마그넷삽입로드의 이동에 따라 승강하는 연결대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에 적재된 마그넷의 수량을 검출하는 감지센서가 더 포함된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삽입부재는 연결대와 연결되어 승강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대의 이동에 따라 압축 및 복원을 반복하는 쿠션스프링과, 상기 쿠션스프링의 압축 및 복원에 따라 승강하는 안내가이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는 가압플레이트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9. 내부에 마그넷이 적재되는 마그넷적재케이스;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에 적재된 마그넷을 푸쉬하는 마그넷푸쉬로드;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에서 공급된 마그넷을 카메라 모듈에 장착하는 마그넷삽입부재;
    상기 마그넷삽입부재가 내부에 수용된 지주대; 그리고
    상기 지주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스테이지가 구비된 승강가이드;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는 원통형 케이스로서 중앙부위에 상기 회전모터와 결합되는 결합홀과, 원주를 따라 형성된 마그넷적재홀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는 둘레면에 너얼링 또는 손잡이홈이 형성된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적재홀은 마그넷과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원주를 따라 각각 이격된 상태로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에 관통 형성된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성된 마그넷삽입로드와 상기 마그넷삽입로드의 이동에 따라 승강하는 연결대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적재케이스에 적재된 마그넷의 수량을 검출하는 감지센서가 더 포함된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15. 제 9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삽입부재는 연결대와 연결되어 승강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대의 이동에 따라 압축 및 복원을 반복하는 쿠션스프링과, 상기 쿠션스프링의 압축 및 복원에 따라 승강하는 안내가이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는 가압플레이트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KR1020120110679A 2012-10-05 2012-10-05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KR20140044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679A KR20140044562A (ko) 2012-10-05 2012-10-05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679A KR20140044562A (ko) 2012-10-05 2012-10-05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562A true KR20140044562A (ko) 2014-04-15

Family

ID=5065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679A KR20140044562A (ko) 2012-10-05 2012-10-05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456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300A (ko) * 2017-08-17 2019-02-27 김현춘 Vcm 방식 카메라 모듈 조립용 볼 공급장치
KR20190019299A (ko) * 2017-08-17 2019-02-27 김현춘 Vcm 방식 카메라 모듈 조립용 마그네트 공급장치
KR102498221B1 (ko) 2022-08-30 2023-02-10 주식회사 인텍오토메이션 코어 마그넷 삽입 토탈 시스템
KR102498217B1 (ko) 2022-08-30 2023-02-10 주식회사 인텍오토메이션 충전식 마그넷 배출 매거진
KR102645008B1 (ko) 2023-07-07 2024-03-08 주식회사 인텍오토메이션 마그넷 삽입기
KR102645002B1 (ko) 2023-07-07 2024-03-08 주식회사 인텍오토메이션 마그넷 삽입 자동화 라인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300A (ko) * 2017-08-17 2019-02-27 김현춘 Vcm 방식 카메라 모듈 조립용 볼 공급장치
KR20190019299A (ko) * 2017-08-17 2019-02-27 김현춘 Vcm 방식 카메라 모듈 조립용 마그네트 공급장치
KR102498221B1 (ko) 2022-08-30 2023-02-10 주식회사 인텍오토메이션 코어 마그넷 삽입 토탈 시스템
KR102498217B1 (ko) 2022-08-30 2023-02-10 주식회사 인텍오토메이션 충전식 마그넷 배출 매거진
KR102645008B1 (ko) 2023-07-07 2024-03-08 주식회사 인텍오토메이션 마그넷 삽입기
KR102645002B1 (ko) 2023-07-07 2024-03-08 주식회사 인텍오토메이션 마그넷 삽입 자동화 라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4562A (ko) 카메라 모듈의 마그넷 삽입장치
US20090244721A1 (en) Camera module
US7567393B2 (en) Lens-assembling jig, assembling system having same and assembling method
US8567739B2 (en) Support apparatus for supporting device
US8251598B2 (en) Camera holder
KR101779386B1 (ko) 마그넷 삽입 장치
KR101644191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및 그 조립 방법
KR101342615B1 (ko) 기판 이송장치
CN205139454U (zh) 音圈马达、具有该音圈马达的摄像模组和电子设备
CN1881987A (zh) 移动通信终端的输入装置以及使用该输入装置的移动通信终端
CN101086547B (zh) 镜头模组
US9168620B2 (en) Lens module assembling device
JP6646091B2 (ja) 自動電源投入装置および方法
KR100715115B1 (ko) 카메라모듈 초점검사장치
CN109763095B (zh) 掩膜板支撑机构、对位装置、对位方法
KR20160139930A (ko) 마커가 형성된 경통 및 이를 이용한 광학렌즈모듈 조립장치
CN209709900U (zh) 一种具有多角度旋转的绕线机用主轴机构
CN205333952U (zh) 音圈马达、摄像模组和电子设备
US20070147764A1 (en) Optical module testing apparatus
KR20120063376A (ko) 카메라 모듈
KR200441242Y1 (ko) 수평 및 수직 조절 기능을 갖는 렌즈 조립체의 카메라 렌즈조립장치
WO2010058639A1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レンズ駆動装置を搭載した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328484B1 (ko) 카메라용 렌즈 결합장치
CN110233554A (zh) 一种具有多角度旋转的绕线机用主轴机构
KR102199457B1 (ko) 카메라용 렌즈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