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080A - 화상 출력 장치, 화상 출력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화상 출력 장치, 화상 출력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080A
KR20140043080A KR1020137031572A KR20137031572A KR20140043080A KR 20140043080 A KR20140043080 A KR 20140043080A KR 1020137031572 A KR1020137031572 A KR 1020137031572A KR 20137031572 A KR20137031572 A KR 20137031572A KR 20140043080 A KR20140043080 A KR 20140043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utput
attribute value
unit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2969B1 (ko
Inventor
테츠지로 콘도
Original Assignee
아이큐브드 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큐브드 연구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큐브드 연구소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43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1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to the screen
    • G09G5/39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two or more bit-mapped memories to the screen simultaneously, e.g. for mixing or over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09G2340/125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wherein one of the images is motion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화상을 보는 사용자에게 자극이 너무 크거나 눈이 피로해지는 등 불편이 있었다.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목표로 하는 속성값인 1이상의 목표 속성값을 획득하는 목표 속성값 획득부와, 상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피사체의 1이상의 속성값을 획득하는 속성값 획득부와, 상기 1이상의 목표 속성값과 상기 1이상의 속성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1이상의 차이 정보를 획득하는 차이 정보 획득부와, 상기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화상 출력부를 포함하는 화상 출력 장치에 의해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출력 장치, 화상 출력 방법 및 프로그램{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AT HAS RECORDED PROGRAM}
본 발명은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본체의 디스플레이보다 추가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화면 크기가 작아도 증설 모니터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열이나 아이콘의 용이한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화상 출력 장치가 있었다(특허 문헌 1참조). 이러한 화상 출력 장치에서는 지도 표시, 아이콘 표시, 문자 폰트 크기에 관하여, 증설 모니터의 표시 화면 크기에 적합하게 되도록 변경 처리를 실행하고, 당해 변경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를 추가 모니터로 전송한다.
또한, 종래, 복수의 영상의 표시에서, 임의의 영상을 확대 표시하는 경우, 화면 구성의 전환을 실시함으로써 각각의 영상 표시 영역의 위치와 크기를 변경하고, 사용자에게 보기 쉬운 다분할 화면을 생성,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 처리 장치가 있었다(특허 문헌 2참조).
게다가, 종래, 2필드의 영상 신호로부터 움직임을 검출하고, 움직임이 검출된 부분만을 기억부에 기억하며, 메모리의 삭감 및 비용 저감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스트로브(strobe) 표시 장치가 있었다(특허 문헌 3참조).
JP 2010-060454 A JP 2008-028876 A JP평09-055912 A
그러나, 종래의 화상 출력 장치에서는, 화면 프레임(frame) 크기에 따라서는 출력 화상 중의 피사체의 크기나 이동하는 속도 등의 피사체의 속성값이 실제의 속성값과 크게 상이한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 화상을 보는 사용자에게 자극이 너무 크거나, 위화감을 느끼거나 눈이 피로해지는 등 불편이 생겼다.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최근의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때문에, 콘텐츠로의 몰입감의 증가와 더불어 화상 내의 피사체의 단위 시간당의 전이량이 화면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함으로써 기분을 상하게 한다는 영상 멀미의 과제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상 출력 장치는 영상 멀미의 과제가 해결되지 않았다.
본 제 1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는 입력 화상을 획득하는 입력 화상 획득부와,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목표로 하는 속성값인 1이상의 목표 속성값을 획득하는 목표 속성값 획득부와,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1이상의 속성값을 획득하는 속성값 획득부와, 목표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1이상의 목표 속성값과,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1이상의 속성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1이상의 차이 정보를 획득하는 차이 정보 획득부와,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화상 출력부를 포함하는 화상 출력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제 2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는, 제 1 발명에 대하여, 화상 출력부는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만큼 1이상의 목표 속성값과 1이상의 속성값의 차이가 큰 경우, 1이상의 목표 속성값과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1이상의 속성값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출력 화상 중의 피사체의 속성값을 실제의 속성값에 일치시키거나 근접하게 함으로써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제 3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는,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대하여, 화상 출력부는 미리 정해진 조건을 저장하는 조건 저장 수단과,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판단 수단이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의 크기를 결정하는 윈도우 크기 결정 수단과, 윈도우의 크기에 따른 윈도우에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출력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제 4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는, 제 3 발명에 대하여, 화상 출력부는 윈도우의 크기가 화면 프레임보다 작은 경우, 출력 화상을 출력하여 윈도우 영역과는 상이한 제 2 영역에 출력 화상과는 상이한 화상을 출력하는 다른 화상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화상 출력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의 크기를 화면 프레임보다 작게 한 경우에 생기는 빈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5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는, 제 4 발명에 대하여, 다른 화상 출력 수단은 제 2 영역을 분할한 2이상의 영역에 스트로브 출력을 실시하는 화상 출력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의 크기를 화면 프레임보다 작게 한 경우에 생기는 빈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6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는, 제 4 발명에 대하여,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다른 화상 출력 수단은 제 2 영역에 데이터 방송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의 크기를 화면 프레임보다 작게 한 경우에 생기는 빈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7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는, 제 4 발명에 대하여, 2이상의 챕터(chapter)로 분할할 수 있는 입력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입력 영상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입력 화상 획득부는 입력 영상이 갖는 2이상의 각 입력 화상을 입력 영상 저장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읽어 내고, 다른 화상 출력 수단은 제 2 영역에 입력 영상이 갖는 2이상의 각 챕터를 대표하는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의 크기를 화면 프레임보다 작게 한 경우에 생기는 빈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8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는, 제 4 발명에 대하여, 다른 화상 출력 수단은 제 2 영역에, 윈도우에 출력되는 출력 화상의 원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동일한 입력 화상에 대하여, 출력 화상과는 상이한 화상 처리를 실시하여 획득한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의 크기를 화면 프레임보다 작게 한 경우에 생기는 빈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9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는, 제 3 발명에 대하여, 화상 출력부는 윈도우 크기 결정 수단이 결정한 윈도우의 크기가 화상 출력 장치의 화면 프레임보다 큰 경우, 화면 프레임에 출력 화상의 일부를 출력하고, 화면 프레임보다 작은 윈도우에 출력 화상을 축소한 화상을 출력하는 PinP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화상 출력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출력 화상 중의 피사체의 속성값을 실제의 속성값에 일치시키거나 근접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출력 화상의 전체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10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는, 제 1 내지 제 9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목표 속성값 획득부는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목표로 하는 크기인 목표 크기를 획득하고, 속성값 획득부는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크기를 획득하며, 차이 정보 획득부는 목표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목표 크기와,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피사체의 크기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이 정보인 크기 차이 정보를 획득하는 화상 출력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출력 화상 중의 피사체의 크기를 실제의 크기에 일치시키거나 근접하게 함으로써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크기란 실제의 피사체의 크기와 출력 장치 상에서의 표시되는 크기의 것도 바람직하고, 카메라 위치에서 본 피사체의 외관상의 크기와 사용자가 출력 장치를 본 경우의 외관상의 크기의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제 11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는, 제 1 내지 제 9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목표 속성값 획득부는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움직이는 속도에 관한 목표값에 대한 정보인 목표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속성값 획득부는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움직이는 속도에 관한 속도 정보를 획득하며, 차이 정보 획득부는 목표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목표 속도 정보와,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속도 정보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이 정보인 속도 차이 정보를 획득하는 화상 출력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출력 화상 중의 피사체의 움직임의 속도를 실제의 속도에 일치시키거나 근접하게 함으로써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움직임의 속도란 실제 피사체의 움직임의 속도도 바람직하고, 외관상의 피사체의 움직임의 속도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제 12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는,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대하여, 화상 출력부는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입력 화상의 미리 정해진 1이상의 속성값을 변경한 출력 화상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제 13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는, 제 12 발명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1이상의 속성값은 입력 화상의 밝기인 화상 출력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출력 화상의 밝기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고, 그 결과,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제 14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는, 제 12 발명에 대하여, 입력 화상 획득부는 2이상의 입력 화상을 획득하고, 미리 결정된 1이상의 속성값은 2이상의 입력 화상의 재생 속도인 화상 출력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출력 화상의 재생 속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고, 그 결과,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제 15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는, 제 12 발명에 대하여, 입력 화상 획득부는 2이상의 입력 화상을 획득하고, 미리 결정된 1이상의 속성값은 2이상의 입력 화상의 단위 시간당으로 출력되는 필드 수인 화상 출력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출력 화상의 단위 시간당의 코마(coma) 수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고, 그 결과,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제 16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는, 제 1 내지 제 15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화상 출력 장치의 디스플레이 속성값인 1이상의 디스플레이 속성값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화상 출력부는 1이상의 디스플레이 속성값에 따라 출력 양태의 변경의 방법이 상이한 화상 출력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보는 디스플레이의 속성값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출력 화상을 출력할 수 있고, 그 결과,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제 17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는, 제 1 내지 제 16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을 변경하는 지시인 변경 지시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변경 지시에 따라 미리 정해진 조건을 변경하는 조건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 출력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를 변경하기 위한 조건을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할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자의 개성에 따라 화상을 볼 때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제 18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는, 제 1 내지 제 16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기억 매체에 1이상의 목표 속성값이 미리 저장되고, 상기 목표 속성값을 변경하는 지시인 목표 속성값 변경 지시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목표 속성값 변경 지시에 따라 상기 목표 속성값을 변경하는 목표 속성값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 출력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를 변경하기 위한 목표 속성값을 지시할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자의 개성에 따라 화상을 볼 때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제 19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는, 제 1 내지 제 18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대하여,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의 변경의 정도인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변경 정보에 따라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의 변경의 정도를 변경하는 변경 정보 변경부를 더 포함하고, 화상 출력부는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를 변경 정보에 따라 변경하고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의 변경 정도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자의 개성에 따라 화상을 볼 때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출력 장치에 따르면,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대한 화상 출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동 화상 출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동 화상 출력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동 목표 속성값 관리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동 입력 화상 획득부(103)가 수신한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동 출력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동 입력 화상 획득부(103)가 수신한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동 출력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동 입력 화상 획득부(103)가 획득한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동 출력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동 출력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동 출력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동 출력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동 출력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동 목표 속성값 관리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동 컴퓨터 시스템의 개관도이다.
도 17은 동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 화상 출력 장치 등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동일 부호를 붙인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동작을 실시하므로, 재차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속성과, 출력 화상의 속성의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 출력 양태를 변경하는 화상 출력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출력 양태의 변경은 통상 피사체의 속성값(크기, 이동 속도, 밝기 등)과 출력 화상의 속성값의 차이를 작게 하기 위한 출력 양태의 변경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실제의 피사체의 속성값에 출력 화상의 속성값을 일치시키거나 근접하게 하는 기술을 갖는 화상 출력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기술은 화상 정규화 기술이라고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출력 양태의 변경이란, 예를 들면,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 크기의 변경, 화상의 밝기 등의 화상의 속성값의 변경, 화상의 재생 속도 변경, 화상의 코마 수의 변경 등이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출력 양태를 변경하기 위한 조건이나, 화상의 출력 양태의 변경 정도는 사용자에 의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화상 출력 장치란 텔레비전 수신기, 기록 매체(광 디스크나 하드 디스크 등)의 플레이어, 사진 표시 장치 등 화상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이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화상 출력 장치(1)의 블록도이다. 또한, 도 2는 화상 출력 장치(1)를 구성하는 화상 출력부(108)의 블록도이다.
화상 출력 장치(1)는 입력 영상 저장부(101), 데이터 방송 수신부(102), 입력 화상 획득부(103),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104),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 속성값 획득부(106), 차이 정보 획득부(107), 화상 출력부(108), 수신부(109), 조건 변경부(110), 변경 정보 변경부(111) 및 목표 속성값 변경부(112)를 포함한다.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목표 속성값 저장 수단(1051) 및 목표 속성값 획득 수단(1052)을 포함한다.
화상 출력부(108)는 조건 저장 수단(1081), 변경 정보 저장 수단(1082), 판단 수단(1083), 윈도우 크기 결정 수단(1084), 출력 수단(1085), 다른 화상 출력 수단(1086) 및 PinP 출력 수단(1087)을 포함한다.
입력 영상 저장부(101)는 입력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입력 영상 데이터 형식 등은 불문이다. 입력 영상은 2이상의 화상의 집합이다. 입력 영상은 2이상의 챕터로 분할할 수 있는 영상인 것은 적합하다.
데이터 방송 수신부(102)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한다. 데이터 방송 수신부(102)는 통상 방송을 수신하는 수단으로 실현된다.
입력 화상 획득부(103)는 입력 화상을 획득한다. 여기서 획득이란 방송에 의한 수신, 통신에 의한 수신, 기록 매체로부터의 읽기 등이다. 또한, 예를 들면, 입력 화상 획득부(103)는 입력 화상을 방송에 의해 수신한다. 또한, 예를 들면, 입력 화상 획득부(103)는 입력 영상이 갖는 2이상의 각 입력 화상을 입력 영상 저장부(101)부터 순차적으로 읽어 낸다. 또한, 입력 화상 획득부(103)는 보통 2이상의 입력 화상을 갖는 입력 영상을 획득한다. 또한, 입력 화상은 통상 화상 정규화의 처리를 하기 전의 화상이다.
입력 화상 획득부(103)는, 예를 들면, 방송 수신 수단이나, 데이터 읽기 수단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104)는 화상 출력 장치(1)의 디스플레이 속성값인 1이상의 디스플레이 속성값을 획득한다. 디스플레이 속성값이란 화면 크기, 디스플레이 종류(예를 들면, 액정, 유기 EL, 플라즈마 등) 등이다. 디스플레이 속성값은, 예를 들면, 화상 출력 장치(1)가 도시하지 않는 기록 매체(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속성값 저장부)에서 보유된다.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1이상의 목표 속성값을 획득한다. 목표 속성값이란 입력 화상(여기에서는, 출력 화상으로 생각해도 바람직함)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목표로 하는 속성값이다. 목표 속성값은, 예를 들면, 피사체의 목표로 하는 크기인 목표 크기이다. 또한, 목표 속성값은, 예를 들면, 피사체의 카메라 위치에서 본 외관상 크기인 목표 크기이다. 즉, 목표 크기라고 말한 경우, 실제의 피사체의 목표로 하는 크기, 또는 피사체의 카메라 위치에서 본 외관상 목표로 하는 크기이다. 또한, 목표 속성값은, 예를 들면, 피사체의 움직이는 속도에 관한 목표값에 대한 정보인 목표 속도 정보이다. 또한, 목표 속성값은, 예를 들면, 피사체의 카메라 위치에서 본 외관상의 움직이는 속도에 관한 목표값에 대한 정보인 목표 속도 정보이다. 즉, 목표 속도 정보라고 말한 경우, 실제의 피사체의 목표로 하는 움직이는 속도, 또는 피사체의 카메라 위치에서 본 외관상 목표로 하는 움직이는 속도이다. 또한, 목표 속성값은, 예를 들면, 피사체의 색, 피사체의 밝기 등도 바람직하다. 또한, 피사체는 오브젝트(object)라고 해도 바람직하다. 또한, 피사체는, 예를 들면, 인간과 개 등의 동물, 인간의 얼굴 등의 동물의 일부, 자동차나 사과 등의 정물, 컴퓨터 키보드 등의 정물의 일부 등이다.
또한,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1이상의 목표 속성값을 획득한다. 첫째로,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피사체의 종류를 식별하는 피사체 식별자(예를 들면, 사람, 개, 자동차 등)와 목표 속성값을 대응하여 저장하며, 이러한 정보로부터 목표 속성값을 획득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둘째로,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피사체의 종류를 식별하는 피사체 식별자(예를 들면, 사람, 개, 자동차 등)와 속성 식별자(예를 들면, 크기, 이동 속도, 밝기 등)와 목표 속성값을 대응하여 갖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로부터 목표 속성값을 획득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셋째로, 목표 속성값이 입력 화상에 대응되고,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이러한 입력 화상으로부터 목표 속성값을 획득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넷째로, 목표 속성값과 피사체 식별자가 입력 화상에 대응되고,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이러한 입력 화상으로부터 피사체 식별자로 식별되는 피사체의 목표 속성값을 획득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다섯째로, 예를 들면,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도시하지 않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피사체의 실제 크기를 읽어 내고, 당해 실제 크기와, 입력 화상과 쌍으로 관리되는 카메라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목표 크기를 산출한다. 또한, 카메라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란, 예를 들면, 카메라와 피사체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여섯째로,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목표 속도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일곱째로,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예를 들면, 입력 화상과 쌍으로 관리되는 목표 속도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여덟째로,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피사체의 이동 속도를 읽어 내고, 당해 이동 속도와, 입력 화상과 쌍으로 관리되는 카메라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단위 시간당의 목표로 하는 이동 거리(화면상의 이동의 길이)를 산출한다.
목표 속성값 저장 수단(1051)은 피사체의 종류를 식별하는 피사체 식별자와 목표 속성값을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목표 속성값 저장 수단(1051)은 피사체 식별자와 속성 식별자와 목표 속성값을 대응하여 저장하여도 바람직하다.
목표 속성값 획득 수단(1052)은 1이상의 목표 속성값을 획득한다. 목표 속성값 획득 수단(1052)의 목표 속성값의 획득 방법은 상술한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의 목표 속성값의 획득 방법과 동일하다.
속성값 획득부(106)는 출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1이상의 속성값을 획득한다. 출력 화상은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화상이다. 출력 화상은 입력 화상과 동일하여도 바람직하고, 입력 화상에 대하여 어떠한 처리를 실시한 화상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어떠한 처리란 통상 화상 처리이고, 예를 들면, 휘도나 명도 등의 화상 속성의 변경이나, 해상도 창조(일본특허 제2825482호 공보, 일본특허 제3072306호 공보 등에 기재의 기술)등 무엇이든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속성값 획득부(106)는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크기를 획득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속성값 획득부(106)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먼저, 속성값 획득부(106)는 출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이고, 미리 정해진 종류의 피사체(예를 들면, 인간의 얼굴)를 인식한다. 또한, 화상 중의 얼굴을 인식하는 기술은 공지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속성값 획득부(106)는 피사체가 포함되는 직사각형 영역의 종 및 횡의 화소 수를 획득한다. 또한, 화상 출력 장치(1)의 화면 프레임의 크기(예를 들면, 100 인치, 65 인치 등)와 종과 횡의 화소 수를 도시하지 않는 기록 매체(화면 프레임 크기 저장부)로부터 획득한다. 그리고, 속성값 획득부(106)는 직사각형 영역의 종 및 횡의 화소 수와, 화면 프레임의 크기와 화면 프레임의 화소 수로부터 당해 화면 프레임에 출력 화상을 출력한 경우에, 피사체의 종 및 횡의 크기를 산출한다. 또한, 화면 프레임 크기를 획득하는 수단은 통상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104)이지만, 속성값 획득부(106)도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속성값 획득부(106)는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움직이는 속도에 관한 속도 정보를 획득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속성값 획득부(106)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즉, 속성값 획득부(106)는, 예를 들면, 2이상의 연속하는 각 입력 화상 또는 2이상의 연속하는 각 출력 화상으로부터 피사체가 단위 시간당으로 이동하는 화소 수를 획득한다. 또한, 화상 출력 장치(1)의 화면 프레임의 크기(예를 들면, 100 인치, 65 인치 등)와, 종 및 횡의 화소 수를 도시하지 않는 기록 매체(화면 프레임 크기 저장부)로부터 획득한다. 그리고, 단위 시간당으로 이동하는 화소 수와, 화면 프레임의 크기와, 화면 프레임의 종 및 횡의 화소 수로부터 피사체가 실제로 이동하는 속도를 산출한다. 또한, 속도를 산출하는 방법은 불문함은 물론이다.
또한, 예를 들면, 속성값 획득부(106)는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의 평균 휘도, 휘도의 중앙값 등의 휘도의 대푯값을 획득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속성값 획득부(106)는 출력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의 명도의 평균값, 중앙값 등의 명도의 대푯값을 획득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속성값 획득부(106)는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를 구성하는 화소의 휘도의 대푯값이나 명도의 대푯값을 획득하여도 바람직하다.
차이 정보 획득부(107)는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가 획득한 1이상의 목표 속성값과, 속성값 획득부(106)가 획득한 1이상의 속성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1이상의 차이 정보를 획득한다. 차이 정보란 1이상의 목표 속성값과, 속성값 획득부(106)가 획득한 1이상의 속성값의 비를 나타내는 정보도 바람직하다. 즉, 차이 정보란 목표 속성값과 속성값 획득부(106)가 획득한 속성값의 상이에 관한 정보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차이 정보 획득부(107)는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가 획득한 목표 크기와, 속성값 획득부(106)가 획득한 피사체의 크기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이 정보인 크기 차이 정보를 획득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차이 정보 획득부(107)는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가 획득한 목표 속도 정보와, 속성값 획득부(106)가 획득한 속도 정보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이 정보인 속도 차이 정보를 획득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차이 정보는 차이가 있다/차이가 없다라고 하는 정보도 바람직하다.
화상 출력부(108)는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를 변경하여 출력한다. 또한, 화상 출력부(108)는 통상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만큼 1이상의 목표 속성값과 1이상의 속성값의 차이가 큰 경우, 1이상의 목표 속성값과 속성값 획득부(106)가 획득한 1이상의 속성값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를 변경하여 출력한다. 또한, 화상 출력부(108)는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입력 화상의 미리 정해진 1이상의 속성값을 변경한 출력 화상을 구성하여 출력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출력부(108)는 1이상의 디스플레이 속성값에 따라 출력 양태의 변경의 방법이 상이한 것은 적합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란 조건을 반대의 정보로 치환함으로써(예를 들면, 조건 「변수 A > 정수 N」을 조건 「변수 A <= 상수 N」으로 치환함으로써)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라고 환언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화상 출력부(108)는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를 변경 정보에 따라 변경하여 출력한다.
또한,「출력 양태의 변경의 방법이 상이하다」란, 예를 들면, 윈도우의 크기가 상이하거나, 평균 휘도값의 최댓값이 상이하거나, 출력하는 단위 시간당의 코마 수가 상이하거나, 재생 속도가 상이하거나 하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 출력이란 디스플레이로의 표시, 프로젝터를 이용한 투영, 외부 장치(통상, 표시 장치)로의 송신, 기록 매체로의 축적, 다른 처리 장치나 다른 프로그램 등으로의 처리 결과의 인도 등을 포함한 개념이다.
또한, 미리 결정된 1이상의 속성값이란, 예를 들면, 입력 화상의 밝기, 2이상의 입력 화상의 재생 속도, 2이상의 입력 화상의 단위 시간당으로 출력되는 필드 수 등이다.
화상 출력부(108)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고 생각하여도 포함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여도 바람직하다. 화상 출력부(108)는 출력 디바이스의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또는 출력 디바이스의 드라이버 소프트웨어와 출력 디바이스 등으로 실현된다.
조건 저장 수단(1081)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저장한다. 미리 정해진 조건은 차이 정보에 관한 조건이다. 조건 저장 수단(1081)은 미리 정해진 조건을 화면 크기 등의 디스플레이 속성값마다 보유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미리 정해진 조건은 목표 속성값과 획득된 속성값이 동일한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조건 저장 수단(1081)은 불필요하다.
또한, 미리 정해진 조건은, 예를 들면, 「속성값 획득부(106)가 획득한 속성값이 목표 속성값에 일치하는 것」, 「목표 크기와 크기의 비가 2이하인 것」,「목표 속도 정보가 나타내는 속도와, 속성값 획득부(106)가 획득한 속도와 차이가 50m/초 이하인 것」, 「목표 속성값인 목표의 평균 휘도와 속성값 획득부(106)가 획득한 평균 휘도의 차이가 n이하(n은 상수)인 것」 등이다.
변경 정보 저장 수단(1082)은 변경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변경 정보는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의 변경의 정도이다. 여기서, 변경의 정도란, 예를 들면, 윈도우 크기의 변경의 정도, 사람의 이동 속도의 허용 범위, 밝기의 허용 범위 등이다. 변경 정보는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를 변경하기 위한 함수명이나 메서드(method)명이나 함수나 메서드 등도 바람직하다. 또한, 변경 정보는, 예를 들면, 「20 ㎝ <= 사람의 얼굴의 크기 <= 50 ㎝」, 「사람의 이동 속도 <= 15m/초」, 「화면의 휘도의 평균값 <= n(n은 상수)」이다. 또한, 변경 정보는, 화면 크기 등의 디스플레이 속성값마다 보유하고 있어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변경 정보는 「(화면 크기 : ~50 인치, 20 ㎝ <= 사람의 얼굴의 크기 <= 50 ㎝)(화면 크기 : 51 인치 ~ 80 인치, 20 ㎝ <= 사람의 얼굴의 크기 <= 60 ㎝)(화면 크기 : 81 인치 ~ 100 인치, 20 ㎝ <= 사람의 얼굴의 크기 <= 80 ㎝)」, 「(화면 크기 : ~ 50 인치, 사람의 이동 속도 <= 15m/초)(화면 크기 : 51 인치 ~ 80 인치, 사람의 이동 속도 <= 20m/초)(화면 크기 : 81 인치 ~ 100 인치, 사람의 이동 속도 <= 25m/초)」등이다. 변경 정보는 목표 속성값 또는 목표 속성값의 일부 정보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변경 정보 저장 수단(1082)은 불필요하다.
판단 수단(1083)은 1이상의 차이 정보가 조건 저장 수단(1081)에 저장되는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윈도우 크기 결정 수단(1084)은 판단 수단(1083)이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의 크기를 결정한다. 윈도우 크기 결정 수단(1084)은 변경 정보에 일치하도록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의 크기를 결정한다. 또한, 윈도우 크기 결정 수단(1084)은 목표 속성값을 충족시키도록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의 크기를 결정한다.
출력 수단(1085)은 윈도우 크기 결정 수단(1084)이 결정한 윈도우의 크기에 따른 윈도우(이하, 적당히 「주 영역」이라고 함.)에 출력 화상을 출력한다.
다른 화상 출력 수단(1086)은 윈도우의 크기가 화면 프레임보다 작은 경우,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 영역(주 영역)과는 상이한 제 2 영역에, 출력 화상과는 상이한 화상을 출력한다. 출력 화상과는 상이한 화상은, 예를 들면, 스트로브 화상이나, 데이터 방송이나, 입력 영상이 갖는 2이상의 각 챕터를 대표하는 화상 등이다. 또한, 스트로브 영상은 출력 수단(1085)이 현재 출력하고 있는 출력 화상에,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과거에 출력한 1이상의 출력 화상이다. 또한, 출력 화상과는 상이한 화상은, 예를 들면, 윈도우에 출력되는 출력 화상의 원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동일한 입력 화상에 대하여 출력 화상과는 상이한 화상 처리를 실시하여 획득한 화상이다. 또한, 화면 프레임은 화상 출력 장치(1)의 화면 프레임이다.
PinP 출력 수단(1087)은 윈도우 크기 결정 수단(1084)이 결정한 윈도우의 크기가 화상 출력 장치(1)의 화면 프레임보다 큰 경우, 화면 프레임에 출력 화상의 일부를 출력하고, 화면 프레임보다 작은 윈도우에 출력 화상을 축소한 화상을 출력한다. 즉, PinP 출력 수단(1087)은 PinP(Picture in Picture)의 출력을 실시한다. 그리고 PinP 출력 수단(1087)은 PinP의 큰 화면에 출력 화상의 일부를 큰 크기로 출력하고, 작은 윈도우에 출력 화상을 축소한 출력 화상의 전체를 출력한다.
출력 수단(1085), 다른 화상 출력 수단(1086) 및 PinP 출력 수단(1087)은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고 생각하여도 포함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여도 바람직하다. 출력 수단(1085) 등은 출력 디바이스의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또는 출력 디바이스의 드라이버 소프트웨어와 출력 디바이스로 실현된다.
수신부(109)는 사용자로부터 지시나 정보 등을 수신한다. 지시나 정보란,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조건을 변경하는 지시인 변경 지시나, 변경 정보이다. 또한, 수신부(109)는 목표 속성값을 변경하는 목표 속성값 변경 지시를 수신하여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신란 리모컨,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의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된 정보의 수신,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회선을 통하여 송신된 정보의 수신, 광 디스크나 자기 디스크, 메모리 반도체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 낸 정보의 수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지시나 정보 등의 입력 수단은 리모컨이나 키보드나 마우스와 메뉴 화면에 의한 것 등 무엇이든 바람직하다. 수신부(109)는 리모컨이나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나, 메뉴 화면의 제어 소프트웨어 등으로 실현된다.
조건 변경부(110)는 변경 지시에 따라 조건 저장 수단(1081)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변경한다.
변경 정보 변경부(111)는 수신부(109)가 수신한 변경 정보에 따라 변경 정보 저장 수단(1082)의 변경 정보를 변경한다.
목표 속성값 변경부(112)는 수신부(109)가 수신한 목표 속성값 변경 지시에 따라 목표 속성값 저장 수단(1051)의 목표 속성값을 변경한다.
입력 영상 저장부(101), 목표 속성값 저장 수단(1051), 조건 저장 수단(1081), 및 변경 정보 저장 수단(1082)은 비휘발성의 기록 매체가 적합하지만, 휘발성의 기록 매체로도 실현 가능하다. 입력 영상 저장부(101) 등에 입력 영상 등이 기억되는 과정은 불문한다. 예를 들면, 기록 매체를 통하여 입력 영상 등이 입력 영상 저장부(101) 등에서 기억되도록 구성되어도 바람직하고, 통신 회선 등을 통하여 송신된 입력 영상 등이 입력 영상 저장부(101) 등에서 기억되도록 구성되어도 바람직하거나, 또는 입력 디바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 영상 등이 입력 영상 저장부(101) 등에서 기억되도록 구성되어도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104),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 속성값 획득부(106), 차이 정보 획득부(107), 조건 변경부(110), 변경 정보 변경부(111), 목표 속성값 획득 수단(1052), 판단 수단(1083), 윈도우 크기 결정 수단(1084), 조건 변경부(110), 변경 정보 변경부(111) 및 목표 속성값 변경부(112)는 통상 MPU나 메모리 등으로 실현된다.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104) 등의 처리 순서는 보통 소프트웨어로 실현되고, 당해 소프트웨어는 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다만,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실현하여도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화상 출력 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도 3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301) 입력 화상 획득부(103)는 1 또는 2이상의 입력 화상을 획득한다.
(단계 S302) 입력 화상 획득부(103), 또는 도시하지 않는 수단은 단계 S301에서 획득한 1이상의 입력 화상으로부터 1이상의 출력 화상을 구성한다. 또한, 출력 화상이 입력 화상과 동일한 경우, 본 단계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또한, 본 단계에서, 입력 화상에 소정의 화상 처리를 하여 출력 화상을 획득하는 것은 적합하다.
(단계 S303) 속성값 획득부(106)는 1이상의 출력 화상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피사체(예를 들면, 사람과 사람의 얼굴이나 동물 등)를 검출한다.
(단계 S304)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104)는 단계 S303에서 미리 결정된 피사체를 검출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피사체를 검출할 수 있었던 경우는 단계 S305으로 진행하고, 피사체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는 단계 S315로 진행한다.
(단계 S305)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104)는 화상 출력 장치(1)의 1이상의 디스플레이 속성값을 획득한다.
(단계 S306) 속성값 획득부(106)는 1이상의 출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1이상의 속성값을 획득한다. 또한, 여기서, 피사체의 1이상의 속성값은 출력 화상 전체의 속성값도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단계 S307)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1이상의 목표 속성값을 획득한다.
(단계 S308) 차이 정보 획득부(107)는 카운터 i에 1을 대입한다.
(단계 S309) 차이 정보 획득부(107)는 단계 S306에서 획득된 1이상의 속성값 또는 단계 S307에서 획득된 1이상의 목표 속성값 중에서 i번째 속성값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i번째 속성값이 존재하면 단계 S310로 진행하고, i번째 속성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S315로 진행한다.
(단계 S310) 차이 정보 획득부(107)는 단계 S306에서 획득된 i번째 속성값과, 단계 S307에서 획득된 i번째 목표 속성값과의 차이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311) 화상 출력부(108)를 구성하는 판단 수단(1083)은 i번째 속성값에 대응하는 조건을 조건 저장 수단(1081)로부터 획득한다. 그리고 판단 수단(1083)은 단계 S310에서 획득된 차이 정보가 획득한 조건에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조건에 일치하면 단계 S314로 진행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단계 S312로 진행한다.
(단계 S312) 화상 출력부(108)는 i번째의 속성값에 대응하는 변경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화상 출력부(108)는 목표 속성값으로부터 변경 정보를 획득하여도 바람직하다.
(단계 S313) 화상 출력부(108)는 단계 S312에서 획득한 변경 정보에 따라 1이상의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를 변경한다.
(단계 S314) 차이 정보 획득부(107)는 카운터 i를 1 증가한다. 단계 S309로 복귀한다.
(단계 S315) 화상 출력부(108)는 출력 양태가 변경된 출력 화상을 출력한다.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도 3의 흐름도에서, 윈도우의 크기가 화면 프레임보다 작은 경우, 다른 화상 출력 수단(1086)은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 영역과는 상이한 제 2 영역에 출력 화상과는 상이한 화상을 출력하는 것은 적합하다.
또한, 도 3의 흐름도에서, 윈도우 크기 결정 수단(1084)이 결정한 윈도우의 크기가 화상 출력 장치(1)의 화면 프레임보다 큰 경우, PinP 출력 수단(1087)이 화면 프레임에 출력 화상의 일부를 출력하고, 화면 프레임보다 작은 윈도우에 출력 화상을 축소한 화상을 출력하는 것은 적합하다.
게다가, 도 3의 흐름도에서, 수신부(109)가 변경 지시를 수신한 경우, 조건 변경부(110)는 당해 변경 지시에 포함되는 조건을 이용하여 조건 저장 수단(1081)의 미리 정해진 조건을 변경한다. 또한, 수신부(109)가 변경 정보를 수신한 경우, 변경 정보 변경부(111)는 수신부(109)가 수신한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변경 정보 저장 수단(1082)의 변경 정보를 변경한다. 또한, 수신부(109)가 목표 속성값 변경 지시를 수신한 경우, 목표 속성값 변경부(112)는 해당 목표 속성값 변경 지시에 포함되는 목표 속성값을 이용하여 목표 속성값 저장 수단(1051)의 목표 속성값을 변경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화상 출력 장치(1)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6개의 구체예를 이용하여 화상 출력 장치(1)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제, 화상 출력 장치(1)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신기 또는 기록 매체로부터 영상을 읽어 내는 영상 재생 장치라고 가정한다.
또한,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의 목표 속성값 저장 수단(1051)은 도 4에 도시하는 목표 속성값 관리표를 보유한다고 가정한다. 목표 속성값 관리표는 「ID」「피사체 식별자」「속성 식별자」「목표 속성값」을 갖는 레코드를 1이상 저장할 수 있다. 「ID」는 레코드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피사체 식별자」는 피사체의 종류를 특정하는 정보이다. 또한, 「속성 식별자」는 목표로 하는 속성값의 종류를 특정하는 정보이다. 도 4에서, 「ID = 1」의 레코드는 출력되는 화상 중의 사람의 얼굴이 충족시켜야 하는 종 방향 크기(목표 속성값)는 10 ㎝이상, 또한 50 ㎝이하임을 나타낸다. 또한, 「ID = 2」의 레코드는 교통 수단의 크기(횡 방향)의 목표 속성값은 200 ㎝이상임을 나타낸다. 또한, 「ID = 3」의 레코드는 원래 움직이지 않는 자연물의 움직이는 속도의 목표 속성값은 30 ㎝/초 이하임을 나타낸다. 또한, 「ID = 4」의 레코드는 움직임이 있는(속도 : 0 ㎝/초보다 큰) 모든 피사체의 움직임의 속도의 목표 속성값은 1 ㎝/초 이상임을 나타낸다. 또한, 「ID = 5」의 레코드는 화면의 모든 화소의 휘도의 대푯값의 목표 속성값은 n1이하임을 나타낸다. 게다가, 「ID = 6」의 레코드는 화면의 모든 화소의 휘도의 대푯값의 목표 속성값은 n2이상임을 나타낸다. 또한, 휘도의 대푯값이란 화면의 모든 화소의 휘도를 대표하는 값이며, 예를 들면, 휘도의 평균값(단순 평균값과 가중 평균값 등), 중앙값 등이다.
(구체예 1)
구체예 1은 화상 중의 피사체의 크기가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만큼 큰 경우,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의 크기를 화면 프레임의 크기보다 작게 하여 당해 윈도우에 화상을 출력하는 경우이다.
이제, 화상 출력 장치(1)는 200 인치이고, 16 : 9의 화면 프레임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또한, 200 인치의 화면 프레임의 횡 방향의 길이(폭)는 442.8 ㎝, 종 방향의 길이(높이)는 249.1 ㎝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104)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속성값을 미리 저장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화상 출력부(108)의 조건 저장 수단(1081)에 「사람의 얼굴의 종 방향의 크기가 목표 속성값을 충족시키는 것」이라는 조건이 저장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화상 출력부(108)의 변경 정보 저장 수단(1082)은 「change_window_size」가 저장된다고 가정한다. change_window_size는 변경 전의 사람의 얼굴의 종 방향의 크기와, 사람의 얼굴의 종 방향의 목표의 크기와, 화면 프레임의 크기를 인수로서 당해인이 포함되는 화상이 출력되어야 할 윈도우의 크기를 산출하여 리턴하는 함수(메서드)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화상 출력 장치(1)의 입력 화상 획득부(103)는 도 5에 도시하는 화상을 수신했다고 가정한다.
다음으로, 속성값 획득부(106)는 도 5의 화상으로부터 피사체인 사람의 얼굴을 검출한다. 또한, 속성값 획득부(106)는 미리 검출해야 할 대상(피사체)에 대한 정보(피사체 식별자「사람의 얼굴」)를 보유한다고 가정한다. 여기에서는, 속성값 획득부(106)는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프로그램 또는 하드웨어이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104)는 미리 저장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크기(화면 프레임 : 200 인치, 폭 442.8 ㎝, 높이 : 249.1 ㎝)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속성값 획득부(106)는 검출한 사람의 얼굴의 크기(여기에서는, 화상 내에서의 종 방향의 비율)를 「0.33」으로 획득했다고 가정한다. 다음으로, 속성값 획득부(106)는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104)가 획득한 높이「249.1 ㎝」와, 획득한 화상 내의 비율「0.33」을 곱셈하여 「82.203 ㎝」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도 4의 목표 속성값 관리표로부터 피사체 식별자「사람의 얼굴」에 일치하는 속성값 식별자「크기(종 방향)」 및 목표 속성값「10 ㎝이상 50 ㎝이하」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차이 정보 획득부(107)는 속성값 획득부(106)가 획득한 속성값「82.203 ㎝」와, 목표 속성값「10 ㎝이상 50 ㎝이하」의 차이인 차이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의 차이 정보는 속성값 획득부(106)가 획득한 속성값이 목표 속성값에 포함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다음으로, 화상 출력부(108)를 구성하는 판단 수단(1083)은 조건 저장 수단(1081)으로부터 「사람의 얼굴의 종 방향의 크기가 목표 속성값을 충족시키는 것」이라는 조건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판단 수단(1083)은 획득한 차이 정보가 획득한 조건에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다음으로, 화상 출력부(108)는 변경 정보「change_window_size」를 획득한다. 그리고, 화상 출력부(108)는 「change_window_size(82.203 ㎝, 50 ㎝, 200 인치)」를 실행하여 윈도우 크기를 획득한다. 또한, 함수「change_window_size」는 크기「82.203 ㎝」을 축소하여 「50 ㎝」로 하기 위한, 200 인치의 화면 상에서의 윈도우 크기를 획득하는 함수이다.
그리고, 화상 출력부(108)는 화면 프레임보다 작은 윈도우에 출력 화상을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의 예는 도 6이다.
또한, 윈도우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생긴 제 2 영역에 화상 출력부(108)는 이하와 같은 화상을 출력하는 것은 적합하다. 이러한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화상은 당해 윈도우(주 영역)에 출력되는 화상과는 상이한 화상이다. 즉, 다른 화상 출력 수단(1086)은, 예를 들면, 스트로브 화상이나, 데이터 방송 수신부(102)가 수신한 데이터 방송을 제 2 영역에 출력한다.
(구체예 2)
구체예 2는 화상 중의 피사체의 크기가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만큼 작은 경우, 화면 프레임에 화상의 일부를 출력하고, 화면 프레임보다 작은 윈도우에 출력 화상을 축소한 화상을 출력하는 경우이다. 즉, 본 구체예에서 영상은 PinP 출력된다.
이제, 화상 출력 장치(1)는 42 인치이고, 16 : 9의 화면 프레임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또한, 42 인치의 화면 프레임의 횡 방향의 길이(폭)는 93.0 ㎝, 종 방향의 길이(높이)는 52.3 ㎝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104)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속성값을 미리 저장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화상 출력부(108)의 조건 저장 수단(1081)에 「차이 정보가 30 ㎝이하」라는 조건이 저장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화상 출력부(108)의 변경 정보 저장 수단(1082)은 「change_window_size」가 저장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화상 출력 장치(1)의 입력 화상 획득부(103)는 도 7에 도시하는 화상을 수신했다고 가정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화상에는 「피사체 식별자 : 교통 수단」이 데이터 영역에 부가된다고 가정한다.
다음으로, 속성값 획득부(106)는 도 5의 화상으로부터 피사체인 교통 수단을 검출한다. 또한, 화상으로부터 특정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기술은 공지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104)는 미리 저장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크기(화면 프레임 : 42 인치, 폭 93.0 ㎝, 높이:52.3 ㎝)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속성값 획득부(106)는 검출한 교통 수단의 크기(여기에서는, 화상 내의 횡 방향의 비율)를 「0.9」로 획득했다고 가정한다. 다음으로, 속성값 획득부(106)는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104)가 획득한 폭「93.0 ㎝」와, 획득한 화상 내의 비율「0.9」를 곱셈하여「83.7 ㎝」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도 4의 목표 속성값 관리표로부터 피사체 식별자「교통 수단」에 일치하는 속성값 식별자「크기(횡 방향)」 및 목표 속성값「200 ㎝이상」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차이 정보 획득부(107)는 속성값 획득부(106)가 획득한 속성값「83.7 ㎝」와, 목표 속성값「200 ㎝이상」의 차이인 차이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에서의 차이 정보는 「200 - 83.7 = 116.3 ㎝」이라고 가정한다.
다음으로, 화상 출력부(108)를 구성하는 판단 수단(1083)은 조건 저장 수단(1081)으로부터 「차이 정보가 30 ㎝이하」라는 조건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판단 수단(1083)은 획득한 차이 정보「116.3 ㎝」가 획득한 조건「차이 정보가 30 ㎝이하」에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다음으로, 화상 출력부(108)는 변경 정보「change_window_size」를 획득한다. 그리고, 화상 출력부(108)는 「change_window_size(116.3 ㎝, 200 ㎝, 42 인치)」를 실행하여 윈도우 크기(예를 들면,「72.2 인치」)를 획득한다. 또한, 화면 프레임의 크기 72.2 인치는 폭 159.9 ㎝, 높이 : 89.9 ㎝에 대응한다.
그리고, 화상 출력부(108)의 PinP 출력 수단(1087)은 윈도우의 크기(폭 159.9 ㎝, 높이 : 89.9 ㎝)에 일치하도록 도 7의 화상을 확대하여 그 일부를 화면 프레임 전체에 출력한다. 또한 PinP 출력 수단(1087)은 미리 정해진 크기(화면 프레임보다 작은 크기)의 윈도우에 도 7의 화상 전체를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 예를 도 8에 도시한다. 도 8에서 PinP의 화상이 출력된다.
(구체예 3)
구체예 3은 화상 중의 피사체의 이동 속도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만큼 빠른 경우,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의 크기를 화면 프레임의 크기보다 작게 하여 당해 윈도우에 화상을 출력하는 경우이다.
이제, 화상 출력 장치(1)는 200인치이며, 16 : 9 화면 프레임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또한, 200 인치의 화면 프레임의 횡 방향의 길이(폭)는 442.8 ㎝, 종 방향의 길이(높이)는 249.1 ㎝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104)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속성값을 미리 저장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화상 출력부(108)의 조건 저장 수단(1081)에 「자연물의 속도가 목표 속성값을 충족시키는 것」이라는 조건이 저장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화상 출력부(108)의 변경 정보 저장 수단(1082)은 「change_window_size」가 저장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화상 출력 장치(1)의 입력 화상 획득부(103)는 도 9에 도시하는 화상을 포함하는 움직임이 있는 2이상의 자연물의 화상을 입력 영상 저장부(101)로부터 읽어 냈다고 가정한다. 또한, 입력 영상 저장부(101)에는, 예를 들면, DVD(Digital Versatile Disc)의 형식의 데이터이며, 챕터로 분할되어 있는 영상이라고 가정한다.
다음으로, 속성값 획득부(106)는 입력 화상 획득부(103)가 읽어 낸 2이상의 화상으로부터 화상 중의 피사체의 움직임의 속도「60 ㎝/초」를 획득했다고 가정한다. 또한, 속성값 획득부(106)는 출력 화상을 출력하기 전에 입력 영상 저장부(101)의 영상을 예측하고, 2이상의 화상의 피사체의 속도를 획득하는 것은 적합하다.
다음으로,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도 4의 목표 속성값 관리표로부터 피사체 식별자「자연물」에 일치하는 속성값 식별자「속도」, 및 목표 속성값「30 ㎝/초 이하」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차이 정보 획득부(107)는 속성값 획득부(106)가 획득한 속성값「60 ㎝/초」와, 목표 속성값「30 ㎝/초 이하」의 차이인 차이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의 차이 정보는 속성값 획득부(106)가 획득한 속성값이 목표 속성값을 충족시키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다음으로, 화상 출력부(108)를 구성하는 판단 수단(1083)은 조건 저장 수단(1081)으로부터 「피사체의 이동 속도가 목표 속성값을 충족시키는 것」이라는 조건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판단 수단(1083)은 획득한 차이 정보가 획득한 조건에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다음으로, 화상 출력부(108)는 변경 정보「change_window_size」를 획득한다. 그리고, 화상 출력부(108)의 윈도우 크기 결정 수단(1084)은 속도「60 ㎝/초」의 움직임을 목표 속성값「30 ㎝/초 이하」에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 윈도우 크기를 화면 프레임에 대하여「30/60 = 1/2」이 되도록 결정한다. 그리고, 윈도우 크기 결정 수단(1084)은 100 인치의 윈도우의 크기를 획득한다. 획득한 윈도우의 크기는 폭 : 221.4 ㎝, 높이 : 124.5 ㎝이다.
그리고, 화상 출력부(108)는 화면 프레임보다 작은 윈도우에 출력 화상을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의 예는 도 10이다.
또한, 윈도우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생긴 제 2 영역에 화상 출력부(108)는 이하와 같은 화상을 출력하는 것은 적합하다. 즉, 다른 화상 출력 수단(1086)은,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과거에 주 영역에 출력한 2이상의 연속하는 화상을 스트로브 출력하거나 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화상 출력 수단(1086)은,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방송 수신부(102)가 수신한 데이터 방송을 출력하여도 바람직하다. 게다가, 다른 화상 출력 수단(1086)은,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영상 저장부(101)의 영상 중의 챕터를 제시하여도 바람직하다.
(구체예 4)
구체예 4는 화상 중의 피사체의 움직임의 속도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만큼 늦어질 경우, 실제 속도에 일치하거나, 실제 속도에 근접하게 되도록 재생 속도의 변경을 실시하여 화상을 출력하는 경우이다.
이제, 화상 출력 장치(1)는 42 인치이며 16 : 9의 화면 프레임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또한, 42 인치의 화면 프레임의 횡 방향의 길이(폭)는 93.0 ㎝, 종 방향의 길이(높이)는 52.3 ㎝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104)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속성값을 미리 저장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화상 출력부(108)의 조건 저장 수단(1081)에 「속도가 목표 속성값을 충족시키는 것」이라는 조건이 저장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화상 출력부(108)의 변경 정보 저장 수단(1082)은 「change_speed」가 저장된다고 가정한다. 함수「change_speed」는 통상의 재생 속도와, 움직임의 속도의 비를 인수로 하여 피사체의 움직임이 조건에 일치하도록 재생 속도를 결정하는 함수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화상 출력 장치(1)의 입력 화상 획득부(103)는 도 14에 도시하는 화상을 포함하는 움직임이 있는 2이상의 자연물의 화상을 수신했다고 가정한다.
다음으로, 속성값 획득부(106)는 입력 화상 획득부(103)가 읽어 낸 2이상의 화상으로부터 화상 중의 피사체의 움직임의 속도「0.5 ㎝/초」를 획득했다고 가정한다. 또한, 통상의 재생 속도는 「30필드/초」라고 가정한다.
다음으로, 차이 정보 획득부(107)는, 속성값 획득부(106)가 획득한 속성값「0.5 ㎝/초」와, 목표 속성값「1 ㎝/초 이상」의 차이인 차이 정보「1 : 0.5 = 2 : 1(2배)」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판단 수단(1083)은 획득한 차이 정보가 획득한 조건에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다음으로, 화상 출력부(108)는 변경 정보「change_speed」를 획득한다. 그리고, 화상 출력부(108)는 함수「change_speed(30 필드/초, 2배)」를 실행하여 60 필드/초를 획득한다.
그리고, 화상 출력부(108)는 60 필드/초의 재생 속도로 출력 화상을 재생한다. 또한, 출력 화상은 여기에서는, 예를 들면, 입력 화상 획득부(103)가 획득한 화상이다.
(구체예 5)
구체예 5는 화상의 밝기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만큼 밝은 경우, 휘도를 작게 하여 화상을 출력하는 경우이다.
이제,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의 목표 속성값 저장 수단(1051)은 도 15에 도시하는 목표 속성값 관리표를 보유한다고 가정한다. 본 목표 속성값 관리표는 「ID」「디스플레이 속성값」「속성 식별자」「목표 속성값」을 갖는 레코드를 1이상 저장한다. 「디스플레이 속성값」은 여기에서는 「디스플레이의 종류」「크기」를 갖는다. 속성 식별자의 「휘도 대푯값」은 화상 전체의 휘도의 평균값이나 중앙값 등의 대푯값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화상 출력 장치(1)의 입력 화상 획득부(103)는 하나의 화상을 수신했다고 가정한다.
다음으로, 속성값 획득부(106)는 수신된 화상의 휘도 대푯값「CA」를 획득했다고 가정한다. 또한, 이러한 처리는 공지 기술이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104)는 미리 저장하고 있는 디스플레이의 종류「액정」 및 크기「65 인치」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도 15의 목표 속성값 관리표로부터 디스플레이의 종류「액정」 및 크기「65 인치」에 대응하는 목표 속성값「C1 <= X <= C3」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차이 정보 획득부(107)는 속성값 획득부(106)가 획득한 휘도 대푯값「CA」와, 목표 속성값「C1 <= X <= C3」을 이용하여 차이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에서의 차이 정보는 속성값 획득부(106)가 획득한 속성값「CA」가 목표 속성값「C1 <= X <= C3」에 포함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여기에서는,「C3 < CA」이였다고 가정한다.
다음으로, 화상 출력부(108)를 구성하는 판단 수단(1083)은 조건 저장 수단(1081)으로부터 「휘도 대푯값이 목표 속성값을 충족시키는 것」이라는 조건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판단 수단(1083)은 획득한 차이 정보가 획득한 조건에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다음으로, 화상 출력부(108)는 변경 정보「change_brightness」를 획득한다고 가정한다. 「change_brightness」는 목표 휘도를 인수로 하여 휘도 대푯값이 목표 휘도가 되도록 화상의 휘도를 변경하는 함수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화상 출력부(108)는 수신된 화상에 대하여 「change_brightness(C3)」을 실행하여 출력 화상을 획득한다. 즉, 화상 출력부(108)는 화상 전체의 휘도를 크게 한 출력 화상을 획득한다.
그리고, 화상 출력부(108)는 화면 프레임 전체에 출력 화상을 출력한다. 또한, 구체예 5에서, 속성값 획득부(106)는 수신된 화상 전체의 휘도 대푯값을 획득했지만, 수신된 화상의 일부의 피사체의 휘도 대푯값을 획득하여도 바람직하다.
(구체예 6)
구체예 6은 화상의 밝기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만큼 어두운 경우, 휘도를 크게 하여 화상을 출력하는 경우이다.
이제,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의 목표 속성값 저장 수단(1051)은 도 15에 도시하는 목표 속성값 관리표를 보유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화상 출력 장치(1)의 입력 화상 획득부(103)는 하나의 화상을 수신했다고 가정한다.
다음으로, 속성값 획득부(106)는 수신된 화상의 휘도 대푯값「CB」를 획득했다고 가정한다. 또한, 이러한 처리는 공지 기술이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104)는 미리 저장하고 있는 디스플레이의 종류「유기 EL」, 및 크기「32 인치」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도 15의 목표 속성값 관리표로부터 디스플레이의 종류「유기 EL」, 및 크기「 32인치」에 대응하는 목표 속성값「C1 <= X <= C6」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차이 정보 획득부(107)는 속성값 획득부(106)가 획득한 휘도 대푯값「CB」와, 목표 속성값「C1 <= X <= C6」을 이용하여 차이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에서의 차이 정보는 속성값 획득부(106)가 획득한 속성값「CB」가 목표 속성값「C1 <= X <= C6」에 포함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여기에서는,「CB < C1」이었다고 가정한다.
다음으로, 화상 출력부(108)를 구성하는 판단 수단(1083)은 조건 저장 수단(1081)로부터 「휘도 대푯값이 목표 속성값을 충족시키는 것」이라는 조건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판단 수단(1083)은 획득한 차이 정보가 획득한 조건에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다음으로, 화상 출력부(108)는 변경 정보「change_brightness」를 획득한다고 가정한다. 「change_brightness」는 목표 휘도를 인수로 하여 휘도 대푯값이 목표 휘도가 되도록 화상의 휘도를 변경하는 함수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화상 출력부(108)는 수신된 화상에 대하여「change_brightness(C1)」을 실행하여 출력 화상을 획득한다. 즉, 화상 출력부(108)는 화상 전체의 휘도를 작게 한 출력 화상을 획득한다.
그리고, 화상 출력부(108)는 화면 프레임 전체에 출력 화상을 출력한다. 또한, 구체예 6에서, 속성값 획득부(106)는 수신된 화상 전체의 휘도 대푯값을 획득했지만, 수신된 화상의 일부 피사체의 휘도 대푯값을 획득하여도 바람직하다.
이상,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화상 중의 피사체의 속성값을 실제의 속성값에 일치시키거나 근접하게 함으로써,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면,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의 크기를 화면 프레임보다 작게 한 경우에 생기는 빈 영역(제 2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의 크기가 화상 출력 장치의 화면 프레임보다 큰 경우, 화면 프레임에 출력 화상의 일부를 출력하고, 화면 프레임보다 작은 윈도우에 출력 화상을 축소한 화상을 출력할 수 있음으로써, 출력 화상 중의 피사체의 속성값을 실제의 속성값에 일치시키거나 근접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출력 화상의 전체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화상 중의 피사체의 크기를 카메라 위치를 고려한 실제의 크기에 일치시키거나 근접하게 함으로써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화상 중의 피사체의 움직임의 속도를 실제 속도에 일치시키거나 근접하게 함으로써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화상 중의 피사체의 움직임의 속도를 카메라 위치를 고려한 실제의 속도에 일치시키거나 근접하게 함으로써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화상의 밝기(휘도나 명도 등)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고, 그 결과,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화상의 재생 속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고, 그 결과,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화상의 단위 시간당의 코마 수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고, 그 결과,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화상을 보는 디스플레이의 속성값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출력 화상을 출력할 수 있고, 그 결과,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체예에서 목표 속성값 저장 수단(1051)의 목표 속성값, 조건 저장 수단(1081)의 조건 변경 정보 저장 수단(1082)의 변경 정보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지 않았다. 그러나, 수신부(109)는 조건을 변경하는 지시인 변경 지시를 수신하여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조건 변경부(110)는 변경 지시에 따라 미리 정해진 조건을 변경한다. 또한, 조건 변경부(110)는 변경 지시에 따라 목표 속성값을 변경하여도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는, 목표 속성값도 미리 정해진 조건을 구성한다고 생각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수신부(109)는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의 변경의 정도인 변경 정보를 수신하여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변경 정보 변경부(111)는 변경 정보에 따라 상기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의 변경의 정도를 변경한다. 여기에서는, 목표 속성값도 변경 정보를 구성한다고 생각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체예에서, 피사체의 크기나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경우, 카메라 위치를 고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상기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카메라 위치에서 본 외관상 크기인 목표 크기를 획득하는 것은 적합하다. 즉,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목표 속성값 저장 수단(1051)의 목표 속성값(크기)을 카메라 위치를 이용하여 보정하고, 새로운 목표 속성값으로 하여도 바람직하다. 즉,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카메라 위치(예를 들면, 피사체와 카메라의 거리)가 클수록 목표 속성값(크기)을 작게 하도록 보정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카메라 위치에서 본 외관상의 움직이는 속도에 관한 목표값에 대한 정보인 목표 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적합하다. 즉,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목표 속성값 저장 수단(1051)의 목표 속성값(속도)을 카메라 위치를 이용하여 보정하고, 새로운 목표 속성값으로 하여도 바람직하다. 즉, 목표 속성값 획득부(105)는 카메라 위치(예를 들면, 피사체와 카메라의 거리)가 클수록 목표 속성값(속도)을 작게 하도록 보정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카메라 위치의 정보(예를 들면, 피사체와 카메라의 거리)는 화상에 대응시켜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처리는 소프트웨어로 실현하여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런 소프트웨어를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등에 의해 배포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런 소프트웨어를 CD-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유포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해당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상 출력 장치(1)를 실현하는 소프트웨어는 이하와 같은 프로그램이다. 즉, 이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입력 화상을 획득하는 입력 화상 획득부와, 상기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목표로 하는 속성값인 1이상의 목표 속성값을 획득하는 목표 속성값 획득부와, 상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피사체의 1이상의 속성값을 획득하는 속성값 획득부와, 상기 목표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1이상의 목표 속성값과, 상기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1이상의 속성값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1이상의 차이 정보를 획득하는 차이 정보 획득부와, 상기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화상 출력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화상 출력부는 상기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만큼 1이상의 목표 속성값과 1이상의 속성값의 차이가 큰 경우, 상기 1이상의 목표 속성값과 상기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1이상의 속성값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상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은 적합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화상 출력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저장하는 조건 저장 수단과, 상기 1이상의 차이 정보가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이 상기 1이상의 차이 정보가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의 크기를 결정하는 윈도우 크기 결정 수단과, 상기 윈도우의 크기에 따른 윈도우에 상기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은 적합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화상 출력부는 상기 윈도우의 크기가 화면 프레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 영역과는 상이한 제 2 영역에 상기 출력 화상과는 상이한 화상을 출력하는 다른 화상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은 적합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다른 화상 출력 수단은 상기 제 2 영역을 분할한 2이상의 영역에 스트로브 출력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은 적합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른 화상 출력 수단은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데이터 방송을 출력하는 것으로 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은 적합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2이상의 챕터로 분할할 수 있는 입력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입력 영상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화상 획득부는 상기 입력 영상이 갖는 2이상의 각 입력 화상을 상기 입력 영상 저장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읽어 내고, 상기 다른 화상 출력 수단은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입력 영상이 갖는 2이상의 각 챕터를 대표하는 화상을 출력하는 것으로 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은 적합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다른 화상 출력 수단은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윈도우에 출력되는 출력 화상의 원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동일한 입력 화상에 대하여, 상기 출력 화상과는 상이한 화상 처리를 실시하여 획득한 화상을 출력하는 것으로 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은 적합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화상 출력부는 상기 윈도우 크기 결정 수단이 결정한 윈도우의 크기가 상기 화상 출력 장치의 화면 프레임보다 큰 경우, 상기 화면 프레임에 상기 출력 화상의 일부를 출력하고, 당해 화면 프레임보다 작은 윈도우에 상기 출력 화상을 축소한 화상을 출력하는 PinP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은 적합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목표 속성값 획득부는 상기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목표로 하는 크기인 목표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속성값 획득부는 상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피사체의 크기를 획득하며, 상기 차이 정보 획득부는 상기 목표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목표 크기와, 상기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피사체의 크기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이 정보인 크기 차이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은 적합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목표 속성값 획득부는 상기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카메라 위치에서 본 외관상 크기인 목표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속성값 획득부는 상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피사체의 크기를 획득하며, 상기 차이 정보 획득부는 상기 목표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목표 크기와, 상기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피사체의 크기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이 정보인 크기 차이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은 적합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목표 속성값 획득부는 상기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움직이는 속도에 관한 목표값에 대한 정보인 목표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속성값 획득부는 상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이는 속도에 관한 속도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차이 정보 획득부는 상기 목표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목표 속도 정보와, 상기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속도 정보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이 정보인 속도 차이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은 적합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목표 속성값 획득부는 상기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카메라 위치에서 본 외관상의 움직이는 속도에 관한 목표값에 대한 정보인 목표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속성값 획득부는 상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이는 속도에 관한 속도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차이 정보 획득부는 상기 목표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목표 속도 정보와, 상기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속도 정보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이 정보인 속도 차이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은 적합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화상 출력부는 상기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 화상의 미리 정해진 1이상의 속성값을 변경한 출력 화상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은 적합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입력 화상 획득부는 2이상의 입력 화상을 획득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1이상의 속성값은 상기 2이상의 입력 화상의 재생 속도인 것으로 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은 적합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입력 화상 획득부는 2이상의 입력 화상을 획득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1이상의 속성값은 상기 2이상의 입력 화상의 단위 시간당으로 출력되는 필드 수인 것으로 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은 적합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화상 출력 장치의 디스플레이 속성값인 1이상의 디스플레이 속성값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 출력부는 상기 1이상의 디스플레이 속성값에 따라 출력 양태의 변경의 방법이 상이한 것으로 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은 적합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변경하는 지시인 변경 지시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변경 지시에 따라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변경하는 조건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은 적합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의 변경의 정도인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변경 정보에 따라 상기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의 변경의 정도를 변경하는 변경 정보 변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 출력부는 상기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를 상기 변경 정보에 따라 변경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은 적합하다.
또한, 도 16은 본 명세서에서 언급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의 화상 출력 장치(1)를 실현하는 컴퓨터의 외관을 도시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그 위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된다. 도 16은 이런 컴퓨터 시스템(300)의 개관도이고, 도 17은 시스템(340)의 블록도이다.
도 16에서, 컴퓨터 시스템(340)은 FD(Flexible Disk) 드라이브,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컴퓨터(341)와, 키보드(342)와, 마우스(343)와, 모니터(344)와, 마이크(345)를 포함한다.
도 17에서, 컴퓨터(341)는 FD 드라이브(3411), CD-ROM 드라이브(3412)에 부가하여, MPU(3413)과, MPU(3413), CD-ROM 드라이브(3412) 및 FD 드라이브(3411)에 접속된 버스(3014)와, 부트 업 프로그램 등의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ROM(3415)과, MPU(3413)에 접속되고, 응용 프로그램의 명령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동시에 일시 기억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RAM(3416)과, 응용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하드 디스크(3417)를 포함한다.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컴퓨터(341)는 또한, LAN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카드를 포함하여도 바람직하다.
컴퓨터 시스템(340)에, 상술한 실시예의 화상 출력 장치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은 CD-ROM(3501) 또는 FD(3502)에 기억되고, CD-ROM 드라이브(3412) 또는 FD 드라이브(3411)에 삽입되며, 또한, 하드 디스크(3417)로 전송되어도 바람직하다. 이 대신에, 프로그램은 도시하지 않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컴퓨터(341)로 전송되고, 하드 디스크(3417)에 기억되어도 바람직하다. 프로그램은 실행 시 RAM(3416)으로 로딩된다. 프로그램은 CD-ROM(3501), FD(3502)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직접 로딩되어도 바람직하다.
프로그램은 컴퓨터(301)에 상술한 실시예의 화상 출력 장치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운영 시스템, 또는 서드 파티(third party) 프로그램 등은 반드시 포함하지 않아도 바람직하다. 프로그램은 제어된 형태로 적절한 기능을 호출하고, 소망의 결과가 획득되도록 하는 명령의 부분만을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컴퓨터 시스템(340)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는 주지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단계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등에서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되는 처리, 예를 들면, 송신 단계에서의 모뎀이나 인터페이스 카드 등으로 실시되는 처리(하드웨어로만 실시되는 처리)는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는 단수도 바람직하고, 복수도 바람직하다. 즉, 집중 처리를 실시하여도 바람직하고, 또는 분산 처리를 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 각 처리(각 기능)는 단일의 장치(시스템)에 의해 집중 처리됨으로써 실현되어도 바람직하거나, 복수의 장치에 의해 분산 처리됨으로써 실현되어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일 없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그것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출력 장치는 화상을 보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거나, 불편을 없앨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 텔레비전 수신기 등으로서 유용하다.
1 : 화상 출력 장치
101 : 입력 영상 저장부
102 : 데이터 방송 수신부
103 : 입력 화상 획득부
104 :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
105 : 목표 속성값 획득부
106 : 속성값 획득부
107 : 차이 정보 획득부
108 : 화상 출력부
109 : 수신부
110 : 조건 변경부
111 : 변경 정보 변경부
1051 : 목표 속성값 저장 수단
1052 : 목표 속성값 획득 수단
1081 : 조건 저장 수단
1082 : 변경 정보 저장 수단
1083 : 판단 수단
1084 : 윈도우 크기 결정 수단
1085 : 출력 수단
1086 : 다른 화상 출력 수단
1087 : PinP 출력 수단

Claims (21)

  1. 입력 화상을 획득하는 입력 화상 획득부와,
    상기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목표로 하는 속성값인 1이상의 목표 속성값을 획득하는 목표 속성값 획득부와,
    상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피사체의 1이상의 속성값을 획득하는 속성값 획득부와,
    상기 목표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1이상의 목표 속성값과, 상기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1이상의 속성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1이상의 차이 정보를 획득하는 차이 정보 획득부와,
    상기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화상 출력부를 포함하는 화상 출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출력부는,
    상기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만큼 1이상의 목표 속성값과 1이상의 속성값의 차이가 큰 경우, 상기 1이상의 목표 속성값과 상기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1이상의 속성값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상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출력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저장하는 조건 저장 수단과,
    상기 1이상의 차이 정보가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이 상기 1이상의 차이 정보가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의 크기를 결정하는 윈도우 크기 결정 수단과,
    상기 윈도우의 크기에 따른 윈도우에 상기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출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출력부는,
    상기 윈도우의 크기가 화면 프레임(frame)보다 작은 경우, 상기 출력 화상을 출력하는 윈도우 영역과는 상이한 제 2 영역에 상기 출력 화상과는 상이한 화상을 출력하는 다른 화상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화상 출력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화상 출력 수단은,
    상기 제 2 영역을 분할한 2이상의 영역에 스트로브(strobe) 출력을 실시하는 화상 출력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른 화상 출력 수단은,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데이터 방송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2이상의 챕터(chapter)로 분할할 수 있는 입력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입력 영상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화상 획득부는,
    상기 입력 영상이 갖는 2이상의 각 입력 화상을 상기 입력 영상 저장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읽어 내고,
    상기 다른 화상 출력 수단은,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입력 영상이 갖는 2이상의 각 챕터를 대표하는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화상 출력 수단은,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윈도우에 출력되는 출력 화상의 원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동일한 입력 화상에 대하여, 상기 출력 화상과는 상이한 화상 처리를 실시하여 획득한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출력부는,
    상기 윈도우 크기 결정 수단이 결정한 윈도우의 크기가 상기 화상 출력 장치의 화면 프레임보다 큰 경우, 상기 화면 프레임에 상기 출력 화상의 일부를 출력하고, 당해 화면 프레임보다 작은 윈도우에 상기 출력 화상을 축소한 화상을 출력하는 PinP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화상 출력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속성값 획득부는,
    상기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목표로 하는 크기인 목표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속성값 획득부는,
    상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피사체의 크기를 획득하며,
    상기 차이 정보 획득부는,
    상기 목표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목표 크기와, 상기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피사체의 크기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이 정보인 크기 차이 정보를 획득하는 화상 출력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속성값 획득부는,
    상기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움직이는 속도에 관한 목표값에 대한 정보인 목표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속성값 획득부는,
    상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이는 속도에 관한 속도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차이 정보 획득부는,
    상기 목표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목표 속도 정보와, 상기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속도 정보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이 정보인 속도 차이 정보를 획득하는 화상 출력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출력부는,
    상기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 화상의 미리 정해진 1이상의 속성값을 변경한 출력 화상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화상의 미리 정해진 1이상의 속성값은,
    상기 입력 화상의 밝기인 화상 출력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화상 획득부는,
    2이상의 입력 화상을 획득하고,
    상기 입력 화상의 미리 정해진 1이상의 속성값은,
    상기 2이상의 입력 화상의 재생 속도인 화상 출력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화상 획득부는,
    2이상의 입력 화상을 획득하고,
    상기 입력 화상의 미리 정해진 1이상의 속성값은,
    상기 2이상의 입력 화상의 단위 시간당으로 출력되는 필드 수인 화상 출력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출력 장치의 디스플레이 속성값인 1이상의 디스플레이 속성값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속성값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 출력부는,
    상기 1이상의 디스플레이 속성값에 따라 출력 양태의 변경의 방법이 상이한 화상 출력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변경하는 지시인 변경 지시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변경 지시에 따라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변경하는 조건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 출력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1이상의 목표 속성값이 미리 저장되고,
    상기 목표 속성값을 변경하는 지시인 목표 속성값 변경 지시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목표 속성값 변경 지시에 따라 상기 목표 속성값을 변경하는 목표 속성값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 출력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의 변경의 정도인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변경 정보에 따라 상기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의 변경의 정도를 변경하는 변경 정보 변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 출력부는,
    상기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를 상기 변경 정보에 따라 변경하여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
  20. 입력 화상 획득부, 목표 속성값 획득부, 속성값 획득부, 차이 정보 획득부 및 화상 출력부에 의해 실현되는 화상 출력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화상 획득부가 입력 화상을 획득하는 입력 화상 획득 단계와 ,
    상기 목표 속성값 획득부가 상기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목표로 하는 속성값인 1이상의 목표 속성값을 획득하는 목표 속성값 획득 단계와,
    상기 속성값 획득부가 상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피사체의 1이상의 속성값을 획득하는 속성값 획득 단계와,
    상기 차이 정보 획득이 상기 목표 속성값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1이상의 목표 속성값과 상기 속성값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1이상의 속성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1이상의 차이 정보를 획득하는 차이 정보 획득 단계와,
    상기 차이 정보 획득이 상기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화상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출력 방법.
  21.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입력 화상을 획득하는 입력 화상 획득부와,
    상기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목표로 하는 속성값인 1이상의 목표 속성값을 획득하는 목표 속성값 획득부와,
    상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피사체의 1이상의 속성값을 획득하는 속성값 획득부와,
    상기 목표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1이상의 목표 속성값과, 상기 속성값 획득부가 획득한 1이상의 속성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1이상의 차이 정보를 획득하는 차이 정보 획득부와,
    상기 1이상의 차이 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출력 화상의 출력 양태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화상 출력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137031572A 2011-07-06 2012-06-04 화상 출력 장치, 화상 출력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912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49708A JP6058257B2 (ja) 2011-07-06 2011-07-06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11-149708 2011-07-06
PCT/JP2012/064369 WO2013005518A1 (ja) 2011-07-06 2012-06-04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080A true KR20140043080A (ko) 2014-04-08
KR101912969B1 KR101912969B1 (ko) 2018-10-29

Family

ID=47436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572A KR101912969B1 (ko) 2011-07-06 2012-06-04 화상 출력 장치, 화상 출력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75521B2 (ko)
EP (1) EP2731099A4 (ko)
JP (1) JP6058257B2 (ko)
KR (1) KR101912969B1 (ko)
CN (1) CN103609135B (ko)
WO (1) WO20130055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4913B2 (ja) * 2013-05-10 2017-11-01 アイキューブド研究所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426539B2 (en) * 2013-09-11 2016-08-23 Intel Corporation Integrated presentation of secondary content
CN109511285A (zh) * 2016-06-30 2019-03-22 I<sup>3</sup>研究所股份有限公司 影像信号处理装置、影像信号处理方法以及程序
CN109479115B (zh) * 2016-08-01 2021-01-12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JP6880899B2 (ja) * 2017-03-27 2021-06-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5482B2 (ja) 1986-08-02 1998-11-1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補間装置
JPH0955912A (ja) 1995-08-14 1997-02-25 Toshiba Corp ストロボ表示装置
JP3072306B2 (ja) 1996-01-29 2000-07-3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変換装置及び変換方法
JP2001057671A (ja) * 1999-08-19 2001-02-27 Toshiba Corp 映像送信端末及び映像受信端末
US7206029B2 (en) * 2000-12-15 2007-04-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icture-in-picture repositioning and/or resizing based on video content analysis
JP2002297119A (ja) * 2001-04-02 2002-10-11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3973602B2 (ja) * 2002-07-10 2007-09-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ソフトウェアプログラム
WO2004049698A1 (en) * 2002-11-26 2004-06-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otion sequence pattern detection
JP2004279503A (ja) * 2003-03-13 2004-10-07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輝度制御方法
US8204364B2 (en) * 2004-12-16 2012-06-19 Sharp Kabushiki Kaisha Moving picture image reproduction method and moving picture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KR20060123033A (ko) 2005-05-28 200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장치와, 영상소스와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JP4244972B2 (ja) * 2005-08-02 2009-03-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74940B2 (ja) * 2005-11-14 2011-09-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8005122A (ja) * 2006-06-21 2008-01-10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双方向通信システム及び双方向通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2008028876A (ja) 2006-07-25 2008-02-07 Hitachi Ltd 多分割画面表示装置
JP2008070611A (ja) * 2006-09-14 2008-03-27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露出条件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0824439A (en) 2006-11-29 2008-06-01 Avermedia Technology Inc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output method of the same
JP5141317B2 (ja) * 2008-03-14 2013-02-13 オムロン株式会社 対象画像検出デバイス、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ならびに対象画像検出デバイスを備えた電子機器
US8081209B2 (en) * 2008-06-26 2011-12-2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of sparse code based object classification with sensor fusion
JP2010060454A (ja) 2008-09-04 2010-03-18 Hitachi Ltd 画像出力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100157079A1 (en) 2008-12-19 2010-06-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selectively combine images
US8254670B2 (en) * 2009-02-25 2012-08-2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elf-learning objec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2077585A (zh) * 2009-03-26 2011-05-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影像加工装置、影像加工方法、影像加工集成电路、影像再现装置
JP5398341B2 (ja) * 2009-05-11 201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物体認識装置及び物体認識方法
JPWO2010137104A1 (ja) * 2009-05-25 2012-11-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及び映像処理プログラム
JP5299111B2 (ja) * 2009-06-19 2013-09-2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MX2011002003A (es) * 2009-07-10 2011-03-29 Panasonic Corp Medio de grabacion, dispositivo de reproduccion y circuito integrado.
JP5596313B2 (ja) * 2009-08-05 2014-09-24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58257B2 (ja) 2017-01-11
EP2731099A1 (en) 2014-05-14
EP2731099A4 (en) 2015-05-06
JP2013015741A (ja) 2013-01-24
KR101912969B1 (ko) 2018-10-29
CN103609135B (zh) 2017-05-31
CN103609135A (zh) 2014-02-26
US9875521B2 (en) 2018-01-23
US20140146086A1 (en) 2014-05-29
WO2013005518A1 (ja)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65980B (zh) 推荐内容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9783178B (zh) 一种界面组件的颜色调整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967260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 combined image of a high-dynamic-range image and a low-dynamic-range image
US117201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irecting content based on gestures
US10957024B2 (en) Real time tone mapping of high dynamic range image data at time of playback on a lower dynamic range display
CN111562895B (zh) 多媒体信息的展示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KR101912969B1 (ko) 화상 출력 장치, 화상 출력 방법 및 프로그램
CN105939497B (zh) 媒体串流系统及媒体串流方法
EP2642760A1 (en) Three-dimension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location of sweet spot for displaying multi-view image
US20220248102A1 (en) Subtitle border-crossing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2012030103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4205635B (zh) 一种直播评论展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19026680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ssociated with a Media Content Instance
CN111405221A (zh) 显示设备及录制文件列表的显示方法
US10861420B2 (en) Image output apparatus, image output method, for simultaneous output of multiple images
CN116801027A (zh) 显示设备和投屏方法
JP736377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I585742B (zh) An image output device, an image output method, and a program
CN111445427A (zh) 视频图像处理方法以及显示设备
CN112788387A (zh) 显示设备、方法和存储介质
US2024006970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970547B (zh) 一种显示设备
EP382887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20210136135A1 (en) Image stabilization cues for accessible game stream viewing
US20220014688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