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653A - 스크롤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653A
KR20140042653A KR1020130092332A KR20130092332A KR20140042653A KR 20140042653 A KR20140042653 A KR 20140042653A KR 1020130092332 A KR1020130092332 A KR 1020130092332A KR 20130092332 A KR20130092332 A KR 20130092332A KR 20140042653 A KR20140042653 A KR 20140042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scroll
fixed scroll
fixed
w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고 무카이
이사무 츠보노
다카미치 우츠기
야스오 사타케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2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6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69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2Hermetically sealed motor pump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출 공정에서 발생하는 냉매 가스의 압력에 의해, 고정 스크롤의 경판에 설치된 유로 저항 저감용 오목부에 의거한 경판의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킨 스크롤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정 스크롤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고정 스크롤에 형성된 토출구를 향해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그 경사면을 원추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의 형상으로 형성된 경사 오목부를 고정 스크롤의 토출구에 인접해서 설치했다. 이에 따르면, 고정 스크롤의 내측 표면과 토출구가 원추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의 형상으로 형성된 경사면에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접속 부분이 직각보다 각도가 큰 형상으로 되어 응력의 집중을 완화할 수 있어, 냉매 가스의 압력에 의한 고정 스크롤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스크롤형 압축기{SCROLL 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기체 등을 압축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냉동기나 급탕기, 공조 기기 등에 사용되는 열교환용의 냉매 가스를 압축하는 스크롤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용적형 압축기에는 다양한 형식의 압축기가 제안되어 있지만, 열교환용의 냉매 가스를 사용하는 냉동기나 급탕기, 공조 기기 등에 있어서는 스크롤형 압축기가 많이 채용되고 있다. 스크롤형 압축기는 한 쌍의 대략 동일 형상의 소용돌이체(스크롤)를 사용하여, 한쪽을 고정하고 다른 쪽을 상대적으로 선회 운동시킴으로써, 한 쌍의 소용돌이체에 의해 형성되는 압축실의 용적을 외주로부터 내주를 향해서 작게 해 감으로써 냉매 가스를 압축하는 것이다. 이 압축기의 특징은 부품 수가 적은 것이나, 인버터에 의한 가변속 제어에 적합한 회전수-토크 특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는 구성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고정 스크롤의 토출구에 설치되는 토출 밸브를 생략한 구성의 것이 제안되어, 또한 실제로 실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토출 밸브를 생략한 스크롤형 압축기에서는, 토출 밸브의 데드 볼륨(dead volume)이나 밸브 직경의 증대에 따른 밸브 강도도 고려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토출구의 구멍 직경은 유로 저항을 저감하기 위하여, 설계상의 관점에서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일반적인 설계 지침으로 되며, 자연히 고정 스크롤의 고정 랩과 선회 스크롤의 선회 랩 사이에서 형성되는 홈 폭에 가까운 크기의 구멍 직경으로 되어 있다.
한편, 고정 스크롤의 토출구가 설치되는 경판(鏡板)에 전술한 바와 같은 큰 구멍 직경의 토출구를 개구하면, 토출구의 주위에는 경판의 변형에 따라 응력의 집중이 발생해서 고정 스크롤의 경판의 신뢰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 때문에, 고정 스크롤의 경판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토출구 주위의 강도를 올릴 필요가 있고, 고정 랩이 밀집해서 세워 설치되어 있는 고정 랩 중앙 근방, 즉 고정 랩 내선측(內線測)의 중앙 부근에 토출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토출 공정 시에 토출구가 선회 랩 외선측(外線側)의 뒷면으로부터 나오기 위해서는 선회 스크롤을 상당히 선회시켜야만 하여, 유로 저항에 의한 압력 손실이 커져서 성능 저하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유로 저항에 의한 성능 저하를 개선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10-169574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간단한 구성으로 토출 공정 시의 압력 손실을 저감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스크롤형 압축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냉매 가스가 흡입구로부터 흡입실로 유입되고, 선회 스크롤의 선회 운동에 의해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 사이에 형성되는 압축실에서 냉매 가스가 외주측으로부터 중앙측으로 압축되면서 이송되어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 스크롤의 중앙 부근에 형성된 토출구의 근방에 냉매 가스가 흐를 수 있는 단차부를 설치함으로써, 선회 스크롤의 외선측 압축실의 최소 밀폐 공간 형성 후의 토출 행정 시에 유로 저항을 저감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는, 토출 행정 시의 유로 저항을 저감하기 위하여 토출구에 연통(連通)하는 단차부를 설치하고, 이것에 의해 토출 공정 시의 압력 손실을 저감해서 효율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일본국 특개평10-169574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유로 저항을 억제할 수는 있지만, 본 발명자 등의 검증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새로운 과제를 갖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토출구에 연통하는 단차부는 계단 형상의 평면 오목부로서 토출구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단차부의 형성부가 직교해 있는 것, 단차부와 토출구 사이가 직교해 있는 것 등의 이유로, 단차부의 형성부와 토출구 사이에서 응력의 집중이 발생하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토출 공정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의 압력에 의해 고정 스크롤에 변형을 발생시켜, 고정 스크롤의 경판에 있어서의 성능상의 신뢰성이 낮아진다는 현상이 발생했다. 예를 들면, 이 종류의 스크롤형 압축기의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의 각 랩의 치수 정밀도나 위치 정밀도는 마이크론 오더(micron oder)로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고정 스크롤의 경판이 변형하면, 극단적인 경우에는 고정 스크롤의 랩과 선회 스크롤의 랩이 접촉하게 되어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 스크롤의 경판에 설치된 유로 저항 저감용의 오목부에 의거한 경판의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킨 스크롤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고정 스크롤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고정 스크롤에 형성된 토출구를 향해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고, 그 경사면을 원추(圓錐)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의 형상으로 형성된 경사 오목부를 고정 스크롤의 토출구에 인접해서 설치한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스크롤의 내측 표면과 토출구가 원추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의 형상으로 형성된 경사면에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접속 부분이 직각보다 각도가 큰 형상으로 되어 응력의 집중을 완화할 수 있어, 냉매 가스의 압력에 의한 고정 스크롤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가 되는 압축기부를 구비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압축기부의 고정 스크롤 내선과 선회 스크롤 외선에 의해 최소 밀폐 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토출구 근방을 확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A-A선으로 단면한 고정 스크롤의 부분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이며 토출구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 2에 대응하는 토출구 근방을 확대한 확대도.
도 6은 도 3에 있는 확대도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선회 스크롤을 생략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개념 안에서 다양한 변형예나 응용예도 그 범위에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크롤형 압축기의 기본적인 구성과,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크롤형 압축기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스크롤형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스크롤형 압축기는, 예를 들면 냉동기나 급탕기, 공조 기기 등의 열교환용 냉매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로서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참조 번호 1은 밀폐 용기, 참조 번호 2는 압축 기구부, 참조 번호 3은 선회 스크롤, 참조 번호 3a는 선회 스크롤(3)의 소용돌이 형상의 랩, 참조 번호 3b는 선회 스크롤(3)의 경판, 참조 번호 4는 고정 스크롤, 참조 번호 4a는 고정 스크롤(4)의 소용돌이 형상의 랩, 참조 번호 4b는 고정 스크롤(4)의 경판, 참조 번호 5는 크랭크 축, 참조 번호 6은 고정 스크롤(4)과 크랭크 축(5)을 회전시키는 베어링을 구비하는 프레임, 참조 번호 7은 로터(15), 스테이터(16)로 이루어지는 전동기부, 참조 번호 8은 선회 스크롤의 자전(自轉)을 저지하고 선회 운동시키기 위한 자전 저지 부재에 관련되는 올덤(Oldham) 링, 참조 번호 12는 터미널, 참조 번호 14는 냉매 가스의 흡입관이며, 이상이 스크롤형 압축기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이다.
그리고, 스크롤형 압축기는, 밀폐 용기(1) 내에 압축 기구부(2)와 전동기부(7)가 크랭크 축(5)을 통해서 연결되어 수납되도록 해서 구성되어 있다. 압축 기구부(2)는 고정 스크롤(4), 선회 스크롤(3), 프레임(6), 크랭크 축(5), 올덤 링(8)을 주요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고정 스크롤(4)은 경판(4b)과, 이 경판(4b) 상에 축 방향으로 직립해서 형성된 소용돌이 형상의 고정 스크롤 랩(이하, 랩이라 함)(4a)을 갖고 있다. 고정 스크롤(4)은 볼트에 의해 프레임(6)의 상측에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6)의 외주부는 밀폐 용기(1)에 고정되어 있고, 프레임(6)의 중앙부에는 크랭크 축(5)의 회전을 받는 베어링(6a)이 구비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4)의 외주부에는 흡입구(4c)가 설치되어 있다. 이 흡입구(4c)는 경판(4b)의 상면(랩면 반대측)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4c)의 상부에는 외부 사이클에 접속하는 흡입관(14)이 압입되어 있다. 또한, 흡입구(4c)에는, 역류 방지 밸브(19)가 흡입구(4c)가 뻗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역류 방지 밸브(19)는 스프링(20)에 의해 배면으로부터 가압되며, 흡입관(14)의 단부(端部)에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4)의 중앙부에는 토출구(4d) 및 경사 오목부(4e)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경사 오목부(4e)를 형성한 것이 큰 특징으로 되어 있으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선회 스크롤(3)은, 경판(3b)과, 이 경판(3b) 상에 축 방향으로 직립해서 형성된 소용돌이 형상의 선회 스크롤 랩(이하, 랩이라 함)(3a)을 갖고 있다. 선회 스크롤(3)은 고정 스크롤(4)에 대하여 선회 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선회 스크롤(3)의 선회 운동은 자전 저지 부재인 올덤 링(8)에 의해 자전하지 않고 공전(公轉)되게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 기구부(2)는 소용돌이 형상의 랩(3a, 4a)을 각각 내측으로 해서 맞물리게 한 선회 스크롤(3) 및 고정 스크롤(4)에 의해 압축실(9) 및 흡입실(10)을 형성한다. 고정 스크롤(4)의 흡입구(4c)는 이 흡입실(10)에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동기부(7)는, 스테이터(16) 및 로터(15)로 이루어져 있다. 스테이터(16)는 밀폐 용기(1) 내에 가열 수축 끼워맞춤(shrink fit)이나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로터(15)는, 스테이터(16)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크랭크 축(5)을 압입 등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전동기부(7)에는 터미널(12)을 통해서 전력이 공급된다. 전동기부(7)는 도시하지 않은 인버터 장치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게 되어 있으며, 전력은 인버터 장치에 의해 제어(예를 들면 PWM 제어)되고 있다. 따라서, 압축기부(2)는 전동기부(7)에 의해 가변속(可變速)으로 회전이 제어되어 냉매 가스의 유량도 조정된다.
다음으로, 스크롤형 압축기의 압축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전동기부(7)의 로터(15)는 스테이터(16)가 발생시키는 회전 자계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되어 회전한다. 로터(15)에 고정된 크랭크 축(5)은 로터(15)의 회전에 따라 회전 동작을 행한다. 크랭크 축(5)에 연결된 선회 스크롤(3)은 올덤 링(8)의 작용에 의해 자전하지 않고 선회 운동(공전)한다. 선회 스크롤(3)의 선회 운동에 의해 내부의 압력이 내려가서 역류 방지 밸브(19)가 흡입구(4c)를 열고, 외부의 냉동 사이클로부터 냉매 가스가 흡입관(14)을 통해서 압축 기구부(2)로 흡입된다.
흡입된 냉매 가스는 흡입구(4c)를 통과하여 고정 스크롤(4)의 흡입실(10)로부터 압축실(9)에 도달하고, 선회 스크롤(3)의 랩(3a)과 고정 스크롤(4)의 랩(4a)에 의해 형성되는 압축실(9)에서 서서히 압축된 후, 토출구(4d)로부터 밀폐 용기(1) 안으로 방출된다. 방출된 냉매 가스는 전동기부(7)를 냉각하고 토출 파이프(17)로부터 외부의 냉동 사이클에 공급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가 되는 압축 기구부(2)의 상세한 구성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스크롤형 압축기의 선회 스크롤(3)과 고정 스크롤(4)의 각 랩(3a, 4a)을 서로 맞물리게 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고정 스크롤 내선측과 선회 스크롤 외선측에 의해 최소 밀폐 공간(9a)으로 되는 압축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상태가 토출 개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2의 고정 스크롤 중앙부의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선회 스크롤을 제거한 고정 스크롤의 A-A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스크롤(3)의 랩(3a)의 선회 랩 외선(33a)과, 고정 스크롤(4)의 랩(4a)의 고정 랩 내선(44b)에 의해 형성된 최소 밀폐 공간(9a)에 있어서는, 흡입구(4c)로부터 유입된 냉매 가스가 선회 스크롤(3)의 선회 운동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되어 토출구(4d)로부터 밀폐 용기(1) 안으로 방출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선회 랩 내선(33b)과 고정 랩 외선(44a)에 의해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최소 밀폐 공간에 있어서도, 흡입구(4c)로부터 유입된 냉매 가스가 선회 스크롤(3)의 선회 운동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되어, 교대로 토출구(4d)로부터 밀폐 용기(1) 안으로 방출된다.
토출구(4d)의 구멍 직경은, 토출 시의 냉매 가스에 의한 유로 저항이 적어지도록 가능한 한 크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공의 제약으로 각 랩(3a 및 4a)의 홈 폭에 가까운 구멍 직경으로 된다. 또한, 압축 운전에 따른 과대한 압력에 의거한 고정 스크롤(4)의 경판(4b)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하여, 도 3에 있는 바와 같이, 소용돌이 형상의 랩(4a)을 밀집해서 세워 설치함으로써 강성을 높게 하고 있는 고정 랩 내선(44b) 근방에 토출구(4d)의 개구면의 일부가 인접하게 된다.
도 3,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구(4d)의 근방에는 경사 오목부(4e)가 설치되어 있다. 경사 오목부(4e)는 고정 스크롤(4)의 내측 표면인 회전 랩 치저면(齒底面)(44c)으로부터 토출구(4d)를 향해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이 경사면은 토출구(4d)로부터 보았을 때 원추의 측면의 일부에서 오목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경사면의 표면은 원호 형상으로 도려내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내는 사시도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에 있는 경사 오목부(4e)의 경사면과 토출구(4d)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도, 환언하면, 경사면과 고정 랩 치저면(44c)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45°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경사면과 고정 랩 치저면(44c)에 의해 형성되는 접속 부분의 각도(α)를 크게 할 수 있어, 응력의 집중을 억제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사 오목부(4e)가 원추 형상의 경사면이기 때문에, 고정 랩 치저면(44c)에 형성된 경사 오목부(4e)의 원호 형성부(4f)는 원형의 원호로 형성되고, 토출구(4d)에 형성된 경사 오목부(4e)의 원호 형성부(4i)는 원추의 측면을 잘라낸 토출구(4d) 주위 형상을 따른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면의 깊이(D)와 고정 랩 치저면(44c) 상의 경사면의 길이(L)는 설계적으로 적절한 값으로 정해지지만, 이것은 스크롤형 압축기의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 오목부(4e)를 형성했을 때의 고정 랩 치저면(44c)의 평면 상에 형성된 원호 형성부(4f)의 원호 직경, 즉 경사 오목부(4e)의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가상의 원추의 저면의 직경은 토출구(4d)의 직경보다 짧은 길이로 되어 있다. 이렇게 토출구(4d)보다 작게 한 이유는 선회 스크롤(3) 및 고정 스크롤(4)의 각 랩(3a, 4a)이 가장 근접했을 때의 홈 폭에 맞추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경사 오목부(4e)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 오목부(4e)의 중심축(4g)(원추의 중심축)은 토출구(4d)의 원호 내에 위치하며, 또한 토출구(4d)의 중심축(4h)의 축선과는 일치하지 않는 위치, 즉 토출구(4d)의 중심축(4h)의 축선으로부터 어긋나서 대략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경사 오목부(4e)의 중심축(4g)(원추의 중심축)이 토출구(4d)의 외측에 위치해서는 안 되는 이유는, 경사면의 중심축(4g)이 토출구(4d)의 외측에 위치하면, 경사 오목부(4e)의 원추의 정점(頂点) 형상을 따른 V자 형상의 경사면이 토출구(4d)의 외측에 형성되어, 토출구(4d)의 냉매 가스의 진행 방향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경사 오목부(4e)의 중심축(4g)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면에 있는 바와 같이, 고정 스크롤(4)의 랩(4a)과 토출구(4d)가 근접하는 영역과 토출구(4d)의 중심축(4h)을 잇는 선을 연장한 영역 상에서, 상기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분에 위치한다. 도 3에서는, 랩(4a)의 내선(44b)과 토출구(4d)가 대략 겹치는 점과 토출구(4d)의 중심축(4h)을 잇는 선을 연장한 연장선(A-A선에 해당)에서 상기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조건으로 경사 오목부(4e)가 형성되어 있지만, 기본적인 사상은 이하와 같다.
우선, 경사 오목부(4e)의 경사면과 고정 랩 치저면(44c) 및 토출구(4d)의 접속 부분이지만, 경사 오목부(4e)의 경사면과 고정 랩 치저면(44c) 및 토출구(4d)의 접속 각도가 직각 이상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원호 형성부(4f)의 원호 직경을 토출구(4d)의 직경보다 크게 해도 지장이 없는 것이다. 요점은 고정 랩 치저면(44c) 및 토출구(4d)에 접속되는 경사 오목부(4e)가 원추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형상이면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경사 오목부(4e)의 형성 위치이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위치에 형성하고 있지만, 요점은 선회 스크롤(3)의 랩(3a)의 선회 랩 외선(33a)과, 고정 스크롤(4)의 랩(4a)의 고정 랩 내선(44b)에 의해 형성된 최소 밀폐 공간(9a)을 형성한 상태에서 선회 랩 외선(33a)보다 토출구(4d) 부근에 있어서, 토출구(4d)와 연통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선회 스크롤(3)의 랩(3a)을 넘어서 경사 오목부(4e)가 뻗어 있으면 냉매 가스가 누설되어버리기 때문이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한 조건을 설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경사 오목부(4e)는 소정 각도의 원추 형상의 드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드릴을 사용해서 경사 오목부(4e)와 토출구(4d)를 형성할 경우에는, 최초에 경사 오목부(4e)를 형성하고, 다음에 토출구(4d)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토출구(4d)를 먼저 형성한 후에 경사 오목부(4e)를 형성하는 드릴을 삽입하면, 드릴이 기계적인 저항이 없는 토출구(4d)측으로 빠져나가게 되어, 양호한 형상의 경사 오목부(4e)를 만들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단, 토출구(4d)측으로 드릴이 빠져나가도 문제없을 경우에는, 이것에 한하지 않고 순서를 반대로 해도 지장이 없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압축 기구부에 있어서, 압축 운전에 의한 과대한 냉매 가스의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고정 스크롤(4)의 경판(4b)의 변형에 따른 응력은, 고정 랩 치저면(44c) 및 토출구(4d)와 경사 오목부(4e)의 경계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원호 형상의 접속부에 발생한다. 그러나, 고정 랩 치저면(44c) 및 토출구(4d)와 경사 오목부(4e)가 원호 형상의 접속부에 의해 접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접속부에서의 각도가 직각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 있는 바와 같은 계단 형상의 단차부와 비교해서 경판(4b)의 변형을 대폭 억제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스크롤형 압축기를 얻을 수 있다.
즉, 토출구(4d)와 고정 랩 치저면(44c) 사이는 경사 오목부(4e)의 원추의 측면을 형성하는 경사면에서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 랩 치저면(44c) 및 토출구(4d)와 경사 오목부(4e)의 경사면은 그 접속부에서 원호를 그리도록 해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랩 치저면(44c) 및 토출구(4d)와 경사 오목부(4e)의 접속부는 직각보다 큰 각도를 가지고 형성되게 되어, 응력의 집중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특허문헌 1에 있는 바와 같은 계단 형상의 단차부와 비교해서 경판(4b)의 변형을 대폭 억제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스크롤형 압축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고정 스크롤의 경판에 계단 형상의 평면으로 구성된 단차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경판의 두께도 계단 형상으로 얇게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가 되는 경판(4b)은 경사 오목부(4e)에 의해 경사져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의 강도를 특허문헌 1의 구성에 비해서 높일 수 있다.
또한, 경사 오목부(4e)가 경사져 있기 때문에 냉매 가스가 원활하게 흐름으로써 유로 저항을 적게 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은 구성에서는 계단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냉매 가스가 굴곡지게 흐르므로 유로 저항이 커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형 압축기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일년 내내 성능이 요구되는 복수의 압력 조건에서 고정 스크롤(4)의 경판(4b)의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소용돌이 형상의 랩(4a)의 변형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용돌이 형상의 랩(4a)의 누설 손실 및 슬라이딩 손실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일년 내내 효율 향상 폭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출구(4d)의 중심축(4h)과 경사 오목부(4e)의 경사 오목부 중심축(4g)은 일치하지 않는, 즉 토출구(4d)의 토출구 중심축(4h)과 경사 오목부(4e)의 경사 오목부 중심축(4g)은 평행하게 어긋나 있다. 그러나, 어느 하나의 중심축이 기울어져, 중심축끼리가 평행하게 되지 않아도 실질적으로 원추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단차부의 형상이 토출구의 구멍 직경보다 과대하게 크게 되어 있어, 토출구와 단차부의 가공 후에 형성되는 양자의 접속면에 응력이 집중하기 쉬운 각부(角部)가 많이 존재하게 된다. 이 때문에, 압축 운전에 의해 발생하는 냉매 가스의 압력에 의한 고정 스크롤의 변형에 따른, 넓은 범위의 각부에 응력의 집중이 발생해서 경판의 신뢰성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토출구(4d)에 비해서 경사 오목부(4e)를 형성하는 원호 형성부(4f)가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접속부의 형성 범위가 적어지고 응력이 집중하는 범위가 작아져, 특허문헌 1에 비해서 신뢰성의 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정 스크롤(4)의 경판(4b)의 변형이 적어져, 고정 스크롤의 랩 자신도 변형이 적어지고, 이 변형에 따른 랩 사이의 누설 손실 및 슬라이딩 손실을 저감할 수 있어, 압축기부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최근, 히트펌프 급탕기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산화탄소 냉매는 룸 에어컨용 R410A 냉매에 비해서 3배나 고압력으로 되어, 고정 스크롤(4)의 경판(4b)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필수이다. 또한, 최근의 재료 가격의 고등(高騰)에 대한 대책으로서, 소재 자체를 적게 사용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가 되는 구성에 따르면 토출구(4d) 부근의 압력 손실을 저감함과 함께, 고정 스크롤의 경판(4b)의 변형도 저감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결과적으로 재료의 사용량을 억제하는 것으로도 이어지게 된다. 즉, 특허문헌 1에서는 단차부의 존재에 의해 강도가 저하되므로 경판의 두께를 두껍게 해서 대응하는 것이 필요해져 재료의 사용량이 증가하지만, 본 실시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같은 강도를 얻는다고 하면 경판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로 배치 스크롤형 압축기로 설명했지만, 가로 배치 스크롤형 압축기이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히트펌프 급탕기, 룸 에어컨이나 냉장·냉동 장치용 스크롤형 압축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가 되는 스크롤형 압축기에 대하여 도 5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한편, 도 3에 설명한 실시형태와 같은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부품, 또는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 부품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경사 오목부(4e)에 관한 기본적인 사상은 같다.
즉, 경사 오목부(4e)의 경사면과 고정 랩 치저면(44c) 및 토출구(4d)의 접속 부분이지만, 경사 오목부(4e)의 경사면과 고정 랩 치저면(44c) 및 토출구(4d)의 접속부의 각도가 직각 이상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요점은 고정 랩 치저면(44c) 및 토출구(4d)에 접속되는 경사 오목부(4e)가 원추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형상이면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경사 오목부(4e)의 형성 위치이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경사 오목부(4e)에 관한 기본적인 사상은 마찬가지이며, 요점은 선회 스크롤(3)의 랩(3a)의 선회 랩 외선(33a)과, 고정 스크롤(4)의 랩(4a)의 고정 랩 내선(44b)에 의해 형성된 최소 밀폐 공간(9a)을 형성한 상태에서 선회 랩 외선(33a)보다도 토출구(4d) 부근에 있어서, 토출구(4d)와 연통하는 위치에 설치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출구(4k)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원형의 토출구(4d)가 아닌, 타원 형상을 갖는 토출구(4k)로 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4)의 경판(4b)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하여, 소용돌이 형상의 랩(4a)을 밀집해서 세워 설치함으로써 강성이 높은 고정 랩 내선(44b) 근방에 토출구(4k)의 개구의 일부가 인접해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토출구(4k)의 근방에는 경사 오목부(4e)가 설치되어 있다. 경사 오목부(4e)는 고정 랩 치저면(44c)으로부터 토출구(4k)를 향해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이 경사면은 토출구(4k)로부터 보았을 때 오목해지도록 원추의 측면의 일부에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경사면의 표면은 원호 형상으로 도려내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면의 깊이(D)와 고정 랩 치저면(44c) 상의 경사면의 길이(L)는 설계적으로 적절한 값으로 정해지지만, 이것은 스크롤형 압축기의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된다.
또한, 경사 오목부(4e)를 형성했을 때의 고정 랩 치저면(44c)의 평면 상에 형성된 원호 형성부(4f)는 원형의 원호로 형성되고, 토출구(4k)에 형성된 경사 오목부(4e)의 원호 형성부(4i)는 원추의 측면을 잘라낸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 오목부(4e)를 형성하기 위한 중심축(4g)은 토출구(4k)의 원호 내에 위치하며, 또한 토출구(4k)의 토출구 중심축(4h)의 축선과는 일치하지 않는 위치, 즉 토출구(4k)의 토출구 중심축(4h)의 축선으로부터 어긋나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 오목부(4e)의 중심축(4g)은,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실질적으로 마찬가지로, 고정 스크롤(4)의 랩(4a)과 토출구(4k)가 근접하는 영역과 토출구(4k)의 중심축(4h)을 잇는 선을 연장한 영역 상에서, 상기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분에 위치한다.
그리고, 이것도 도 4와 마찬가지로, 토출구(4k)와 고정 랩 치저면(44c) 사이는 경사 오목부(4e)의 원추의 측면에서 형성되는 경사면에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변형예의 압축 기구부에 있어서, 압축 운전에 의한 과대한 냉매 가스의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고정 스크롤(4)의 경판(4b)의 변형에 따른 응력은, 고정 랩 치저면(44c) 및 토출구(4k)와 경사 오목부(4e)의 경계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원호 형상의 접속부에 집중해서 발생한다. 그러나, 고정 랩 치저면(44c) 및 토출구(4k)는 경사 오목부(4e)의 원호 형상의 접속부에 의해 접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접속부의 각도가 직각보다 크게 되어, 특허문헌 1에 있는 바와 같은 계단 형상의 단차부와 비교해서 경판(4b)의 변형을 대폭 억제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스크롤형 압축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고정 스크롤의 경판에 계단 형상의 평면으로 구성된 단차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경판의 두께도 계단 형상으로 얇게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가 되는 경판(4b)은 경사 오목부(4e)에 의해 경사져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의 강도를 특허문헌 1의 구성에 비해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형 압축기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일년 내내 성능이 요구되는 복수의 압력 조건에서 고정 스크롤(4)의 경판(4b)의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소용돌이 형상의 랩(4a)의 변형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용돌이 형상의 랩(4a)의 누설 손실 및 슬라이딩 손실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일년 내내 효율 향상 폭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출구(4k)의 중심축(4h)과 경사 오목부(4e)의 경사 오목부 중심축(4g)은 일치하지 않는, 즉 토출구(4k)의 토출구 중심축(4h)과 경사 오목부(4e)의 경사 오목부 중심축(4g)은 평행하게 어긋나 있다. 그러나, 어느 하나의 중심축이 기울어져, 중심축끼리가 평행하게 되지 않아도 실질적으로 원추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요점은 원추의 측면을 사용해서 경사면이 형성되면 되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단차부의 형상이 토출구의 구멍 직경보다 과대하게 크게 되어 있어, 토출구와 단차부의 가공 후에 형성되는 양자의 접속면에 응력이 집중하기 쉬운 각부가 많이 존재하게 된다. 이 때문에, 압축 운전에 의해 발생하는 냉매 가스의 압력에 의한 고정 스크롤의 변형에 따라, 넓은 범위의 각부에 응력의 집중이 발생하여 경판의 신뢰성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토출구(4k)에 비해서 경사 오목부(4e)를 형성하는 원호 형성부(4f)가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접속부의 형성 범위가 적어지고 응력이 집중하는 범위가 작아져, 특허문헌 1에 비해서 신뢰성의 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정 스크롤(4)의 경판(4b)의 변형이 적어져서, 고정 스크롤의 랩 자신도 변형이 적어지고, 이 변형에 따른 랩 사이의 누설 손실 및 슬라이딩 손실을 저감할 수 있어, 압축기부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총괄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정 스크롤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고정 스크롤에 형성된 토출구를 향해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그 경사면을 원추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의 형상으로 형성된 경사 오목부를 고정 스크롤의 토출구에 인접해서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스크롤의 내측 표면과 토출구가 원추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의 형상으로 형성된 경사면에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접속 부분이 직각보다 각도가 큰 형상으로 되어 응력의 집중을 완화할 수 있어, 냉매 가스의 압력에 의한 고정 스크롤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토출구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으로 한 것을 예시했지만, 그 이외의 형상이어도 지장이 없는 것이다. 사용되는 스크롤 압축기에 맞춰서 적절한 형상의 토출구의 형상을 선택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출 밸브가 없는 스크롤 압축기로서 설명했지만, 토출 밸브를 가져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1 : 밀폐 용기
2 : 압축 기구부
3 : 선회 스크롤
3a : 선회 스크롤의 랩
3b : 선회 스크롤의 경판
4 : 고정 스크롤
4a : 고정 스크롤의 랩
4b : 고정 스크롤의 경판
4c : 흡입구
4d : 토출구
4e : 경사 오목부
4f : 고정 랩 치저면의 원호 형성부
4g ; 경사 오목부의 중심축
4h : 토출구의 중심축
4i : 토출구의 원호 형성부
5 : 크랭크 축
6 : 프레임
6a : 베어링
7 : 전동기부
8 : 올덤 링
9 : 압축실
9a : 최소 밀폐 공간
10 : 흡입실
12 : 터미널
14 : 흡입관
15 : 로터
16 : 스테이터
17 : 토출 파이프
19 : 역류 방지 밸브
20 : 스프링
33a : 선회 랩 외선
33b : 선회 랩 내선
44a : 고정 랩 외선
44b : 고정 랩 내선
44c : 고정 랩 치저면

Claims (5)

  1. 경판(鏡板)과 그것에 세워 설치하는 선회 랩을 구비하며, 자전(自轉)하지 않고 선회 운동을 행하는 선회 스크롤과,
    경판과 그것에 세워 설치하는 고정 랩을 구비하는 고정 스크롤과,
    상기 양 랩을 맞물리게 해서 상기 양 스크롤 사이에 형성되며 작동 유체를 흡입한 상태에서 용적을 축소하여 외주측으로부터 중앙측으로 작동 유체를 이송하는 압축실과,
    상기 고정 스크롤의 경판의 중앙 부근에 형성된 상기 작동 유체를 토출시키는 토출구와,
    상기 고정 랩의 치저면(齒底面)과 상기 토출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를 향해서 경사지고, 또한 원추의 측면의 형상으로 형성된 경사면을 갖는 경사 오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는 상기 원추의 중심축은, 상기 토출구의 원호 내로서 상기 토출구의 중심축과 대략 평행하며, 또한 이것과 어긋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랩의 치저면 상의 상기 경사면을 형성하는 상기 원추의 저면의 구멍 직경은 상기 토출구의 구멍 직경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과 상기 고정 랩의 치저면이 교차하는 각도가 45°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KR1020130092332A 2012-09-28 2013-08-05 스크롤형 압축기 KR201400426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15563 2012-09-28
JP2012215563A JP5789581B2 (ja) 2012-09-28 2012-09-28 スクロール型圧縮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653A true KR20140042653A (ko) 2014-04-07

Family

ID=50404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332A KR20140042653A (ko) 2012-09-28 2013-08-05 스크롤형 압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89581B2 (ko)
KR (1) KR20140042653A (ko)
CN (1) CN10371169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829A (ko) * 2017-02-10 2018-08-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 펌프 내부에 사용하기 위한 냉매 스크롤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4386A (zh) * 2019-09-20 2019-11-15 广东金霸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压缩机涡盘结构及应用该结构的半封闭式涡旋压缩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3793U (ja) * 1983-02-28 1984-09-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US4886434A (en) * 1987-02-20 1989-12-12 Sanyo Electric Co., Ltd. Scroll compressor having discharge part communicating with two compression spaces simultaneously
US6196814B1 (en) * 1998-06-22 2001-03-06 Tecumseh Products Company Positive displacement pump rotatable in opposite directions
JP2000104687A (ja) * 1998-09-30 2000-04-11 Sanyo Electric Co Ltd 横型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0161261A (ja) * 1998-11-20 2000-06-13 Fujitsu General Ltd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4160692B2 (ja) * 1999-08-13 2008-10-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2070768A (ja) * 2000-06-16 2002-03-08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媒圧縮機
JP2003328965A (ja) * 2002-05-15 2003-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US20060269433A1 (en) * 2005-05-31 2006-11-30 Skinner Robin G Discharge port for a scroll compressor
JP2009243404A (ja) * 2008-03-31 2009-10-22 Toyota Industries Corp スクロール型圧縮機の固定スクロールにおける吐出ポート形成方法及びスクロール型圧縮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829A (ko) * 2017-02-10 2018-08-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 펌프 내부에 사용하기 위한 냉매 스크롤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11694A (zh) 2014-04-09
CN103711694B (zh) 2017-04-12
JP2014070521A (ja) 2014-04-21
JP5789581B2 (ja)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7438B2 (en) Scroll compressor with bypass hole
US20150125330A1 (en) Compressor
JP2007170253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EP2407669B1 (en) Compressor with suction and discharge pipes
JP5758221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20170024845A (ko) 전동 컴프레서의 급유시스템
CN204646670U (zh) 压缩机
JP5195774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20140042653A (ko) 스크롤형 압축기
KR101447039B1 (ko) 횡형 스크롤 압축기
JP7033755B2 (ja) 密閉型圧縮機
JP4448314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7022902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US20060177339A1 (en) Horizontal type orbiting vane compressor
JP5798937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5363486B2 (ja) ロータリ圧縮機
KR100286714B1 (ko) 베어링부에 흡입구조를 가지는 로터리 압축기
JP2014015911A (ja) ロータリ圧縮機
KR102663577B1 (ko) 전동압축기
US11578724B2 (en) Rotary compressor
JP6769078B2 (ja) 回転式圧縮機
JP2013185531A (ja) 圧縮機
US20230349381A1 (en) Fixed Scroll and Scroll Compressor
WO2020194994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CN207315649U (zh) 一种两腔活塞式压缩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631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026

Effective date: 2017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