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286A -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286A
KR20140042286A KR1020120108846A KR20120108846A KR20140042286A KR 20140042286 A KR20140042286 A KR 20140042286A KR 1020120108846 A KR1020120108846 A KR 1020120108846A KR 20120108846 A KR20120108846 A KR 20120108846A KR 20140042286 A KR20140042286 A KR 20140042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ntactless
contact
wireless communication
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준
박현수
이홍철
황준택
장흥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8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2286A/ko
Publication of KR20140042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4Hybrid re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듈로 조립하여 사용됨으로써, 사업 분야별로 요금 징수 단말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모듈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Integrated fare coll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요금 징수 시스템의 카드 리더기 단말은 각각의 분야별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제조하여 사용하거나 2개의 단말을 함께 사용하여야 한다. 이 경우 내부적으로 신용카드, 교통카드, 모바일 NFC 등과 같이 복수의 모듈로 분리하여 구현되므로, 연결 회로가 복잡하고 RF 간섭 현상 등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제조 원가 등이 상승하게 된다. 나아가, 개인정보 보호 관련 인증 규격 중 부분 인증만 적용되어 있어, 개인정보의 보호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KR 10-2002-0091731 (편창섭) 2002. 12. 6. 특허문헌 1은 전철/지하철 요금자동징수 엠에스(M/S) 알에프(RF)통합게이트 시스템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지하철 게이트가 엠에스(M/S)티켓을 수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시에 알에프(RF) 카드도 수용 가능토록 하여 전철, 지하철 자동운임징수 시스템의 설치, 운용자의 편의성 극대화 및 동 시스템을 사용하는 고객들의 편리성을 극대화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KR 10-116062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2012. 6. 21. 특허문헌 2는 블랙박스 통합형 차량용 게이트웨이 시스템으로서, 특허문헌 2에는 이종 프로토콜들을 통합하여 운영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 및 통행료 자동 징수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블랙박스 통합형 차량용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는, 접촉식 결제 수단을 통해 요금을 징수하는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 비접촉식 결제 수단을 통해 요금을 징수하는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 및 외부에 위치하는 결제 승인 장치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이나 상기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에 의해 징수된 요금에 대한 결제를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조립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듈로 조립하여 사용됨으로써, 사업 분야별로 요금 징수 단말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모듈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인증 규격에 따른 인증 관련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있어,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고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의 조립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100)는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10),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30), 및 무선 통신 모듈(150)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듈로 조립된다. 즉,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모듈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100)는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10),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30),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10)과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30)의 결합,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10)과 무선 통신 모듈(150)의 결합,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30)과 무선 통신 모듈(150)의 결합, 및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10)과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30)과 무선 통신 모듈(150)의 결합 중 하나의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100)는 버스, 택시 등과 같은 차량 내에 설치되거나 지하철 개찰구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교통 요금을 징수한다. 또한,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100)는 마트, 슈퍼마켓 등과 같은 소매점 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에 대한 요금을 징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듈로 조립하여 사용됨으로써, 사업 분야별로 요금 징수 단말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모듈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100)는 개인정보의 보호와 관련된 각종 인증 규격에 규정된 인증 관련 요구사항을 충족한다. 여기서, 개인정보의 보호와 관련된 인증 규격에는 PCI-PTS(Payment Card Industry-Pin Transaction Security), Contact EMV(Europe Master Visa) Level 1, Contact EMV(Europe Master Visa) Level 2, Contactless EMV(Europe Master Visa) Level 1, Paypass, Paywave, ExpressPay, Discover-Zip, Jsmart,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다.
PCI-PTS 인증 규격은 장비의 특성, 카드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정보의 보호에 사용되는 장비, 다른 지불 장비들의 프로세스에 대한 보안 요구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예컨대, PCI-PTS 인증 규격에 따르면, 일반적인 신용카드 조회기에 해당되는 보안 기준으로 물리적인 보안 공격을 방어할 수 있도록 CC 레벨 인증을 받은 Secure CPU를 사용하거나 일반 CPU를 사용하더라도 이에 해당하는 방어 기능들을 회로로 구성하여 물리적인 공격을 차단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인증을 통과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PCI-PTS 3.0 인증 규격은 아래의 [표 1]과 같이 다양한 요구사항을 다섯 가지로 모듈화하여 규정하고 있다.

모듈명

요구사항


Core

PED(Pin Entry Device)의 물리적/논리적 보안 요소에 대한 요구사항을 정의한다. 즉, 외부 공격으로부터 PED 및 카드 사용자의 비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내용이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황에서 PIN 처리 시의 보안 요소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POS Terminal Integration
기존에 PCI 인증을 받은 컴포넌트와 POS 터미널 간의 연결이 필요할 경우의 요구사항을 정의한다. 즉, 기존 컴포넌트와 연결 시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내용을 포함한다.

Open Protocol
TCP/IP를 통하여 외부와 인터페이스할 경우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정의한다. 즉, 공용망을 통한 통신 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한 내용을 포함한다.

SRED
(Secure reading and exchange of data)
카드홀더(cardholder)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경우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정의한다. 즉, 비밀 데이터의 보안 유지를 위해서 필요한 암호화 및 복호화 프로세스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Device management security
PED 생명 주기(life cycle)에서의 보안 관리 요구사항을 정의한다. 즉, 제품 생산, 배송, 초기화 등 제품 생명 주기에서 장비의 비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내용을 포함한다.
Contact EMV(Europe Master Visa) Level 1 및 2, Contactless EMV Level 1 인증 규격은 세계 3대 신용카드 회사인 벨기에의 유로페이, 미국의 마스터 카드 및 미국의 비자 카드가 공동으로 결제하는 IC 카드에 대한 표준 규격을 규정하고 있다. EMV 인증 규격은 IC 카드형 전자화폐를 대표하는 사실상의 표준으로 비자, 마스터 현금 등도 이 규격의 카드를 이용한다.
Paypass 인증 규격은 마스터카드 월드와이드(MasterCard Worldwide)사의 신용 지불 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Paywave 인증 규격은 비자사의 신용 지불 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ExpressPay 인증 규격은 아메리칸 익스프레스(American Express)사의 신용 지불 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Discover-Zip 인증 규격은 디스커버(Discover) 카드의 발행 및 지불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Jsmart 인증 규격은 JCB사의 스마트 카드 솔루션에 대한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인증 규격은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인 NFC에 대한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100)는 다양한 인증 규격에 따른 인증 관련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있어,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고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장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100)를 구성하는 모듈에 대해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10)은 접촉식 결제 수단을 통해 요금을 징수한다. 여기서, 접촉식 결제 수단은 마그네틱 신용카드, 접촉식 신용카드 등을 말한다.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10)은 PCI-PTS 3.0, Contact EMV Level 1, Contact EMV Level 2 등과 같은 개인정보 보호 인증 규격에 규정된 인증 관련 요구사항을 충족한다. 즉,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10)은 사용자의 접촉식 결제 수단을 통해 요금을 징수하는 동작을 처리 시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외부 장치와 인터페이스 하는 경우 암호화된 데이터를 교환한다. 이에 따라,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10)은 POS 터미널, 지하철 장비 등과 같은 외부 장치에 신용 거래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10)은 출력부(도시하지 않음), 위치 인식부(도시하지 않음), 통신부(도시하지 않음), 리더부(도시하지 않음), 저장부(도시하지 않음) 및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요금, 결제 승인 여부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한다. 즉, 출력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영상 출력 모듈이나 스피커 등과 같은 음성 출력 모듈을 구비하고, 결제되는 요금 등과 같은 정보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결제되는 요금을 확인할 수 있다.
위치 인식부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통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이다. GNSS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전파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항법 시스템을 의미한다. GNSS의 구체적인 예로는, 그 운영 주체에 따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alileo,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COMPASS, IRNSS(Indian Region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 등 일 수 있다.
통신부는 무선 통신 모듈(150)과 결합된 경우 무선 통신 모듈(15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리더부는 사용자의 접촉식 결제 수단으로부터 요금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읽어 들인다. 저장부는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1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 요금 징수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제어부는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는 리더부를 통해 접촉식 결제 수단으로부터 읽어 들인 정보를 기초로 요금을 징수한다.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30)은 비접촉식 결제 수단을 통해 요금을 징수한다. 여기서, 비접촉식 결제 수단은 비접촉식 신용카드, 교통카드, NFC 칩이 내장된 카드, NFC 칩이 내장된 휴대폰 등을 말한다.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30)은 Contactless EMV Level 1, NFC 등과 같은 개인정보 보호 인증 규격에 규정된 인증 관련 요구사항을 충족한다. 즉,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30)은 사용자의 비접촉식 결제 수단을 통해 요금을 징수하는 동작을 처리 시 신용 거래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 및 내부 인증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30)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30)은 출력부(도시하지 않음), 위치 인식부(도시하지 않음), 통신부(도시하지 않음), 리더부(도시하지 않음), 저장부(도시하지 않음) 및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요금, 결제 승인 여부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한다. 즉, 출력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영상 출력 모듈이나 스피커 등과 같은 음성 출력 모듈을 구비하고, 결제되는 요금 등과 같은 정보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결제되는 요금을 확인할 수 있다.
위치 인식부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통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이다. 통신부는 무선 통신 모듈(150)과 결합된 경우 무선 통신 모듈(15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리더부는 사용자의 비접촉식 결제 수단으로부터 요금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읽어 들인다. 저장부는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3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 요금 징수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제어부는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는 리더부를 통해 비접촉식 결제 수단으로부터 읽어 들인 정보를 기초로 요금을 징수한다.
무선 통신 모듈(150)은 외부에 위치하는 결제 승인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무선 통신망(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연결되고,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10)이나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30)에 의해 징수된 요금에 대한 결제를 실시간으로 수행한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모듈(150)은 출력부(도시하지 않음), 위치 인식부(도시하지 않음), 통신부(도시하지 않음) 및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요금, 결제 승인 여부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한다. 즉, 출력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영상 출력 모듈이나 스피커 등과 같은 음성 출력 모듈을 구비하고, 결제되는 요금 등과 같은 정보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결제되는 요금을 확인할 수 있다.
위치 인식부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통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이다. 통신부는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10)이나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30)과 결합된 경우 이들(110, 1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통신부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결제 승인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는 무선 통신 모듈(1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결제 승인 장치를 통해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10)이나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30)에 의해 징수된 요금에 대한 결제를 실시간으로 수행한다.
결제 승인 장치는 무선 통신 모듈(150)과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요금에 대한 결제 관련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결제 승인 장치는 버스, 택시, 지하철 등과 같은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운영하는 결제용 서버, 소매점 내에 설치된 결제용 서버 등을 말한다. 이때, 결제 승인 장치는 신용카드사, 은행 등과 같은 금융기관에서 운영하는 서버와 직접 연결되어 요금에 대한 결제 관련 동작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망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 WAN),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망뿐만 아니라 방송망, 전화망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예컨대, 무선 통신망은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이용한 통신망을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의 조립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된 모듈로 조립될 수 있다. 즉,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100)는 총 다섯 가지의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타입 Ⅰ은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10)로 이루어진다. 타입 Ⅱ은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30)로 이루어진다. 타입 Ⅲ은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10)과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30)이 결합되어 있다. 타입 Ⅳ는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10)과 무선 통신 모듈(150)이 결합되어 있다. 타입 Ⅴ는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30)과 무선 통신 모듈(150)이 결합되어 있다. 타입 Ⅵ는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10)과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130)이 무선 통신 모듈(150)과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타입으로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업 분야별로 요금 징수 단말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모듈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
110 :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
130 :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
150 : 무선 통신 모듈

Claims (3)

  1. 접촉식 결제 수단을 통해 요금을 징수하는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
    비접촉식 결제 수단을 통해 요금을 징수하는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 및
    외부에 위치하는 결제 승인 장치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이나 상기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에 의해 징수된 요금에 대한 결제를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는 상기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 상기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 상기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과 상기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의 결합, 상기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과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결합, 상기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과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결합, 및 상기 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과 상기 비접촉식 요금 징수 모듈과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결합 중 하나의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는 PCI-PTS(Payment Card Industry-Pin Transaction Security), Contact EMV(Europe Master Visa) Level 1, Contact EMV(Europe Master Visa) Level 2, Contactless EMV(Europe Master Visa) Level 1, Paypass, Paywave, ExpressPay, Discover-Zip, Jsmart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에 규정된 인증 관련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
KR1020120108846A 2012-09-28 2012-09-28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 KR20140042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846A KR20140042286A (ko) 2012-09-28 2012-09-28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846A KR20140042286A (ko) 2012-09-28 2012-09-28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286A true KR20140042286A (ko) 2014-04-07

Family

ID=5065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846A KR20140042286A (ko) 2012-09-28 2012-09-28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22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6026A (zh) * 2015-08-12 2015-10-28 福州大学 一种出租车合乘费用分摊Talmud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6026A (zh) * 2015-08-12 2015-10-28 福州大学 一种出租车合乘费用分摊Talmud方法
CN105006026B (zh) * 2015-08-12 2017-07-04 福州大学 一种出租车合乘费用分摊Talmud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7988B2 (en) Performing contactless applications in battery off mode
US8827164B2 (en) Contactless interface within a terminal to support a contactless service
AU2008221392B2 (en) Authentication of a data card using a transit verification value
US80252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ss transit merchant payment
US10956899B2 (en) Mechanism to allow the use of disposable cards on a system designed to accept cards conforming to the standards of the global payments industry
WO2013039395A1 (en) Active matrix display smart card
CN101385052A (zh) 用于合法地获得服务的方法以及实施该方法的设备
KR20130031997A (ko) 차량용 엔에프씨를 이용한 비용 결제 방법 및 시스템
US10121038B2 (en) Dynamic barcode ticketing carrying encrypted validation transactions
KR20140042286A (ko) 통합형 요금 징수 장치
Qadeer et al. A novel scheme for mobile payment using RFID-enabled smart SIMcard
US20030120609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remote commercial transactions
KR101149922B1 (ko) 호환형 피샘이 장착된 카드 단말기
US20190097803A1 (en) Encrypted reverse biometric token validation
KR101925779B1 (ko) 교통 카드 시스템
WO2011049271A1 (en) Mobile micropayment terminal having electronic receipt function and payment method using the same
KR20060102941A (ko) 전자화폐의 결제 방법 및 장치
Morimoto A case study of the e-money application in Japanese public transportation
KR20120041611A (ko) 휴대용 전자화폐 충전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비접촉식 전자화폐 충전 방법
WO2018167545A1 (en) Call credit (airtime) ticket system with hand held reader validation devices
CN102054318A (zh) 智能卡和终端
JP4227140B2 (ja) 携帯電話機
KR20120106448A (ko)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5243037A (ja) 携帯電話機
JP2007135239A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