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271A - 크래들 캐치 - Google Patents

크래들 캐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271A
KR20140042271A KR1020120108801A KR20120108801A KR20140042271A KR 20140042271 A KR20140042271 A KR 20140042271A KR 1020120108801 A KR1020120108801 A KR 1020120108801A KR 20120108801 A KR20120108801 A KR 20120108801A KR 20140042271 A KR20140042271 A KR 20140042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catch
bracket
plate
oper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일련
Original Assignee
전일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일련 filed Critical 전일련
Priority to KR1020120108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2271A/ko
Publication of KR20140042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02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replacing by bobbins, cores, or receptacles at take-up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D01H9/04Doffing arrangements integral with 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60Damping means, shock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54Arrangements for supporting cores or formers at winding stations; Securing cores or formers to driving members
    • B65H54/553Both-ends suppor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래들 캐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권사장치에 구성된 크래들에 장착되어 상기 크래들에 착탈된 보빈의 착탈 시 크래들을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크래들을 고정할 수 있는 크래들 캐치에 관한 것으로서, 앵글에 연결된 고정판의 일 측에 판재의 형상으로 연결 홈이 형성된 브라켓을 연결하고, 상기 브라켓의 연결 홈에 연결되어 외측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대를 연결한 후 상기 지지대의 끝부와 연결되어 작동하려는 크래들의 외측 일부분에 구성된 돌출부에 걸림 홈이 걸림 되어 작동하는 작동플레이트로 구성된 크래들 캐치를 제공함으로서 앵글에 장착되는 고정판과 크래들의 작동부분에 브라켓과 작동플레이트를 각각 장착할 수 있어 그 구조가 간단하여 크래들 캐치에 대한 조립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상기한 크래들 캐치를 앵글에 장착된 고정판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구성된 크래들에 대해 상기 고정판을 중심으로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크래들 캐치의 구성인 브라켓, 지지대 및 작동플레이트의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판매자 및 사용자로 하여금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크래들
캐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크래들 캐치{Cradle catch}
본 발명은 크래들 캐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권사장치에 구성된 크래들에 장착되어 상기 크래들에 착탈된 보빈의 착탈 시 크래들을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크래들을 고정할 수 있는 크래들 캐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기기의 권사 기술은 유럽이나 일본 그리고 한국 등지에서 끊임없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 분야이나 실의 여러 가지 난해성 때문에 실을 감을 경우 실이 무너지거나 다감은 실을 풀을 때 엉키거나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합성사의 제조에서 폴리머 용융물로부터 다수의 실이 동시에 평행하고, 차례로 감김 위치에서 방사되며, 보빈으로 감기는 경향이 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10개, 12개, 16개 혹은 그 이상의 실을 평행하게 방사하고, 동시에 감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실 감기는 보빈 와인딩기(Bobbin-winding machine)에서 일어나며, 이 와인딩기에서는 보빈이 보빈 스핀들에 고정되어 감긴다. 비교적 픈 보빈 폭 및 다수의 실인 경우에 이러한 형식의 보빈 와인딩기는 이에 대응하여 긴 보빈 스핀들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두 보빈 스핀들에서 보빈에 동시에 실이 감기는 새로운 개념의 장치가 개발되어 왔습니다.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연사기라 하며, 이에 대해 설명하면 정방기에서 뽑아진 실을 홑실이라고 하는데, 이 홑실을 두 가닥 또는 그 이상의 가닥으로 합쳐 꼬는 기계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사기에서는 구동축 드럼의 상측에 크래들이 설치되어 상하로 회전되게 한 홀더지지대의 보빈홀더에 장착된 권취보빈이 구동축 드럼의 상부에서 접촉되거나 분리되게 한 구성으로 되어 구동축드럼 상부에 재치시킨 권취보빈이 회동하는 수단으로 실이 권취되는 연사공정이 행해지게 되었다.
여기서 상기 크래들은 연사기의 일 측에 장착하게 되어 실이 감기는 보빈을 장착하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보빈을 장착한 크래들은 일 측에 구비된 손잡이를 사용하여 실이 감긴 보빈을 착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크래들에서 보빈의 착탈 시 상기 크래들의 일 측에 구비된 손잡이를 사용하여 크래들을 상측 방향으로 유동하여 고정시킨 후 크래들에서 보빈을 탈착한다.
이때 상기 크래들의 일 측에는 상기 크래들을 고정시키는 캐치가 구성된다.
상기에서 크래들을 유동한 후 고정시키는 캐치는 통상적으로 크래들이 연결되는 앵글과 크래들의 작동부분을 각각 연결하는 부속장치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앵글에 부착되는 부속장치가 구성되어 크래들을 앵글에 장착 후 부속장치의 연결로 인해 앵글에 홈을 형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고, 상기 앵글에 부착되는 부속장치와 더불어 크래들의 작동부분에도 부속장치를 연결해야 함으로 상기 캐치에 대한 조립성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에서처럼 다수의 부속장치 연결로 인해 캐치에 대한 원가비용에 대해서도 사용자 및 판매자 입장에서도 비용이 부담되어 상기한 캐치에 대한 장착을 고려해볼 수밖에 없어 사용자로 하여금 캐치의 사용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앵글에 연결된 고정판의 일 측에 판재의 형상으로 연결 홈이 형성된 브라켓을 연결하고, 상기 브라켓의 연결 홈에 연결되어 외측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대를 연결한 후 상기 지지대의 끝부와 연결되어 작동하려는 크래들의 외측 일부분에 구성된 돌출부에 걸림 홈이 걸림 되어 작동하는 작동플레이트로 구성된 크래들 캐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앵글에 고정판의 연결로 고정 설치되어 보빈을 착탈하는 크래들과 상기 보빈의 착탈 시 크래들을 유동시켜 고정하는 캐치에 있어서, 상기 캐치는 상기 고정판의 일 측면에 연결되되 상측방향의 돌출부분에 연결 홈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크래들의 일 측 외부에 판재의 형상으로 일 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끝부에는 연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크래들의 외부에 구성된 돌출부에 걸림 되도록 걸림 홈이 형성된 작동플레이트와, 상기 브라켓과 작동플레이트의 연결 홈으로 상호 연결되는 지지대가 구성된 캐치가 구성되는 것을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 캐치에 의하면, 앵글에 장착되는 고정판과 크래들의 작동부분에 브라켓과 작동플레이트를 각각 장착할 수 있어 그 구조가 간단하여 크래들 캐치에 대한 조립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상기한 크래들 캐치를 앵글에 장착된 고정판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구성된 크래들에 대해 상기 고정판을 중심으로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크래들 캐치의 구성인 브라켓, 지지대 및 작동플레이트의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판매자 및 사용자로 하여금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는 등 그 효과가 큰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 중 작동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중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을 나타내는 연결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은 생활정보지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인 생활정보지용 거치대(10)에 대한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앵글(100)에 고정판(200)의 연결로 고정 설치되어 보빈을 착탈하는 크래들(300)과 상기 보빈의 착탈 시 크래들(300)을 유동시켜 고정하는 캐치에 있어서, 상기 캐치는 상기 고정판(200)의 일 측면에 연결되되 상측방향의 돌출부분에 연결 홈(410)이 형성된 브라켓(400)과, 상기 크래들(300)의 일 측 외부에 판재의 형상으로 일 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끝부에는 연결 홈(510)이 형성되고 상기 크래들(300)의 외부에 구성된 돌출부(310)에 걸림 되도록 걸림 홈(520)이 형성된 작동플레이트(500)와, 상기 브라켓(400)과 작동플레이트(500)의 연결 홈(410, 510)으로 상호 연결되는 지지대(600)가 구성된 캐치(10)가 구성된다.
상기 작동플레이트(500)의 걸림 홈(520) 일 측에는 걸림 턱(530)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플레이트(500)는 장착되는 부분의 크래들(300) 외부 일 측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작동플레이트(500)와 지지대(600)가 연결되는 부분의 내측에는 완충부재(610)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400)는 고정판(200)의 타 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상기 고정판(200) 타 측에 연결 구성되는 브라켓(400)과 작동플레이트(500)와 연결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대한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크래들 캐치(10)는 그 구성이 대분하여 브라켓(400), 작동플레이트(500) 및 지지대(600)로 이루어진다.
우선, 도 1, 3, 4, 5를 참고로 상기 브라켓(40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브라켓(400)은 판재로 되어 있으며, 고정판(200)에 연결되는 고정 홈(420)이 형성되고, 중심부가 상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 돌출되어 있으며, 그 돌출된 끝부에는 연결 홈(4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400)은 연사기의 앵글(100)에 연결되는 고정판(200)의 일 측면에 연결 고정되며, 이는 고정 홈(420)을 통해 고정판(200)과 연결된다.
상기한 브라켓(400)과 고정판(200)의 연결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연결장치인 볼트와 너트의 조임방식을 사용하며 이는 본 발명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 1, 2, 4, 5를 참고로 작동플레이트(500)에 대해 설명하면,
크래들(300)의 손잡이가 형성된 부분의 타 측인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외측에 연결 구성되되 판재의 형상으로 일 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끝부에는 연결 홈(510)이 형성되고, 상기 크래들(300)의 외부에 구성된 돌출부(310)에 걸림 되도록 걸림 홈(520)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 홈(510)은 상기 브라켓(400)의 연결 홈(410)을 잇는 지지대(6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는 사용에 따라 상기 지지대(600)가 끼움 되거나 또는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 홈(520)은 작동플레이트(500)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 측에는 걸림 턱(53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 턱(530)은 크래들(300)을 사용자가 상측 방향으로 유동 시 상기 크래들(300)의 외측에 구성된 돌출부(310)가 상기 걸림 턱(530)에 걸림 된다.
상기 돌출부(310)는 사용자가 상, 하측방향으로 유동 시에는 상기 걸림 홈(520)을 타게 되고, 상측방향으로 유동하여 일정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걸림 턱(530)에 돌출부(310)가 걸림 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작동플레이트(500)가 연결되는 크래들(3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크래들(300)의 상, 하측방향으로 유동을 편리하게 하였다.
이는 사용자가 크래들(300)의 손잡이가 형성된 부분을 사용하여 상기 크래들(300)을 상측방향으로 유동하고, 상측방향으로 일정 높이 올라가면, 작동플레이트(500)의 걸림 홈(520)에 끼움 된 돌출부(310)가 상기 걸림 홈(520)의 걸림 턱(530)에 걸림 되어 상기 크래들(300)의 유동이 멈춤 된다.
또한, 상기 유동이 멈춤 된 크래들(300)을 하측방향으로 유동하기 위해서는 작동플레이트(500)를 상측방향으로 일정 높이 유동하면 상기 크래들(300)의 돌출부(310)가 걸림 턱(530)에서 이탈되게 되어 상기 크래들(300)이 하측방향으로 유동되며, 이때 상기 걸림 홈(520)은 돌출부(310)를 중심으로 슬라이딩 하게 된다.
도 1, 4, 5를 참고로 지지대(60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브라켓(400)과 작동플레이트(500)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브라켓(400)의 연결 홈(410)과 작동플레이트(500)의 연결 홈(510)으로 상호 연결된다.
상기 지지대(600)는 브라켓(400)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플레이트(500)의 작동 시 작동플레이트(500)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600)는 브라켓(400)의 연결 홈(41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이는 작동플레이트(500)와 지지대(600)의 연결 시 상기 작동플레이트(500)가 크래들(300)의 비교하여 일정 각도 차이난다.
이는 크래들(300)의 상, 하측방향 유동 시 상기 작동플레이트(500)의 걸림 홈(520)이 돌출부(310)를 중심으로 슬라이딩되기 위한 각도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600)가 작동플레이트(500)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완충부재(610)가 구성된다. 상기 완충부재(610)는 작동플레이트(500)를 외측방향으로 밀림 하게 되어 크래들(300)의 상, 하측방향 유동 시 상기 작동플레이트(500)와 크래들(300)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인 크래들 캐치(10)는 상기 앵글(100)에 연결된 고정판(200)의 타 측에 연결 구성하여 통상적으로 앵글(100)의 양측으로 연결 구성되는 크래들(30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크래들 캐시(10)를 양측으로 연결 구성 시 상기 지지대(400)를 길게 연장하여 상기 고정판(200) 타 측에 연결 구성되는 브라켓(400)과 작동플레이트(50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00)과 연결되는 고정판(200) 및 지지대(60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결되는 브라켓(400)과 작동플레이트(500)의 연결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볼트와 같은 연결부재(700)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700)의 연결 시 와셔(710)를 다수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크래들 캐치의 작동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연사기의 앵글(100)에 크래들(300)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크래들(300)은 상기 앵글(100)과 크래들(300)을 상호 연결하는 고정판(200)에 연결된다.
상기에서 크래들(300)이 연결되면, 상기 고정판(200)의 일 측면에 브라켓(400)을 장착한다. 여기서 연결된 브라켓(400)은 중심부가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에는 연결 홈(4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400)이 연결되면, 상기 브라켓(400)의 연결 홈(410)과 연결되는 지지대(600)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600)는 고정판(200)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연결된다.
상기 지지대(600)가 연결되면, 상기 지지대(600)의 외측 끝부와 작동플레이트(500)에 형성된 연결 홈(510)과 상호 연결된다. 이때 상기 작동플레이트(500)는 크래들(300)의 돌출부(310)가 작동플레이트(500)의 걸림 홈(520)에 끼움 된다.
상기 본 발명인 크래들 캐치(10)가 연결되면, 사용자는 보빈을 크래들(300)에 끼움 하여 보빈에 실을 권취할 수 있는데, 이때 보빈의 착탈을 위해 크래들(300)을 상측방향으로 유동한다.
상기에서 보빈의 착탈을 위해 크래들(300)을 상측방향으로 유동 시 사용자는 크래들(300)의 손잡이가 형성된 부분을 잡고 상측방향으로 유동한다.
상기 크래들(300)이 상측방향으로 일정 높이 유동되며, 작동플레이트(500)의 걸림 홈(520)은 크래들(300)의 돌출부(310)를 중심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돌출부(310)가 걸림 홈(520)에 형성된 걸림 턱(530)에 도달하면 상기 돌출부(310)가 걸림 턱(530)에 걸림 되어 크래들(300)이 고정된다.
상기에서 크래들(300)의 고정 후 크래들(300)에서 보빈을 착탈하면 상기 크래들(300)을 하측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사용자가 크래들 캐치(10)의 작동플레이트(500)를 상측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유동하여 상기 걸림 턱(530)에 걸림 된 돌출부(310)가 걸림 턱(310)에서 이탈되면 하측방향으로 유동하면 된다.
상기 크래들(300)에 연결되는 크래들 캐치(10)는 사용에 따라 앵글(10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연결하여 상호 대응되게 연결된 크래들(300)에 각각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앵글(100)을 중심으로 각각 연결하여 사용 시에는 상기 크래들 캐치(10)에 구성된 지지대(600)는 그 길이를 길게 연장하여 연결할 수 있는데, 이는 고정판(200)을 중심으로 일 측에 연결되는 크래들 캐치(10)와 타 측에 연결되는 크래들 캐치(10)의 연결을 상기 지지대(600) 하나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앵글(100)에 장착되는 고정판(200)과 크래들(300)의 작동부분에 브라켓(400)과 작동플레이트(500)를 각각 장착할 수 있어 그 구조가 간단하여 크래들 캐치(10)에 대한 조립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상기한 크래들 캐치(10)를 앵글(100)에 장착된 고정판(20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구성된 크래들(300)에 대해 상기 고정판(200)을 중심으로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크래들 캐치(10)의 구성인 브라켓(400), 지지대(600) 및 작동플레이트(500)의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판매자 및 사용자로 하여금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크래들 캐치(10)에 관한 것이다.
10 : 크래들 캐치
100 : 앵글 200 : 고정판
300 : 크래들 310 : 돌출부
400 : 브라켓 500 : 연결 홈
500 : 작동플레이트 510 : 연결 홈
520 : 걸림 홈 530 : 걸림 턱
600 : 지지대 610 : 완충부재

Claims (5)

  1. 앵글에 고정판의 연결로 고정 설치되어 보빈을 착탈하는 크래들과 상기 보빈의 착탈 시 크래들을 유동시켜 고정하는 캐치에 있어서,
    상기 캐치는 상기 고정판의 일 측면에 연결되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된 부분에 연결 홈(410)이 형성된 브라켓(400)과,
    상기 크래들의 일 측 외부에 판재의 형상으로 일 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끝부에는 연결 홈(510)이 형성되고 상기 크래들의 외부에 구성된 돌출부(310)에 걸림 되도록 걸림 홈(520)이 형성된 작동플레이트(500)와,
    상기 브라켓(400)과 작동플레이트(500)의 연결 홈(410, 510)으로 상호 연결되는 지지대(600)가 구성된 캐치(1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캐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플레이트(500)의 걸림 홈(520) 일 측에는 걸림 턱(5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캐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플레이트(500)는 장착되는 부분의 크래들(300) 외부 일 측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캐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플레이트(500)와 지지대(600)가 연결되는 부분의 내측에는 완충부재(61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캐치
  5. 제 1항 또는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400)는 고정판(200)의 타 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상기 고정판(200) 타 측에 연결 구성되는 브라켓(400)과 작동플레이트(50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캐치
KR1020120108801A 2012-09-28 2012-09-28 크래들 캐치 KR20140042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801A KR20140042271A (ko) 2012-09-28 2012-09-28 크래들 캐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801A KR20140042271A (ko) 2012-09-28 2012-09-28 크래들 캐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271A true KR20140042271A (ko) 2014-04-07

Family

ID=50651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801A KR20140042271A (ko) 2012-09-28 2012-09-28 크래들 캐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22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0578A (zh) * 2017-07-13 2017-09-15 许昌亿源电气有限公司 一种手摇式变压器线圈缠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0578A (zh) * 2017-07-13 2017-09-15 许昌亿源电气有限公司 一种手摇式变压器线圈缠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7681B2 (en) Mop head with braided cord
CN205820537U (zh) 一种织机用绣花绕线设备
EP2548830A3 (en) Spinning winder
CN105668321A (zh) 一种纺包芯纱用长丝圆柱丝饼专用装置
CN203699536U (zh) 一种鱼丝线的洛丝装置
CN210029533U (zh) 一种可以平稳放线的倒筒机
KR20140042271A (ko) 크래들 캐치
CN104555577A (zh) 一种高效的纺织用绕盘装置
US4391087A (en) Twisting apparatus
CN110775713A (zh) 一种新型纱线筒固定结构
JP7114395B2 (ja) 紡糸引取機及び紡糸引取機の糸掛け補助具
CN202346497U (zh) 小张力超喂卷绕装置
CN102390766B (zh) 一种粗纱管
US9216878B1 (en) Spool support system
CN102951491A (zh) 旋转线轴架
CN209635587U (zh) 一种主动退解络筒机正面传动退解装置
CN215287517U (zh) 一种宝塔式纱管
JP2013231246A (ja) カバリングヤーン並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CN202594530U (zh) 一种自动松式络筒机的张力调节装置
US20150217966A1 (en) Bobbin winding system
JP6176781B2 (ja) ミシンの糸案内装置
KR101797394B1 (ko) 휴대용 실타래 보관 케이스
CN215047578U (zh) 一种轴向退绕络筒机
CN211497908U (zh) 一种亚麻湿纺细纱机绕线筒自动走位装置
CN204753079U (zh) 缝纫机线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