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263A -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버퍼링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버퍼링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263A
KR20140042263A KR1020120108784A KR20120108784A KR20140042263A KR 20140042263 A KR20140042263 A KR 20140042263A KR 1020120108784 A KR1020120108784 A KR 1020120108784A KR 20120108784 A KR20120108784 A KR 20120108784A KR 20140042263 A KR20140042263 A KR 20140042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thumbnail
preferred
medi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8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2263A/ko
Priority to US14/039,547 priority patent/US10165027B2/en
Priority to PCT/KR2013/008671 priority patent/WO2014051371A1/en
Priority to CN201380050406.4A priority patent/CN104662836A/zh
Publication of KR20140042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선호 구간을 이용한 서비스에 대한 것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은, 미디어를 재생한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미디어에 대한 통계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호 구간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미디어를 재생하는 사용자 장치로, 현재 재생 중인 지점과 무관하게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버퍼링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UFFERING DATA IN MEDIA STREAMING SERVICE}
본 발명은 미디어 스트리밍(media streaming)에 관한 것이다.
스트리밍 서비스(streaming service)는 사용자 측에서 오디오, 비디오와 같은 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 중 하나이다.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에 따르면, 미디어 데이터가 완전히 다운로드(download) 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도 현재 수신된 일부의 재생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운로드 완료한 미디어를 재생하는 방식에 비해,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는 미디어를 재생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게 한다.
상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능들이 더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먼저, 원활한 미디어의 재생을 위해 일정량의 미디어 데이터가 사용자 측 장치에 버퍼링(buffering)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퍼링은 수신 측에서 미디어 데이터가 재생으로 인해 모두 소비되지 아니하도록 충분히 미리 수신 및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스트리밍 서비스 중 총 재생 시간을 고정된 수로 나누어, 나누어진 각 구간에서 하나의 프레임이 미리보기 썸네일(thumbnail)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퍼링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되는 부분은 현재 재생 중인 지점을 기준으로 한다. 다시 말해, 현재 재생 중인 지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후까지의 미디어 데이터가 버퍼링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재생되는 지점은 순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지점으로부터 5초 간의 데이터를 버퍼링하도록 정의된 경우, 동영상의 1분 30초 지점이 재생된다면 1분 35초 지점까지 데이터가 버퍼링될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조작함으로써 3분 20초 지점으로 재생 구간이 이동될 수 있다. 영상 클립(clip)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일부 구간은 재생하지 않고 하이라이트 부분을 찾아 재생 슬라이드(slide)를 드래그(drag)하여 하이라이트 부분만을 감상하는 경우가 빈번한 바, 이러한 상황은 흔히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1분 30초 지점부터 1분 35초 지점까지의 미디어 데이터만이 버퍼링되어 있을 것이므로, 상기 3분 20초 지점부터의 재생은 일정 시간 지연 후에 가능하다. 또한, 상기 썸네일을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은 동영상 전체를 일정 간격으로 분할한 위치의 프레임으로부터 생성된다. 즉, 상기 썸네일은 사용자의 기호를 전혀 반영하지 못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리밍 서비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 가능하게 하기 위한 부수적 기능들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버퍼링이나 썸네일 제공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히, 종래의 버퍼링 방식은 효과적이지 못하며, 이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저해한다. 더욱이, 서비스 제공자에게도 사용자가 감상하지 않는 부분에 대한 불필요한 버퍼링을 제공함으로 인해, 연산 및 네트워크 자원 낭비가 유발된다. 따라서, 보다 편리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보완책이 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보다 편리한 스트리밍 서비스(streaming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불필요한 버퍼링(buffering)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한 버퍼링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선호도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한 썸네일(thumbnali)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은, 미디어를 재생한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미디어에 대한 통계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호 구간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미디어를 재생하는 사용자 장치로, 현재 재생 중인 지점과 무관하게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미디어에서 현재 재생 중인 지점과 무관하게,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선호 구간은, 상기 미디어를 재생한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미디어에 대한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견지에 따르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는, 미디어를 재생한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미디어에 대한 통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호 구간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미디어를 재생하는 사용자 장치로, 현재 재생 중인 지점과 무관하게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견지에 따르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장치는, 미디어에서 현재 재생 중인 지점과 무관하게,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호 구간은, 상기 미디어를 재생한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미디어에 대한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트리밍 서비스(streaming service)에서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재생 구간을 고려한 버퍼링을 제공함으로써,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미디어 제공자 입장에서도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 자원 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구성 요소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버퍼링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썸네일 제공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썸네일 선택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썸네일 선택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선호 구간 판단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썸네일 표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스트리밍 서버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스트리밍 서버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사용자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사용자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스트리밍 서버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사용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보다 편리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대하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은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버퍼링 데이터 및 썸네일(thumbnail) 제공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구성 요소들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리밍 서버(110)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공하고, 사용자 장치(120)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디어를 재생한다. 상기 스트리밍 서버(110) 및 상기 사용자 장치(120) 간 통신은 적어도 하나의 망(network)을 통해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망은 유선(wired) 망, 무선(wireless) 망 중 하나 또는 상기 유선 망 및 상기 무선 망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유선 망 및 상기 무선 망의 조합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장치(120)는 이동 단말로서, 이동 통신망에 무선 채널을 통해 접속하고, 상기 이동 통신망은 코어망(core network)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장치(120)로 IP(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싱기 사용자 장치(12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랩탑(lap-top) 컴퓨터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장치(120)는 상술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기능들을 결합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사용자 장치(120)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110)로 미디어 요청(request)(101)을 송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서버(110)는 미디어 데이터(103)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 데이터(103)는 미디어 세그먼트(segment), 세그먼트의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데이터 전달을 위해 다양한 프로토콜(protocol)이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는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120)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103)를 버퍼링한다. 상기 미디어 데이터(103)의 버퍼링 상태가 미리 정의된 기준을 충족하면, 상기 사용자 장치(120)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103)를 디코딩(decoding), 압축해제(decryption) 등을 함으로써 미디어를 재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버퍼링은 상기 사용자 장치(120)에서 재생 중인 지점에서 시간적으로 연속된 부분뿐만 아니라, 선호 구간으로 판단된 부분에 대하여도 함께 수행된다. 다시 말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110)는 사용자 장치(120)에서 재생 중인 지점에서 시간적으로 연속된 부분뿐만 아니라, 선호 구간으로 판단된 부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퍼링의 일 예는 이하 도 2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버퍼링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고하면, 일부 구간은 재생이 완료되었고, 재생 중인 지점에서 시간적으로 연속된 일정 구간(220)이 버퍼링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재생 중인 지점에서 시간적으로 연속된 일정 구간(220)'을 '순차적 재생 구간(220)'으로 지칭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수의 선호 구간(230-1, 230-2)에 대한 버퍼링도 수행된다. 상기 선호 구간들(230-1, 230-2)는 전체 미디어 데이터 중 특정되는 고정된 구간이다. 하지만,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220)은 고정되지 아니하며, 현재 재생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동적인 구간이다. 최상의 경우, 사용자가 선호 구간만을 재생하면, 나머지 구간에 대한 불필요한 버퍼링을 수행하지 아니하게 되며, 총 재생 분량의 절반 가량의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버퍼링은 상기 스트리밍 서버(110)로부터 해당 구간의 데이터가 재생에 앞서 송신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상기 선호 재생 구간(230-1, 230-2)에 대한 버퍼링이 더 수행되기 위해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110)는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220) 및 선호 구간들(230-1, 230-2)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병렬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상기 병렬적 버퍼링을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데이터 송신 방식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트리밍 서버(110)는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220)의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220)에 대해 비축된 버퍼가 충분할 경우, 상기 선호 구간들(230-1, 230-2)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도 2와 같이 선호 구간이 다수인 경우, 미리 정의된 순서에 따라 선호 구간들 간 우선순위가 정해질 수 있다. 이후,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220)에 대한 버퍼링이 미리 정의된 비율만큼 소진된 경우, 상기 스트리밍 서버(110)는 다시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220)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의된 비율은 50%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스트리밍 서버(110)는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220)에 대한 데이터 및 상기 선호 구간들(230-1, 230-2)에 대한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110)는 다수의 세션(session)들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호 구간이 다수이라도, 선호 구간 개수만큼의 세션들을 더 설정함으로써 모든 선호 구간들에 대한 데이터가 동시에 전달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스트리밍 서버(110)는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220)에 대한 데이터 및 상기 선호 구간들(230-1, 230-2)에 대한 데이터를 번갈아 가며 송신한다. 즉, 상기 스트리밍 서버(110)는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220)에 대한 버퍼링이 일정량 완료되면 상기 선호 구간들(230-1, 230-2)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선호 구간들(230-1, 230-2)에 대한 버퍼링이 일정량 완료되면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220)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도 1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스트리밍 서버(110)는 상기 사용자 장치(120)로 제공되는 미디어에 대한 썸네일 데이터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썸네일은 상기 미디어가 동영상인 경우에 제공될 수 있으며, 동영상 중 특정 프레임을 선택적으로 표시한 정지 이미지(image)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썸네일은 상기 썸네일에 의해 표시되는 프레임으로 재생 지점을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므로, 사용자들이 주로 재생하는 범위 내에서 썸네일이 제공되는 것이 사용자 편의에 부합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썸네일은 이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호 구간들(230-1, 230-2)을 기초로 선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썸네일 제공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선호 구간들(230-1, 230-2) 내에서 썸네일들(320)이 선택된다. 단, 상기 선호 구간들(230-1, 230-2)에 기초한 썸네일 선택이 다른 썸네일 선택 방식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선호 구간들(230-1, 230-2) 내에서 선택된 썸네일들(320) 외 다른 썸네일(310)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선호 구간에 기초한 썸네일 선택의 구체적 예는 이하 도 4 및 이하 도 5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썸네일 선택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고하면, 프레임 0번 내지 352번, 프레임 800번 내지 1102번, 프레임 1400번 내지 1579번이 선호 구간들이다. 상기 각 선호 구간들에서, 선호 구간 당 1개의 썸네일이 선택된다. 이때, 각 선호 구간 내의 썸네일을 위한 프레임은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선택된다. 예를 들어, 각 선호 구간의 1/2 지점의 프레임이 썸네일로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 4와 같이, 프레임 176번(=0+(352-0)÷2)이 썸네일#1(411)로, 프레임 951번(=800+(1102-800)÷2))이 썸네일#2(412)로, 프레임 1489번(=1489+(1579-1489)÷2)이 썸네일#3(413)으로 선택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썸네일 선택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고하면, 프레임 0번 내지 352번, 프레임 800번 내지 1102번, 프레임 1400번 내지 2307번이 선호 구간들이다. 상기 각 선호 구간들에서, 선호 구간 당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이 선택된다. 즉, 선호 구간의 길이에 따라 선택되는 썸네일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선호 구간 길이 및 썸네일 개수의 관계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도 5의 경우, 프레임 1400번 내지 2307번의 선호 구간에서 2개의 썸네일들이 선택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퍼링 및 썸네일 선택은 선호 구간에 기초한다. 이때, 상기 선호 구간은 다양한 방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선호 구간은 사용자들의 취향, 기호 등을 반영하는 것이므로, 사용자들로부터 수집되는 통계 정보에 기초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선호 구간은 이하 도 6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선호 구간 판단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은 '선호 구간을 결정하는 객체'를 '판단자'라 칭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스트림이 서버가 상기 판단자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판단자는 해당 미디어를 제공받은 다수의 사용자들의 재생 결과에 기초하여 선호 구간들을 결정한다. 이를 위해, 먼저 사용자가 재생한 구간 및 재생하지 아니한 구간이 식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재생한 구간들 및 재생하지 아니한 구간들은 사용자의 재생 슬라이드 바(slide bar) 조작 결과를 이용하여 식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사용자가 재생 슬라이드 바를 드래그(drag)하기 시작하는 지점부터 드래그하였던 재생 슬라이드 바를 릴리즈(release)하는 지점까지의 구간이 재생 생략된 구간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생 생략된 구간 외 구간이 재생된 구간으로 판단될 수 있다.
각 사용자가 재생한 구간들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면, 상기 판단자는 재생한 구간들에 기초하여 선호 구간을 판단한다. 이때, 구체적인 판단 과정은 구체적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판단자는 다수의 사용자들 중 미리 정의된 비율 이상의 사용자들에 의해 공통적으로 재생된 구간을 선호 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호 구간은 세그먼트 단위, 프레임 단위 또는 I-프레임 단위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도 6의 경우, 전체 0 내지 1600 세그먼트의 재생 구간을 가지는 스트리밍 미디어에 대해, 사용자#1은 A1 내지 A1', A2 내지 A2' 등 2개 구간들을 재생하였고, 사용자#2는 B1 내지 B1', B2 내지 B2', B3 내지 B3' 등 3개 구간들을 재생하였고, 사용자#3은 C1 내지 C1', C2 내지 C2', C3 내지 C3' 등 3개 구간들을 재생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판단자는 세그먼트 범위 0 내지 352를 포함하는 구간A(610), 800 내지 1102를 포함하는 구간B(620), 1400 내지 1579를 포함하는 구간C(630)를 선호 구간들로 결정한다.
상술한 선호 구간 판단 방식에서, 선호 구간은 사용자의 재생 구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재생 구간이 아닌 사용자에 의해 선택 내지 투표된 구간이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즉, 실제로 재생되지 아니더라도 각 사용자에 의해 특정 구간이 투표되면, 투표된 구간을 재생된 구간으로 취급하여 상술한 방식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재생된 구간 및 투표된 구간이 함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표된 구간을 이용하는 경우, 스트리밍 미디어가 제공되는 웹 페이지(web page)에서 상기 투표를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호 구간이 사용자들의 재생 또는 투표에 대한 통계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통계 정보를 이용한 부가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 도 7과 같이, 상기 부가 정보는 썸네일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썸네일 표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고하면, 2개의 선호 구간들이 결정되었으며, 각 선호 구간에서 2개의 썸네일들(711, 712)이 선택되었다. 상기 썸네일에 대한 썸네일 데이터는 사용자 장치로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 장치는 슬라이드 바 상단 또는 하단에 상기 썸네일들(711, 712)를 표시한다. 상기 썸네일 데이터는 대응되는 프레임의 번호 또는 위치,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썸네일 데이터는 상기 썸네일들(711, 712)에 대응하는 선호 구간에 대한 통계 정보를 부가 정보(721, 722)로서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통계 정보를 상기 썸네일들(711, 712)과 함께 상기 부가 정보(721, 722)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부가 정보(721, 722)는 상기 썸네일들(711, 712)에 대응하는 선호 구간의 재생 횟수일 수 있다. 상기 도 7의 경우, 상기 부가 정보(721, 722)는 재생 횟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부가 정보(721, 722)는 재생 횟수 외 다른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가 정보(721, 722)로서, 재생 빈도, 전체 통계 자료 수집 군 대비 해당 선호 구간을 재생한 사용자 비율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7은 상기 부가 정보(721, 722)가 상기 썸네일들(711, 712) 하단에 표시된 실시 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부가 정보(721, 722)는 상기 썸네일들(711, 712)의 내부 또는 외부의 다른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부가 정보(721, 722)는 상기 썸네일들(711, 712)에 커서가 올려진 때에만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장치의 동작 및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스트리밍 서버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801단계에서 선호 구간 결정을 위한 통계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통계 정보는 상기 선호 구간 결정의 기초 자료로서, 미디어의 전체 재생 구간 중 각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구간을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상기 통계 정보는 미디어를 재생한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미디어에 대한 통계적 자료이다. 예를 들어, 상기 통계 정보는 다수의 사용자들의 특정 미디어에 대한 재생 구간 정보, 투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 구간은 사용자의 재생 슬라이드 바에 대한 드래그, 릴리즈 등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생 구간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슬라이드 바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직접적으로 재생 구간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투표 정보는 전제 재생 구간 중 사용자에 의해 투표된 특정 구간을 지시하는 정보로서, 스트리밍 미디어가 제공되는 웹 페이지 상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8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호 구간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다수의 사용자들 중 미리 정의된 비율 이상의 사용자들에 의해 공통적으로 재생 또는 투표된 구간을 선호 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호 구간은 세그먼트 단위, 프레임 단위 또는 I-프레임 단위로 결정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805단계로 진행하여 순차적 재생 구간 및 선호 구간에 대한 버퍼링 데이터를 송신한다. 즉, 사용자 장치가 선호 구간으로의 불연속적 재생 지점 이동에도 지연 없이 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현재 재생 지점과 무관하게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버퍼링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의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에 대해 비축된 버퍼가 미리 정의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에 대한 버퍼링이 미리 정의된 비율만큼 소진된 경우 다시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다른 예로,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다수의 세션들을 통해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에 대한 데이터 및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에 대한 데이터 및 상기 선호 구간들에 대한 데이터를 번갈아 가며 송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스트리밍 서버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9을 참고하면,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901단계에서 선호 구간 결정을 위한 통계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통계 정보는 상기 선호 구간 결정의 기초 자료로서, 미디어의 전체 재생 구간 중 각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구간을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계 정보는 다수의 사용자들의 특정 미디어에 대한 재생 구간 정보, 투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 구간은 사용자의 재생 슬라이드 바에 대한 드래그, 릴리즈 등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생 구간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슬라이드 바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직접적으로 재생 구간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투표 정보는 전제 재생 구간 중 사용자에 의해 투표된 특정 구간을 지시하는 정보로서, 스트리밍 미디어가 제공되는 웹 페이지 상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9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호 구간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다수의 사용자들 중 미리 정의된 비율 이상의 사용자들에 의해 공통적으로 재생 또는 투표된 구간을 선호 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호 구간은 세그먼트 단위, 프레임 단위 또는 I-프레임 단위로 결정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9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호 구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선택한다. 상기 썸네일은 동영상 중 특정 프레임을 선택적으로 표시한 정지 이미지(image)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구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선택한다. 이때, 선호 구간이 다수인 경우,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각 선호 구간 당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선택한다. 이때, 각 선호 구간 내의 썸네일을 위한 프레임은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선택된다. 예를 들어, 선호 구간의 가운데 지점에서 가장 근접한 하나의 프레임이 썸네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썸네일은 모든 프레임들 중 선택되거나 또는 I-프레임들 중 선택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9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썸네일에 대한 썸네일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썸네일 데이터는 사용자 장치가 선택된 썸네일을 표시 가능케하는 정보로서, 썸네일로서 선택된 프레임의 번호 또는 위치,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썸네일 데이터는 상기 905단계에서 선호 구간에 기초하여 선택된 썸네일 뿐 아니라 다른 방식에 의해 선택된 썸네일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방식은 전체 재생 구간에서 일정 간격으로 썸네일을 선택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썸네일 데이터에 더하여, 상기 썸네일에 대한 부가 정보를 더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901단계에서 수집된 통계 정보로부터 생성되며, 해당 썸네일에 대응되는 선호 구간의 재생 횟수, 재생 빈도, 전체 통계 자료 수집 군 대비 해당 선호 구간을 재생한 사용자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사용자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사용자 장치는 1001단계에서 순차적 재생 구간에 대한 데이터 및 선호 구간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은 재생 중인 지점에서 시간적으로 연속된 일정 구간을 의미한다. 상기 선호 구간은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통계 자료를 기초로 결정된 전체 재생 구간 내 특정 구간을 의미한다. 상기 선호 구간은 다수의 사용자들 중 미리 정의된 비율 이상의 사용자들에 의해 공통적으로 재생 또는 투표된 구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호 구간은 세그먼트 단위, 프레임 단위 또는 I-프레임 단위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에 대한 데이터 및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데이터는 번갈아가며 수신되거나 또는 다수의 세션들을 통해 동시에 수신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 장치는 10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에 대한 데이터 및 선호 구간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버퍼링한다. 즉, 상기 사용자 장치는 수신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가 전체 재생 구간 중 어느 위치의 데이터인지 식별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장치는 각 구간을 위한 논리적 데이터 공간(예 : 큐(queue))을 생성하고, 각 데이터 공간에 해당 데이터를 버퍼링한다. 동시에,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에 대한 버퍼링 데이터를 디코딩, 압축 해제함으로써, 미디어를 재생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사용자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사용자 장치는 1101단계에서 선호 구간에 기초한 썸네일에 대한 썸네일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썸네일은 동영상 중 특정 프레임을 선택적으로 표시한 정지 이미지(image)를 의미한다. 상기 1101단계에서 수신되는 썸네일 데이터는 선호 구간을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선호 구간의 가운데 지점에서 가장 근접한 하나의 프레임이 썸네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썸네일은 모든 프레임들 중 선택되거나 또는 I-프레임들 중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썸네일 데이터는 사용자 장치가 선택된 썸네일을 표시 가능케하는 정보로서, 썸네일로서 선택된 프레임의 번호 또는 위치,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썸네일 데이터에 더하여, 상기 썸네일에 대한 부가 정보가 더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선호 구간 판단을 위해 수집된 통계 정보로부터 생성되며, 해당 썸네일에 대응되는 선호 구간의 재생 횟수, 재생 빈도, 전체 통계 자료 수집 군 대비 해당 선호 구간을 재생한 사용자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 장치는 11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썸네일 데이터를 이용하여 썸네일을 표시한다. 다시 말해,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썸네일 데이터를 해석하여 썸네일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썸네일을 슬라이드 바 상단 또는 하단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썸네일 데이터에 더하여 부가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부가 정보를 대응되는 썸네일과 함께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부가 정보를 대응되는 썸네일의 내부 또는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는 썸네일에 커서가 올려진 때에만 상기 부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스트리밍 서버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2을 참고하면,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통신부(1210), 저장부(1220), 제어부(123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121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통신부(1210)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210)는 사용자 장치로부터의 미디어 요청을 수신하고, 미디어 데이터, 썸네일 데이터 등을 송신한다.
상기 저장부(1220)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220)는 상기 제어부(12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저장부(1220)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될 미디어 데이터,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수집된 통계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230)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230)는 상기 통신부(121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30)는 상기 저장부(12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230)는 특정 미디어에 대한 다수의 사용자들이 관심을 가지는 구간을 나타내는 통계 정보를 수집하는 통계정보수집주(1232), 상기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미디어에 대한 선호 구간을 결정하는 선호구간판단부(1234), 상기 선호 구간에 따라 결정되는 버퍼링 정책에 따라 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스트리밍부(1236)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부(1230)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도 8 및 상기 도 9에 도시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호 구간 결정을 위한 상기 제어부(123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1230)는 선호 구간 결정을 위한 통계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계 정보는 다수의 사용자들의 특정 미디어에 대한 재생 구간 정보, 투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 구간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230)는 상기 슬라이드 바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직접적으로 재생 구간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30)는 상기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호 구간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230)는 다수의 사용자들 중 미리 정의된 비율 이상의 사용자들에 의해 공통적으로 재생 또는 투표된 구간을 선호 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퍼링을 위한 상기 제어부(123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1230)는 진행하여 순차적 재생 구간 및 선호 구간에 대한 버퍼링 데이터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230)는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의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에 대해 비축된 버퍼가 미리 정의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에 대한 버퍼링이 미리 정의된 비율만큼 소진된 경우 다시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230)는 다수의 세션들을 통해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에 대한 데이터 및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230)는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에 대한 데이터 및 상기 선호 구간들에 대한 데이터를 번갈아 가며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썸네일 제공을 위한 상기 제어부(123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1230)는 상기 제어부(12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 구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선택한다. 이때, 선호 구간이 다수인 경우, 상기 제어부(1230)는 각 선호 구간 당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선택한다. 이때, 각 선호 구간 내의 썸네일을 위한 프레임은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선택된다. 예를 들어, 선호 구간의 가운데 지점에서 가장 근접한 하나의 프레임이 썸네일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30)는 상기 썸네일에 대한 썸네일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썸네일 데이터는 썸네일로서 선택된 프레임의 번호 또는 위치, 썸네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썸네일 데이터는 상기 선호 구간에 기초하여 선택된 썸네일 뿐 아니라 다른 방식에 의해 선택된 썸네일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230)는 상기 썸네일 데이터에 더하여, 상기 썸네일에 대한 부가 정보를 더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통계 정보로부터 생성되며, 해당 썸네일에 대응되는 선호 구간의 재생 횟수, 재생 빈도, 전체 통계 자료 수집 군 대비 해당 선호 구간을 재생한 사용자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사용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사용자 장치는 표시부(1310), 입력부(1320), 통신부(1330), 저장부(1340), 제어부(135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1310)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및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숫자, 문자 및 영상 등을 표시한다. 즉, 상기 표시부(1310)는 상기 제어부(1350)로부터 제공되는 화상 데이터를 시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표현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310)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미디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LED(Flexible 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320)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을 인지하고, 입력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어부(1350)로 제공한다. 즉, 상기 입력부(1320)는 키보드, 키패드,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마우스, 특수 기능 버튼 등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한다. 상기 도 13에서, 상기 표시부(1310) 및 상기 입력부(1320)는 별도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표시부(1310) 및 상기 입력부(1320)는 하나의 수단(means)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310) 및 상기 입력부(1320)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3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장치의 사용 목적, 기기 종류에 따라, 상기 통신부(1330)는 무선 인터페이스 및 유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의 경우, 상기 통신부(1330)는 모뎀, RF(Radio Frequency)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40)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340)는 상기 제어부(13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저장부(1340)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 즉, 버퍼링한다.
상기 제어부(1350)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350)는 상기 통신부(133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50)는 상기 저장부(13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350)는 선호 구간을 기초하여 선택된 썸네일을 표시하고,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버퍼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350)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도 10 및 상기 도 11에 도시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퍼링을 위한 상기 제어부(135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순차적 재생 구간에 대한 데이터 및 선호 구간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350)는 상기 순차적 재생 구간에 대한 데이터 및 선호 구간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버퍼링한다. 즉, 상기 제어부(1350)는 수신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가 전체 재생 구간 중 어느 위치의 데이터인지 식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50)는 상기 저장부(1340) 내에 각 구간을 위한 논리적 데이터 공간(예 : 큐(queue))을 생성하고, 각 데이터 공간에 해당 데이터를 버퍼링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썸네일 표시를 위한 상기 제어부(135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썸네일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350)는 상기 표시부(1310)를 통해 상기 썸네일 데이터를 이용하여 썸네일을 표시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1350)는 상기 썸네일 데이터를 해석하여 썸네일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썸네일을 슬라이드 바 상단 또는 하단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썸네일 데이터에 더하여 부가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부(1350)는 상기 부가 정보를 대응되는 썸네일과 함께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350)는 상기 부가 정보를 대응되는 썸네일의 내부 또는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350)는 썸네일에 커서가 올려진 때에만 상기 부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및/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및/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6)

  1.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미디어를 재생한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미디어에 대한 통계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호 구간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미디어를 재생하는 사용자 장치로, 현재 재생 중인 지점과 무관하게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정보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들 각각이 재생한 구간을 지시하는 정보, 상기 다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의해 투표된 구간을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구간은, 상기 다수의 사용자들 중 미리 정의된 비율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생성된 통계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현재 재생 중인 지점으로부터 일정 구간에 대하여 버퍼링된 양이 미리 정의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현재 재생 중인 지점으로부터 일정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 및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번갈아가며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은,
    다수의 세션(session)들을 통해 상기 현재 재생 중인 지점으로부터 일정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 및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구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thumbnail)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썸네일을 지시하는 썸네일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정보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썸네일에 대한 부가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선호 구간의 재생 횟수,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선호 구간의 재생 빈도, 전체 통계 자료 수집 군 대비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선호 구간을 재생한 사용자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미디어에서 현재 재생 중인 지점과 무관하게,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선호 구간은, 상기 미디어를 재생한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미디어에 대한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정보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들 각각이 재생한 구간을 지시하는 정보, 상기 다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의해 투표된 구간을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구간은, 상기 다수의 사용자들 중 미리 정의된 비율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생성된 통계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구간 내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thumbnail)을 지시하는 썸네일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정보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썸네일에 대한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선호 구간의 재생 횟수,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선호 구간의 재생 빈도, 전체 통계 자료 수집 군 대비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선호 구간을 재생한 사용자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에 있어서,
    미디어를 재생한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미디어에 대한 통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호 구간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미디어를 재생하는 사용자 장치로, 현재 재생 중인 지점과 무관하게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정보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들 각각이 재생한 구간을 지시하는 정보, 상기 다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의해 투표된 구간을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구간은, 상기 다수의 사용자들 중 미리 정의된 비율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생성된 통계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현재 재생 중인 지점으로부터 일정 구간에 대하여 버퍼링된 양이 미리 정의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현재 재생 중인 지점으로부터 일정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 및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번갈아가며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다수의 세션(session)들을 통해 상기 현재 재생 중인 지점으로부터 일정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 및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호 구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thumbnail)을 선택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썸네일을 지시하는 썸네일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계 정보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썸네일에 대한 부가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선호 구간의 재생 횟수,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선호 구간의 재생 빈도, 전체 통계 자료 수집 군 대비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선호 구간을 재생한 사용자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장치에 있어서,
    미디어에서 현재 재생 중인 지점과 무관하게,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선호 구간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호 구간은, 상기 미디어를 재생한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미디어에 대한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정보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들 각각이 재생한 구간을 지시하는 정보, 상기 다수의 사용자들 각각에 의해 투표된 구간을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구간은, 상기 다수의 사용자들 중 미리 정의된 비율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생성된 통계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호 구간 내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thumbnail)을 지시하는 썸네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계 정보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썸네일에 대한 부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부가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선호 구간의 재생 횟수,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선호 구간의 재생 빈도, 전체 통계 자료 수집 군 대비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선호 구간을 재생한 사용자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20108784A 2012-09-28 2012-09-28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버퍼링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40042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784A KR20140042263A (ko) 2012-09-28 2012-09-28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버퍼링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4/039,547 US10165027B2 (en) 2012-09-28 2013-09-27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uffering data in media streaming service
PCT/KR2013/008671 WO2014051371A1 (en) 2012-09-28 2013-09-27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uffering data in media streaming service
CN201380050406.4A CN104662836A (zh) 2012-09-28 2013-09-27 用于在媒体流传输服务中发送/接收缓冲数据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784A KR20140042263A (ko) 2012-09-28 2012-09-28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버퍼링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263A true KR20140042263A (ko) 2014-04-07

Family

ID=50386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784A KR20140042263A (ko) 2012-09-28 2012-09-28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버퍼링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65027B2 (ko)
KR (1) KR20140042263A (ko)
CN (1) CN104662836A (ko)
WO (1) WO20140513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0971A (ko) * 2016-04-22 2017-11-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작위 시청 영역 선택을 고려한 효율적인 비디오 페이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8773B (zh) * 2017-03-13 2020-04-2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电子设备、视频处理方法及装置和存储介质
US10477471B2 (en) * 2017-10-27 2019-11-12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Apparatus to save power smartly from bluetooth audio visual remote control protocol notifications
WO2023018602A1 (en) * 2021-08-09 2023-02-16 Triveni Digit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picting a monitored stream of data packet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4585B1 (en) * 2000-09-01 2005-09-13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Dynamic personalized content resolution for a media server
KR100609154B1 (ko) * 2003-05-23 200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WO2005076539A1 (en) * 2004-01-30 2005-08-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cket scheduling for data stream transmission
CN100454834C (zh) * 2005-09-08 2009-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Ngn网络中媒体流的统计方法
JP5265524B2 (ja) 2006-05-02 2013-08-14 アント−アドバンスド ネットワーク テクノロジーズ オイ 多チャンネル・オーディオ又はビデオデータのリアルタイム無線送信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355237B1 (ko) 2006-06-22 2014-01-27 소니 주식회사 재생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2008135825A (ja) 2006-11-27 2008-06-12 Toshiba Corp 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EP1959703A1 (en) 2007-02-15 2008-08-20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Handover of wireless connections
CN101110844B (zh) 2007-08-21 2010-07-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节目片段预取方法及一种对等网络节点
US8181197B2 (en) * 2008-02-06 2012-05-15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voting on popular video intervals
US8028081B2 (en) * 2008-05-23 2011-09-27 Porto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segment prefetching of streaming media
US7603682B1 (en) * 2008-10-07 2009-10-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gest video browsing based on collaborative information
CN102216873B (zh) 2008-11-12 2014-06-25 创新科技有限公司 用于再现媒体内容的系统
US20110161818A1 (en) * 2009-12-29 2011-06-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hapter utilization in video player ui
KR101009973B1 (ko) 2010-04-07 2011-01-21 김덕훈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장치
US9363579B2 (en) * 2010-12-22 2016-06-07 Google Inc. Video player with assisted seek
US20120297009A1 (en) * 2011-05-18 2012-11-22 Oversi Networks Ltd. Method and system for cahing in mobile ran
WO2013010177A2 (en) * 2011-07-14 2013-01-17 Surfari Inc. Online groups interacting around common content
US8806519B2 (en) * 2011-10-31 2014-08-12 Google Inc. Method to evaluate the geographic popularity of geographically located user-generated content i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0971A (ko) * 2016-04-22 2017-11-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작위 시청 영역 선택을 고려한 효율적인 비디오 페이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95669A1 (en) 2014-04-03
WO2014051371A1 (en) 2014-04-03
CN104662836A (zh) 2015-05-27
US10165027B2 (en) 2018-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280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973806B2 (en) Me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playback of video
RU2577468C2 (ru) Способ совмест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цифрового медиаконтента (варианты)
US95037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audio content while navigating through video streams
US9473548B1 (en) Latency reduction in streamed content consumption
KR101919475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BR112013004857B1 (pt) Método implementado por computador e sistema para controlar, usando um dispositivo móvel, apresentação de conteúdo de mídia realizado por um cliente de mídia, e método implementado por computador para apresentar conteúdo de mídia a partir de um cliente de mídia em um dispositivo de exibição
US20140189735A1 (en) Streaming media buffer points reflecting user behavior and interests
US91375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tructional video navigation and note taking
US20090317064A1 (en) Playback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CN101854508B (zh) 反向回放编码的多媒体内容的方法和装置
CN104349221B (zh) 进行流分发的通信设备、信息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JP6149292B2 (ja) ストリーミングビデオの自動再生のための挿入ポイント
KR20140042263A (ko)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버퍼링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50268808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ulti-Speed Playing
JP2008311795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配信サーバ、受信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3485972A (zh) 一种多媒体共享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JP2009065451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JP2013214800A (ja) ストリーミングメディア再生装置、ストリーミングメディア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244772A1 (en) Fast rendering of content using a mobile user device
KR20150121459A (ko)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클라이언트 장치와 그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2175478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メタデータ生成方法
US20090125836A1 (en) Image output device
WO2012068979A1 (zh) 一种实现手机多媒体节目预览的方法及装置
JP201413130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