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1985A - 휴대단말기의 분리화면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분리화면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985A
KR20140041985A KR1020120106802A KR20120106802A KR20140041985A KR 20140041985 A KR20140041985 A KR 20140041985A KR 1020120106802 A KR1020120106802 A KR 1020120106802A KR 20120106802 A KR20120106802 A KR 20120106802A KR 20140041985 A KR20140041985 A KR 20140041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splay
application
split screen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9014B1 (ko
Inventor
김영리
한봉희
윤성진
이유진
박원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6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014B1/ko
Priority to US14/026,422 priority patent/US20140089831A1/en
Priority to EP13185693.2A priority patent/EP2711821B1/en
Priority to CN201310450934.0A priority patent/CN103677514A/zh
Publication of KR20140041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985A/ko
Priority to US16/138,305 priority patent/US2019002598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Abstract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부의 분할된 표시영역에 대응시켜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분할화면에서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확장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하고 선택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축소하여 보조화면으로 표시하는 화면변경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분리화면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LIT VIEW I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본 발명은 Portable Device의 Multi-window 환경에 속하며, 특히 Screen 내 1/N Split으로 정렬된 App 영역을 자유롭고 손쉽게 조절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통신 및 멀티미디어 등의 다양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두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이때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방법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이외의 어플리케이션들은 백그라운드 레이어(background layer)로 처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백그라운드로 처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복잡한 키 또는 터치 인터렉션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현재의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부도 점점 커지는 추세이다. 이런 경우 표시부는 표시부에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화면들을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화면을 분할하여 표시되며, 고정된 화면 크기를 가진다. 즉, 종래의 화면 분할 표시 방법은 고정된 레이아웃(layout)으로 제공되어 App간 영역 조절이 제공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며, 분할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부의 분할된 표시영역에 대응시켜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화면에서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확장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하고 선택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축소하여 보조화면으로 표시하는 화면변경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분할된 표시영역에 대응시켜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분할화면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인터렉션을 발생하는 입력부와, 상기 분할화면에서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확장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하고 선택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축소하여 보조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단말기의 멀티 윈도우(Multi window) 환경에서 복수의 분할 화면들(1/N Split window)로 정렬된 App들의 영역을 한 번의 조작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Layout으로 변경되도록 조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조작에 대한 부담감과 번거로움을 줄이고 App 영역의 자유로운 조절로 다양한 App 사용 형태를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분할화면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레이어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주화면의 크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분할화면을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3에서 분할화면을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a - 도 5c는 분할화면을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3에서 화면 변경 요구에 따라 화면을 변경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a - 도 7c는 도 6에서 설정된 크기로 선택된 app의 주화면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 도 8d는 선택 app의 주화면 크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분할 화면으로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분할 화면이 가능한 단말에서 화면을 분할하여 사용 중 한번의 조작으로 경계선과 인접한 화면 영역 조절이 동시에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할 화면은 2개 이상의 화면이 일부 겹치게 오버레이(overlay)되거나 동일 레이어(layer)상에 존재하며, 상기 분할 화면은 연관된 실행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할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주화면과 보조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주화면의 선택은 터치 인터렉션 또는 화면의 경계선을 이동시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화면(main screen)은 사용자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하는 화면이며, 이때 선택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이하 보조화면(sub screen)이라 칭함)은 어플리케이션을 구분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보조화면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분할화면(split view)은 하나의 레이어에 복수(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분할되어 표시되는 화면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분할화면은 하나의 주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보조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주화면은 사용자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이고, 보조화면은 상기 주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이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또는 디폴트로 설정(제조사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된 화면이 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인터렉션이라는 용어는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에서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손(가락) 터치 및 펜 터치 입력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플리케이션은 app와 혼용되어 사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MP3단말기, 타블렛, 컴퓨터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부120은 기지국 또는 다른 장치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20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ter) 및 전력 증폭하는 송신부와,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주파수를 하강변환(frequency down converter)하는 수신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은 변조부 및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며, 복조부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한다. 이런 경우, 상기 변복조부는 LTE, WCDMA, GSM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WIFI, WIBRO 등이 될 수 있고, NFC, 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부120이 LTE, WIFI, bluetooh 통신부들을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제어부10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분할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분할 화면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사용 중에 경계선과 인접한 화면 영역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분할화면의 크기 제어시 2개 이상의 화면이 일부 겹치게 오버레이되거나 동일 레이어상에 존재하도록 제어한다.
저장부110은 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테이블들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13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30은 LCD 또는 OLED가 될 수 있다. 제1입력부140은 정정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으로 구현할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이하 손가락 터치라고 가정한다)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제2입력부 150은 EMR센서 패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펜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상기 제1입력부140 및/또는 제2입력부150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분할화면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인터렉션 또는 명령을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30, 터치패널140 및 ERM패널150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복수(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분할화면(split view)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레이어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주화면의 크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표시부130에 1/N Split 로 정렬되어 표시되는 App들의 분할화면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제1입력부140 및/또는 제2입력부150의 한 번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Layout을 조절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도 2의 210과 같이 N개 App(여기서는 2개의 app으로 가정하고 있음)을 Stack 형태의 Overlay로 제공되는 상태에서 상하(혹은 좌우) 화면으로 표시되는 분할화면에 위치한 App을 선택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app들 중에서 특정 app 표시영역을 Tap하면, 도 2의 220과 같이 탭된 app 표시영역을 주화면223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210과 같이 N개 App을 하나의 Layer에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상태에서 233과 같은 App 표시영역 간 경계 위치에서 235와 같이 원하는 방향으로 drag & drop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되는 분할화면을 드래그 방향으로 확장하여 선택된 app의 화면을 주화면으로 확장한다. 이때 223과 같은 보조화면은 Layout 조절 시 최소 조절 영역으로 고정하여 설정하거나 또는 최소 영역보다 더 작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소 조절영역은 보조화면으로 표시되는 App을 사용할 수 있는 최소 영역까지는 App 화면 형태를 가지는 영역을 의미하며, 최소 영역보다 더 작아질 경우에는 아이콘, Minimize 형태로 전환시켜, 작은 영역에서도 App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분할화면을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는 N개 App들을 Stack 형태의 Overlay로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 또는 제어부100은 분할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app들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화면으로 선택하기 위한 app들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3단계에서 선택 또는 설정된 복수의 app들을 상기 표시부130에 하나의 레이어에 분할화면으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분할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app들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실행되는 app의 app 전환타스크 정보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app들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할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각 app들을 분할된 해당 위치의 화면에 표시하면서 분할화면 서비스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면 변경을 요구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9단계에서 선택된 app의 분할화면을 설정된 크기로 확장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하는 동시에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다른 app의 화면을 축소하여 보조화면으로 표시한다. 이때 사이 화면 변경 선택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특정 app 표시영역에 설정된 형태의 터치 인터렉션(이하 multi finger touch tap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을 발생하거나 또는 분할화면의 경계를 이동(이하 drag & drop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시키는 터치 인터렉션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app은 주화면으로 확장되어 표시되며, 동일 레이어에 표시되던 분할화면들은 보조화면으로 축소되어 표시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321단계에서 상기와 같이 주화면 및 보조화면으로 조절되어 분할화면 서비스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보조화면으로 표시되는 app을 주화면의 app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보조화면 표시 영역에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을 발생하거나 또는 경계면을 이동시키는 터치 인터렉션을 발생하여 화면 전환 요구 명령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을 통해 화면 전환 요구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5단계에서 선택된 보조화면을 주화면으로 변경하고 주화면으로 표시되는 app의 표시 영역을 보조화면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화면전환 요구시 선택된 보조화면의 app을 주화면으로 표시하고, 분할화면의 나머지 다른 app들은 보조화면으로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321단계로 되돌아가 분할화면 서비스를 반복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종료 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2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9단계에서 종료 명령에 대응되는 종료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종료명령은 주화면 및 보조화면으로 표시되는 앱의 표시 영역을 동일한 크기의 표시영역을 가지는 분할화면으로 변경하는 명령어, 또는 분할화면 표시 기능을 해제하는 명령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00은 N개 App들을 하나의 레이어에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며, 이때 분할화면은 사용자가 Package로 사용할 App들(2개 이상)을 선택하거나, App에서 App을 호출하는 경우 자동으로 Package App이 설정하거나, 제공자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Package로 사용할 App들(2개 이상)이 선택되어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app들이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하(혹은 좌우)에 위치한 원하는 App 표시 영역을 선택하면(예를들 Tap), 상기 제어부100은 선택된 App이 표시되는 영역을 표시부130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레이아웃을 조절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주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app의 선택은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분할화면의 app 표시영역을 선택(예를들면 Multi-finger(2개 이상)로 Double tap)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시부130의 분할화면을 제어하여 선택된 App의 크기가 커지고 다른 App들은 작아지도록 Layout이 조절하며, 이전 상태로 원상복귀 하려면, 동일 App을 다시 선택(Double tap)하면 된다. 두 번째로 사용자가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App간 경계를 선택(예를들면 Hold 하여 Press)한 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예를들면 Drag)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부130에서 이동(Drag) 방향으로 App의 표시영역 크기를 확장하고, 원래 그 자리에 위치한 App의 표시영역은 작아지도록 레이아웃을 조절한다. 이때 분할화면의 경계면과 인접하지 않은 영역은 고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3에서 분할화면을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5a - 도 5c는 분할화면을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도 5a - 도 5c는 1/2 Split 의 실시 예로 도면이 구성되어 있으나, 1/N Split에서도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도 4 - 도 5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의 app들 중에서 원하는 app들을 선택하여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app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먼저 app들을 모아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분할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app들을 모으기 위한 터치 인터렉션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app 모음 터치 인터렉션이 pinch close라 가정한다. 따라서 도 5a의 511과 같이 핀치 클로즈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제1입력부140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00은 4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3단계에서 513과 같이 복수의 app들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도 5a의 513과 같이 표시되는 app들은 현재 실행되는 app(running application), 최근에 실행된 app(recent application) 또는 전체 앱(예를들면 home 화면에 표시되는 appl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모음 app들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app들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15단계에서 선택된 app들을 상기 표시부130에 515와 같이 분할화면으로 표시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앱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517과 같이 주화면 및 보조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두번째로 특정 app들은 다른 app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app 전환타스크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어 채팅 app(예를들면 chat on application)의 경우 채팅 중에 사진 등과 같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app(예를들면 gallery applcation)과 링크될 수 있으며, 이메일 app의 경우 하이퍼링크 정보에 의해 인터넷 app과 링크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b의 531과 같이 app 전환타스크 정보를 가지는 app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421단계에서 app 전환타스크 정보를 가지는 app임을 감지하고, 423단계에서 app 전환타스크 정보의 app을 호출한 후, 425단계에서 도 5b의 533과 같이 선택된 app과 app 전환타스크 정보의 app을 표시부130에 분할화면으로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 5b의 535-539와 같이 선택된 app의 표시영역을 확장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는 주화면으로 표시되는 app과 보조화면으로 표시되는 app의 화면을 전환(변경)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제조사 또는 사용자는 특정 app들을 설정하여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분할화면 표시로 설정되는 app들의 정보는 상기 제어부10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app의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431단계에서 분할화면 표시 app의 선택임을 감지하고, 433단계에서 해당 app과 대응되어 설정된 app들을 상기 화면에 분할화면으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 예는 상기 도 5b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app들은 텍스트를 표시하는 app(예를들면 ebook application 등)과, 사전 app, 지도 app, web app, note app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ote app은 펜 또는 키패드 등을 이용하여 메모 또는 노트 등을 수행할 수 있는 app으로써, 텍스트, 스케듈 및/또는 멀티미디어 등의 app을 수행하는 중에 필요한 정보를 노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3에서 화면 변경 요구에 따라 화면을 변경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7a - 도 7c는 도 6에서 설정된 크기로 선택된 app의 주화면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a - 도 8d는 선택 app의 주화면 크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6 - 도 8d를 참조하면, 화면 변경 요구시 상기 제어부100은 61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화면 변경 터치 인터렉션을 분석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인터렉션은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탭 인터렉션과 드래그 인터렉션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탭 인터렉션은 멀티 핑거로 주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app 영역을 더블 탭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멀티핑거에 의핸 더블탭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6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7단계에서 선택된 app의 화면 크기를 설정된 크기로 확장하고 이에 대응되는 크기로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다른 app들의 표시영역을 축소한다.
이때 상기 도 617단계에서 분할화면의 형태에서 도 7a - 도 7c와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a는 2개의 분할화면에 하나의 앱이 표시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7a에서 711과 app이 표시되는 영역 E 영역(empty area)과 app 표시된 A 영역으로 구성되고, A 영역에서 더블 탭이 발생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617단계에서 도 7a의 713과 같이 app을 표시하지 E 영역까지 A app의 주화면으로 표시한다. 도 7b는 2개의 분할화면에 두 개의 app의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7b의 731에서 A app의 표시영역에서 더블탭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733과 같이 A app의 표시영역을 설정된 크기로 확장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하고 이에 대응되는 크기로 B app의 화면영영역을 축소하여 보조화면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733과 같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조화면의 B app 표시영역을 더블탭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화면을 전환하여 735와 같이 B app을 설정된 크기로 확장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하고 A app을 보조화면으로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분할화면은 3개 이상의 app들을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c는 4개의 app들을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익 도 7c의 751과 같이 4개 app들을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상태에서 A app 표시영역에서 더블탭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753과 같이 A app의 표시영역을 설정된 크기로 확장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하고, 나머지 B - D app들을 설정된 크기의 보조화면 영역에 나누어 표시한다. 이때 보조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app들 중에서 특정 app(여기서는 B app을 가정하고 있음) 표시 영역을 더블탭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617단계에서 755와 같이 선택된 app(여기서는 B app을 가정하고 있음)을 주화면으로 확장하여 표시하고 주화면으로 표시되던 app(여기서는 A app이 될 수 있음)을 보조화면 영역에 표시한다.
그러나 화면 경계 영역에서 드래그로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6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5단계에서 드래그 방향으로 상기 드래그 동작이 정지되는 위치까지 해당 app의 주화면 크기를 확장한다.
상기 615단계에서 선택 app의 화면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은 도 8a - 도 8d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8a는 분할화면의 경계면에서 드래그를 상측 방향으로 수행할 때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b는 분할화면의 경계면에서 드래그를 하측 방향으로 수행할 때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8a의 811과 같이 분할화면의 경계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615단계에서 813과 같이 상측 방향으로 하측에 위치된 app의 표시영역을 확장하고, 드래그가 정지되면 해당 위치에서 보조화면의 크기가 결정된다. 이때 사용자가 표시부130의 상측 끝까지 드래그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도 8a의 815와 같이 표시부130의 화면 전체를 선택된 app의 표시영역으로 설정한다. 도 8b의 831 - 835는 하측 방향으로 드래그시의 동작으로 상기 도 8a와 반대로 동작된다. 도 8c 및 도 8d는 3개의 분할화면에 app들을 표시하는 예로써, 경계면에서 드래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드래그 방향으로 해당 app의 표시영역을 확장하고, 이에 대응되는 크기로 분할화면의 다른 앱들의 표시 영역을 축소한다. 이때 분할 화면의 app 경계영역은 분할화면이 많으면 많을수록 많아지며, 따라서 경계영역의 가로 영역에서 분할화면의 상하 드래그에 의해 세로 화면의 크기를 확장할 수 있으며, 세로 영역에서 분할화면의 좌우 드래그에 의해 분할화면의 가로 크기를 확장할 수 있다.
상기 도 5a - 도 5b, 도 7a - 도 7c 및 도 8a - 도 8b는 세로 분할화면(portrait split view)인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가로 분할화면(landscape split view)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주화면은 좌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드래그 및 드롭에 의한 확장의 경우에도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된다. 또한 상기 도 5a - 도 5b, 도 7a - 도 7c 및 도 8a - 도 8b에서 분할화면은 2개인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3개 이상의 분할화면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복수의 app들을 표시하는 분할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분할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Running app 또는 모든 App 중 2개 이상의 app들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app을 세로 분할화면으로 표시한다고 가정하면, A app이 실행되면서 B app이 표시부130의 하단에 제공되며, A app과 B app을 전환 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런 동작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App에서 App을 호출한 경우, 예를들면 A app 사용 중에 A app에서 다른 App으로의 전환이 필요하여 동작을 수행했을 경우, 한 화면 내 상/하단으로 제공하여 전환하며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타스크에 의해 전환되는 필요한 경우, 즉, app 전환 타스크 정보는 Insert/Attach/Link/Preview/Browse 등이 될 수 있다. 예를들면, Email app 및 internet app간 Link로 전환이 필요한 경우, 또는 사용자/제조사에 의해 미리 설정한 경우, 2개 App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함께 사용시 시너지가 커지는 2개의 App들 간 한 화면 내 상/하단으로 제공하여 전환하며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할화면은 상기한 바와 같이 N(N=2,3,4,...)개의 App을 하나의 Layer 상에 표시하며, 이때 특정 app을 선택하여 상대적으로 큰 표시영역을 가지는 주화면으로 표시하고 동일 레이어 상의 다른 app은 작은 표시영역을 가지는 보조화면으로 표시한다. 이때 주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app을 선택하는 방법은 app 표시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인터렉션(예를들면 Multi-finger(2개 이상)로 Double tap)을 하거나 또는 분할화면의 경계에서 Hold & Press 후 표시영역을 확장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드래그 및 드롭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부의 분할된 표시영역에 대응시켜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분할화면에서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확장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하고 선택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축소하여 보조화면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화면을 변경하는 서비스하는 중에 상기 보조화면을 선택하면, 보조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을 주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주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을 보조화면으로 전환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상기 화면변경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두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방법을 살펴보면, 제어부100은 제1입력부140 및/또는 제2입력부150을 통해 상기 분할화면의 경계면에서 드래그 및 드롭의 터치 인터렉션 감지시 상기 드래그의 방향으로 드롭 위치까지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을 확장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하고, 해당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축소하여 보조화면으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화면이 세로 분할화면 표시모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수행되는 드래그방향을 분석하여 주화면을 하측 또는 상측으로 확장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화면이 가로 분할화면 표시모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행되는 드래그방향을 분석하여 주화면을 우측 또는 좌측으로 확장한다. 이때 상기 터치인터렉션은 분할화면의 경계면에서 멀티터치에 의한 드래그가 될 수 있다.
두 번째의 화면변경 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100은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에서 상기 입력부140 및/또는 150을 통해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 감지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고정된 크기의 주화면으로 확장하여 표시하고, 다른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을 최소 표시영역의 크기로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터치 인터렉션은 멀티 핑거 더블 탭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부의 분할된 표시영역에 대응시켜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화면에서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확장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하고 선택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축소하여 보조화면으로 표시하는 화면변경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화면 선택시 보조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을 주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주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을 보조화면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변경과정은
    상기 분할화면의 경계면에서 드래그 및 드롭의 터치 인터렉션 감지시 상기 드래그의 방향으로 드롭 위치까지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을 확장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하고, 해당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축소하여 보조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변경과정은 세로 분할화면 표시시 드래그방향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수행되어 주화면을 하측 또는 상측으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변경과정은 가로 분할화면 표시시 드래그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수행되어 주화면을 우측 또는 좌측으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터치인터렉션은 분할화면의 경계면에서 멀티터치에 의한 드래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변경과정은,
    상기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에서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 감지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고정된 크기의 주화면으로 확장하여 표시하고, 다른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을 최소 표시영역의 크기로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터렉션은 멀티 핑거 더블 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은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 감지시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수에 따른 분할화면을 표시부의 동일 레이어에 설정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러닝 어플리케이션, 최근 실행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든 어플리케이션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인터렉션은 핀치 클로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는 타스크를 가지면 표시부의 동일 레이어에 분할화면을 설정하여 전환할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스크는 인서트, 어태치, 링크, 프리뷰, 브라우저들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분할된 표시영역에 대응시켜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분할화면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인터렉션을 발생하는 입력부와,
    상기 분할화면에서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확장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하고 선택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축소하여 보조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보조화면 선택시 상기 표시부에 보조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을 주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주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을 보조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화면의 경계면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드래그 및 드롭의 터치 인터렉션 감지시 상기 드래그의 방향으로 드롭 위치까지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을 확장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하고, 해당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축소하여 보조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로 분할화면 표시시 드래그방향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수행되어 주화면을 하측 또는 상측으로 확장하며, 가로 분할화면 표시시 드래그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수행되어 주화면을 우측 또는 좌측으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사익 터치 인터렉션은 멀티핑거 드래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에서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 감지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고정된 크기의 주화면으로 확장하여 표시하고, 다른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을 최소 표시영역의 크기로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터렉션은 멀티 핑거 더블 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20106802A 2012-09-25 2012-09-25 휴대단말기의 분리화면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069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802A KR102069014B1 (ko) 2012-09-25 2012-09-25 휴대단말기의 분리화면 제어장치 및 방법
US14/026,422 US20140089831A1 (en) 2012-09-25 2013-09-1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EP13185693.2A EP2711821B1 (en) 2012-09-25 2013-09-24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CN201310450934.0A CN103677514A (zh) 2012-09-25 2013-09-25 用于在便携式装置中控制分割视图的设备和方法
US16/138,305 US20190025989A1 (en) 2012-09-25 2018-09-2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802A KR102069014B1 (ko) 2012-09-25 2012-09-25 휴대단말기의 분리화면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985A true KR20140041985A (ko) 2014-04-07
KR102069014B1 KR102069014B1 (ko) 2020-02-12

Family

ID=4930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802A KR102069014B1 (ko) 2012-09-25 2012-09-25 휴대단말기의 분리화면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140089831A1 (ko)
EP (1) EP2711821B1 (ko)
KR (1) KR102069014B1 (ko)
CN (1) CN1036775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804A (ko) * 2018-07-17 2020-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분할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646B1 (ko) * 2012-09-25 2020-04-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의 분할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US11294529B2 (en) * 2013-04-15 2022-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window divider control for window layout management
JP6132644B2 (ja) * 2013-04-24 2017-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098435B2 (ja) * 2013-08-22 2017-03-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記憶媒体、および制御方法
US9841944B2 (en) * 2013-10-28 2017-12-12 Lenovo (Beijing)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US9596319B2 (en) * 2013-11-13 2017-03-14 T1V, Inc. Simultaneous input system for web browsers and other applications
CN104834456A (zh) * 2014-02-12 2015-08-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触控界面多任务切换方法、系统及电子装置
EP2953005A1 (de) * 2014-06-03 2015-12-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wend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m Aufrufen eines Editiermodus eines Homescreens
KR102218041B1 (ko) * 2014-06-17 2021-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4317504B (zh) * 2014-09-29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和装置
CN104331246A (zh) * 2014-11-19 2015-02-04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在终端中进行分屏显示的设备和方法
KR102444920B1 (ko) * 2014-11-20 2022-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윈도우의 크기를 변경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864410B2 (en) 2014-12-29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08645B1 (ko) * 2014-12-29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5988701B (zh) * 2015-02-16 2019-06-2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显示控制方法及智能穿戴设备
CN104808959B (zh) * 2015-04-29 2020-07-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60139320A (ko) * 2015-05-27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23184B1 (ko) * 2015-05-29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011181A (ko) * 2015-07-21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확장 디스플레이와 지문 인식을 이용한 결제 방법
US10222979B2 (en) * 2015-12-04 2019-03-05 Datalogic Usa, Inc. Size adjustable soft activation trigger for touch displays on electronic device
CN106020592A (zh) * 2016-05-09 2016-10-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分屏显示方法及装置
US9870623B2 (en) * 2016-05-14 2018-01-16 Google Llc Segmenting content displayed on a computing device into regions based on pixels of a screenshot image that captures the content
CN107608496A (zh) * 2016-07-11 2018-01-19 上海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屏幕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6802751A (zh) * 2016-11-30 2017-06-0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和屏幕显示方法
KR20180067855A (ko) * 2016-12-13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9003337A (ja) * 2017-06-13 2019-01-1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D868810S1 (en) * 2017-12-04 2019-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8170348A (zh) * 2017-12-27 2018-06-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缩略图预览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838614B2 (en) * 2018-04-03 2020-11-17 Palantir Technologies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
US20200249823A1 (en) * 2019-01-31 2020-08-06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of reordering apps on a user interface
WO2020170461A1 (ja) * 2019-02-22 2020-08-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10996839B2 (en) * 2019-05-20 2021-05-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consistent interaction models in communication sessions
CN110830645B (zh) * 2019-09-24 202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操作方法和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865744B (zh) * 2019-09-30 2021-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分屏显示方法与电子设备
US11231833B2 (en) * 2020-01-10 2022-01-25 Lenovo (Singapore) Pte. Ltd. Prioritizing information when app display size is reduced
CN115220626A (zh) * 2020-07-16 2022-10-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000407A (zh) * 2020-08-13 2020-11-27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界面交互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20220187958A1 (en) * 2020-12-15 2022-06-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ed on-screen windows arrangements
US11695803B2 (en) * 2021-01-29 2023-07-04 Splunk Inc. Extension framework for an information technology and security operations application
CN114860123A (zh) * 2022-03-29 2022-08-05 携程旅游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页面中列表的显示控制方法、系统、介质及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206A (ko) * 2007-03-15 200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출력 제어장치 및 입출력 제어방법과 그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KR20100032660A (ko) * 2008-09-18 2010-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00107377A (ko) * 2009-03-25 201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212B1 (ko) * 2005-12-09 2007-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분할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단말기 및 그 화면표시 방법
US8842074B2 (en) * 2006-09-06 2014-09-23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similar operations for different gestures
KR100831721B1 (ko) * 2006-12-29 2008-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08250899A (ja) * 2007-03-30 2008-10-16 Ricoh Co Ltd 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5241278B2 (ja) * 2008-03-12 2013-07-1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および処理実行方法
US8477139B2 (en) * 2008-06-09 2013-07-0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three-dimensional virtual objects
US8600446B2 (en) * 2008-09-26 2013-12-03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interface with dual windows
US8631355B2 (en) * 2010-01-08 2014-01-14 Microsoft Corporation Assigning gesture dictionaries
US8494723B2 (en) * 2010-02-05 2013-07-23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display and a vehicle display system
KR101684704B1 (ko) * 2010-02-12 201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장치
WO2011146141A1 (en) * 2010-05-21 2011-11-24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Personal wireless navigation system
US8896633B2 (en) * 2010-08-17 2014-11-25 Apple Inc. Adjusting a display size of text
JP6457715B2 (ja) * 2010-11-18 2019-01-23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画面外の目に見えるオブジェクトの表面化
US20120144331A1 (en) * 2010-12-03 2012-06-07 Ari Tolonen Method for Arranging Application Windows on a Display
KR101788051B1 (ko) * 2011-01-04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42546B2 (en) * 2011-01-07 2018-08-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to present multiple frames on a touch screen
US8605873B2 (en) * 2011-06-28 2013-12-10 Lifesize Communications, Inc. Accessing settings of a videoconference using touch-based gestures
KR101873741B1 (ko) * 2011-10-26 201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032292B2 (en) * 2012-01-19 2015-05-12 Blackberry Limited Simultaneous display of multiple maximized applications on touch screen electronic devices
US20130222329A1 (en) * 2012-02-29 2013-08-29 Lars-Johan Olof LARSBY Graphical user interface interaction on a touch-sensitive device
US20140036639A1 (en) * 2012-08-02 2014-02-06 Cozi Group Inc. Family calenda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206A (ko) * 2007-03-15 200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출력 제어장치 및 입출력 제어방법과 그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KR20100032660A (ko) * 2008-09-18 2010-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00107377A (ko) * 2009-03-25 201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804A (ko) * 2018-07-17 2020-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분할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1821A1 (en) 2014-03-26
CN103677514A (zh) 2014-03-26
KR102069014B1 (ko) 2020-02-12
US20190025989A1 (en) 2019-01-24
US20140089831A1 (en) 2014-03-27
EP2711821B1 (en)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014B1 (ko) 휴대단말기의 분리화면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099646B1 (ko) 휴대단말의 분할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2044829B1 (ko)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079174B1 (ko) 휴대단말기의 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US20130326421A1 (en) Method for displaying item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JP5871965B2 (ja) 電子装置のスクロール装置及びその方法
KR102383786B1 (ko)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514919B1 (ko)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236053B1 (ko)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JP2013073366A (ja) 情報処理装置
KR20130058593A (ko) 휴대단말기의 오브젝트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40041992A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