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1334A -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 - Google Patents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334A
KR20140041334A KR1020130098339A KR20130098339A KR20140041334A KR 20140041334 A KR20140041334 A KR 20140041334A KR 1020130098339 A KR1020130098339 A KR 1020130098339A KR 20130098339 A KR20130098339 A KR 20130098339A KR 20140041334 A KR20140041334 A KR 20140041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ayer
base material
molded object
b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6482B1 (ko
Inventor
준지 하시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1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Abstract

(과제)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변형이나 휘어짐이 잘 발생하지 않고, 또한 내환경성이 우수한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표면 패널 (1) 은, 기재 필름 (11) 의 외표면 (11a) 에 외측 접합층 (14) 을 개재하여 외측 성형체 (12) 가 접합되고, 내표면 (11b) 에 내측 접속층 (15) 을 개재하여 내측 성형체 (13) 가 접합되어 있다. 기재 필름 (11) 의 내표면 (11b) 에 검지 전극층 (15) 이 형성되고, 외측 접합층 (14) 의 표면에 가식층 (23)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널 표면의 전체가 하드 코트층인 표면 보호층 (28) 으로 덮여 있다. 기재 필름 (11) 을 중심으로 외측과 내측에서 적층 구조가 대칭으로 되기 때문에, 변형이나 휘어짐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 기재 필름 (11) 의 접합부에 수분 등이 침투하기 어렵다.

Description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SURFACE PANEL EQUIPPED WITH DETECTING FUNCTION}
본 발명은, 휴대 기기나 그 밖의 전자 기기의 케이스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표면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광 영역을 둘러싸는 가식 (加飾) 층과 상기 투광 영역에 형성된 검지 전극층을 갖는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기기나 그 밖의 전자 기기의 케이스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표면 패널은, 중앙부에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화면을 투시할 수 있음과 함께, 손가락에 의한 터치 조작이 실시되는 투광 영역이 형성되고, 이 투광 영역의 주위에 프레임상으로 착색된 가식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의 도 6 이하에, 투명 터치 패널을 구비한 터치 패널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이 터치 패널 모듈은, 인젝션 성형에 의해 투명 패널이 성형된다. 투명 패널에 패임부가 형성되고, 이 패임부의 내부에 투명 터치 패널이 삽입되어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투명 터치 패널을 유지한 투명 패널이 2 차 성형형 (成形型)의 내부에 유지되고, IMD (in-mold decoration) 인젝션 성형에 의해 투명 터치 패널을 유지하는 하우징이 성형된다.
특허문헌 2 에는, 센서와 커버를 갖는 디바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도 8 에 나타나 있는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와 커버가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나 있는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가 탑 커버와 보텀 커버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미국 특허 공개 2008/0117186 A1 미국 특허 공개 2009/0073130 A1
특허문헌 1 의 도 6 이하에 개시되어 있는 터치 패널 모듈은, 투명 패널에 유지된 투명 터치 패널의 배선층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착색된 하우징의 일부로 투명 터치 패널의 전방이 덮인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터치 패널 모듈의 구조가 복잡하고 두께 치수가 필요 이상으로 커진다.
특허문헌 2 의 도 8 에 기재되어 있는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와 커버의 2 층이 적층된 구조이기 때문에, 이 2 개 층의 접착시의 응력의 차이나 열응력의 차이 등에 따라 변형이나 휘어짐이 잘 발생한다.
특허문헌 2 의 도 9 에 기재되어 있는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가 탑 커버와 보텀 커버의 사이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도 8 에 기재된 것에 비하여 변형이나 휘어짐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에는, 터치 센서의 배선 등을 감추기 위한 가식부를 갖는 필름을 표면측에 적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필름을 적층하여 접착함으로써, 접착시의 응력의 차이나 열응력의 차이 등에 따라 변형이나 휘어짐이 잘 발생한다.
또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디바이스는, 그 단면에 터치 센서와 커버의 접합부가 나타나 있기 때문에, 터치 센서의 전극부에 수분이나 부식 가스 등이 침투하기 쉬워져, 내환경성이 떨어지고, 수명이 저하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변형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내환경성이 우수한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투광 영역과 상기 투광 영역을 둘러싸는 가식 영역을 갖는 표면 패널에 있어서,
외표면 및 내표면을 갖는 투광성의 기재와,
상기 기재의 상기 외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식 영역을 형성하는 가식층, 및 상기 내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투광 영역 내에 위치하는 투광성의 검지 전극층과,
각각이 투광성의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기재의 상기 외표면을 덮는 외측 성형체, 및 상기 기재의 상기 내표면을 덮는 내측 성형체를 갖고,
상기 외측 성형체의 표면과 상기 내측 성형체의 표면의 쌍방이 표면 보호층으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은, 가식층과 검지 전극층을 갖는 기재가 외측 성형체와 내측 성형체 사이에 개재된 구조이다. 또한, 외측 성형체의 표면에 하드 코트층인 표면 보호층이 형성되어 외측 성형체의 표면이 흠집나기 어렵고 손가락 등을 직접 접촉하여 조작하기 쉽게 되어 있는데, 이 표면 보호층은 외측 성형체의 표면과 내측 성형체의 표면의 쌍방에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기재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외측과 내측에서 기본적인 적층 구조가 대칭으로 되고, 각 층의 적층 공정에 있어서의 응력 차이나 열변화에 따른 응력의 차이가 외측과 내측에서 밸런스를 잡기 쉬워져, 패널에 변형이나 휘어짐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외측 성형체와 내측 성형체는, 동일한 재료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두께를 서로 상이하게 하거나 또는 재질을 상이하게 하여, 기재를 기준으로 하는 외측과 내측에서 응력 차이를 더욱 작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기재와 외측 성형체 및 기재와 내측 성형체는, 몰드 공정에서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미리 성형된 외측 성형체 그리고 내측 성형체와 기재가 투광성의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착된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외측 성형체의 단부 (端部) 와 상기 내측 성형체의 단부 그리고 상기 기재의 단부를 갖는 상기 패널 단면 (端面) 이, 상기 표면 보호층으로 덮여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의 일부가 상기 패널 단면으로부터 외부에 연장되어 있는 것에서는, 상기 기재가 연장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패널 단면이 상기 표면 보호층으로 덮여 있는 구조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패널 단면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층의 일부가, 상기 기재와 상기 외측 성형체의 간극 및 상기 기재와 상기 내측 성형체의 간극의 적어도 일방에 침투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패널 단면을 표면 보호층으로 덮음으로써, 패널 단면에 나타나 있는 기재와 외측 성형체의 간극이나, 기재와 내측 성형체의 간극에 수분이나 부식 가스가 침입하기 어려워져, 내환경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는 합성 수지 필름이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가 PET 필름이고, 상기 외측 성형체와 상기 내측 성형체가 아크릴계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기재와 상기 외측 성형체의 경계부와, 상기 기재와 상기 내측 성형체의 경계부의 쌍방에 접합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가식층이, 상기 접합층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패널은, 기재를 중심으로 외측과 표측에서 적층 구조가 거의 대칭이 되기 때문에, 변형이나 휘어짐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 외측 성형체의 표면은 표면 보호층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흠집이 나기 어렵고, 손가락 등으로 조작하기 쉽다.
또한, 패널 단면에 표면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표면을 수분이나 부식 가스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어, 내환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표면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표면 패널의 II-II 선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표면 패널의 내표면에 형성된 검지 전극층과 배선층의 패턴을 투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 4(B) 는 표면 패널의 적층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표면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표면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과 도 2 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의 표면 패널 (1) 은,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 등의 휴대 기기 또는 전자 기기의 케이스의 일부로서 사용된다.
제 1 실시형태의 표면 패널 (1) 은, 평탄한 구조이며 평면 형상은 장방형상이다. 표면 패널 (1) 은, 휴대 기기 또는 전자 기기의 케이스 (2) 의 표면 (2a) 에 설치된다. 케이스 (2) 의 내부에는, 각종 전자 회로를 실장한 회로 기판과 함께 표시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이 표시 장치는, 컬러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등이다.
표면 패널 (1) 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광 영역 (3) 과, 상기 투광 영역 (3) 을 둘러싸는 가식 영역 (4) 을 갖고 있다. 표시 장치의 화면의 표시 내용은, 투광 영역 (3) 을 투과하여 외부에서 육안으로 볼 수 있다.
도 2 에, 표면 패널 (1) 의 적층 구조가 나타나 있다.
표면 패널 (1) 은, 기재 필름 (11) 을 갖고 있다. 기재 필름 (11) 은 투광성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투광성이란, 표시 장치의 표시 내용을 투시할 수 있을 정도의 광 투과율을 갖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전체 광선 투과율이 80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다.
기재 필름 (11) 은, 터치 센서를 형성하는 데에 적합한 강도와 내열성을 갖는 합성 수지인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로 형성된다. 또는 COP (고리상 폴리올레핀) 등도 사용 가능하다.
기재 필름 (11) 은, 케이스 (2) 의 외측으로 향해져 있는 외표면 (11a) 과, 케이스 (2) 의 내부로 향해져 있는 내표면 (11b) 을 갖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필름 (11) 의 외표면 (11a) 에 외측 성형체 (12) 가 접합되고, 내표면 (11b) 에 내측 성형체 (13) 가 접합되어 있다.
외측 성형체 (12) 와 내측 성형체 (13) 는, 투광성의 아크릴계 등의 합성 수지 재료로서, 예를 들어 PMMA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로 형성되어 있다.
기재 필름 (11) 이 PET 또는 COP 로 형성되고, 외측 성형체 (12) 와 내측 성형체 (13) 가 PMMA 로 형성되는 재료의 조합에서는, 기재 필름 (11) 과 외측 성형체 (12) 그리고 내측 성형체 (13) 의 접합성이 양호하지 않다. 그 때문에, 표면 패널 (1) 에서는, 기재 필름 (11) 의 외표면 (11a) 과 외측 성형체 (12) 가 외측 접합층 (14) 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고, 내표면 (11b) 과 내측 성형체 (13) 가 내측 접합층 (15) 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다. 외측 접합층 (14) 과 내측 접합층 (15) 은, 투광성인 아크릴계의 수지층이다. 이 수지층은, 외표면 (11a) 과 내표면 (11b) 에 용융 수지가 도공되어, 열 경화나 자외선 경화 등에 의해 경화되어지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필름 (11) 의 내표면 (11b) 에 검지 전극층 (21) 과 복수의 배선층 (22)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서는, 기재 필름 (11) 의 내표면 (11b) 에 형성된 검지 전극층 (21) 과 배선층 (22) 이 외표면 (11a) 측에서 투시되어 나타나 있다.
검지 전극층 (21) 은, 표면 패널 (1) 의 투광 영역 (3) 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 전극층 (21) 은 우측 전극 (21a) 과 좌측 전극 (21b) 으로 구분되어 있다. 우측 전극 (21a) 과 좌측 전극 (21b) 은 각각 복수 형성되고, 표면 패널 (1) 의 길이 방향 (도 3 의 도시 상하 방향) 에 교대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검지 전극층 (21) 은 ITO (산화 인듐·주석) 로 형성되어 있다. 검지 전극층 (21) 은, PET 등의 기재 필름 (11) 의 내표면 (11b) 에 성막된 후에, 에칭에 의해 우측 전극 (21a) 과 좌측 전극 (21b) 으로 분리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층 (22) 은 각각이 우측 전극 (21a) 과 연속되는 우측 배선층 (22a) 과, 각각이 좌측 전극 (21b) 과 연속되는 좌측 배선층 (22b) 을 갖고 있다. 우측 배선층 (22a) 과 좌측 배선층 (22b) 은 가식 영역 (4) 의 내측을 통과하여 주회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배선층 (22a) 과 좌측 배선층 (22b) 은 가식 영역 (4) 의 상방 영역까지 연장되고, 각각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인출 배선층 (24) 으로 되어 있다.
상기 내측 접합층 (15) 은, 검지 전극층 (21) 과 배선층 (22) 을 덮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 과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필름 (11) 에는 그 상단으로부터 띠상으로 연속하는 배선대 (16)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출 배선층 (24) 이 배선대 (16) 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우측 배선층 (22a) 과 좌측 배선층 (22b) 그리고 인출 배선층 (24) 은, 바인더 수지에 저저항의 도전체가 포함된 유기 도전층으로, 예를 들어 은 페이스트, 구리 페이스트 혹은 카본 페이스트 등이다. 우측 배선층 (22a) 과 좌측 배선층 (22b) 그리고 인출 배선층 (24) 을 형성하고 있는 유기 도전층은, 검지 전극층 (21) 을 형성하고 있는 ITO 보다 유연성이 풍부하다. 즉, 동일한 하중에 대한 연신률이나 만곡률이 ITO 보다 높아진다.
우측 배선층 (22a) 과 좌측 배선층 (22b) 그리고 인출 배선층 (24) 의 형성 공정에서는, 기재 필름 (11) 의 내표면 (11b) 에 형성되어 있는 ITO 층 상에 유기 도전층이 성막되고, 에칭 공정에 의해 검지 전극층 (21) 과 우측 배선층 (22a) 과 좌측 배선층 (22b) 그리고 인출 배선층 (24) 의 패턴이 형성된다. 그 후에, 검지 전극층 (21) 의 표면의 유기 도전층이 에칭 공정에서 제거된다.
또는, 우측 배선층 (22a) 과 좌측 배선층 (22b) 그리고 인출 배선층 (24) 이 유기 도전층에 의해 인쇄 공정에서 형성되어도 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필름 (11) 의 외표면 (11a) 에서는, 상기 외측 접합층 (14) 의 표면에 가식층 (23) 이 형성되어 있다. 가식층 (23) 은 인쇄 공정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착색 도막이 다층으로 도포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1 과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식층 (23) 에 의해 투광 영역 (3) 을 둘러싸는 가식 영역 (4)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식 영역 (4) 의 일부에 로고 표시부 (30)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고 표시부 (30) 에서는, 기재 필름 (11) 의 내표면 (11b) 에 반사층 (31)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반사층 (31) 은, 상기 내표면 (11b) 에 금속 가루를 포함하는 도막을 인쇄에 의해 형성하고, 또는 금속층을 스퍼터하는 것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반사층 (31) 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유기 절연층 (32) 으로 덮여 있고, 이 부분에서는 상기 인출 배선층 (24) 이 유기 절연층 (32) 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로고 표시부 (30) 에서는, 가식층 (23) 의 일부에 투과부 (3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투과부 (33) 는, 가식층 (23) 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되고, 또는 다층으로 도포되는 착색 도막의 층 수를 부분적으로 삭감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투과부 (33) 는, 제품명이나 제조자명 혹은 형번 (型番) 등을 나타내는 문자나 기호 혹은 그 조합의 로고 패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고 표시부 (30) 에서는, 가식 영역 (4) 의 일부에 금속 색의 로고 패턴이 입체적인 표시로서 육안으로 볼 수 있게 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배선 패턴을 갖는 인출 배선층 (24) 은, 배선대 (16) 의 내표면 (16b) 을 따라 연장되고, 배선대 (16) 의 선부 (先部) 에 인출 배선층 (24) 의 각각의 배선 패턴에 개별적으로 도통하는 커넥터 전극 (25)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배선대 (16) 의 내표면 (16b) 에 형성되어 있는 인출 배선층 (24) 은 유기 절연층 (26) 으로 덮여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패널 (1) 은, 패널 외면 (1a) 에 있어서 외측 성형체 (12) 의 표면이 표면 보호층 (28) 으로 덮여 있고, 패널 내면 (1b) 에 있어서 내측 성형체 (13) 의 표면이 표면 보호층 (28) 으로 덮여 있다. 또한, 표면 패널 (1) 의 4 변의 패널 단면 (1c) 모두가 표면 보호층 (28) 으로 덮여 있다. 4 변의 패널 단면 (1c) 중 1 변으로부터 기재 필름 (11) 의 일부인 배선대 (16) 가 연장되어 있지만, 이 패널 단면 (1c) 에서는, 배선대 (16) 가 연장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표면 보호층 (28) 으로 덮여 있다.
표면 보호층 (28) 은, 하드 코트층으로 불리는 것으로, 기재 필름 (11) 그리고 외측 성형체 (12) 와 내측 성형체 (13) 보다 표면 경도가 높고, 예를 들어 연필 경도로 3 H ∼ 5 H 정도이다. 표면 보호층 (28) 은, 아크릴계, 실리콘계, 불소계 등을 주체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하드 코트층인 표면 보호층 (28) 은, 본래는 표면 패널 (1) 의 패널 외면 (1a) 에만 형성되어 있으면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패널 외면 (1a) 뿐만 아니라 패널 내면 (1b) 과 패널 단면 (1c) 의 모든 표면이 표면 보호층 (28) 으로 덮여 있다.
도 4 에는, 상기 표면 패널 (1) 의 제조 방법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제조 공정에서는, PET 필름 등의 기재 필름 (11) 의 내표면 (11b) 에, 검지 전극층 (21), 반사층 (31), 유기 절연층 (32), 배선층 (22) 그리고 인출 배선층 (24) 이 형성되고, 또한 내측 접합층 (15) 이 형성된다. 또, 기재 필름 (11) 의 외표면 (11a) 에 외측 접합층 (14) 과 가식층 (23) 이 형성된다.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층이 형성된 기재 필름 (11) 이 1 차 성형형 (41a, 41b) 의 내부에 설치되고, 기재 필름 (11) 의 내표면 (11b) 측에 캐비티 (42) 가 형성된다. 이 캐비티 (42) 내에 PMMA 등의 광학 특성이 양호한 합성 수지 재료가 용융 상태로 사출되어 내측 성형체 (13) 가 형성된다. PET 등의 기재 필름 (11) 과 PMMA 등의 내측 성형체 (13) 는, 내측 접합층 (15) 을 개재함으로써 서로 강고하게 고착된다.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층을 갖는 기재 필름 (11) 과 내측 성형체 (13) 가 일체로 된 것이 2 차 성형형 (43a, 43b) 의 내부에 설치되고, 기재 필름 (11) 의 외표면 (11a) 측에 캐비티 (44) 가 형성된다. 이 캐비티 (44) 내에 PMMA 등의 광학 특성이 양호한 합성 수지 재료가 용융 상태로 사출되어 외측 성형체 (12) 가 형성된다. PET 등의 기재 필름 (11) 과 PMMA 등의 외측 성형체 (12) 는, 외측 접합층 (14) 을 개재함으로써 서로 강고하게 고착된다.
그 후에, 패널 외면 (1a) 과 패널 내면 (1b) 그리고 패널 단면 (1c) 에 하드 코트층인 표면 보호층 (28) 이 형성된다. 표면 보호층 (28) 의 도포 공정은, 각 층을 갖는 기재 필름 (11) 과 외측 성형체 (12) 그리고 내측 성형체 (13) 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 자외선 경화성의 용융 수지의 내부에 침지되어, 배선대 (16) 의 돌출부 이외의 표면에 용융 수지가 도포된다. 그 후에 자외선이 조사되고 용융 수지가 경화되어, 표면 보호층 (28) 이 형성된다.
또한, 도 4 의 공정과는 반대로, 각 층을 갖는 기재 필름 (11) 에 대하여 먼저 외측 성형체 (12) 를 성형하고, 그 후에 내측 성형체 (13) 를 성형하고, 기재 필름 (11) 과 외측 성형체 (12) 그리고 내측 성형체 (13) 를 일체화해도 된다.
또 표면 패널 (1) 의 제조 방법으로서, 외측 성형체 (12) 와 내측 성형체 (13) 가 미리 형성되어 있고, 각 층을 갖는 기재 필름 (11) 과 외측 성형체 (12) 그리고 내측 성형체 (13) 가 서로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고, 그 후에 패널 외면 (1a) 과 패널 내면 (1b) 그리고 패널 단면 (1c) 이 표면 보호층 (28) 으로 덮여도 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표면 패널 (1) 은, 기재 필름 (11) 을 중심으로, 외측에 외측 접합층 (14) 과 외측 성형체 (12) 그리고 표면 보호층 (28) 이 적층되어 있고, 내측에 내측 접합층 (15) 과 내측 성형체 (13) 그리고 표면 보호층 (28) 이 적층되어 있고, 외측과 내측에서 적층 구조가 대칭이다. 따라서, 외측과 내측에서 접합시에 작용하는 응력의 차이나 온도 변화에 따른 응력의 차이가 매우 작아진다. 그 때문에, 변형이나 휘어짐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검지 전극층 (21) 이나 가식층 (23) 은, 접합층 (14, 15) 이나 성형체 (12, 13) 에 비하여 얇은 막으로, 변형이나 휘어짐에 대한 영향은 매우 적다.
이 표면 패널 (1) 에서는, 기재 필름 (11) 의 외측과 내측의 각각에 성형체 (12, 13) 가 접합되어 있고, 또한 종래에는 패널 외면 (1a) 에밖에 형성되지 않는 하드 코트층인 표면 보호층 (28) 이, 패널 외면 (1a) 과 패널 내면 (1b) 의 쌍방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합 응력이나 열응력에 따른 변형이나 휘어짐을 방지하기 쉬운 구조가 된다.
또한, 외측 성형체 (12) 와 내측 성형체 (13) 에 두께 치수의 차이를 갖게 하고, 두께 치수의 차이를 조정함으로써, 또한 기재 필름 (11) 을 중심으로 하는 외측과 내측에서의 응력의 차이를 상쇄 혹은 저감시킬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패널 (1) 의 4 변의 모든 패널 단면 (1c) 이 하드 코트층인 표면 보호층 (28) 으로 덮여 있다. 패널 단면 (1c) 에는, 기재 필름 (11) 과 외측 성형체 (12) 의 접합부의 단부, 그리고 기재 필름 (11) 과 내측 성형체 (13) 의 접합부의 단부가 나타나 있지만, 이들 접합부의 단부가 표면 보호층 (28) 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기재 필름 (11) 의 외표면 (11a) 이나 내표면 (11b) 을 따라, 수분이 침입하거나 부식 가스가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성형 공정에 있어서, 기재 필름 (11) 과 외측 성형체 (12) 의 접합부의 단부, 그리고 기재 필름 (11) 과 내측 성형체 (13) 의 접합부의 단부에 성형 불량에 의한 미세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이 간극 내에 표면 보호층 (28) 을 침투시켜 경화시킴으로써, 기재 필름 (11) 을 따라 수분 등이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검지 전극층 (21) 이나 배선층 (22) 을 항상 보호할 수 있어 내수성과 내환경성이 양호해져, 수명이 긴 표면 패널 (1) 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표면 패널 (1) 이 사용되는 휴대 기기에서는, 케이스 (2) 의 내부에 형성된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이 투광 영역 (3) 의 내측에 대향하고, 표면 패널 (1) 의 투광성의 투광 영역 (3) 을 투과하여 표시 내용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또, 표시 화면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투광 영역 (3) 에 있어서 외측 성형체 (12) 표면의 표면 보호층 (28) 에 손가락을 접촉하면, 손가락과 어느 검지 전극층 (21) 사이의 정전 용량에 따라 검지 출력이 변화하여, 손가락이 투광 영역 (3) 의 어느 위치에 접촉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 5 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표면 패널 (101) 이 나타나 있다. 이 표면 패널 (101) 은, 도 2 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표면 패널 (101) 은, 기재 필름 (11) 이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필름이고, PMMA 의 외측 성형체 (12) 및 내측 성형체 (13) 와의 접합성이 양호하다. 그 때문에, 도 2 에 나타내는 외측 접합층 (14) 과 내측 접합층 (15) 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가식층 (23) 은, 기재 필름 (11) 의 외표면 (11a) 에 직접적으로 인쇄 공정 등에서 형성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표면 패널 (101) 도, 기재 필름 (11) 을 중심으로 외측과 내측으로 적층 구조가 대칭이며, 변형이나 휘어짐이 잘 발생하지 않는 구조이다. 또 패널 외면 (101a) 과 패널 내면 (101b) 그리고 모든 패널 단면 (101c) 이 표면 보호층 (28) 으로 덮여 있어, 내환경성이 우수하다.
도 6 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표면 패널 (201) 이 나타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표면 패널 (1) 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교부하여 설명한다.
도 6 에 나타내는 표면 패널 (201) 은, 기재 필름 (11) 의 내표면 (11b) 에 검지 전극층 (21) 과 배선층 등이 형성되고, 그 위에 내측 접합층 (15) 이 형성되어 있다. 기재 필름 (11) 의 외표면 (11a) 에 외측 접합층 (14) 이 형성되고, 그 표면에 가식층 (23)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공정에서 외측 성형체 (12) 와 내측 성형체 (13) 가 형성된다. 이 성형 공정에서 표면 패널 (201) 에 패널 외면 (201a) 과 패널 내면 (201b) 이 형성되고, 또한 4 개의 측변 또는 2 개의 측변에 패널 만곡부 (201d) 가 형성되어, 표면 패널 (201) 이 입체 형상이 된다. 그 결과, 패널 단면 (201c) 은 도시 하향이 된다. 상기 가식층 (23) 은, 패널 외면 (201a) 의 주위로부터 패널 만곡부 (201d) 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패널 외면 (201a), 패널 내면 (201b), 패널 만곡부 (201d) 그리고 패널 단면 (201c) 의 전면이 표면 보호층 (28) 으로 덮인다. 이 표면 패널 (201) 은 휴대용 전자 기기 등의 케이스 표측의 일부로서 사용된다.
또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 만곡부 (201d) 의 내측에 추가로 검지 전극층 (51) 을 형성하고, 측부에서 손가락의 접촉을 검지하는 측부 센서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표면 패널은, 상기 실시형태의 휴대 기기용의 케이스에 사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전기 제품을 조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나 그 밖의 전자 기기의 케이스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1 : 표면 패널
1a : 패널 외면
1b : 패널 내면
1c : 패널 단면
2 : 케이스
3 : 투광 영역
4 : 가식 영역
11 : 기재 필름
11a : 외표면
11b : 내표면
12 : 외측 성형체
13 : 내측 성형체
14 : 외측 접합층
15 : 내측 접합층
16 : 배선대
21 : 검지 전극층
22 : 배선층
23 : 가식층
28 : 표면 보호층
101 : 표면 패널
101c : 패널 단면
201 : 표면 패널
201c : 패널 단면

Claims (10)

  1. 투광 영역과 상기 투광 영역을 둘러싸는 가식 영역을 갖는 표면 패널에 있어서,
    외표면 및 내표면을 갖는 투광성의 기재와,
    상기 기재의 상기 외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식 영역을 형성하는 가식층, 및 상기 내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투광 영역내에 위치하는 투광성의 검지 전극층과,
    각각이 투광성의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기재의 상기 외표면을 덮는 외측 성형체, 및 상기 기재의 상기 내표면을 덮는 내측 성형체를 갖고,
    상기 외측 성형체의 표면과 상기 내측 성형체의 표면의 쌍방이 표면 보호층으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성형체의 단부와 상기 내측 성형체의 단부 그리고 상기 기재의 단부를 갖는 상기 패널 단면이, 상기 표면 보호층으로 덮여 있는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일부가 상기 패널 단면으로부터 외부에 연장되어 있고, 상기 기재가 연장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패널 단면이 상기 표면 보호층으로 덮여 있는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단면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층의 일부가, 상기 기재와 상기 외측 성형체의 간극 및 상기 기재와 상기 내측 성형체의 간극의 적어도 일방에 침투되어 있는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합성 수지 필름인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상기 외측 성형체의 경계부와, 상기 기재와 상기 내측 성형체의 경계부의 쌍방에 접합층이 형성되어 있는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층이, 상기 접합층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PET 필름이고, 상기 외측 성형체와 상기 내측 성형체가 아크릴계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PET 필름이고, 상기 외측 성형체와 상기 내측 성형체가 아크릴계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아크릴계의 수지 필름이고, 상기 외측 성형체와 상기 내측 성형체가 PMMA 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재에 상기 외측 성형체와 상기 내측 성형체가 직접 접합되어 있는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
KR1020130098339A 2012-09-27 2013-08-20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 KR101516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13981 2012-09-27
JP2012213981A JP5917354B2 (ja) 2012-09-27 2012-09-27 検知機能を有する表面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334A true KR20140041334A (ko) 2014-04-04
KR101516482B1 KR101516482B1 (ko) 2015-04-30

Family

ID=50360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339A KR101516482B1 (ko) 2012-09-27 2013-08-20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17354B2 (ko)
KR (1) KR101516482B1 (ko)
CN (1) CN103699258B (ko)
TW (1) TWI50794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758A (ko) * 2015-06-26 2018-01-24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입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3451B (zh) 2017-08-08 2023-06-16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输入装置的制造方法以及输入装置
JP7142067B2 (ja) * 2020-09-30 2022-09-26 Nissha株式会社 成形品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3008A (ja) * 2007-09-20 2009-04-09 Toppan Printing Co Ltd プラスチック成形品
TW200918279A (en) * 2007-10-23 2009-05-01 Tpk Touch Solutions Inc Touch module which is formed in mold
TW200919140A (en) * 2007-10-23 2009-05-01 Tpk Touch Solutions Inc In-mould molding touch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1107767Y (zh) * 2007-11-27 2008-08-27 胜华科技股份有限公司 电容式触控面板接合区域的结构
JP4969424B2 (ja) * 2007-11-27 2012-07-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用外観ケー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84944B1 (ko) * 2008-10-02 2015-0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케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TWM355426U (en) * 2008-11-18 2009-04-21 Emerging Display Tech Corp Capacitance touch panel
JP2010244772A (ja) * 2009-04-03 2010-10-28 Sony Corp 静電容量式タッチ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静電容量式タッチ検出装置
KR20130128469A (ko) * 2009-07-08 2013-11-2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도전성 필름, 전자 기기 및 터치 패널
TWI404994B (zh) * 2009-12-14 2013-08-11 Wintek Corp 觸控面板
US20110147973A1 (en) * 2009-12-17 2011-06-23 Kuo-Hua Sung Injection Molding of Touch Surface
KR20110008715U (ko) * 2010-03-05 2011-09-15 우신산업(주) 고투과 터치패널
TW201205383A (en) * 2010-05-31 2012-02-01 Wintek Corp Touch-sensitive device
KR101699530B1 (ko) * 2010-07-27 2017-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TWI426327B (zh) * 2010-10-08 2014-02-11 Wintek Corp 觸控面板
CN102033672A (zh) * 2010-10-13 2011-04-27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单层电极的电容式触摸屏
JP5406161B2 (ja) * 2010-10-20 2014-02-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入力装置の製造方法
KR101199047B1 (ko) * 2011-01-25 2012-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JP5090553B2 (ja) * 2011-03-30 2012-12-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表面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419651A (zh) * 2011-08-05 2012-04-18 牧东光电(苏州)有限公司 基于薄板玻璃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CN102662522B (zh) * 2012-04-16 2015-11-18 姜洪波 制备柔性触摸屏的方法及制备触控电极卷材的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758A (ko) * 2015-06-26 2018-01-24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99258A (zh) 2014-04-02
JP5917354B2 (ja) 2016-05-11
TW201413536A (zh) 2014-04-01
TWI507941B (zh) 2015-11-11
JP2014067365A (ja) 2014-04-17
CN103699258B (zh) 2017-01-04
KR101516482B1 (ko)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5280B2 (ja) 電子回路を収容するための多層構造および関連する製造方法
KR101313454B1 (ko)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의 제조 방법
US986981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products, related arrangement and product
JP5522842B2 (ja) 成形部材及び透光型入力装置
WO2015045325A1 (ja) 静電容量型曲面形状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64287B1 (ko) 전자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및 전자 어셈블리
JP6047279B2 (ja) 静電容量センサ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153516A (ja) 湾曲した機能フィルム構造およびその作製方法
KR20140041334A (ko)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
KR101537161B1 (ko) 검지 기능을 갖는 표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105493008A (zh) 静电电容型触摸面板
KR20160009630A (ko)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JP2016173736A (ja) センサーパネル及びセンサーパネルの製造方法
CN109791455B (zh) 输入装置的制造方法
JP5745605B2 (ja) 成形部材及び透光型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