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651A -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651A
KR20140040651A KR1020130112734A KR20130112734A KR20140040651A KR 20140040651 A KR20140040651 A KR 20140040651A KR 1020130112734 A KR1020130112734 A KR 1020130112734A KR 20130112734 A KR20130112734 A KR 20130112734A KR 20140040651 A KR20140040651 A KR 20140040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bias
pixel
display state
commo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끼 쯔다
준이찌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ublication of KR20140040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1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4Compensation of DC component across the pixel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액티브 에어리어의 각 화소에 배치된 스위칭 소자와, 복수의 화소에 걸쳐서 배치된 공통 전극과,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각 화소에 배치된 화소 전극과, 제1 배향막을 구비한 제1 기판과, 상기 제1 배향막과 대향하는 제2 배향막을 구비한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배향막과 상기 제2 배향막 사이에 보유 지지된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과, 상기 화소에 표시시키는 계조에 따른 전압에 DC 바이어스를 걸어 상기 화소 전극에 공급하는 구동부로서,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된 백색 표시 상태에서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흑색 표시 상태보다도 높은 DC 바이어스를 거는 구동부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이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2년 9월 26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12-212141호에 기초한 것으로, 그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 등의 특징을 살려, 퍼스널 컴퓨터 등의 OA 기기나 텔레비전 등의 표시 장치로서 각종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액정 표시 장치는 휴대 전화 등의 휴대 단말기 기기나, 카 네비게이션 장치, 게임기 등의 표시 장치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Fringe Field Switching(FFS) 모드나 In-Plane Switching(IPS) 모드의 액정 표시 패널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FFS 모드나 IPS 모드의 액정 표시 패널은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을 구비한 어레이 기판과, 대향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보유 지지한 구성이며, 액정층의 액정 분자를 기판과 평행한 면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스위칭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표시 모드는, 광 시야각이라는 이점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FFS 모드나 IPS 모드의 구성에 있어서는,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이 원하는 방향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에 기인한 여러 가지의 표시 불량을 개선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예를 들어, FF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소부 현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소부 현상이란, 예를 들어 화면에 백색과 흑색의 체크 패턴을 표시시킨 후에, 화면의 전체면에 균일한 중간조 화상을 표시시키면, 체크 패턴이 잔상과 같이 얇게 남는 현상을 말한다. 최근, 이와 같은 소부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액정 표시 패널의 구성 및 등가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어레이 기판에 있어서의 화소의 구조의 일례를 대향 기판의 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한 액정 표시 패널의 단면 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한 액정 표시 패널의 단면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FF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소부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VCOM 편차 δV와 어느 특정한 중간조를 표시하였을 때의 평균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제1 구성예에 있어서의 VCOM 편차 δV와 특정 중간조를 표시하였을 때의 평균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제2 구성예에 있어서의 VCOM 편차 δV와 특정 중간조를 표시하였을 때의 평균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비교예,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각각에 대해서, 소부 현상을 평가한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티브 에어리어의 각 화소에 배치된 스위칭 소자와, 복수의 화소에 걸쳐서 배치된 공통 전극과,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각 화소에 배치된 화소 전극과, 제1 배향막을 구비한 제1 기판과, 상기 제1 배향막과 대향하는 제2 배향막을 구비한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배향막과 상기 제2 배향막 사이에 보유 지지된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과, 상기 화소에 표시시키는 계조에 따른 전압에 DC 바이어스를 걸어 상기 화소 전극에 공급하는 구동부이며,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된 백색 표시 상태에서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흑색 표시 상태보다도 높은 DC 바이어스를 거는 구동부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티브 에어리어의 각 화소에 배치된 스위칭 소자와, 복수의 화소에 걸쳐서 배치된 공통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상에 배치된 절연막과,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상기 절연막 상에서 각 화소에 배치되고 상기 공통 전극과 마주 보는 슬릿이 형성된 화소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을 덮는 제1 배향막을 구비한 제1 기판과, 상기 제1 배향막과 대향하는 제2 배향막을 구비한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배향막과 상기 제2 배향막 사이에 보유 지지된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소에 표시시키는 계조에 따른 전압에 DC 바이어스를 걸어 상기 화소 전극에 공급할 때에,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된 백색 표시 상태에서,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흑색 표시 상태보다도 높은 DC 바이어스를 거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티브 에어리어의 각 화소에 배치된 스위칭 소자와, 복수의 화소에 걸쳐서 배치된 공통 전극과,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각 화소에 배치된 화소 전극과, 제1 배향막을 구비한 제1 기판과, 상기 제1 배향막과 대향하는 제2 배향막을 구비한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배향막과 상기 제2 배향막 사이에 보유 지지된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소에 표시시키는 계조에 따른 전압에 DC 바이어스를 걸어 상기 화소 전극에 공급할 때에,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된 백색 표시 상태에서,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흑색 표시 상태보다도 높은 DC 바이어스를 거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액정 표시 패널(LPN)의 구성 및 등가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액정 표시 장치는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투과형의 액정 표시 패널(LPN)을 구비하고 있다. 액정 표시 패널(LPN)은, 제1 기판인 어레이 기판(AR)과, 어레이 기판(AR)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기판인 대향 기판(CT)과, 이들의 어레이 기판(AR)과 대향 기판(CT) 사이에 보유 지지된 액정층(LQ)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 패널(LPN)은, 화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에어리어(ACT)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액티브 에어리어(ACT)는, m×n개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PX)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단, m 및 n은 플러스의 정수임).
어레이 기판(AR)은, 액티브 에어리어(ACT)에 있어서, 제1 방향(X)을 따라서 각각 연장된 n개의 게이트 배선[G(G1 내지 Gn)] 및 n개의 용량선[C(C1 내지 Cn)], 제1 방향(X)에 직교하는 제2 방향(Y)을 따라서 각각 연장된 m개의 소스 배선[S(S1 내지 Sm)], 각 화소(PX)에 있어서 게이트 배선(G) 및 소스 배선(S)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칭 소자(SW), 각 화소(PX)에 있어서 스위칭 소자(SW)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화소 전극(PE), 화소 전극(PE)과 마주 보는 공통 전극(CE) 등을 구비하고 있다.
각 게이트 배선(G)은 액티브 에어리어(ACT)의 외측에 인출되고, 게이트 드라이버(GD)에 접속되어 있다. 각 소스 배선(S)은 액티브 에어리어(ACT)의 외측에 인출되고, 소스 드라이버(SD)에 접속되어 있다. 각 용량선(C)은 액티브 에어리어(ACT)의 외측에 인출되고, 보조 용량 전압이 공급되는 전압 인가부(VCS)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공통 전극(CE)은, 커먼 전압(Vcom)이 공급되는 급전부(VS)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GD) 및 소스 드라이버(SD)는, 예를 들어 그 적어도 일부가 어레이 기판(AR)에 형성되고, 구동 IC 칩(2)과 접속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구동 IC 칩(2)은 액정 표시 패널(LPN)을 구동하는 데 필요한 신호원으로서 기능하고, 게이트 드라이버(GD) 및 소스 드라이버(SD)를 제어하거나, 급전부(VS)에 공급되는 커먼 전압을 제어하거나, 전압 인가부(VCS)에 공급되는 보조 용량 전압을 제어하거나 하는 컨트롤러(CTR)를 내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동 IC 칩(2)은 액정 표시 패널(LPN)의 액티브 에어리어(ACT)의 외측에서, 어레이 기판(AR)에 실장되어 있다. 소스 드라이버(SD)[혹은, 소스 드라이버(SD) 및 컨트롤러(CTR)]는 화소(PX)에 표시시키는 계조에 따른 전압에, 필요에 따라서 레벨 설정된 DC 바이어스를 걸어 화소 전극(PE)에 공급하는 구동부로서 기능한다.
도시한 예의 액정 표시 패널(LPN)은, FFS 모드 혹은 IPS 모드에 적용 가능한 구성이며, 어레이 기판(AR)이 화소 전극(PE) 및 공통 전극(CE)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액정 표시 패널(LPN)에서는, 화소 전극(PE) 및 공통 전극(CE) 사이에 형성되는 횡전계(예를 들어, 프린지 전계 중 기판의 주면에 거의 평행한 전계)를 주로 이용해서 액정층(LQ)을 구성하는 액정 분자를 스위칭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어레이 기판(AR)에 있어서의 화소(PX)의 구조의 일례를 대향 기판(CT)의 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에 필요한 주요부만을 도시하고 있고, 스위칭 소자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게이트 배선(G)은, 제1 방향(X)을 따라서 각각 연장되어 있다. 소스 배선(S)은, 제2 방향(Y)을 따라서 각각 연장되어 있다. 공통 전극(CE)은, 제1 방향(X)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즉, 공통 전극(CE)은, 각 화소(PX)에 배치되는 동시에 소스 배선(S)의 상방을 넘어, 제1 방향(X)에 인접하는 복수의 화소(PX)에 걸쳐서 공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공통 전극(CE)은, 제2 방향(Y)에 인접하는 복수의 화소(PX)에 걸쳐서 공통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각 화소(PX)에 배치된 화소 전극(PE)은, 각각 공통 전극(CE)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각 화소 전극(PE)은, 각 화소(PX)에 있어서 직사각 형상의 화소 형상에 대응한 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화소 전극(PE)은, 제1 방향(X)을 따른 길이가 제2 방향(Y)을 따른 길이보다도 짧은 개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각 화소 전극(PE)에는, 공통 전극(CE)과 마주 보는 복수의 슬릿(PSL)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슬릿(PSL)의 각각은, 제2 방향(Y)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제2 방향(Y)과 평행한 장축을 갖고 있다.
도 3a는, 도 1에 도시한 액정 표시 패널(LPN)의 단면 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어레이 기판(AR)은, 글래스 기판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제1 절연 기판(10)을 사용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어레이 기판(AR)은, 제1 절연 기판(10)의 내면[즉 대향 기판(CT)에 대향하는 측](10A)에 스위칭 소자(SW), 공통 전극(CE), 화소 전극(PE) 등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 도시한 스위칭 소자(SW)는,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TFT)이다. 이 스위칭 소자(SW)는 폴리 실리콘이나 아몰퍼스 실리콘에 의해 형성된 반도체층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위칭 소자(SW)는 톱 게이트형 혹은 보톰 게이트형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스위칭 소자(SW)는, 제1 절연막(11)에 의해 덮여져 있다.
공통 전극(CE)은, 제1 절연막(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통 전극(CE)은 투명한 도전 재료, 예를 들어, 인듐 틴 옥사이드(ITO)나 인듐 징크 옥사이드(IZO)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공통 전극(CE)은, 제2 절연막(12)에 의해 덮여져 있다. 또한, 이 제2 절연막(12)은, 제1 절연막(11) 상에도 배치되어 있다.
화소 전극(PE)은, 제2 절연막(12) 상에 형성되고, 공통 전극(CE)과 마주 보고 있다. 이 화소 전극(PE)은, 제1 절연막(11) 및 제2 절연막(12)을 관통하는 콘택트 홀을 통해서 스위칭 소자(SW)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화소 전극(PE)에는, 제2 절연막(12)을 통해서 공통 전극(CE)과 마주 보는 슬릿(PSL)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화소 전극(PE)은 투명한 도전 재료, 예를 들어, ITO나 IZO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화소 전극(PE)은, 제1 배향막(AL1)에 의해 덮여져 있다. 또한, 이 제1 배향막(AL1)은, 제2 절연막(12) 상에도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배향막(AL1)은, 수평 배향성을 나타내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어레이 기판(AR)의 액정층(LQ)에 접하는 면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대향 기판(CT)은, 글래스 기판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제2 절연 기판(30)을 사용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대향 기판(CT)은, 제2 절연 기판(30)의 내면[즉 어레이 기판(AR)에 대향하는 측](30A)에, 각 화소(PX)를 구획하는 블랙 매트릭스(31), 컬러 필터(32), 오버코트층(33) 등을 구비하고 있다.
블랙 매트릭스(31)는, 제2 절연 기판(30)의 내면(30A)에 있어서, 어레이 기판(AR)에 설치된 게이트 배선(G)이나 소스 배선(S), 스위칭 소자(SW) 등의 배선부에 대향하고, 화소 전극(PE)과 대향하는 개구부(AP)를 형성하고 있다. 컬러 필터(32)는, 제2 절연 기판(30)의 내면(30A)에 형성되고, 개구부(AP)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컬러 필터(32)는 블랙 매트릭스(31) 상에도 연장되어 있다. 이 컬러 필터(32)는, 서로 다른 복수의 색, 예를 들어 적색, 청색, 녹색 등의 3원색으로 각각 착색된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서로 다른 색의 컬러 필터(32) 사이의 경계는, 블랙 매트릭스(31) 상에 위치하고 있다.
오버코트층(33)은 컬러 필터(32)를 덮고 있다. 이 오버코트층(33)은 블랙 매트릭스(31)나 컬러 필터(32)의 표면의 요철을 평탄화한다. 이와 같은 오버코트층(33)은, 예를 들어 투명한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오버코트층(33)은, 제2 배향막(AL2)에 의해 덮여져 있다. 이 제2 배향막(AL2)은, 수평 배향성을 나타내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대향 기판(CT)의 액정층(LQ)에 접하는 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어레이 기판(AR)과 대향 기판(CT)은, 제1 배향막(AL1) 및 제2 배향막(AL2)이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때, 어레이 기판(AR)과 대향 기판(CT) 사이에는, 한쪽 기판에 형성된 주상 스페이서에 의해, 소정의 셀 갭이 형성된다. 어레이 기판(AR)과 대향 기판(CT)은, 셀 갭이 형성된 상태에서 시일재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액정층(LQ)은 어레이 기판(AR)의 제1 배향막(AL1)과 대향 기판(CT)의 제2 배향막(AL2) 사이에 형성된 셀 갭에 봉입된 액정 분자(LM)를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액정층(LQ)은, 예를 들어, 유전율 이방성이 플러스(포지티브형)의 액정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마이너스(네거티브형)의 액정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액정 표시 패널(LPN)에 대하여, 그 배면측에는 백라이트(BL)가 배치되어 있다. 백라이트(BL)로서는, 여러 가지의 형태가 적용 가능하고, 또한,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용한 것이나 냉음극관(CCFL)을 이용한 것 등 어느 것이어도 적용 가능하고,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어레이 기판(AR)의 외면 즉 제1 절연 기판(10)의 외면(10B)에는, 제1 흡수축을 갖는 제1 편광판(PL1)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대향 기판(CT)의 외면 즉 제2 절연 기판(30)의 외면(30B)에는, 제1 흡수축과 크로스 니콜의 위치 관계에 있는 제2 흡수축을 갖는 제2 편광판(PL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절연 기판(10)과 제1 편광판(PL1) 사이나, 제2 절연 기판(30)과 제2 편광판(PL2) 사이에는, 위상차 판 등 다른 광학 소자가 배치되어도 좋다.
제1 배향막(AL1) 및 제2 배향막(AL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 주면(혹은, X-Y 평면)과 평행한 면내에서, 서로 평행한 방위에 배향 처리(예를 들어, 러빙 처리나 광 배향 처리)되어 있다. 제1 배향막(AL1)은 슬릿(PSL)의 장축[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2 방향(Y)]에 대하여 45° 이하의 예각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배향 처리되어 있다. 제1 배향막(AL1)의 배향 처리 방향(R1)은, 예를 들어, 제2 방향(Y)에 대하여 5° 내지 15°의 각도를 두고 교차하는 방향이다. 또한, 제2 배향막(AL2)은, 제1 배향막(AL1)의 배향 처리 방향(R1)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배향 처리되어 있다. 제1 배향막(AL1)의 배향 처리 방향(R1)과 제2 배향막(AL2)의 배향 처리 방향(R2)은 서로 역방향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LPN)에 있어서, 액정 분자(LM)는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CE)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배향막(AL1) 및 제2 배향막(AL2)에 의해 규제된 초기 배향 방향[예를 들어 배향 방향(R1)]으로 배향하고 있다. 제1 편광판(PL1)의 제1 흡수축 및 제2 편광판(PL2)의 제2 흡수축 중 어느 한쪽은, 액정 분자(LM)의 초기 배향 방향과 평행하고, 다른 쪽은 초기 배향 방향으로 직교하고 있다.
도 3b는, 도 1에 도시한 액정 표시 패널(LPN)의 단면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에 도시한 예는, 도 3a에 도시한 예와 비교하여, 화소 전극(PE)가 제1 절연막(11) 상에 형성되고, 공통 전극(CE)이 제2 절연막(12)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위하고 있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도 3a에 도시한 예와 동일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화소 전극(PE)은, 제1 절연막(11) 상에 위치하고, 제1 절연막(11)을 관통하는 콘택트 홀을 통해서 스위칭 소자(SW)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화소 전극(PE)은, 제2 절연막(12)에 의해 덮여져 있다.
공통 전극(CE)은, 제2 절연막(12) 상에 위치하고, 그 일부가 화소 전극(PE)과 마주 보고 있다. 공통 전극(CE)에는, 제2 절연막(12)을 통해서 화소 전극(PE)과 마주 보는 슬릿(PSL)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CE)은, 제1 배향막(AL1)에 의해 덮여져 있다.
이하에, 상기 구성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CE)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는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OFF시에서는, 액정층(LQ)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CE)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액정층(LQ)에 포함되는 액정 분자(LM)는,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X-Y 평면 내에서 제2 방향(Y)에 대하여 예각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초기 배향하고 있다.
OFF시에는, 백라이트(BL)로부터의 백라이트 광의 일부는, 제1 편광판(PL1)을 투과하고, 액정 표시 패널(LPN)에 입사한다. 액정 표시 패널(LPN)에 입사한 광은, 제1 편광판(PL1)의 제1 흡수축과 직교하는 직선 편광이다. 이와 같은 직선 편광의 편광 상태는, OFF시의 액정 표시 패널(LPN)을 통과하였을 때에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액정 표시 패널(LPN)을 투과한 직선 편광의 대부분이, 제2 편광판(PL2)에 의해 흡수된다(흑색 표시).
한편,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CE)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는 전압이 인가된 ON시에서는, 액정층(LQ)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이며,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CE) 사이에 프린지 전계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액정 분자(LM)는, 도 2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X-Y 평면 내에서, 초기 배향 방향과는 다른 방위로 배향한다. 포지티브형의 액정 재료에서는, 액정 분자(LM)는 X-Y 평면 내에서, 전계와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하도록 회전한다. 이때, 액정 분자(LM)는 전계의 크기에 따른 방향으로 배향한다.
ON시에는, 제1 편광판(PL1)의 제1 흡수축과 직교하는 직선 편광은 액정 표시 패널(LPN)에 입사하고, 그 편광 상태는 액정층(LQ)을 통과할 때에 액정 분자(LM)의 배향 상태에 따라서 변화한다. 이로 인해, ON시에서는 액정층(LQ)을 통과한 적어도 일부의 광은, 제2 편광판(PL2)을 투과한다(백색 표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노멀리 블랙 모드가 실현된다.
도 4는, FF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소부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중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LPN)에 대하여 백색과 흑색의 체크 패턴(바둑판 무늬)을 표시하는 전압을 인가하고, 액티브 에어리어(ACT)의 전체면에 걸쳐서 체크 패턴을 표시한 상태를 소정 시간 유지한다. 예를 들어, 256계조로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티브 에어리어(ACT)의 제1 영역(AA1)의 화소(PX)에 대해서는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CE)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지 않고 흑색 표시(계조값 G0)를 행하는 한편, 액티브 에어리어(ACT)의 제1 영역(AA1)에 인접하는 제2 영역(AA2)의 화소(PX)에 대해서는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CE) 사이에 백색 표시(계조값 G255)에 대응하는 전위차를 형성하여 백색 표시를 행한다.
그 후, 도면 중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LPN)에 대하여 중간조(예를 들어 계조값 G127)를 표시하는 전압을 인가하고, 액티브 에어리어(ACT)의 전체면에 균일한 중간조의 화상을 표시한다. 즉, 제1 영역(AA1)의 화소(PX) 및 제2 영역(AA2)의 화소(PX)의 양쪽에 대해서,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CE) 사이에 동일한 중간조 표시에 대응하는 전위차를 형성한다. 이때, 흑색 표시 상태로 유지되었던 제1 영역(AA1)에 대해서는 본래의 중간조에 대응한 휘도와 거의 동등한 휘도가 얻어지지만, 백색 표시 상태로 유지되었던 제2 영역(AA2)에 대해서 본래의 중간조의 휘도보다도 높은 휘도가 되어 버린 경우에, 제1 영역(AA1)과 제2 영역(AA2)에서 휘도차가 생겨 버리고, 체크 패턴이 잔상으로서 시인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현상이 소부 현상이다.
체크 패턴을 표시한 후에 발생하는 휘도차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의 요인이 생각되지만, 일례로서, 액정 분자(LM)의 배향 어긋남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CE)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OFF 상태에서는, 액정 분자(LM)는 배향 처리 방향(R1) 및 배향 처리 방향(R2)과 거의 평행한 배향축 방향으로 배향한다. 그러나, 장시간에 걸쳐서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CE)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된 ON 상태로 유지된 경우에는, 액정층(LQ)에 과대한 스트레스가 가해진다. 이로 인해,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CE) 사이의 전위차를 OFF 상태로 복귀시켜도, 액정 분자(LM)가 배향축 방향으로 완전히 복귀되지 않는 배향 어긋남이 발생한다. 즉, 체크 패턴 중의 흑색을 표시한 제1 영역(AA1)과 같이 스트레스가 작은 영역에서는 배향 어긋남은 생기기 어렵지만, 그 한편, 체크 패턴 중의 백색을 표시한 제2 영역(AA2)과 같이 큰 스트레스를 계속해서 받은 영역에서는 배향 어긋남이 생기기 쉽다.
노멀리 블랙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공통 전극(CE)의 전위 Vcom과 화소 전극(PE)의 전위 Vd 사이의 전위차(|Vd-Vcom|)가 제로일 때에 휘도(혹은 투과율)가 거의 제로(즉 흑색 표시)가 되고, 전위차(|Vd-Vcom|)가 클수록 휘도가 높아진다. 이와 같은 특성은, 액정층에 인가하는 전압과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T-V 특성 곡선으로 표시된다.
배향 어긋남이 생긴 영역과 배향 어긋남이 생기지 않은 영역에서, 각각 동일한 중간조에 대응한 전위차를 형성한 경우에는, 배향 어긋남이 생기지 않은 영역보다도 배향 어긋남이 생긴 영역의 쪽이 배향축 방향에 대하여 액정 분자가 실질적으로 크게 회전한다. 이로 인해, 배향 어긋남이 생긴 영역에서는, 배향 어긋남이 생기지 않은 영역보다도 휘도가 높아져, 상기의 휘도차를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할 때는, 플리커 현상을 회피하기 위해, 화소 전극(PE)에 공급하는 신호를 1프레임 기간마다 정부(正負) 극성 반전시켜 구동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극성 반전 구동을 채용한 경우를 상정하여, 화소 전극(PE)의 화소 전극 전위 Vd로서, Vcom±V0의 구형파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 대해서 검토한다.
여기서는 또한, 화소 전극 전위 Vd로서의 구형파 전압 신호는 그 상태 그대로, 공통 전극(CE)의 전위를 변화시키는 경우를 생각한다. 여기서는, 당초의 공통 전극 전위 Vcom을 Vcom'로 변화시킨 것으로 하고, δV=Vcom'-Vcom(이하, 이 δV를 VCOM 편차라고 부름)으로 한다.
이때, 정극성측의 화소 전극 전위와 공통 전극 전위와의 전위차의 절대값은 δV만큼 감소하고, 부극성측의 화소 전극 전위와 공통 전극 전위와의 전위차의 절대값은 δV만큼 증가한다. 즉, 공통 전극 전위가 Vcom인 경우, 화소 전극 전위 Vd가 어느 중간조의 계조값(예를 들어 G127)에 대응한 전위로 설정되었을 때에, 그 정극성 전위의 타이밍에서 얻어지는 휘도와 그 부극성 전위의 타이밍에서 얻어지는 휘도는 거의 동일하고, 이들의 평균 휘도는 휘도 LO이 된다. 이에 대해, 공통 전극 전위가 Vcom'인 경우, 화소 전극 전위 Vd가 계조값(G127)에 대응한 전위로 설정되었을 때에, 그 정극성 전위의 타이밍에서 얻어지는 휘도 La는 휘도 LO보다도 약간 저하되고, 그 부극성 전위의 타이밍에서 얻어지는 휘도 Lb는 휘도 LO보다도 크게 상승한다. 이와 같은 휘도 La와 휘도 Lb와의 언밸런스는, T-V 특성 곡선의 커브에 의존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공통 전극 전위가 Vcom'인 경우에 얻어지는 평균 휘도[(La+Lb)/2]는, 공통 전극 전위가 Vcom인 경우에 얻어지는 휘도 LO보다도 높아진다.
도 5는, VCOM 편차 δV와 어느 특정한 중간조를 표시하였을 때의 평균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 중의 A는, 소부 현상이 생기기 전의 상태에서의 휘도-VCOM 편차 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휘도-VCOM 편차 곡선 A는, δV=0(즉 Vcom'=Vcom)에 관하여, VCOM 편차 δV가 플러스의 경우와 마이너스의 경우에서 거의 대칭이 된다. 또한, 휘도-VCOM 편차 곡선 A는, δV=0일 때에 휘도(중간조 표시시의 원하는 휘도) LO이 최저가 되는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 형상이 된다.
도면 중의 B는, 제1 영역(AA1)에서의 흑소부 후(체크 패턴 중의 흑색을 소정 시간 표시한 후) 휘도-VCOM 편차 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휘도-VCOM 편차 곡선 B는, 그 경향으로서는, 약간 횡축 방향에 대해서 플러스의 방향으로 시프트하고 있지만, 휘도-VCOM 편차 곡선 A와 거의 동등하다. 이로 인해, δV=0일 때의 휘도 L1은, 휘도 LO보다도 약간 상승하고 있다.
도면 중의 C는, 제2 영역(AA2)에서의 백소부 후(체크 패턴 중의 백색을 소정 시간 표시한 후) 휘도-VCOM 편차 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휘도-VCOM 편차 곡선 C는, 그 경향으로서는, 휘도-VCOM 편차 곡선 A와 거의 동등하지만, 전체적으로 횡축 방향에 대해서는 플러스의 방향으로 시프트하고, 게다가, 종축 방향에 대해서도 플러스의 방향(즉 휘도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시프트하고 있다. 이로 인해, δV=0일 때의 휘도 L2는, 휘도 LO 및 휘도 L1보다도 크게 상승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공통 전극 전위는 Vcom(6V=0)으로 설정되므로, 상기와 같은 특정 중간조를 표시하였을 때에는, 제1 영역(AA1)에서 휘도 L1이 되는 한편, 제2 영역(AA2)에서는 휘도 L2가 되고, 그 휘도차가 시인되어 버리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소 전극(PE)에 대하여, 표시시키는 계조에 따른 전압을 인가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계조마다 DC 바이어스를 걸음으로써, 소부 현상을 완화시키고 있다. 이 점에 대해서, 공통 전극 전위 Vcom에 대하여 표시시키는 계조에 따른 전압 V0을 미리 설정하고, 화소 전극 전위 Vd로서, Vcom±V0의 구형파 전압을 화소 전극(PE)에 인가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특정의 계조에 따른 전압 V0에 대하여 DC 바이어스를 건다고 하는 것은, 구형파 전압(Vcom±V0)에 DC 바이어스 Vb를 중첩하는(Vcom±V0+Vb) 것에 상당한다. 이때의 구형파 전압(Vcom±V0+Vb)은 공통 전극 전위 Vcom에 대하여 정극성과 부극성으로 비대칭이 된다. 예를 들어, DC 바이어스가 정극성인 경우, 구형파 전압이 정극성의 타이밍에서는 공통 전극 전위 Vcom에 대하여 (V0+Vb)의 전위차가 형성되는 것에 대해서, 구형파 전압이 부극성의 타이밍에서는 공통 전극 전위 Vcom에 대하여 (V0-Vb)의 전위차가 형성된다. 발명자는, 화소 전극(PE)에 대하여 이와 같은 비대칭의 구형파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액정층에 부여하는 스트레스가 완화되어, 소부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제1 구성예에 있어서의 VCOM 편차 δV와 특정 중간조를 표시하였을 때의 평균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는, 백색 표시에 대응한 계조(G255)에 따른 전압에 DC 바이어스를 걸었다.
액티브 에어리어(ACT)의 전체면에 걸쳐서 체크 패턴을 표시한 상태를 소정 시간 유지한 후, 특정 중간조를 표시하였을 때에, 흑소부를 행한 제1 영역(AA1)에서의 휘도-VCOM 편차 곡선 B1은, 도 5에 도시한 휘도-VCOM 편차 곡선 B와 거의 동등해진다. 즉, 휘도-VCOM 편차 곡선 B1에 있어서의 δV=0에서의 중간조 휘도 L11은, 휘도-VCOM 편차 곡선 B에 있어서의 δV=0에서의 중간조 휘도 L1과 거의 동등하다. 한편, 백소부를 행한 제2 영역(AA2)에서의 휘도-VCOM 편차 곡선 C1은, 도 5에 도시한 휘도-VCOM 편차 곡선 C보다도 횡축 방향에 대해서 마이너스의 방향으로 시프트하고 있다. 즉, 휘도-VCOM 편차 곡선 C1에 있어서의 δV=0에서의 중간조 휘도 L12는, 휘도-VCOM 편차 곡선 C에 있어서의 δV=0에서의 중간조 휘도 L2보다도 저하된다.
따라서, 공통 전극 전위를 Vcom(δV=0)으로 설정하여 통상적인 화상을 표시한 경우, 상기의 특정 중간조를 표시하였을 때에는, 제1 영역(AA1)에 있어서 휘도 L11이 되는 한편, 제2 영역(AA2)에 있어서는 휘도 L12가 되지만, 그 휘도차(L12-L11)는, 도 5에 도시한 예의 휘도차(L2-L1)보다도 작아진다. 이로 인해, 휘도차가 시인되기 어려워져, 결과적으로, 소부 현상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제2 구성예에 있어서의 VCOM 편차 δV와 특정 중간조를 표시하였을 때의 평균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는, 백색 표시에 대응한 계조(G255)에 따른 전압에 DC 바이어스를 거는 것 외에, 또한, 특정 중간 계조(예를 들어, G31이나 G63)에 따른 전압에 대해서도 DC 바이어스를 걸었다.
액티브 에어리어(ACT)의 전체면에 걸쳐서 체크 패턴을 표시한 상태를 소정 시간 유지한 후, 특정 중간조를 표시하였을 때에, 흑소부를 행한 제1 영역(AA1)에서의 휘도-VCOM 편차 곡선 B2는, 도 5에 도시한 휘도-VCOM 편차 곡선 B보다도 횡축 방향에 대해서 마이너스의 방향으로 시프트하고 있다. 한편, 백소부를 행한 제2 영역(AA2)에서의 휘도-VCOM 편차 곡선 C2는, 도 6에 도시한 휘도-VCOM 편차 곡선 C1보다도 횡축 방향에 대해서 더욱 마이너스의 방향으로 시프트하고 있다.
따라서, 공통 전극 전위를 Vcom(δV=0)으로 설정하여 통상적인 화상을 표시한 경우, 상기의 특정 중간조를 표시하였을 때에는, 제1 영역(AA1)에서 휘도 L21이 되는 한편, 제2 영역(AA2)에서는 휘도 L22가 되지만, 그 휘도차(L22-L21)는, 도 6에 도시한 예의 휘도차(L12-L11)보다도 더욱 작아진다. 이로 인해, 휘도차가 보다 시인되기 어려워져, 결과적으로, 소부 현상을 더욱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같은 노멀리 블랙 모드에서는, 화소(PX)에 표시시키는 계조에 따른 전압에 DC 바이어스를 걸어 화소 전극(PE)에 공급하는 구동부는,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CE)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된 백색 표시 상태에서,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CE)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흑색 표시 상태보다도 높은 DC 바이어스를 건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제1 구성예 및 제2 구성예에 대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비교예,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각각에 대해서, 소부 현상을 평가한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의 (a)에 도시한 비교예는, 모든 계조에 따른 전압에 DC 바이어스를 걸지 않은 경우에 상당한다. 도면 중의 (b)에 도시한 제1 실시예는, 상기의 제1 구성예의 일례에 상당하고, 흑색 표시 상태를 포함하는 저계조측에서는 DC 바이어스를 제로(㎷)로 설정하고, 백색 표시 상태를 포함하는 고계조측에서 계조값의 증가에 수반하여 DC 바이어스를 증가시키고, 백색 표시 상태에서 최대의 DC 바이어스를 거는 경우에 상당한다. 도면 중의 (c)에 도시한 제2 실시예는, 상기의 제2 구성예의 일례에 상당하고, 흑색 표시 상태에 가까운 저계조측에서는 부극성의 DC 바이어스를 걸어, 백색 표시 상태를 포함하는 고계조측에서 계조값의 증가에 수반하여 DC 바이어스를 증가시키고, 백색 표시 상태에서 최대의 DC 바이어스를 거는 경우에 상당한다.
도면 중의 a1, b1, c1의 각각은, 계조값과 DC 바이어스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횡축에 계조값을 취하고, 종축에 각 계조값에 대한 DC 바이어스의 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a1은, 비교예에 있어서의 계조값과 DC 바이어스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어떤 계조값에 대해서도 DC 바이어스가 제로(㎷)로 설정되어 있다.
b1은, 제1 실시예에서의 계조값과 DC 바이어스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b1에 따르면, 계조값 G0(흑색 표시 상태에 상당)으로부터 계조값 G190 부근까지 DC 바이어스가 제로(㎷)로 설정되어 있지만, 계조값 G190 부근으로부터 최대의 계조값 G255(백색 표시 상태에 상당)에 걸쳐서 계조값의 증가에 수반하여 점차 정극성의 DC 바이어스가 증가하고, 계조값 G255에서 최대의 DC 바이어스로 설정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최대의 DC 바이어스의 설정값은 150㎷이지만, 구동부의 성능에 따라서 더 높은 DC 바이어스가 설정되어도 좋다.
c1은, 제2 실시예에서의 계조값과 DC 바이어스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c1에 따르면, 계조값 G0으로부터 계조값 G190 부근까지 부극성의 DC 바이어스가 설정되고, 계조값 G190 부근으로부터 최대의 계조값 G255에 걸쳐서 계조값의 증가에 수반하여 점차 정극성의 DC 바이어스가 증가하고, 계조값 G255에서 최대의 DC 바이어스로 설정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계조값 G31이나 계조값 G63 등의 저계조측에서 DC 바이어스의 설정값은 -100㎷이며, 최대의 DC 바이어스의 설정값은 150㎷이지만, 구동부의 성능에 따라서 DC 바이어스의 설정이 변경되어도 좋다.
도면 중의 a2 및 a3, b2 및 b3, c2 및 c3의 각각은, 소부 판정 레벨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종축은 화면의 전체면에 고정의 체크 패턴을 계속해서 표시시킨 스트레스 시간이며, 횡축은 체크 패턴을 표시시킨 후에 화면 전체면에 평가 계조값(G31 및 G63)의 균일 화면을 표시시킨 완화 시간이다. 표의 값은, 각 시간에서의 소부 상태를 관찰자가 주관적으로 평가하였을 때의 판정 레벨의 평균값이며, 레벨 2는 소부가 현저하게 시인된 「열악」의 상태를 나타내고, 레벨 3은 소부가 시인된 「악화」의 상태를 나타내고, 레벨 4는 소부가 정면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거의 시인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고, 레벨 5는 소부가 전혀 관찰되지 않는 「양호」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a2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평가 계조 G63에서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3은 비교예에 있어서의 평가 계조 G31에서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트레스 시간이 30분(30m) 이상이 되면, 완화 시간에 관계없이 레벨 4 이상의 판정 레벨이 얻어지기 어려워지고, 스트레스 시간이 1시간(1H)을 초과하면, 완화 시간 관계없이 거의 레벨 4 이상의 판정 레벨이 얻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b2는 제1 실시예에서의 평가 계조 G63에서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3은 제1 실시예에서의 평가 계조 G31에서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트레스 시간이 30분(30m)이라도, 비교적 짧은 완화 시간에 레벨 4 이상의 판정 레벨이 얻어지기 쉬워지고, 스트레스 시간이 1시간(1H)을 초과해도, 대체로 비교예보다도 높은 판정 레벨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c2는 제2 실시예에서의 평가 계조 G63에서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3은 제2 실시예에서의 평가 계조 G31에서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트레스 시간이 1시간(1H) 이상이라도, 비교적 짧은 완화 시간에 레벨 4 이상의 판정 레벨이 얻어지고, 스트레스 시간이 1시간(1H)을 초과해도, 대체로 제1 실시예보다도 높은 판정 레벨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표시 품위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화소 전극(PE)의 슬릿(PSL)은 제2 방향(Y)과 평행한 장축을 갖도록 형성하였지만, 제1 방향(X)과 평행한 장축을 갖도록 형성해도 좋고,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에 교차하는 방향과 평행한 장축을 갖도록 형성해도 좋고, く자형에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특정 실시예들만이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예시로써 개시되었고, 본원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제로, 여기에 기술된 신규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여기서 기술된 실시예들의 생략, 대체 및 변경이 다양한 형태로 본원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행해질 수 있다. 첨부한 청구범위 및 그들의 균등물은 본원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의 그러한 형태 또는 변형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되었다.

Claims (15)

  1. 액티브 에어리어의 각 화소에 배치된 스위칭 소자와, 복수의 화소에 걸쳐서 배치된 공통 전극과,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각 화소에 배치된 화소 전극과, 제1 배향막을 구비한 제1 기판과,
    상기 제1 배향막과 대향하는 제2 배향막을 구비한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배향막과 상기 제2 배향막 사이에 보유 지지된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과,
    상기 화소에 표시시키는 계조에 따른 전압에 DC 바이어스를 걸어 상기 화소 전극에 공급하는 구동부로서,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된 백색 표시 상태에서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흑색 표시 상태보다도 높은 DC 바이어스를 거는 구동부
    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표시 상태에서의 DC 바이어스는 정극성인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백색 표시 상태를 포함하는 고계조측에서 계조값의 증가에 수반하여 DC 바이어스를 증가시키고, 상기 백색 표시 상태에서 최대의 DC 바이어스를 거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흑색 표시 상태를 포함하는 저계조측에서는 DC 바이어스를 제로(V)로 설정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흑색 표시 상태에 가까운 저계조측에서는 부극성의 DC 바이어스를 거는 액정 표시 장치.
  6. 액티브 에어리어의 각 화소에 배치된 스위칭 소자와, 복수의 화소에 걸쳐서 배치된 공통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상에 배치된 절연막과,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상기 절연막 상에서 각 화소에 배치되고 상기 공통 전극과 마주 보는 슬릿이 형성된 화소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을 덮는 제1 배향막을 구비한 제1 기판과,
    상기 제1 배향막과 대향하는 제2 배향막을 구비한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배향막과 상기 제2 배향막 사이에 보유 지지된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소에 표시시키는 계조에 따른 전압에 DC 바이어스를 걸어 상기 화소 전극에 공급할 때에,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된 백색 표시 상태에서,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흑색 표시 상태보다도 높은 DC 바이어스를 거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표시 상태에서의 DC 바이어스는 정극성인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C 바이어스는, 상기 백색 표시 상태를 포함하는 고계조측에서 계조값의 증가에 수반하여 증가하고, 상기 백색 표시 상태에서 최대값이 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C 바이어스는, 상기 흑색 표시 상태를 포함하는 저계조측에서는 제로(V)인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C 바이어스는, 상기 흑색 표시 상태에 가까운 저계조측에서는 부극성인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1. 액티브 에어리어의 각 화소에 배치된 스위칭 소자와, 복수의 화소에 걸쳐서 배치된 공통 전극과,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각 화소에 배치된 화소 전극과, 제1 배향막을 구비한 제1 기판과,
    상기 제1 배향막과 대향하는 제2 배향막을 구비한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배향막과 상기 제2 배향막 사이에 보유 지지된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소에 표시시키는 계조에 따른 전압에 DC 바이어스를 걸어 상기 화소 전극에 공급할 때에,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된 백색 표시 상태에서,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흑색 표시 상태보다도 높은 DC 바이어스를 거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표시 상태에서의 DC 바이어스는 정극성인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C 바이어스는, 상기 백색 표시 상태를 포함하는 고계조측에서 계조값의 증가에 수반하여 증가하고, 상기 백색 표시 상태에서 최대값이 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C 바이어스는, 상기 흑색 표시 상태를 포함하는 저계조측에서는 제로(V)인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C 바이어스는, 상기 흑색 표시 상태에 가까운 저계조측에서는 부극성인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30112734A 2012-09-26 2013-09-23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0406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12141 2012-09-26
JP2012212141A JP2014066874A (ja) 2012-09-26 2012-09-26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651A true KR20140040651A (ko) 2014-04-03

Family

ID=5033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734A KR20140040651A (ko) 2012-09-26 2013-09-23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18062B2 (ko)
JP (1) JP2014066874A (ko)
KR (1) KR201400406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8357A (ko) * 2014-11-14 2016-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5928B2 (ja) * 2012-12-27 2017-03-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WO2016021449A1 (ja) * 2014-08-05 2016-02-1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9922608B2 (en) 2015-05-27 2018-03-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display with charge accumulation tracker
KR20190047158A (ko) * 2017-10-25 2019-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6970Y1 (en) 1995-06-13 1998-05-15 Lg Electronics Inc After-image elimination circuit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
JP3745259B2 (ja) * 2001-09-13 2006-0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20050025446A (ko) 2003-09-08 2005-03-1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148400B1 (ko) * 2005-06-29 2012-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Ips 모드 액정표시소자
JP4367506B2 (ja) * 2007-03-07 2009-11-18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925371B2 (ja) * 2009-11-26 2012-04-25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5013554B2 (ja) * 2010-03-31 2012-08-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セントラル 液晶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8357A (ko) * 2014-11-14 2016-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66874A (ja) 2014-04-17
US20140085348A1 (en) 2014-03-27
US9318062B2 (en) 201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343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947214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gate sharing structur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90016591A (ko) 시야각 전환이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시야각 전환 방법
US825927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9666149B2 (en)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641958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01226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40040651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339533B2 (en) Vertical alignment mode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30434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60139462A1 (en)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US929310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48289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different polarity signals provided to pixel electrodes facing a transparent filter and a green filter
JP2010002504A (ja) 液晶表示装置
US843695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pairs of power source supply lines and a method for forming the same
JP2010256680A (ja) 液晶表示素子
JP5785867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83643A (ko) 액정 표시 장치
US1079665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JP3334714B1 (ja) 液晶表示装置
JP2007199577A (ja) 液晶表示装置
JP3334715B1 (ja) 液晶表示装置
KR101112561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60125275A (ko) 액정표시장치
JP2015225228A (ja) 液晶表示装置の最適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