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392A - 터미널 콘택트 - Google Patents

터미널 콘택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392A
KR20140040392A KR1020120106941A KR20120106941A KR20140040392A KR 20140040392 A KR20140040392 A KR 20140040392A KR 1020120106941 A KR1020120106941 A KR 1020120106941A KR 20120106941 A KR20120106941 A KR 20120106941A KR 20140040392 A KR20140040392 A KR 20140040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lastic
fixing
terminal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0745B1 (ko
Inventor
황용태
신철승
Original Assignee
(주)세윤
대일티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윤, 대일티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세윤
Priority to KR1020120106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745B1/ko
Publication of KR20140040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90)을 PCB(92)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콘택트(10)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10)는 상기 PCB(92)의 일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20); 상기 고정부(20)의 일단부에서 상부 및 고정부(20)의 타단부를 향해 만곡지게 형성되어 탄성력이 부여된 탄성힌지부(30); 상기 탄성힌지부(30)에서 고정부(20)의 타단부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힌지부(30)를 중심으로 고정부(20)와 근접되도록 또는 멀어지도록 탄성회동되는 탄성회동부(40); 및 상기 탄성회동부(40)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터미널(90)과 접하는 접점부(50);가 일체가 되도록 하나의 금속판을 절곡시켜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20)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고정부(20)와 탄성회동부(40) 및 접점부(5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S)의 개방된 양측면을 커버하는 측벽(7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콘택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터미널 콘택트{A terminal contact}
본 발명은 터미널 콘택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설치작업시 이물질 등의 삽입이 방지되어 형태변형 및 전기적특성 저하가 방지되어 제품불량률을 낮추며, 접촉저항을 줄여서 전기손실을 방지하고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탄성력 저하가 방지되어 접촉불량이 예방되고, 전자기기의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는 터미널 콘택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등의 전자제품에는 회로가 인쇄된 PCB가 케이스에 내장되는데, 버튼이나 스위치, 안테나 또는 배터리 등에 구비된 터미널은 별도의 콘택트에 의해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은 종래 이와 같은 콘택트의 일례를 도시한 것인데, 상기 콘택트(1)는 금속판을 절곡시켜 제작된 것으로, 도시안된 PCB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2)와, 이 고정부(2)의 일단부에서 만곡지게 접혀져서 탄성을 갖는 탄성부(4)와, 이 탄성부(4)에서 연장되며 외력에 의해 탄성부(4)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회동부(5)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동부(5)에는 한 번 더 절곡되어 도시안된 접점단자와 접촉되는 접점부(6)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접점부(6)가 접점단자에 의해 가압될 때 회동부(5)는 고정부(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려는 탄성복원력을 갖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접점부(6)가 고정부(2)쪽으로 반복가압됨에 따라 하중이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고 탄성부(4)에 집중되어 탄성부(4)가 찌그러지는 등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4)의 탄성복원력이 저하되어 터미널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었을 때 회동부(5)가 탄성복원되는 정도가 작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터미널과의 접촉저항이 커져서 전기적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콘택트(1)를 PCB에 설치하기 위해서, 고정부(2)의 양측면에 두 개의 체결편(3)을 절곡 형성하고, PCB에 체결편(3)이 삽입되는 통공을 형성해야 하는 등 제작이 불편한 문제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콘택트의 고정부(2)를 PCB에 솔더링하기도 하는데, 이 과정에서 솔더가 고정부(2)의 단부에서 탄성부(4)까지 전이되어 고화됨에 따라 탄성부(4)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접점부(6)의 회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터미널과 PCB간의 접촉불량이 발생되므로 전자기기의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콘택트(1)는 고정부(2)와 회동부(5) 및 점점부(6)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는 양측면 및 그 사이 일면이 개방되므로, 콘택트(1)의 설치 이전 및 이후의 공정에서 이물질이 투입되어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며, 다른 부품이나 공구 등이 삽입되어 콘택트(1)가 눌리면서 형태변형되는 문제가 있어 제품불량률이 높아지게 된다.
한국특허공보 제10-0442618호(2004. 7. 22)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이 간편하고 설치작업시 내측 공간으로 이물질 등의 유입이 방지되어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형태변형 등 파손이 방지되므로 제품불량률을 낮추어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탄성력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여 터미널과 PCB간의 접촉이 우수하면서도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서 전자제품의 두께를 슬림화시킬 수 있고, 설치시 탄성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어 터미널과 PCB간의 접촉불량이 방지되어 기기의 오작동이 방지되며, 터미널과의 접촉저항을 낮추어 전기적 손실이 최소화되므로 전기적 특성이 향상되는 터미널 콘택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터미널(90)을 PCB(92)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콘택트(10)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10)는,
상기 PCB(92)의 일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20);
상기 고정부(20)의 일단부에서 상부 및 고정부(20)의 타단부를 향해 만곡지게 형성되어 탄성력이 부여된 탄성힌지부(30);
상기 탄성힌지부(30)에서 고정부(20)의 타단부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힌지부(30)를 중심으로 고정부(20)와 근접되도록 또는 멀어지도록 탄성회동되는 탄성회동부(40); 및
상기 탄성회동부(40)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터미널(90)과 접하는 접점부(50);가 일체가 되도록 하나의 금속판을 절곡시켜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20)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고정부(20)와 탄성회동부(40) 및 접점부(5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S)의 개방된 양측면을 커버하는 측벽(7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콘택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측벽(80)의 일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이격공간(S)의 개방된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커버(8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콘택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점부(50)의 단부에서 고정부(20)쪽으로 절곡연장된 지지부(60)와, 이 지지부(60)의 단부에서 탄성회동부(40)쪽으로 절곡연장된 걸림돌기부(61)가 더 구비되고, 상기 측벽(70)의 일측 상단에는 상기 접점부(50)와 걸림돌기부(61) 사이에 배치되도록 수평절곡된 스토퍼돌기(73)가 더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부(61)가 스토퍼돌기(73)에 걸려져서 탄성회동부(40)가 고정부(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회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콘택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20)와 탄성힌지부(30)의 경계부위에 폭방향을 따라 인쇄된 띠 형상의 솔더레지스트(80)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20)를 PCB(92)에 솔더링할 때 솔더레지스트(80)에 의해 솔더(7)가 탄성힌지부(30)로 전이되는 것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콘택트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콘택트(10)의 고정부(20)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탄성회동부(40) 및 접점부(50)와 고정부(2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S)의 개방된 양측면을 커버하는 측벽(70)을 구비하여, 상기 이격공간(S)으로 이물질이나 다른 부품, 공구 등이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접점부(50)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공구 등과 접하면서 콘택트(10)가 형태변형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품불량률을 떨어뜨리고 콘택트(10)의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각 측벽(70)의 일단에서 상기 이격공간(S)의 개방된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커버(71)를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의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또한, 상기 터미널(90)이 측벽(70)의 스토퍼부(72)에 접하면서 탄성힌지부(30)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접점부(50) 및 탄성회동부(40)의 회동이 제한됨으로써, 탄성힌지부(30)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어 콘택트(10)의 형태변형 등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탄성힌지부(30)의 탄성복원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어 터미널(90)과 콘택트(10)의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전기적 손실이 최소화되므로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콘택트(10)의 접점부(50)에서 니은자 형상으로 절곡된 수평의 걸림돌기부(61)를 형성하고, 측벽(70)에서 수평절곡되어 상기 걸림돌기부(61)가 걸려지는 스토퍼돌기(73)를 형성함으로써, 즉 접점부(50)가 고정부(20)와 근접되게 회동될 때는 물론이고 고정부(20)와 멀어지게 회동될 때에도 회동반경이 제한되므로, 접점부(50)가 터미널(90)에 의해 가압 및 가압해제될 때, 접점부(50)가 고정부(20)와 일정간격을 항상 유지하게 되어, 콘택트(10)를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하더라도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서 휴대폰 등의 전자제품을 보다 슬림하게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탄성복원력이 우수하여 터미널(90)과의 접촉이 뛰어나서 전기적 손실이 최소화되므로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콘택트(10)의 고정부(20)와 탄성힌지부(30)의 경계부위에 폭방향을 따라 띠 형상의 솔더레지스트(80)를 인쇄하여, 고정부(20)를 PCB(92)에 솔더링할 때 솔더(7)가 솔더레지스트(80)에 의해 고정부(20)에서 탄성힌지부(30)로 전이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탄성힌지부(30)가 고정부(20)를 중심으로 회동되려는 탄성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어 터미널(90)과 PCB(92)간의 접촉불량 발생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의 오작동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터미널 콘택트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콘택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저면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콘택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콘택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및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콘택트는 터미널(90)을 PCB(92)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으로, 상기 PCB(92)의 일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20)와, 이 고정부(20)의 일단부에서 상부 및 고정부(20)의 타단부를 향해 만곡지게 형성된 탄성힌지부(30)와, 이 탄성힌지부(30)에서 고정부(20)의 타단부쪽으로 연장된 탄성회동부(40)와, 이 탄성회동부(40)의 단부에 구비되어 터미널(90)과 접하는 접점부(50)와, 이 접점부(50)의 단부에서 고정부(20)쪽으로 절곡된 지지부(60)와, 상기 고정부(20)의 폭방향 양단에서 상향 돌출된 한 쌍의 측벽(70)과, 상기 고정부(20)의 일단부에 형성된 솔더레지스트(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20), 탄성힌지부(30), 탄성회동부(40), 접점부(50) 및 지지부(60)는 띠 형상인 하나의 금속판을 만곡 또는 절곡시켜 제작하며, 상기 금속판은 만곡 또는 절곡된 상태에서 가해지는 외부압력에 대해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20)는 PCB(92)에 고정 설치되는 부분으로, 저면에 상측으로 오목한 복수개의 오목홈(21, 22)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복수개의 요홈(23, 24, 25)이 이격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0)는 납과 주석합금 등의 솔더(7)를 이용하여 PCB(92)에 솔더링하게 되는데, 상기 오목홈(21, 22)과 요홈(23, 24, 25)에 용융상태의 솔더(7)가 채워져서 응고됨에 따라, 솔더(7)가 응고되기 전에 고정부(20)가 용융상태인 솔더(7)의 상면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고정부(20)가 PCB(92)의 정위치에 좀 더 정교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탄성힌지부(30)는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도 2에서와 같이, 고정부(20)의 일단에서 상부 및 고정부(20)의 타단부쪽으로 만곡시킨 것으로, 대략 반원의 원호 형상으로 구부려서 제작한다.
상기 솔더레지스트(80)는 절연성을 갖으며 솔더링할 때 PCB(92)의 특정부위를 보호(마스크)하는 코팅층으로,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탄성힌지부(30)와 경계를 이루는 고정부(20)에 폭방향을 따라 인쇄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20)를 PCB(92)에 솔더링할 때 솔더(7)가 솔더레지스트(80)에 의해 탄성힌지부(30)로 전이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솔더(7)가 응고되면서 탄성힌지부(30)가 고정부(20)와 솔더(7)에 의해 일체화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탄성힌지부(30)가 고정부(20)를 중심으로 회동되려는 탄성력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상기 탄성회동부(40)는 탄성힌지부(30)에서 고정부(20)의 타단부쪽으로 연장되어 탄성힌지부(30)를 중심으로 고정부(20)와 근접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도 2 및 도 5의 (b)에서와 같이 탄성힌지부(30)에서 고정부(20)와 평행하게 연장된 평면회동부(41)와, 이 평면회동부(41)에서 고정부(20)의 타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회동부(4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부(20)의 일단에서 구부러진 탄성힌지부(30)에서 연장된 탄성회동부(40)의 단부에 접점부(50)와 연결되는 경사회동부(42)를 상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함으로써, 탄성힌지부(30)의 탄성복원력에 경사회동부(42)의 탄성복원력이 더해져서 접점부(50)에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이 향상된다.
상기 접점부(50)는 터미널(90)과 면접되는 부분으로, 상기 경사회동부(42)에서 고정부(20)의 타단쪽으로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된다. 한편, 상기 접점부(50)의 상면 중앙에는 하면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돌출면(51)을 형성하여 보강함으로써, 접점부(50)의 평탄도가 유지되어 터미널(90)과의 접촉면적이 좁아지는 것이 방지되어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60)는 상기 접점부(50)의 단부에서 고정부(20)를 향하도록 절곡 또는 만곡되어 수직연장된다.
그리고, 접점부(50) 및 탄성회동부(40)는 고정부(20)와 이격된 형태이므로 그 사이에 이격공간(S)이 형성되며, 탄성회동부(40)가 고정부(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된 평상시에 상기 이격공간(S)의 전면 및 양측면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한 쌍의 측벽(70)은 고정부(20)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이격공간(S)의 개방된 양측면을 커버하며, 일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격공간(S)의 개방된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커버(71)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콘택트(10) 설치 전후(前後)공정에서 상기 이격공간(S)에 이물질이나 다른 부품, 공구 등이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탄성회동부(40) 및 접점부(50)가 터미널(90)에 의해 가압되면서 삽입된 부품이나 공구 등에 의해 눌리면서 형태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품불량률이 떨어진다. 또한,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어 이물질로 인한 콘택트(10)의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측벽(70) 및 전면커버(71)도 상기 고정부(20)를 이루는 금속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이 금속판을 절곡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20), 탄성힌지부(30), 탄성회동부(40), 접점부(50), 지지부(60), 측벽(70) 및 전면커버(71)를 하나의 금속판을 만곡 또는 절곡시켜 제작하므로 제작이 매우 간편하다.
그리고, 상기 측벽(70)은 탄성회동부(40)가 고정부(20)와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도 한다. 즉, 접점부(50) 측방에 위치된 측벽(70)의 상단면이 스토퍼부(72)를 형성하며, 이 스토퍼부(72)는 도 5에서와 같이 탄성회동부(40)가 고정부(20)로 근접되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부(72)의 위치가 접점부(50)와 동일하거나 약간 낮게 형성함으로써, 터미널(90)이 접점부(50)를 점점 가압하면서 측벽(70)의 스토퍼부(72)의 상면에 접하게 되면 터미널(90)이 접점부(50)를 더 이상 가압할 수 없으므로 탄성회동부(40)의 회동이 제한된다.
도 4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콘택트의 사용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안된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PCB(92)에 콘택트(10)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를 덮는 커버(91)에 내장 안테나와 같은 터미널(90)이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한편, 상기 터미널(90)은 커버(91)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배터리, 스위치, USB모듈, PCB 등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부품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콘택트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의 (a)에서와 같이, 터미널(90)이 콘택트(10)의 접점부(50)를 가압하게 되면, 접점부(50)와 탄성회동부(40)는 탄성힌지부(30)를 중심으로 고정부(20)와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터미널(90)이 측벽(70)의 스토퍼부(72)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탄성회동부(40)의 회동이 멈추게 된다. 이에 따라, 접점부(50)가 고정부(20)와 더 근접되도록 회동되는 것이 제한되므로, 접점부(50)가 계속적으로 가압됨에 따라 경사회동부(42)와 지지부(60)가 찌그러지는 등 콘택트(1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5의 (b)에서와 같이, 접점부(50)를 가압하던 터미널(90)이 PCB(92)에서 멀어지게 되면, 접점부(50)와 탄성회동부(40)는 탄성힌지부(30)를 중심으로 고정부(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콘택트의 작동을 보인 측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10)는 접점부(50)가 터미널(90)에 의해 가압되어 지지부(60)의 단부에서 탄성회동부(40)쪽으로 절곡 연장된 걸림돌기부(61)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측벽(70)의 스토퍼부(72)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돌출되어 상기 접점부(50)와 걸림돌기부(61) 사이에 배치되는 스토퍼돌기(73)가 더 형성된다.
따라서, 접점부(50)가 걸림돌기부(73)에 의해 고정부(20)와 근접되게 회동될 때 회동반경을 제한될 뿐만 아니라 고정부(20)와 멀어지게 회동될 때에도 회동반경이 제한됨으로써, 터미널 콘택트(10)를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하더라도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서 휴대폰 등의 전자제품을 보다 슬림하게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탄성복원력이 우수하여 터미널(90)과의 접촉이 보다 뛰어나서 전기적 손실이 최소화되므로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터미널(90)을 PCB(92)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콘택트(10)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10)는,
    상기 PCB(92)의 일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20);
    상기 고정부(20)의 일단부에서 상부 및 고정부(20)의 타단부를 향해 만곡지게 형성되어 탄성력이 부여된 탄성힌지부(30);
    상기 탄성힌지부(30)에서 고정부(20)의 타단부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힌지부(30)를 중심으로 고정부(20)와 근접되도록 또는 멀어지도록 탄성회동되는 탄성회동부(40); 및
    상기 탄성회동부(40)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터미널(90)과 접하는 접점부(50);가 일체가 되도록 하나의 금속판을 절곡시켜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20)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고정부(20)와 탄성회동부(40) 및 접점부(5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S)의 개방된 양측면을 커버하는 측벽(7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콘택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80)의 일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이격공간(S)의 개방된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커버(8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콘택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50)의 단부에서 고정부(20)쪽으로 절곡연장된 지지부(60)와, 이 지지부(60)의 단부에서 탄성회동부(40)쪽으로 절곡연장된 걸림돌기부(61)가 더 구비되고, 상기 측벽(70)의 일측 상단에는 상기 접점부(50)와 걸림돌기부(61) 사이에 배치되도록 수평절곡된 스토퍼돌기(73)가 더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부(61)가 스토퍼돌기(73)에 걸려져서 탄성회동부(40)가 고정부(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회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콘택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와 탄성힌지부(30)의 경계부위에 폭방향을 따라 인쇄된 띠 형상의 솔더레지스트(80)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20)를 PCB(92)에 솔더링할 때 솔더레지스트(80)에 의해 솔더(7)가 탄성힌지부(30)로 전이되는 것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콘택트.
KR1020120106941A 2012-09-26 2012-09-26 터미널 콘택트 KR101400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941A KR101400745B1 (ko) 2012-09-26 2012-09-26 터미널 콘택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941A KR101400745B1 (ko) 2012-09-26 2012-09-26 터미널 콘택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392A true KR20140040392A (ko) 2014-04-03
KR101400745B1 KR101400745B1 (ko) 2014-05-29

Family

ID=5065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941A KR101400745B1 (ko) 2012-09-26 2012-09-26 터미널 콘택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7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357B1 (ko) * 2014-04-15 2014-11-14 주식회사 포콘스 내장형 안테나 접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5882B2 (ja) * 1995-02-03 2003-01-14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端子の半田上がり防止構造
JP3605564B2 (ja) * 2000-12-28 2004-12-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接続用端子及びこの端子の回路基板への取付け方法
JP4658508B2 (ja) * 2004-03-31 2011-03-2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用端子
KR101139489B1 (ko) * 2010-09-02 2012-05-02 에더트로닉스코리아 (주) 휴대폰용 접속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357B1 (ko) * 2014-04-15 2014-11-14 주식회사 포콘스 내장형 안테나 접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745B1 (ko) 201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1666B2 (ja)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784598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TWI632740B (zh) Electrical connector
TWI483491B (zh) 附開關之同軸連接器
US726156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40208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ing shell
EP2822102B1 (en) Electrical connector
JP4348725B2 (ja) 電子部品取付用ソケット
EP3226355B1 (en) Contact
KR101366212B1 (ko) 터미널 콘택트
JP4591855B2 (ja) 電子部品取付け用ソケット
US20070010121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400747B1 (ko) 터미널 콘택트
KR101400745B1 (ko) 터미널 콘택트
JP2010219014A (ja) 電気コネクタ
US9305720B2 (en) Electrical signal switch connector structure
JP4937418B2 (ja) 電子機器
US20180062288A1 (en) Contact and connector
KR101381612B1 (ko) 터미널 콘택트
JP4800404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316546B1 (ko) 터미널 콘택트
WO2015190181A1 (ja)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KR100919950B1 (ko) 심카드 커넥터
JP6055157B2 (ja) 押釦スイッチ
JP2012216317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