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384A -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384A
KR20140040384A KR1020120106920A KR20120106920A KR20140040384A KR 20140040384 A KR20140040384 A KR 20140040384A KR 1020120106920 A KR1020120106920 A KR 1020120106920A KR 20120106920 A KR20120106920 A KR 20120106920A KR 20140040384 A KR20140040384 A KR 20140040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rganic
antiglare layer
forming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봉
김운기
정병선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6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0384A/ko
Publication of KR20140040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38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8K5/19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4급 고분자 암모늄염, 반응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유기 양자성 용제 및 유기 비양자성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 양자성 용제와 유기 비양자성 용제가 2:8 내지 4:6중량비로 혼합된 용제를 사용함으로써, 4급 암모늄염 응집부를 쉽게 형성킬 수 있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 {COMPOSITION FOR FORMING ANTI-GLARE COAT LAYER,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표시장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전계발광(EL) 표시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 등이 있다.
이러한 각종 화상표시장치는 자연광 또는 조명광 등의 외부 빛에 노출되는 경우, 화상표시장치의 표면으로 입사한 빛이 반사되면서 콘트라스트가 저하되고, 이미지 반사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된다. 뿐만 아니라 화면이 눈부시게 되고 문자 인식이 어려워 쉽게 눈의 피로감을 증가시키거나 두통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표면 돌출부에 의해 빛의 난반사를 유도하여 빛의 반사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각종 화상표시장치의 표면에 배치되는 방현 필름이 주로 사용되었다.
방현 필름은 투명기재필름의 표면에 실리카 또는 수지 비드와 같은 충전재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를 적용함으로써 형성되는데, 적용되는 수지에 따라 실리카 등의 응집에 의해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것과, 적용되는 수지 필름의 두께보다 입자 직경이 큰 유기 충전재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표면 요철이 형성된 것이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154,807호에는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이 기재 상에 도포되면 두 성분이 SP(solubility parameter) 차이로 인한 상분리를 일으켜 표면에 랜덤한 요철을 갖는 수지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현층 형성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SP 차이는 0.5 이상인 경우 효과적인 상분리가 일어난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따른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중 제 1 성분과 제 2 성분간의 SP 차이가 0.5 이상인 경우에만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용도가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의 SP(solubility parameter) 차이에 제약 받음이 없이, 양자성 용제 및 비양자성 용제의 혼합비율의 조절만으로 4급 암모늄염 응집부를 형성할 수 있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4급 고분자 암모늄염, 반응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유기 양자성 용제 및 유기 비양자성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 양자성 용제와 유기 비양자성 용제는 2:8 내지 4:6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기 양자성 용제와 유기 비양자성 용제는 3:7 내지 4:6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양자성 용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메틸글리콜, 메틸글리콜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뷰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비양자성 용제는 톨루엔, 크실렌, 벤젠,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4급 고분자 암모늄염은 수평균 분자량이 400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개시제, 항산화제, UV 흡수제, 광안정제, 레벨링제, 계면활성제 및 방오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방현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방현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및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장치는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 음극관 표시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터치 패널식 입력 장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내에서는 4급 고분자 암모늄염이 응집을 일으키지 않아, 방현 필름 제조시 우수한 코팅성을 제공하고, 또한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현 필름은 방현층에 투과되는 빛을 균일하게 산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양자성 용제 및 비양자성 용제의 혼합비율의 조절만으로 4급 고분자 암모늄염 응집부를 효과적이고 간편하게 생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4급 고분자 암모늄염, 반응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유기 양자성 용제 및 유기 비양자성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 양자성 용제와 유기 비양자성 용제의 혼합 중량비는 2:8 내지 4:6인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이다. 각 구성 성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4급 고분자 암모늄염은 방현층에서 응집부를 형성하여, 방현층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상에서는 4급 고분자 암모늄염은 응집되지 않고 용해되어 있으나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이 도포단계, 경화단계를 거쳐 기재 상에 방현층을 형성하게 될 때 응집현상을 일으킨다. 이는 4급 고분자 암모늄염이 양자성 용제에는 안정화되고, 비양자성 용제에는 불안정화 되기 때문이다.
4급 고분자 암모늄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수평균 분자량이 4000 이상인 고분자형 4급 암모늄염을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형 4급 암모늄염으로는 시판되는 것으로서 소켄사의 PQ-10, PQ-50 등을 들 수 있다.
4급 고분자 암모늄염은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의 아크릴레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0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급 암모늄염의 함량이 상기 기준으로 0.5중량부 미만이면 방현층 표면에 요철이 충분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50중량부를 초과하면 필름이 백화현상을 일으켜 투과율이 저하될 수 있다.
반응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방현층의 경도 및 내크스래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반응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광경화 타입의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는 (1) 1종 이상의 반응형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하거나, (2) 1종 이상의 반응형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사용하거나, (3) 상기 올리고머와 모노머를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1) 반응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임의 중합반응, 블록 중합반응, 그래프트 중합반응 등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분자 내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과 분자 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적정 당량비로 반응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자 내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은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옥시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로일에틸이소시아네이트, 메타아크릴로일에틸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의 트라이머, 1,4-디이소시아나토부탄,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8-디이소시아나토옥탄, 1,12-디이소시아나토데칸, 1,5-디이소시아나토-2-메틸펜탄, 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트랜스-1,4-시클로헥센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메틸-2,4-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위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콜계 화합물 1몰에 위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몰을 반응시킨 부가체; 위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몰을 자기 축합시킨 이소시아누레이트체; 위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몰 중 2몰로부터 얻어지는 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아에 나머지 1몰의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축합된 뷰렛체 등 일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자 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 일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2) 반응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응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모노머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릭에스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클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클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네올(메타)아크릴레이트로 등 일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용제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점도를 조절하여 코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4급 고분자 암모늄염의 응집현상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4급 고분자 암모늄염의 응집현상에 중요하게 관여하는 요소는 양자성 용제와 유기 비양자성 용제의 혼합 비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유기 양자성 용제와 유기 비양자성 용제가 혼합된 것을 사용하고, 상기 유기 양자성 용제와 유기 비양자성 용제의 혼합 중량비는 2:8 내지 4:6여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4:6일 수 있다.
유기 양자성 용제는 수소공여성기를 가지고 있어 4급 고분자 암모늄염을 안정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반면 유기 비양자성 용제는 수소공여성기를 가지고 있지 않아 4급 고분자 암모늄염의 안정화를 억제한다.
따라서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내에 유기 양자성 용제의 상기 함량비보다 높은 경우, 4급 고분자 암모늄염의 안정성이 높아져서 방현층 형성시 응집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방현층의 표면에 요철도 형성되지 않는다.
반면 유기 비양자성 용제의 함량이 상기 함량비보다 높은 경우, 4급 고분자 암모늄염의 안정성은 낮아지고,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내에서 응집현상이 일어나 조성물에 침전물이 형성되고, 탁도가 증가하며, 코팅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침전물이 형성된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방현층을 형성할 경우 코팅층의 표면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유기 양자성 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서 공지된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메틸글리콜, 메틸글리콜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메틸셀로솔브),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에틸셀로솔브), 에틸렌글리콜모노뷰틸에테르(뷰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등의 알코올 계열 또는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등의 카르복실산 계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비양자성 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서 공지된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톨루엔, 크실렌, 벤젠 등의 방향족 화합물,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테이트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양자성 용제의 다이폴 모멘트는 3.0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폴 모멘트가 3.0 이하인 비양자성 용제는 4급 고분자 암모늄염과의 상용성이 떨어져,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내에서 4급 고분자 암모늄염끼리의 응집 현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개시제, 항산화제, UV 흡수제, 광안정제, 레벨링제, 계면활성제 및 방오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온-1, 디페닐케톤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페닐-1-온, 4-히드록시시클로페닐케톤, 디메톡시-2-페닐아테토페논, 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크놀로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페논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방현성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방현층을 포함하는 방현 필름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투명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시킨 다음 건조하여 4급 고분자 암모늄염의 응집에 의해 표면요철을 형성시킨 후 경화시켜 형성된 방현층을 구비한다.
상기 투명기재는 투명성이 있는 필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투명기재는 노르보르넨이나 다환 노르보르넨계 단량체와 같은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단위를 갖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들, 셀룰로오스(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에폭시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미연신, 1축 또는 2축 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1축 또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투명성 및 광학적으로 이방성이 없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명기재의 두께는 8~1000㎛ 정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40~100㎛일 수 있다.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투명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다이코터, 에어 나이프, 리버스 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캐스팅, 그라비아, 스핀코팅 등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기재 상에 도포된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두께는 3~5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5~30㎛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5㎛일 수 있다.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의 건조 단계는 30~150℃의 온도에서 10초~1시간, 바람직하게는 30초~1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 단계는 광경화일 수 있으며, 이 때 UV광의 조사량은 약 0.01~10J/cm2, 바람직하게는 0.1~2J/cm2일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거쳐 제조된 방현층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방현성을 나타내게 되고, 이 방현층을 포함하는 방현 필름은 편광판 또는 표시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현 필름이 구비된 편광판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편광판은 통상의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현 필름을 적층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적어도 일면에 보호필름이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현 필름이 구비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일례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현 필름이 부착된 편광판을 표시 장치에 내장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표시 장치의 윈도우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 음극관 표시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터치 패널식 입력 장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부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과 함량(중량%)을 가지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중량%)
4급 고분자암모늄염 반응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레벨링제 개시제 유기 양성자 용제/
유기 비양성자 용제
(용제의 비율)
실시예1 8 29.7 0.3 2 IPA : 24 / EA : 36
(40 : 60)
실시예2 8 29.7 0.3 2 아세트산 : 24 /EA : 36
(40 : 60)
실시예3 8 29.7 0.3 2 IPA : 18 / EA : 42
(30 : 70)
실시예4 8 29.7 0.3 2 PGME : 18 / EA : 42
(30 : 70)
실시예5 8 29.7 0.3 2 IPA : 18 / BA : 42
(30 : 70)
실시예6 8 29.7 0.3 2 PGME : 18 / BA : 42
(30 : 70)
실시예7 8 29.7 0.3 2 EC : 18 / BA : 42
(30 : 70)
실시예8 8 29.7 0.3 2 EC : 12 / EA : 48
(20 : 80)
실시예9 8 29.7 0.3 2 아세트산 : 12 /EA : 48
(20 : 80)
비교예1 8 29.7 0.3 2 - / EA : 60
(0 : 100)
비교예2 8 29.7 0.3 2 - / BA : 60
(0 : 100)
비교예3 8 29.7 0.3 2 - / DMC : 60
(0 : 100)
비교예4 8 29.7 0.3 2 IPA : 6 / EA : 54
(10 : 90)
비교예5 8 29.7 0.3 2 PGME : 6 / EA : 54
(10 : 90)
비교예6 8 29.7 0.3 2 IPA : 30 / EA : 30
(50 : 50)
비교예7 8 29.7 0.3 2 IPA : 30 / EA : 30
(50 : 50)
- 4급 고분자 암모늄염: 1SX-1055 제품
- 아크릴레이트 수지: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헥사아크릴레이트(DPHA, NK사)
- 레벨링제: 실리콘 변성 오일계(BYK사, BYK-UV3530제품)
- 광개시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바스프사, I-184 제품)
- 유기 양성자 용제: 이소프로필알코올(IPA, 삼전순약사),
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메틸에테르(PGME, 한농화성사),
2-에톡시에탄올(EC, 한농화성사),
아세트산(시그마알드리치사)
- 유기 비양성자 용제: 에틸아세테이트(EA, 삼전순약사),
부틸아세테이트(BA, 대정화금사),
다이메틸카보네이트(DMC, 이그잭스사)
제조예 2 : 투명기재 일면에 방현층이 형성된 방현 필름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60㎛ 두께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TAC) 필름 위에 마이어바로 도포한 다음, 80℃에서 1분간 건조시키고, 400mJ/cm2 의 자외선을 이용해 광경화 시켜, 두께가 6 ㎛인 방현층이 형성된 방현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및 방현층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방현층 형성 조성물 내 침전물 형성 여부 관찰
제조예 1에서 제작된 방현층 형성 조성물을 20mL 투명 바이알병에 적재한 다음 침전물 형성 여부를 목시 관찰하였다.
- 평가방법 -
침전물 X : 조성물 내 침전물이 발견되지 않음.
침전물 O : 조성물 내 침전물이 발견됨.
(2) 방현층 형성 조성물의 탁도 평가
제조예 1에서 제작된 방현층 형성 조성물을 라운드 셀에 방현층 형성 조성물을 적재한 다음 스펙트로 포토미터(니폰덴소쿠사, SE-2000 제품)를 이용하여 하젠 색수(AHPA)를 측정하였다.
조성물이 탁할수록 하젠 색수(AHPA)가 높아지며, 조성물이 투명할수록 하젠 색수(AHPA)가 낮아진다.
(3) 방현 필름의 방현성능 목시 평가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방현 필름의 방현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방현층에 검은색 아크릴판을 접합한 다음, 삼파장 스탠드 불빛을 방현층 표면에서 반사시켜 스탠드 빛의 형상이 뚜렷이 보이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 평가방법 -
방현성 ○: 스탠드 빛의 형상이 뭉그러져 시인됨
방현성 X : 스탠드 빛의 형상이 선명하게 시인됨
(4) 방현 필름의 확산 반사율 측정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방현 필름의 방현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방현층에 검은색 아크릴판을 접합한 다음, 스펙트로 포토미터(코니카 미놀타사, CM-3700d제품)를 이용하여 방현층 표면의 적분구 반사율 중 확산 반사율(SCE)을 측정하였다. 상기 확산 반사율(SCE)은 ISO기준 d/8 구조로 측정하였으며, 광원은 펄스 제논 램프, 6인치 적분구를 이용하여 360nm에서 740nm까지 10nm간격으로 SCE법으로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파장에 따라 측정된 반사율은 CIE 1931 standard colorimetric system에 의해 계산한 Y수치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방현성능이 좋을수록 확산반사율(SCE) 수치가 증가하며, 방현성이 존재하지 않을 시 SCE 수치가 낮아진다.
구분 방현층 형성 조성물 방현층
침전물 발생 여부 하젠 색수
(AHPA)
방현성
목시 평가
확산 반사율 (%)
실시예1 X 12 0.26
실시예2 X 16 0.30
실시예3 X 12 0.27
실시예4 X 13 0.28
실시예5 X 15 0.29
실시예6 X 14 0.29
실시예7 X 10 0.30
실시예8 X 13 0.31
실시예9 X 14 0.30
비교예1 - - -
비교예2 - - -
비교예3 - - -
비교예4 X 134 - -
비교예5 X 138 - -
비교예6 12 X 0.19
비교예7 14 X 0.19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방현층 형성 조성물 내 침전물이 발생되어 하젠 색수를 측정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1 내지 5은 코팅시 방현층의 표면 불량이 심하여 방현성 평가를 실시하지 않았다.

Claims (10)

  1. 4급 고분자 암모늄염, 반응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유기 양자성 용제 및 유기 비양자성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 양자성 용제와 유기 비양자성 용제는 2:8 내지 4:6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 양자성 용제와 유기 비양자성 용제는 3:7 내지 4:6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 양자성 용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메틸글리콜, 메틸글리콜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뷰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 비양자성 용제는 톨루엔, 크실렌, 벤젠,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4급 고분자 암모늄염은 수평균 분자량이 40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개시제, 항산화제, UV 흡수제, 광안정제, 레벨링제, 계면활성제 및 방오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방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 필름.
  8. 청구항 7의 방현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9. 청구항 7의 방현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 음극관 표시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터치 패널식 입력 장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120106920A 2012-09-26 2012-09-26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 KR201400403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920A KR20140040384A (ko) 2012-09-26 2012-09-26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920A KR20140040384A (ko) 2012-09-26 2012-09-26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384A true KR20140040384A (ko) 2014-04-03

Family

ID=50650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920A KR20140040384A (ko) 2012-09-26 2012-09-26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03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3149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透過型液晶ディスプレイ
EP3315305B1 (en) Anti-reflective film
US20100253886A1 (en) Polarizing film including antistatic coating layer
EP3951452A1 (en) Anti-reflection circular polaris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KR20120129643A (ko) 방현성 반사방지 코팅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성 반사방지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
JP6453762B2 (ja) 防眩フィルム及びこれを具備した偏光板
JP2012247779A (ja) 防眩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偏光板、並びに表示装置
KR101915284B1 (ko)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1546098B1 (ko)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2012241194A (ja) 水系型導電性高分子分散体、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帯電防止ハードコーティング組成物、帯電防止フィルム、偏光板並びに表示装置
KR20130048298A (ko) 하드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20024211A (ko)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2013105178A (ja) 帯電防止防眩性反射防止コーティング組成物、これを用いた帯電防止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表示装置
KR20110114304A (ko) 방현성 하드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60150335A (ko) 부착력이 우수한 반사방지필름
KR20110060037A (ko)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40040384A (ko)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
KR20110124086A (ko) 방현성 하드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10013753A (ko)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20009608A (ko) 방현성 하드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70070558A (ko)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20130051230A (ko) 방현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40091789A (ko) 방현성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방현 필름 및 편광판
KR20140045788A (ko)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
KR20160095869A (ko) 방현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