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061A -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061A
KR20140040061A KR1020130157421A KR20130157421A KR20140040061A KR 20140040061 A KR20140040061 A KR 20140040061A KR 1020130157421 A KR1020130157421 A KR 1020130157421A KR 20130157421 A KR20130157421 A KR 20130157421A KR 20140040061 A KR20140040061 A KR 20140040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inger
touch panel
touche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현
Original Assignee
유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동현 filed Critical 유동현
Priority to KR1020130157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0061A/ko
Publication of KR20140040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한 개의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입력터치패널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되, 사용자가 입력터치패널(10)의 어느 부분을 먼저 한 손가락만으로 터치한 후 떼었다가 보다 위쪽을 다시 터치하면 검출된 터치 지점에 따라 제어부(20)가 디스플레이부(30)에 신호를 보내 먼저 터치한 부위가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화면을 확대시키는 단계; 또는 사용자가 입력터치패널(10)의 어느 부분을 먼저 한 손가락만으로 터치한 후 떼었다가 보다 아래쪽을 다시 터치하면 검출된 터치 지점에 따라 제어부(20)가 디스플레이부(30)에 신호를 보내 먼저 터치한 부위가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화면을 축소시키는 단계;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손가락 하나 또는 두 개로 각종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메뉴의 설정 제어 및 화면의 크기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operational method of user interface for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 하나 또는 두 개로 각종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메뉴의 설정 제어 및 화면의 크기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손으로 접촉(touch)하면 그 위치를 입력받도록 하는 특수한 입력장치를 장착한 화면을 말한다.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자료를 받을 수 있게 한 화면을 말한다.
터치스크린은 일반 모니터의 화면에 터치패널(touch panel)이라는 장치를 덧붙여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터치패널은 좌우상하로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이 흐르게 하여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손끝이나 기타 물체로 이 격자에 접촉하면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터치패널을 장착한 화면에 미리 나타낸 문자나 그림 정보를 손으로 접촉하면, 접촉한 화면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명령을 컴퓨터로 처리하도록 하여, 아주 쉽게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이러한 특성 때문에 대중들이 많이 이용하는 장소 즉, 지하철, 백화점, 은행 등의 장소에서 안내용 소프트웨어에 많이 이용되며, 각종 점포에서 판매용 단말기에도 많이 응용될 뿐만 아니라, 일반 업무용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는 사용자 접촉. 컴퓨터 또는 컴퓨터 단말기와 사용자가 대화를 하기 위한 접촉이다. 이 접촉에는 키보드나 마우스, 디스플레이 등의 입출력을 통해서 하는 소프트웨어적 접촉과 디스플레이의 휘도(輝度)나 모양, 키보드의 배열, 의자의 높이 등 인간 공학적인 물리적 접촉이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소프트웨어적 접촉을 말하는 경우가 많다. 제아무리 기능이 좋은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도 사용자 접촉이 나쁘면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상품 가치가 월등히 떨어진다.
상기와 같이 유용한 터치스크린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기술이 종래에도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수가 출원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운용방법이 어렵고 까다로워서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특히 종래의 기술은 디스플레이 화면창을 확대 또는 축소시에 두 손가락을 가지고 오무렸다 펼쳤다 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많은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또한 엄지 손가락이 없는 장애인의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더하여 종래 기술은 여러 매뉴를 방향별로 배치하거나 색상 또는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대한민국 등허등록 제0874731호(출원번호 제2007-0038892호)(명칭: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이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28465호(출원번호 제2009-0014164호)(명칭: 포인터의 드래그 방향에 따른 문자 또는 메뉴입력 방법)가 출원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36289호(출원번호 제2009-0054570호)(명칭: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가 출원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06547호(출원번호 제2009-0064240호)(명칭: 터치 궤적에 따라 메뉴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가 출원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입력터치패널과 제어부 그리고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손가락 하나 또는 두 개로 각종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메뉴의 설정 제어 및 화면의 크기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사용자가 메뉴의 전체적인 구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원하는 기능 메뉴를 신속하게 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이 없는 장애인이라도 손쉽게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한 개의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입력터치패널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되, 사용자가 입력터치패널의 어느 부분을 먼저 한 손가락만으로 터치한 후 떼었다가 보다 위쪽을 다시 터치하면 검출된 터치 지점에 따라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에 신호를 보내 먼저 터치한 부위가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화면을 확대시키는 단계; 또는 사용자가 입력터치패널의 어느 부분을 먼저 한 손가락만으로 터치한 후 떼었다가 보다 아래쪽을 다시 터치하면 검출된 터치 지점에 따라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에 신호를 보내 먼저 터치한 부위가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화면을 축소시키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입력터치패널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되, 사용자가 입력터치패널의 확대하고픈 부위를 먼저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한 후 떼었다가 보다 위쪽을 검지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검출된 터치 지점에 따라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에 신호를 보내 먼저 터치한 부위가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확대시키는 단계; 또는 사용자가 입력터치패널의 축소하고픈 부위를 먼저 검지 손가락으로 터치한 후 떼었다가 보다 아래쪽을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검출된 터치 지점에 따라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에 신호를 보내 먼저 터치한 부위가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화면을 축소시키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터치패널과 제어부 그리고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손가락 하나 또는 두 개로 각종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메뉴의 설정 제어 및 화면의 크기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메뉴의 전체적인 구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원하는 기능 메뉴를 신속하게 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이 없는 장애인이라도 손쉽게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을 이루
기 위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의 제1
실시예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의 제2
실시예 설명도.
본 발명에 적용된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화면을 터치하면 이를 인식하는 입력터치패널(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터치패널(10)에는 입력된 검출 정보를 저장 및 인식한 후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에는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화면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가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단말기용 터치스크린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기기 이외에도 지하철 역사 등의 전자지도 기기, 현금자동인출기(ATM), 공공장소에 설치된 키오스크(kiosk, 정보전달) 기기, 극장 등의 자동발권기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손가락 하나로 각종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메뉴의 설정 제어 및 화면의 크기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운용방법을 도 2 를 보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입력터치패널(10)의 어느 부분㉠을 한 손가락으로 터치한 후 떼었다가 보다 위쪽㉡을 다시 터치하면 검출된 터치 지점에 따라 제어부(20)가 디스플레이부(30)에 신호를 보내 먼저 터치한 부위가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화면을 확대시키게 된다.
또는 사용자가 입력터치패널(10)의 어느 부분㉡을 한 손가락으로 터치한 후 떼었다가 보다 아래쪽㉠을 다시 터치하면 검출된 터치 지점에 따라 제어부(20)가 디스플레이부(30)에 신호를 보내 먼저 터치한 부위가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화면을 축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간단한 손가락 하나의 두 번 터치 조작에 의해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운용방법을 도 3 을 보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입력터치패널(10)의 확대하고픈 부위㉠를 먼저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한 후 떼었다가 보다 위쪽㉡을 검지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검출된 터치 지점에 따라 제어부(20)가 디스플레이부(30)에 신호를 보내 먼저 터치한 부위가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확대시키게 된다.
또는 사용자가 입력터치패널(10)의 축소하고픈 부위㉡를 먼저 검지 손가락으로 터치한 후 떼었다가 보다 아래쪽㉠을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검출된 터치 지점에 따라 제어부(20)가 디스플레이부(30)에 신호를 보내 먼저 터치한 부위가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화면을 축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엄지와 검지 간단한 터치 조작에 의해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입력터치패널
20: 제어부
30: 디스플레이부

Claims (2)

  1. 한 개의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입력터치패널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되,
    사용자가 입력터치패널(10)의 어느 부분을 먼저 한 손가락만으로 터치한 후 떼었다가 보다 위쪽을 다시 터치하면 검출된 터치 지점에 따라 제어부(20)가 디스플레이부(30)에 신호를 보내 먼저 터치한 부위가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화면을 확대시키는 단계;
    또는 사용자가 입력터치패널(10)의 어느 부분을 먼저 한 손가락만으로 터치한 후 떼었다가 보다 아래쪽을 다시 터치하면 검출된 터치 지점에 따라 제어부(20)가 디스플레이부(30)에 신호를 보내 먼저 터치한 부위가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화면을 축소시키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
  2. 두 개의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입력터치패널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되,
    사용자가 입력터치패널(10)의 확대하고픈 부위를 먼저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한 후 떼었다가 보다 위쪽을 검지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검출된 터치 지점에 따라 제어부(20)가 디스플레이부(30)에 신호를 보내 먼저 터치한 부위가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확대시키는 단계;
    또는 사용자가 입력터치패널(10)의 축소하고픈 부위를 먼저 검지 손가락으로 터치한 후 떼었다가 보다 아래쪽을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검출된 터치 지점에 따라 제어부(20)가 디스플레이부(30)에 신호를 보내 먼저 터치한 부위가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화면을 축소시키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
KR1020130157421A 2013-12-17 2013-12-17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 KR20140040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421A KR20140040061A (ko) 2013-12-17 2013-12-17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421A KR20140040061A (ko) 2013-12-17 2013-12-17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883A Division KR20140039569A (ko) 2012-09-24 2012-09-24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061A true KR20140040061A (ko) 2014-04-02

Family

ID=50650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421A KR20140040061A (ko) 2013-12-17 2013-12-17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00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4375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KR101328202B1 (ko) 제스처 입력을 통한 기능 수행 명령실행 방법 및 장치
EP2808781A1 (en)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or mirroring screen data
EP2657811A1 (en) Touch input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touch input control method
US20140015785A1 (en) Electronic device
US20120013645A1 (en) Display and method of displaying icon image
JP200915171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2015018603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4423836B (zh) 信息处理装置
TW201421340A (zh) 一種放大影像的電子裝置與方法
JP6439266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有する電子装置におけるテキスト入力方法及び装置
JP519753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2014010158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N110708527A (zh) 图像显示装置、图像显示装置的图像显示方法及存储介质
KR20160004590A (ko)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전자 장치
JP2009098990A (ja) 表示装置
JP201401674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6126363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に入力する方法、携帯式電子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144178B2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for mobile terminal on the basis of user touch and hold time
JP6392573B2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US9870147B2 (en) Touch control method in mobile terminal having large screen
KR101467144B1 (ko) 원형 터치 입력에 의한 3차원 페이지화면 전환 방법
KR20140039569A (ko)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
US10275084B2 (en) Touch control method in mobile terminal having large screen
KR20140040061A (ko) 터치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