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978A -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978A
KR20140039978A KR1020130094019A KR20130094019A KR20140039978A KR 20140039978 A KR20140039978 A KR 20140039978A KR 1020130094019 A KR1020130094019 A KR 1020130094019A KR 20130094019 A KR20130094019 A KR 20130094019A KR 20140039978 A KR20140039978 A KR 20140039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onductive
touch screen
electrode patter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석
장원영
전지민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TW102128659A priority Critical patent/TW201413534A/zh
Priority to CN201310365071.7A priority patent/CN103677390A/zh
Priority to US13/971,856 priority patent/US20140087064A1/en
Publication of KR20140039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윈도우판 일면의 비표시부에 비전도성 패턴을 옵셋 인쇄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비전도성 패턴의 두께를 줄여, 얇은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조 할 수 있고, 윈도우판의 홀로 잉크가 새어나가지 않으며, 비전도성 패턴의 측면부에서 도전성 전극 패턴층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터치스크린은 손으로 접촉(touch)하면 그 위치를 입력 받도록 하는 특수한 입력장치를 장착한 스크린이다.
터치스크린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자료를 받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윈도우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은 윈도우판의 비표시부에 비전도성 패턴을 형성하고, 도전성 전극 패턴층, 전극 패턴, 비산방지막이 차례대로 적층되고 전극패턴에 인쇄회로기판의 단자를 연결함으로써 제조된다.
종래에 비전도성 패턴은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되었는데, 스크린 인쇄는 패턴이 있는 스크린 위에 비전도성 패턴 형성용 잉크조성물을 위치시킨 후, 스퀴지를 밀면서 공간이 비워져 있는 스크린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윈도우판에 비전도성 패턴 형성용 잉크조성물을 위치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스크린 인쇄에 의해 비전도성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비전도성 패턴에 의한 차광 효과를 얻기 위해 2~8회 인쇄를 수행해야 했으므로 패턴의 두께가 두꺼워져 터치 스크린 패널 전체의 두께가 증가하고, 그 단차로 인해 도전성 전극 패턴층 형성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비전도성 패턴은 가공이 완료된 윈도우판 상에 형성된다. 그런데, 가공된 윈도우판은 스피커, 버튼의 배치를 위해 홀이 형성되는데, 스크린 인쇄 시에 윈도우판 상의 홀에 잉크가 새어나가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100888호에는 반사층을 구비한 정전용량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종래의 스크린 인쇄에 의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대안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100888호
본 발명은 비전도성 패턴의 두께를 줄여, 그 단차에 의해 발생하는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전도성 패턴의 형성시 윈도우판의 홀로 잉크가 새어나가지 않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두께가 얇은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윈도우판 일면의 비표시부에 비전도성 패턴을 옵셋 인쇄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판은 유리,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elene terep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3. 위 1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패턴은 비전도성 색상 패턴 또는 비전도성 차광 패턴인,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4. 위 3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색상 패턴은 바인더 수지, 착색제, 중합성 화합물, 중합개시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비전도성 색상 패턴 형성용 잉크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인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5. 위 3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차광 패턴은 바인더 수지, 차광제, 중합성 화합물, 중합개시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비전도성 차광 패턴 형성용 잉크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인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6. 위 4 또는 5에 있어서, 비전도성 패턴 형성용 잉크 조성물은 점도가 1 내지 30cps인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7. 위 1에 있어서, 상기 옵셋 인쇄는 리버스 옵셋 인쇄인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8. 위 1에 있어서, 비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윈도우판 상에 도전성 전극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성 전극 패턴층 중 비표시부 대응 영역 상에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도전성 투명전극 패턴층과 전극패턴이 형성된 상기 윈도우판 상에 비산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패턴에 인쇄 회로 기판의 단자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9. 위 8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전극 패턴층 또는 전극패턴은 인듐주석산화물(ITO), 인듐아연산화물(IZO), 아연산화물(ZnO), 인듐아연주석산화물(IZTO), 카드뮴주석산화물(CTO), PEDOT(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탄소나노튜브(CNT) 및 금속와이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은 비전도성 패턴의 두께를 줄여, 얇은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조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은 도전성 전극 패턴층 형성시, 비전도성 패턴의 측면부에서 도전성 전극 패턴층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은 비전도성 패턴 형성시, 윈도우판의 홀로 잉크가 새어나가지 않아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비전도성 패턴 형성시, 리버스 옵셋 인쇄 방식의 일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윈도우판 일면의 비표시부에 비전도성 패턴을 옵셋 인쇄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비전도성 패턴의 두께를 줄여, 얇은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조 할 수 있고, 윈도우판의 홀로 잉크가 새어나가지 않으며, 비전도성 패턴의 측면부에서 도전성 전극 패턴층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비전도성 패턴은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되었는데, 비전도성 패턴에 의한 차광효과를 얻기 위해 반복하여 인쇄를 수행해야 했으므로 패턴의 두께가 두꺼워져 그 단차로 인해 도전성 전극 패턴층 형성의 어려움이 있으며, 터치 스크린 패널 전체의 두께가 증가하고, 또한 윈도우판 상의 홀에 잉크가 새어나가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은 비전도성 패턴을 옵셋 인쇄로 형성함으로써, 비전도성 패턴의 두께를 줄여 얇은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조 할 수 있으며, 윈도우판의 홀로 잉크가 새어나가지 않으며, 도전성 전극 패턴층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은 윈도우판의 일면의 비표시부에 비전도성 패턴을 옵셋 인쇄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옵셋 인쇄는 인쇄판 면에서 잉크 화상을 고무 블랭킷에 전사하고 인쇄대상물에 인쇄하는 방법으로,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그라비아 옵셋 인쇄, 리버스 옵셋 인쇄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리버스 옵셋 인쇄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는 리버스 옵셋 인쇄 방식의 일 구현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블랭킷에 비전도성 패턴 형성용 잉크조성물을 도포하고 블랭킷을 요철을 갖는 클리쉐에 접촉시켜 블랭킷 상에 목적하는 패턴을 형성하고, 그 패턴을 윈도우판의 일면에 전사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종래에 비전도성 패턴은 스크린 인쇄가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스크린 인쇄는 패턴이 있는 스크린 위에 비전도성 패턴 형성용 잉크조성물을 위치시킨 후, 스퀴지를 밀면서 공간이 비워져 있는 스크린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윈도우판에 비전도성 패턴 형성용 잉크조성물을 위치시키는 방식이다.
스크린 인쇄의 경우 통상적으로 안료 입자의 크기가 크고,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비전도성 패턴의 차광효과를 얻기 위해 2 내지 8회 반복 인쇄를 수행해야 했으므로, 4회 반복 인쇄의 경우 비전도성 패턴의 두께가 약 20um로 두꺼워졌다.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 패널 전체의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터치스크린 패널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도전성 전극 패턴층은 비전도성 패턴 및 윈도우판을 덮도록 형성되는데, 비전도성 패턴이 두꺼워져 비전도성 패턴의 측면부에서 도전성 전극 패턴층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윈도우판에 있는 홀로 잉크가 새어나가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의 경우는, 비전도성 패턴을 옵셋 인쇄 방식에 의해 형성하는데, 옵셋 인쇄의 경우 통상적으로 안료 입자의 크기가 작고, 블랑킷에 코팅을 하여 전사하는 공정을 사용하므로, 표면 평탄도가 균일하고, 안료 입자의 균일한 패킹효과가 있어 한번의 인쇄만으로 비전도성 패턴의 차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형성되는 비전도성 패턴의 두께가 1.5~2um에 불과하여 두께가 얇은 터치스크린 패널을 제조할 수 있으며, 비전도성 패턴 상에 형성되는 도전성 전극 패턴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또한, 클리쉐의 디자인에 따라 1:1 전이 하기 때문에 윈도우판의 홀로 잉크가 새어나가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윈도우판(311)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특정물체로부터 접촉입력을 받는 부분으로 터치스크린 패널의 외형을 유지한다.
윈도우판(311)은 터치 스크린 패널을 외력으로부터 충분히 보호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크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유리,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elene terep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윈도우판(311)의 일면의 비표시부에 비전도성 패턴(312)이 형성된다.
비전도성 패턴(312)은 기기 내부의 기판, 배선 등을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 윈도우판(311)의 중앙부에 터치 영역인 표시부가 구획되도록 윈도우판(311)의 테두리부에 비표시부에 불투명한 장식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패턴(312)은 비전도성 색상 패턴 또는 비전도성 차광 패턴일 수 있다.
비전도성 색상 패턴은 바인더 수지, 착색제, 중합성 화합물, 중합개시제 및 용매 등을 포함하는, 옵셋 인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전도성 색상 패턴 형성용 잉크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착색제의 종류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적색, 녹색, 청색의 염료 또는 안료; 조색용의 황색, 오렌지, 바이올렛, 브라운 등의 염료 또는 안료; 흑색 안료; 카본 블랙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착색제는 필요에 따라 금속 가루, 백색 안료, 형광 안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료는 무기 안료 또는 유기 안료일 수 있다.
무기 안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황산바륨, 황산납, 산화티탄, 황색납, 벵갈, 탄산칼슘, 산화 크롬, 카본 블랙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안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이하에 C.I.(컬러 인덱스) 번호로 열거된 안료를 들 수 있다.
적색 안료로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 레드 1, 2, 3, 4, 5, 6, 8, 9, 12, 14, 15, 17, 22, 23, 31, 37, 38, 41, 48:1, 48:2, 48:3, 49, 50:1, 52:1, 53, 57:1, 58:4, 60, 63, 64, 68, 81, 88, 90:1, 112, 114, 122, 123, 144, 146, 147, 149, 150, 151, 166, 168, 170, 175, 176, 177, 178, 179, 181, 185, 187, 188, 190, 193, 194, 202, 207, 208, 209, 214, 216, 220, 221, 224, 242, 243, 245, 247, 254, 255, 264, 272 등을 들 수 있다.
녹색 안료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 그린 2, 7, 8, 13, 36, 54 등을 들 수 있다.
청색 안료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 블루 1, 15:1, 15:2, 15:3, 15:4, 15:6, 16, 17, 25, 56, 60, 66, 75, 79 등을 들 수 있다.
황색 안료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 옐로우 1, 2, 3, 4, 5, 6, 12, 13, 14, 16, 17, 24, 55, 65, 73, 74, 81, 83, 87, 93, 94, 95, 97, 100, 101, 105, 108, 109, 110, 116, 120, 127, 128, 129, 133, 138, 139, 147, 148, 150, 151, 153, 154, 155, 166, 168, 169, 170, 172, 173, 174, 175, 176, 180, 185, 193, 194, 202 등을 들 수 있다.
오렌지 안료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 오렌지 1, 2, 5, 13, 16, 17, 19, 22, 24, 34, 36, 38, 39, 43, 46, 48, 61, 62, 64, 65, 67, 69, 73, 77 등을 들 수 있다.
바이올렛 안료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 바이올렛 1, 2, 3, 5, 19, 23, 29, 31, 32, 37, 39, 50 등을 들 수 있다.
브라운 안료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 브라운 1, 22, 23, 25, 27 등을 들 수 있다.
흑색 안료는 예를 들면, C.I.피그먼트 블랙 1, 7, 31, 32 등을 들 수 있다.
염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아조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퀴논이민계 염료, 퀴놀린계 염료, 니트로계 염료, 카르보닐계 염료, 메틴계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아조계 염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C.I.액시드 옐로우 11, C.I.액시드 오렌지 7, C.I.액시드 레드 37, C.I.액시드 레드 180, C.I.액시드 블루 29, C.I.다이렉트 레드 28, C.I.다이렉트 레드 83, C.I.다이렉트 옐로우 12, C.I.다이렉트 오렌지 26, C.I.다이렉트 그린 28, C.I.다이렉트 그린 59, C.I.리액티브 옐로우 2, C.I.리액티브 레드 17, C.I.리액티브 레드 120, C.I.리액티브 블랙 5, C.I.디스퍼스 오렌지 5, C.I.디스퍼스 레드 58, C.I.디스퍼스 블루 165, C.I.베이직 블루 41, C.I.베이직 레드 18, C.I.모르단트 레드 7, C.I. 모르단트 옐로우 5, C.I.모르단트 블랙 7 등을 들 수 있다.
안트라퀴논계 염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C.I.바트 블루 4, C.I.액시드 블루 40, C.I.액시드 그린 25, C.I.크리아티브 블루 19, C.I.크리아티브 블루 49, C.I.디스퍼스 레드 60, C.I.디스퍼스 블루 56, C.I.디스퍼스 블루 60 등을 들 수 있다.
프탈로시아닌계 염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C.I.패드 블루 5 등을 들 수 있다.
퀴논이민계 염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C.I.베이직 블루 3, C.I.베이직 블루 9 등을 들 수 있다.
퀴놀린계 염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C.I.솔벤트 옐로우 33, C.I.액시드 옐로우 3, C.I.디스퍼스 옐로우 64 등을 들 수 있다.
니트로계 염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C.I.액시드 옐로우 1, C.I.액시드 오렌지 3, C.I.디스퍼스 옐로우 42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염료, 안료 및 카본블랙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미쓰비시 카본블랙 M1000, 미쓰비시 카본블랙 MA-100, 미쓰비시 카본블랙 #40, 빅토리아 퓨어 블루(42595), 오라민 O(41000), 카틸론브릴리언트플라빈(베이직13), 로다민 6GCP(45160), 로다민 B(45170), 사쿠라닌 OK 70:100(50240), 에리오글라우신 X(42080), NO.120/리오놀옐로우(21090), 리오놀옐로우 GRO(21090), 시뮬러 패스트 옐로우GRO(21090), 시뮬러 패스트 옐로우 8GF(21105), 벤지딘 옐로우 4J-564D(21095), 패리오톨 옐로우 L0960(피그먼트 옐로우 139), 옐로우 피그먼트 E4-GN(피그먼트 옐로우 150 유도체), 시뮬러 패스트 레드 4015(12355), 리오놀 레드 7B4401(15850), 패스토겐 블루 JGR-L(74160), 리오놀 블루 SM(26150), 리오놀 블루 ES(피그먼트 블루15:6, 피그먼트 블루 1536), 리오노겐 레드 GD(피그먼트 레드 168, 피그먼트 레드 108), 크로모프탈 레드 A2B(피그먼트 레드 177), 일가포어 레드 B-CF(피그먼트 레드 254), 헬리오겐 그린 L8730(피그먼트그린 7), 리오놀그린 2YS(피그먼트 그린 36)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인더 수지는 패턴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와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는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서,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모노카르실산; 푸마르산, 메타콘산, 이타콘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단량체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화합물; 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비치환 또는 치환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시클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헵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옥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르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식 치환기를 포함하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화합물; 3-메틸-3-(메타)아크릴옥시메틸옥세탄, 3-에틸-3-(메타)아크릴옥시메틸옥세탄, 3-메틸-3-(메타)아크릴옥시에틸옥세탄 등의 열경화 가능한 치환기를 포함하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화합물;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글리시딜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화합물;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환을 갖는 치환기를 포함하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화합물; 스티렌,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카르복실산 비닐에스테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체의 예로는 3-에틸-3-메타크릴옥시메틸옥세탄/벤질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3-에틸-3-메타크릴옥시메틸옥세탄/벤질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스티렌 공중합체, 3-에틸-3-메타크릴옥시메틸옥세탄/메틸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3-에틸-3-메타크릴옥시 메틸옥세탄/메틸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스티렌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중합성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열에 의해 경화되는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기 구조를 가지는 경화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기 구조를 가지는 경화성 모노머는 시판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분자내 2개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기를 가지고 있거나, 분자 내 4개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기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트리아진계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크산톤계 화합물, 벤조인계 화합물, 이미다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의 예를 들면,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p-메톡시스티릴-s-트리아진, 2-p-메톡시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4-메틸나프틸-6-트리아진, 벤조페논, p-(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2,2-디클로로-4-페녹시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부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프로리오페논, p-t-부틸트리클로로아세토페논, 2-메틸티오크산톤, 2-이소부틸티오크산톤, 2-도데실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2-비스-2-클로로페닐-4,5,4,5-테트라페닐-2-1,2-비이미다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등의 에틸렌 글리콜 모노알킬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부틸 에테르 등의 디에틸렌 글리콜 디알킬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의 알킬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등의 알킬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 락테이트, 메틸셀로솔브 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메톡시부틸 아세테이트, 메톡시펜틸 아세테이트 등의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메틸 에틸 케톤, 아세톤, 메틸 아밀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시클로헥산온 등의 케톤;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헥산올, 시클로헥산올, 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비전도성 차광 패턴은 바인더 수지, 차광제, 중합성 화합물, 중합개시제 및 용매 등을 포함하는, 옵셋 인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전도성 차광 패턴 형성용 잉크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차광제는 절연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차광 효과를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흑색 또는 백색의 무채색 안료; 및 혼합하여 흑색 또는 백색이 나올 수 있는 안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혼합하여 흑색 또는 백색이 나올 수 있는 안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수용성 아조 안료, 불용성 아조 안료, 프타로시아닌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이소인돌리논 안료, 이소인돌린 안료, 페리렌 안료, 페리논 안료, 디옥사진 안료, 안트라퀴논 안료, 디안트라퀴노닐 안료, 안트라피리미딘 안료, 안탄트론(anthanthrone) 안료, 인단트론(indanthrone) 안료, 피란트론(pyranthrone) 안료, 디케토피롤로피롤(diketopyrrolopyrrole)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C.I. 피그먼트 옐로우 20, 24, 31, 53, 83, 86, 93, 94, 109, 110, 117, 125, 137, 138, [0040] 139, 147, 148, 150, 153, 154, 166, 173, 180 및 185; C.I. 피그먼트 오렌지 13, 31, 36, 38, 40, 42, 43, 51, 55, 59, 61, 64, 65, 및 71; C.I. 피그먼트 레드 9, 97, 105, 122, 123, 144, 149, 166, 168, 176, 177, 180, 192, 215, 216, 224, 242, 254, 255 및 264; C.I. 피그먼트 바이올렛 14, 19, 23, 29, 32, 33, 36, 37 및 38; C.I. 피그먼트 블루 15(15:3, 15:4, 15:6 등), 21, 28, 60, 64 및 76; C.I. 피그먼트 그린 7, 10, 15, 25, 36, 47 및 58; C.I. 피그먼트 브라운 28; C.I. 피그먼트 블랙 1 및 7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차광제는 카본 블랙, 아닐린 블랙, 산화크롬, 산화철, 티탄블랙(titan black)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광제 이외의 타 성분들은 비전도성 색상 패턴 형성용 잉크 조성물의 경우와 동일한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잉크 조성물로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전도성 패턴은 기기 외부의 색감을 부여하는 역할 또는 기기 내부의 기판, 배선 등을 보이지 않도록 은폐 및 차광하는 역할을 한다.
비전도성 패턴 형성용 잉크조성물의 점도는 1cps 내지 30cps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cps 내지 10cps일 수 있다. 비전도성 패턴 형성용 잉크조성물의 점도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잉크의 코팅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공정 중에 잉크의 안정성(잉크의 공정 유지 능력)이 유지되어 균일한 코팅 및 인쇄가 가능하다.
상기 비전도성 패턴(312)의 형성 이후에 터치스크린 패널의 통상적인 제조공정을 거쳐 터치스크린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의 일 구현예를 들면, 상기 비전도성 패턴의 형성 후, 비전도성 패턴(312)이 형성된 윈도우판(311) 상에 도전성 전극 패턴층(313)을 형성한다.
도전성 전극 패턴층(313)은 영상센서의 터치 영역인 표시부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면 사람의 몸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감지해서 전기신호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전성 전극 패턴층(313) 형성에 사용되는 도전성 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인듐주석산화물(ITO), 인듐아연산화물(IZO), 아연산화물(ZnO), 인듐아연주석산화물(IZTO), 카드뮴주석산화물(CTO), PEDOT(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탄소나노튜브(CNT), 금속와이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금속와이어에 사용되는 금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은(Ag), 금, 알루미늄, 구리, 철, 니켈, 티타늄, 텔레늄, 크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전극 패턴층(313)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포토리소그래피, 에칭 페이스트를 이용한 방법, 잉크젯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패드(pad) 프린팅, 그라비아 프린팅, 플렉소(flexography) 프린팅, 옵셋 프린팅, 스텐실 프린팅, 임프린팅(imprinting)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후에, 도전성 전극 패턴층(313) 중 비표시부 대응 영역 상에 전극패턴(314)을 형성한다.
전극 패턴(314)은 윈도우판(311) 표시부의 터치에 의해 도전성 전극 패턴층(313)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FPCB, IC chip 등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전극패턴(314)은 도전성 전극 패턴층(313)과 동일한 재질로 동일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공정을 거쳐 도전성 투명전극 패턴층(313)과 전극패턴(314)이 형성된 윈도우판(311)의 상에 비산방지막(315)을 형성한다.
비산방지막(315)은 상기 각 패턴(313, 314)을 보호하고 윈도우가 깨어질 때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비산방지막(315)의 재질은 내구성을 제공하고 투명한 재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일 수 있다.
비산방지막(315)의 형성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스핀(spin) 코팅, 롤(roll) 코팅, 스프레이 코팅, 딥(dip) 코팅, 플로(flow) 코팅,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와 디스펜싱(dispensing), 잉크젯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패드(pad) 프린팅, 그라비아 프린팅, 옵셋 프린팅, 플렉소(flexography) 프린팅, 스텐실 프린팅, 임프린팅(imprinting)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전극패턴(314)에 인쇄 회로 기판의 단자(316)를 연결한다.
인쇄 회로 기판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인쇄 회로 기판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일 수 있다.
상기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패널의 제조방법은 비전도성 패턴의 두께를 줄여, 얇은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조 할 수 있고, 윈도우판(311)의 홀로 잉크가 새어나가지 않으며, 비전도성 패턴의 측면부에서 도전성 전극 패턴층(313)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311: 윈도우판 312: 비전도성 패턴
313: 도전성 전극 패턴층 314: 전극패턴
315: 비산방지막 316: FPCB 단자

Claims (9)

  1. 윈도우판 일면의 비표시부에 비전도성 패턴을 옵셋 인쇄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판은 유리,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elene terep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패턴은 비전도성 색상 패턴 또는 비전도성 차광 패턴인,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색상 패턴은 바인더 수지, 착색제, 중합성 화합물, 중합개시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비전도성 색상 패턴 형성용 잉크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인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차광 패턴은 바인더 수지, 차광제, 중합성 화합물, 중합개시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비전도성 차광 패턴 형성용 잉크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인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비전도성 패턴 형성용 잉크 조성물은 점도가 1 내지 30cps인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옵셋 인쇄는 리버스 옵셋 인쇄인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비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윈도우판 상에 도전성 전극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성 전극 패턴층 중 비표시부 대응 영역 상에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도전성 투명전극 패턴층과 전극패턴이 형성된 상기 윈도우판 상에 비산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패턴에 인쇄 회로 기판의 단자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전극 패턴층 또는 전극패턴은 인듐주석산화물(ITO), 인듐아연산화물(IZO), 아연산화물(ZnO), 인듐아연주석산화물(IZTO), 카드뮴주석산화물(CTO), PEDOT(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탄소나노튜브(CNT) 및 금속와이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130094019A 2012-09-21 2013-08-08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KR20140039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2128659A TW201413534A (zh) 2012-09-21 2013-08-09 觸控螢幕面板及其備製方法
CN201310365071.7A CN103677390A (zh) 2012-09-21 2013-08-20 触摸屏面板及其制备方法
US13/971,856 US20140087064A1 (en) 2012-09-21 2013-08-21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978 2012-09-21
KR20120104978 2012-09-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978A true KR20140039978A (ko) 2014-04-02

Family

ID=50650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019A KR20140039978A (ko) 2012-09-21 2013-08-08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39978A (ko)
TW (1) TW2014135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1744B2 (en) 2014-06-24 2017-05-23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having a sensing electrode and a printing electrode
KR20190120910A (ko) * 2018-04-17 2019-10-25 코세스지티 주식회사 3d 커브드 글라스 광 차단부 트리밍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1744B2 (en) 2014-06-24 2017-05-23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having a sensing electrode and a printing electrode
KR20190120910A (ko) * 2018-04-17 2019-10-25 코세스지티 주식회사 3d 커브드 글라스 광 차단부 트리밍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13534A (zh) 201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314B1 (ko)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CN104246611A (zh) 黑色树脂膜、静电电容型输入装置及它们的制造方法及具备其的图像显示装置
JP6016050B2 (ja) 表示装置用前面保護板、及び表示装置
JP6136184B2 (ja) 配線付き表示装置用前面保護板、及び表示装置
JP2013218010A (ja) 表示装置用前面保護板、及び表示装置
CN104246666A (zh) 包含导电图案的导电基板以及包含该基板的触控面板
CN106103094A (zh) 带有装饰材料的基板及其制造方法、触控面板、以及信息显示装置
KR102024736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52203A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40039978A (ko)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US20140075750A1 (en)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2024734B1 (ko)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JP6086278B2 (ja) 配線付き表示装置用前面保護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KR20150027910A (ko)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JP6019613B2 (ja) 可視情報付き表示装置用前面保護板、及び表示装置
CN104182067B (zh) 一种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US20140087064A1 (en)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140084586A (ko) 터치 스크린 패널
JP2017173492A (ja) タッチパネル電極付カラーフィルタ基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一体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20140046748A (ko) 터치 스크린 패널용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JP2013238923A (ja) タッチパネル用前面板、タッチパネル用前面板と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との一体型センサー基板、およびこれらを備えた表示装置
KR102041582B1 (ko) 터치 스크린 패널용 윈도우 기판의 면취 가공 방법
CN219285704U (zh) 改进的触控面板黑框结构
KR20100117978A (ko) 전자파 차폐용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전자파 차페용 필터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40057813A (ko)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