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430A -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430A
KR20140039430A KR1020120105469A KR20120105469A KR20140039430A KR 20140039430 A KR20140039430 A KR 20140039430A KR 1020120105469 A KR1020120105469 A KR 1020120105469A KR 20120105469 A KR20120105469 A KR 20120105469A KR 20140039430 A KR20140039430 A KR 20140039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service
request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2808B1 (ko
Inventor
강갑철
정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105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808B1/ko
Priority to US14/029,205 priority patent/US20140086105A1/en
Publication of KR20140039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06F3/1462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with means for detecting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 stored in the host and the images displayed on the remote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09G2370/022Centralised management of display operation, e.g. in a server instead of local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Abstract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휴대 단말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공 장치는 드로잉 패턴이 포함된 드로잉 화면을 제2 휴대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제1 휴대 단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관리 서버(management server),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푸쉬 요청을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제2 휴대 단말로 접속 유도 메시지를 푸쉬하기 위한 푸쉬 서버(push server), 및 제1 휴대 단말과 접속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 제2 휴대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제1 휴대 단말과 제2 휴대 단말 사이에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중계 서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중계 서버는 설정된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해서 제1 휴대 단말과 제2 휴대 단말 사이에서 드로잉 패턴을 표시하기 위한 드로잉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중계한다. 일 측면에 의하면, 관리 서버, 푸쉬 서버, 및 중계 서버는 통합되어 하나의 서버(예컨대, 드로잉 패턴 공유 서버)나 두 개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휴대 단말{Equipment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for sharing a drawing screen between mobile devices and mobile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드로잉 화면(drawing screen)을 다른 휴대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mobile device), 즉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는 계속 진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휴대 단말에 구비되어 있는 기존의 기능은 계속 향상되고 있으며, 다양하고 새로운 기능들이 휴대 단말에 추가로 탑재되고 있다. 예를 들어, 근접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기능, 필기 인식 기능, 움직임 사용자 인터페이스(Motion User Interface) 기능, 얼굴 인식 기능, 스마트 화면 유지 기능 등이 최신 휴대 단말인 스마트 폰(smart phone)이나 테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등에 새롭게 탑재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휴대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 보편화되면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휴대 단말이 제공하는 방식이나 포맷의 정형화된 문자나 기호 외에도 자신의 의사를 다양한 방식과 포맷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직접 필기를 하거나 기호나 그림을 그리는 등의 방식으로 입력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환경(다양한 배경 이미지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이러한 드로잉(필기, 그리기 등)을 통한 입력이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 단말은 통신망 사업자가 제공하는 음성 통화나 영상 통화는 물론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을 지원한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에서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할 수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messenger application)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주고 받는 것이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에 설치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저장하고 있는 다양한 컨텐츠(예컨대,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먼저 송신 단말은 수신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와 함께 메시지 및/또는 컨텐츠를 푸쉬 서버(push server)로 전송하며, 푸쉬 서버는 수신된 메시지 및/또는 컨텐츠를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수신 단말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에서 음성 통화나 영상 통화는 물론 데이터 통신을 통한 의사 전달이 생활화, 보편화되면서, 음성이나 문자는 물론 다양한 방식으로 의사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욕구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자신이 직접 작성한 드로잉(필기나 그림 등)을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거나 또는 전달해야 할 필요성이 생길 수가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감정을 소정의 그림(예컨대, 하트 표시)이나 직접 쓴 글로 상대방에게 전달하고 싶거나 또는 상대방과 동일한 배경, 예컨대 지도 등을 같이 보면서 목적지나 이동 경로를 표시하여 알려주는 것이 효과적인 정보 전달이 될 수가 있다.
일례로, 한국공개특허 제2010-0032091호,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드로잉 패턴 전송 방법"에는 휴대 단말에서 작성된 드로잉 패턴을 다른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영상 통화 중인 사용자가 포인팅 동작을 하면, 휴대 단말은 이를 인식하여 드로잉 패턴을 생성하고 또한 생성된 드로잉 패턴을 영상 통화 이미지에 결합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그 결과, 휴대 단말에서 드로잉 패턴을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통신망 사업자의 영상 채널을 통해서 상대방과 영상 통화를 하고 있는 것, 즉 영상 채널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 전제되므로 영상 통화가 끊기면 드로잉 패턴을 더 이상 전송할 수 없다. 그리고 영상 통화를 위한 이미지와 드로잉 패턴을 결합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가 필수적이므로, 실시간으로 다양한 드로잉 패턴을 전송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대방에게 한번 전송한 드로잉 패턴을 수정 또는 삭제하거나 삭제된 드로잉 패턴을 복원할 수도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음성 통화나 영상 통화의 진행과는 상관없이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드로잉 패턴을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하나 이상의 드로잉 패턴을 실시간으로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하나의 과제는 드로잉 패턴은 물론 다양한 배경도 함께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하나의 과제는 상대방에게 이미 전송한 드로잉 패턴을 삭제/취소하거나 또는 한번 삭제/취소한 드로잉 패턴을 다시 복원할 수 있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하나의 과제는 자신이 작성한 드로잉 패턴은 물론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드로잉 패턴을 수정하거나 또는 삭제, 취소, 복원할 수 있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는 제1 휴대 단말이 드로잉 화면을 제2 휴대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을 상기 제1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제2 휴대 단말로 접속 유도 메시지를 푸쉬 방식으로 전송하며, 또한 상기 제1 휴대 단말 및 상기 접속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 휴대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휴대 단말과 상기 제2 휴대 단말 사이에 상기 드로잉 화면의 공유에 필요한 드로잉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드로잉 화면 공유 서버(drawing screen sharing server)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드로잉 화면 공유 서버는 상기 제1 휴대 단말로부터의 상기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관리 서버(management server),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푸쉬 요청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제2 휴대 단말로 상기 접속 유도 메시지를 푸쉬하기 위한 푸쉬 서버(push server), 및 상기 제1 휴대 단말과 상기 제2 휴대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휴대 단말과 상기 제2 휴대 단말 사이에 상기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해서 상기 드로잉 정보의 전송을 중계하기 위한 중계 서버(relay server)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드로잉 화면은 상기 드로잉 정보에 대응하는 드로잉 패턴이 표시되는 배경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설정된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해서 상기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배경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도 중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드로잉 정보와 상기 배경 데이터를 별도의 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는데, 일례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드로잉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보다 전송 용량이 더 큰 채널을 통하여 상기 배경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드로잉 정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설정된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해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과 상기 제2 휴대 단말 사이에서 드로잉 변경 요청이 전송되는 것을 중계하고, 상기 드로잉 변경 요청에는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드로잉 변경 요청은 상기 식별 정보가 지시하는 드로잉 정보에 대응하는 드로잉 패턴의 삭제(delete) 요청, 취소(undo) 요청, 또는 복원(redo)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중계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상기 제1 휴대 단말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 각각과 연결이 끊기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제1 휴대 단말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 각각과 제어 패킷을 주기적으로 송수신하여 연결이 끊기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서비스 등록 요청을 하는 제3 휴대 단말을 위하여 서비스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비스 등록 절차는 상기 제3 휴대 단말을 푸쉬 서비스에 등록하기 위하여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푸쉬 서버에 푸쉬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는 복수의 중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중계 서버 중에서 상기 제1 및 제2 휴대 단말을 위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하나의 중계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a) 드로잉 화면을 제2 휴대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제1 휴대 단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휴대 단말로 접속 유도 메시지를 푸쉬하는 단계, (c) 상기 제1 휴대 단말과 상기 접속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 휴대 단말 각각으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휴대 단말과 상기 제2 휴대 단말 사이에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에서 설정된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해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과 상기 제2 휴대 단말 사이에서 상기 드로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드로잉 정보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f) 상기 단계 (d)에서 설정된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해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과 상기 제2 휴대 단말 사이에서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배경 데이터의 전송을 중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단계 (e)와 상기 단계 (f)는 별도의 채널을 할당하여 수행할 수 있는데, 일례로 상기 단계 (e)를 위하여 할당되는 채널보다 상기 단계 (f)를 위하여 할당되는 채널의 전송 용량이 더 클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드로잉 정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방법은 (g) 상기 단계 (d)에서 설정된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해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과 상기 제2 휴대 단말 사이에서 드로잉 변경 요청이 전송되는 것을 중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잉 변경 요청에는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방법은 (h) 상기 단계 (d) 이후에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상기 제1 휴대 단말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 각각과 연결이 끊기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단계 (h)는 상기 제1 휴대 단말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 각각과 제어 패킷을 주기적으로 송수신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방법은 (i) 상기 단계 (a) 이전에 상기 제1 및 제2 휴대 단말 각각의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휴대 단말 각각에 대한 서비스 등록 절차를 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b2) 상기 제2 휴대 단말로 접속 유도 메시지를 푸쉬할 것을 푸쉬 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등록 절차는 상기 제1 및 제2 휴대 단말 각각을 상기 푸쉬 서버에 푸쉬 서비스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대방 휴대 단말, 즉 피어 단말과 드로잉 화면을 공유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드로잉 화면 공유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이다. 이 때, 상기 드로잉 화면 공유 모듈은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된 제1 드로잉 패턴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기능, 상기 제1 드로잉 패턴을 특정하기 위한 제1 드로잉 데이터로부터 상기 피어 단말로 전송할 제1 드로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2 드로잉 정보를 파싱하여 제2 드로잉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기능, 및 상기 제1 드로잉 데이터 또는 제2 드로잉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드로잉 패턴 또는 상기 제2 드로잉 패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인식 기능은 상기 제1 드로잉 패턴이 표시되는 제1 배경 이미지를 인식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 기능은 상기 인식된 제1 배경 이미지로부터 상기 피어 단말로 전송할 제1 배경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1 드로잉 정보와 상기 제1 배경 데이터를 별도의 채널을 통하여 상기 피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1 드로잉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보다 전송 용량이 더 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배경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드로잉 정보 각각은 대응되는 드로잉 패턴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식 기능은 상기 제1 드로잉 패턴에 대한 변경 요청을 인식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기능은 상기 변경 요청에 대응하는 드로잉 변경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되, 상기 드로잉 변경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제1 드로잉 패턴을 지시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드로잉 화면 공유 모듈은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네트워크 연결이 끊기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드로잉 화면을 공유하고자 하는 휴대 단말들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설정이 유지되고 있는 데이터 통신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휴대 단말은 음성 통화나 영상 통화의 진행과는 상관없이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드로잉 패턴을 상대방 휴대 단말인 피어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드로잉 패턴은 물론 다양한 배경 이미지를 드로잉 패턴과는 분리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채널을 통해 높은 전송율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은 피어 단말과 실시간으로 드로잉 화면을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피어 단말로 전송되는 드로잉 정보는 드로잉 패턴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포함되므로, 상대방에게 이미 전송한 드로잉 패턴을 삭제/취소하거나 또는 한번 삭제/취소한 드로잉 패턴을 다시 복원할 수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은 자신이 직접 작성한 드로잉 패턴 뿐만이 아니라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한 드로잉 패턴도 수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성의 일례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휴대 단말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절차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두 개의 휴대 단말이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절차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4b는 도 4a에서 설정한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하여 두 개의 휴대 단말이 드로잉 정보를 공유하는 절차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서비스 등록이 된 휴대 단말에 대하여 서비스 등록의 해지를 수행하는 절차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예들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즉 드로잉 화면 공유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드로잉 화면 공유 시스템(10)은 한 쌍의 휴대 단말(20a, 20b) 중에서 어느 하나의 휴대 단말, 예컨대 제1 휴대 단말(20a)의 드로잉 화면(drawing screen)과 동일한 화면이 실시간으로 상대방 휴대 단말, 예컨대 제2 휴대 단말(20b)에도 표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례이다. 이를 위하여, 드로잉 화면 공유 시스템(10)은 제1 및 제2 휴대 단말(20a, 20b) 중 어느 하나의 휴대 단말, 예컨대 제1 휴대 단말(20a)로부터의 연결 요청에 따라서 제2 단말(20b)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하고, 또한 제1 휴대 단말(20a) 및/또는 제2 휴대 단말(20a, 20b)이 설정된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하여 드로잉 정보(필요에 따라서는 배경 데이터도 포함될 수 있다)를 상대방 휴대 단말(20a, 20b)로 전송하는 것도 지원한다. 이하, 이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드로잉 화면 공유 시스템(10)은 관리 서버(management server, 12), 푸쉬 서버(push server, 14), 및 중계 서버(relay server, 16)를 포함한다. 도 1에는 드로잉 화면 공유 시스템(10)이 하나의 중계 서버(16)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단지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즉, 드로잉 화면 공유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복수 개의 중계 서버(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드로잉 화면 공유 시스템(10)의 구성은 그 기능에 따른 논리적인 구분으로서, 각 서버들(12, 14, 16)은 물리적으로 일체로 구현되거나 또는 서로 별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관리 서버(12), 푸쉬 서버(14), 및 중계 서버(16)는 모두가 하나의 서버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두 개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후술하는 서버들(12, 14, 16) 사이의 메시지 전송 과정은 서버 내부에서의 기능 유닛들 사이의 신호 전달 과정으로 대체되거나 또는 기능이 통합되는 경우에는 신호 전달 자체가 불필요할 수 있다. 그리고 드로잉 화면 공유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서버들(12, 14, 16) 각각의 후술하는 기능들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의적으로 구분한 것으로서, 그 본질에 반하지 않는 한 어느 하나의 서버의 일 기능이 다른 서버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2, 14, 16)들 각각의 기능들이 둘 이상의 서버에 분산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드로잉 화면 공유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서버들(12, 14, 16)은 모두가 반드시 물리적으로 동일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한 동일한 서비스 제공자가 소유하거나 관리하고 있을 필요가 없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는 관리 서버(12)와 중계 서버(16)만을 소유하고 있으며, 푸쉬 서버(14)는 메시지 푸쉬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서비스 제공자가 소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자는 타인이 소유/관리하고 있는 푸쉬 서버(14)를 활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2), 푸쉬 서버(14), 및 중계 서버(16)는 하나의 서버, 예컨대 드로잉 화면 공유 서버(drawing screen sharing server, 도시하지 않음)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드로잉 화면 공유 서버는 드로잉 화면을 제2 휴대 단말(20b)과 공유하기 위한 제1 휴대 단말(20a)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휴대 단말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 드로잉 화면 공유 서버는 제2 휴대 단말(20b)로 접속 유도 메시지를 푸쉬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휴대 단말(20a)로부터 수신되는 연결 요청과 접속 유도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휴대 단말(20b)로부터 수신되는 연결 요청에 각각 응답하여, 드로잉 화면 공유 서버는 제1 휴대 단말(20a)과 제2 휴대 단말(20) 사이에 드로잉 화면을 공유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드로잉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하고 또한 관리할 수 있다. 드로잉 화면 공유 시스템(10)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 단말(20a, 20b)과 각각 통신할 수 있다. 데이터 네트워크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x Access) 데이터 네트워크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데이터 네트워크,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x Access) 데이터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데이터 네트워크,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와이파이(WiFi) 등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절차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20a, 20b)은 해당 서비스의 이용 중에도 통신망 사업자의 음성/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서 음성 통화나 영상 통화를 상대방 휴대 단말(20a, 20b)과 수행할 수도 있다.
관리 서버(12)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전반적인 관리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2)는 휴대 단말(20a, 20b)에 대한 서비스 등록이나 해지 등을 위한 관리 업무, 휴대 단말(20a, 20b)로의 메시지 푸쉬를 위한 푸쉬 서버(14)와의 통신 업무, 휴대 단말(20a, 20b)들 사이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하고 또한 설정된 링크를 통한 메시지의 전송을 담당하기 위한 중계 서버(16)의 선택이나 세션 아이디의 관리 등과 같은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하 각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관리 서버(12)는 휴대 단말(20a, 20b)의 요청에 따라서 휴대 단말(20a, 20b)에 대한 서비스 등록이나 해지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20a, 20b)로부터 서비스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에, 관리 서버(12)는 휴대 단말(20a, 20b) 각각으로부터 식별 정보, 예컨대 전화 번호와 단말 아이디(예컨대, MEID(Mobile Equipment IDentifier) 또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수신하여 각각에 대한 서비스 등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등록된 휴대 단말(20a, 20b)로부터 서비스 해지 요청이 있는 경우에, 관리 서버(12)는 휴대 단말(20a, 20b)로부터 식별 정보, 예컨대 전화 번화와 함께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20a, 20b) 각각에 대한 서비스 해지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 서버(12)가 휴대 단말(20a, 20b)의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거나 또는 등록된 서비스의 해지를 수행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구체적인 절차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을 등록하거나 해지할 때 통상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약관 동의 절차, 수수료 납부 방법 등록 절차, 사용자 정보 제공 동의 절차, 이메일 정보 등록 절차 등)들이, 관리 서버(12)에 의한 서비스 등록이나 서비스 해지 절차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20a, 20b)로부터 서비스 등록 요청이나 해지 요청을 수신하면, 관리 서버(12)는 휴대 단말(20a, 20b)에 대한 메시지 푸쉬 서비스의 등록 또는 해지를 푸쉬 서버(14)에게 요청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푸쉬 서버(14)에의 등록은 휴대 단말(20a, 20b) 중에서 어느 하나의 휴대 단말(예컨대, 제1 휴대 단말(20a))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상대방인 제2 휴대 단말(20b)의 접속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푸쉬 방식으로 상대방인 제2 휴대 단말(20b)로 전송하기 위해서이다. 만일, 관리 서버(12)가 메시지 푸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라면, 관리 서버(12)가 다른 푸쉬 서버(14)에게 휴대 단말(20a, 20b)에 대한 푸쉬 등록/해지를 요청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관리 서버(12)는 또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필요하거나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생성된 휴대 단말(20a, 20b)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2)는 휴대 단말(20a, 20b)의 사용자 약관 동의 정보나 전화 번호, 단말 아이디, 인증 정보와 같은 식별 정보, 과금 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12)는 필요한 경우에는 각 휴대 단말(20a, 20b)이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발생하거나 또는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필요한 다른 정보(예컨대, 서비스 이용 이력, 이용 시간 등)도 저장하고 관리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12)는 휴대 단말(20a, 20b) 중에서 어느 하나, 예컨대 제1 휴대 단말(20a)로부터 서비스 요청, 즉 제2 휴대 단말(20b)과의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다수의 중계 서버(도시하지 않음) 중에서 제1 휴대 단말(20a)과 제2 휴대 단말(20b)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담당할 중계 서버(16)를 선택할 수 있다. 관리 서버(12)가 중계 서버를 선택하는 기준은 특별한 제한이 없는데, 예컨대 각 중계 서버의 네트워크 상황(예컨대, 혼잡도)이나 서비스 정책 등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12)는 세션 아이디(session ID) 등과 같은 두 개의 휴대 단말(20a, 20b) 사이의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휴대 단말(20a, 20b)은 물론 선택된 중계 서버(16)로 전송할 수 있다. 세션 아이디는 중계 서버(16)가 휴대 단말(20a, 20b)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으며, 중계 서버(16)는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할 두 개의 휴대 단말(20a, 20b)를 매칭시키기 위하여 세션 아이디와 같은 링크 식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푸쉬 서버(14)는 휴대 단말(20a, 20b)에 대하여 메시지 푸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푸쉬 서버(14)는 관리 서버(12)로부터 수신한 푸쉬 서비스 등록/해지 요청에 따라서 메시지 푸쉬 서비스를 받을 휴대 단말(20a, 20b)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푸쉬 서버(14)는 푸쉬 서비스 등록이 된 휴대 단말(20a, 20b)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푸쉬 서버(14)는 관리 서버(12)로부터의 요청을 받아서 중계 서버(16)로의 접속을 유도하기 위한 접속 요청 메시지를 푸쉬 방식으로 휴대 단말(20a, 20b)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푸쉬 서버(14)는 휴대 단말(20a, 20b)이 중계 서버(16)에 상대방 휴대 단말(20a, 20b)과의 연결을 요청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정보, 예컨대 세션 아이디도 함께 휴대 단말(20a, 20b)로 전송할 수 있다.
중계 서버(16)는 휴대 단말들(20a, 20b)이 드로잉 화면을 공유할 수 있도록 휴대 단말들(20a, 20b)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계 서버(16)는 제1 휴대 단말(20a)과 제2 휴대 단말(20b) 사이에서 드로잉 정보, 드로잉 변경 요청, 배경 데이터 등이 전송될 수 있도록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중계 서버(16)는 제1 및 제2 휴대 단말(20a, 20b) 각각으로부터의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제1 휴대 단말(20a) 및 제2 휴대 단말(20b)과의 사이에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링크 설정을 하는 휴대 단말(20a, 20b)을 인증하고 또한 매칭시키기 위하여, 중계 서버(16)는 관리 서버(12)로부터 수신한 세션 아이디 등과 같은 인증 및 식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링크가 설정된 이후에 중계 서버(16)는 설정된 링크를 계속 유지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화면 공유 과정은 두 휴대 단말(20a, 20b)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하기 때문이다.
이 때, 중계 서버(16)는 통상적인 네트워크 감시 프로토콜에 따라서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에서 휴대 단말(20a, 20b)과의 네트워크 연결이 유지되는지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중계 서버(16)는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에서 휴대 단말(20a, 20b) 각각과 제어 패킷(control packet)을 주기적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설정된 링크가 계속 유지되는지를 체크할 수도 있다. 이것은 중계 서버(16)와 휴대 단말(20a, 20b)과의 연결이 비정상적으로 다운되는 경우(예컨대, 휴대 단말(20a, 20b)의 전원이 강제로 종료되거나 운영 시스템이 다운되거나 또는 휴대 단말(20a, 20b)이 데이터 통신 음영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등)에 이를 신속하게 휴대 단말(20a, 20b)에 알리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네트워크 감시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수행되는데, 그 구체적인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중계 서버(16)는 단순히 휴대 단말(20a, 20b)로부터 주기적으로 제어 패킷이 수신되는지 만을 체크할 수 있다. 또는, 중계 서버(16)가 휴대 단말(20a, 20b)로 제어 패킷을 먼저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이 휴대 단말(20a, 20b)로부터 수신되는지를 체크할 수도 있다. 어떠한 방식이든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이루어지는 이러한 제어 패킷의 송수신 주기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네트워크 상황이나 휴대 단말(20a, 20b)의 성능, 통신 부하, 배터리 상태 등을 고려하여 고정적 주기 또는 가변적 주기로 운영될 수 있다.
도 2는 전술한 도 1의 드로잉 화면 공유 시스템을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성의 일례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20)은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휴대 단말(20a, 20b)일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20)은 이의 동작을 제어하고 또한 내장된 기능이나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처리를 지시, 조정하기 위한 소정의 모바일 운영 체제(mobile OS), 예컨대 안드로이드(android), 아이오에스(iOS), 윈도우 모바일(window mobile) 등이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20)은 데이터 통신은 물론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음성 통화나 영상 통화를 지원하는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이 경우에, 휴대 단말(20)은 데이터 통신과 음성 통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20)은 다른 휴대 단말과 설정된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이외에 같은 휴대 단말과 영상 통화나 음성 통화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가 이러한 두 가지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휴대 단말에만 한정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20)은 음성 통화나 영상 통화는 지원하지 않지만 와이파이 등과 같은 소정의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만을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드로잉 화면 공유 시스템(10, 도 1 참조)은 전화 번호가 아닌 다른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20)을 식별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휴대 전화 번호를 함께 사용하여 휴대 단말(20)을 식별할 수도 있다. 후자의 일례로, 이동통신 칩이 구비되어 있지 않지만 와이파이 칩에 구비되어 있는 테블릿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테블릿 컴퓨터의 식별 및 인증을 위하여 테블릿 컴퓨터의 단말 식별 정보와 함께 자신이 소유/사용하고 있는 휴대 전화 번호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20)은 입출력부(22), 저장부(24), 무선 통신부(26), 및 드로잉 화면 공유 모듈(280)을 포함하는 제어부(28)를 포함한다. 도 2는 다른 휴대 단말과 드로잉 화면을 공유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휴대 단말(20)은 후술하는 이의 구성 요소들(22, 24, 26, 28)에 해당될 수 있는 모듈들을 반드시 전부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은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6)에 해당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들, 예컨대 이동통신 모듈(3G/4G),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근접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모듈 중에서, 이동통신 모듈 및/또는 와이파이 모듈을 제외한 다른 무선 통신 모듈의 전부 또는 일부는 휴대 단말(20)에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휴대 단말(20)은 그 동작을 위하여 필수적인 다른 모듈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는데, 추가되는 모듈들은 휴대 단말(20)의 종류나 기능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20)은 중력 센서, 근접 센서, 및/또는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센서 모듈, 진동 발생 모듈, 지피에스(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모듈,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모듈, 카메라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22)는 휴대 단말(20)로 데이터, 신호 등을 입력하거나 또는 휴대 단말(20)에서 처리된 데이터, 신호 등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출력부(22)는 이미지/비디오 신호의 입력을 위한 카메라, 음성이나 음향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 사용자가 데이터, 명령 등을 휴대 단말(20)로 입력하기 위한 키 패드, 돔 스위치, 버튼, 조그 휠,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입력 수단과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 등의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출력부(22)의 일례로 터치 스크린이 포함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와 휴대 단말(20)과의 인터렉션(interaction)을 위한 입출력 수단의 하나로서, 입력 수단인 터치 패드와 출력 수단인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장치이다. 터치 스크린은 입력 수단인 터치 패드와 출력 수단인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적층 구조를 갖거나 또는 양자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직접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을 통해 터치함으로써 명령이나 정보(필기나 도형 등과 같은 드로잉 패턴을 포함한다)를 휴대 단말(20)로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20)은 터치 스크린을 통해 텍스트, 드로잉 패턴,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 등을 사용자를 위해 출력할 수 있다.
휴대 단말(20)이 드로잉 정보를 다른 휴대 단말로 전송하여 드로잉 화면을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에, 드로잉 화면 공유 기능 또는 드로잉 화면 공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휴대 단말(20)의 터치 스크린에는 표시될 수 있다(도 7a 내지 도 7i 참조). 그리고 사용자는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거나 명령을 입력하고, 또한 배경 이미지 상에 소정 패턴의 드로잉을 작성할 수 있다(예컨대, 도 7h 참조). 또한, 휴대 단말(20)이 드로잉 정보를 다른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드로잉 정보를 전송한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드로잉 화면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 7a 내지 도 7i를 참조하여, 휴대 단말(20)이 드로잉 화면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에 따라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는 UI의 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휴대 단말(20, 도 2 참조)이 드로잉 화면 공유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 휴대 단말(20)의 터치 스크린에 최초로 표시되는 UI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7a에서 휴대 단말(20)의 디스플레이의 최상단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 표시 바아(status display bar)의 바로 아래에는 그래픽과 문자(예컨대, 그래픽 + '라이브 톡')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명칭을 가리킨다. 그리고 그 바로 아래에 있는 메뉴 상자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각종 메뉴(도 7a의 왼쪽부터 순서대로, 드로잉 패턴의 스타일을 설정하기 위한 스타일 설정 메뉴, 지우개 메뉴, 배경 이미지 변경 메뉴 등)을 실행하기 위한 UI들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하단에는 드로잉 화면을 공유할 상대방과 연결 요청을 하기 위한 전화 번호를 선택/입력하기 위한 UI와 함께 연결 요청 메뉴("연결"이라고 표시된 메뉴)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b는 도 7a에서 스타일 설정 메뉴를 터치하여 입력한 경우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b에는 드로잉 패턴의 스타일 설정을 위하여, 사용자가 펜의 스타일 유형, 색상, 굵기 등은 선택하기 위한 메뉴가 그래픽/이미지 UI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7c에는 도 7a에서 지우개 메뉴를 터치하여 입력한 경우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c에는 작성한 드로잉 패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우기 위하여, 지우개의 두께(폭)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가 그래픽/이미지 UI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d에는 도 7a에서 배경 이미지 변경 메뉴를 터치하여 입력한 경우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d에는 배경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하여, 배경 화면의 유형을 선택하는 메뉴 리스트가 UI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메뉴 리스트에 표시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메뉴가 사용자에 의하여 터치되면, 해당 배경 화면을 불러오거나 생성(예컨대, 사진 촬영)하기 위한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7e에는 도 7a의 전화 번호 선택/입력 메뉴 중에서 최근 리스트 메뉴(예컨대, 왼쪽에서 두 번째에 위치한 메뉴)를 터치하여 입력한 경우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e에는 도 7a의 최근 리스트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과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드로잉 화면을 공유한 적이 있는 휴대 단말의 식별 번호(예컨대, 전화 번호) 리스트 및 이들 각각에 대한 연결 요청 메뉴가 UI로 표시되어 있다.
도 7f와 도 7g에는 중계 서버(16, 도 1 참조)를 통하여 상대방 단말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한 이후에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7f 및 도 7g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은 상대방 단말과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한 이후에도 추가로 음성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른 휴대 단말과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한 후에 표시되는 UI에는 동일한 다른 단말과 음성 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메뉴(도 7f 참조) 및 연결된 음성 통화를 스피크 폰으로 전환하기 위한 메뉴(도 7g 참조)가 포함되어 있다.
도 7h는 중계 서버(16, 도 1 참조)를 통하여 상대방 단말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한 이후에,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소정의 드로잉 패턴이 표시되어 있는 드로잉 화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7h는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드로잉 화면에 적어도 5개 이상의 단위 드로잉 패턴이 소정의 도형 형상으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드로잉 화면은 도 7h에 표시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작성한 필기나 도형, 심블(즉, 드로잉 패턴)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배경 이미지(지도나 사진) 상에 작성한 필기나 도형, 심블(드로잉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드로잉 패턴의 일례인 도형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선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좌표만을 갖는 점(point)도 도형이 될 수 있다.
도 7i는 중계 서버(16, 도 1 참조)를 통하여 상대방 단말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한 이후에, 상대방 단말과의 연결을 종료하기 위한 UI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7i에 도시된 UI는 상대방 단말과 음성 통화를 추가로 연결한 경우일 수 있다. 도 7i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연결을 종료할 수 있는 하는 항목(라이브 톡으로 표시된 데이터 통신과 음성 통화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 리스트의 형태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해당 리스트에서 하나의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통화의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24)는 휴대 단말(20)의 운영 및 동작에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4)에는 제어부(28)에서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여러 가지 종류의 컴퓨터 프로그램, 예컨대 운영 체제 프로그램, 다수의 기능 모듈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저장부(24)에는 메일,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문서, 음악, 전화번호, 전화통화기록, 메시지 등과 같은 데이터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화면 공유 절차에 따라서 송신하거나 수신된 드로잉 정보 및/또는 배경 데이터 등도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24)의 유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는데, 램(Random Access Memory, RAM)을 포함하며, 내장 또는 외장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자기 디스크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6)는 전자파를 송수신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하거나 및/또는 다른 휴대 단말과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통신 부(120)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 예컨대 3G/4G 등과 같은 이동통신 데이터 통신 모듈 및/또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26)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무선 통신 모듈, 예컨대 음성/영상 통화 모듈이나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듈 등과 같은 P2P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20)은 무선 통신부(26)를 통하여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 등록/해지 요청 및 이에 대한 응답,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 요청 및 이에 대한 응답, 드로잉 정보나 배경 데이터, 드로잉 변경 요청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8)는 휴대 단말(20)의 동작에 필요한 전반적인 관리, 처리,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8)는 입출력부(22)의 입력 모듈, 예컨대 드로잉 화면 공유를 위한 UI가 표시된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 요청 신호, 드로잉 입력 등에 응답하여 소정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8)는 입력 신호에 대한 처리 결과 또는 제어부(28)에 의한 제반 실행 결과, 예컨대 데이터 처리 기능(286)에 의하여 처리된 수신된 드로잉 정보를 입출력부(22)의 출력 모듈인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8)는 또한 데이터 송수신이나 통화 등과 같이 휴대 단말(20)이 서버나 다른 휴대 단말과의 통신을 하기 위한 제어 및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28)는 무선 통신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는데, 무선 통신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26)에 구비되어 있는 각 통신 모듈(예컨대, 3G/4G 이동통신 데이터 통신 모듈, 와이파이 모듈, 3G/4G 이동통신 음성/영상 통신 모듈,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모듈 등)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8)는 데이터 통신, 음성/영상 통화, 게임, 멀티미디어 재생, 인터넷 접속 등과 같이 휴대 단말(20)에 구비되어 있거나 설치되어 있는 소정의 기능이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또한 실행되고 있는 기능이나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 및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28)는 다른 휴대 단말과 드로잉 화면을 공유하기 위하여 제어, 신호 처리, 데이터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제어부(28)는 드로잉 화면 공유 모듈(2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드로잉 화면 공유 모듈(280)에 대하여 후술하는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는 휴대 단말(20)의 제조사가 처음부터 탑재하는 내장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및/또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마켓을 통해 임의적으로 설치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드로잉 화면 공유 모듈(280)은 인식 기능(282), 표시 기능(284), 및 데이터 처리 기능(286)을 포함한다.
인식 기능(282)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드로잉 패턴을 소정의 단위로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소정의 UI(예컨대, 도 7h 참조) 상에 드로잉 작업을 하는 경우에, 인식 기능(282)은 해당 드로잉 작업에 따른 드로잉 패턴을 획수 단위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획수 단위'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작업한 단위 드로잉 패턴을 가리킨다. 따라서 하나의 드로잉 패턴이 다수의 획수를 통해 완성이 되는 경우에, 인식 기능(282)은 해당 드로잉 패턴을 획수에 따라서 분할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식 기능(282)이 소정의 단위, 예컨대 획수 단위로 드로잉 패턴을 인식하는 것은 각 단위 드로잉 패턴마다 식별 부호(예컨대, 드로잉 아이디(drawing ID))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부여된 식별 부호는 이미 전송한 드로잉 정보를 변경(삭제(delete), 취소(undo), 복원(redo) 등)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식별 부호는 인식 기능(282)이 인식한 드로잉 정보를 전달 받아서 데이터 처리 기능(286)이 생성한 메시지에 포함(도 5의 항목 ③ 참조)되어 다른 휴대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인식 기능(282)은 드로잉 작업에 사용된 펜의 스타일 정보, 색상 정보, 굵기 정보, 작업이 수행된 시간 정보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펜의 스타일 은 미리 설정된 다양한 펜 유형(연필, 붓, 만년필, 크레파스 등)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도 7b 참조). 그리고 펜의 스타일에는 넓은 의미로 지우개도 포함될 수 있다(도 7c 참조). 이 경우에, 작성된 드로잉 패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우기 위한 드로잉 정보는 펜의 스타일만 지우개로 특정될 뿐 그 포맷은 다른 스타일의 펜으로 작성된 드로잉 패턴에 대한 드로잉 정보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 기능(282)에 의하여 인식되는 다양한 정보는 사용자가 드로잉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사전 설정이 되거나 및/또는 구현예에 따라서는 드로잉 작업을 수행한 이후에 사후 설정이 될 수도 있다.
인식 기능(282)은 드로잉 패턴에 대한 인식 결과, 입력된 드로잉 패턴을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펜의 스타일을 지시하는 데이터, 색상 데이터, 굵기 데이터, 작업 시간 데이터는 물론 패턴 경로 데이터, 예컨대, 드로잉 패턴의 시작 위치 데이터, 이동 경로 데이터, 끝 위치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 기능(286)으로 전달되어 소정의 언어, 예컨대 XML로 기술된 데이터 정보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식 기능(282)이 작성된 드로잉 패턴을 인식하는 구체적인 알고리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인식 기능(282)은 휴대 단말(20)에 구비되어 있는 터치 인식 모듈 및/또는 필기 인식 모듈을 활용하여 드로잉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개발되어서 휴대 단말(20)에 사용되고 있는 터치/필기 인식 알고리즘은 물론 앞으로 개발되어 휴대 단말(20)에 사용될 다른 터치/필기 인식 알고리즘도 모두 인식 기능(282)이 드로잉 패턴을 인식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 기능(282)은 사용자가 손이나 단순한 터치펜으로 작성한 드로잉 패턴은 물론 소정의 기능을 갖는 전자 터치 펜(예컨대, 와콤 터치펜 등)으로 작성한 드로잉 패턴도 인식할 수 있다.
인식 기능(282)은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배경 이미지가 있는 경우에는 드로잉 작업에 사용한 배경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배경 이미지가 없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20)에 표시되는 배경 이미지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기본 배경 이미지일 수 있다). 이 때, 배경 이미지는 휴대 단말(20)의 저장부(24)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지도(휴대 단말(20)이 있는 현재 위치가 포함된 지도의 일 부분), 그래픽은 물론 새롭게 촬영한 사진 등이 될 수 있다(도 7d 참조). 하지만, 배경 이미지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터넷 접속을 통하여 캡쳐하거나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웹 페이지나 이의 캡쳐 이미지, 저장되어 있는 문서나 이의 캡쳐 이미지 등이 될 수 있다. 인식 기능(282)은 이러한 배경 이미지를 인식하고 이를 표시하기 위한 파일(배경 데이터)이나 해당 파일에 저장부(24)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 위치 정보(경로 정보) 등을 데이터 처리 기능(286)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 기능(282)은 기전송된 드로잉 패턴에 대한 변경 요청, 즉 드로잉 변경 요청을 인식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식 기능(282)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어 있는 단위 드로잉 패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 다음 선택된 단위 드로잉 패턴에 대한 변경(삭제, 취소, 또는 복원)을 요청하는 메뉴를 입력하거나 또는 그 반대의 순서로 수행함으로써, 드로잉 변경 요청을 입력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인식 기능(282)은 선택된 드로잉 패턴에 대한 식별 정보와 함께 변경 요청 정보를 데이터 처리 기능(286)으로 전달할 수 있다.
표시 기능(284)은 인식 기능(282)이 인식한 드로잉 패턴 및/또는 배경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인식 기능(282)이 이미 작성된 드로잉 패턴에 대한 변경, 예컨대 삭제, 취소, 복원을 요청을 인식한 경우에, 표시 기능(284)은 해당 요청에 따라서 이미 표시되어 있는 드로잉 패턴을 삭제/취소하거나 또는 취소/삭제된 드로잉 패턴을 다시 복원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때, 표시 기능(284)은 이미 표시한 드로잉 패턴에 대응하는 드로잉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정보(예컨대, 드로잉 아이디)를 이용하여 변경 요청된 드로잉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기능(284)은 데이터 처리 기능(286)으로부터 전달되는 드로잉 정보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다른 휴대 단말(예컨대, 도 1의 제1 휴대 단말(20a))이 전송하는 드로잉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휴대 단말(예컨대, 도 1의 제2 휴대 단말(20b))은 무선 통신부(26)를 통해 드로잉 정보 등이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드로잉 정보 등은 데이터 처리 기능(286)으로 전달될 수 있다.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드로잉 정보는 예컨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엑스엠엘(XML)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표시 기능(284)은 데이터 처리 기능(286)으로부터 전달 받은 드로잉 정보의 드로잉 데이터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에 해당 드로잉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20)이 수신한 메시지에 배경 데이터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드로잉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와는 다른 데이터 통신 채널을 통해 배경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표시 기능(284)은 이 배경 데이터에 대응하는 배경 이미지도 드로잉 패턴과 함께 터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20)이 이미 전송한 드로잉 패턴에 대한 변경, 예컨대 삭제, 취소, 복원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표시 기능(284)은 해당 요청에 따라서 이미 표시한 드로잉 패턴을 삭제 또는 취소하거나 또는 취소하거나 삭제한 드로잉 패턴을 다시 복원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때, 표시 기능(284)은 이미 표시한 드로잉 패턴에 대응하는 드로잉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정보(예컨대, 드로잉 아이디)를 이용하여 변경 요청된 드로잉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데이터 처리 기능(286)은 드로잉 화면의 공유를 위하여 다른 휴대 단말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다른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파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 기능(286)은 인식 기능(282)이 인식한 드로잉 정보, 배경 데이터, 드로잉 변경 요청 등이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 기능(286)은 무선 통신부(26)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전달 받아서 파싱하고 이에 포함된 드로잉 정보의 드로잉 데이터, 배경 데이터, 드로잉 변경 요청 및 대상 드로잉 패턴의 식별 정보 등을 표시 기능(284)으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데이터 처리 기능(286)에 의하여 생성된 메시지에 포함되는 드로잉 정보에는 해당 단말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정보 및/또는 가로세로 비율 정보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것은 드로잉 화면을 공유하고자 하는 두 휴대 단말(20a, 20b) 사이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또는 가로세로 비율이 다른 경우에, 이를 고려하여 드로잉 화면을 정확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 기능(286) 또는 표시 기능(284)은 자신과 상대방 휴대 단말(20a, 20b)의 해상도 정보 및/또는 가로세로 비율을 참조하여 드로잉 패턴을 수정함으로써, 수정된 드로잉 패턴이 휴대 단말(20a, 20b)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정확하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정보 공유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드로잉 정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10)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휴대 단말(20)을 위하여 드로잉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드로잉 정보 공유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사항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드로잉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휴대 단말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절차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3에는 도 1의 서비스 제공 장치(10)에 제1 휴대 단말(20a)만이 서비스 등록을 하는 절차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제2 휴대 단말(20b)도 동일한 절차에 따라서 서비스 제공 장치(10)에 서비스 등록을 수행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드로잉 정보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휴대 단말(20a)은 서비스 등록 요청(service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관리 서버(12)로 전송한다(S31). 이 때, 서비스 등록 요청 메시지에는 휴대 단말(20a)의 전화 번호와 단말 아이디(ID)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휴대 단말(20a)의 전화 번호와 단말 아이디(ID)는 휴대 단말(20a)을 식별하기 위한 휴대 단말 정보의 일례이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휴대 단말 정보가 식별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12)는 수신한 휴대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20a)에 대한 푸쉬 등록 과정을 수행한다(S32 및 S33). 이것은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에 필요한 메시지 푸쉬, 예컨대 접속 요청(connection invite) 메시지의 전송(도 4a의 단계 S46 참조)을 푸쉬 서버(14)로부터 받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관리 서버는 먼저 푸쉬 등록 요청(push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푸쉬 서버(14)로 전송한다(S32). 푸쉬 등록 요청 메시지에는 단계 S31에서 수신한 휴대 단말(20a)의 전화 번호와 단말 아이디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푸쉬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푸쉬 서버(14)는 단계 S32에 대한 응답으로 푸쉬 등록 요청에 대한 결과가 알려주는 푸쉬 등록 응답(push registration response) 메시지를 관리 서버(12)로 전송한다(S33).
계속해서, 관리 서버(12)는 단계 S33에서 수신된 푸쉬 등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푸쉬 등록 결과를 참조하여, 서비스 등록 여부를 제1 휴대 단말(20a)에게 알려준다. 이를 위하여, 관리 서버(12)는 서비스 등록 응답(service registration response) 메시지를 제1 휴대 단말(20a)에게 전송한다(S34). 만일, 단계 S32 및 단계 S33에 따른 등록 절차가 모두 정상적으로 수행되어 제1 휴대 단말(20a)이 정상적으로 서비스 등록이 된 경우라면, 제1 휴대 단말(20a)이 이후의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사용할 인증 정보(예컨대, 임의의 포맷을 갖는 토큰 값(token value))가 이 서비스 등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제1 휴대 단말(20a)로 전달될 수 있다. 즉, 단계 S34에서 전달되는 인증 정보는 이후의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관리 서버(12)가 제1 휴대 단말(20a)을 인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드로잉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두 개의 휴대 단말이 서로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절차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4b는 도 4a에서 설정한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하여 두 개의 휴대 단말이 드로잉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절차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따라서 도 4a 및 도 4b는 비록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4a에 도시된 과정을 수행한 이후에 연속적으로 도 4b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서는 제1 휴대 단말(20a)이 먼저 서비스를 요청하고 또한 제1 휴대 단말(20a)의 드로잉 화면을 제2 휴대 단말(20b)로 전송하거나 변경하여 드로잉 화면을 공유하기 위한 절차만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정보 공유 서비스는 제2 휴대 단말(20b)이 먼저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및/또는 제2 휴대 단말(20b)이 자신의 드로잉 화면을 제1 휴대 단말(20a)과 공유하고자 하거나 또는 제1 휴대 단말(20a)과 제2 휴대 단말(20b) 모두가 자신의 드로잉 화면을 상대방 단말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휴대 단말(20a)은 먼저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를 관리 서버(12)로 전송한다(S41). 본 단계의 서비스 요청은 제1 휴대 단말(20a)이 제2 휴대 단말(20b)과의 드로잉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제2 휴대 단말(20b)과의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해줄 것을 요청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계 S41에서 전송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는 제2 휴대 단말(20b)의 식별 정보(예컨대, 전화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는 전술한 도 3의 단계 S34에서 수신한 제1 휴대 단말(20a)의 인증 정보, 예컨대 토큰 값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관리 서버(12)는, 제1 휴대 단말(20a)에 대한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서비스 제공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다수의 중계 서버 중에서 제1 휴대 단말(20a)과 제2 휴대 단말(20b)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할 중계 서버를 선택한다(S42). 도 4a에는 단계 S42에서의 선택 결과 선택된 중계 서버(16)만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b에는 제1 휴대 단말(20a)이 선택된 중계 서버(16)를 거쳐서 제2 휴대 단말(20b)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만이 기술되어 있지만,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선택된 중계 서버(16)는 제1 휴대 단말(20a)과 제2 휴대 단말(20b) 사이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단계 S42에서 관리 서버(12)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다수의 중계 서버 중에서 데이터 통신을 중계할 하나의 중계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관리 서버(12)는 드로잉 화면 공유 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중계 서버 각각의 현재 상태(예컨대, 서비스 제공 현황(혼잡도)이나 네트워크 상황 등)를 단계 S41 이후에 조사하거나 또는 다수의 중계 서버 각각의 현재 상태를 계속 주기적으로 계속 모니터링하고 있을 수 있다.
계속해서, 관리 서버(12)는 단계 S42에서 선택된 중계 서버(16)로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 정보, 예컨대 세션 아이디(ID)를 전달한다(S43). 세션 아이디는 중계 서버(16)가 후속되는 과정(단계 S47 및 S48)에서 제1 및 제2 휴대 단말(20a, 20b) 각각으로부터의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에, 링크를 설정할 대상으로 제1 휴대 단말(20a)과 제2 휴대 단말(20b)을 매칭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12)는 단계 S41에서의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서비스 응답(service response) 메시지를 제1 휴대 단말(20a)로 전송한다(S44). 관리 서버(12)는, 단계 S41에서의 서비스 요청이 정상적인 절차에 부합하는 경우에, 서비스 요청을 받아들이는 결과가 포함된 서비스 응답 메시지를 제1 휴대 단말(20a)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응답 메시지에는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 정보, 예컨대 세션 아이디(ID)가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단계 S42에서 선택된 중계 서버(16)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정보(예컨대, 중계 서버(16)의 URL)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2)는 제2 휴대 단말(20b)에 대한 푸쉬 요청(push request) 메시지를 푸쉬 서버(14)로 전송한다(S45). 본 단계는 제2 휴대 단말(20b)이 중계 서버(16)에 접속할 것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푸쉬 서버(14)가 제2 휴대 단말(20b)에게 전송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단계의 푸쉬 요청 메시지에는 제2 휴대 단말(20b)의 식별 정보(예컨대, 전화 번호)와 함께 제2 휴대 단말(20b)이 중계 서버(16)에 접속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정보(예컨대,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 정보(세션 아이디) 및 중계 서버(16)에 대한 접속 정보 등)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45에서 관리 서버(12)로부터 푸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푸쉬 서버(14)는 접속 유도(access invite) 메시지를 제2 휴대 단말(20b)로 푸쉬 방식으로 전송한다(S46). 이것은 제2 휴대 단말(20b)의 중계 서버(16)에 대한 접속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단계 S46에서 전송되는 접속 요청 메시지에는 단계 S45에서 수신한 정보의 일부, 예컨대 제2 휴대 단말(20b)이 중계 서버(16)에 접속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정보인 링크 정보(세션 아이디)와 중계 서버(16)에 대한 접속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a에서는 단계 S43 내지 단계 S45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단계 S43, 단계 S44, 및 단계 S45(단계 S46은 단계 S45의 이후에 수행된다)는 모두 또는 임의의 두 단계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단계 S43, 단계 S44, 및 단계 S45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지만, 도 4a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순서로 수행이 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단계 S44에서 관리 서버(12)로부터 서비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제1 휴대 단말(20a)과 단계 S47에서 푸쉬 서버(14)로부터 접속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 제2 휴대 단말(20b)은 각각 중계 서버(16)로 연결 요청(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47 및 S48). 도 4a에는 단계 S47과 S48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단계 S47과 단계 S48의 수행 순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동시에 수행되거나 또는 단계 S48 이후에 단계 S47이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S47와 단계 S48에서 각각 수신되는 연결 요청 메시지에는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 정보(예컨대, 세션 아이디)가 포함될 수 있다. 이것은 중계 서버(16)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중계를 두 개의 휴대 단말(20a, 20b)를 매칭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중계 서버(16)는 수신된 각각의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세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할 두 개의 휴대 단말(20a, 20b)를 매칭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중계 서버(16)는 세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찾은 제1 휴대 단말(20a)과 제2 휴대 단말(20b) 사이에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한다(도 4b의 S49 참조). 그리고 이후에는 예시적이지만 제1 휴대 단말(20a)이 설정된 링크를 통하여 드로잉 화면의 공유를 위하여 필요한 정보 및/또는 메시지를 제2 휴대 단말(20b)로 전송한다(제1 휴대 단말(20a)과 제2 휴대 단말(20b) 사이에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를 위하여, 중계 서버(16)는 제1 휴대 단말(20a)과 제2 휴대 단말(20b) 사이에 설정된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계속 유지하는데, 도 4b에는 이를 나타내기 위하여 단계 S49가 모든 단계들(S4901 내지 S4912)를 포함하는 점선 블록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휴대 단말(20a)은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된 제1 드로잉 패턴을 인식한다(S4901). 이러한 단계 S4901의 제1 드로잉 패턴의 인식 과정은 제1 휴대 단말(20a)의 인식 기능(282, 도 2 참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휴대 단말(20a)은 제1 드로잉 패턴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 즉 제1 드로잉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설정된 링크를 통해 제2 휴대 단말(20b)로 전송한다(S4902). 이를 위하여, 제1 휴대 단말(20a)의 데이터 처리 기능(286, 도 2 참조)은 인식 기능(282)이 인식한 제1 드로잉 패턴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 받아서 제1 드로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제1 드로잉 정보에는 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예컨대, 드로잉 아이디(ID) "1")가 포함되어 있다.
도 5는 제1 드로잉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5에는 하나의 단위 드로잉 패턴에 대한 드로잉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즉,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계 S4902에서 제1 휴대 단말(20a)에서 제2 휴대 단말(20b)로 전송되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제1 드로잉 정보에는 복수의 단위 드로잉 패턴에 대한 드로잉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드로잉 정보에는 적어도 항목 ③ 내지 ⑥이 복수 개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메시지는 엑스엠엘(XML)로 기술된 메시지일 수 있는데, 이것도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시지의 상단부에는 먼저 해당 메시지의 유형을 지시하는 정보(항목 ① 참조)가 표시되는데, 도 5의 "draw" 및 "/draw)는 해당 메시지가 드로잉 정보라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메시지는 펜의 스타일 정보(항목 ② 참조), 해당 메시지의 식별 정보(항목 ③ 참조), 드로잉 패턴의 색상 정보와 굵기 정보(항목 ④ 참조), 드로잉 패턴을 구성하는 선의 좌표 정보(항목 ⑤ 참조), 및 드로잉 패턴이 작성된 시간 정보(항목 ⑥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b를 참조하면, 단계 S4902에서 제1 드로잉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한 제2 휴대 단말(20b)은 수신된 메시지를 파싱하여 터치 스크린에 제1 드로잉 패턴을 표시한다(S4903). 이러한 단계 S4903의 제1 드로잉 패턴의 표시를 위한 메시지의 파싱은 제2 휴대 단말(20b)의 데이터 처리 기능(286, 도 2 참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파싱된 제1 드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드로잉 패턴을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은 제2 휴대 단말(20b)의 표시 기능(284, 도 2 참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계 S4901 내지 단계 S4903의 과정을 통해서, 제1 휴대 단말(20a)은 자신의 터치 스크린에 작성된 드로잉 패턴과 동일한 드로잉 패턴이 제2 휴대 단말(20b)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4901 내지 단계 S4903의 과정을 통해서 배경 데이터는 인식되거나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제1 휴대 단말(20a)과 제2 휴대 단말(20b) 각각의 터치 스크린에는 아무 배경이 없거나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본 배경 이미지를 배경으로 하여 제1 드로잉 패턴이 표시가 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가 되어 있지는 않지만, 중계 서버(16)는 전술한 단계 S4901 내지 S4903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에, 제1 휴대 단말(20a) 및 제2 휴대 단말(20b)과 각각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컨트롤 패킷을 주고 받음으로써, 제1 휴대 단말(20a)과 제2 휴대 단말(20b) 사이에 네트워크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1 휴대 단말(20a)이 제2 휴대 단말(20b)로 제1 드로잉 패턴과 다른 제2 드로잉 패턴을 전송하여 공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4904 내지 S4906). 본 실시예에서 단계 S4903 이후에 단계 S4904 내지 S4906의 과정이 수행되는 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단계 S4903 이후에 배경 이미지를 변경하기 위한 과정(후술하는 단계 S4907 내지 S4909 참조)이 수행되거나 또는 기전송된 제1 드로잉 패턴을 변경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제2 휴대 단말(20b)이 제1 휴대 단말(20a)로 새로운 드로잉 패턴을 작성하여 전송하거나 또는 제2 휴대 단말(20b)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1 드로잉 패턴을 변경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제2 드로잉 패턴의 전송을 위하여, 먼저 제1 휴대 단말(20a)은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된 제2 드로잉 패턴을 인식한다(S4904). 이러한 단계 S4904의 제2 드로잉 패턴의 인식 과정도 제1 휴대 단말(20a)의 인식 기능(282, 도 2 참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휴대 단말(20a)은 제2 드로잉 패턴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 즉 제2 드로잉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설정된 링크를 통해 제2 휴대 단말(20b)로 전송한다(S4905). 이를 위하여, 제1 휴대 단말(20a)의 데이터 처리 기능(286, 도 2 참조)은 인식 기능(282)이 인식한 제2 드로잉 패턴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 받아서 제2 드로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생성된 제2 드로잉 정보에는 이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 정보(예컨대, 드로잉 아이디(ID) "2")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4905에서 제2 드로잉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한 제2 휴대 단말(20b)은 수신된 메시지를 파싱하여 터치 스크린에 제2 드로잉 패턴을 표시한다(S4906). 이러한 단계 S4906의 제2 드로잉 패턴의 표시를 위한 메시지의 파싱은 제2 휴대 단말(20b)의 데이터 처리 기능(286, 도 2 참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파싱된 제2 드로잉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드로잉 패턴을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은 제2 휴대 단말(20b)의 표시 기능(284, 도 2 참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4b의 단계 S4904 내지 S4906에서는 제1 휴대 단말(20a)이 제1 드로잉 패턴과는 별개의 제2 드로잉 패턴을 제2 휴대 단말(20b)로 추가로 전송하는 경우이다. 추가로 전송되는 제2 드로잉 패턴에 대한 제2 드로잉 정보는 펜의 스타일, 색상, 굵기, 선의 좌표, 그려진 시간 정보 중에서 전부 또는 일부가 제1 드로잉 정보와 다를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2 드로잉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펜의 스타일은 지우개이고 또한 선의 좌표는 전부 또는 일부가 제1 드로잉 정보의 선의 좌표와 동일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 전술한 단계 S4906에서는 단계 S4903에서 제2 휴대 단말(20b)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제1 드로잉 패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지워지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1 휴대 단말(20a)이 제2 휴대 단말(20b)로 새로운 배경 이미지를 전송하여 공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4907 내지 S4909). 본 실시예에서, 단계 S4906 이후에 단계 S4907 내지 S4909의 과정이 수행되는 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단계 S4907 내지 단계 S4909의 과정은 단계 S4901의 수행 이전이나 또는 단계 S4904의 수행 이전, 또는 후술하는 단계 S4912의 수행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단계 S4907 내지 단계 S4909의 과정은 단계 S4901 내지 단계 S4906의 과정의 전부 또는 일부와 동시에 진행되거나 또는 단계 S4910 내지 단계 S4912의 과정의 전부 또는 일부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배경 이미지의 공유를 위하여 배경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단계 S4908)에서, 배경 데이터는 드로잉 정보가 전송되는 채널과 같은 채널을 통해 전송되거나 또는 다른 채널을 통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제1 휴대 단말(20a)과 제2 휴대 단말(20b) 사이에는 적어도 2개의 전송 채널이 할당될 수 있다. 이 때, 드로잉 정보는 상대적으로 데이터 양이 적지만 배경 이미지는 상대적으로 데이터 양이 많다는 점을 고려하여, 드로잉 정보의 전송을 위해서는 전송 용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전송 채널을 할당하고 배경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서는 전송 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전송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 휴대 단말(20a)로부터 제2 휴대 단말(20b)로 드로잉 정보의 전송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경 데이터도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다.
배경 데이터의 전송을 위하여, 제1 휴대 단말(20a)은 사용자로부터의 배경 변경 요청을 인식한다(S4907). 제1 휴대 단말(20a)의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UI로 표시되어 있는 배경 변경 메뉴(예컨대, 도 7d에서 상측 메뉴 박스에 세 번째로 표시되어 있는 산 형상이 그려져 있는 그래픽 메뉴)를 터치함으로써 배경 이미지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배경 변경 메뉴를 터치함에 따라서 표시되는 UI(예컨대, 도 7d에서 박스로 표시된 배경 이미지의 종류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새롭게 사용하고자 하는 배경 이미지의 종류와 구체적인 배경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 S4907의 배경 이미지의 변경 요청과 변경하고자 하는 배경 이미지를 인식 과정도 제1 휴대 단말(20a)의 인식 기능(282, 도 2 참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휴대 단말(20a)은 변경하고자 하는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배경 데이터가 포함된 메시지를 설정된 링크를 통해 제2 휴대 단말(20b)로 전송한다(S4908). 이를 위하여, 제1 휴대 단말(20a)의 데이터 처리 기능(286, 도 2 참조)은 인식 기능(282)이 인식한 배경 이미지에 관한 정보(예컨대, 저장부(24)에 저장되어 있는 배경 이미지의 경로)를 전달 받아서 배경 데이터가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4908에서 배경 데이터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한 제2 휴대 단말(20b)은 수신된 메시지를 파싱하여 터치 스크린에 배경 이미지를 표시한다(S4909). 이러한 단계 S4909의 배경 이미지의 표시를 위한 메시지의 파싱은 제2 휴대 단말(20b)의 데이터 처리 기능(286, 도 2 참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파싱된 배경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경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은 제2 휴대 단말(20b)의 표시 기능(284, 도 2 참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4b의 단계 S4907 내지 S4909에서는 제1 휴대 단말(20a)이 기존의 배경과는 다른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배경 데이터를 제2 휴대 단말(20b)로 전송하는 경우이다. 본 과정에서 전송되는 배경 이미지는 저장부(24, 도 2 참조)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등과 같은 이미지이거나 또는 소정의 영역에 대한 지도(예컨대, 제1 휴대 단말(20a)이 있는 위치가 포함된 지도)일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여러 가지 이미지나 파일 등이 배경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휴대 단말(20a)이 이미 제2 휴대 단말(20b)로 전송한 제2 드로잉 패턴을 변경하여 변경된 제2 드로잉 패턴을 제2 휴대 단말(20b)과 공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4910 내지 S4912). 본 실시예에서 단계 S4909 이후에 단계 S4910 내지 S4912의 과정이 수행되는 것도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단계 S4910 내지 S4912의 과정은 단계 S4907 내지 S4909의 과정의 수행 여부와는 상관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단계 S4910의 수행 이전에 제3 드로잉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과정이 추가로 수행되거나 또는 기전송된 제1 드로잉 패턴을 변경하는 과정이 먼저 수행되거나 또는 배경 이미지를 변경하는 과정이 추가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과정에서 수행되는 드로잉 패턴의 변경은 단위 드로잉 패턴 전체에 대한 변경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드로잉 패턴의 변경은 제1 휴대 단말(20a)에서 작성되어서 제2 휴대 단말(20b)과 이미 공유가 된 드로잉 패턴(예컨대, 제1 및/또는 제2 드로잉 패턴)을 삭제하거나 또는 직전에 작성하여 공유가 된 드로잉 패턴(예컨대, 제2 드로잉 패턴)을 취소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드로잉 패턴의 변경은 삭제되거나 취소된 드로잉 패턴을 복원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2 드로잉 패턴의 변경을 위하여, 제1 휴대 단말(20a)은 사용자로부터의 제2 드로잉 패턴에 대한 변경 요청 및 변경 유형을 인식한다(S4910). 이러한 단계 S4910의 제2 드로잉 패턴에 대한 변경 요청을 인식하는 과정도 제1 휴대 단말(20a)의 인식 기능(282, 도 2 참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휴대 단말(20a)은 기전송된 제2 드로잉 패턴을 변경, 예컨대 삭제 또는 취소하기 위한 요청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설정된 링크를 통해 제2 휴대 단말(20b)로 전송한다(S4911). 이를 위하여, 제1 휴대 단말(20a)의 데이터 처리 기능(286, 도 2 참조)은 인식 기능(282)이 인식한 제2 드로잉 패턴의 변경 요청을 전달 받아서 제2 드로잉 패턴에 대한 변경 요청이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전송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드로잉 패턴의 변경 요청에는 제2 드로잉 패턴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예컨대, 드로잉 아이디(ID) "2")와 함께 변경 유형을 지시하는 명령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것이 드로잉 패턴의 변경이 각각의 드로잉 패턴 단위로 수행되어서, 해당 단위 드로잉 패턴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예컨대, 드로잉 아이디)만으로도 충분히 변경하고자 하는 드로잉 패턴을 특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드로잉 패턴의 변경 요청에는 펜의 스타일에 관한 정보나 패턴의 색상, 굵기, 선의 좌표 정보 등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지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단계 S4911에서 제2 드로잉 패턴에 대한 드로잉 변경 요청이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한 제2 휴대 단말(20b)은 수신된 메시지를 파싱하여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어 있는 제2 드로잉 패턴을 삭제하거나 취소한다(S4912). 이러한 단계 S4912의 제2 드로잉 패턴의 변경을 위한 메시지의 파싱은 제2 휴대 단말(20b)의 데이터 처리 기능(286, 도 2 참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파싱된 변경 요청과 드로잉 아이디를 이용하여 터치 스트린에 표시되어 있는 제2 드로잉 패턴을 삭제 또는 취소하는 것은 제2 휴대 단말(20b)의 표시 기능(284, 도 2 참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실시예에 따라서 서비스 등록이 된 휴대 단말에 대하여 서비스 등록의 해지를 수행하는 절차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6에는 도 3과 마찬가지로 제1 휴대 단말(20a)만이 서비스 등록을 해지하는 절차가 도시되어 있지만, 제2 휴대 단말(20b)도 사용자의 요청이나 서비스 정책 위반 등을 이유로 제1 휴대 단말(20a)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서 서비스 등록 해지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3의 절차에 따라서 서비스 등록이 된 휴대 단말(20a)이, 이후에 드로잉 정보 공유 서비스의 이용을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에, 먼저 서비스 해지 요청(service termination request) 메시지를 관리 서버(12)로 전송한다(S51). 이 때, 서비스 해지 요청 메시지에는 휴대 단말(20a)의 전화 번호와 함께 인증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휴대 단말(20a)의 전화 번호는 휴대 단말(20a)을 식별하기 위한 휴대 단말 정보의 일례이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휴대 단말 정보가 식별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증 정보는 휴대 단말(20a)이 도 3의 단계 S34에서 수신한 인증 정보와 동일한 정보일 수 있는데,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관리 서버(12)는 수신한 휴대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20a)에 대한 푸쉬 해지 과정을 수행한다(S52 및 S53). 이것은 전술한 도 3의 단계 S32 및 S33를 통해서 푸쉬 서버(14)에 등록한 푸쉬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휴대 단말(20a)의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관리 서버(12)는 먼저 푸쉬 해지 요청(push termination request) 메시지를 푸쉬 서버(14)로 전송한다(S52). 이 때, 푸쉬 해지 요청 메시지에는 단계 S51에서 수신한 휴대 단말(20a)의 전화 번호 등과 같은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푸쉬 해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푸쉬 서버(14)는 단계 S52에 대한 응답으로 푸쉬 해지 요청에 대한 결과가 알려주는 푸쉬 해지 응답(push termination response) 메시지를 관리 서버(12)로 전송한다(S53). 계속해서, 관리 서버(12)는 단계 S53에서 수신된 푸쉬 해지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푸쉬 해지 결과를 참조하여, 서비스 해지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제1 휴대 단말(20a)에게 알려준다. 이를 위하여, 관리 서버(12)는 서비스 해지 응답(service termination response) 메시지를 제1 휴대 단말(20a)에게 전송할 수 있다(S54).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만 특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12 : 관리 서버 14 : 푸쉬 서버
16 : 중계 서버 20, 20a, 20b : 휴대 단말
22 : 입출력부 24 : 저장부
26 : 무선 통신부 28 : 제어부
280 : 드로잉 화면 공유 모듈 282 : 인식 기능
284 : 표시 기능 286 : 데이터 처리 기능

Claims (31)

  1. 제1 휴대 단말이 드로잉 화면을 제2 휴대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을 상기 제1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제2 휴대 단말로 접속 유도 메시지를 푸쉬 방식으로 전송하며, 또한 상기 제1 휴대 단말 및 상기 접속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 휴대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휴대 단말과 상기 제2 휴대 단말 사이에 상기 드로잉 화면의 공유에 필요한 드로잉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드로잉 화면 공유 서버(drawing screen sharing server)를 포함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화면 공유 서버는
    상기 제1 휴대 단말로부터의 상기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관리 서버(management server);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푸쉬 요청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제2 휴대 단말로 상기 접속 유도 메시지를 푸쉬하기 위한 푸쉬 서버(push server); 및
    상기 제1 휴대 단말과 상기 제2 휴대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휴대 단말과 상기 제2 휴대 단말 사이에 상기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한 상기 드로잉 정보의 전송을 중계하기 위한 중계 서버(relay serv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화면은 상기 드로잉 정보에 대응하는 드로잉 패턴이 표시되는 배경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설정된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해서 상기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배경 데이터의 전송을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드로잉 정보와 상기 배경 데이터를 별도의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드로잉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보다 전송 용량이 더 큰 채널을 통하여 상기 배경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정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설정된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해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과 상기 제2 휴대 단말 사이에서 드로잉 변경 요청이 전송되는 것을 중계하고,
    상기 드로잉 변경 요청에는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변경 요청은 상기 식별 정보가 지시하는 드로잉 정보에 대응하는 드로잉 패턴의 삭제(delete) 요청, 취소(undo) 요청, 또는 복원(redo) 요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상기 제1 휴대 단말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 각각과 연결이 끊기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제1 휴대 단말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 각각과 제어 패킷을 주기적으로 송수신하여 연결이 끊기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서비스 등록 요청을 하는 제3 휴대 단말을 위하여 서비스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등록 절차는 상기 제3 휴대 단말을 푸쉬 서비스에 등록하기 위하여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푸쉬 서버에 푸쉬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는 복수의 중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중계 서버 중에서 상기 제1 및 제2 휴대 단말을 위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하나의 중계 서버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14. (a) 드로잉 화면을 제2 휴대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제1 휴대 단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휴대 단말로 접속 유도 메시지를 푸쉬하는 단계;
    (c) 상기 제1 휴대 단말과 상기 접속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 휴대 단말 각각으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휴대 단말과 상기 제2 휴대 단말 사이에 데이터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에서 설정된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해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과 상기 제2 휴대 단말 사이에서 상기 드로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드로잉 정보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f) 상기 단계 (d)에서 설정된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해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과 상기 제2 휴대 단말 사이에서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배경 데이터의 전송을 중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와 상기 단계 (f)는 별도의 채널을 할당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를 위하여 할당되는 채널보다 상기 단계 (f)를 위하여 할당되는 채널의 전송 용량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정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g) 상기 단계 (d)에서 설정된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해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과 상기 제2 휴대 단말 사이에서 드로잉 변경 요청이 전송되는 것을 중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잉 변경 요청에는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h) 상기 단계 (d) 이후에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상기 제1 휴대 단말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 각각과 연결이 끊기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h)는 상기 제1 휴대 단말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 각각과 제어 패킷을 주기적으로 송수신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i) 상기 단계 (a) 이전에 상기 제1 및 제2 휴대 단말 각각의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휴대 단말 각각에 대한 서비스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b2) 상기 제2 휴대 단말로 접속 유도 메시지를 푸쉬할 것을 푸쉬 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등록 절차는 상기 제1 및 제2 휴대 단말 각각을 상기 푸쉬 서버에 푸쉬 서비스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방법.
  25.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피어 단말과 드로잉 화면을 공유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드로잉 화면 공유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로서, 상기 드로잉 화면 공유 모듈은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된 제1 드로잉 패턴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기능;
    상기 제1 드로잉 패턴을 특정하기 위한 제1 드로잉 데이터로부터 상기 피어 단말로 전송할 제1 드로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2 드로잉 정보를 파싱하여 제2 드로잉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기능; 및
    상기 제1 드로잉 데이터 또는 제2 드로잉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드로잉 패턴 또는 상기 제2 드로잉 패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기능은 상기 제1 드로잉 패턴이 표시되는 제1 배경 이미지를 인식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 기능은 상기 인식된 제1 배경 이미지로부터 상기 피어 단말로 전송할 제1 배경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1 드로잉 정보와 상기 제1 배경 데이터를 별도의 채널을 통하여 상기 피어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1 드로잉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보다 전송 용량이 더 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배경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드로잉 정보 각각은 대응되는 드로잉 패턴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기능은 상기 제1 드로잉 패턴에 대한 변경 요청을 인식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기능은 상기 변경 요청에 대응하는 드로잉 변경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되, 상기 드로잉 변경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제1 드로잉 패턴을 지시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화면 공유 모듈은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네트워크 연결이 끊기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잉 화면 공유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KR1020120105469A 2012-09-21 2012-09-21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휴대 단말 KR101422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469A KR101422808B1 (ko) 2012-09-21 2012-09-21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휴대 단말
US14/029,205 US20140086105A1 (en) 2012-09-21 2013-09-17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rawing screen shar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469A KR101422808B1 (ko) 2012-09-21 2012-09-21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휴대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430A true KR20140039430A (ko) 2014-04-02
KR101422808B1 KR101422808B1 (ko) 2014-08-14

Family

ID=50338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469A KR101422808B1 (ko) 2012-09-21 2012-09-21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86105A1 (ko)
KR (1) KR1014228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2890A (ko) * 2014-05-15 2015-11-27 (주)아비츠 커뮤니케이션즈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공유방법 및 시스템
US9961210B2 (en) 2014-08-04 2018-05-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Terminal, server, and terminal control method
KR102183749B1 (ko) * 2019-11-25 2020-11-27 (주)스트럼코리아 채팅 세션 상에서 공유되는 파일의 열람 위치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채팅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448806B1 (ko) * 2021-04-13 2022-09-29 주식회사 씨제이이엔엠 사용자 참여형 증강 현실 드로잉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서버
KR102515372B1 (ko) * 2022-11-22 2023-03-30 불곰소프트 주식회사 원격 화면 출력을 구현하는 전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프로그램,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8523B2 (en) * 2009-09-04 2015-12-22 Siemens Industry,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uthorship of a document
US10680905B1 (en) 2013-12-06 2020-06-09 Mobile Iron, Inc. Application help desk
US10277698B1 (en) * 2013-12-12 2019-04-30 Mobile Iron, Inc. Remote display using a proxy
CN104753989B (zh) * 2013-12-27 2018-09-1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基于Web-based OS运行环境的屏幕影像传输播放方法及装置
KR101458368B1 (ko) * 2014-04-28 2014-11-19 알서포트 주식회사 모바일단말의 중계서버 능동 접속을 이용한 통신로 개설방법
US9602191B2 (en) * 2014-06-27 2017-03-21 X Development Llc Streaming display data from a mobile device using backscatter communications
CN105282602A (zh) * 2014-07-07 2016-01-27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设备
JP2016072874A (ja) * 2014-09-30 2016-05-09 Kddi株式会社 端末間通信システム、端末間通信方法、および端末装置
US9923939B2 (en) * 2015-04-29 2018-03-20 Optim Corporation Electronic share server, screen sharing method, and program for electronic share server
JP6259790B2 (ja) * 2015-07-30 2018-01-10 株式会社オプティム ユーザ端末、画面共有方法及びユーザ端末用プログラム
JP6655921B2 (ja) * 2015-09-11 2020-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05023B1 (ja) * 2015-10-15 2017-03-29 株式会社オプティム 画面共有サーバ、画面共有方法及び画面共有サーバ用プログラム
CN106921717B (zh) * 2015-12-28 2020-01-10 航天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消息推送方法及系统
CN105933452B (zh) * 2016-06-30 2020-06-16 亳州鼎源科技信息有限公司 一种信息推送、显示方法和装置
US9986437B2 (en) 2016-09-19 2018-05-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de verification for wireless display connectivity
GB201713301D0 (en) * 2017-08-18 2017-10-04 Revolutioneyes Me Ltd Communication method
KR102350954B1 (ko) * 2017-08-22 2022-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9040359A (ja) * 2017-08-24 2019-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中継サーバ、情報処理装置と画像形成装置、及びそれらを制御する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18117394A (ja) * 2018-05-08 2018-07-26 Kddi株式会社 端末間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方法
CN110221801A (zh) * 2019-06-05 2019-09-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桌牌终端及控制方法、系统、操作终端及控制方法
CN110662005A (zh) * 2019-10-30 2020-01-07 中电福富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pc客户端和手机客户端视频通话的画框交互方法
CN111163216A (zh) * 2019-12-11 2020-05-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传输方法及电子设备
CN112153619A (zh) * 2020-09-08 2020-12-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轨迹显示方法、第一终端、第二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2727A (en) * 1993-04-20 1996-03-26 At&T Corp. Image and audio communication system having graphical annotation capability
KR20010015005A (ko) * 1999-07-05 2001-02-26 황대준 드로잉 기능 제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드로잉 방법
US7657596B2 (en) * 2002-10-24 2010-02-02 Sun Microsystems, Inc. Distributed data sharing methods and systems
FR2857763A1 (fr) * 2003-07-18 2005-01-21 Canon Kk Procede d'acces et de partage d'un document numerique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p2p
US8331351B2 (en) * 2007-01-05 2012-12-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municating with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application sessions using a message-oriented middleware system
KR101049909B1 (ko) * 2009-12-28 2011-07-15 (주)블루다임 실시간 필기 공유방식의 통신 방법 및 그 시스템
US9075561B2 (en) * 2011-07-29 2015-07-07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managing collaboration on a virtual work of art
US20130080513A1 (en) * 2011-09-28 2013-03-28 Jeremy Debate Multi-party communication sessions via broadcast notification network
TWI504270B (zh) * 2011-10-12 2015-10-11 Egalax Empia Technology Inc 視訊通信即時螢幕互動裝置、方法及系統
US20140040767A1 (en) * 2012-08-03 2014-02-06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hared digital whiteboar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2890A (ko) * 2014-05-15 2015-11-27 (주)아비츠 커뮤니케이션즈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공유방법 및 시스템
US9961210B2 (en) 2014-08-04 2018-05-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Terminal, server, and terminal control method
KR102183749B1 (ko) * 2019-11-25 2020-11-27 (주)스트럼코리아 채팅 세션 상에서 공유되는 파일의 열람 위치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채팅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448806B1 (ko) * 2021-04-13 2022-09-29 주식회사 씨제이이엔엠 사용자 참여형 증강 현실 드로잉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서버
KR102515372B1 (ko) * 2022-11-22 2023-03-30 불곰소프트 주식회사 원격 화면 출력을 구현하는 전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프로그램,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808B1 (ko) 2014-08-14
US20140086105A1 (en)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808B1 (ko) 드로잉 화면 공유 서비스의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휴대 단말
JP6096998B2 (ja) 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ング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2049789B1 (ko) 휴대단말기의 정보 전송장치 및 방법
US20080252716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EP268011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CN111290695B (zh) 基于优先级控制的终端控制方法、装置和终端
CN105554430B (zh) 一种视频通话方法、系统及装置
EP306504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multi-screen by distributing screen and sharing input interface between user
CN114629932B (zh) 电子设备间的协同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20051285A (ko)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배경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US20180239511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50026656A (ko) 응용프로그램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6792892B (zh) 应用程序的访问控制方法和装置
EP4184308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03546631A (zh) 一种智能手机之间交换电子名片的方法
EP26606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collaborative gesture-based sharing of ressources between devices
KR101789331B1 (ko) 가상 공간에서의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TW201716975A (zh) 即時視訊互動方法與裝置
KR101659420B1 (ko) 공유 비디오 장치 및 개인용 장치를 이용한 개인맞춤화된 비디오 콘텐츠 소비
KR101370316B1 (ko) 메신저 프로그램에서의 서비스 페이지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10044012A (ko) 화상통화 단말기를 이용한 길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160046444A (ko) 데이터 공유 다운로드 방법
KR20160046449A (ko) 데이터 다운로드 제어 방법
KR101531309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통화 종료 후의 서비스 제공방법
CN115379249B (zh) 交互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