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415A -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415A
KR20140039415A KR1020120105192A KR20120105192A KR20140039415A KR 20140039415 A KR20140039415 A KR 20140039415A KR 1020120105192 A KR1020120105192 A KR 1020120105192A KR 20120105192 A KR20120105192 A KR 20120105192A KR 20140039415 A KR20140039415 A KR 20140039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stabilizer
mobile crane
magnetic devic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훈
김종윤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5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9415A/ko
Publication of KR20140039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은, 크레인 본체의 하부에 스태빌라이저가 설치되며, 상기 스태빌라이저에 마그네틱 장치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스태빌라이저 끝 부분에 마그네틱 장치를 장착하여 운용하면, 카운터 웨이트를 증가시지 않아도 되므로, 크레인 설치 지역의 하부 추가 보강이 필요하지 않으며, 데크에 보다 강력하게 고정할 수 있고, 장비 운용중에 발생하는 업 리프트 포스(Up Lifting Force)를 상쇄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MOBILE CRANE STABILIZING SYSTEM}
본 발명은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스테빌라이저의 하부에 설치된 마그네틱 장치를 이용하여 선체의 데크에 고정함으로써, 카운터 웨이트의 증가 없이 크레인 작업의 안정화를 실현할 수 있는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하물(荷物)을 들어올려서 상하·좌우·전후로 운반하는 기계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기중기(起重機)라고도 한다.
최근 건설공사의 자동화 및 기계화 시공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모바일 크레인의 사용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며, 모바일 크레인으로 인양하는 인양 물이 대형화되고, 고소작업이 증가함에 따라 대형사고의 위험성 또한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모바일 크레인은 안정성을 위해 스태빌라이저(Stabilizer)를 넓게 펼친 후 사용한다.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에는 공간이 부족하여 기존과 같이 넓게 펼치는 스태빌라이저 사용에 제약이 있으므로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를 늘리고, 스태빌라이저 폭을 줄이는 방법이 활용되었다.
그러나, 카운터 웨이트를 늘림에 따라 모바일 크레인 설치 구역 하부에 보강이 필요하게 되었고, 장비의 자중이 증가하여 모바일 크레인이 갖는 장점인 이동성이 희석되었다.
도 1a는 모바일 크레인을 보인 것으로, 모바일 크레인으로 인양하는 인양 물이 대형인 경우 안정성을 위해 스태빌라이저를 넓게 펼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1b는 카운터 웨이트를 늘인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a에 보인 바와 같이, 종래 모바일 크레인(10)은, 크레인 본체(11)에 크레인 붐(12)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크레인 본체(11)의 하부에는 스태빌라이저(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종래에는 모바일 크레인(10)으로 인양하는 인양 물이 대형인 경우 모바일 크레인(10)의 안정성을 위해 스태빌라이저(13)를 넓게 펼치거나, 1b에 보인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13)를 넓게 벌리는 대신에 카운터 웨이트(14)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스태빌라이저(13)를 넓게 펼치는 방법은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에 공간이 부족하여 스태빌라이저 사용에 제약이 있으며, 카운터 웨이트(14)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모바일 크레인(10)이 설치된 구역의 데크(D) 하부에 보강이 필요하게 되며, 또한 장비의 자중이 증가하여 모바일 크레인의 이동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운터 웨이트를 늘리는 대신에 스태빌라이저 끝에 마그네틱 장치를 부착하여 자석장치에 의해서 모바일 크레인이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장비 안정화 기능은 물론, 크레인 운용 중에 발생하는 업 리프팅 포스(Up Lifting Force)의 상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은 크레인 본체의 양측에는 스태빌라이저가 설치되며, 상기 스태빌라이저에는 마그네틱 장치가 설치된다.
크레인 작업시 상기 마그네틱 장치를 가동하여 상기 스태빌라이저를 선체 데크에 고착시켜서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그네틱 장치는 전자석으로 구성되며, 크레인 작업시에만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그네틱 장치는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태빌라이저 끝 부분에 마그네틱 장치를 장착하여 운용하면, 카운터 웨이트를 증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크레인 설치지역의 하부 추가 보강이 필요하지 않으며, 데크에 보다 강력하게 고정할 수 있고, 장비 운용중에 발생하는 업 리프팅 포스(Up Lifting Force)를 상쇄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는 모바일 크레인을 보인 것으로, 모바일 크레인으로 인양하는 인양 물이 대형인 경우 안정성을 위해 스태빌라이저를 넓게 펼친 상태를 보인 도면
1b는 모바일 크레인을 보인 것으로, 모바일 크레인으로 인양하는 인양 물이 대형인 경우 안정성을 위해 카운터 웨이트를 증가시킨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을 설명하는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을 설명하는 평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을 설명하는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은 크레인 본체(110)에 크레인 붐(111)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크레인 본체(110)의 하부에는 스태빌라이저(120)가 설치된다. 상기 스태빌라이저(120)에는 마그네틱 장치(130)가 설치된다. 상기 마그네틱 장치(130)는 상기 스태빌라이저(12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크레인 작업시 상기 마그네틱 장치(130)를 가동하여 상기 스태빌라이저(120)를 선체 데크(D)에 고착시켜서 모바일 크레인(100)의 안정화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그네틱 장치(130)는 전자석으로 구성되며, 크레인 작업시에만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크레인 작업시에는 전원이 차단되어 모바일 크레인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에 있어서는, 스태빌라이저(120)와 마그네틱 장치(130)가 별도의 구성부품으로 구성된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마그네틱 장치(130) 자체가 스태빌라이저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레인 작업시 카운터 웨이트를 증가시키는 대신에 스태빌라이저(120)를 넓게 벌리지 않고 스태빌라이저(120) 끝에 부착된 마그네틱 장치(130)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함으로써, 그 마그네틱 장치(130)에 의해서 모바일 크레인이 데크(D) 상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장비 안정화 기능은 물론, 크레인 운용 중에 발생하는 업 리프팅 포스(Up Lifting Force)의 상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크레인 작업을 마친 후에는 마그네틱 장치(1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자석기능을 해제하고, 모바일 크레인(100)을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100: 모바일 크레인
110: 크레인 본체
120: 스태빌라이저
130: 마그네틱 장치
D: 선체 데크

Claims (4)

  1. 크레인 본체의 양측에는 스태빌라이저가 설치되며, 상기 스태빌라이저에는 마그네틱 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크레인 작업시 상기 마그네틱 장치를 가동하여 상기 스태빌라이저를 선체 데크에 고착시켜서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장치는 전자석으로 구성되며, 크레인 작업시에만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장치는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
KR1020120105192A 2012-09-21 2012-09-21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 KR20140039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192A KR20140039415A (ko) 2012-09-21 2012-09-21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192A KR20140039415A (ko) 2012-09-21 2012-09-21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415A true KR20140039415A (ko) 2014-04-02

Family

ID=50650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192A KR20140039415A (ko) 2012-09-21 2012-09-21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94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692A (ko) * 2014-09-25 2016-04-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저청소로봇의 컨테이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692A (ko) * 2014-09-25 2016-04-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저청소로봇의 컨테이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342297U (zh) 一种带有臂架结构的门式起重机
CN103863938A (zh) 用于搬运风洞实验车的安全吊装装置
KR20140039415A (ko) 모바일 크레인의 안정화 시스템
KR101608405B1 (ko) 작업 안정성이 우수한 트럭크레인
CN202245700U (zh) 一种用于窄卷吊运的吊具
KR20120129102A (ko) 선박용 블록 러그의 로드 테스트 장치
CN102886679B (zh) 工件对接设备及其工件对接装置
CN104355238A (zh) 一种带有臂架结构的门式起重机
KR20150001390U (ko) 리프팅 러그
CN205131574U (zh) 一种钢桩定位台车
JP6778415B2 (ja) 移動式クレーン
JP2013100178A (ja) 門型クレーンおよび門型クレーンの拡幅方法
JP2006096506A (ja) クレーン
US10683194B2 (en) Apparatus for stabilizing a crane
KR102411436B1 (ko) 크레인 지브 레스트를 지닌 투광조명등 포스트
CN204297984U (zh) 三段式臂架起重机
JP2015178732A (ja) 建設機械
CN205349356U (zh) 分离式隧道仰拱模板
CN103303808A (zh) 塔机
CN104326373A (zh) 一种主副钩门座式起重机
JP6331836B2 (ja) 建設機械
JP2015189542A (ja) 岸壁クレーン
KR20130080264A (ko) 골리앗 크레인에 의한 대형 구조물 리프트용 구조체
CN104925682B (zh) 高空作业平台用上料系统
JP5968820B2 (ja) 岸壁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