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154A -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표시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표시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154A
KR20140039154A KR20137020874A KR20137020874A KR20140039154A KR 20140039154 A KR20140039154 A KR 20140039154A KR 20137020874 A KR20137020874 A KR 20137020874A KR 20137020874 A KR20137020874 A KR 20137020874A KR 20140039154 A KR20140039154 A KR 20140039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tml
display
attribute information
displa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2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4662B1 (ko
Inventor
고우이치 우치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39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715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volving the mixing of the reproduced video signal with a non-recorded signal, e.g. a text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8Subtit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TML(Timed Text Markup Language)베이스로 자막 강제 표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표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서의 요소를 정의하는 태그 내에 자막 강제 표시에 따른 소정의 속성 정보를 기술한 TTML 데이터로 한다. 콘텐츠의 재생측에서는, 상기 TTML 데이터 내의 상기 소정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속성 정보가 기입된 태그에 의해 지정되는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는 문자가, 자막 표시 설정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TTML 데이터 내의 각 문서 요소(자막으로서의 텍스트 데이터) 중 소정의 문서 요소로서의 텍스트 데이터를, 자막 표시 설정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표시할 수 있다. 즉, TTML 베이스로 자막 강제 표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표시 제어 장치{DISPLAY CONTROL METHOD, RECORDING MEDIUM, AND DISPLAY CONTROL DEVICE}
본 기술은, Timed Text 자막에 관한 표시 제어 방법 및 표시 제어 장치와, Timed Text 자막에 관한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동화상의 인터넷 배신(配信)이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등에 있어서, 자막 표시에 Timed Text 자막을 사용하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 배신에 있어서의 Timed Text 자막의 사용에 대하여는, 예를 들어 DECE(Digital Entertainment Content Ecosystem LLC) 등의 각종 규격으로 서포트되고 있다.
Timed Text에는 몇 가지의 종류가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W3C(World Wide Web Consortium)가 제창하는 W3C Timed Text, 즉 TTML(Timed Text Markup Language)이 그 범용성 등의 면에서 유망시되고 있다(예를 들어 하기 비특허문헌 1을 참조).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Timed Text Markup Language(TTML) 1.0」, [online], 2010년 11월 18일, [2011년 2월 7일 검색], 인터넷 <URL: http://www.w3.org/TR/ttaf1-dfxp>
여기서,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시에 행해지는 자막 표시는, 미리 유저 조작에 의해 그 온/오프를 지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통상이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유저에 의해 자막 표시 설정의 온/오프를 지정시켜 두고, 동화상 재생 시에는, 당해 자막 표시 설정의 내용에 따라 자막을 표시/비표시로 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유저에 의한 자막 표시 설정은 무시하고, 자막 표시를 강제적으로 실행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러한 자막 강제 표시의 개념을 적용하면, 동화상 상의 소정 위치에서, 예를 들어 warning card 등으로서의 소정의 메시지가 시청자에게 반드시 제시되도록 하거나, 또한 외국어로 말하는 장면에만 대응하여 자막을 표시하거나 하는 것 등이 가능하므로, 자막 기능의 용도의 폭을 확장할 수 있다.
그러나, TTML에서는, 자막 표시 설정을 무시하고 강제적으로 소정의 자막 부분을 표시하는 자막 강제 표시 기능은 서포트되고 있지 않다.
본 기술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TTML 베이스로 자막 강제 표시 기능을 실현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이하의 표시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즉, 본 기술에 관한 표시 제어 방법은, 문서의 요소를 정의하는 태그 내에 자막 강제 표시에 따른 소정의 속성 정보를 기술한 TTML(Timed Text Markup Language)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순을 갖는다.
또한, 상기 생성 수순에 의해 생성된 상기 TTML 데이터를 필요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순을 갖는다.
또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TTML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순을 갖는다.
또한, 상기 입력 수순에 의해 입력된 상기 TTML 데이터 내의 상기 소정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속성 정보가 기입된 태그에 의해 지정되는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는 문자가, 자막 표시 설정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순을 갖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TTML 데이터 내의 각 문서 요소(자막으로서의 텍스트 데이터) 중 소정의 문서 요소로서의 텍스트 데이터를, 자막 표시 설정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표시할 수 있다. 즉, TTML 베이스로 자막 강제 표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기술에 의해, TTML 베이스로 자막 강제 표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로서의 표시 제어 방법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로서의 TTML 데이터의 생성 방법의 일례(<span> 태그에 대한 속성 정보의 기술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body> 태그에 대한 속성 정보의 기술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div> 태그에 대한 속성 정보의 기술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p> 태그에 대한 속성 정보의 기술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region> 태그에 대한 속성 정보의 기술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TTML 데이터에 기초하는 자막 강제 표시 제어에 관한 처리의 구체적인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기술에 관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수순으로 행한다.
<1. 표시 제어 방법의 개요>
<2. TTML 데이터 생성의 구체예>
<3. 표시 제어 장치>
<4. 실시 형태의 정리 및 변형예>
<1. 표시 제어 방법의 개요>
도 1은 실시 형태로서의 표시 제어 방법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방법은, TTML(Timed Text Markup Language) 데이터 생성 수순 S1, 영상 데이터와의 합성 수순 S2, 기록 수순 S3, TTML 데이터 추출 수순 S4, TTML 데이터에 기초하는 자막 강제 표시 제어 수순 S5의 5가지의 수순으로 크게 구별할 수 있다.
우선, TTML 데이터 생성 수순 S1에서는, 자막 강제 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TTML 데이터의 생성을 행한다.
여기서 말하는 TTML이란, W3C Timed Text(W3C: World Wide Web Consortium)를 의미한다.
당해 TTML 데이터 생성 수순 S1은,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TTML 데이터의 작성자로서의 작업원이 텍스트의 입력 조작을 행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TTML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실시 형태로서의 TTML 데이터의 구체적인 생성 방법(작성 방법)에 대하여는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
이어지는 영상 데이터와의 합성 수순 S2에서는, 상기 수순 S1에서 생성된 TTML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합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영상 데이터와 TTML 데이터를 멀티플렉스하여, 소정 형식에 의한 스트림 데이터(배신용 데이터)를 얻는다.
또한, 상기 스트림 데이터의 형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MPEG-2(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나 MPEG-4AVC(AVC: Advanced Video Coding) 등에 기초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당해 영상 데이터와의 합성 수순 S2로서도,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행한다.
다음 기록 수순 S3에서는, 상기 스트림 데이터로서의 배신용 데이터를 필요한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예를 들어, 배신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NT를 통하여 행하는 것이면, 소정의 배신용 서버 장치가 구비하는 예를 들어 HDD(Hard Disk Drive)나 SSD(Solid State Drive)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또는, 광 디스크나 메모리 카드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 RM을 배포하여 배신하는 경우에는, 당해 리무버블 미디어 RM에 대하여 상기 배신용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어지는 TTML 데이터 추출 수순 S4에서는, 네트워크 NT 또는 리무버블 미디어 RM을 통하여 입력되는 배신용 데이터로부터, TTML 데이터를 추출한다. 즉 이 경우에는, 상기 배신용 데이터로서의, 영상 데이터와 TTML 데이터가 멀티플렉싱된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TTML 데이터의 추출(디멀티플렉스)을 행한다.
또한, 다음 TTML 데이터에 기초하는 자막 강제 표시 제어 수순 S5에서는, 상기 수순 S4에서 추출한 TTML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막 강제 표시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또한, 당해 수순 S5에 있어서의 자막 강제 표시 제어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도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
여기서, 본 예의 경우, TTML 데이터 추출 수순 S4 및 TTML 데이터에 기초하는 자막 강제 표시 제어 수순 S5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로서의 표시 제어 장치(재생 장치(1))를 사용하여 행해지게 된다.
<2. TTML 데이터 생성의 구체예>
도 2는 실시 형태로서의 TTML 데이터의 생성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막 강제 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TTML 데이터로서, 문서의 요소를 정의하는 태그 내에, 자막 강제 표시에 따른 소정의 속성 정보를 기술한 TTML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2에서는, 이러한 실시 형태로서의 TTML 데이터의 생성 방법의 일례로서, <span> 태그 내에 상기 소정의 속성 정보를 기술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예에서는, <span>의 개시 태그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속성 정보를 기입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예의 경우, 상기 소정의 속성 정보로서는, 당해 소정의 속성 정보인 취지를 나타내는 텍스트 데이터와 함께, 이와 대응지어진 속성값을 기술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소정의 속성 정보인 취지를 나타내는 텍스트 데이터를 「forced」라 하고, 상기 속성값에 대하여는 불리언(boolean)을 채용하여 「true」와 「false」의 2값을 정의한 후에, 이들 「forced」와 속성값을 「=」로 대응지어 기술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span>의 개시 태그에 「forced」로서의 새로운 속성 정보를 기술함으로써, 도면 중의 <p>의 태그로 정의(지정)된 문서 요소인 「abcdefghijklmn」의 문서(텍스트) 중 <span>의 태그에 의해 정의된 문서 요소인 「hijk」로서의 텍스트 데이터가, 강제 표시의 온/오프의 대상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당해 「forced」에 대응지어진 속성값 「true」 또는 「false」의 구별에 의해, 상기 「hijk」의 강제 표시의 온/오프(강제 표시/비강제 표시)의 구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속성값 「true」가 강제 표시를 나타내고, 속성값 「false」가 비강제 표시를 나타낸다.
여기서, 자막 강제 표시에 따른 소정의 속성 정보의 기술은, 문서의 요소를 정의하는 태그에 대하여 행해지면 되고, 상기 <span> 태그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span> 태그 외에도, <body>, <div>, <p>나 <region>의 태그에 대해서도 기술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body>, <div>, <p>, <region>의 태그에 상기 속성 정보를 기술했을 경우의 TTML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문서 요소를 정의하는 임의의 태그에 상기 속성 정보를 기술함으로써, 그 태그에 의해 지정되는 문서 요소(텍스트)가 자막 강제 표시 제어의 대상인 취지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속성 정보를 기술하는 태그를 선택함으로써, 자막 강제 표시 제어의 대상으로 하는 텍스트 부분을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게 된다.
<3. 표시 제어 장치>
도 7은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로서의 재생 장치(1)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재생 장치(1)는 입력부(2), 디멀티플렉서(3), 표시 처리부(4), 컨트롤러(5), 조작부(6) 및 표시부(7)를 구비한다.
입력부(2)는 상술한 도 1에 도시한 네트워크 NT를 통하여 수신되는 배신용 데이터, 또는 리무버블 미디어 RM에 기록된 배신용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입력부(2)에 의해 입력된 배신용 데이터는, 디멀티플렉서에 공급된다.
디멀티플렉서(3)는 상기 배신용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스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와 TTML 데이터를 각각 추출(분리)한다.
영상 데이터는 표시 처리부(4)에 공급되고, TTML 데이터는 컨트롤러(5)에 공급된다.
표시 처리부(4)는 표시부(7)에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이나 자막의 표시를 실행시키기 위한 각종 처리를 행한다. 후술하는 자막 표시 설정이 온의 경우, 표시 처리부(4)는 컨트롤러(5)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TTML 데이터에 기초하는 자막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에 합성하여 표시부(7)에 표시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표시부(7)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로 되고, 표시 처리부(4)에 의해 표시 구동된다.
컨트롤러(5)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구비한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며, 재생 장치(1)의 전체 제어를 행한다.
본 예의 경우, 컨트롤러(5)는 TTML 데이터에 기초하는 Timed Text 자막에 관한 표시/비표시의 설정(자막 표시 설정)의 접수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6)를 통하여 행해지는 유저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자막 표시 설정의 온/오프(표시/비표시)의 지시를 접수한다.
또한, 특히 본 예의 경우, 컨트롤러(5)는 TTML 데이터의 기술 내용 및 상기 자막 표시 설정의 내용에 기초하는 Timed Text 자막의 표시 제어(즉 통상의 자막 표시 제어 처리)를 행함과 아울러, TTML 데이터에 기술된 전술한 속성 정보에 기초하는 자막 강제 표시 제어에 관한 처리도 행한다.
도 8은 컨트롤러(5)가 행하는 TTML 데이터에 기초하는 자막 강제 표시 제어에 관한 처리의 구체적인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또한 이 도 8에 도시한 처리는, 컨트롤러(5)가 예를 들어 상술한 ROM 등의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우선, 스텝 S101에서는, 강제 표시 속성 정보의 기술이 검지되기까지 대기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즉, 디멀티플렉서(3)로부터 공급되는 TTML 데이터 내(태그 내)에, 강제 표시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forced」라는 기술이 검지되기까지 대기한다.
강제 표시 속성 정보의 기술이 검지된 경우에는, 스텝 S102로 진행되어, 속성값의 판별을 행한다. 즉 본 예의 경우에는 「forced」에 대응지어져 기술되는 속성값 「true」 또는 「false」의 판별을 행하는 것이다.
스텝 S102에 있어서, 속성값이 「false」인, 즉 비강제 표시의 지시라는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103으로 진행된다.
또한 스텝 S102에 있어서, 속성값이 「true」인, 즉 강제 표시의 지시라는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104로 진행된다.
스텝 S103에서는, 자막 표시 설정의 온/오프를 판별한다.
이 스텝 S103에 있어서, 자막 표시 설정이 온이라는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RETURN」이 된다.
또한 확인차 설명해 두면, 자막 표시 설정이 온인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하는 처리와 병행하여 컨트롤러(5)가 행하고 있는 통상의 자막 표시 제어 처리에 의해, TTML 데이터에 기초하는 자막 표시가 행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스텝 S103에 있어서, 자막 표시 설정이 오프라는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10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104에서는, 속성 정보가 기술된 태그가 지시하는 텍스트 데이터에 따른 문자의 표시 지시를 행한다. 즉, 표시 처리부(4)에 대하여 속성 정보가 기술된 태그가 지시하는 텍스트 데이터(자막 데이터)의 전송과 그 표시 지시(합성 지시)를 행한다.
또한 이때, 자막 데이터의 표시 지시는, 당해 자막 데이터에 관한 표시 타이밍이, TTML 데이터에 의해 지정되는 타이밍이 되도록 하여 행한다.
스텝 S104의 처리를 실행한 후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RETURN」이 된다.
또한, 도 7에 있어서는, 재생 장치(1)가 디스플레이로서의 표시부(7)를 구비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물론 표시부(7)는 외장으로 되어도 된다. 즉, 재생 장치(1)로서는, 도면 중의 표시부(7)를 제외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4. 실시 형태의 정리 및 변형예>
상기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방법에 의하면, TTML 베이스로, 자막 강제 표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강제 표시에 관한 속성 정보를 태그에 대하여 기술하도록 한 것으로, 속성 정보를 기술하는 태그의 선택에 의해 자막 강제 표시 제어의 대상으로 하는 텍스트 부분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자막 강제 표시 기능의 구체적인 이용 예로서는, 예를 들어 영화 등의 콘텐츠의 첫머리부 등에서 예를 들어 무단 복제의 금지 등을 경고하는 warning card를 표시하는 용도 등을 들 수 있다. 즉, 이러한 warning card와 같이, 자막 표시 설정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항상 표시되어야 하는 메시지 등에 대하여 자막 강제 표시 기능을 적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여기서, 자막 강제 표시 기능이 없던 종래에는, 영화로서의 영상의 일부로서 warning card가 삽입되었다. 즉, 영상 파일로서 삽입되었다.
warning card는, 콘텐츠의 배신처에 따라, 각각 상이한 언어로 된 것을 삽입해야 하지만, 이렇게 영상 파일로서 삽입될 때는, 각 언어마다 영상 파일을 준비해 두게 되어, 그만큼, 배신원(配信元)에서 대용량의 기록 매체를 준비할 필요가 있게 되거나, 또한 작업 부담의 증대에 의해 콘텐츠 제작에 관한 비용의 증가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TTML 베이스로 자막 강제 표시를 실현하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언어별로 유지해 두는 것은 TTML 데이터로서의 텍스트 데이터만 있으면 되어, 그만큼, 기록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 용량의 삭감 및 제작에 관한 비용의 삭감이 도모된다.
여기서, 확인차, 이러한 각 언어마다의 TTML 데이터의 생성과, 원하는 언어에 의한 자막 표시의 선택을 행하기 위한 수순 및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해 둔다.
우선 이 경우에는, 상술한 도 1에 도시한 TTML 데이터 생성 수순 S1에 있어서, 각 언어의 자막에 대하여 개별로 TTML 데이터를 작성한다. 또한, 영상 데이터와의 합성 수순 S2에서는, 이들 언어마다 생성된 복수의 TTML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멀티플렉스한 배신용 데이터를 생성하고, 기록 수순 S3에서는, 당해 배신용 데이터를 필요한 기록 매체(배신용 서버 장치의 기록 매체 또는 리무버블 미디어 RM)에 기록한다.
이 경우의 재생 장치(1)에서는, 상기 영상 데이터로서의 콘텐츠의 재생 전 등에, 유저로부터의 언어 지정을 컨트롤러(5)가 접수하도록 해 둔다.
컨트롤러(5)는 재생 시에는, 지정된 언어에 대응하는 TTML 데이터만을 추출하도록 디멀티플렉서(3)에 지시하고, 추출되는 TTML 데이터에 기초하여,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자막 강제 표시 제어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지정된 언어에 관한 자막 강제 표시가 실현된다.
또는, 배신용 데이터로서, 영상 데이터와 1가지의 자막 언어에 대하여 생성한 TTML 데이터를 멀티플렉스한 것을 자막 언어마다 개별적으로 생성해 두고, 그들 언어마다의 배신용 데이터를 필요한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네트워크 배신의 경우에는, 배신용 서버 장치가, 재생 장치(1)측으로부터의 언어 지정에 따라, 지정된 언어에 대응하는 배신용 데이터를 그 재생 장치(1)에 송출하도록 해 둔다. 또한 리무버블 미디어 RM을 이용한 배신의 경우에는, 각국에 대하여 그 나라의 자막 언어에 대하여 작성한 배신용 데이터를 기록한 리무버블 미디어 RM을 배포하는 것으로 해 둔다.
이것에 의해 재생 장치(1)측에 있어서, 그 나라에 대응한 언어에 의한 자막 강제 표시가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하면, 상술한 방법으로 할 경우와 비교하여, 배신 데이터량을 보다 소량으로 할 수 있어, 네트워크 배신의 경우에는 통신 데이터량의 저감이, 또한 리무버블 미디어 RM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리무버블 미디어 RM의 기록 용량의 삭감이 도모된다.
또한, 본 기술은, 지금까지 설명한 구체예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속성값」을 기술하는 예를 들었지만, 당해 「속성값」의 기술은 불필요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태그에 대하여 속성 정보인 취지를 나타내는 「forced」 등의 소정 데이터를 기재했을 때, 자막 강제 표시가 온인 취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하는 경우에는, 「true」 또는 「false」 등의 속성값의 기술은 불필요하다. 이 경우, 재생 장치(1)는 태그 내에 「forced」 등의 자막 강제 표시에 따른 소정의 데이터의 기술이 있는 경우에, 당해 소정의 데이터가 기술된 태그에 의해 지정되는 자막 데이터의 강제 표시를 행하도록 구성해 둔다.
속성값을 기술하는 경우에는, 강제 표시를 오프로 할 때도 「forced」와 그 속성값을 기술할 필요가 있지만, 상기 방법으로 했을 경우, 강제 표시를 오프로 할 때는 「forced」와 속성값의 기술은 불필요하게 되어, 그만큼, TTML 데이터의 작성 작업의 효율화가 도모된다.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본 기술을 영상 콘텐츠에 관한 네트워크 배신이나 리무버블 미디어를 이용한 배신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자막 표시에 대해서도 본 기술은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강제 표시의 대상으로서, 문자 정보와 함께 비트맵 데이터 등에 기초하는 화상도 아울러 표시하는 경우 등에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1: 재생 장치
2: 입력부
3: 디멀티플렉서
4: 표시 처리부
5: 컨트롤러
6: 조작부
7: 표시부
NT: 네트워크
RM: 리무버블 미디어

Claims (12)

  1.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문서의 요소를 정의하는 태그 내에 자막 강제 표시에 따른 소정의 속성 정보를 기술한 TTML(Timed Text Markup Language)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순과,
    상기 생성 수순에 의해 생성된 상기 TTML 데이터를, 필요한 기록 매체에 기록 하는 기록 수순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TTML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순과,
    상기 입력 수순에 의해 입력된 상기 TTML 데이터 내의 상기 소정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속성 정보가 기입된 태그에 의해 지정되는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는 문자가, 자막 표시 설정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순을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속성 정보는, 당해 속성 정보인 취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대응지어져 기술되는 속성값에 따라 강제 표시의 온/오프를 나타내도록 기술되는, 표시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순에서는,
    상이한 언어의 자막에 대하여 각각 상기 TTML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들 복수의 TTML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멀티플렉스한 배신용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기록 수순에서는, 상기 배신용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입력 수순에서는,
    상기 배신용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리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TTML 데이터 내 지정된 언어에 관한 상기 TTML 데이터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표시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순에서는, 상기 소정의 속성 정보를 <span> 태그 내에 기술하는, 표시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순에서는, 상기 소정의 속성 정보를 <body> 태그 내에 기술하는, 표시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순에서는, 상기 소정의 속성 정보를 <div> 태그 내에 기술하는, 표시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순에서는, 상기 소정의 속성 정보를 <p> 태그 내에 기술하는, 표시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순에서는, 상기 소정의 속성 정보를 <region> 태그 내에 기술하는, 표시 제어 방법.
  9. 문서의 요소를 정의하는 태그 내에 자막 강제 표시에 따른 소정의 속성 정보를 기술한 TTML(Timed Text Markup Language)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매체.
  10. 표시 제어 장치로서,
    문서의 요소를 정의하는 태그 내에 자막 강제 표시에 따른 소정의 속성 정보를 기술한 TTML(Timed Text Markup Language)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TTML 데이터 내의 상기 소정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속성 정보가 기입된 태그에 의해 지정되는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는 문자가, 자막 표시 설정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표시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속성 정보는, 당해 속성 정보인 취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대응지어져 기술되는 속성값에 따라 강제 표시의 온/오프를 나타내도록 기술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속성값에 따라 자막 강제 표시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이한 언어의 자막에 대하여 각각 상기 TTML 데이터가 생성되고, 그들 복수의 TTML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멀티플렉스한 배신용 데이터가, 필요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취득부는,
    상기 배신용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리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TTML 데이터 내 지정된 언어에 관한 상기 TTML 데이터를 선택하여 취득하는, 표시 제어 장치.
KR1020137020874A 2011-02-15 2012-02-08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표시 제어 장치 KR101924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29408A JP5685969B2 (ja) 2011-02-15 2011-02-15 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装置
JPJP-P-2011-029408 2011-02-15
PCT/JP2012/052903 WO2012111513A1 (ja) 2011-02-15 2012-02-08 表示制御方法、記録媒体、表示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154A true KR20140039154A (ko) 2014-04-01
KR101924662B1 KR101924662B1 (ko) 2018-12-03

Family

ID=4667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874A KR101924662B1 (ko) 2011-02-15 2012-02-08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표시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38422B2 (ko)
EP (1) EP2677738B1 (ko)
JP (1) JP5685969B2 (ko)
KR (1) KR101924662B1 (ko)
CN (1) CN103370929B (ko)
BR (1) BR112013020267B1 (ko)
RU (1) RU2572833C2 (ko)
WO (1) WO2012111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3004B2 (en) * 2013-04-03 2015-10-27 Sony Corporation Reproducing device, reproducing method, program, and transmitting device
CN104581341B (zh) * 2013-10-24 2018-05-29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字幕显示方法及字幕显示设备
JP6399686B2 (ja) * 2014-02-21 2018-10-03 日本放送協会 受信機
KR101579467B1 (ko) * 2014-02-27 2016-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의 서비스 처리 방법
KR102396035B1 (ko) * 2014-02-27 202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의 음성 문자 변환 처리 방법
JP6331670B2 (ja) * 2014-05-12 2018-05-30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送信装置、並びにデータ処理方法
JP5874870B1 (ja) * 2014-05-12 2016-03-02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送信装置、並びにデータ処理方法
JP6384119B2 (ja) 2014-05-15 2018-09-05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送信装置、並びにデータ処理方法
JP5713140B1 (ja) * 2014-12-05 2015-05-07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5713141B1 (ja) * 2014-12-05 2015-05-07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5713142B1 (ja) * 2014-12-05 2015-05-07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WO2016098790A1 (ja) 2014-12-19 2016-06-23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CN107211169B (zh) 2015-02-03 2020-11-20 索尼公司 发送装置、发送方法、接收装置以及接收方法
US10225589B2 (en) 2015-02-20 2019-03-05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EP3264776A4 (en) * 2015-02-23 2018-07-04 Sony Corporation Transmitting device, transmitting method,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7431835B (zh) 2015-04-13 2020-09-11 索尼公司 发送装置、发送方法、再现装置以及再现方法
JP6519329B2 (ja) 2015-06-09 2019-05-29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JP6610019B2 (ja) 2015-06-16 2019-11-27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CN107736032A (zh) * 2015-06-30 2018-02-23 索尼公司 接收装置、接收方法、传输装置和传输方法
AU2016294096B2 (en) * 2015-07-16 2020-10-29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AU2016323754B2 (en) 2015-09-16 2021-01-14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production device, and reproduction method
EP3720135B1 (en) 2015-12-18 2022-08-17 Sony Group Corporation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for associating subtitle data with corresponding audio data
CN108702529A (zh) 2016-01-19 2018-10-23 索尼公司 发送设备、发送方法、接收设备和接收方法
WO2017130804A1 (ja) 2016-01-26 2017-08-03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送信装置
TWI728061B (zh) 2016-03-15 2021-05-21 日商新力股份有限公司 送訊裝置及收訊裝置
JP6844112B2 (ja) 2016-03-17 2021-03-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020406B2 (ja) 2016-05-31 2022-02-16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WO2018021107A1 (ja) 2016-07-26 2018-02-01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SG11201806194XA (en) 2016-12-27 2018-08-30 Sony Corp Transmitter, transmission method, receiver, and reception method
CN111345034B (zh) * 2017-10-31 2022-08-26 索尼公司 再现设备、再现方法、程序及记录介质
JP6542438B2 (ja) * 2018-07-10 2019-07-10 マクセル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制御方法
CN117714805A (zh) * 2022-09-08 2024-03-15 海信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字幕显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19840B (en) * 2000-06-02 2003-02-01 Sony Corp Image coding apparatus and method, image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7043716B2 (en) * 2001-06-13 2006-05-09 Arius Softwar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level architecture by use of abstract application notation
KR100619053B1 (ko) * 2003-11-10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브 타이틀을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및 그 처리장치
JP4651277B2 (ja) * 2003-11-13 2011-03-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格納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WO2005052940A1 (ja) * 2003-11-28 2005-06-09 Sony Corporation 再生装置、再生方法、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6238147A (ja) * 2005-02-25 2006-09-07 Toshiba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字幕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279592A (ja) * 2005-03-29 2006-10-12 Toshiba Corp 放送受信機
JP2007080357A (ja) * 2005-09-13 2007-03-29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情報再生方法、情報再生装置
JP2007115293A (ja) 2005-10-17 2007-05-10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プログラム、情報再生方法、情報再生装置、データ転送方法、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4830535B2 (ja) * 2006-02-22 2011-12-07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再生プログラム
JP4577409B2 (ja) * 2008-06-10 2010-11-10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US20100250665A1 (en) * 2008-10-03 2010-09-30 Ryuichi Okamoto Content distribution system, terminal apparatus, content distribution apparatus, additional information distribution apparatus, content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S2439316T3 (es) * 2009-02-19 2014-01-22 Panasonic Corporation Medio de grabación y dispositivo de reproducció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3137246A (ru) 2015-02-20
KR101924662B1 (ko) 2018-12-03
EP2677738B1 (en) 2020-06-24
JP2012169885A (ja) 2012-09-06
WO2012111513A1 (ja) 2012-08-23
JP5685969B2 (ja) 2015-03-18
US20130302014A1 (en) 2013-11-14
CN103370929A (zh) 2013-10-23
BR112013020267B1 (pt) 2022-05-24
US9338422B2 (en) 2016-05-10
EP2677738A1 (en) 2013-12-25
RU2572833C2 (ru) 2016-01-20
EP2677738A4 (en) 2014-08-13
BR112013020267A2 (pt) 2016-10-18
CN103370929B (zh)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662B1 (ko)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표시 제어 장치
JP4102847B2 (ja) 画像データ提供装置、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データ提供装置の制御方法、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0120371A (ja) 動画コンテンツを含むドキュメントを閲覧及び印刷するための情報出力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14995A (ko) 멀티미디어 파일용의 폰트 파일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EP1614108B1 (en)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text subtitle data and methods and apparatuses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US9307292B2 (en) Overlay of visual representations of captions on video
CN102833490A (zh) 一种互动视频的编辑播放方法、系统及电子学习设备
CN107690074A (zh) 视频编码和还原方法、视频播放系统以及相关设备
US20140147100A1 (en) Methods and systems of editing and decoding a video file
CN104683858B (zh) 一种流媒体的内容的预览方法及装置
JP2009239691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20090024091A (ko) 비디오 파일에 대한 썸네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726479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200065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141408A (ko) 영상 및 자막 정보를 이용한 스토리 북 제작 방법
US8467666B2 (en) Recording medium production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layer for recording medium
US20090214179A1 (en)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display processing system
CN106951405B (zh) 基于排版引擎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
JP2009266157A (ja) 画像出力装置及び画像出力方法
KR101442355B1 (ko) 미디어 요약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JP5484132B2 (ja) 映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80046918A (ko) 동영상 편집 처리 장치 및 방법
Young et al. Creating Video For An Online, Multilingual Database
EP4315867A1 (en) Auto safe zone detection
JP5172455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