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8857A - 조명기구가 장착된 낚시릴 - Google Patents

조명기구가 장착된 낚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8857A
KR20140038857A KR1020120134430A KR20120134430A KR20140038857A KR 20140038857 A KR20140038857 A KR 20140038857A KR 1020120134430 A KR1020120134430 A KR 1020120134430A KR 20120134430 A KR20120134430 A KR 20120134430A KR 20140038857 A KR20140038857 A KR 20140038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switch
fishing
battery
dr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7899B1 (ko
Inventor
공대호
Original Assignee
공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성준 filed Critical 공성준
Publication of KR20140038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풀의 드래그력을 조정하는 드래그노브의 전방면에 조명램프와 스위치를 설치하는 한편, 드래그노브의 후방면 내측에는 조명램프의 전원이 되는 배터리가 접속회로용 기판과 함께 삽입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갯바위 등지에서 야간에 낚시를 행할 경우 낚시릴의 드래그노브에 설치된 조명램프를 점등시켜 낚시채비나 미끼의 교체작업을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모자나 낚시용 구명조끼에 부착시킨 조명기구를 사용하여 낚시채비나 미끼를 교체하는 경우보다 수면으로 조사되는 빛의 량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서 조과의 향상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조명기구가 장착된 낚시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낚시릴(1)의 드래그노브(10) 전방면에 조명램프(21)와 스위치(2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드래그노브(10)의 후방면 내측에는 접속회로용 기판(23)과 배터리(22)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드래그노브(10)의 후방면에는 배터리(22)의 교환을 위하여 후방커버(15)가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고, 상기 후방커버(15)의 배면측에는 스풀축(9)이 삽입되는 드래그캡(1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20)와 조명램프(21)는 접속회로용 기판(23)의 접속단자(26)에 의하여 배터리(22)와 접속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20)는 배터리(22)로부터 조명램프(21)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기구가 장착된 낚시릴{Fishing reel with an illuminative device}
본 발명은 핸들이 구비된 릴본체의 전방면에 로터와 스풀이 설치되고, 상기 로터에는 낚시줄을 스풀로 감아 들이는 베일이 설치된 낚시릴에 있어, 스풀의 전방면에 조립되어 드래그력을 조정하는 드래그노브상에 조명램프와 스위치를 각각 설치하고, 드래그노브의 후방면 내측에는 조명램프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접속회로용 기판과 함께 삽입 설치함으로서, 낚시릴의 스풀 전방면에 조명기능이 제공되도록 한 조명기구가 장착된 낚시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릴(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3)이 장착된 릴본체(2)와, 상기 릴본체(2)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핸들(3)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로터(4)와, 상기 로터(4)의 선단측 베일암(7)에 연결 설치되어 낚시줄이 스풀(5)로 감겨져 들어가도록 하는 베일(6)과, 핸들(3)의 작동에 따라 릴본체(2)의 전방측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낚시줄이 균일하게 감기도록 하는 스풀(5)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 릴본체(2)의 상단측에는 낚시릴(1)을 릴낚시대(미도시)에 장착시키기 위한 낚시대 장착부(2a)가 형성되는 한편, 릴본체(2)의 후단부측에는 핸들(3)의 정방향 회전 또는 정,역방향 회전을 조작하는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용 클러치레버(8)가 설치되며, 상기 핸들(3)에는 손잡이용 핸들노브(3a)가 설치되고, 상기 스풀(5)에는 낚시줄 감김부(5a)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스풀(5)의 전방면에는 드래그력의 조정을 위한 드래그노브(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낚시릴(1)을 릴낚시대에 장착하여 갯바위 등지에서 야간낚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낚시바늘이나 봉돌 등이 포함된 낚시채비 또는 미끼의 교체를 위하여 조명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통상 낚시인들은 모자에 클립식으로 끼워서 사용하는 조명기구 또는 낚시용 구명조끼에 걸거나 부착시켜 사용하는 조명기구를 휴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모자용 조명기구 또는 구명조끼용 조명기구를 사용하여 낚시채비나 미끼를 교체할 경우, 낚시대를 쥐고 있던 한 쪽 손으로 조명기구를 점등시킨 다음 양손을 사용하여 낚시채비를 거두어 들인 후, 머리나 상체를 숙인 상태에서 낚시채비나 미끼를 교체하게 되며, 낚시채비를 다시 던진 이후 또는 그 이전에 한 손으로 낚시대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조명기구를 소등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야간낚시용 조명기구를 모자나 구명조끼에 부착시킴에 따라 조명기구를 낚시대 및 낚시릴(1)과 함께 조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야간에 낚시채비나 미끼를 교체하는 작업이 조명기구의 조작과 병행하여 다소 번거롭게 되므로 낚시를 즐기는 재미가 반감될 뿐만 아니라, 낚시채비나 미끼의 교체작업에 다소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실질적으로 낚시를 즐길 수 있는 시간 또한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낚시채비나 미끼의 교체작업시 낚시인이 머리나 상체를 자연스럽게 숙이게 되며, 이 과정에서 낚시인의 부주의로 인하여 모자나 구명조끼에 부착된 조명기구로부터 발산되는 강한 빛이 수면으로 직접 조사(照射)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감성돔과 같이 경계심이 강한 어종이 갯바위 주변으로 모여들지 않고 빛을 피하여 도망가는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전체적인 조과(釣果) 측면에서도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모자에 클립식으로 끼워 놓은 조명기구가 모자와 함께 바람에 날아가거나, 낚시용 구명조끼에 걸어 놓거나 부착시켜 놓은 조명기구가 낚시인의 부주의로 인하여 갯바위로 떨어져 유실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여분의 조명기구를 준비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야간낚시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낚시릴의 스풀 전방면에 설치되어 스풀의 드래그력을 조정하는 드래그노브상에 조명램프와 스위치를 각각 설치하고, 드래그노브의 후방면 내측에는 조명램프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접속회로용 기판과 함께 삽입 설치함으로서, 갯바위 등지에서 야간에 낚시를 행할 경우 낚시릴의 드래그노브에 설치된 조명램프를 점등시켜 낚시채비나 미끼의 교체작업을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모자나 낚시용 구명조끼에 부착시킨 조명기구를 사용하여 낚시채비나 미끼를 교체하는 경우보다 수면으로 조사되는 빛의 량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서 조과의 향상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며, 낚시인의 부주의나 실수로 인한 조명기구의 유실을 원천적으로 차단시켜 보다 안전하게 야간낚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핸들이 구비된 릴본체의 전방면에 로터와 스풀이 설치되고, 상기 로터에는 낚시줄을 스풀에 감아 들이기 위한 베일이 설치되며, 상기 스풀의 전방면에는 스풀의 드래그력을 조정하는 드래그노브가 스풀축을 따라 조립 설치된 낚시릴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노브의 전방면에는 조명램프와 스위치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드래그노브의 후방면 내측에는 접속회로용 기판과 배터리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드래그노브의 후방면에는 배터리의 교환을 위하여 후방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고, 상기 후방커버의 배면측에는 스풀축이 삽입되는 드래그캡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와 조명램프는 접속회로용 기판의 접속단자에 의하여 배터리와 접속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는 배터리로부터 조명램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스위치와 조명램프는 드래그노브의 전방면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용 노브레버에 설치되고, 상기 노브레버는 "一"자형이나 "ㅅ"자형 또는 "十"자형 중에서 택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위치는 노브레버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명램프는 노브레버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터리는 리튬전지로서의 단추형 배터리 또는 막대형 배터리 중에서 택일한 것이 사용되고, 상기 조명램프는 LED가 사용되고, 상기 스위치는 누름버튼이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푸시버튼식 스위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위치의 외측에는 유연한 소재의 방수캡이 설치되고, 상기 조명램프 역시 수밀 처리용 밀폐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드래그노브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램프 및 스위치가 낚시릴의 스풀 전방면에 장착된 드래그노브상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조명기구를 낚시대 및 낚시릴과 함께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야간에 낚시채비나 미끼를 교체하는 작업을 조명기구의 조작과 병행하여 매우 손쉽게 수행토록 함으로서, 낚시를 즐기는 재미를 한층 더 배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낚시채비나 미끼의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대한으로 단축시켜 실질적으로 낚시를 즐길 수 있는 시간 또한 보다 길게 확보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낚시채비나 미끼의 교체작업시 조명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수면으로 직접 조사되는 상황을 최소화시킴으로서, 감성돔과 같이 경계심이 강한 어종이 갯바위 주변에 머물도록 하여 전체적인 조과의 향상 측면에도 기여하는 효과가 있으며, 조명기구가 낚시릴 자체에 장착되도록 하여 조명기구의 유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서, 야간낚시 도중에 항상 조명의 도움을 받아 야간낚시를 보다 더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낚시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가 장착된 낚시릴의 드래그노브와 스풀간의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와 드래그노브와의 배면측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배선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와 드래그노브와의 배면측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드래그노브 배면측에 제공된 배터리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배선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예시도.
도 10의 (가) 내지 (다)는 스위치와 조명램프의 바람직한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드래그노브의 정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요부인 조명기구가 설치되는 드래그노브(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본체(2)로부터 연장되는 스풀축(9)을 따라 스풀(5)과 함께 조립 설치되는 한편, 스풀축(9)의 선단에 형성된 나사부를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됨으로서, 스풀(5)의 전방 내측면에 다수 매로 설치된 드래그와셔(13)의 압착력, 즉 스풀(5)에 감겨진 낚시줄(원줄)이 풀려 나가는 드래그력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스풀축(9)을 따라 드래그노브(10)를 조이게 되면, 드래그노브(10)의 드래그캡(12)이 드래그와셔(13)를 압착하여 스풀(5)이 헛돌지 않게 되므로 스풀(5)로부터 낚시줄이 풀려 나가지 않으며, 드래그노브(10)를 느슨하게 풀어내게 되면, 드래그와셔(13)의 압착력이 점점 약하게 되어 스풀(5)이 헛돌면서 스풀(5)로부터 낚시줄이 쉽게 풀려져 나가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드래그노브(10)의 조임상태를 적절하게 조정하게 되면, 낚시바늘에 걸린 물고기가 저항하는 순간적인 힘이 낚시줄의 탄성한계를 넘기기 이전에 스풀(5)이 자동으로 헛돌면서 낚시줄이 풀려 나가도록 하는 완충역할을 부여함에 따라, 과도한 인장력에 의한 낚시줄의 파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통상 낚시릴(1)이라고 하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은 스피닝릴(Spining reel)을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최근에 들어서는 릴본체(2)에 수동식 레버브레이크(Lever brake)를 설치하여 레버를 당기거나 놓음으로서 드래그력을 조정토록 한 레버브레이크릴(LB릴)이 출시되고 있으며, 각각의 릴을 구분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스피닝릴을 드랙릴(Drag reel)이라 부르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명기구가 적용되는 드래그노브(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드랙릴에서는 드래그력의 조정기능을 수행하지만, 위에서 언급되어진 레버브레이크릴에서는 스풀(5)의 전방면을 커버하는 스풀캡(Spool cap)의 역할만을 수행할 수도 있는 바,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조명기구는 이러한 드랙릴이나 레버브레이크릴 이외에도 낚시용 릴의 스풀(5) 전방면, 도면상 노브수납부(14)에 커버 형상으로 조립되는 다른 유사한 부품에 걸쳐 모두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조명기구를 스풀(5)의 전방면에 장착된 드래그노브(10) 또는 스풀캡 등에 적용시키는 이유는, 낚시릴(1)을 구성하는 부품중에서 릴본체(2)의 최전방에 위치하여 조명기구의 배치에 최적일 뿐만 아니라, 스풀(5)로부터 신속하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므로 배터리의 교체작업 또한 매우 손쉽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 드래그노브(10)에 설치되는 조명기구는 도 2 내지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노브(10)의 전방면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용 노브레버(11)상에 조명램프(21)와 스위치(2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드래그노브(10)의 후방면 내측에는 조명램프(21)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2)가 접속회로용 기판(23)과 함께 삽입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브레버(11)는 드래그노브(10)를 회전시켜 드래그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드래그노브(10)의 전방면에 돌출 형성되는 바, 이에 따라 상기 조명램프(21)와 스위치(20)를 노브레버(11)상에 설치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조명램프(21)와 스위치(20)를 드래그노브(10)의 전방면 다른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조명램프(21)는 주,야간 겸용의 전자찌(구멍찌 또는 막대찌)에 주로 사용되는 LED(Light-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나, 그 이외에도 드래그노브(10)에 장착이 가능한 소형램프나 미니전구의 적용 또한 가능하며, 사용상의 안전을 위하여 스위치(20)와 조명램프(21)를 노브레버(11)의 내측면을 따라 매입식(埋入式)으로 삽입 설치함으로서, 드래그노브(10)의 외부로 스위치(20)와 조명램프(21)가 과도하게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드래그노브(10)에는 기판(23) 및 배터리(22)의 장착을 위한 수납공간(24)과 함께, 스위치(20)의 장착을 위한 스위치수납부(25)와 조명램프(21)의 장착을 위한 장착구멍(2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위치(20)와 조명램프(21)가 설치되는 부위를 통한 해수의 유입 및 기판(23)의 부식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20)의 외측에는 고무 등의 유연한 소재로 제작된 방수캡(30)을 설치하고, 조명램프(21)의 외주면에는 수밀(水密) 처리용 밀폐링(21a)을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캡(30)은 파이프 형태의 스위치케이스(27)와 함께 스위치(20)를 커버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방수캡(30)의 외주면에는 드래그노브(10)와 스위치케이스(27)의 사이에서 밀착되어 방수기능을 제공하는 플랜지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22)는 전자찌에서 LED의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 중에서, 원판 형태의 배터리몸통(22a) 상부면에 음극부(22b)가 돌출 형성된 단추형 배터리가 대표적인 예로 제시되었으며, 상기 배터리몸통(22a)의 바닥면이 (+)접점을 제공하고, 상기 음극부(22b)의 상측면이 (-)접점을 제공하며, 상기 배터리(22)를 다수 매(도면상 2개)로 맞대어 기판(23)과 함께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드래그노브(10)의 배면측에는 후방커버(15)가 설치된다.
상기 후방커버(15)는 조립볼트(16)에 의하여 드래그노브(10)와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며, 이러한 후방커버(15)의 조립 과정에서 기판(23)으로부터 "L"자 형태로 연장되는 접속단자(26)의 끝단부를 배터리(22)측으로 밀착시켜 배터리(22)와 접속단자(26)의 접촉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필요시 후방커버(15)를 분리하여 배터리(22)의 교체작업 또한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후방커버(15)에도 배터리(22)의 장착을 위한 수납공간(24)이 제공되며, 후방커버(15)의 배면측 중앙부에는 드래그노브(10)의 회전조작에 따라 드래그와셔(13)를 밀착시키는 드래그캡(1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드래그캡(12)의 중앙부에는 스풀축(9)의 삽입을 위한 축조립공(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접속회로용 기판(23)은 도면에서와 같이 드래그노브(10)와 별개의 부품으로 하여 조립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드래그노브(10)의 후방면에서 드래그노브(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조명램프(21)는 기판(23)의 표면에 남땜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스위치(20)는 기판(23)의 중앙부에 제공된 스위치장착부(23a)에 삽입 설치된다.
도 6의 배선도에서와 같이, 각각의 조명램프(21)는 접속단자(26)를 거쳐 배터리(2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한편, 스위치(20)의 접점부(20a) 조작에 의하여 점등(ON) 또는 소등(OFF)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스위치(20)로서는 좁은 공간에도 매입식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소형일 뿐만 아니라 조명램프(21)의 온(ON)/오프(OFF) 조작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푸시버튼식 스위치(Push button type switch)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푸시버튼식 스위치(20)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누름버튼(29)이 코일스프링(28)과 함께 기판(23)의 스위치장착부(23a)에 삽입 설치된 것이며, 상기 방수캡(30)의 내측 상단에는 스위치(20)의 누름버튼(29)을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푸셔(3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누름버튼(29)을 1회 누르게 되면, 누름버튼(29)이 접점부(20a)를 접속시켜 조명램프(21)가 점등(ON) 및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누름버튼(29)을 다시 1회 누르게 되면, 코일스프링(28)의 복원력으로 누름버튼(29)이 상승하여 접점부(20a)의 접속상태를 해제시킴으로서 조명램프(21)가 소등(OFF)된다.
상기와 같은 푸시버튼식 스위치(20)는 종래의 기술내용에서 설명되어진 모자용 또는 구명조끼용 조명기구를 포함하여 각종 조명기구의 스위치 장치로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부품이며, 이러한 푸시버튼식 스위치(20) 대신에 조명램프(21)의 온(ON) 위치와 오프(OFF) 위치로 버튼이나 레버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식 또는 레버식 스위치를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배선구조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일례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스위치(20)의 종류나 조명램프(21)의 개수에 맞추어 다양한 방식의 배선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바, 이러한 전기배선의 응용적인 측면은 전기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명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배터리 대신에 공지의 막대형 리튬전지를 배터리(22)로 사용하고, 상기 기판(23)을 막대형 배터리(22)의 접속단자(26)와 함께 드래그노브(10)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시킨 것이며, 그 이외의 나머지 구성은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기판(23)에는 2개의 막대형 배터리(2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스위치수납부(25)의 양측에 2개의 수납공간(24)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각각의 수납공간(24)에는 막대형 배터리몸통(22a)이 삽입되는 부분과 핀(Pin) 형태의 음극부(22b)가 삽입되는 부분이 연이어 형성되며, 배터리몸통(22a)이 삽입되는 부분과 음극부(22b)가 삽입되는 부분의 내측 표면을 따라 접속단자(26)가 각각 배선된다.
따라서, 해당 수납공간(24)으로 막대형 배터리(22)를 끼움식으로 삽입시키는 동시에 배터리(22)가 접속단자(26)와 접속되며, 각각의 접속단자(26)는 드래그노브(10)의 내측면으로 연장되어 도 9에서와 같이 조명램프(21) 및 스위치(20)와 함께 배선됨으로서, 각각의 조명램프(21)가 막대형 배터리(2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한편, 스위치(20)의 접점부(20a) 조작에 의하여 점등(ON) 또는 소등(OFF)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7 및 도 8에서는 2개의 막대형 배터리(2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대표적인 예로 도시하였으나, 2개의 막대형 배터리(22)를 동일한 방향으로 삽입시킬 수도 있고, 드래그노브(10)의 크기와 막대형 배터리(22)의 치수를 고려하여 스위치수납부(25)의 좌,우 및 상,하 방향에 각각 1개씩 총 4개의 수납공간(24)을 형성시킬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와 더불어, 막대형 배터리(22)의 음극부(22b)가 삽입되는 홈을 배터리몸통(22a)용 홈의 양측에 각각 1개씩 총 2개를 형성시키되, 하나의 음극부(22b) 홈에는 접속단자(26)가 배선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조명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막대형 배터리(22)를 사용 위치와 반대 방향으로 삽입시켜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나 방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동일한 원리에 입각하여, 막대형 배터리(22)의 수납공간(24)을 2개 또는 4개로 형성시키는 경우에 있어, 그 1/2이 되는 1개 또는 2개의 수납공간(24)은 접속단자(26)가 배선되지 아니한 휴면용(休眠用) 수납공간이 되도록 함으로서, 조명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막대형 배터리(22)를 휴면용 수납공간에 삽입시켜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나 방전을 차단시킬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 10의 (가) 내지 (다)에 도시된 것은 드래그노브(10)의 손잡이가 되는 노브레버(11)의 형상에 맞추어 조명램프(21)가 설치된 상태를 종류별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6의 (가)에 도시된 것은 2개의 조명램프(21)를"一"자형으로 형성된 노브레버(11)의 양측단에 설치한 것이다.
또한, 도 6의 (나)에 도시된 것은 3개의 조명램프(21)를 "ㅅ"자형으로 형성된 노브레버(11)의 단부측에 설치한 것이고, 도 6의 (다)에 도시된 것은 4개의 조명램프(21)를 "十"자형으로 형성된 노브레버(11)의 단부측에 설치한 것이며, 각각의 경우에 있어 상기 스위치(20)는 노브레버(11)의 중앙부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낚시릴(1)의 스풀(5) 전방면에 장착된 드래그노브(10)에 조명기구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야간낚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낚시채비나 미끼의 교체를 위하여 조명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낚시채비를 걷어 들이는 시점으로부터 낚시채비를 다시 투척하는 시점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야간낚시 도중에 낚시채비나 미끼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낚시채비를 거두어 들이는 과정에서 낚시릴(1)의 드래그노브(10) 전방면에 장착된 스위치(20)를 간단하게 작동시켜 조명램프(21)가 점등되도록 한 다음, 낚시대가 상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낚시채비나 미끼를 교체할 수 있으며, 그 이후에 낚시대와 낚시릴(1)을 잡은 손으로 스위치(20)를 다시 작동시켜 조명램프(21)가 소등되도록 하는 즉시 낚시채비를 다시 투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명램프(21) 및 스위치(20)가 낚시릴(1)의 드래그노브(10) 전방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기구를 낚시대 및 낚시릴(1)과 함께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야간에 낚시채비나 미끼를 교체하는 작업을 조명기구의 조작과 병행하여 매우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낚시를 즐기는 재미가 한층 더 배가될 뿐만 아니라, 낚시채비나 미끼의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대한으로 단축시켜 실질적으로 낚시를 즐길 수 있는 시간 또한 보다 길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낚시채비나 미끼의 교체작업은 통상 낚시대가 상방향을 향하도록 들고 있는 상태에서 수행되므로, 낚시릴(1)의 드래그노브(10)에 설치된 조명램프(21) 또한 낚시대와 함께 상방향을 향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조명램프(21)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수면으로 직접 조사(照射)되는 상황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감성돔과 같이 경계심이 강한 어종이 갯바위 주변에 머물도록 하여 전체적인 조과(釣果)를 향상시키는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조명기구가 드래그노브(10)와 함께 낚시릴(1) 자체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드래그노브(10)를 임의적으로 분리하지 않는 한 조명기구의 유실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조명기구의 유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야간낚시 도중에 항상 조명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야간낚시를 보다 더 안전하게 수행하는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낚시릴 2 : 릴본체 2a : 낚시대 장착부
3 : 핸들 3a : 핸들노브 4 : 로터
5 : 스풀 5a : 낚시줄 감김부 5b : 낚시줄 걸이구
6 : 베일 7 : 베일암 8 : 클러치레버
9 : 스풀축 10 : 드래그노브 11 : 노브레버
12 : 드래그캡 12a : 축조립공 13 : 드래그와셔
14 : 노브수납부 15 : 후방커버 16 : 조립볼트
16a : 체결공 17 : 살빼기홈 20 : 스위치
20a : 접점부 21 : 조명램프 21a : 밀폐링
22 : 배터리 22a : 배터리몸통 22b : 음극부
23 : 기판 23a : 스위치장착부 24 : 수납공간
24a : 장착구멍 25 : 스위치수납부 26 : 접속단자
27 : 스위치케이스 28 : 코일스프링 29 : 누름버튼
30 : 방수캡 30a : 플랜지부 31 : 버튼푸셔

Claims (6)

  1. 핸들(3)이 구비된 릴본체(2)의 전방면에 로터(4)와 스풀(5)이 설치되고, 상기 로터(4)에는 낚시줄을 스풀(5)에 감아 들이기 위한 베일(6)이 설치되며, 상기 스풀(5)의 전방면에는 스풀(5)의 드래그력을 조정하는 드래그노브(10)가 스풀축(9)을 따라 조립 설치된 낚시릴(1)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노브(10)의 전방면에는 조명램프(21)와 스위치(2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드래그노브(10)의 후방면 내측에는 접속회로용 기판(23)과 배터리(22)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드래그노브(10)의 후방면에는 배터리(22)의 교환을 위하여 후방커버(15)가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고, 상기 후방커버(15)의 배면측에는 스풀축(9)이 삽입되는 드래그캡(1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20)와 조명램프(21)는 접속회로용 기판(23)의 접속단자(26)에 의하여 배터리(22)와 접속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20)는 배터리(22)로부터 조명램프(21)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가 장착된 낚시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20)와 조명램프(21)는 드래그노브(10)의 전방면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용 노브레버(11)에 설치되고, 상기 노브레버(11)는 "一"자형이나 "ㅅ"자형 또는 "十"자형 중에서 택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위치(20)는 노브레버(11)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명램프(21)는 노브레버(11)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가 장착된 낚시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2)는 리튬전지로서의 단추형 배터리 또는 막대형 배터리 중에서 택일한 것이 사용되고, 상기 조명램프(21)는 LED(Light-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가 장착된 낚시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20)는 누름버튼(29)이 코일스프링(28)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푸시버튼식 스위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가 장착된 낚시릴.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20)의 외측에는 유연한 소재의 방수캡(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가 장착된 낚시릴.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램프(21)는 수밀(水密) 처리용 밀폐링(21a)을 개재시킨 상태로 드래그노브(10)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가 장착된 낚시릴.
KR1020120134430A 2012-09-21 2012-11-26 조명기구가 장착된 낚시릴 KR101427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204848834U CN202760033U (zh) 2012-09-21 2012-09-21 带照明的绕线轮
CN201220484883.4 2012-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857A true KR20140038857A (ko) 2014-03-31
KR101427899B1 KR101427899B1 (ko) 2014-08-07

Family

ID=47766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430A KR101427899B1 (ko) 2012-09-21 2012-11-26 조명기구가 장착된 낚시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27899B1 (ko)
CN (1) CN20276003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62789A (ja) * 2017-09-29 2019-04-2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電池ケース及び釣り用リール
JP2019062790A (ja) * 2017-09-29 2019-04-2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電池ケース及び釣り用リール
KR20220052751A (ko) 2020-10-21 2022-04-28 강대주 제한조명용 플레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7984A (zh) * 2014-06-26 2014-09-10 无锡市崇安区科技创业服务中心 一种风筝绕线装置
JP6462382B2 (ja) * 2015-01-29 2019-01-30 株式会社シマノ 係合ピン及び係合ピンを有する釣り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CN106895375B (zh) * 2017-03-31 2017-12-29 盐城明钰科技有限公司 一种led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145Y1 (ko) 2004-11-04 2005-03-11 강협 낚시용 릴
JP2008099582A (ja) 2006-10-18 2008-05-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糸用蓄光器
JP3153569U (ja) * 2009-06-29 2009-09-10 功治 上川 照明付ドラグノブ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62789A (ja) * 2017-09-29 2019-04-2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電池ケース及び釣り用リール
JP2019062790A (ja) * 2017-09-29 2019-04-2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電池ケース及び釣り用リール
KR20220052751A (ko) 2020-10-21 2022-04-28 강대주 제한조명용 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760033U (zh) 2013-03-06
KR101427899B1 (ko)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899B1 (ko) 조명기구가 장착된 낚시릴
KR101591868B1 (ko) 집어등
KR200484380Y1 (ko) 발광 루어
KR100987497B1 (ko) 수중 집어등
KR200479338Y1 (ko) 수중 집어등
KR20100008476U (ko) 낚싯대에 장착 사용할 수 있는 엘이디 램프
KR101839283B1 (ko) 어신 입체 감지기능을 갖는 전자 케미라이트
KR101555309B1 (ko) 낚시용 전자찌
KR200430057Y1 (ko) 낚시용 발광 루어
KR101416555B1 (ko)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조사부를 갖는 집어등
US20080196291A1 (en) Modular illuminated attractant and fishing lure
KR200398086Y1 (ko) 낚시인조미끼를 부설한 집어등
KR102396318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KR200440289Y1 (ko) 전구가 내장된 낚시대 캡
KR200174238Y1 (ko) 낚시대용 조명장치
JP2010263876A (ja) 疑似餌
JP5229841B1 (ja) 電気浮き
CN205409230U (zh) 一种自发电发光渔具
JP3151178U (ja) 擬似餌用発光装置
RU2641530C2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световая приманка
US20110219662A1 (en) Electric Shock Fishing Lure Apparatus
KR200207845Y1 (ko) 발광체를 가지는 낚시 받침대
US20170099824A1 (en) Fish Strike Indicator
KR20190084834A (ko) 낚시용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일체형 led 전자 케미
CN216345918U (zh) 一种钓鱼上料及摘钩用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