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882A -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882A
KR20140037882A KR1020137034139A KR20137034139A KR20140037882A KR 20140037882 A KR20140037882 A KR 20140037882A KR 1020137034139 A KR1020137034139 A KR 1020137034139A KR 20137034139 A KR20137034139 A KR 20137034139A KR 20140037882 A KR20140037882 A KR 20140037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h
pests
crops
flubendiamide
propenopho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고 다무라
다카오 아오키
겐 구리야마
Original Assignee
니혼노야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노야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노야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7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88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sulfur atom bound to a hetero atom
    • A01N41/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sulfur atom bound to a hetero atom containing a sulfur-to-oxygen double bond
    • A01N41/10Sulfones; Sulfox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 A01N57/1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oxygen bonds or phosphorus-to-sulfur bonds
    • A01N57/1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oxygen bonds or phosphorus-to-sulfur bonds containing acyclic or cycloaliphatic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 A01N57/1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oxygen bonds or phosphorus-to-sulfur bonds
    • A01N57/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oxygen bonds or phosphorus-to-sulfur bonds containing aromatic radic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플루벤디아미드와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 및 플루벤디아미드와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의 유효량을, 직접 해충에, 또는 해충이 생식(生息)하는 작물에, 또는 작물이 생육하는 주변 토양 또는 재배 담체(擔體)에 처리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의 사용 방법.

Description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INSECTICIDE COMPOSITION AND UTILIZA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플루벤디아미드와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루벤디아미드는 농원예용 살충제로서 시판되고 있는 화합물이며, 플루벤디아미드 또는 그 근연(近緣) 화합물과 각종 농원예용 살충제를 조합하여, 살충 스펙트럼의 보완이나 특정한 조합에 대하여 상승(相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5 및 비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디클로르보스 및 프로페노포스도 농원예용 살충제로서 시판되고 있는 화합물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6, 7 및 비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플루벤디아미드와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를 조합한 조성물은 알려져 있지 않고, 이들을 조합한 조성물이 각각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상승적인 우수한 살충 효과를 가지는 것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1-131141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2/087334호 팜플렛 국제 공개 제2004/034786호 팜플렛 국제 공개 제2005/004603호 팜플렛 국제 공개 제2005/004604호 팜플렛 미국 특허 제2956073호 공보 영국 특허 제1417116호 공보
The Pesticide Manua l14th Edition(British Crop Production Council)
농작물의 생산에 있어서는, 각종 해충의 피해는 지금도 여전히 크며, 그 방제를 위해 각종 살충제를 처리할 필요가 있고, 이 처리 작업은 농업 종사자에 있어 특히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이들 처리 작업을 저감하는 것은, 농업 종사자의 노동 부담을 줄이는 노동 위생면에서도, 농작물 생산 비용를 저감하는 경제성의 면에서도 강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각종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방제 대상 해충의 종류, 생식 특성, 약제 저항성의 발달 등에 의해 유효한 방제를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방제가 곤란한 또는 방제 불가능한 해충을 효율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농원예용 살충제로서 알려져 있는 플루벤디아미드(일반명: Flubendiamide, 화학명: 3-iodo-N'-(2-mesyl-1,1-dimethylethyl)-N-{4-[1,2,2,2-tetrafluoro-1-(trifluoromethyl)ethyl]-o-tolyl}phthalamide)와, 마찬가지로 농원예용 살충으로서 알려져 있는 디클로르보스(일반명: Dichlorvos, 화학명: 2,2-dichlorovinyl dimethyl phosphate) 및/또는 프로페노포스(일반명: Profenofos, 화학명: O-4-bromo-2-chlorophenyl O-ethyl S-propyl phosphorothioate)를 조합함으로써, 각각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현저한 상승 효과, 대상 해충종의 확대, 사용 약량의 저감, 약제 처리 횟수의 저감 등의 효과를 가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1] 플루벤디아미드와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
[2] 플루벤디아미드 1 질량부에 대하여,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 0.1∼10 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
[3] 플루벤디아미드와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의 유효량을, 직접 해충에, 또는 해충이 생식(生息)하는 작물에, 또는 작물이 생육하는 주변 토양 또는 재배 담체(擔體)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의 사용 방법,
[4] 플루벤디아미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제제(製劑)와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제제의 유효량을, 각각 별개로, 그대로 또는 희석하여, 직접 해충에, 또는 해충이 생식하는 작물에, 또는 작물이 생육하는 주변 토양 또는 재배 담체에, 동일한 시기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원예 해충의 방제 방법,
[5] 플루벤디아미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제제와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제제의 유효량을, 각각 별개로, 그대로 또는 희석하여, 직접 해충에, 또는 해충이 생식하는 작물에, 또는 작물이 생육하는 주변 토양 또는 재배 담체에, 처리 시기의 간격을 두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원예 해충의 방제 방법,
[6] 플루벤디아미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제제와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제제의 유효량을 혼용하고, 그대로 또는 희석하여, 직접 해충에, 또는 해충이 생식하는 작물에, 또는 작물이 생육하는 주변 토양 또는 재배 담체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원예 해충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루벤디아미드와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며, 각각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현저한 상승 효과, 대상 해충종의 확대, 사용약량의 저감, 약제 처리 횟수의 저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종래 기술에서는 방제 곤란한 또는 방제 불가능한 해충을 효율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의 유효 성분의 하나인 플루벤디아미드는,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제조 방법 등으로 제조할 수 있지만, 시판 제제를 구입할 수도 있다. 다른 한쪽의 유효 성분인 디클로르보스(DDVP라고도 함) 및 프로페노포스는, 상기 특허 문헌 6 및 7에 개시된 제조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지만, 시판 제제를 구입할 수도 있다. 이들 화합물을 적절한 불활성 담체에 계면활성제 및 필요에 따라 보조제와 함께, 적절한 비율로 배합하여 용해, 분리, 현탁(懸濁), 혼합, 함침, 흡착 또는 부착시켜, 각종 제형, 예를 들면, 현탁제(액상(液狀) 수화제(水和劑)), 유현탁제(乳懸濁劑), 유제(乳劑), 액제, 수화제, 과립 수화제, 입제(粒劑), 분제(粉劑), 마이크로 캡슐제, 캡슐제, 정제, 점보제 또는 팩제 등으로 제제하여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 전체에 대하는 유효 성분의 배합 비율은, 필요에 따라 가감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01∼90 질량부 정도이며, 예를 들면, 분제 또는 입제로 만드는 경우에는 0.1∼30 질량부 정도가 바람직하고, 유제, 수화제, 액상 수화제 또는 과립 수화제 등의 경우에는 0.1∼60 질량부 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플루벤디아미드와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의 배합 비율은, 플루벤디아미드 1 질량부에 대하여,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가 0.1∼10 질량부의 비율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들 각 유효 성분은 시판 제제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유효 성분끼리 단독으로 제제화하거나 또는 함께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제제화 시에는, 유효 성분을 적절한 불활성 담체에, 또는 필요에 따라 보조제와 함께 적절한 비율로 배합하여 용해, 분리, 현탁, 혼합, 함침, 흡착 또는 부착시켜 적절한 제형, 예를 들면, 현탁제(액상 수화제), 유현탁제, 유제, 액제, 수화제, 과립 수화제, 입제, 분제, 마이크로 캡슐제, 캡슐제, 정제, 점보제 또는 팩제 등으로 제제하면 된다.
상기 불활성 담체로서는, 고체 담체 및 액체 담체를 예로 들 수 있고, 고체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석영, 클레이, 카올리나이트(카올린), 피로필라이트, 견운모, 탈크, 벤토나이트, 산성 백토, 아타풀자이트, 제올라이트, 규조토 등의 천연 광물류; 탄산칼슘, 황산 암모늄, 황산 나트륨, 염화 칼륨 등의 무기염류; 합성 규산, 합성 규산염, 전분, 셀룰로오스, 식물 분말(예를 들면, 톱밥, 야자 껍질, 옥수수 속, 담배 줄기 등) 등의 유기 고체 담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 염화 비닐리덴 등의 플라스틱 담체; 요소; 무기 중공체; 플라스틱 중공체; 퓸드 실리카(fumed silica, 화이트 카본)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액체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1가 알코올류; 및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류 등의 알코올류; 프로필렌글리콜에테르 등의 다가 알코올 화합물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산온 등의 케톤류; 에틸에테르, 디옥산,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프로필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의 에테르류; 노말 파라핀, 나프텐, 이소파라핀, 케로신, 광유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솔벤트 나프타, 알킬나프탈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아세트산 에틸, 디이소프로필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아디프산 디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γ-부티로락톤 등의 락톤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알킬피롤리돈(N-메틸피롤리돈 등) 등의 아미드류; 아세트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유황 화합물류; 대두유, 유채유, 면실유, 피마자유 등의 식물성 기름; 및 물 등일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보조제로서는, 분산제·습윤제·확전제(擴展劑)·전착제(展着劑) 등으로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 결합제, 점착 부여제, 증점제, 착색제, 동결 방지제, 고결 방지제(anticaking agent), 붕해제, 및 분해 방지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 외에 필요에 따라, 방부제, 식물편 등을 첨가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첨가 성분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분산제·습윤제·확전제·전착제 등으로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수지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디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디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포르말린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폴리스티렌폴리옥시에틸렌 블록 폴리머, 알킬폴리옥시에틸렌폴리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비스페닐에테르, 폴리알킬렌벤질페닐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스티릴페닐에테르, 아세틸렌디올, 폴리옥시알킬렌 부가 아세틸렌디올,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형 실리콘, 에스테르형 실리콘, 불소계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 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테르 황산염, 알킬벤젠술폰산 염, 알킬아릴술폰산 염, 리그닌술폰산 염, 알킬술포숙신산 염, 나프탈렌술폰산 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 염, 나프탈렌술폰산의 포르말린 축합물의 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의 포르말린 축합물의 염, 지방산 염, 폴리카르본산 염, 폴리아크릴산 염, N-메틸-지방산 사르코시네이트, 수지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인산염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라우릴아민 염산 염, 스테아릴아민 염산염, 올레일아민 염산 염, 스테아릴아민 아세트산 염, 스테아릴아미노프로필아민아세트산 염, 알킬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알킬디메틸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등의 알킬아민 염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아미노산형 또는 베타인형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등이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결합제 또는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그의 염, 덱스트린, 수용성 전분, 잔탄검, 구아검, 수크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아라비아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평균 분자량 6000∼20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평균 분자량 10만∼500만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인지질(예를 들면, 세파린, 레시틴 등), 셀룰로오스 분말, 덱스트린, 가공 전분, 폴리아미노카르본산 킬레이트 화합물,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말레산과 스티렌류의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계 공중합체,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폴리머와 디카르본산 무수물의 하프 에스테르, 폴리스티렌술폰산의 수용성 염, 파라핀, 테르펜,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크릴산 염, 폴리옥시에틸렌, 왁스, 폴리비닐알킬에테르, 알킬페놀 포르말린 축합물, 합성 수지 에멀젼 등이 있다.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잔탄검, 구아검, 디우탄검(diutan gum),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아크릴계 폴리머, 전분 유도체, 다당류 등의 수용성 고분자; 고순도 벤토나이트, 퓸드 실리카(fumed silica, 화이트 카본) 등의 무기 미분(微粉) 등이 있다.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철, 산화 티탄, 프러시안 블루 등의 무기 안료; 알리자린 염료, 아조 염료, 금속 프탈로시아닌 염료와 같은 유기 염료 등이 있다.
동결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류 등이 있다.
고결 방지나 붕해 촉진을 위한 보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전분, 알긴산, 만노스, 갈락토오스 등의 다당류, 폴리비닐피롤리돈, 퓸드 실리카(fumed silica, 화이트 카본), 에스테르검, 석유 수지, 트리폴리 인산 나트륨, 헥사메타 인산 나트륨, 스테아르산 금속염, 셀룰로오스 분말, 덱스트린,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미노카르본산 킬레이트 화합물, 술폰화 스티렌·이소부틸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전분·폴리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 등이 있다.
분해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제올라이트, 생석회, 산화 마그네슘 등의 건조제; 페놀 화합물, 아민 화합물, 유황 화합물, 인산 화합물 등의 산화 방지제; 살리실산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등의 자외선 흡수제 등이 있다.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빈산 칼륨, 1,2-벤조티아졸린-3-온 등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능성 전착제, 피페로닐부톡시드 등의 대사 분해 저해제 등의 활성 증강제, BHT 등의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의 그 외의 보조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는 「작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벼, 보리, 밀, 호밀, 귀리, 옥수수, 고량 등의 곡류; 대두, 팥, 콩, 완두콩, 땅콩 등의 콩류; 사과, 귤, 오렌지, 레몬, 라임, 그레이프 프루츠, 모과, 마르멜로, 배, 서양배, 일본배, 포도, 블루베리, 크랜베리, 블랙베리, 라즈베리, 딸기, 복숭아, 자두, 천도복숭아, 매실, 황도, 살구, 자두, 호두, 게암나무, 아몬드, 피스타치오, 캐슈너트, 마카다미아 너트, 바나나, 감, 올리브, 비파, 대추 야자, 코코 야자, 야자 등의 과수·과실류; 양배추, 토마토, 시금치, 브로콜리, 양상추, 양파, 파, 피망, 가지, 순무양배추, 배추, 갓, 폴리플라워, 쑥갓, 아티초크, 아스파라거스, 당근, 퍼슬리, 샐러리, 미국 방풍, 근대(Swiss chard) 등의 야채류; 당근, 우엉, 감자, 고구마, 참마, 토란, 무우, 연근, 순무 등의 근채류; 면, 마, 닥나무, 삼지닥나무, 유채, 오일 팜, 야트로파, 메밀, 서양붉은순무, 홉, 사탕수수, 사탕무, 올리브, 고무, 커피, 담배, 뽕나무, 차 등의 가공용 작물류; 호박, 오이, 주키니, 수박, 멜론 등의 과일류; 새발풀, 수수, 티머시, 클로버, 앨펄퍼 등의 목초류;
들잔디, 고려잔디, 버뮤다 그래스, 겨이삭(Agrostis gigantea), 애기겨이삭(Agrostis stolonifera), 들겨 이삭(Agrostis capillaris), 왕포아풀(Poa pratensis), 큰새포아풀(Poa trivialis), 큰김의털(Festuca arundinacea), 츄잉페스큐(Chewing Fescue), 그리핑레트페스큐, 독보리(Darnel), 호밀풀(Rye grass), 카모가야, 오리새(Orchard grass) 등의 잔디류; 라벤더, 로즈마리, 백리향(thyme), 파슬리, 후추, 고추, 고추냉이, 생강, 마늘, 차조기, 민트, 바질 등의 향료 등에 사용되는 작물류; 장미, 카네이션, 국화, 리시안셔스, 안개꽃, 해바라기, 거베라, 매리골드, 사루비아, 피튜니아, 바베나, 튤립, 애스터, 용담, 백합, 팬지, 시클라멘, 난, 은방울꽃, 라벤더, 스톡(stock), 모란채, 프리뮬러, 포인세티아, 글라디올러스, 카틀레야, 데이지, 바베나, 십비디움, 베고니아 등의 화훼류; 물푸레나무, 자작나무, 미국 산딸나무, 유칼리나무, 은행나무, 라일락, 단풍나무, 떡갈나무, 포플러, 박태기나무, 풍나무, 플라타너스, 느티나무, 지빵나무, 전나무, 솔송나무, 두송, 소나무, 가문비나무, 주목, 느릅나무, 칠엽수, 산호수, 나한송, 삼나무, 노송나무, 크로톤, 사철나무, 홍가시나무 등의 수목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물」에는, 고전적인 육종법이나 최근의 유전자 조작 기술의 진보에 의해 유용한 형질이 부여된 유전자 조작 작물(제초제 내성 작물, 살충성 단백질 생산 유전자를 도입한 해충 내성 작물, 병해에 대한 저항성 유도 물질 생산 유전자를 삽입한 병해 내성 작물, 음식맛 향상 작물, 보존성 향상 작물, 수량 향상 작물 등)도 포함된다.
고전적인 육종법에 의해 제초제 내성이 부여된 「작물」의 예로서, 이마제타피르 등의 이미다졸리논계 ALS 저해형 제초제에 내성이 있는 유채, 밀, 해바라기, 벼, 옥수수가 있으며, Clearfield<등록상표>의 상품명으로 이미 판매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고전적인 육종법에 의한 티펜술푸론메틸등의 술포닐우레아계 ALS 저해형 제초제에 내성이 있는 대두가 있으며, STS 대두의 상품명으로 이미 판매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트리온옥심계, 아릴옥시페녹시프로피온산계 제초제 등의 아세틸 CoA 카르복실라아제 저해제에 내성이 부여된 작물의 예로서 SR 콘 등이 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해 내성이 부여된 작물의 예로서, 글리포세이트 내성의 옥수수, 대두, 면화, 유채, 사탕무 품종이 있으며, 라운드업레디(RoundupReady<등록상표>), Agrisure GT 등의 상품명으로 이미 판매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한 글리포세이트 내성의 옥수수, 대두, 면화, 유채 품종이 있으며, 리버티링크(LibertyLink<등록상표>) 등의 상품명으로 이미 판매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한 브로목시닐 내성의 면화는 BXN의 상품명으로 이미 판매되고 있다.
아세틸 CoA 카르복실라아제 저해제에 내성이 부여된 작물은 프로시딩·오브·더·내셔널·아카데미·오브·사이언시즈·오브·더·유나이티드·스테이트·오브·아메리카(Proc. Natl. Acad. Sci. USA) 87권, 7175∼7179 페이지(1990년) 등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아세틸 CoA 카르복실라아제 저해제에 내성이 있는 변이 아세틸 CoA 카르복실라아제가 위드·사이언스(WeedScience) 53권, 728∼746 페이지(2005년) 등에 보고되어 있고, 이러한 변이 아세틸 CoA 카르복실라아제 유전자를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해 작물에 도입하거나 혹은 저항성 부여와 관련된 변이를 작물 아세틸 CoA 카르복실라아제에 도입하는 것에 의하여, 아세틸 CoA 카르복실라아제 저해제에 내성이 있는 작물을 작출할 수 있다. 또한, 키메라플라스티 기술(Gura T.1999. Repairing the Genome's Spelling Mistakes. Science 285: 316-318.)에 대표되는 염기 치환 변이 도입 핵산을 작물 세포 내에 도입하여 작물{아세틸 CoA 카르복실라아제}유전자에 부위 특이적 아미노산 치환 변이를 일으킴으로써, {아세틸 CoA 카르복실라아제 저해제}에 내성이 있는 작물을 작출할 수 있다.
또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살충성 독소 등을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유전자 조작 작물도 포함된다. 이와 같은 유전자 재조합 식물에서 발현되는 살충성 독소로서는, 예를 들면, 바실러스·세레우스(Bacillus cereus)나 바실러스·포필리에(Bacillus popilliae) 유래의 살충성 단백질; 바실러스·튜링겐시스(Bacillusthuringiensis) 유래의 Cry1Ab, Cry1Ac, Cry1F, Cry1Fa2, Cry2Ab, Cry3A, Cry3Bb1 또는 Cry9C 등의δ-엔도톡신, VIP1, VIP2, VIP3 또는 VIP3A 등의 살충성 단백질; 선충 유래의 살충성 단백질; 전갈 독소, 거미 독소, 벌 독소 또는 곤충 특이적 신경 독소 등의 동물에 의해 생산되는 독소; 사상균(filamentous fungi)류 독소; 식물 렉틴; 응집소(agglutinin); 트립신 저해제, 세린프로테아제 저해제, 파타틴, 시스타틴, 파파인 저해제 등의 프로테아제 저해제; 리신, 옥수수-RIP, 아브린, 사포린, 브리오딘 등의 리보솜 불활성화 단백(RIP); 3-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옥시다제, 엑디스테로이드 UDP-글루코실트랜스퍼라아제, 콜레스테롤옥시다제 등의 스테로이드 대사 효소; 엑디손 저해제; HMG-CoA 환원효소(reductase); 나트륨 채널 저해제, 칼슘 채널 저해제 등의 이온 채널 저해제; 유약 호르몬 에스테라제; 이뇨 호르몬 수용체; 스틸벤신타아제; 비벤질신타아제; 키티나아제; 글루카나아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독소의 예 및 이들 독소를 합성할 수 있는 재조합 작물은, 예를 들면, EP-A-0374753, WO93/07278, WO95/34656, EP-A-0427529, EP-A-451878, WO03/052073 등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재조합 작물에 포함되는 독소는, 특히, 초시목 해충, 쌍시목 해충, 인시류 해충을 방제하는 데 적합하고, 이들 해충에 대한 내성 형질이 작물에 부여된다.
이들 살충성 독소의 하나 또는 복수의 독소를 발현하는 유전자 재조합 작물은 이미 알려져 있으며, 몇 가지는 시판되고 있다. 이들 유전자 재조합 작물의 예로서, Cry1Ab 독소를 발현하는 옥수수 품종, 예를 들면, 일드가드(Yield Gard)<등록상표> 등, Cry3Bb1 독소를 발현하는 옥수수 품종, 예를 들면, 일드가드루트웜(Yield Gard Rootworm) 등, Cry1Ab와 Cry3Bb1 독소를 발현하는 옥수수 품종, 예를 들면, 일드가드플러스(Yield Gard Plus)<등록상표> 등, Cry1Fa2 독소와 글리포세이트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기 위한 포스피노트리신 N-아세틸트랜스퍼라아제(PAT)를 발현하는 옥수수 품종, 예를 들면, 허큘렉스 I(Herculex I)<등록상표> 등, Cry1Ac 독소를 발현하는 면화 품종, 예를 들면, NuCOTN33B<등록상표>, 볼가드 I(Bollgard I)<등록상표> 등, Cry1Ac와 Cry2Ab 독소를 발현하는 면화 품종, 예를 들면, 볼가드 II(Bollgard II)<등록상표> 등, VIP 독소를 발현하는 면화 품종, 예를 들면, VIPCOT<등록상표>등, Cry3A 독소를 발현하는 감자 품종, 예를 들면, 뉴리프(New Leaf)<등록상표> 등, GA21 글리포세이트 내성 형질 네이처 가드 아그리슈어 GT 어드밴티지(NatureGard<등록상표> Agrisure<등록상표> GTA dvantage) 등, Bt11 콘보러(CB) 형질, 예를 들면, 아그리슈어 CB 어드밴티지(Agrisure<등록상표> CB Advantage) 등, 프로텍타(Protecta)<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선택적인 작용을 가지는 항병원성 물질을 생산 형질이 부여된 것도 포함된다. 항병원성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PR 단백질(PRPs, EP-A-0392225에 기재되어 있음); 나트륨 채널 저해제, 칼슘 채널 저해제(바이러스가 생산 KP1, KP4, KP6 독소 등이 알려져 있음) 등의 이온 채널 저해제; 스틸벤신타아제; 비벤질신타아제; 키티나아제; 글루카나아제; 펩티드 항생 물질, 헤테로 환을 가지는 항생 물질, 식물 병해 저항성에 관여하는 단백질 인자(식물 병해 저항성 유전자로 불리우며, WO03/000906에 기재되어 있음) 등의 미생물이 생산하는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항병원성 물질과 그것을 생산하는 유전자 재조합 작물은, EP-A-0392225, WO95/33818, EP-A-0353191 등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유량(油糧) 성분 개질이나 아미노산 함량 증강 형질 등의 유용 형질을 부여한 작물도 포함된다. 예로서, VISTIVE<등록상표>(리놀렌 함량을 저감시킨 저 리놀렌 대두) 또는, high-lysine(또는 high-oil) corn(리신 또는 오일 함유량을 증량한 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고전적인 제초제 형질 또는 제초제 내성 유전자, 살충성 해충 저항성 유전자, 항병원성 물질 생산 유전자, 유량 성분 개질이나 아미노산 함량 증강 형질 등의 유용 형질에 대하여, 이들 중 복수를 조합한 스택 품종도 포함된다. 제초제 내성 작물에 본 발명의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을 사용할 때는, 그 작물이 내성을 가진 제초제(예를 들면, 글리포세이트 또는 그 염, 글리포세이트 또는 그 염, 디캄바 또는 그 염, 이마제타필 또는 그 염, 이속사플루톨 등)와 본 발명의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의 체계 처리 및/또는 혼합 처리에 의해 종합적으로 잡초 및 해충을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의 사용에 있어서는, 미리 각 성분을 함유하는 제제를 그대로, 또는 물 등으로 적절하게 희석하거나, 또는 현탁한 형태로 각종 해충 방제에 유효한 양을 직접 해충에, 또는 상기 해충의 발생이 예측되는 대상 작물에, 또는 그 종자 또는 파종하기 위한 토양 또는 재배 담체 등에 통상적인 처리를 행하면 된다. 처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경엽(莖葉) 등에 대한 살포 처리, 벼육묘 상자 처리, 종자 분의(seed dressing)·종자 침지·종자 소독 등의 종자 처리, 식혈 처리(hole treatment), 북주기 처리, 고랑 처리, 관주 처리, 토양 혼화 처리 등의 처리 방법을 있으며, 수경 재배에 있어서의 수경액에 처리할 수도 있다.
종자 처리의 방법으로서는, 통상 방법에 의하여, 예를 들면, 액상 또한 고체상의 제제를 희석 또는 희석하지 않고 액체 상태에 의해 종자를 침지하여 약제를 침투시키는 방법, 고형 제제 또는 액상 제제를 종자와 혼화, 분의 처리 등을 행하여 종자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방법, 수지, 폴리머 등의 부착성이 높은 담체와 혼화 하여 종자에 단층 또는 다층으로 코팅하는 방법, 옮겨 심기와 동시에 종자의 부근에 살포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종자 처리를 행하는 「종자」란, 광의적으로는 본 발명에서의 「번식용 식물체」과 같은 의미이며, 이른바 종자 외에, 구근, 덩이줄기, 씨감자, 비늘줄기, 또는 꺾꽂이 재배용 줄기 등의 영양 번식용 식물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 경우의 「토양」또는 「재배 담체」란,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지지체를 나타낸 것이며,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재질이면 되고, 예를 들면, 이른바 각종 토양, 육묘 매트, 물 등을 포함하는 것이며, 모래, 버미큘라이트, 면, 종이, 규조토, 한천, 겔상 물질, 고분자 물질, 암면(rock wool), 유리 섬유, 목재 칩, 나무껍질(bark), 경석(輕石)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토양으로의 시용(施用)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액체 또는 고체 제제를 물에 희석하거나 또는 희석하지 않고 식물체의 설치 장소 부근 또는 육묘를 위한 묘상(苗床) 등에 시용하는 방법, 입제를 식물체의 설치 장소 부근 또는 묘상에 살포하는 방법, 파종 전 또는 옮겨 심기 전에 분제, 수화제, 과립 수화제, 입제 등을 살포하고 토양 전체와 혼화하는 방법, 파종 전 또는 식물체를 심기 전에 식혈(植穴), 식조(plating row), 고랑 등에 분제, 수화제, 과립 수화제, 입제 등을 살포하는 방법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수도(水稻)의 육묘상자에 대한 시용 방법으로서는, 제형은, 예를 들면, 파종시 시용, 녹화기 시용, 옮겨 심기시 시용 등 시용 시기에 따라 상이한 경우도 있지만, 분제, 과립 수화제, 입제 등의 제형으로 시용하면 된다. 배토(培土)와의 혼화에 의해서도 시용할 수 있고, 배토와 분제, 과립 수화제 또는 입제 등과의 혼화, 예를 들면, 상토(床土) 혼화, 복토(覆土) 혼화, 배토 전체로의 혼화 등을 행할 수 있다. 배토와 각종 제제를 교대로 단순하게 층상으로 만들어 시용할 수도 있다. 파종 시의 시용 시기는 파종하기 전, 동시, 파종 후 어느 시기라도 되며, 복토 후에 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수도 분야에 있어서는 논으로의 입제 등의 수면 시용이 자주 사용된다.
밭작물, 예를 들면, 감자, 고구마, 대두 등은, 파종으로부터 육묘기에 있어서, 종자 또는 식물체에 근접하는 재배 담체 등으로의 처리가 바람직하다. 밭에 직접 파종하는 식물은, 종자에 대한 직접적인 처리 외에, 재배 중의 식물에 근접하는 재배 담체 등으로의 처리가 매우 적합하다. 입제를 사용하여 살포 처리 또는 물에 희석하거나 또는 희석하지 않는 약제를 액상에서 관주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옮겨 심기를 행하는 재배 식물의 파종, 육묘기의 처리로서는, 종자에 대한 직접적인 처리 외에, 육묘용의 묘상으로의 액상으로 한 약제의 관주 처리 또는 입제의 살포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모심기할 때 입제를 식혈에 처리하거나, 옮겨 심기 장소 부근의 재배 담체에 혼화할 수도 있다.
각각 단독의 제제를 현장에서 혼용하여 전술한 처리 방법에 의해 처리해도 원하는 살충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 단독의 제제를 동시기에 전술한 처리 방법에 의해 처리해도, 원하는 살충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동시기란, 완전히 동시에 처리를 행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일주일 정도의 기간 내이면 동시기로 간주할 수 있으며, 각각 상이한 처리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 단독의 제제를, 간격을 두고 전술한 처리 방법에 의해 처리해도, 원하는 살충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다. 이 때의 처리 간격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각각 단독 제제의 처리로부터 3개월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개월 이내이다. 이 때, 어느 하나의 유효 성분을 먼저 처리할 수도 있으며, 각각 상이한 처리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그 외에, 최근에는 곤충 성페로몬(잎말이나방(tortricid)류, 도둑나방(Cabbage armyworm)류의 교신 교란제 등), 천적 곤충 등을 사용한 IPM(종합적 해충 관리) 기술이 진보하고 있고, 본 발명의 제는 이들 기술과 병용하거나, 또는 체계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의 처리량은 각종 인자, 예를 들면, 목적, 대상 해충, 작물의 생육 상황, 기후, 환경조건, 제형, 시용 방법, 시용 장소, 또는 시용 시기 등에 따라 변동하지만, 유효 성분 화합물로서 살포 처리의 경우, 1 헥타르당, 플루벤디아미드는 1g∼200g,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는 100g∼2000g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대상 작물에 처리하면 되고, 토양 또는 관주 처리의 경우, 플루벤디아미드는 1g∼100g,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는 50g∼1000g의 범위에서 대상 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주변 토양에 살포 또는 관주 처리하면 된다.
본 발명의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은, 이하의 수도, 야채, 과수, 그 외의 화훼 등 각종 농림, 원예 저곡(貯穀) 해충이나 위생 해충 또는 선충 등의 방제에 적합하다. 인시류(나비목)로서는, 예를 들면, 파랑쐐기나방(Parasa consocia), 무궁화잎밤나방(Anomis mesogona), 호랑나비(Papilio xuthus), 팥깍지나방(Matsumuraeses azukivora), 콩줄기명나방(Ostrinia scapulalis), 아프리카 거염벌레 나방(Spodoptera exempta),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조명나방(Ostrinia furnacalis), 멸강나방(Pseudaletia separata), 옷좀나방(Tinea translucens), 속애기잎말이나방(Bactra furfurana), 이치몬지세세리(Parnara guttata), 벼잎말이명나방(Marasmia exigua), 줄점파랑나비(Parnara guttata), 벼밤나방(Sesamia inferens), 고구마작은나비(Brachmia triannulella), 노랑쐐기나방(Monema flavescens), 양배추은무늬밤나방(Trichoplusia ni), 콩잎말이명나방(Pleuroptya ruralis), 매화가지나방(Cystidia couaggaria), 물결부전나비(Lampides boeticus), 줄녹색박각시(Cephonodes hylas), 오오담배나방(Helicoverpa armigera), 왕담배나방(Phalerodonta manleyi), 남방차주머니나방(Eumeta japonica), 큰흰나비(Pieris brassicae), 천막벌레나방(Malacosoma neustria testacea),
감꼭지나방(Stathmopoda masinissa), 감가는나방(Cuphodes diospyrosella), 모무늬잎말이나방(Archips xylosteanus), 거세미나방(Agrotis segetum), 사탕수수속벌레(Tetramoera schistaceana), 산호랑나비(Papilio machaon hippocrates), 은점박쥐나방(Endoclyta sinensis), 은무늬굴나방(Lyonetia prunifoliella), 사과굴나방(Phyllonorycter ringoniella), 밤애기잎말이나방(Cydia kurokoi), 밤속애기잎말이나방(Eucoenogenes aestuosa), 그레이프베리모스(Lobesia botrana), 뒷검은푸른쐐기나방(Latoia sinica), 밤알락명나방(Euzophera batangensis), 자가는잎말이나방(Phalonidia mesotypa), 수검은줄점불나방(Spilosoma imparilis), 뽕나무명나방(Glyphodes pyloalis), 뽕잎애기잎말이나방(Olethreutes mori), 애옷좀나방(Tineola bisselliella), 박쥐나방(Endoclyta excrescens),
곡식좀나방(Nemapogon granellus), 복숭아유리나방(Synanthedon hector), 코드링나방(Cydia pomonella),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혹명나방(Cnaphalocrocis medinalis), 세사미아 칼라미스티스(Sesamia calamistis), 노란이화명나방(Scirpophaga incertulas), 포충나방(Pediasia teterrellus), 감자나방(Phthorimaea operculella), 재주나방(Stauropus fagi persimilis), 팥알락명나방(Etiella zinckenella),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꼬마박쥐나방(Palpifer sexnotata), 스포돕테라 마누리티아(Spodoptera manuritia), 스킬포파가 이노타타(Scirpophaga innotata), 씨자 무늬 거세미나방(Xestia c-nigrum), 잔디밤나방(Spodoptera depravata), 지중해 밀가루 명나방(Ephestia kuehniella), 오얏나무가지나방(Angerona prunaria), 버들재주나방(Clostera anastomosis), 콩밤나방(Pseudoplusia includens), 팥나방(Matsumuraeses falcana), 담배나방(Helicoverpa assulta), 금은은무늬밤나방(Autographa nigrisigna), 검거세미밤나방(Agrotis ipsilon), 차독나방(Euproctis pseudoconspersa),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yes orana), 백양나무가는나방(Caloptilia theivora), 차잎말이나방(Homona magnanima),
갈색알락명나방(Ephestia elutella), 차주머니나방(Eumeta minuscula), 꼬마버들재주나방(Clostera anachoreta), 개미자리밤나방(Heliothis maritima), 도깨비잎말이나방(Sparganothis pilleriana), 옥수수명나방(Busseola fusca), 독나방(Euproctis subflava), 몸큰가지나방(Biston robustum), 토마토프루츠웜(Heliothis zea), 뒷날개흰밤나방(Aedia leucomelas), 배나무쐐기나방(Narosoideus flavidorsalis), 배저녁나방(Viminia rumicis), 배선굴나방(Bucculatrix pyrivorella),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배나무굴나방(Spulerina astaurota), 배명나방(Ectomyelois pyrivorella), 이화명나방(Chilo suppressalis), 파좀나방(Acrolepiopsis sapporensis),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배추순나방(Hellula undalis), 시토트로가 체랄라(Sitotroga ceralella),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유꼬스마 아포레마(Eucosma aporema), 아그배잎말이나방(Acleris comariana), 검은쐐기나방(Scopelodes contracus), 애흰무늬독나방(Orgyia thyellina), 폴아미웜(Spodoptera frugiperda), 큰섬들명나방(Ostrinia zaguliaevi), 벼애나방(Naranga aenescens), 안드라카 비푼크타타(Andraca bipunctata), 포도유리나방(Paranthrene regalis), 물결포도박각시(Acosmeryx castanea),
귤굴나방(Phyllocnistis toparcha), 엔도피자 위테아나(Endopiza viteana), 유포에칠리아 암비구엘라(Eupoecillia ambiguella), 안티카르시아 젬마탈리스(Anticarsia ge㎜atalis), 얼룩회색잎말이나방(Cnephasia cinereipalpana),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솔나방(Dendrolimus spectabilis), 콩나방(Leguminivora glycinivorella), 콩명나방(Maruca testulalis),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 칼롭틸라 소옐라(Caloptilia soyella), 감귤 귤굴나방(Phyllocnistis citrella), 하딜렙타 인디카타(Hadylepta indicata), 과수잎말이나방(Archips fuscocupreanus), 콩금무늬밤나방(Acanthoplusia agnata), 주머니나방(Bambalina sp.), 복숭아심식나방(Carposina niponensis), 복숭아명나방(Conogethes punctiferalis), 복숭아의 유리나방류(Synanthedon sp.), 복숭아굴나방(Lyonetia clerkella),
무늬박이제비나비(Papilio helenus), 노랑나비(Colias erate poliographus), 먹무늬재주나방(Phalera flavescens), 배추흰나비(Pieris rapae) 등의 흰색 나비류, 뽕나무독나방(Euproctis similis), 아크롤레피옵시스 스즈키엘라(Acrolepiopsis suzukiella), 오스트리나아 누빌라리스(Ostrinia nubilalis), 요트우가(Mamestra brassicae), 도둑나방(Ascotis selenaria), 프테오크로이데스 클란데스티나(Phtheochroides clandestina), 큰사과잎말이나방(Hoshinoa adumbratana), 일본사과나무나방(Odonestis pruni japonensis), 사과칼무늬나방(Triaena intermedia), 아독소피에스 오라나 파스치아타(Adoxophyes orana fasciata), 만주애기잎말이나방(Grapholita inopinata), 사과흰애기잎말이나방(Spilonota ocellana), 사과순나방(Spilonota lechriaspis), 사과알락나방(Illiberis pruni), 사과좀나방(Argyresthia conjugella), 사과잎가는나방(Caloptilia zachrysa), 사과무늬잎말이나방(Archips breviplicanus), 목화잎밤나방(Anomis flava), 목화다래나방(Pectinophora gossypiella), 목화명나방(Notarcha derogata), 목화바둑명나방(Diaphania indica), 담배싹벌레(헬리오티스 바이레신스)(Heliothis virescens) 및 목화밤나방(Earias cupreoviridis) 등을 들 수 있고,
반시목(노린재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풀색노린재(Nezara antennata), 홍색얼룩장님노린재(Stenotus rubrovittatus), 홍줄노린재(Graphosoma rubrolineatum), 빨간촉각장님노린재(Trigonotylus coelestialium) 등, 붉은잡초노린재(Aeschynteles maculatus), 날개홍선장님노린재(Creontiades pallidifer), 붉은별노린재(Dysdercus cingulatus), 온실갈색깍지벌레(Chrysomphalus ficus), 아오니디엘라 아우란티(Aonidiella aurantii), 유지(油脂)매미(Graptopsaltria nigrofuscata), 블리쑤스류코프테루스(Blissusleucopterus), 이세리아깍지벌레(Icerya purchasi), 가로줄노린재(Piezodorus hybneri), 벼노린재(Lagynotomus elongatus), 타이아 수브루파(Thaia subrufa), 먹노린재(Scotinophara lurida), 찔레수염진딧물(Sitobion ibarae), 이와사키노린재(Stariodes iwasakii), 유리깍지벌레(Aspidiotus destructor), 타일오릴리구스(Taylorilygus pallidulus), 매화혹진디(Myzusmumecola), 벗나무깍지벌레(Pseudaulacaspis prunicola), 완두수염진딧물(Acyrthosiphon pisum), 자귀나무허리노린재(Anacanthocoris striicornis), 에크토메토프테루스 미칸툴루스(Ectometopterus micantulus), 큰가시점둥글노린재(Eysarcoris lewisi),
몰리프테릭스 풀기노사(Molipteryx fulginosa), 말매미충(Cicadella viridis), 로팔로소품 루피아브도미날리스(Rhopalosophum rufiabdominalis), 사이세티아 올레아에(Saissetia oleae),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 떡갈애매미충(Aguriahana quercus), 장님노린재류(Lygus sp.), 유체라피스 푼크티페니스(Euceraphis punctipennis), 안다스피스깍지벌레(Andaspis kashicola), 어리목련깍지벌레(Coccus pseudomagnoliarum), 반날개노린재(Cavelerius saccharivorus), 쑥부쟁이방패벌레(Galeatus spinifrons), 국화꼬마수염진딧물(Macrosiphoniella sanborni), 귤노랑깍지벌레(Aonidiella citrina), 썩등나무노린재(Halyomorpha mista), 후박나무방패벌(Stephanitis fasciicarina), 트리오자 캄포라에(Trioza camphorae), 호리허리노린재(Leptocorisa chinensis), 트리오자 퀘르치콜라(Trioza quercicola), 호도방패벌레(Uhlerites latius), 에리트로뉴라 코메스(Erythroneura comes), 파로미우스 엑스구스(Paromius exguus), 두플라스피디오투스 클라위제르(Duplaspidiotus claviger), 네포테틱스 니그로피크투스(Nephotettix nigropictus), 검정뛰어장님노린재(Halticiellus insularis), 페르킨시엘라 삭카리치다(Perkinsiella saccharicida), 싸일리아 말리보렐라(Psylla malivorella),
아노모뮤라 모리(Anomomeura mori), 슈도콕쿠스 롱기스피니스(Pseudococcus longispinis), 뽕나무깍지벌레(Pseudaulacaspis pentagona), 풀비나이아 쿠와콜라(Pulvinaria kuwacola), 초록장님노린재(Apolygus lucorum), 미디표주박긴노린재(Togo hemipterus), 탱자소리진딧물(Toxoptera aurantii), 삭카리콕쿠스 삭카리(Saccharicoccus sacchari), 제오이카 루치푸가(Geoica lucifuga), 누마타 뮈리(Numata muiri), 샌호제깍지벌레(Comstockaspis perniciosa), 우나스피스 치트리(Unaspis citri), 싸리수염진딧물(Aulacorthum solani), 배둥글노린재(Eysarcoris ventralis), 베미시아 아르젠티폴리이(Bemisia argentifolii), 치카델라 스페크트라(Cicadella spectra), 아스피디오투스 헤데라에(Aspidiotus hederae), 투명잡초노린재(Liorhyssus hyalinus), 칼로피아 니그리도르살리스(Calophya nigridorsalis),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 긴꼬리볼록진딧물(Megoura crassicauda), 양배추가루진딧물(Brevicoryne brassicae), 콩진딧물(Aphis glycines), 레프토코리사 오라토리우스(Leptocorisa oratorius), 두점끝동매미충(Nephotettix virescens), 우로유콘 포르모사눔(Uroeucon formosanum), 담배장님노린재(Cyrtopeltis tennuis),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복숭아공깍지벌레(Lecanium persicae), 차나무점깍지벌레(Parlatoria theae), 검은조개깍지벌레(Pseudaonidia paeoniae),
오누키애매미충(Empoasca onukii), 갈색날개노린재(Plautia stali), 디사피스 툴리파에(Dysaphis tulipae), 감자수염진딧물(Macrosiphum euphorbiae), 진달래방패벌레(Stephanitis pyrioides), 뿔밀깍지벌레(Ceroplastes ceriferus), 동백점깍지벌레(Parlatoria camelliae), 아폴리구스 스피놀라이(Apolygus spinolai),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ceps), 기름빛풀색노린재(Glaucias subpunctatus), 명아주장님노린재(Orthotylus flavosparsus), 옥수수테두리진딧물(Rhopalosiphum maidis), 페레그리누스 마이디스(Peregrinus maidis), 가시점둥글노린재(Eysarcoris parvus), 빈대(Cimex lectularius), 단풍나무이(Psylla abieti), 벼멸구(Nilaparvata lugens), 승모나무이(Psylla tobirae), 비단노린재(Eurydema rugosum), 배나무두갈래진딧물(Schizaphis piricola), 꼬마배나무이(Psylla pyricola), 파를라토레오프시스 피리(Parlatoreopsis pyri), 스테파니티스 사시(Stephanitis sashi), 등나무가루깍지벌레(Dysmicoccus wistariae), 로폴류카스피스 야포니카(Lepholeucaspis japonica), 배나무동글밑진딧물(Sappaphis piri), 무우테두리진딧물(Lipaphis erysimi), 파혹진딧물(Neotoxoptera formosana), 로팔로소품 님파에아에(Rhopalosophum nymphaeae),
에드와르드시아나로사에(Edwardsianarosae), 파나스피사스피디스트라에(Pinnaspisaspidistrae), 오리나무이(Psylla alni), 스퓨소테트틱스 수브푸스쿨루스(Speusotettix subfusculus), 알네토이디아 알네티(Alnetoidia alneti), 소가텔라 파니치콜라(Sogatella panicicola), 연리초장님노린재(Adelphocoris lineolatus), 디스데르쿠스 포에칠루스(Dysdercus poecilus), 파를라토리아 지지피(Parlatoria ziziphi), 참나무방패벌레(Uhlerites debile),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유리데마 풀크룸(Eurydema pulchrum), 벼가시허리노린재(Cletus trigonus), 클로비아 푼크타타(Clovia punctata), 오동나무애매미충류(Empoasca sp.), 무화과깍지벌레(Coccus hesperidum), 짧은알락긴노린재(Pachybrachius luridus), 온실가루깍지벌레(Planococcus kraunhiae), 스테노투스 비노타투스(Stenotus binotatus), 아르보리디아 아피카리스(Arboridia apicaris), 두점멸구꼬마매미충(Macrosteles fascifrons), 알락수염노린재(Dolycoris baccarum), 설상무늬장님노린재(Adelphocoris triannulatus), 포도뿌리혹벌레(Viteus vitifolii), 꽈리허리노린재(Acanthocoris sordidus), 레프토코리사 아쿠타(Leptocorisa acuta),
울도반날개긴노린재(Macropes obnubilus), 시골가시허리노린재(Cletus punctiger),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 파라트리오자 콕케렐리(Paratrioza cockerelli), 거품벌레(Aphrophora costalis), 리구스 디스폰시(Lygus disponsi), 얼룩장님노린재(Lygus saundersi), 소나무가루깍지벌레(Crisicoccus pini), 가문비애매미충(Empoasca abietis), 버들가루깍지벌레(Crisicoccus matsumotoi), 아카시아진딧물(Aphis craccivora), 마가코프타 푼크타티시눔(Megacopta punctatissimum), 점박이둥글노린재(Eysarcoris guttiger), 레피도사페스 벡키이(Lepidosaphes beckii), 귤나무이(Diaphorina citri), 귤소리진딧물(Toxoptera citricidus), 귤가루깍지벌레(Planococcus citri), 귤가루이(Dialeurodes citri), 귤가시가루이(Aleurocanthus spiniferus), 귤애가루깍지벌레(Pseudococcus citriculus), 지지넬라 치트리(Zyginella citri), 풀비나리아 치트리콜라(Pulvinaria citricola), 콕쿠스 디스크레판스(Coccus discrepans), 조개깍지벌레(Pseudaonidia duplex), 모자주홍하늘소(Pulvinaria aurantii), 말채나무공깍지벌레(Lecanium corni), 남쪽풀색노린재(Nezara viridula), 스테노데마 칼카라툼(Stenodema calcaratum), 기장테두리진딧물(Rhopalosiphum padi), 시토비온 아케비아에(Sitobion akebiae),
보리두갈래진딧물(Schizaphis graminum), 보리매미충(Sorhoanus tritici), 자두둥글밑진딧물(Brachycaudus helichrysi), 홍보라노린재(Carpocoris purpureipennis),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복숭아가루진딧물(Hyalopterus pruni), 아피스 파리노세 야나지콜라(Aphis farinose yanagicola), 포풀라방패벌레(Metasalis populi), 화살깍지벌레(Unaspis yanonensis), 메소호모토마 캄포라에(Mesohomotoma camphorae), 조팝나무진딧물(Aphis spiraecola), 사과진딧물(Aphis pomi), 사과굴깍지벌레(Lepidosaphes ulmi), 사과나무이(Psylla mali), 사과먹장님노린재(Heterocordylus flavipes), 사과혹진딧물(Myzus malisuctus), 아피도누귀스 말리(Aphidonuguis mali), 오리엔투스 이시다이(Orientus ishidai), 오바투스 말리콜렌스(Ovatus malicolens), 사과면충(Eriosoma lanigerum), 루비깍지벌레(Ceroplastes rubens),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등을 들 수 있고,
초시목(갑충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청줄하늘소(Xystrocera globosa), 청딱지개미반날개(Paederus fuscipes), 청색꽃무지(Eucetonia roelofsi),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개미바구미(Cylas formicarius), 알팔파바구미(Hypera postica), 벼뿌리바구미(Echinocnemus squameus), 벼잎벌레(Oulema oryzae), 벼뿌리잎벌(Donacia provosti), 벼물바구미(Lissorhoptrus oryzophilus), 고구마잎벌레 (Colasposoma dauricum), 고구마바구미(Euscepes postfasciatus), 에필라크나 바리베스티스(Epilachna varivestis), 강낭콩바구미(Acanthoscelides obtectus), 서부옥수수뿌리벌레(Diabrotica virgifera virgifera), 털거위벌레(Involvulus cupreus), 아울라코포라 페모랄리스(Aulacophora femoralis), 완두콩 바구미(Bruchus pisorum), 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카르포필루스 디미디아투스(Carpophilus dimidiatus), 남생이잎벌레(Cassida nebulosa), 루페로모르파 투네브라사(Luperomorpha tunebrosa), 벼룩잎벌레(Phyllotreta striolata), 울도하늘소(Psacothea hilaris), 노랑얼룩하늘소(Aeolesthes chrysothrix),
밤바구미(Curculio sikkimensis), 카르포필루스 헤미프테루스(Carpophilus hemipterus), 애초록꽃무지(Oxycetonia jucunda), 옥수수뿌리벌레(Diabrotica sp.), 풍뎅이(Mimela splendens), 어리쌀바구미(Sitophilus zeamais), 거짓쌀도둑거저리(Tribolium castaneum), 쌀바구미(Sitophilus oryzae), 팔로루스 수브데프레수스(Palorus subdepressus), 멜롤론타 야포니카(Melolontha japonica), 알락하늘소(Anoplophora malasiaca), 거저리(Neatus picipes), 감자잎벌레(Leptinotarsa decemlineata), 남부옥수수뿌리벌레(Diabrotica undecimpunctata howardi), 잔디왕바구미(Sphenophorus venatus), 아스파라거스잎벌레(Crioceris quatuordecimpunctata), 자두바구미(Conotrachelus nenuphar), 유채좁쌀바구미(Ceuthorhynchidius albosuturalis), 좁은가슴잎벌레(Phaedon brassicae), 권연벌레(Lasioderma serricorne), 들바구비(Sitona japonicus), 주둥무늬다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바실레프타 발리(Basilepta balyi), 히페라 니그리로스트리스(Hypera nigrirostris), 맵시잎벌레(Chaetocnema concinna), 구리풍뎅이(Anomala cuprea), 긴다색풍뎅이(Heptophylla picea), 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Epilachna vigintioctopunctata), 디아브로티카 롱기코르니스(Diabrotica longicornis), 참꽃무지(Eucetonia pilifera), 아그리오테스종(Agriotes spp.),
아타제누스 우니콜로르 야포니쿠스(Attagenus unicolor japonicus), 콩잎벌레(Pagria signata), 애풍뎅이(Anomala rufocuprea), 팔로루스 라트제부르지이이(Palorus ratzeburgii), 구룡충(Alphitobius laevigatus), 애알락수시렁이(Anthrenus verbasci), 넓적나무좀(Lyctus brunneus), 밀바구미(Tribolium confusum), 두줄박이애잎벌레(Medythia nigrobilineata), 포도호랑하늘소(Xylotrechus pyrrhoderus), 포테이토플리비틀(potato flea beetle)(Epitrix cucumeris), 소나무좀(Tomicus piniperda),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 일본비틀(Popillia japonica), 줄먹가뢰(Epicauta gorhami), 어리쌀바구미(Sitophilus zeamais), 복숭아거위벌(Rhynchites heros), 채소바구미(Listroderes costirostris), 칼로소브루쿠스 마쿨라투스(Callosobruchus maculatus), 필로비우스 아르마투스(Phyllobius armatus), 배꽃바구미(Anthonomus pomorum), 남색잎벌레(Linaeidea aenea), 안토노무스 그란디스(Anthonomus grandis) 등을 들 수 있고,
쌍시목(파리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 시금치꽃파리(Pegomya hyoscyami), 흑다리잎굴파리(Liriomyza huidobrensis), 집파리(Musca domestica), 벼줄기굴파리(Chlorops oryzae), 벼검은줄기물가파리(Hydrellia sasakii), 벼잎굴파리(Agromyza oryzae), 벼잎물가파리(Hydrellia griseola), 오피오미아 파세올리(Ophiomyia phaseoli), 다쿠스 쿠쿠르비타에(Dacus cucurbitae), 벗초파리(Drosophila suzukii), 라코클라에나 야포니카(Rhacochlaena japonica), 왕큰집파리(Muscina stabulans), 메가셀리아 스피라쿨라리스(Megaselia spiracularis) 등의 벼룩파리류, 클로그미아 알비푼크타타(Clogmia albipunctata), 아이노각다귀(Tipula aino), 검정금파리(Phormia regina),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 양배추꽃파리(Hylemya brassicae),
혹파리류(Asphondylia sp.), 씨고자리파리(Delia platura), 고자리파리(Delia antiqua), 유럽양벚과실파리(Rhagoletis cerasi), 쿨렉스 피피엔스 몰레스투스 포르스칼(Culex pipiens molestus Forskal), 세라티티스 카피타타(Ceratitis capitata), 작은뿌리파리(Bradysia agrestis), 나도시금치꽃파리(Pegomya cunicularia), 리리오미자 사티바에(Liriomyza sativae), 오이잎굴파리(Liriomyza bryoniae), 크로마토미아 호르티콜라(Chromatomyia horticola), 파굴파리(Liriomyza chinensis), 쿨렉스 퀸퀘파스치아투스(Culex quinquefasciatus), 아에데스 아에기프티(Aedes aegypti),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 동양광대파리(Dacus dorsalis), 다쿠스 츠네오니스(Dacus tsuneonis), 시토디플로시스 모셀라나(Sitodiplosis mosellana), 메로무자 니그리벤트리스(Meromuza nigriventris), 멕시코과실파리(Anastrepha ludens), 파골레티스 포모넬라(Phagoletis pomonella) 등을 들 수 있고
막시목(벌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그물등개미(Pristomyrmex pungens), 베틸라이드(Bethylid)류, 모노모리움 파라오시스(Monomorium pharaosis), 혹개미(Pheidole noda), 아탈리아 로사에(Athalia rosae), 밤나무혹벌(Dryocosmus kuriphilus) 등, 곰개미(Formica fusca japonica), 말벌류, 아탈리아 인푸마타 인푸마타(Athalia infumata infumata), 장미등에잎벌(Arge pagana), 왜무잎벌(Athalia japonica), 아크로멕스속(Acromyrmex spp.), 열마디개미(Solenopsis spp.), 사과등에잎벌(Arge mali), 흰발마디개미(Ochetellus glaber) 등을 들 수 있고,
직시목(메뚜기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매붙이(Homorocoryphus lineosus), 귀뚜라미(Gryllotalpa sp.), 애기벼메뚜기(Oxya hyla intricata), 옥시아 예조엔시스(Oxya yezoensis), 풀무치(Locusta migratoria), 벼메뚜기(Oxya japonica), 호모로코리푸스 예조엔시스(Homorocoryphus jezoensis), 텔레오그릴루스 엠마(Teleogryllus e㎜a) 등을 들 수 있고,
총채벌레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셀레노트리프스 루브로친크투스(Selenothrips rubrocinctus), 벼총채벌레(Stenchaetothrips biformis), 벼관총채벌레(Haplothrips aculeatus), 감관총채벌레(Ponticulothrips diospyrosi) 등, 아카시아총채벌레(Thrips flavus), 아나포트리프스 오브스쿠루스(Anaphothrips obscurus), 리오트리프스 플로리덴시스(Liothrips floridensis), 글라디올러스총채벌레(Thrips simplex), 미나리총채벌레(Thrips nigropilosus), 귤총채벌레(Heliothrips haemorrhoidalis), 뽕나무총채벌레(Pseudodendrothrips mori), 좀머리총채벌레(Microcephalothrips abdominalis), 레유웨니아 파사니이(Leeuwenia pasanii), 리토테토트리프스 파사이아에(Litotetothrips pasaniae), 쉬르트리프스 치트리(Scirtothrips citri), 중국관총채벌레(Haplothrips chinensis), 콩어리총채벌레(Mycterothrips glycines),
엉겅퀴총채벌레(Thrips setosus), 볼록총채벌레(Scirtothrips dorsalis),
왕대총채벌레(Dendrothrips minowai), 토끼풀관총채벌레(Haplothrips niger), 트립스 타바치(Thrips tabaci), 파어리총채벌레(Thrips alliorum), 하와이총채벌레(Thrips hawaiiensis), 무궁화관총채벌레(Haplothrips kurdjumovi), 뿔총채벌레(Chirothrips manicatus),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 일본총채벌레(Thrips coloratus),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ella occidentalis), 오이총채벌레(Thrips palmi), 백합총채벌레(Frankliniella lilivora), 백합관총채벌레(Liothrips vaneeckei) 등을 들 수 있고,
진드기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빨간쓰쓰가무시(Leptotrombidium akamushi), 테트라니쿠스 루데니(Tetranychus ludeni), 개참진드기(Dermacentor variabilis), 테트라니쿠스 트룬카투스(Tetranychus truncatus), 열대성쥐진드기(Ornithonyssus bacoti), 모낭충(Demodex canis), 벚나무응애(Tetranychus viennensis), 차응애(Tetranychus kanzawai), 뿔참진드기(Rhipicephalus sanguineus) 등의 참진드기류, 케일레투스 말락첸시스(Cheyletus malaccensis), 긴털가루진드기(Tyrophagus putrescentiae), 큰다리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 farinae), 라트로데크투스 하셀티이이(Latrodectus hasseltii), 데르마첸토르 타이와니쿠스(Dermacentor taiwanicus), 아카필라 테아바그란스(Acaphylla theavagrans), 차먼지응애(Polyphagotarsonemus latus), 토마토녹응애(Aculops lycopersici), 오르니토니수스 실바이룸(Ornithonyssus sylvairum),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에리오피에스 키바에시스(Eriophyes chibaensis), 옴벌레(Sacroptes scabiei), 작은소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 익소디스 스카풀라리스(Ixodes scapularis), 곤봉가루응애(Tyrophagus similis), 케일레투스 에루디투스(Cheyletus eruditus), 귤응애(Panonychus citri), 케일레투스 모오레이(Cheyletus moorei), 브레비팔푸스 포에니치스(Brevipalpus phoenicis), 옥토덱테스 치노티스(Octodectes cynotis), 데르마토파고이데스 트레니수누스(Dermatophagoides ptrenyssnus), 개피참진드기(Haemaphysalis flava), 사슴참진드기(Ixodes ovatus), 필로코프트루타 치트리(Phyllocoptruta citri), 아쿨루스 스클레크텐달리(Aculus schlechtendali), 사과응애(Panonychus ulmi), 텍사스진드기(Amblyomma americanum), 닭진드기(Dermanyssus gallinae) 등을 들 수 있고,
흰개미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레티쿨리테르메스 미야타케이(Reticulitermes miyatakei), 인치시테르메스 미노르(Incisitermes minor), 집흰개미(Coptotermes formosanus), 호도테르모프시스 야포니카(Hodotermopsis japonica), 흰개미류(Reticulitermes sp.), 레티쿨리테르메스 플라비체프스 아나미아누스(Reticulitermes flaviceps amamianus), 글리프토테르메스 쿠쉬멘시스(Glyptotermes kushimensis), 코프토테르메스 광쪼엔시스(Coptotermes guangzhoensis), 네오테르메스 코슈넨시스(Neotermes koshunensis), 글리프토테르메스 코다마이(Glyptotermes kodamai), 글리프토테르메스 사츠멘시스(Glyptotermes satsumensis), 크리프토테르메스 도메스티쿠스(Cryptotermes domesticus), 오돈도테르메스 포르모사누스(Odontotermes formosanus), 글리프토테르메스 나카지마이(Glyptotermes nakajimai), 페리카프리테르메스 니토베이(Pericapritermes nitobei), 야마토흰개미(Reticulitermes speratus) 등을 들 수 있고,
바퀴벌레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먹바퀴(Periplaneta fuliginosa), 독일바퀴(Blattella germanica), 잔날개바퀴(Blatta orientalis), 페리플라네타 브룬네아(Periplaneta brunnea), 블라텔라 리투리콜리스(Blattella lituricollis), 일본바퀴(Periplaneta japonica), 미국바퀴(Periplaneta Americana) 등을 들 수 있고,
벼룩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사람벼룩(Pulex irritans), 괭이벼룩(Ctenocephalides felis), 유럽병아리벼룩(Ceratophyllus gallinae) 등을 들 수 있고,
선충류로서는, 예를 들면, 딸기눈선충(Nothotylenchus acris), 벼이삭선충(Aphelenchoides besseyi),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penetrans),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감자시스트선충(Globodera rostochiensis), 자바니카뿌리혹선충(Meloidogyne javanica), 콩시스트선충(Heterodera glycines), 커피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coffeae), 프라틸렌쿠스 네글레크투스(Pratylenchus neglectus), 틸렌쿠스 세미페네트란스(Tylenchus semipenetrans) 등을 들 수 있고,
연체동물류로서는, 예를 들면, 왕우렁이(Pomacea canaliculata), 아프리카달팽이(Achatina fulica), 민달팽이(Meghimatium bilineatum), 레흐만니나 발렌티아나(Lehmannina valentiana), 리마쿠스 플라부스(Limacus flavus), 달팽이(Acusta despecta sieboldiana) 등을 들 수 있고, 그 외에 투타 아브솔루타(Tuta absoluta) 등의 농원예 해충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동일한 시기에 발생하는 병해충 및 잡초 등을 방제, 효과의 증강, 작물의 약해(藥害) 경감의 목적으로, 농원예용 살균제, 농원예용 살충제, 농원예용 제초제, 공력제 및 약해 경감제 등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농원예용 살균제, 농원예용 살충제, 농원예용 제초제, 공력제 또는 약해 경감제의 대표적인 화합물을 이하에서 예시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농원예용 살균제로서는, 아우레오풍긴(aureofungin), 아자코나졸(azaconazole), 아지티람(azithiram), 아시페탁스(acypetacs), 아시벤졸라(acibenzolar), 아시벤졸라-S-메틸(acibenzolar-S-methyl),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아닐라진(anilazine), 아미설브롬(amisulbrom), 암프로필포스(ampropylfos), 아메톡트라딘(ametoctradin), 알릴알코올(allyl alcohol), 알디모프(aldimorph), 아모밤(amobam), 이소티아닐(isotianil), 이소발레디온(isovaledione), 이소피라잠(isopyrazam), 이소페타미드(isofetamid), 이소프로티올란(isoprothiolane), 입코나졸(ipconazole), 이프로디온(iprodione), 이프로발리카브(iprovalicarb), 이프로벤포스(iprobenfos), 이마잘릴(imazalil), 이미녹타딘(iminoctadine), 이미녹타딘 알베실산염(iminoctadine-albesilate), 이미녹타딘 아세트산염(iminoctadine-triacetate), 이미벤코나졸(imibenconazole), 우니코나졸(uniconazole), 우니코나졸-P(uniconazole-P), 에클로메졸(echlomezole), 에디펜포스(edifenphos), 에타코나졸(etaconazole), 에타복삼(ethaboxam), 에티리몰(ethirimol), 에템(etem), 에톡시킨(ethoxyquin), 에트리디아졸(etridiazole), 에너지 파업 로브 인(enestroburin), 에폭시코나졸(epoxiconazole), 옥사딕실(oxadixyl), 옥시카르복신(oxycarboxin), 옥시퀴놀린 동(copper-8-quinolinolate), 옥시테트라사이클린(oxytetracycline), 옥신 동(copper-oxinate), 옥스포코나졸(oxpoconazole), 옥스포코나졸 푸마르산염(oxpoconazole-fumarate), 옥소린산(oxolinic acid), 옥틸리논(octhilinone), 오푸라세(ofurace), 오리사스트로빈(orysastrobin), 메탐 소듐(metam-sodium),
카스가마이신(kasugamycin), 카르바모프(carbamorph), 카르프로파미드(carpropamid), 카르벤다짐(carbendazim), 카르복신(carboxin), 카르본(carvone), 퀴나자미드(quinazamid), 퀴나세톨(quinacetol), 퀴녹시펜(quinoxyfen), 키노메티오네이트(chinomethionat), 키노메티오네이트(quinomethionate), 캡타폴(captafol), 캡탄(captan), 키랄락실(kiralaxyl), 퀸코나졸(quinconazole), 퀸토젠(quintozene), 구아자틴(guazatine), 쿠프라네브(cufraneb), 쿠프로밤(cuprobam), 글리오딘(glyodin), 그리세오풀빈(griseofulvin), 클림바졸(climbazole), 크레졸(cresol), 크레속심메틸(kresoxim-methyl), 클로졸리네이트(chlozolinate), 클로트리마졸(clotrimazole), 클로벤티아존(chlobenthiazone), 클로라니포르메탄(chloraniformethan), 크로라닐(chloranil), 클로르퀴녹스(chlorquinox), 클로로피크린(chloropicrin), 클로르페나졸(chlorfenazole), 클로로디니트로나프탈렌(chlorodinitronaphthalene), 클로로탈로닐(chlorothalonil), 클로로네브(chloroneb), 살리실아닐리드(salicylanilide), 자릴라미드(zarilamid), 시아조파미드(cyazofamid), 디에틸피로카보네이트(diethyl pyrocarbonate), 디에토펜카브(diethofencarb), 시클라퓨라미드(cyclafuramid), 시클로시멧트(diclocymet), 디클로졸린(dichlozoline), 디크로부트라졸(diclobutrazol), 디클로플루아니드(dichlofluanid), 시클로헥시미드(cycloheximide), 디클로메진(diclomezine), 디클로란(dicloran), 디클로로펜(dichlorophen), 디클론(dichlone), 디술피람(disulfiram), 디탈림포스(ditalimfos), 디티아논(dithianon), 디니코나졸(diniconazole),
디니코나졸-M(diniconazole-M), 지네브(zineb), 디노캡(dinocap), 디녹톤(dinocton), 디노술폰(dinosulfon), 디노테르본(dinoterbon), 디노부톤(dinobuton), 디노펜톤(dinopenton), 디피리티온(dipyrithione), 디페닐아민(diphenylamine), 디페노코나졸(difenoconazole), 시플루페나미드(cyflufenamid), 디플루메토림(diflumetorim), 시프로코나졸(cyproconazole), 시프로디닐(cyprodinil), 시프로퓨람(cyprofuram), 시펜다졸(cypendazole), 시메코나졸(simeconazole), 디메티리몰(dimethirimol), 디메토모르프(dimethomorph), 시목사닐(cymoxanil), 디목시스트로빈(dimoxystrobin), 브롬화 메틸(methyl bromide), 지람(ziram), 실티오팜(silthiofam),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스피록사민(spiroxamine), 술트로펜(sultropen), 세닥산(sedaxane), 족사미드(zoxamide), 다조멧(dazomet), 티아디아진(thiadiazin), 티아디닐(tiadinil), 티아디플루오르(thiadifluor), 티아벤다졸(thiabendazole), 티옥시미드(tioxymid), 티오퀴녹스(thioquinox), 티오클로르펜핌(thiochlorfenphim), 티오파네이트(thiophanate), 티오파네이트메틸(thiophanate-methyl), 티시오펜(thicyofen ), 티플루자미드(thifluzamide), 티람(thiram), 데카펜틴(decafentin), 테크나젠(tecnazene), 테클로프탈람(tecloftalam), 테코람(tecoram), 테트라코나졸(tetraconazole), 데바카브(debacarb), 데하이드로 아세트산(dehydroacetic acid), 테브코나졸(tebuconazole), 테브플로킨(tebufloquin), 도디신(dodicin), 도딘(dodine),
도데실벤젠술폰산 비스 에틸렌디아민 동착염(II)(DBEDC), 도데모르프(dodemorph), 드라족솔론(drazoxolon), 트리아디메놀(triadimenol), 트리아디메폰(triadimefon), 트리아즈부틸(triazbutil), 트리아족시드(triazoxide), 트리아미포스(triamiphos), 트리아리몰(triarimol), 트리클라미드(trichlamide), 트리시클라졸(tricyclazole), 트리티코나졸(triticonazole), 트리데모르프(tridemorph), 트리부틸틴옥시드(tributyltin oxide), 트리플루미졸(triflumizole), 트리플록시트로빈(trifloxystrobin), 트리포린(triforine), 톨릴플루아니드(tolylfluanid), 톨클로포스메틸(tolclofos-methyl), 톨프로카브(tolprocarb), 나타마이신(natamycin), 나밤(nabam), 니트로스티렌(nitrostyrene), 니트로탈 이소프로필(nitrothal-isopropyl), 누아리몰(nuarimol), 노닐페놀술폰산 동(copper nonylphenol sulfonate), 할라크리네이트(halacrinate), 발리다마이신(validamycin), 발리페날라트(valifenalate), 하핀 단백질(harpin protein), 빅사펜(bixafen), 피콕시스트로빈(picoxystrobin), 피코벤자미드(picobenzamide), 비티오놀(bithionol), 비테르타놀(bitertanol), 하이드록시이속사졸(hydroxyisoxazole), 하이드록시이속사졸칼륨(hydroxyisoxazole-potassium), 비나파크릴(binapacryl), 비페닐(biphenyl), 피페랄린(piperalin), 히멕사졸(hymexazol), 피라옥시스트로빈(pyraoxystrobin), 피라카르볼리드(pyracarbolid), 피라크로스트로빈(pyraclostrobin), 피라조포스(pyrazophos), 피라메토스트로빈(pyrametostrobin), 피리오페논(pyriofenone), 피리디니트릴(pyridinitril), 피리페녹스(pyrifenox),
피리벤카브(pyribencarb), 피리메타닐(pyrimethanil), 피록시클로르(pyroxychlor), 피록시푸르(pyroxyfur), 피로킬론(pyroquilon), 빈클로졸린(vinclozolin), 퍼밤(ferbam), 파목사돈(famoxadone), 페나파닐(fenapanil), 페나미돈(fenamidone), 페나미노술프(fenaminosulf), 페나리몰(fenarimol), 페니트로판(fenitropan), 페녹사닐(fenoxanil), 페림존(ferimzone), 펜틴(fentin), 펜피클로닐(fenpiclonil), 펜피라자민(fenpyrazamine), 펜부코나졸(fenbuconazole), 펜퓨람(fenfuram), 펜프로피딘(fenpropidin), 펜프로피모르프(fenpropimorph), 펜헥사미드(fenhexamid), 프탈리드(phthalide), 부티오베이트(buthiobate), 부틸아민(butylamine), 부피리메이트(bupirimate), 퓨베리다졸(fuberidazole), 블라스티사이딘-S(blasticidin-S), 퓨라메트필(furametpyr), 퓨랄락실(furalaxyl), 플루아크리피린(fluacrypyrin), 플루아지남(fluazinam), 플루옥사스트로빈(fluoxastrobin), 플루오트리마졸(fluotrimazole), 플루오피콜리드(fluopicolide), 플루오피람(fluopyram), 플로오로이미드(fluoroimide), 푸르카르바닐(furcarbanil), 플룩사피록사드(fluxapyroxad), 플루킨코나졸(fluquinconazole), 푸르코나졸(furconazole), 푸르코나졸시스(furconazole-cis), 플루디옥소닐(fludioxonil), 플루실라졸(flusilazole), 플루설파미드(flusulfamide), 플루티아닐(flutianil), 플루톨라닐(flutolanil), 플루트리아폴(flutriafol), 푸르푸랄(furfural), 푸르메시클록스(furmecyclox), 플루멧오버(flumetover), 플루모르프(flumorph), 프로키나지드(proquinazid), 프로클로라즈(prochloraz), 프로시미돈(procymidone), 프로티오카브(prothiocarb),
프로티오코나졸(prothioconazole), 프로파모카브(propamocarb), 프로피코나졸(propiconazole), 프로피네브(propineb), 퓨로파네이트(furophanate), 프로베나졸(probenazole), 브로무코나졸(bromuconazole), 헥사클로로부타디엔(hexachlorobutadiene), 헥사코나졸(hexaconazole), 헥실티오포스(hexylthiofos), 베톡사진(bethoxazin), 베날락실(benalaxyl), 베날락실-M(benalaxyl-M), 베노다닐(benodanil), 베노밀(benomyl), 페퓨라조에이트(pefurazoate), 벤키녹스(benquinox), 펜코나졸(penconazole), 벤자모르프(benzamorf), 펜시큐론(pencycuron), 벤조하이드록삼산(benzohydroxamic acid), 벤탈루론(bentaluron), 벤티아졸(benthiazole), 벤티아발리카브(benthiavalicarb), 벤티아발리카브이소프로필(benthiavalicarb-isopropyl), 펜티오피라드(penthiopyrad), 펜플루펜(penflufen), 보스칼리드(boscalid), 포스디펜(phosdiphen), 포세틸(fosetyl), 포세틸알루미늄(fosetyl­Al), 폴리옥신(polyoxins), 폴리옥소림(polyoxorim), 폴리카르바메이트(polycarbamate), 폴페트(folpet),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기계유(machine oil), 마네브(maneb), 만코제브(mancozeb), 만디프로파미드(mandipropamid), 미클로졸린(myclozolin), 미클로부타닐(myclobutanil),
밀디오마이신(mildiomycin), 밀네브(milneb), 메카르빈지드(mecarbinzid), 메타술포카브(methasulfocarb), 메타족솔론(metazoxolon), 메탐(metam), 메탐나트륨(metam­sodium), 메탈락실(metalaxyl), 메탈락실-M(metalaxyl-M), 메티람(metiram), 메틸이소티오시아네이트(methyl isothiocyanate), 메틸디노캅(meptyldinocap), 메트코나졸(metconazole), 메트술포박스(metsulfovax), 메트퓨록삼(methfuroxam), 메토미노스트로빈(metominostrobin), 메트라페논(metrafenone), 메파니피림(mepanipyrim), 메페녹삼(mefenoxam), 메프틸디노캅(meptyldinocap), 메프로닐(mepronil), 메베닐(mebenil), 요오드화 메틸(iodomethane), 라벤자졸(rabenzazole), 염화 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염기성 염화동(basic copper chloride), 염기성 황산 동(basic copper sulfate), 금속 은(silver) 등의 무기 살균제, 차아염소산 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수산화 제2동(cupric hydroxide), 수화 유황제(wettable sulfur), 석회유황 합제(calcium polysulfide), 탄산수소칼륨(potassium hydrogen carbonate), 탄산수소나트륨(sodium hydrogen carbonate), 무기 유황(sulfur), 무수 황산동(copper sulfate anhydride), 유기 니켈(nickel dimethyldithiocarbamate), 유기동(oxine copper), 황산 아연(zinc sulfate) 및 황산동 5수염(copper sulfate) 등이 있다.
농원예용 살충제로서는, 3,5-xylyl methylcarbamate(XMC), Bacillus thuringienses aizawai, Bacillus thuringienses israelensis, Bacillus thuringienses japonensis, Bacillus thuringienses kurstaki, Bacillus thuringienses tenebrionis, Bacillus thuringienses가 생성하는 결정 단백질 독소, BPMC, Bt 톡신계 살충성 화합물, CPCBS(chlorfenson), DCIP(dichlorodiisopropyl ether), D-D(1,3-Dichloropropene), DDT, NAC, O-4-dimethylsulfamoylphenyl O,O-diethyl phosphorothioate(DSP), O-ethyl O-4-nitrophenyl phenylphosphonothioate(EPN), tripropylisocyanurate(TPIC), 아크리나트린(acrinathrin), 아자디라크틴(azadirachtin), 아진포스메틸(azinphos-methyl), 아세키노실(acequinocyl), 아세타미프리드(acetamiprid), 아세토프롤(acetoprole), 아세페이트(acephate), 아바멕틴(abamectin), 아피도피로펜(afidopyropen), 아베르멕틴(avermectin-B), 아미도플루메트(amidoflumet), 아미트라즈(amitraz), 알라니카브(alanycarb), 알디카브(aldicarb), 알독시카브(aldoxycarb), 알드린(aldrin), 알파엔도술판(alpha-endosulfan), 알파사이퍼메트린(alpha-cypermethrin), 알벤다졸(albendazole), 알레트린(allethrin), 이사조포스(isazofos), 이사미도포스(isamidofos), 이속사티온(isoxathion), 이소펜포스(isofenphos), 이소프로카브(isoprocarb: MIPC), 이베르멕틴(ivermectin), 이미시아포스(imicyafos),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이미프로트린(imiprothrin), 인독사카브(indoxacarb), 에스펜발레레이트(esfenvalerate), 에티오펜카브(ethiofencarb), 에티온(ethion), 에티프롤(ethiprole), 에톡사졸(etoxazole), 에토펜프록스(ethofenprox), 에토프로포스(ethoprophos), 에트림포스(etrimfos), 에마멕틴(emamectin), 에마멕틴벤조에이트(emamectin-benzoate), 엔도술판(endosulfan), 엔펜트린(empenthrin), 옥사밀(oxamyl), 옥시디메톤메틸(oxydemeton-methyl), 옥시디프로포스(oxydeprofos: ESP), 옥시벤다졸(oxibendazole), 옥스펜다졸(oxfendazole), 올레산 칼륨(Potassium oleate), 올레산 나트륨(sodium oleate), 카두사포스(cadusafos), 카르탑(cartap), 카르바릴(carbaryl), 카르보술판(carbosulfan), 카르보퓨란(carbofuran), 감마사이할로트린(ga㎜a-cyhalothrin), 크실릴카브(xylylcarb), 퀴날포스(quinalphos), 키노프렌(kinoprene), 키노메티오네이트(chinomethionat), 클로에토카브(cloethocarb), 클로티아니딘(clothianidin), 클로펜테진(clofentezine), 크로마페노지드(chromafenozide), 클로란트라닐리프롤(chlorantraniliprole), 클로르에톡시포스(chlorethoxyfos), 클로르디메포름(chlordimeform), 클로르단(chlordane),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클로르피리포스메틸(chlorpyrifos-methyl), 클로르페나피르(chlorphenapyr), 클로르펜손(chlorfenson), 클로르펜빈포스(chlorfenvinphos), 클로르플루아주론(chlorfluazuron), 클로로벤질레이트(chlorobenzilate), 클로로벤조에이트(chlorobenzoate),
케르센(디코폴: dicofol), 살리티온(salithion), 시아노포스(cyanophos: CYAP), 디아펜티우론(diafenthiuron), 디아미다포스(diamidafos), 시안트라닐리프롤(cyantraniliprole), 시타사이퍼메트린(theta-cypermethrin), 디에노클르(dienochlor), 사이에노피라펜(cyenopyrafen), 디옥사벤조포스(dioxabenzofos), 디오페놀란(diofenolan), 시그마사이퍼메트린(sigma-cypermethrin), 디클로펜티온(dichlofenthion: ECP), 시클로프로트린(cycloprothrin), 디클로르보스(dichlorvos: DDVP), 디술포톤(disulfoton), 디노테퓨란(dinotefuran), 사이할로트린(cyhalothrin), 시페노트린(cyphenothrin), 사이플루트린(cyfluthrin), 디플루벤주론(diflubenzuron), 사이플루메토펜(cyflumetofen), 디플로비다진(diflovidazin), 사이헥사틴(cyhexatin), 사이퍼메트린(cypermethrin), 디메틸빈포스(dimethylvinphos), 디메토에이트(dimethoate), 디메플루트린(dimefluthrin), 실라플루오펜(silafluofen), 사이로마진(cyromazine), 스피네토람(spinetoram), 스피노사드(spinosad), 스피로디클로펜(spirodiclofen), 스피로테트라맷(spirotetramat), 스피로메시펜(spiromesifen), 술플루라미드(sulfluramid), 술프로포스(sulprofos), 술폭사플로르(sulfoxaflor), 제타사이퍼메트린(zeta-cypermethrin), 디아지논(diazinon),
타우플루발리네이트(tau-fluvalinate), 다조멧(dazomet), 티아클로프리드(thiacloprid), 티아메톡삼(thiamethoxam), 티오디카브(thiodicarb), 티오사이클람(thiocyclam), 티오술탑(thiosultap), 티오술탑나트륨(thiosultap-sodium), 티오나진(thionazin), 티오메톤(thiometon), 디트(deet), 딜드린(dieldrin), 테트라클로르빈포스(tetrachlorvinphos), 테트라디폰(tetradifon), 테트라메틸플루트린(tetramethylfluthrin), 테트라메트린(tetramethrin), 테부피림포스(tebupirimfos), 테부페노지드(tebufenozide), 테부펜피라드(tebufenpyrad), 테플루트린(tefluthrin), 테플루벤주론(teflubenzuron), 데메톤-S-메틸(demeton-S-methyl), 테메포스(temephos), 델타메트린(deltamethrin), 터부포스(terbufos), 트랄로피릴(tralopyril), 트랄로메트린(tralomethrin), 트란스플루트린(transfluthrin), 트리아자메이트(triazamate), 트리아주론(triazuron), 트리클라미드(trichlamide), 트리클로르폰(trichlorphon: DEP), 트리플루무론(triflumuron), 톨펜피라드(tolfenpyrad), 날레드(naled: BRP), 니티아 진(nithiazine), 니텐피람(nitenpyram), 노발루론(novaluron), 노비플루무론(noviflumuron), 하이드로프렌(hydroprene), 바닐리프롤(vaniliprole), 바미도티(vamidothion), 파라티온(parathion), 파라티온-메틸(parathion-methyl), 할펜프록스(halfenprox), 할로페노지드(halofenozide),
비스트리플루론(bistrifluron), 비술탑(bisultap), 하이드라메틸논(hydramethylnon), 하이드록시프로필 전분(hydroxy propyl starch), 비나파크릴(binapacryl), 비페나제이트(bifenazate), 비펜트린(bifenthrin), 피플루부미드(pyflubumide), 피메트로진(pymetrozine), 피라클로르포스(pyraclorfos), 피라플루프롤(pyrafluprole), 피리다펜티온(pyridafenthion), 피리다벤(pyridaben), 피리 달릴(pyridalyl), 피리플루퀴나존(pyrifluquinazon), 피리프롤(pyriprole), 피리프록시펜(pyriproxyfen), 피리미카브(pirimicarb), 피리미디펜(Pyrimidifen), 피리미포스메틸(pirimiphos-methyl), 피레트린(pyrethrins), 피프로닐(fipronil), 페나자퀸(fenazaquin), 페나미포스(fenamiphos), 페니소브로몰레이트(phenisobromolate), 페니트로티온(fenitrothion: MEP), 페녹시카브(fenoxycarb), 페노티오카브(fenothiocarb), 페노트린(phenothrin), 페노부카브(fenobucarb), 펜술포티온(fensulfothion), 펜티온(fenthion: MPP), 펜토에이트(phenthoate: PAP), 펜발레레이트(fenvalerate), 펜피록시메이트(fenpyroximate), 펜프로파트린(fenpropathrin), 펜벤다졸(fenbendazole), 부타티오포스(butathiofos), 부프로페진(buprofezin), 퓨라티오카브(furathiocarb), 프랄레트린(prallethrin), 플루아크리피림(fluacrypyrim), 플루아지남(fluazinam), 플루아주론(fluazuron),
플루엔술폰(fluensulfone), 플루시클록스론(flucycloxuron), 플루시트리네이트(flucythrinate), 플루발리네이트(fluvalinate), 플루피라디퓨론(flupyradifurone), 플루피라조포스(flupyrazofos), 플루피프롤(flufiprole), 플루페네림(flufenerim), 플루페녹스론(flufenoxuron), 플루펜진(flufenzine), 플루페노프록스(flufenoprox), 플루프록시펜(fluproxyfen), 플루브로시트리네이트(flubrocythrinate), 플루메트린(flumethrin), 플루림펜(flurimfen), 프로티오포스(prothiofos), 프로트리펜부트(protrifenbute), 플로니카미드(flonicamid), 프로파포스(propaphos), 프로파자이트(propargite: BPPS), 프로페노포스(profenofos), 프로플루트린(profluthrin), 프로폭수르(propoxur: PHC), 플로메트퀸(flometoquin), 브로모프로필레이트(bromopropylate), 베타사이플루트린(beta-cyfluthrin), 헥사플루무론(hexaflumuron), 헥시티아족스(hexythiazox), 헵테노포스(heptenophos), 퍼메트린(permethrin), 벤클로티아즈(benclothiaz), 벤디오카브(bendiocarb), 벤술탑(bensultap), 벤즈옥시메이트(benzoximate), 벤퓨라카브(benfuracarb), 폭심(phoxim), 포살론(phosalone), 포스티아제이트(fosthiazate), 포스티에탄(fosthietan), 포스파미돈(phosphamidon), 포스포카브(phosphocarb), 포스멧(phosmet: PMP), 폴리낙틴 복합체(polynactins), 포르메타네이트(formetanate), 포르모티온(formothion), 포레이트(phorate), 머신유(machine oil),
말라티온(malathion), 밀베마이신(milbemycin), 밀베마이신 A(milbemycin-A), 밀베멕틴(milbemectin), 메카르밤(mecarbam), 메술펜포스(mesulfenfos), 메토밀(methomyl), 메타알데히드(metaldehyde), 메타플루미존(metaflumizone), 메타미도포스(methamidophos), 메탐암모늄(metam-a㎜onium), 메탐나트륨(metam-sodium), 메티오카브(methiocarb), 메티다티온(methidathion: DMTP), 메틸이소티오시아네이트(methyisothiocyanate), 메틸네오데카나미드(methylneodecanamide), 메틸파라티온(methylparathion), 메톡사디아존(metoxadiazone), 메톡시클로르(methoxychlor), 메톡시페노지드(methoxyfenozide), 메토플루트린(metofluthrin), 메토프렌(methoprene), 메톨카브(metolcarb), 메파플루트린(meperfluthrin), 메빈포스(mevinphos), 모노크로토포스(monocrotophos), 모노술탑(monosultap), 람다사이할로트린(lambda-cyhalothrin), 리아노딘(ryanodine), 루페누론(lufenuron), 레스메트린(resmethrin), 레피멕틴(lepimectin), 로테논(rotenone), 염산 레바미졸(levamisol), 산화 펜부타틴(fenbutatin oxide), 타르타르산 모란텔(morantel tartarate), 브롬화메틸(Methyl bromide), 수산화 트리시클로헥실주석(cyhexatin), 석회질소(Calcium cyanamide), 석회 유황합제(Calcium polysulfide), 유황(Sulfur) 및 황산 니코틴(nicotine-sulfate) 등을 들 수 있다.
농원예용 제초제로서는, 1-나프틸아세트아미드(1-naphthylacetamide), 2,4-PA, 2,3,6-TBA, 2,4,5-T, 2,4,5-TB, 2,4-D, 2,4-DB, 2,4-DEB, 2,4-DEP, 3,4-DA, 3,4-DB, 3,4-DP, 4-CPA(4-chlorophenoxyacetic acid), 4-CPB, 4-CPP, MCP, MCPA, MCPA티오에틸(MCPA-thioethyl), MCPB, 이옥시닐(ioxynil), 아클로니펜(aclonifen), 아자페니딘(azafenidin), 아시플루오르펜(acifluorfen), 아지프로트린(aziprotryne), 아짐술퍼론(azimsulfuron), 아슐람(asulam), 아세토클로르(acetochlor), 아트라진(atrazine), 아트라톤(atraton), 아니수론(anisuron), 아닐로포스(anilofos), 아비글리신(aviglycine), 아브시스산(abscisic acid), 아미카르바존(amicarbazone), 아미도술퍼론(amidosulfuron), 아미트롤(amitrole), 아미노시클로피라클로르(aminocyclopyrachlor), 아미노피랄리드(aminopyralid), 아미부진(amibuzin), 아미프로포스메틸(amiprophos-methyl), 아메트리디온(ametridione), 아메트린(ametryn), 알라클로르(alachlor), 알리토클로르(allidochlor), 알록시딤(alloxydim), 알로락(alorac), 이오펜술퍼론(iofensulfuron), 이소우론(isouron), 이소카르바미드(isocarbamid), 이속사클로르톨(isoxachlortole), 이속사피리폽(isoxapyrifop), 이속사플루톨(isoxaflutole), 이속사벤(isoxaben), 이소실(isocil), 이소노루론(isonoruron), 이소프로투론(isoproturon), 이소프로팔린(isopropalin),
이소폴리나트(isopolinate), 이소메티오진(isomethiozin), 이나벤피드(inabenfide), 이파진(ipazine), 이프펜카르바존(ipfencarbazone), 이프리미담(iprymidam), 이마자퀸(imazaquin), 이마자픽(imazapic), 이마자피르(imazapyr), 이마자메타피르(imazamethapyr), 이마자메타벤즈(imazamethabenz), 이마자메타벤즈메틸(imazamethabenz-methyl), 이마자목스(imazamox), 이마제타피르(imazethapyr), 이마조술퍼론(imazosulfuron), 인다지플람(indaziflam), 인다노판(indanofan), 인돌부티르산(indolebutyric acid), 우니코나졸-P(uniconazole-P), 에글리나진(eglinazine), 에스프로카브(esprocarb), 에타메트술퍼론(ethametsulfuron), 에타메트술퍼론메틸(ethametsulfuron-methyl), 에탈플루랄린(ethalfluralin), 에티올레이트(ethiolate), 에티클로제이트 에틸(ethychlozate ethyl), 에티디무론(ethidimuron), 에티노펜(etinofen), 에테폰(ethephon), 에톡시술퍼론(ethoxysulfuron), 에톡시펜(ethoxyfen), 에트니프로미드(etnipromid), 에트퓨메세이트(ethofumesate), 에토벤자니드(etobenzanid), 에프로나즈(epronaz), 에르본(erbon), 엔토탈(endothal), 옥사디아존(oxadiazon), 옥사디아르길(oxadiargyl), 옥사지클로메폰(oxaziclomefone), 옥사술퍼론(oxasulfuron), 옥사피라존(oxapyrazon), 옥시플루오르펜(oxyfluorfen), 오리잘린(oryzalin),
오르토술파무론(orthosulfamuron), 오르벤카브(orbencarb), 카펜스트롤(cafenstrole), 캄벤디클로르(cambendichlor), 카르바술람(carbasulam), 카르펜트라존(carfentrazone), 카르펜트라존에틸(carfentrazone-ethyl), 카부틸레이트(karbutilate), 카르베타미드(carbetamide), 카르복사졸(carboxazole), 퀴잘로폽(quizalofop), 퀴잘로폽-P(quizalofop-P), 퀴잘로폽에틸(quizalofop-ethyl), 크실라클로르(xylachlor), 퀴녹라민(quinoclamine), 퀴노나미드(quinonamid), 퀸클로락(quinclorac), 퀸메락(qui㎚erac), 큐밀루론(cumyluron), 클라시포스(clacyfos), 클리오디네이트(cliodinate), 글리포세이트(glyphosate), 글루포시네이트(glufosinate), 글루포시네이트-P(glufosinate-P), 크레다진(credazine), 클레토딤(clethodim), 클록시포낙(cloxyfonac), 클로디나폽(clodinafop), 클로디나폽프로파르길(clodinafop-propargyl), 클로피랄리드(clopyralid), 클로프록시딤(cloproxydim), 클로프롭(cloprop), 클로폽(clofop), 클로마존(clomazone), 클로메톡시닐(chlomethoxynil), 클로메톡시펜(chlomethoxyfen), 클로메프롭(clomeprop), 클로라지폽(chlorazifop), 클로라진(chlorazine), 클로라노크릴(chloranocryl), 클로람벤(chloramben), 클로란술람(cloransulam),
클로란술람메틸(cloransulam-methyl), 클로리다존(chloridazon), 클로리무론(chlorimuron), 클로리무론에틸(chlorimuron-ethyl), 클로르술퍼론(chlorsulfuron), 클로르탈(chlorthal), 클로르티아미드(chlorthiamid), 클로르톨루론(chlortoluron), 클로르니트로펜(chlornitrofen), 클로르페낙(chlorfenac), 클로르펜프롭(chlorfenprop), 클로르부팜(chlorbufam), 클로르플루라졸(chlorflurazole), 클로르플루레놀(chlorflurenol), 클로르프로카브(chlorprocarb), 클로르프로팜(chlorpropham), 클로르브로무론(chlorbromuron), 클로르메콰트(chlormequat), 클로레투론(chloreturon), 클로록시닐(chloroxynil), 클로록수론(chloroxuron), 클로로톨루론(chlorotoluron), 클로로폰(chloropon), 사플루페나실(saflufenacil), 시아나진(cyanazine), 시아나트린(cyanatryn), 디알레이트(di-allate), 디우론(diuron), 디에탐콰트(diethamquat), 디캄바(dicamba), 시클루론(cycluron), 시클로에이트(cycloate), 시클록시딤(cycloxydim), 디클로술람(diclosulam), 시클로술파무론(cyclosulfamuron), 디클로르프롭(dichlorprop), 디클로르프롭-P(dichlorprop-P), 디클로베닐(dichlobenil), 디클로폽(diclofop), 디클로폽메틸(diclofop-methyl), 디클로르메이트(dichlormate), 디클로랄우레아(dichloralurea), 디콰트(diquat), 시사닐리드(cisanilide), 디술(disul), 시두론(siduron), 디티오피르(dithiopyr), 디니트라민(dinitramine), 시니돈에틸(cinidon-ethyl),
디노삼(dinosam), 시노술퍼론(cinosulfuron), 디노세브(dinoseb), 디노터브(dinoterb), 디노페나트(dinofenate), 디노프롭(dinoprop), 시할로폽부틸(cyhalofop-butyl), 디페나미드(diphenamid), 디페녹술론(difenoxuron), 디페노펜텐(difenopenten), 디펜조콰트(difenzoquat), 시부트린(cybutryne), 시프라진(cyprazine), 시프라졸(cyprazole), 디플루페니칸(diflufenican), 디플루펜조피르(diflufenzopyr), 디프로페트린(dipropetryn), 시프로미드(cypromid), 사이퍼콰트(cyperquat), 지베렐린(gibberellin), 시마진(simazine), 디미다존(dimidazon), 디멕사노(dimexano), 디메타클로르(dimethachlor), 디메타메트린(dimethametryn), 디메테나미드(dimethenamid), 시메트린(simetryn), 시메톤(simeton), 디메피페레이트(dimepiperate), 디메퓨론(dimefuron), 신메틸린(ci㎚ethylin), 스웹(swep), 술글리카핀(sulglycapin), 술코트리온(sulcotrione), 술팔레이트(sulfallate), 술펜트라존(sulfentrazone), 술포술퍼론(sulfosulfuron), 술포메투론(sulfometuron), 술포메투론메틸(sulfometuron-methyl), 섹부메톤(secbumeton), 세톡시딤(sethoxydim), 세부틸라진(sebuthylazine), 테르바실(terbacil), 다이무론(daimuron), 다조메트(dazomet), 달라폰(dalapon), 티아자플루론(thiazafluron),
티아조피르(thiazopyr), 티엔카르바존(thiencarbazone), 티엔카르바존메틸(thiencarbazone-methyl), 티오카르바질(tiocarbazil), 티오클로림(tioclorim), 티오벤카브(thiobencarb), 티디아지민(thidiazimin), 티디아주론(thidiazuron), 티펜술퍼론(thifensulfuron), 티펜술퍼론메틸(thifensulfuron-methyl), 데스메디팜(desmedipham), 데스메트린(desmetryn), 테트라플루론(tetrafluron), 테닐클로르(thenylchlor), 테부탐(tebutam), 테부티우론(tebuthiuron), 테부메톤(terbumeton), 테프랄록시딤(tepraloxydim), 테퓨릴트리온(tefuryltrione), 템보트리온(tembotrione), 델라클로르(delachlor), 테르바실(terbacil), 테르부카브(terbucarb), 테르부클로르(terbuchlor), 테르부틸라진(terbuthylazine), 테르부트린(terbutryn), 토프라메존(topramezone), 트랄콕시딤(tralkoxydim), 트리아지플람(triaziflam), 트리아술퍼론(triasulfuron), 트리아파몬(triafamone), 트리알레이트(tri-allate), 트리에타진(trietazine), 트리캄바(tricamba), 트리클로피르(triclopyr), 트리디판(tridiphane), 트리탁(tritac), 트리토술퍼론(tritosulfuron), 트리플루술퍼론(triflusulfuron), 트리플루술퓨메틸(triflusulfuron-methyl), 트리플루랄린(trifluralin), 트리플록시술퍼론(trifloxysulfuron), 트리프로핀단(tripropindan),
트리베누론(tribenuron), 트리베누론메틸(tribenuron-methyl), 트리폽(trifop), 트리폽시메(trifopsime), 트리메투론(trimeturon), 나프탈람(naptalam), 나프로아닐리드(naproanilide), 나프로파미드(napropamide), 니코술퍼론(nicosulfuron), 니트랄린(nitralin), 니트로펜(nitrofen), 니트로플루오르펜(nitrofluorfen), 니피라클로펜(nipyraclofen), 네부론(neburon), 노르플루라존(norflurazon), 노루론(noruron), 바반(barban), 파클로부트라졸(paclobutrazol), 파라콰트(paraquat), 파라플루론(parafluron), 할록시딘(haloxydine), 할록시폽(haloxyfop), 할록시폽-P(haloxyfop-P), 할록시폽메틸(haloxyfop-methyl), 할로사펜(halosafen), 할록술퍼론(halosulfuron), 할록술퍼론메틸(halosulfuron-methyl), 빌라나포스(bilanafos), 피클로람(picloram), 피콜리나펜(picolinafen), 비시클로피론(bicyclopyrone), 비스피리박(bispyribac), 비스피리박나트륨(bispyribac-sodium), 피다논(pydanon), 피녹사덴(pinoxaden), 비페녹스(bifenox), 피페로포스(piperophos), 히멕사졸(hymexazol), 피라클로닐(pyraclonil), 피라술포톨(pyrasulfotole), 피라족시펜(pyrazoxyfen), 피라조술퍼론(pyrazosulfuron), 피라조술퍼론에틸(pyrazosulfuron-ethyl), 피라졸레이트(pyrazolate), 빌라나포스(bilanafos), 피라플루펜에틸(pyraflufen-ethyl), 피리 클로르(pyriclor), 피리다폴(pyridafol),
피리티오박(pyrithiobac), 피리티오박나트륨(pyrithiobac-sodium), 피리데이트(pyridate), 피리프탈리드(pyriftalid), 피리부티카브(pyributicarb), 피리벤족심(pyribenzoxim), 피리미술판(pyrimisulfan), 피리미술퍼론(primisulfuron), 피리미노박메틸(pyriminobac-methyl), 피록사술폰(pyroxasulfone), 피록스술람(pyroxsulam), 페나술람(fenasulam), 페니소팜(phenisopham), 페누론(fenuron), 페녹사술폰(fenoxasulfone), 페녹사프롭(fenoxaprop), 페녹사프롭-P(fenoxaprop-P), 페녹사프롭에틸(fenoxaprop-ethyl), 페노티올(phenothiol), 페노프롭(fenoprop), 페노벤주론(phenobenzuron), 펜티아프롭(fenthiaprop), 펜테라콜(fenteracol), 펜트라자미드(fentrazamide), 펜메디팜(phe㎚edipham), 펜메디팜에틸(phe㎚edipham-ethyl), 부타클로르(butachlor), 부타페나실(butafenacil), 부타미포스(butamifos), 부티우론(buthiuron), 부티다졸(buthidazole), 부틸레이트(butylate), 부투론(buturon), 부테나클로르(butenachlor), 부톡시딤(butroxydim), 부트랄린(butralin), 부트록시딤(butroxydim), 플라자술퍼론(flazasulfuron), 플람프롭(flamprop), 퓨릴옥시펜(furyloxyfen), 프리나클로르(prynachlor), 프리미술퍼론메틸(primisulfuron-methyl), 플루아지폽(fluazifop), 플루아지폽-P(fluazifop-P), 플루아지폽부틸(fluazifop-butyl),
플루아졸레이트(fluazolate), 플루록시피르(fluroxypyr), 플루오티우론(fluothiuron), 플루오메투론(fluometuron), 플루오로글리코 펜(fluoroglycofen), 플로오로클로리돈(flurochloridone), 플로오로디펜(fluorodifen), 플루오로니트로펜(fluoronitrofen), 플로오로미딘(fluoromidine), 플루카르바존(flucarbazone), 플루카르바존나트륨(flucarbazone-sodium), 플루클로랄린(fluchloralin), 플루세토술퍼론(flucetosulfuron), 플루티아세트(fluthiacet), 플루티아세트메틸(fluthiacet-methyl), 플루피르술퍼론(flupyrsulfuron), 플루페나세트(flufenacet), 플루페니칸(flufenican), 플루펜피르(flufenpyr), 플루프로파실(flupropacil), 플루프로파나트(flupropanate), 플루폭삼(flupoxam), 플루미옥사진(flumioxazin), 플루미클로락(flumiclorac), 플루미클로락펜틸(flumiclorac-pentyl), 플루미프로핀(flumipropyn), 플루메진(flumezin), 플루메트술람(flumetsulam), 플루리돈(fluridone), 플루르타몬(flurtamone), 플루록시피르(fluroxypyr), 프레틸라클로르(pretilachlor), 프록산(proxan), 프로글리나진(proglinazine), 프로시아진(procyazine), 프로디아민(prodiamine), 프로술팔린(prosulfalin), 프로술퍼론(prosulfuron),
프로술포카브(prosulfocarb), 프로파퀴자폽(propaquizafop), 프로파클로르(propachlor), 프로파진(propazine), 프로파닐(propanil), 프로피자미드(propyzamide), 프로피소클로르(propisochlor), 프로하이드로쟈스몬(prohydrojasmon), 프로피리술퍼론(propyrisulfuron), 프로팜(propham), 프로플루아졸(profluazol), 프로플루랄린(profluralin), 프로헥사디온칼슘(prohexadione-calcium), 프로폭시카르바존(propoxycarbazone), 프로폭시카르바존나트륨(propoxycarbazone-sodium), 프로폭시딤(profoxydim), 브로마실(bromacil), 브롬피라존(brompyrazon), 프로메트린(prometryn), 프로메톤(prometon), 브로목시닐(bromoxynil), 브로모페녹심(bromofenoxim), 브로모부티드(bromobutide), 브로모보닐(bromobonil), 플로라술람(florasulam), 헥사클로로아세톤(hexachloroacetone), 헥사지논(hexazinone), 페톡사미드(pethoxamid), 베나졸린(benazolin), 페녹스술람(penoxsulam), 페불라트(pebulate), 베플루부타미드(beflubutamid), 베놀레이트(vernolate), 퍼플루이돈(perfluidone), 벤카르바존(bencarbazone), 벤자독스(benzadox), 벤지프람(benzipram), 벤질아미노퓨린(benzylaminopurine), 벤즈티아주론(benzthiazuron), 벤즈펜디존(benzfendizone), 벤술리드(bensulide), 벤술퍼론메틸(bensulfuron-methyl), 벤조일프롭(benzoylprop),
벤조비시클론(benzobicyclon), 벤조페납(benzofenap), 벤조플루오르(benzofluor), 벤타존(bentazone), 펜타노클로르(pentanochlor), 벤티오카브(benthiocarb), 펜디메탈린(pendimethalin), 펜톡사존(pentoxazone), 벤플루랄린(benfluralin), 벤퓨레세이트(benfuresate), 포사민(fosamine), 포메사펜(fomesafen), 포람술퍼론(foramsulfuron), 포클로르페뉴론(forchlorfenuron), 말레산 하이드라지드(maleic hydrazide), 메코프롭(mecoprop), 메코프롭-P(mecoprop-P), 메디노터브(medinoterb), 메소술퍼론(mesosulfuron), 메소술퍼론메틸(mesosulfuron-methyl), 메소트리온(mesotrione), 메소프라진(mesoprazine), 메토프로트린(methoprotryne), 메타자클로르(metazachlor), 메타졸(methazole), 메타조술퍼론(metazosulfuron), 메타벤즈티아주론(methabenzthiazuron), 메타미트론(metamitron), 메타미폽(metamifop), 메탐(metam), 메탈프로팔린(methalpropalin), 메티우론(methiuron), 메티오졸린(methiozolin), 메티오벤카브(methiobencarb), 메틸다임론(methyldymron), 메톡수론(metoxuron), 메토술람(metosulam), 메트술퍼론(metsulfuron), 메트술퍼론메틸(metsulfuron-methyl), 메트플루라존(metflurazon), 메토브로무론(metobromuron), 메토벤주주(metobenzuron), 메토메톤(methometon), 메톨라클로르(metolachlor), 메트리부진(metribuzin), 메피콰트클로라이드(mepiquat-chloride), 메페나세트(mefenacet), 메플루이디드(mefluidide), 모날리드(monalide), 모니소우론(monisouron), 모누론(monuron), 모노클로로아세트산(monochloroacetic acid), 모놀리누론(monolinuron), 몰리네이트(molinate), 모르팜콰트(morfamquat), 요오드술퍼론(iodosulfuron), 요오드술퍼론메틸나트륨(iodosulfuron-methyl-sodium), 요오드보닐(iodobonil), 요오드메탄(iodomethane), 락토펜(lactofen), 리누론(linuron), 림술퍼론(rimsulfuron), 레나실(lenacil), 로데타닐(rhodethanil), 과산화 칼슘(calcium peroxide) 및 브롬화메틸(methyl bromid) 등을 들 수 있다.
공력제로서는, 피페로닐부톡시드(piperonyl butoxide), 세사멕스(sesamex), 술폭시드(sulfoxide), N-(2-에틸헥실)-8,9,10-트리노르보룬-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MGK 264), N-데클리이미다졸(N-declyimidazole), WARF-안티레지스탄트(WARF-antiresistant), TBPT, TPP, IBP, PSCP, 요오드화메틸, tert-페닐부테논(t-phenylbutenone), 디에틸말레에이트(diethylmaleate), DMC, FDMC, ETP 및 ETN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약해 경감제로서는, 베녹사코르(benoxacor), 클로퀸토세트멕실(cloquintocet-mexyl), 시오메트리닐(cyometrinil), 다이무론(daimuron), 디클로르미드(dichlormid), 시프로술파미드(cyprosulfamide), 펜클로라졸에틸(fenchlorazole-ethyl), 펜클로림(fenclorim), 플루라졸(flurazole), 플룩소페님(fluxofenim), 퓨릴라졸(furilazole), 메펜피르디에틸(mefenpyr-diethyl), MG191, 옥사베트리닐(oxabetrinil), 알리도클로르(allidochlor), 이속사디펜에틸(isoxadifen-ethyl), 시프로술파미드(cyprosulfamide), 플룩소페님(fluxofenim) 및 1,8-나프탈산 무수물(1,8-naphthalic anhydride)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 및 시험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실시예 중에서, 「부」는 「질량부」를 나타낸다.
제제예 1. 유제
플루벤디아미드 5부
디클로르보스 10부
크실렌 65부
N-메틸피롤리돈 10부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와 알킬 벤젠 술폰산 칼슘과의 혼합물 10부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 용해하여 유제로 만든다.
제제예 2. 분제
플루벤디아미드 3부
프로페노포스 10부
클레이 분말 72부
규조토 분말 15부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 분쇄하여 분제로 만든다.
제제예 3. 입제
플루벤디아미드 1부
디클로르보스 2부
프로페노포스 2부
벤토나이트와 클레이의 혼합 분말 90부
리그닌술폰산 칼슘 5부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적정량의 물을 더하여 혼련하고, 조립(造粒)하고, 건조하여 입제로 만든다.
제제예 4. 수화제
플루벤디아미드 2부
디클로르보스 18부
카올린과 합성 고분산 규산 75부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와 알킬벤젠술폰산 칼슘과의 혼합물 5부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분쇄하여 수화제로 만든다.
제제예 5. 액상 수화제
플루벤디아미드 5부
프로페노포스 25부
솔폴 3105(토호화학공업 제조) 5부
프로필렌글리콜 5부
로드폴 23(롱·프랭사 제조) ` 2부
물 58부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물에 분산시켜 액상 수화제로 만든다.
시험예 1.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에 대한 방제 효과
양배추(품종: YR청덕(晴德))을 유리 온실 내에 정식(定植)하고, 12∼15 엽기에 3령의 배추좀나방을 접종했다. 3포기당의 약제 처리 전 기생충수를 조사하고, 소정 농도로 희석 조제한 800 L/ha 상당의 약액을 양배추에 살포하였다. 살포 2일 후 및 6일 후에 기생충수를 조사하고, 식 1에 의해 방제 효과를 산출하였다. 또한, 하기 콜비(Colby)의 계산식에 의하여, 혼용에 의한 기대값을 구하였다. 혼용의 방제 효과가 기대값에 비해 큰 경우에는, 단순한 상가(相加) 효과가 아닌 혼용에 의한 상승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식 1]
방제 효과(%) = 100-{(Ta×Cb)/(Tb×Ca)}×100
Ta = 처리군의 약제 처리 후의 기생충수
Tb = 처리군의 약제 처리 전의 기생충수
Ca = 무처리군의 약제 처리 후의 기생충수
Cb = 무처리군의 약제 처리 전의 기생충수
콜비의 계산식 E(기대값) = (X+Y)-(X×Y/100)
X = 플루벤디아미드 단독의 방제 효과
Y = 디클로르보스 또는 프로페노포스 단독의 방제 효과
[표 1] 배추좀나방에 대한 방제 효과
Figure pct00001
표 중, a.i.는 active ingredient(유효 성분)를 나타낸다.
시험예 2. 이화명나방(Chilo suppressalis)에 대한 방제 효과
벼(품종: 금남풍(金南風))를 2L 포트에 심고, 풀길이 약 80 cm(이식 약 82일 후, 엽초(leaf sheath) 18∼25 개)로 성장시켰다. 논물의 수심을 4cm로 조정한 후, 소정 농도로 희석 조제한 400 L/ha 상당 약액을 벼에 살포하였다. 풍건(風乾)한 후, 염화 비닐제의 원통(높이 30cm)으로 둘러쌌다. 공시충(test insect)인 이화명나방은 처리 1일 전, 처리 5일 후 및 12일 후에 각각의 포트당 20 마리씩 합계 60 마리를 방사했다. 처리 29일 후에 벼의 피해 줄기수(莖數)를 조사하여 피해 경율(莖率)을 구하고, 피해 경율로부터 식 2에 의해 방제 효과를 산출하였다. 또한, 기대값은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콜비의 계산식으로부터 구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식 2]
방제 효과(%) = 100-(처리군의 피해 경율/무처리군의 피해경율)×100
[표 2] 이화명나방에 대한 방제 효과
Figure pct00002
표 중, a.i.는 active ingredient(유효 성분)를 나타낸다.
어느 시험에서도, (i) 플루벤디아미드 및 디클로르보스 또는 (ii) 플루벤디아미드 및 프로페노포스 혼용군은 각각 단제(單劑)군의 효과로부터 기대되는 혼용시의 효과(기대값)를 상회하는 방제 효과가 혼용군에서 인정되었다.

Claims (6)

  1. 플루벤디아미드와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플루벤디아미드 1 질량부에 대하여,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 0.1∼10 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
  3. 플루벤디아미드와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의 유효량을, 직접 해충에, 또는 해충이 생식(生息)하는 작물에, 또는 작물이 생육하는 주변 토양 또는 재배 담체(擔體)에 처리하는,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의 사용 방법.
  4. 플루벤디아미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제제(製劑)와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제제의 유효량을, 각각 별개로, 그대로 또는 희석하여, 직접 해충에, 또는 해충이 생식하는 작물에, 또는 작물이 생육하는 주변 토양 또는 재배 담체에, 동일한 시기에 처리하는, 농원예 해충의 방제 방법.
  5. 플루벤디아미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제제와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제제의 유효량을, 각각 별개로, 그대로 또는 희석하여, 직접 해충에, 또는 해충이 생식하는 작물에, 또는 작물이 생육하는 주변 토양 또는 재배 담체에, 처리 시기의 간격을 두고 처리하는, 농원예 해충의 방제 방법.
  6. 플루벤디아미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제제와 디클로르보스 및/또는 프로페노포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제제의 유효량을 혼용하고, 그대로 또는 희석하여, 직접 해충에, 또는 해충이 생식하는 작물에, 또는 작물이 생육하는 주변 토양 또는 재배 담체에 처리하는, 농원예 해충의 방제 방법.
KR1020137034139A 2011-06-29 2012-06-28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KR201400378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44379 2011-06-29
JPJP-P-2011-144379 2011-06-29
PCT/JP2012/066474 WO2013002300A1 (ja) 2011-06-29 2012-06-28 農園芸用殺虫剤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882A true KR20140037882A (ko) 2014-03-27

Family

ID=4742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139A KR20140037882A (ko) 2011-06-29 2012-06-28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256687A1 (ko)
KR (1) KR20140037882A (ko)
CN (1) CN103635087A (ko)
WO (1) WO20130023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979B1 (ko) 2016-02-22 2016-09-05 인바이오 주식회사 식물 생장촉진제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3212B2 (en) * 2011-06-06 2016-09-06 Nihon Nohyaku Co., Ltd. Plant growth regulato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02845459B (zh) * 2012-10-08 2014-10-29 陕西省蒲城美尔果农化有限责任公司 一种含氟虫双酰胺与敌敌畏的杀虫组合物
CN104106594A (zh) * 2013-04-20 2014-10-22 陕西美邦农药有限公司 一种含氟苯虫酰胺的高效杀虫组合物
CN104106592A (zh) * 2013-04-22 2014-10-22 陕西美邦农药有限公司 一种含氟苯虫酰胺与拟除虫菊酯类的杀虫组合物
UA121106C2 (uk) * 2013-10-18 2020-04-10 Басф Агрокемікал Продактс Б.В. Застосування пестицидної активної похідної карбоксаміду у способах застосування і обробки насіння та ґрунту
WO2016087971A1 (en) * 2014-12-03 2016-06-09 Bitrad Trust Stabilized liquid acephate pesticide formulation
CN109853326B (zh) * 2019-03-18 2021-03-05 乐途景辰(浙江)体育有限公司 一种具有天然草坪表面的足球场层结构
CN114208613A (zh) * 2021-12-23 2022-03-22 杨宁 一种玉米苗期一喷双防绿色节本增效栽培技术
CN114557369B (zh) * 2022-03-28 2023-05-05 赤峰市农牧科学研究所 一种防治根结线虫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药物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7334A1 (fr) * 2001-04-17 2002-11-07 Nihon Nohyaku Co., Ltd. Composition d'agents pesticides et procede d'utilisation
JP4348669B2 (ja) * 2001-04-17 2009-10-21 日本農薬株式会社 有害生物防除剤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EP2070414A1 (en) * 2007-12-11 2009-06-17 Bayer CropScience AG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CN102047907A (zh) * 2009-10-29 2011-05-11 青岛海利尔药业有限公司 一种含有氟虫双酰胺和有机磷复配的杀虫组合物
CN101755828A (zh) * 2009-11-17 2010-06-30 陕西汤普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氟虫双酰胺与毒死蜱的杀虫组合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979B1 (ko) 2016-02-22 2016-09-05 인바이오 주식회사 식물 생장촉진제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56687A1 (en) 2014-09-11
WO2013002300A1 (ja) 2013-01-03
CN103635087A (zh)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901B1 (ko) 벤즈옥사졸 화합물 또는 그의 염류 및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충제 및 그 사용 방법
KR102070746B1 (ko) 3h-피롤로피리딘 화합물 또는 그의 n-옥사이드, 또는 그들의 염류 및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충제 및 그의 사용 방법
JP2018052816A (ja) シクロアルキル基を有する縮合複素環化合物又はその塩類及び該化合物を含有する農園芸用殺虫剤並びにその使用方法
WO2011102354A1 (ja) 農園芸用有害生物防除剤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40037882A (ko)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JP6683830B2 (ja) オキシム基を有するキノリン化合物、n‐オキサイド又はその塩類及び該化合物を含有する農園芸用殺虫剤並びにその使用方法
KR20140031950A (ko) 농원예용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JP2015003906A (ja) 縮合複素環化合物又はその塩類及び該化合物を含有する農園芸用殺虫剤並びにその使用方法
JP6818131B2 (ja) 縮合複素環化合物又はその塩類、及びそれらの化合物を含有する農園芸用殺虫剤並びにその使用方法
JP6717968B2 (ja) N‐アルキルスルホニルインドリン化合物及び該化合物を含有する農園芸用殺虫剤並びにその使用方法
WO2018105632A1 (ja) カーバメート基を有するキノリン化合物、又はその塩類及び該化合物を含有する農園芸用殺虫剤並びにその使用方法
JP2018039745A (ja) 農園芸用殺虫・殺ダニ剤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50044001A (ko) 농원예용 유해 생물 방제제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WO2018199208A1 (ja) 5員環の含窒素複素環化合物又はその塩類、及びそれらの化合物を含有する農園芸用殺虫剤並びにその使用方法
JP2017100982A (ja) 農園芸用殺虫殺ダニ剤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TWI735306B (zh) 氧氮雜環庚三烯酮衍生物及含有該衍生物之農園藝用殺蟲劑以及該農園藝用殺蟲劑之使用方法
JP2017178820A (ja) シクロアルキルピリジル基を有する縮合複素環化合物又はその塩類及び該化合物を含有する農園芸用殺虫剤並びにその使用方法
JP2015044752A (ja) 農園芸用殺虫剤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JP2023023339A (ja) 農園芸用殺虫剤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24072379A (ja) 気門封鎖剤施用法および組成物
WO2016035858A1 (ja) 農園芸用殺虫殺ダニ剤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7149656A (ja) オキサゼピノン誘導体及び該誘導体を含有する農園芸用殺虫剤並びに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