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791A - 콘텐츠 재생장치, 콘텐츠 재생방법, 콘텐츠 재생프로그램 및 콘텐츠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 재생장치, 콘텐츠 재생방법, 콘텐츠 재생프로그램 및 콘텐츠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791A
KR20140037791A KR20137012088A KR20137012088A KR20140037791A KR 20140037791 A KR20140037791 A KR 20140037791A KR 20137012088 A KR20137012088 A KR 20137012088A KR 20137012088 A KR20137012088 A KR 20137012088A KR 20140037791 A KR20140037791 A KR 20140037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viewing
user
distribution system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12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5806B1 (ko
Inventor
토시히코 무네츠구
유카 오자와
타쿠지 히라모토
도루 가와구치
히로시 야하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37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for generating different ver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5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generat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 or scheduling item distribution according to such li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스트리밍 배신(distribute)되는 복수의 시청형태가 선택가능한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 시청형태가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제시함에 따라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는 콘텐츠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콘텐츠 재생장치는 영상콘텐츠에 대해 선택가능한 복수의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제어정보를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복수의 시청형태를 선택지로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시수단과, 선택지로부터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접수수단과, 선택되는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 송신하는 것에 의해 영상콘텐츠의 스트림 배신을 요구하는 요구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콘텐츠 재생장치, 콘텐츠 재생방법, 콘텐츠 재생프로그램 및 콘텐츠 제공시스템{CONTENT PLAYBACK DEVICE, CONTENT PLAYBACK METHOD, CONTENT PLAYBACK PROGRAM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콘텐츠를 스트리밍 수신하여 재생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텐츠 재생시의 시청형태의 전환(switching)에 관한 것이다.
최근, IP텔레비전(Internet Protocol Tele-Vision)에 의한 영상콘텐츠의 스트리밍 배신(distribution)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이 스트리밍 배신에서는 종래의 2D 콘텐츠에 더하여, 내용은 동일하나 시청형태가 다른 3D 콘텐츠가 제공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여기서, IP 텔레비전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은 시청형태가 다른 복수의 콘텐츠를 상호 대응시키지 않고 별개의 독립한 콘텐츠로서 취급하게 되어 있으며, 재생장치에서 어느 콘텐츠에 대해 복수의 시청형태(예를 들어 2D와 3D)가 존재하는가 여부의 정보는 얻고 있지 않다(비 특허문헌 1, 비 특허문헌 2 참조).
비 특허문헌 1 : 일반사단법인 IP텔레비전 포럼, IP텔레비전 규정 VOD 사양 IPTVFJ STD-0002 1.2판, 2012년 4월 16일 발행. 비 특허문헌 2 : 디지털 텔레비전 정보화연구회,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 기능사양 스트리밍 기능사양서 코덱 편, 1.2판, 2010년 12월 21일 발행.
그러나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어떤 시청형태에서 콘텐츠의 재생이 실행되는 경우에 다른 시청형태로의 전환을 원하는 경우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당초 콘텐츠를 3D 안경을 이용하여 3D로 시청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3D 안경을 갖지 않은 다른 사용자와 함께 그 콘텐츠를 2D로 시청하기 위한 2D로의 전환을 원하는 경우나, 어떤 콘텐츠를 2D로 시청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그 박력 있는 영상을 3D로 시청하기를 원하는 경우 등이다.
그러나 상술한 것과 같이, 재생장치에서는 콘텐츠에 대해서 복수의 시청형태가 존재하는가 여부의 정보는 얻고 있지 않으므로, 시청형태가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시청형태 전환의 기회를 줄 수는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스트리밍 배신되는, 복수의 시청형태가 선택 가능한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 시청형태가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시청형태의 전환의 기회를 줌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는 콘텐츠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는,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영상콘텐츠를 스트림 수신하여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로, 영상콘텐츠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제어정보를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복수의 시청형태를 선택지로서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제시수단과, 상기 선택지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선택된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에 송신함으로써 영상콘텐츠의 스트림 배신을 요구하는 요구수단을 구비한다.
앞에서 설명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는 시청형태가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을 미리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전환의 기회를 줄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관한 콘텐츠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포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콘텐츠 관리정보 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 관리정보 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재생제어정보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재생제어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재생제어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도 6의 계속)이다.
도 8은 영상콘텐츠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콘텐츠가 재생되기까지의 전체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콘텐츠일람문서 작성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콘텐츠일람으로부터의 재생 콘텐츠 선택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시청형태 결정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콘텐츠 시청중단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5는 시청형태 선택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관한 available_play_mode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관한 available_play_mode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개요>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관한 콘텐츠 제공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콘텐츠 제공시스템(1)은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콘텐츠 및 콘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재생제어정보 등을 배신하는 콘텐츠 배신시스템(2),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재생장치(3) 및 재생장치(4)가 네트워크(5)를 개재해서 접속하여 이루어진다.
콘텐츠 배신시스템(2)은 배신하는 콘텐츠의 일람과, 재생제어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제공하는 포털 서버(11), 재생제어정보를 배신하는 재생제어정보 서버(12), 콘텐츠를 배신하는 영상콘텐츠 서버(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털 서버, 재생제어정보 서버 및 영상콘텐츠 서버를 설명의 편의상 1개씩만 기재하고 있지 않으나, 실제로는 1개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콘텐츠를 수신할 때에, 재생장치(3)는 먼저, 포털 서버(11)에 대해 콘텐츠 제공시스템(1)에서 배신 대상이 되어 있는 콘텐츠의 일람표를 송신하도록 요구한다. 포털 서버(11)는 재생장치(3)에 대해 콘텐츠일람표를 송신한다.
재생장치(3)는 콘텐츠일람표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사용자는 재생장치(3)에 대해 재생을 원하는 콘텐츠(이하, 「재생대상 콘텐츠」라고 한다)를 선택하는 입력을 한다.
재생장치(3)는 재생대상 콘텐츠에 대응하는 재생제어정보 서버(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생제어정보 서버(12))에 액세스하기 위한 URL을 콘텐츠일람표로부터 판독하고, 그 URL에 액세스하여 재생제어정보의 송신을 요구한다.
여기서, 재생제어정보에는 재생대상 콘텐츠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시청형태가 기재되어 있다. 콘텐츠의 「시청형태」란 콘텐츠의 「시각적인 표현형태」를 말한다. 또, 「시청」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는 단순한 「시(視)」보다도 한정적인 용어이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시(視)」만인 경우도 포함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용법보다도 광범위한 의미로 이용하고 있다.
재생장치(3)는 재생제어정보를 참조해서, 재생제어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시청형태를 선택지로서 모두 디스플레이에 제시하여, 시청형태의 선택을 사용자에게 촉구한다. 이에 의해 재생장치(3)의 사용자는 재생대상 콘텐츠에 대해 상정하고 있던 시청형태에 더하여, 이와는 다른 타 시청형태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있어서 편리성이 향상한다. 이하,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대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2. 구성>
<2-1. 포털 서버(11)>
포털 서버(11)는 콘텐츠의 배신을 받을 때의 입구가 되는 포털서비스를 제공하는 WEB서버이며,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문서, BML(Broadcast Markup Language) 문서 등을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2는 포털 서버(1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포털 서버(11)는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통신처리부(31), 데이터 처리부(32) 및 기억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포털 서버(11)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데이터 처리부(32)의 기능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통신처리부(31)는 통신용의 LSI로 구성되어 있으며, 네트워크(5)를 개재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억부(33)는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콘텐츠 배신시스템(2)에서 배신하는 콘텐츠에 관한 관리정보인 콘텐츠 관리정보 및 사용자 관리정보를 기억한다.
데이터 처리부(32)는 콘텐츠일람문서 송신기능, 사용자 관리정보 기록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콘텐츠일람문서 송신기능은 콘텐츠일람 송신요구를 접수하고, 그 응답으로 콘텐츠일람문서를 배신하는 기능이다. 콘텐츠일람 송신요구는 콘텐츠 관리정보 및 사용자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또, 사용자 관리정보 기록기능이란 재생장치(3) 또는 재생장치(4)의 사용자 등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관리정보를 기록, 갱신하는 기능이다.
<데이터 구조>
이하, 콘텐츠 관리정보, 콘텐츠일람문서 및 사용자 관리정보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콘텐츠 관리정보>
콘텐츠 관리정보는 콘텐츠 배신시스템(2)이 배신하는 콘텐츠에 대한 관리정보이며, 미리 기억부(33)에 기억되어 있다.
도 3은 콘텐츠 관리정보의 일람인 콘텐츠 관리정보 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콘텐츠 관리정보(콘텐츠 관리정보 표의 행)의 각각이 1개의 콘텐츠에 대응한다.
콘텐츠 관리정보는 콘텐츠 명, 콘텐츠 ID, 시청형태, 재생제어정보 URL, 복귀처 URL로 이루어진다.
콘텐츠 명은 콘텐츠의 명칭이다.
콘텐츠 ID는 콘텐츠를 식별하는 식별정보이다.
시청형태는 콘텐츠의 수신 측(재생장치(3 또는 4))에 있어서 어떤 시청형태로 시청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배신하는가의 디폴트값을 나타낸다. 수신 측에서 2D로 시청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배신하는 경우에는 「2D」라고 기재되며, 3D로 시청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배신하는 경우에는 「stereoscopic_MVC」라고 기재된다.
재생제어정보 URL은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재생제어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리소스(resource)를 지시하는 URL이다.
복귀처 URL은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한 후에 재생장치(3 및 4)가 표시하는 HTML 문서의 URL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사용자 관리정보>
사용자 관리정보는 콘텐츠 배신시스템(2)이 콘텐츠를 배신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이다. 사용자 관리정보는 콘텐츠 배신업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콘텐츠의 배신계약이 체결된 때 등, 콘텐츠의 배신에 앞서 생성된다. 또, 사용자 관리정보는 데이터 처리부(32)가 재생장치(3 및 4)로부터 콘텐츠 재생종료 통지를 수신한 때에 콘텐츠 재생종료 통지에 포함되는 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갱신된다.
도 4는 사용자 관리정보의 일람인 사용자 관리정보 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 관리정보는 사용자 ID, 콘텐츠 ID, 디바이스 ID, 최종 시청형태 및 시청 초 수(number of seconds on viewing)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ID는 콘텐츠의 배신을 희망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사용자 ID는 콘텐츠 배신업자에 의해 콘텐츠의 배신계약 체결시 등에 각 사용자에 대해 고유하게 할당된다. 사용자 ID는 일례로 계약자 번호이다. 또, 1명의 사용자가 복수의 디바이스를 가지고 있는 경우 등, 동일한 사용자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 관리정보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콘텐츠 ID는 콘텐츠를 식별하는 식별정보이다.
디바이스 ID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재생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정보이다. 디바이스 ID는 콘텐츠의 배신계약이 체결된 때 등에 사용자의 신청에 따라서 콘텐츠 배신업자가 각 디바이스에 고유하게 할당하는 것으로 한다.
최종 시청형태는 콘텐츠가 어느 시청형태로 시청되고 있었는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최종 시청형태는 「2D」, 「stereoscopic_MVC」중 하나이다. 단, 콘텐츠가 전혀 시청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아무것도 기재되지 않는다.
시청 초 수는 콘텐츠가 시청 중단 전에 선두로부터 몇 초만큼 시청이 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 콘텐츠가 전혀 시청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시청 초 수는 0이다.
<콘텐츠일람문서>
콘텐츠일람문서는 HTML 문서이며, 콘텐츠 배신시스템(2)에서 배신되는 콘텐츠 1개에 대해 하기 포맷의 a 태그(이하, 「콘텐츠 태그」라고 한다)가 1개 기재된 것이다.
<a href= MetaFileURL? Return=ReturnURL[&PlayPos=PlayPosition]&PlayMode=2D3D[&LID=LicenseID]>NAME</a>
여기서, a 태그의 앵커 텍스트 중의 NAME에는 콘텐츠 명이 기재된다. 구체적으로는 NAME에는 콘텐츠 관리정보 중의 콘텐츠 명이 기재된다.
여기서, MetaFileURL은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재생제어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리소스를 지시하는 URL이다. MetaFileURL에는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관리정보 중의 재생제어정보 URL이 기재된다.
Return은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한 후에 표시하는 HTML 문서의 URL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ReturnURL에 그 파라미터 값이 기재된다. ReturnURL에는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관리정보 중의 복귀처 URL이 기재된다.
PlayPos는 콘텐츠에서의 재생을 개시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PlayPosition에 그 파라미터 값으로 콘텐츠의 선두로부터의 초 수가 기재된다. 예를 들어 콘텐츠의 시청이 중단된 경우, PlayPosition에는 사용자 관리정보 중의 시청 초 수가 기재된다. [ ]로 둘러싼 파라미터는 생략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술한 콘텐츠 태그에 있어서는 콘텐츠를 선두부터 재생하는 경우에 PlayPos는 생략된다.
PlayMode는 콘텐츠의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며, 2D3D에 그 파라미터 값으로 원칙적으로 콘텐츠 관리정보 중의 시청형태가 기재된다. 단, 사용자 관리정보 중에 콘텐츠 관리정보에서의 콘텐츠 ID와 같은 콘텐츠 ID가 기록되고, 또한, 그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최종 시청형태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콘텐츠 관리정보 중의 시청형태에 대신하여 사용자 관리정보 중의 최종 시청형태를 PlayMode에 기재한다.
LID는 영상콘텐츠를 재생할 때에 사용하는 라이선스의 ID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LicenseID에 그 ID가 기재된다. LID는 과금(charging) 등에 이용되는 ID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과금에 관해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2-2. 재생제어정보 서버(12)>
재생제어정보 서버(12)는 요구된 재생 제어 메타 파일을 송신하는 서버이다.
도 5는 재생제어정보 서버(1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재생제어정보 서버(12)는 도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통신처리부(51), 데이터 처리부(52) 및 기억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재생제어정보 서버(12)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데이터 처리부(52)의 기능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통신처리부(51)는 통신용의 LSI로 구성되어 있으며, 네트워크(5)를 개재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억부(53)는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콘텐츠 배신시스템(2)에서의 배신 대상인 콘텐츠 각각에 대한 재생제어정보를 기억한다. 각 재생제어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액세스할 URL은 앞에서 설명한 포털 서버(11)가 송신하는 콘텐츠일람문서 중에 MetaFileURL로서 기재되어 있다.
데이터 처리부(52)는 앞에서 설명한 콘텐츠일람문서에 기재된 MetaFileURL을 이용하여 송신 요구된 재생제어정보를 송신요구를 한 장치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재생제어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52)는 재생제어정보, LLI(License Link Information), NCI(Network content Control Information)를 포함하여 재생 제어 메타 파일의 형태로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구조>
도 6 및 도 7은 재생제어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계속이다.
재생제어정보는 「디지털 텔레비전 정보화 연구회,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 기능사양 스트리밍 기능사양서 코덱 편, 1.2판, 2010년 12월 21일 발행」(비 특허문헌 2)에서 나타내는 재생제어 메타파일 중 ERI(Entry Resource Information)를 확장한 것이다. 따라서 특단의 설명을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ERI의 각 항목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생제어정보로서 ERI에 대해 available_play_mode 요소, default_play_mode 요소를 추가하는 확장을 하고 있다.
available_play_mode 요소는 콘텐츠에 대해 선택 가능한 시청형태를 모두 열거한 것이다. available_play_mode 요소에는 「2D」, 「stereoscopic_MVC」의 일방 또는 쌍방이 기재되게 된다. 「2D」는 콘텐츠가 2D 영상으로서 시청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stereoscopic_MVC」는 MVC 방식의 3D 영상으로서 시청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재생제어정보를 수신한 재생장치는 이 available_play_mode 요소를 참조함으로써 선택 가능한 시청형태를 사용자에게 미리 제시할 수 있다.
또, 앞에서 설명한 MVC(Multi View Coding) 방식은 멀티 뷰 영상을 1개의 베이스 뷰와 1개 이상의 디펜던트 뷰로 부호화하는 방식이다. MVC 방식에서는 디펜던트 뷰는 베이스 뷰에 포함되는 프레임을 참조(뷰 간 예측)하여 부호화되므로, 각각의 뷰를 독립하여 취급하는 것보다도 효율적인 압축이 가능해진다.
default_play_mode 요소는 이 재생제어정보를 수신한 장치가 2D 영상과 3D 영상 중 어느 하나를 디폴트로서 선택하는가를 지정하는 정보이다. 이 default_play_mode를 ERI에 포함시키는가 여부는 옵션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변형 예로서 후술한다.
또, 콘텐츠 본체의 참조처는 ERI의 start 요소에 AV 리소스의 요구처 URL을 스킴(scheme)도 포함시켜 1024 바이트 이하의 문자 열로 기재된다. 스킴으로는 rtsp://, http:// 중 어느 하나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http://videoserver.com/AVData/0001.m2ts와 같이 기재된다.
<2-3. 영상콘텐츠 서버(13)>
영상콘텐츠 서버(13)는 영상콘텐츠를 스트림 배신하는 서버이다.
도 8은 영상콘텐츠 서버(1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영상콘텐츠 서버(13)는 도 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통신처리부(71), 리퀘스트 처리부(72), 기억부(73) 및 VOD(Video On Demand) 배신제어부(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콘텐츠 서버(13)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리퀘스트 처리부(72) 및 VOD 배신제어부(74)의 기능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통신처리부(71)는 통신용의 LSI로 구성되어 있으며, 네트워크(5)를 개재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억부(73)는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고, 배신하는 콘텐츠 본체를 기억하고 있다.
리퀘스트 처리부(72)는 콘텐츠 배신요구를 접수하여, 요구된 콘텐츠의 배신을 VOD 배신제어부(74)에 지시하는 기능(이하, 「배신 지시기능(distribution instruction function)」이라고 한다)을 갖는다.
콘텐츠 배신요구는 HTTP-GET 리퀘스트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에 대해서는 RFC2616에 정의되어 있다. HTTP-GET 리퀘스트는 일례로 이하와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GET http://videoserver.com/AVData/0001.m2ts HTTP/1. 1
Host: videoserver.com
Date: Wed Jul 20 15:00:00 2011 GMT
User-Agent: IP Broadcast Receiver
Connection: Keep-Alive
X-Request-Play-Mode: 3D
X-TimeSeekRange:npt-time=00:60:00-
HTTP-GET 리퀘스트의 URL에는 콘텐츠를 취득하기 위한 URL이 기재된다. 앞에서 설명한 예에서는 http://videoserver.com/AVData/0001.m2ts가 콘텐츠를 취득하기 위한 URL에 해당한다.
Host에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본 실시형태에서는 영상콘텐츠 서버(13))의 호스트 명이 기재된다.
Date에는 HTTP-GET 리퀘스트가 생성된 일시가 기재된다.
User-Agent에는 브라우저의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기 위한 정보가 기재된다. 포맷에 대해 특별하게 규정은 없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IP Broadcast Receiver」를 이용한다.
Connection에는 이 HTTP 리퀘스트에 대한 응답(response)이 종료한 후의 TCP 레이어의 접속에 관한 정보가 기재된다. TCP 레이어의 접속 유지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Keep-Alive를 기재하고, TCP 레이어의 접속 절단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Close를 기재한다.
X-Request-Play-Mode에는 재생장치 측이 요구하는 콘텐츠에 대한 시청형태가 기재된다.
X-TimeSeekRange에는 당해 콘텐츠에서의 송신을 요구하는 선두 위치를 지정한다. 이는 콘텐츠의 선두로부터의 시간에 의해 지정된다. X-TimeSeekRange에서 선두에서부터 시청한 시간을 지정함으로써 전회의 시청을 중단한 개소로부터 연속해서 시청이 가능해진다. 영상콘텐츠 서버(13)는 X-TimeSeekRange에서 지정된 위치 이후의 부분을 송신하게 된다. 상세는 「디지털 텔레비전 정보화연구회,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 기능사양 스트리밍 기능사양서 프로토콜 편, 1.2판, 2010년 12월 21일 발행」에 규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HTTP―GET 리퀘스트에 대해 영상콘텐츠 서버(13)는 일례로 아래와 같은 응답을 돌려주게 된다.
HTTP/1. 1 200 OK
Date: Wed Jul 20 15:00:01 2011 GMT
Server: Video Streaming Server
Content-Type: video/mpeg
Content-Length: 5452000000byte
X-Available-Play-Mode: 2D3D
X-TimeSeekRange: npt-time=00:60:00- bytes=5452000000-1093999999/1094000000
여기서, 상술한 리퀘스트 처리부(72)에 의한 배신 지시기능은 하기 순서에 의해 실현된다.
리퀘스트 처리부(72)는, 콘텐츠 배신요구를 접수한 경우, 콘텐츠 배신요구로부터 콘텐츠 명, 시청형태, 시청한 시간을 추출한다. 그리고 리퀘스트 처리부(72)는 콘텐츠 명, 시청형태, 시청한 시간을 통지함으로써 요구된 콘텐츠의 배신을 VOD 배신제어부(74)에 지시한다.
다음에, VOD 배신제어부(74)에 대해 설명한다.
VOD 배신제어부(74)는 리퀘스트 처리부(72)로부터 배신하도록 지시된 콘텐츠를 스트리밍 배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VOD 배신제어부(74)는 통지된 콘텐츠 명의 콘텐츠에서의 통지된 시청한 시간에 상당하는 개소에 계속하는 부분을 콘텐츠 배신요구를 송신해 온 장치에 대해 배신한다. 또, 통지된 시청형태가 「2D」인 경우 2D 영상의 콘텐츠를 송신하고, 통지된 시청형태가 「stereoscopic_MVC」인 경우 3D 영상의 콘텐츠를 배신한다. 여기서, 콘텐츠가 MVC 방식으로 복호화되어 있는 경우, 통지된 시청형태가 「2D」이면 디펜던트 뷰를 포함시키지 않고 베이스 뷰만을 포함하는 2D 영상으로 하여 배신한다. 또, 통지된 시청형태가 「stereoscopic_MVC」이면 베이스 뷰와 디펜던트 뷰의 쌍방을 포함하는 MVC 영상(3D 영상)으로 하여 송신한다.
<2-4. 재생장치(3)>
재생장치(3)는 콘텐츠를 스트림 수신하여 재생하는 장치이다.
도 9는 재생장치(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재생장치(3)는 도 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통신처리부(81), 디 멀티플렉서(demultiplexer)(82), 음성 디코더(83), 영상 디코더(84), 자막 디코더(85), 표시처리부(86), VOD 재생제어부(87), 브라우저 처리부(88), 기억부(89) 및 사용자 조작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재생장치(3)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VOD 재생제어부(87) 및 브라우저 처리부(88)의 각 기능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통신처리부(81)는 통신용의 LSI로 구성되어 있으며, 네트워크(5)를 개재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디 멀티플렉서(82)는 디 멀티플렉서 LSI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중화되어 있는 MPEG-2 TS를 수신하여 영상, 음성, 자막, PSI/SI 등의 패킷으로 분리하는 기능을 갖는다. 디 멀티플렉서(82)는 분리한 음성 패킷을 음성 디코더(83)에 출력하며, 영상 패킷을 영상 디코더(84)에 출력하고, 자막 패킷을 자막 디코더(85)에 출력하며, PSI/SI패킷을 VOD 재생제어부(87)에 출력한다.
음성 디코더(83)는 AV 신호처리 LSI로 실현되어 있으며, 음성 패킷을 복호 함으로써 음성신호를 얻어서 외부에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영상 디코더(84)는 앞에서 설명한 AV 신호처리 LSI로 실현되어 있으며, VOD 재생제어부(87)로부터 콘텐츠의 재생에 이용하는 시청형태의 통지를 접수하고, 통지된 시청형태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영상 패킷을 복호 함으로써 영상신호를 얻어서 표시처리부(86)에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영상 패킷이 MVC 방식에 의거하여 복호화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통지된 시청형태가 「2D」인 경우 디펜던트 뷰를 무시하고, 베이스 뷰만을 복호 하여 2D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신호를 생성해서 표시처리부(86)에 출력한다. 또, 통지된 시청형태가 「stereoscopic_MVC」인 경우에는 영상 패킷으로부터 베이스 뷰의 프레임을 복호 한 후 디펜던트 뷰의 프레임을 복호 하여, 각각을 좌우의 영상으로서 교대로 표시시키는 영상신호를 생성해서 표시처리부(86)에 출력한다.
자막 디코더(85)는 앞에서 설명한 AV 신호처리 LSI로 실현되어 있으며, 자막 패킷을 복호함으로써 자막신호를 얻어서 표시처리부(86)에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표시처리부(86)는 앞에서 설명한 AV 신호처리 LSI로 실현되어 있으며, 영상 디코더(84)로부터 얻은 영상신호와 자막 디코더(85)로부터 얻은 자막신호를 중첩하여 표시화상을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등 외부에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브라우저 처리부(88)에 의해 HTML 문서, BML 문서에 의거하여 형성되는 페이지 화상 등을 단독으로, 또는 영상, 자막과 중첩하여 표시화상을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등 외부에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VOD 재생제어부(87)는 콘텐츠의 재생 제어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재생 제어는 주로 재생개시 제어와 재생중단중지 제어로 이루어진다.
먼저, 재생개시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VOD 재생제어부(87)는 브라우저 처리부(88)에 대해 사용자 지시에 따라서 재생이 지시된 재생대상 콘텐츠에 대해 재생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VOD 재생제어부(87)는 영상콘텐츠 서버(13)에서 송신되는 재생대상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기 위해 음성 디코더(83)에 음성 패킷의 복호를 지시하고, 영상 디코더(84)에 재생에 이용하는 시청형태를 통지하여 영상 패킷의 복호를 지시하며, 자막 디코더(85)에 대해 자막 패킷의 복호를 지시한다.
다음에, 재생중단중지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VOD 재생제어부(87)는 사용자 조작부(90)로부터 콘텐츠 재생중단지시를 접수하면 음성 디코더(83)에 음성 패킷의 복호 정지를 지시하고, 영상 디코더(84)에 영상 패킷의 복호 정지를 지시하며, 자막 디코더(85)에 대해 자막 패킷의 복호 정지를 지시한다. 이때, VOD 재생제어부(87)는 이 콘텐츠에 관한 시청 초 수를 기록해 두고, 브라우저 처리부(88)에 통지한다. 그리고 VOD 재생제어부(87)는 통신처리부(81)에 대해 영상콘텐츠 서버(13)와의 TCP 커넥션(connection)의 절단을 지시한다.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서버로부터 취득한 HTML 문서 또는 BML 문서를 해석하고, 기재되어 있는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제시를 한다.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콘텐츠일람 표시기능(도 12의 S202), 재생대상 콘텐츠정보 기억제어기능(도 12의 S204), 재생위치 선택화면 표시기능(도 12의 S206), 재생제어정보 송신요구기능(도 10의 S17), 시청형태 결정기능(도 13) 및 콘텐츠 재생종료 통지송신기능(도 14)을 갖는다.
콘텐츠일람 표시기능은 포털 서버(11)로부터 HTML 문서 또는 BML 문서인 콘텐츠일람문서를 취득하고, HTML 또는 BML에 따라서 표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 콘텐츠일람문서에 포함되는 각 콘텐츠 태그의 콘텐츠 명이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재생대상 콘텐츠정보 기억제어기능은 재생대상 콘텐츠정보의 기억, 갱신에 대한 제어를 실행하는 기능이다. 구체적으로는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콘텐츠일람문서에서의 재생대상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태그로부터 MetaFileURL, ReturnURL, PlayMode, 콘텐츠 명을 추출하고, 이들을 재생대상 콘텐츠정보로서 기억부(89)에 기억시킨다. 재생대상 콘텐츠정보에서의 MetaFileURL 등 각 요소의 의미는 콘텐츠일람문서의 콘텐츠 태그에서의 것과 동일하다.
재생위치 선택화면 표시기능은 재생 콘텐츠에 대해 선두에서부터 재생하는가, 리줌 재생(resume playback, 시청중단위치에서부터 재생)하는가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인 재생위치 선택화면을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기능이다.
재생제어정보 송신요구기능은 재생대상 콘텐츠의 재생제어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재생대상 콘텐츠정보 중의 MetaFileURL을 판독하여 재생제어정보 송신요구를 실행하는 기능이다.
시청형태 결정기능은 재생대상 콘텐츠에 대해 실행 가능한 시청형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시청형태를 결정하는 기능이다.
콘텐츠 재생종료 통지송신기능은 영상콘텐츠의 재생을 중단 혹은 중지할 때에, 콘텐츠 재생종료 통지를, 콘텐츠 재생종료 통지의 내용을 ReturnURL(본 실시형태에서는 포털 서버(11)상의 리소스이다)에의 리퀘스트에 포함시켜서 송신하는 기능이다.
콘텐츠 재생종료 통지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기술한 URL을 기재한 HTTP 리퀘스트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실행한다.
ReturnURL? Status=StatusCode[&StopPos=StopPosition]&PlayMode=2D3D
여기서, ReturnURL에는 재생대상 콘텐츠정보의 ReturnURL을 기재한다.
또, Status는 재생한 player의 종료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0인 경우는 정상종료를 나타내고, -2 이하인 경우는 에러를 나타낸다. 상세는 「디지털 텔레비전 정보화 연구회,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 기능사양 스트리밍기능 사양서 브라우저 편, 1.2판, 2010년 12월 21일 발행」에 규정되어 있다.
StopPos는 재생을 중단한 경우에 그 정지위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며, StopPosition에 그 파라미터 값으로 VOD 재생제어부(87)에서 통지되는 시청 초 수를 기재한다.
PlayMode는 영상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던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2D3D에 그 파라미터 값으로 2D 영상으로 재생하고 있었던 경우 「2D」를, 3D 영상으로 재생하고 있었던 경우 「stereoscopic_MVC」를 기재한다.
콘텐츠 재생종료통지에는 앞에서 설명한 HTTP 리퀘스트 메시지와 함께 사용자 ID, 디바이스 ID를 포함시키는 것으로 한다.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이 콘텐츠 재생종료 통지를 포털 서버(11)에 송신한다.
기억부(89)는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재생대상 콘텐츠정보를 기억한다.
또, 재생장치(3)의 사용자의 사용자 ID(본 실시형태에서는 U01), 재생장치(3)에 할당되어 있는 디바이스 ID(본 실시형태에서는 D01)를 기억하고 있다.
사용자 조작부(90)는 키패드, 리모컨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키패드, 리모컨 등을 조작함으로써 입력한 지시(이하, 「사용자 지시」라고 한다)를 VOD 재생제어부(87), 브라우저 처리부(88)에 통지한다.
또, 재생장치(4)에 대해서는 그 구성은 재생장치(3)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 재생장치(4)의 기억부(89)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ID는 U01로 하고, 디바이스 ID는 D02로 한다.
<3. 동작>
<3-1. 전체 동작>
이상과 같이 구성된 콘텐츠 제공시스템(1)에서 재생장치(3)에 의해 콘텐츠가 재생되기까지의 전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콘텐츠가 재생되기까지의 전체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먼저, 재생장치(3)의 사용자는 재생장치(3)의 사용자 조작부(90)를 이용하여 콘텐츠일람 표시요구를 입력한다(S11). 사용자 조작부(90)는 콘텐츠일람 표시요구를 접수하고, 콘텐츠일람 표시요구를 브라우저 처리부(88)에 통지한다.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콘텐츠일람 송신요구를 포털 서버(11)에 대해 송신한다(S12). 또, 재생장치(3)에서의 다른 장치와의 통신은 모두 통신처리부(81)를 개재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기재의 간략화를 위해 통신에 대한 「통신처리부(81)를 개재하여」의 기재는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다른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포털 서버(11)에서 통신처리부(31)는 콘텐츠일람 송신요구를 수신하고 데이터 처리부(32)에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부(32)는 콘텐츠일람문서 작성처리를 실행한다(S13). 이 처리의 상세는 후술하는 도 11에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처리부(32)는 생성한 콘텐츠일람문서를 재생장치(3)에 송신한다(S14).
재생장치(3)는 콘텐츠일람문서를 수신하고, 콘텐츠일람으로부터의 재생 콘텐츠의 선택처리를 실행한다(S15). 이 처리의 상세는 후술하는 도 12에 나타내고 있다.
재생장치(3)에서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선택된 콘텐츠의 재생제어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URL로 재생대상 콘텐츠정보 중의 MetaFileURL을 판독한다(S16). 브라우저 처리부(88)는 통신처리부(81)를 이용하여 판독한 URL(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생제어정보 서버(12) 상의 리소스를 나타낸다)에 대한 재생제어정보 송신요구를 실행한다(S17).
재생제어정보 서버(12)는 재생제어정보를 재생장치(3)에 송신한다(S18).
재생제어정보를 수신한 재생장치(3)는 시청형태 결정처리를 실행한다(S19).
이 처리의 상세는 도 13에 나타내고 있다.
재생장치(3)에서의 브라우저 처리부(88)는 통신처리부(81)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 송신요구를 실행하기 위해 영상콘텐츠 서버(13)에 대해 HTTP-GET 리퀘스트를 송신한다(S20).
영상콘텐츠 서버(13)는 HTTP-GET 리퀘스트에서 요구된 콘텐츠를 HTTP-GET 리퀘스트의 송신원인 재생장치(3)에 송신한다(S21).
여기서, 영상콘텐츠 서버(13)는 콘텐츠를 HTTP-GET 리퀘스트의 Play_mode로 시청할 수 있는 형태로 송신한다. 또, HTTP-GET 리퀘스트에 X-TimeSeekRange 헤더가 있을 때에는 콘텐츠에서의 X-TimeSeekRange 헤더에서 지정된 시청위치부터 재생장치(3)에 송신한다.
재생장치(3)의 VOD 재생제어부(87)는 영상콘텐츠 서버(13)로부터 송신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기 위해, 재생개시제어로 음성 디코더(83)에 음성 패킷의 복호를 지시하고, 영상 디코더(84)에 영상 패킷의 복호를 지시하며, 자막 디코더(85)에 대해 자막 패킷의 복호를 지시한다. 재생장치(3)에서 음성 디코더(83)가 음성 패킷을 복호하고, 영상 디코더(84)가 영상 패킷을 복호하며, 자막 디코더(85)는 자막 패킷이 복호함으로써 영상콘텐츠 서버(13)로부터 송신되는 콘텐츠를 수신하면서 재생하는 스트리밍 재생을 실행한다(S22).
<3-2. 콘텐츠일람문서 작성처리>
도 10의 S13에 상당하는 콘텐츠일람문서 작성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콘텐츠일람문서 작성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의 S12에서 포털 서버(11)의 데이터 처리부(32)는 재생장치(3)로부터 콘텐츠일람 송신요구를 취득하고 있다. 콘텐츠일람 송신요구에는 요구 원의 사용자 ID와 디바이스 ID가 포함되어 있다.
데이터 처리부(32)는 기억부(33)로부터 콘텐츠일람 송신요구에 포함되어 있던 사용자 ID와 일치하는 사용자 ID의 사용자 관리정보를 판독한다(S101).
또, 데이터 처리부(32)는 아직 판독되지 않은 콘텐츠 관리정보가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고(S102), 판독되지 않은 콘텐츠 관리정보가 없는 경우(S102에서 NO)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판독되지 않은 콘텐츠 관리정보가 있은 경우(S102에서 YES)에는 그 콘텐츠 관리정보를 판독한다(S103).
그리고 판독된 콘텐츠 관리정보 중의 콘텐츠 ID에 일치하는 콘텐츠 ID가 사용자 관리정보 중에 기록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S104).
일치하는 것이 있는 경우(S104에서 YES)에는 그 사용자 관리정보에서의 시청 초 수가 0인가 여부를 판단한다(S105). 시청 초 수가 0이 아닌 경우(S105에서 NO)에는 콘텐츠 태그에 PlayPosition을 추가하고, 값으로 시청 초 수를 설정한다(S106). 시청 초 수가 0인 경우(S105에서 YES)에는 콘텐츠 태그에 PlayPosition은 사용하지 않는다.
여기서, S104 ~ S106에 대해 보충 설명한다. S104 ~ S106에서는 디바이스 ID에 대해 체크를 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만일, 사용자 관리정보 중의 디바이스 ID가 콘텐츠일람 송신요구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ID와는 달랐다고 해도, (a) 판독된 콘텐츠 관리정보의 콘텐츠 ID와 동일한 콘텐츠 ID를 갖고, 또한 (b) 콘텐츠일람 송신요구에 포함되는 사용자 ID와 동일한 사용자 ID를 갖는 경우에는 그 사용자 관리정보 중의 시청 초 수가 콘텐츠 태그의 PlayPosition으로 설정되게 된다.
구체 예로, 디바이스 ID가 D01의 재생장치(3)에 의해 콘텐츠 A가 시청되고, 그 시청이 중단된 경우를 상정한다. 그 시청이 중단된 후에, 동일한 사용자가 소유하는 디바이스 ID가 D02의 재생장치(4)에 의해 콘텐츠일람문서가 요구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재생장치(4)가 취득하는 콘텐츠일람문서에 있어서 콘텐츠 A에 대한 콘텐츠 태그의 PlayPosition에는 재생장치(4)와는 디바이스 ID가 다르나 동일한 사용자가 소유하는 재생장치(3)에 의해 시청 된 시청 초 수가 설정되게 된다. 이상으로 보충 설명을 끝내며, 플로차트의 설명으로 돌아간다.
S107에서는 데이터 처리부(32)는 콘텐츠 태그의 2D3D에 사용자 관리정보에서의 최종 시청형태를 설정하고(S107) S109로 진행한다.
한편, 콘텐츠 관리정보 중의 콘텐츠 ID에 일치하는 콘텐츠 ID가 사용자 관리정보 중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S104에서 NO), 데이터 처리부(32)는 콘텐츠 태그의 2D3D에 판독된 콘텐츠 관리정보 중의 시청형태를 설정하고(S108) S109로 진행한다.
S109에서는 콘텐츠 태그의 NAME에 판독된 콘텐츠 관리정보 중의 콘텐츠 명을 설정한다(S109).
그리고 콘텐츠 태그의 MetaFileURL에 판독된 콘텐츠 관리정보 중의 재생제어정보 URL을 설정한다(S111). 그리고 콘텐츠 태그의 ReturnURL에 판독한 콘텐츠 관리정보 중의 복귀처 URL을 설정한다(S112).
그리고 생성한 콘텐츠 태그를 콘텐츠일람문서에 추가하고(S113) S102로 진행한다.
<3-3. 콘텐츠일람으로부터의 재생 콘텐츠 선택처리>
도 10의 S15에 상당하는, 콘텐츠일람으로부터의 재생 콘텐츠 선택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콘텐츠일람으로부터의 재생 콘텐츠 선택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재생장치(3)에서의 통신처리부(81)는 포털 서버(11)로부터 콘텐츠일람문서를 취득하고, 브라우저 처리부(88)에 전송한다.
브라우저 처리부(88)는 포털 서버(11)에서 수신한 콘텐츠일람문서를 표시처리부(86)에 출력한다. 콘텐츠일람문서는 HTML 문서이며, 표시처리부(86)는 수신한 콘텐츠일람문서를 디스플레이(도시하지 않음)에 표시한다(S202).
여기서, 콘텐츠 태그에 PlayPosition이 있는 경우, 그 콘텐츠에 대해서는 시청이 중단하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아이콘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사용자 조작부(90)는 콘텐츠의 일람표를 본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사용자가 재생을 원하는 콘텐츠(재생대상 콘텐츠)의 선택을 접수하여 브라우저 처리부(88)에 통지한다(S203).
여기서, 사용자에 의한 콘텐츠의 선택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커서를 리모컨 조작에 의해 이동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하여, 디스플레이에 일람 표시된 콘텐츠 명에서 1개를 선출하고, 결정 버튼을 누르는 등에 의해 실행한다.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콘텐츠일람문서에서의 재생대상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태그로부터 MetaFileURL, ReturnURL, PlayMode, 콘텐츠 명을 추출하고, 이들을 재생대상 콘텐츠정보로서 기억한다(S204).
그리고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재생대상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태그에 PlayPosition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S205). PlayPosition이 있는 경우(S205에서 YES),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선두로부터의 재생, 리줌(resume) 재생 중의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가의 선택화면인 재생위치 선택화면을 표시처리부(86)에 표시하도록 지시한다(S206). 표시처리부(206)는 디스플레이에 재생위치 선택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기다린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이 리줌 재생을 선택하는 것인 경우(S207에서 YES),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콘텐츠 태그 중의 PlayPosition을 재생대상 콘텐츠정보의 PlayPosition으로 기억하고(S208) 처리를 끝낸다(RETURN).
사용자 입력이 리줌 재생을 선택하는 것이 아닌 경우(S20에서 NO),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재생대상 콘텐츠정보의 PlayPosition으로 0을 기억하고(S209) 처리를 끝낸다(RETURN).
<3-4. 시청형태 결정처리>
도 10의 S19에 상당하는 시청형태 결정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재생장치(3)에 의한 시청형태 결정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재생장치(3)에서의 통신처리부(81)는 재생제어정보 서버(12)로부터 재생제어정보를 수신하고, 브라우저 처리부(88)에 출력한다.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취득한 재생제어정보로부터 start 요소를 추출하고, 기억부(89)에 기억시킨다(S301).
그리고 재생제어정보 중에 available_play_mode 요소가 있는가 여부를 판정한다(S302).
available_play_mode 요소가 있은 경우(S302에서 YES), available_play_mode 요소를 기억부(89)에 기억시킨다(S303).
그리고 브라우저 처리부(88)는 available_play_mode 요소에 기재되어 있는 실행 가능한 시청형태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시청형태를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이하, 「시청형태 선택화면」이라고 한다)을 표시하도록 표시처리부(86)에 지시한다. 표시처리부(86)는 일례로 도 1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시청형태 선택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304). 또, 도 15에서는 디폴트로 「3D로 재생」에서 하이라이트(highlight)가 되어 있고, 「2D로 재생」과 구별되어 있다. 도 15에서 실행 가능한 시청형태 중 어느 것에 하이라이트가 되는가는 포털 서버(11)로부터 재생장치(3)가 수신한 콘텐츠일람문서에서의 재생대상 콘텐츠의 콘텐츠 태그의 PlayMode에 기재되어 있는 시청형태에 의해 정해진다.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사용자가 시청형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의 실행을 일정시간 경과(타임 아웃) 할 때까지 기다린다(S305). 타임 아웃 한 경우(S305에서 YES),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재생대상 콘텐츠의 콘텐츠 태그의 play_mode를 영상콘텐츠 서버(13)에 요구하는 시청형태로 하여 HTTP-GET 리퀘스트의 X-Request-Play-Mode 헤더에 저장하고(S308), S309로 진행한다.
타임 아웃 전에 사용자 입력에 의한 시청형태의 선택이 있은 경우(S306에서 YES), 선택된 시청형태를 영상콘텐츠 서버(13)에 요구하는 시청형태로서 HTTP-GET 리퀘스트의 X-Request-Play-Mode 헤더에 저장하고(S307), S309로 진행한다.
S302에서 재생제어정보 중에 available_play_mode 요소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S302에서 NO), S308로 진행한다.
S309에서 재생대상 콘텐츠정보 중의 PlayPositon이 0인가 여부를 판정한다(S309).
PlayPositon이 0인 경우(S309에서 YES), HTTP-GET 리퀘스트에 X-TimeSeekRange 헤더를 추가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고(S311), 처리를 종료한다(RETURN).
PlayPositon이 0이 아닌 경우(S309에서 NO), HTTP-GET 리퀘스트에 X-TimeSeekRange 헤더를 추가하고, 값으로 PlayPosition을 설정하여(S310) 처리를 종료한다(RETURN).
<3-5. 콘텐츠 시청중단(포즈(pause)) 처리>
다음에, 재생장치(3)가 도 10에서 나타낸 순서로 콘텐츠를 스트리밍 재생하고 있는 상태가 된 후에 시청을 중단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 처리에서 재생장치(3)는 시청을 중단한 위치로 콘텐츠에 대한 시청 초 수를 포털 서버(11)에 기억시킨다.
도 14는 콘텐츠 시청중단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콘텐츠의 스트리밍 재생 중에 재생장치(3)의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부(90)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재생 중단을 지시한다(S501).
사용자 조작부(90)는 VOD 재생제어부(87)에 대해 콘텐츠 재생중단지시를 출력한다. VOD 재생제어부(87)는 콘텐츠 재생중단지시를 접수하면 음성 디코더(83)에 음성 패킷의 복호 정지를 지시하고, 영상 디코더(84)에 영상 패킷의 복호 정지를 지시하며, 자막 디코더(85)에 대해 자막 패킷의 복호 정지를 지시한다(S502). 이때 VOD 재생제어부(87)는 이 콘텐츠에 관한 시청 초 수를 기억해 둔다(S503).
복호 정지의 지시를 받은 음성 디코더(83)는 음성 패킷의 복호를 정지한다. 또, 복호 정지의 지시를 받은 영상 디코더(84)는 영상 패킷의 복호를 정지한다. 또, 복호 정지의 지시를 받은 자막 디코더(85)는 자막 패킷의 복호를 정지한다.
그리고 VOD 재생제어부(87)는 통신처리부(81)에 대해 영상콘텐츠 서버(13)와의 TCP 커넥션의 절단을 지시한다. 통신처리부(81)는 절단의 지시를 받아서 영상콘텐츠 서버(13)의 TCP 커넥션를 절단한다(S504).
다음에, 브라우저 처리부(88)는 포털 서버(11)에 대해, 통신처리부(81)를 개재하여, 사용자 ID, 디바이스 ID를 포함하는 콘텐츠 재생종료 통지를 송신한다(S505).
콘텐츠 재생종료 통지의 StopPosition에는 S503에서 기억하고 있던 시청 초 수를 기재한다. 또, 콘텐츠 재생종료 통지의 2D3D에는 콘텐츠 재생에 이용하고 있던 시청형태를 기재한다.
포털 서버(11)에서 통신처리부(31)는 콘텐츠 재생종료 통지를 수신한고(S506) 데이터 처리부(32)에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부(32)는 수신한 콘텐츠 재생종료 통지 중 HTTP 리퀘스트 메시지로부터 StopPosition, PlayMode를 추출한다. 그리고 콘텐츠 재생종료 통지에 포함되는 사용자 ID, 디바이스 ID와 일치하는 사용자 ID, 디바이스 ID를 갖는 사용자 관리정보의 최종 시청형태에 추출한 PlayMode를 기재하고, 시청 초 수에 StopPosition을 기재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에는 관계가 없으나, S505의 통신은 ReturnURL에서 나타내는 리소스로의 HTTP-GET 리퀘스트에 의해 실행된다. 또, ReturnURL에 의해 나타내는 리소스로는 일반적으로 콘텐츠일람문서가 이용된다. 따라서 S506의 처리 후에 포털 서버(11)는 콘텐츠일람문서를 재생장치(3)에 송신한다.
<3-6. 콘텐츠 시청재개처리>
콘텐츠 시청재개처리는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콘텐츠의 시청이 중단된 상태로부터 콘텐츠의 시청을 재개하는 처리이다. 콘텐츠 시청재개처리는 이미 설명한 도 10 ~ 도 13의 플로차트에 따라서 실행하게 된다.
이하, 콘텐츠 시청의 재개처리에 대해서 도 10 ~ 도 13의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인 예로 설명한다.
본 처리의 전제로, 시청이 중단된 콘텐츠는 콘텐츠 ID가 C01인 콘텐츠 A로 한다. 콘텐츠 A에 대해서는 「2D」, 「stereoscopic_MVC」의 어느 시청형태에서도 시청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재생제어정보 서버(12)가 송신하는 재생제어정보 중의 available_play_mode 요소에는 「2D」, 「stereoscopic_MVC」의 쌍방이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시청의 중단까지는 디바이스 ID가 D01인 재생장치(3)에 의해 콘텐츠가 재생되고 있었던 것으로 하고, 시청형태는 stereoscopic_MVC이었던 것으로 한다. 콘텐츠 A의 시청이 중단된 때의 시청 초 수는 3600초이었던 것으로 한다.
콘텐츠 A의 시청의 재개는 재생장치(3)가 아니라 재생장치(4)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한다. 재생장치(4)에서는 이 재개 전에는 콘텐츠 A의 시청은 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재생장치(3) 및 재생장치(4)의 사용자는 동일하며, 사용자 ID는 U01로 한다.
재개 직전의 포털 서버(11)의 기억부(33)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 관리정보는 도 4에 나타내는 상태인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전제 하에, 이하, 도 10 ~ 13에 따라서 설명을 진행시킨다. 또, 여기서 설명에 이용하는 도 10 ~ 도 13에 대해서는 이미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재차 모든스텝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으며, 중요도에 따라서 적당히 설명을 간략화한다.
먼저, 도 10의 S11에서 재생장치(4)의 사용자는 재생장치(4)의 사용자 조작부(90)을 이용하여 콘텐츠일람 표시요구를 입력한다(S11). 사용자 조작부(90)는 콘텐츠일람 표시요구를 접수하고, 콘텐츠일람 표시요구를 브라우저 처리부(88)에 통지한다.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콘텐츠일람 송신요구를 포털 서버(11)에 대해 송신한다(S12). 포털 서버(11)에서 통신처리부(31)는 콘텐츠일람 송신요구를 수신하고, 데이터 처리부(32)에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부(32)는 콘텐츠일람문서 작성처리를 실행한다(S13).
여기서, 재생장치(4)가 취득하는 콘텐츠일람문서에서 시청을 중단한 콘텐츠 A의 콘텐츠 태그의 PlayPosition에는 재생장치(3)에서의 시청 초 수(3600)가 설정되어 있다.
재생장치(4)의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콘텐츠일람문서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에 콘텐츠 명을 일람 표시시킨다(S15, 도 12의 S202). 이때, 콘텐츠 A에 대해서는 시청이 중단하고 있다는 것을 아이콘을 이용하여 표시한다.
사용자는 재생대상 콘텐츠로 콘텐츠 A를 선택한다(S203).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콘텐츠 A에 대한 재생대상 콘텐츠정보를 기억한다(S204).
이때, 재생대상 콘텐츠로 PlayPosition이 설정된 콘텐츠 A가 선택되어 있으므로(S205에서 YES),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선두로부터의 재생, 리줌 재생의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가의 선택화면인 재생위치 선택화면을 표시처리부(86)에 표시시킨다(S206).
이때 사용자는 리줌 재생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실행한다.
브라우저 처리부(88)는 리줌 재생이 선택되었으므로(S207에서 YES), 재생대상 콘텐츠정보의 PlayPosition으로 콘텐츠 태그 중의 PlayPosition인 3600을 기억한다(S208).
그리고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재생대상 콘텐츠정보 중의 MetaFileURL을 판독하고(S16), 이 URL에 대한 재생제어정보 송신요구를 실행한다(S17).
재생제어정보 서버(12)는 콘텐츠 A에 대한 재생제어정보를 재생장치(4)에 송신한다(S18).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재생제어정보 서버(12)로부터 재생제어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start 요소를 추출하고(S301), 재생제어정보 중의 available_play_mode 요소를 추출한다(S302 ~ 303).
그리고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재생제어정보 중의 available_play_mode 요소에 기재되어 있는 실행 가능한 시청형태(「2D」, 「3D(stereoscopic_MVC)」)로부터 1개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화면인 도 1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시청형태 선택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S304).
또, 도 15에서는 포털 서버(11)로부터 재생장치(4)가 수신한 콘텐츠일람문서에서의 콘텐츠 A의 콘텐츠 태그의 PlayMode에 기재되어 있는 시청형태(예를 들어 「3D(stereoscopic_MVC)」)에 디폴트로 하이라이트가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2D를 선택하는 것으로 한다(S305~306).
브라우저 처리부(88)는 HTTP-GET 리퀘스트의 X-Request-Play-Mode 헤더에 「2D」를 저장하고(S307), X-TimeSeekRange 헤더를 추가하며, 값으로 3600을 설정한다(S309, S310).
그리고 브라우저 처리부(88)는 영상콘텐츠 서버(13)에 HTTP-GET 리퀘스트에 의한 콘텐츠의 배신요구를 실행한다(도 10의 S20).
영상콘텐츠 서버(13)는 콘텐츠 A에 대해 선두로부터 3600초의 부분 이후를 2D로 시청할 수 있도록 재생장치(4)에 배신한다.
재생장치(4)는 영상콘텐츠 서버(13)로부터 콘텐츠 A를 수신하고, 선두로부터 3600초의 부분 이후의 재생을 실행한다(S22).
이상에 의해 재생장치(4)에서, 콘텐츠 A를 재생장치(3)에서 이용되고 있던 시청형태(3D(stereoscopic_MVC))에서 다른 시청형태(2D)로 변경하여, 재생장치(3)에서 시청한 부분의 다음 부분부터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 콘텐츠 A의 시청의 재개에 대해, 재생장치(4)에서 이루어지는 예로 설명하였으나, 재생장치(3)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상기의 설명과 동일해진다.
<4. 변형 예>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콘텐츠 제공시스템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예시한 콘텐츠 제공시스템을 이하와 같이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이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의 콘텐츠 제공시스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포털 서버(11)로부터 재생장치(3)에 대해 전회의 시청형태를 통지하기 위해 HTML 문서를 사용하고 있었으나, 전회의 시청형태를 통지할 수만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재생개시를 실행하기 위한 함수로 launchIP텔레비전ContentEx()와 같은 전회의 시청형태를 통지하는 기능을 가진 새로운 함수를 정의하여 이용해도 좋다.
이 새로운 함수는 콘텐츠일람문서로서 생성되는 BML 문서에 매입되고, 콘텐츠의 구입 버튼이나 재생 버튼 등을 누름으로써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는 버튼에 할당한다. 통지되는 전회의 시청형태는 재생장치에서 시청 재개시의 디폴트의 시청형태로서 이용하거나, 또는, 시청형태 선택화면에 표시시키는 시청형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중 디폴트로 어느 하나에 포커싱 하는가를 결정하는데 이용한다.
launchIP텔레비전ContentEx(input String content_uri, input String ret_uri, input Number start_npt, [input String license_id,] input String play_mode)
여기서, content_uri는 재생대상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재생 제어 메타파일의 URI를 나타낸다. ret_uri는 콘텐츠 재생종료 후에 표시하는 BML 문서의 URI를 나타낸다. start_npt는 콘텐츠의 재생 개시 시간 위치(콘텐츠의 선두로부터의 초 수)를 나타낸다. 재생장치는 인수 start_npt에 의해 인도된 시간 위치를 지정하여 영상콘텐츠 서버(101)에 콘텐츠의 데이터 송신을 리퀘스트 하게 된다. license_id는 재생시에 이용하는 라이선스의 라이선스 ID를 나타낸다. play_mode는 콘텐츠의 시청형태를 나타낸다. play_mode는 값으로 「2D」, 「stereoscopic_MVC」가 기재된다. play_mode가 「2D」인 경우 콘텐츠를 2D 영상으로 재생하는 것을 나타내며, 「stereoscopic_MVC」인 경우 콘텐츠를 3D 영상으로 재생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 도 15의 시청형태 선택화면을 BML 문서로 표현하고, BML 문서에 2D 영상으로 재생하는 것을 선택하는 버튼, 3D 영상으로 재생하는 것을 선택하는 버튼이 각각 눌러진 경우에 launchIP텔레비전ContentEx() 함수가 실행되도록 기재해 두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BML 문서에 2D 영상으로 재생하는 것을 선택하는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 인수 play_mode의 값이 「2D」인 launchIP텔레비전ContentEx() 함수가 실행되도록 기재한다. 또, 3D 영상으로 재생하는 것을 선택하는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 인수 play_mode의 값이 「stereoscopic_MVC」인 launchIP텔레비전ContentEx() 함수가 실행되도록 기재한다.
또, 이 경우, 포털 서버(11)에 기억된 사용자 관리정보의 최종 시청형태와 동일한 시청형태로 시청하는 버튼에 포커스가 맞춰지도록 BML 문서를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즉, 최종 시청형태가 「stereoscopic_MVC」인 경우에는 play_mode의 값이 「3D」인 launchIP텔레비전ContentEx() 함수가 실행되는 버튼에 포커스를 맞추도록 BML 문서를 구성하고, 최종 시청형태가 「2D」인 경우에는 play_mode의 값이 「2D」인 launchIP텔레비전ContentEx() 함수가 실행되는 버튼에 포커스를 맞추도록 BML 문서를 구성한다.
(2) 변형 예(1)에서는 전회의 시청형태를 통지하는 함수 launchIP텔레비전ContentEx()를 정의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전회의 시청형태를 통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시청형태를 재생제어정보에서 지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재생제어정보에 일례로 도 7에 나타내는 default_play_mode 요소를 추가한다.
default_play_mode 요소는 파라미터 값으로 「2D」 또는 「stereoscopic_MVC」가 기재된다.
또, 재생장치에서 2D 영상과 3D 영상의 어느 하나를 디폴트로 선택하는가는 미리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어도 좋다.
또, default_play_mode 요소는 전회의 시청형태를 통지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 등이 설정하는 해당 콘텐츠의 디폴트의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라도 좋다.
또, default_play_mode 요소는 재생장치가 구비하는 표시 능력에 따라서 콘텐츠 배신시스템(2)이 설정하는 것이라도 좋다. 즉, 콘텐츠 배신시스템(2)은 재생장치가 3D의 표시 능력을 갖는 것이면 default_play_mode 요소의 값으로 3D를 설정하고, 재생장치가 3D의 표시 능력을 갖지 않는 것이면 default_play_mode 요소의 값으로 2D를 설정하는 것이라도 좋다.
(3)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시청형태 선택화면으로 available_play_mode에 기재되어 있는 실행 가능한 시청형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시청형태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시청형태를 선택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특정 버튼을 누르는 등의 미리 정해진 동작에 의해 사용자에게 시청형태를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4)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재생장치(3)로부터 영상콘텐츠 서버(13)에 시청형태를 통지하기 위해 HTTP-GET 리퀘스트에 X-Request-Play-Mode 헤더를 기재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영상콘텐츠 서버(13)에서 시청형태를 인식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재생장치(3)와 영상콘텐츠 서버(13) 사이에서 HTTP-GET 리퀘스트에 X-Request-Play-Mode 헤더가 없는 경우에는 「2D」가 지정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미리 규정해도 좋다. 이에 의해 HTTP-GET 리퀘스트에 대해 콘텐츠를 2D에서만 재생 가능한 X-Request-Play-Mode를 추가하는 확장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레거시(legacy) 장치와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5)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송신하는 영상이 MVC 영상인 경우에 있어서 X-Request-Play-Mode가 「2D」인 경우, 영상콘텐츠 서버(13)가 배신시에 디펜던트 뷰를 포함하는 TS패킷을 제거하는 처리를 실행하여 배신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디펜던트 뷰를 포함하지 않는 영상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기만 하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디펜던트 뷰를 포함하지 않는 영상 데이터를 미리 준비해 두고, 이를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재생장치 측에서 사용하지 않는 디펜던트 뷰를 송신하는 것을 피하고, 사용하는 통신 대역을 절약할 수 있다.
(6)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디바이스 ID는 콘텐츠의 배신계약 체결시 등에 사용자의 신청에 따라서 콘텐츠 배신업자가 고유하게 할당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IP주소나 MAC 주소 등을 이용해도 좋다.
(7)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재생장치(3)가 콘텐츠의 시청, 중단을 실행한 후, 디바이스 ID가 다른 재생장치(4)가 동일 콘텐츠의 시청을 재개하는 경우에, 재생장치(4)에서 동일 콘텐츠에 대해 가능한 모든 시청형태로부터 1개의 시청형태를 선택하는 것으로 하고 있었으나, 시청 재개시에 디바이스 ID를 이용하여 시청형태의 선택지를 제한하는 제어를 해도 좋다.
예를 들어 거치 단말인 재생장치(3)가 콘텐츠에 대해 3D 표시하는 능력을 가지며, 태블릿 단말인 재생장치(4)가 동일 콘텐츠에 대해 3D 표시하는 능력을 갖지 않고 2D 표시하는 능력밖에 갖지 않는 경우, 재생장치(4)에서 시청을 재개할 때에 표시되는 시청형태 선택화면에 3D 시청의 선택지를 표시하지 않거나, 또는 3D시청을 선택할 수 없게 제어해도 좋다.
(8)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재생제어정보 중의 available_play_mode 요소에 콘텐츠에 대해 가능한 시청형태로 「2D」, 「3D(stereoscopic_MVC)」를 기재하여 재생장치(3 및 4)에 통지하고 있었으나, 시청형태는 「2D」, 「3D(stereoscopic_MVC)」에 한정하지 않고, 콘텐츠에 대한 시각적인 표현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시청형태는 멀티 앵글로 표현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한 각 앵글을 나타내도 좋다. 또, 시청형태는 동일 시각에 배신하는 복수의 프로그램 각각을 나타내도 좋다.
이 경우, 재생제어정보 중의 available_play_mode 요소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일례로 콘텐츠에 대해 가능한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View1」 「View2」등을 열거하여 기재한다. View1, View2, …가 각각 각 앵글이나 각 프로그램을 나타내게 된다.
또, 시청형태는 해상도라도 좋다. 이 경우, 재생제어정보 중의 available_play_mode 요소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콘텐츠에 대해 가능한 시청형태로, 일례로 「SD(Standard Definition)」, 「HD(High Definition)」, 「4K」, 「QVGA(Quarter Video Graphics Array)」 등을 열거하여 기재다. 여기서, 4K란 4000×2000 도트(dot) 전후의 해상도를 나타낸다.
또,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ERI에 available_play_mode 요소나 default_play_mode 요소를 추가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이들과 같은 내용을 통지할 수 있기만 하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다른 이름의 요소를 추가하여 사용해도 좋다. 또, 각 요소의 값으로 「2D」와「stereoscopic_MVC」를 이용하고 있으나, 동일한 내용을 나타내고 있는 다른 값(「3D」등)을 이용해도 좋다.
이상의 설명은 재생제어정보 중의 available_play_mode 요소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나, 앞에서 설명한 재생장치(3)와 영상콘텐츠 서버(13) 사이의 통신에 이용하는 X-Request-Play-Mode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9)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재생장치(3 및 4)가 영상콘텐츠 서버(13)에 대해 「콘텐츠의 재생, 재개(배신 개시)」, 「콘텐츠의 재생 중단, 중지」를 요구하는 경우에 HTTP를 사용하였으나, 「콘텐츠의 재생, 재개」, 「콘텐츠의 재생 중단, 중지」를 요구할 수 있기만 하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으로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그 제어 프로토콜로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를 사용해도 좋다. 또, RTP는 RFC3550에서, RTSP는 RFC2326에서 정의되어 있다.
RTSP에서는 스트리밍 재생에 (a) SETUP, (b) PLAY, (c) PAUSE, (d) TEARDOWN의 각 메소드(method)가 이용된다.
SETUP은 서버로의 스트림 송출용의 리소스 확보와 세션 개시를 지시하는 메소드이다.
PLAY는 SETUP에 의해 확보된 리소스에 의한 미디어 데이터의 송출 개시를 지시하는 메소드이다. 콘텐츠에 대해 재생을 실행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PAUSE는 서버 리소스를 개방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스트림의 송출을 정지하도록 지시하는 메소드이다. 콘텐츠를 일시정지, 정지(재생종료)하는 경우의 쌍방에 이용된다.
TEARDOWN은 리소스의 개방과 세션의 종료를 지시하는 메소드이다.
여기서, PLAY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의 HTTP-GET 리퀘스트 대신에 사용되게 된다.
PAUSE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의 콘텐츠 재생종료 통지 대신에 사용되게 된다.
SETUP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 대응하는 메소드 등은 특별히 없으나, PLAY에 앞서 사용하게 된다.
TEARDOWN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 대응하는 메소드 등은 특별히 없으나, 콘텐츠의 재생을 종료하는 경우에 사용하게 된다.
이하에 (a) SETUP, (b) PLAY, (c) PAUSE의 각 메소드(리퀘스트, 응답)의 예를 기재한다. TEARDOWN에 대해서는 RFC2326의 규정과 특별히 변경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기재를 생략한다.
여기서, SETUP, PLAY, PAUSE의 각 메소드의 응답에는 콘텐츠에서 이용 가능한 시청형태를 기술하기 위해 확장 헤더 X-Available-Play-Mode를 추가하는 확장을 실행하고 있다. X-Available-Play-Mode에는 2D와 3D의 쌍방을 나타내는 「2D3D」, 2D를 나타내는 「2D」, 3D를 나타내는 「3D」중 어느 하나가 기재된다.
(a) SETUP
(리퀘스트)
SETUP rtsp://videoserver.com/AVData/0001.m2ts RTSP/1. 0
CSeq:  2
Trasnport: RTP/AVP;unicast;client_port=5000-5001
X-Request-Play-Mode: 3D
여기서, X-Request-Play-Mode는 추가하는 확장 헤더이며, 콘텐츠에 대해 배신을 요구하는 시청형태를 기재한다. X-Request-Play-Mode에 대해서는 상기 예의 3D 외에, 2D를 지정할 수도 있다. 또, 호환성 확보의 관점에서 X-Request-Play-Mode를 생략함으로써 2D를 지정하는 것으로 약속해 두어도 좋다.
(응답)
RTSP/1. 0 200 OK
CSeq: 2
Date: Wed Jul 20 15:00:00 2011 GMT
Session: 505
Transport: RTP/AVP;unicast;client_port=5000-5001;sever_port=6000-6001
X-Available-Play-Mode: 2D3D
(b) PLAY
(리퀘스트)
PLAY rtsp://videoserver.com/AVData/0001.m2ts RTSP/1. 0
CSeq:  3
Session: 505
Range: npt=00:60:00-
여기서, Range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의 XTimeSeekRange에 상당하며, 의미 내용도 동일하다.
(응답)
RTSP/1. 0 200 OK
CSeq: 3
Date: Wed Jul 20 15:02:00 2011 GMT
Range: ntp=00:60:00-
X-Available-Play-Mode: 2D3D
(c) PAUSE
(리퀘스트)
PAUSE rtsp://videoserver.com/AVData/0001.m2ts RTSP/1. 0
CSeq:  4
Session: 505
(응답)
RTSP/1. 0 200 OK
CSeq: 4
Date: Wed Jul 20 15:20:00 2011 GMT
X-Available-Play-Mode: 2D3D
(10)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재생장치(3)가 콘텐츠에 대한 재생제어정보를 수신하여 해석해서, 도 1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시청형태 선택화면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었으나, 시청형태 선택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콘텐츠의 영상이 MVC 영상인 경우에, 포털 서버(11)가 2D 영상으로 재생하는가, 3D 영상으로 재생하는가를 재생장치(3)에 문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일례로 재생장치(3)가 재생하는 영상콘텐츠를 선택한 때, 포털 서버(11)가 도 1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시청형태 선택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BML 문서 또는 HTML 문서를 재생장치(3)에 송신한다.
또, 송신하는 시청형태 선택화면으로는 포털 서버(11)에 대해 재생장치 측으로부터 콘텐츠에 대해 통지된, 전회의 재생시에 선택하고 있던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버튼에 디폴트로 포커스가 맞춰져 있는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재생장치(3)에서는 전회에 3D 영상으로 재생하고 있던 콘텐츠에 대해 시청형태 선택화면이 표시되는 경우, 3D 영상에 관한 버튼에 포커스를 맞춘 상태로 표시되게 된다.
(11)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영상콘텐츠 서버(13)는 MVC 영상에 대해 재생장치(3)에서 2D 영상의 송신이 리퀘스트 된 경우 MVC 영상의 디펜던트 뷰를 포함하지 않는 스트림을 송신하고, 재생장치(3)에서 3D 영상의 송신이 리퀘스트 된 경우 MVC 영상을 그대로 송신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재생장치(3)에서 리퀘스트 한 시청형태로 2D 영상, 3D 영상을 재생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영상콘텐츠 서버(13)가 MVC 영상의 송신이 리퀘스트 된 경우에는 항상 MVC 영상을 그대로 송신하고, 재생장치(3) 측에서 MVC 영상을 2D 영상으로 재생하는가, 3D 영상으로 재생하는가를 제어해도 좋다. 이 경우, 재생장치(3)에서 시청형태의 전환이 필요해져도 영상콘텐츠 서버(13)와 통신을 일단 종료할 필요는 없어진다.
(12)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available_play_mode 요소에 콘텐츠에 대해 가능한 시청형태를 모두 열거하고 있었으나, 콘텐츠에 대해 허가되어 있는 시청형태를 열거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콘텐츠의 제작자가 그 콘텐츠를 3D 영상으로서만 시청시키고 싶은 경우 등, 이용 가능한 시청형태를 의도적으로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MVC 영상이라도 이 콘텐츠에 관한 재생제어정보의 available_play_mode 요소에 「2D」를 기재하지 않고 「stereoscopic_MVC」만 기재한다. 이에 의해 콘텐츠는 3D 영상으로 재생하는 것은 허가되어 있으나, 2D 영상으로 재생하는 것은 허가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재생장치에 인식시킬 수 있다.
(13)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콘텐츠의 인터넷 배신에 의한 VOD 서비스에 적용하는 예로 설명하고 있었으나, 콘텐츠의 배신 타이밍은 VOD와 같은 리얼타임(real time) 배신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콘텐츠의 재생에 적합하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미리 콘텐츠를 다운로드 하여 기억해 두고, 그 후에 재생하는 다운로드 서비스에서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생장치(3)는 영상콘텐츠 서버(13)에 대한 콘텐츠의 송신요구는 하지 않고, 재생장치(3) 내에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를 재생하게 된다. 또, 재생장치(3)는 재생제어정보에서의 available_play_mode 요소를 재생대상 콘텐츠가 선택된 때에 참조하여 시청형태 선택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콘텐츠에 대해 가능한 시청형태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킬 수 있다.
(14)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콘텐츠일람 표시처리, 재생대상 콘텐츠정보 기억제어처리, 재생위치 선택화면 표시처리, 재생제어정보 송신요구처리, 시청형태 결정처리 등을 재생장치(3 및 4)의 프로세서 및 그 프로세서에 접속된 각종 회로에 실행시키기 위한 기계어 혹은 고급언어의 프로그램 코드로 이루어지는 제어프로그램을 기록매체에 기록하거나, 또는 각종 통신로 등을 개재하여 유통시켜서 반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기록매체에는 IC카드,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플렉시블 디스크(flexible disk), ROM, 플래시메모리 등이 있다. 유통, 반포된 제어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판독되어 메모리 등에 저장됨으로써 이용에 제공되며, 그 프로세서가 그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 실시형태에 나타낸 것과 같은 각 기능이 실현되게 된다. 또, 프로세서는 제어프로그램을 직접 실행하는 외에, 컴파일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해도 좋다.
(15)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나타낸 각 기능 구성요소(통신처리부(31), 데이터 처리부(32), 기억부(33), 통신처리부(51), 데이터 처리부(52), 기억부(53), 통신처리부(71), 리퀘스트 처리부(72), 기억부(73) 및 VOD 배신제어부(74), 통신처리부(81), 디 멀티플렉서(82), 음성 디코더(83), 영상 디코더(84), 자막 디코더(85), 표시처리부(86), VOD 재생제어부(87), 브라우저 처리부(88) 및 사용자 조작부(90) 등)는 그 기능을 실행하는 회로로 실현되어도 좋고, 1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어도 좋다.
또, 앞에서 설명한 각 기능 구성요소는 전형적으로는 집적회로인 LSI로서 실현된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1칩화 되어도 좋고,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하도록 1칩화되어도 좋다. 여기에서는 LSI로 하였으나,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또, 집적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되어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할 수 있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콘피규러블(reconfigurable) 프로세서를 이용해도 좋다. 나아가서는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별도 기술에 의해 LSI에 치환되는 집적회로화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실행해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응 등이 가능성으로 있을 수 있다.
(16)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 및 각 변형 예를 부분적으로 조합해도 좋다.
<5. 보충>
이하,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로서의 콘텐츠 재생장치의 구성 및 그 변형 예와 효과에 대해 더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는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영상콘텐츠를 스트림 수신하여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로, 영상콘텐츠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제어정보를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복수의 시청형태를 선택지로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제시수단과, 상기 선택지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선택된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에 송신함으로써 영상콘텐츠의 스트림 배신을 요구하는 요구수단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해 시청형태가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을 미리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전환의 기회를 줄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2) 또, 상기 입력접수수단은 상기 영상콘텐츠의 재생 중에 재생을 중단하는 포즈(pause) 지시를 더 접수하고, 상기 제시수단은 상기 포즈 지시가 더 접수된 때에 재생 재개시의 시청형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지로 상기 복수의 시청형태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재생 중단을 계기로 하여 시청형태가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을 미리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전환의 기회를 줄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3) 또, 상기 제시수단은 상기 재생 재개시의 시청형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지를 표시하는 경우에, 상기 포즈 지시를 접수하기 직전에 이용되고 있던 시청형태를 다른 시청형태와 차별화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할 가능성이 큰, 재생중단 직전에 이용되고 있던 시청형태를 다른 시청형태로부터 식별하고 선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4) 또,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은 상기 영상콘텐츠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되기 전에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다른 장치를 이용하여 도중까지 시청 된 경우에 그 시청형태를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다른 장치에서의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시수단은 상기 선택지를 표시하는 경우에, 상기 다른 장치에서의 시청형태를 다른 시청형태와는 차별화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다른 장치를 이용하여 도중까지 시청하고 있던 콘텐츠를 콘텐츠 재생장치에 의해 계속 이어서 시청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재생중단 직전에 다른 장치에서 이용되고 있던 시청형태를 다른 시청형태로부터 식별 및 선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5) 또, 상기 제시수단은, 상기 선택지를 제시하는 경우에, 자(自) 장치가 표시하는 능력을 갖지 않는 시청형태에 대해서는 제시를 억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 시청형태의 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6) 또,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영상콘텐츠에 대해 선택 가능한 시청형태를 모두 열기(列記)한 것이며, 상기 제시수단은 상기 제어정보 중에 열기 된 시청형태를 모두 판독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제어정보는 ERI에 추기(追記)된 정보이며,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제어정보의 수신으로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상기 ERI를 수신하여 당해 ERI로부터 상기 제어정보를 추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전환 가능한 시청형태를 모두 사용자에게 미리 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7) 또, 상기 복수의 시청형태 각각은 서로 다른 해상도인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전환 가능한 해상도를 모두 사용자에게 미리 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8) 또, 상기 복수의 시청형태는 2D 및 3D인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콘텐츠의 시청형태로서 2D와 3D가 전환 가능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미리 제시할 수가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9)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콘텐츠 재생방법은, 수신수단과, 제시수단과, 입력접수수단과, 요구수단을 구비한 콘텐츠 재생장치에 이용되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영상콘텐츠를 스트림 수신하여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방법으로, 상기 수신수단이 영상콘텐츠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제어정보를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수신하는 수신스텝과, 상기 제시수단이 상기 복수의 시청형태를 선택지로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제시스텝과, 상기 입력접수수단이 상기 선택지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접수스텝과, 상기 요구수단이 상기 선택된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에 송신함으로써 영상콘텐츠의 스트림 배신을 요구하는 요구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관한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영상콘텐츠를 스트림 수신하여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로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한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상기 컴퓨터를, 영상콘텐츠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제어정보를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복수의 시청형태를 선택지로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제시수단과, 상기 선택지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선택된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에 송신함으로써 영상콘텐츠의 스트림 배신을 요구하는 요구수단으로서 기능 시킨다.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관한 콘텐츠 제공시스템은, 영상콘텐츠를 스트림 배신하는 콘텐츠 배신시스템과 상기 영상콘텐츠를 스트림 수신하여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가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접속된 콘텐츠 제공시스템으로,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은 상기 영상콘텐츠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제어정보를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시청형태로부터 선택된 1개의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접수하는 요구접수수단과, 상기 선택된 시청형태에 의한 상기 영상콘텐츠의 배신을 실행하는 배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는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제어정보에 나타나는 복수의 시청형태를 선택지로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제시수단과, 상기 선택지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에 대해 상기 선택된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요구수단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해 시청형태가 전환된다는 것을 미리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전환의 기회를 줄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 형태에 관한 콘텐츠 재생장치는 콘텐츠에 대해 복수의 시청형태가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을 미리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전환의 기회를 주는 것이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콘텐츠를 스트리밍 수신하여 재생하는 장치 등에 유용하다.
1  콘텐츠 제공시스템
2  콘텐츠 배신시스템
3  재생장치
4  재생장치
5  네트워크
11  포털 서버
12  재생제어정보 서버
13  영상콘텐츠 서버
81  통신처리부
82  디 멀티플렉서
83  음성 디코더
84  영상 디코더
85  자막 디코더
86  표시처리부
87  VOD 재생제어부
88  브라우저 처리부
89  기억부
90  사용자 조작부

Claims (12)

  1.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영상콘텐츠를 스트림 수신하여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로,
    영상콘텐츠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제어정보를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복수의 시청형태를 선택지(option)로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제시수단과,
    상기 선택지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선택된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에 송신함으로써 영상콘텐츠의 스트림 배신을 요구하는 요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접수수단은 상기 영상콘텐츠의 재생중에 재생을 중단하는 포즈(pause) 지시를 더 접수하며,
    상기 제시수단은 상기 포즈 지시가 더 접수된 때에 재생 재개시의 시청형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지로 상기 복수의 시청형태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수단은 상기 재생 재개시의 시청형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지를 표시하는 경우에, 상기 포즈 지시를 접수하기 직전에 이용되고 있던 시청형태를 다른 시청형태와 차별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은 상기 영상콘텐츠가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되기 전에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다른 장치를 이용해서 도중까지 시청된 경우에 그 시청형태를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다른 장치에서의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시수단은 상기 선택지를 표시하는 경우에 상기 다른 장치에서의 시청형태를 다른 시청형태와는 차별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수단은 상기 선택지를 제시하는 경우에, 자 장치(自 裝置)가 표시하는 능력을 갖지 않는 시청형태에 대해서는 제시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영상콘텐츠에 대해 선택 가능한 시청형태를 모두 열기(列記)한 것이며,
    상기 제시수단은 상기 제어정보 중에 열기된 시청형태를 모두 판독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ERI(Entry Resource Information)에 추기된 정보이며,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제어정보의 수신으로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상기 ERI를 수신하여 당해 ERI에서 상기 제어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청형태 각각은 서로 다른 해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청형태는 2D 및 3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장치.
  10. 수신수단과, 제시수단과, 입력접수수단과, 요구수단을 구비한 콘텐츠 재생장치에 이용되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영상콘텐츠를 스트림 수신하여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방법으로,
    상기 수신수단이 영상콘텐츠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제어정보를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수신하는 수신스텝과,
    상기 제시수단이 상기 복수의 시청형태를 선택지로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제시스텝과,
    상기 입력접수수단이 상기 선택지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접수스텝과,
    상기 요구수단이 상기 선택된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에 송신함으로써 영상콘텐츠의 스트림 배신을 요구하는 요구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방법.
  11. 컴퓨터를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영상콘텐츠를 스트림 수신하여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로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한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으로,
    상기 컴퓨터를,
    영상콘텐츠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제어정보를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복수의 시청형태를 선택지로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제시수단과,
    상기 선택지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선택된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에 송신함으로써 영상콘텐츠의 스트림 배신을 요구하는 요구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
  12. 영상콘텐츠를 스트림 배신하는 콘텐츠 배신시스템과 상기 영상콘텐츠를 스트림 수신하여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가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접속된 콘텐츠 제공시스템으로,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은,
    상기 영상콘텐츠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제어정보를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시청형태에서 선택된 하나의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접수하는 요구접수수단과,
    상기 선택된 시청형태에 의한 상기 영상콘텐츠의 배신을 실행하는 배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는,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제어정보에 나타내는 복수의 시청형태를 선택지로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제시수단과,
    상기 선택지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접수수단과,
    상기 콘텐츠 배신시스템에 대해 상기 선택된 시청형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요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KR1020137012088A 2011-07-22 2012-07-17 콘텐츠 재생장치, 콘텐츠 재생방법, 콘텐츠 재생프로그램 및 콘텐츠 제공시스템 KR101965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10642P 2011-07-22 2011-07-22
US61/510,642 2011-07-22
PCT/JP2012/004563 WO2013014880A1 (ja) 2011-07-22 2012-07-17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791A true KR20140037791A (ko) 2014-03-27
KR101965806B1 KR101965806B1 (ko) 2019-04-04

Family

ID=47556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088A KR101965806B1 (ko) 2011-07-22 2012-07-17 콘텐츠 재생장치, 콘텐츠 재생방법, 콘텐츠 재생프로그램 및 콘텐츠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106962B2 (ko)
EP (1) EP2736252B1 (ko)
JP (1) JP6048835B2 (ko)
KR (1) KR101965806B1 (ko)
CN (1) CN103262558B (ko)
CA (1) CA2815106A1 (ko)
MX (1) MX2013005444A (ko)
WO (1) WO20130148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16366A (zh) * 2010-07-09 2012-01-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媒体服务器及音视频传输的方法
US9467359B1 (en) * 2013-06-07 2016-10-11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resuming playback of media content across multiple devices
CN105208434A (zh) * 2014-06-11 2015-12-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媒体投影方法、媒体投影设备、控制终端以及云端服务器
WO2016063518A1 (en) * 2014-10-21 2016-04-28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 with a companion device and a primary device
GB201612356D0 (en) * 2016-04-19 2016-08-31 Cisco Tech Inc Network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2616853B1 (ko) * 2016-07-15 2023-12-2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6454271B (zh) * 2016-11-21 2019-06-11 环球大数据科技有限公司 视频处理系统及方法
US20190110089A1 (en) * 2017-03-28 2019-04-1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playback apparatus, and content distribution method
US10944971B1 (en) * 2017-05-22 2021-03-09 Cinova Media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e accurate field of view switching for virtual reality
CN111201544A (zh) * 2017-10-16 2020-05-26 微笑电视购物有限公司 内容分发系统及内容分发方法
JP6349454B1 (ja) 2017-12-06 2018-06-27 株式会社ドワンゴ 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7029335B2 (ja) * 2018-03-30 2022-03-03 株式会社Jストリーム 管理サーバ、管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0993A (ko) * 1998-04-24 1999-11-15 전주범 위성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사용자별 시청모드 설정 및 운영방법
KR20110000515A (ko) * 2009-06-26 2011-01-0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계승 통신 관리 장치
KR20110034198A (ko) * 2009-09-28 2011-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3d 영상신호 표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66967B1 (en) * 2000-03-31 2012-12-19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media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content
AU2001275453A1 (en) * 2000-06-09 2001-12-17 Imove Inc. Streaming panoramic video
JP3941700B2 (ja) * 2003-01-28 2007-07-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556826B1 (ko) * 2003-04-17 2006-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peg-4 기반의 양안식 3차원 동영상을 서비스하기 위한 인터넷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4533020B2 (ja) * 2004-06-25 2010-08-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ホームコンテンツサーバ及び視聴デバイス
US20060061682A1 (en) * 2004-09-22 2006-03-23 Bradley Bruce R User selectable content stream
US20070101370A1 (en) * 2005-10-28 2007-05-03 Stexar Corp. Television program selection
US20070157240A1 (en) * 2005-12-29 2007-07-0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media guidanc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US8607287B2 (en) * 2005-12-29 2013-12-1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media guidanc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CN101523905A (zh) * 2006-09-29 2009-09-02 索尼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和方法、以及程序
US20100034515A1 (en) * 2006-09-29 2010-02-11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EP2177010B1 (en) * 2006-12-13 2015-10-28 Quickplay Media Inc. Mobile media platform
US10778930B2 (en) * 2007-05-30 2020-09-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election of electronic content and services
US9282337B2 (en) * 2009-02-27 2016-03-08 Vixs Systems, Inc. Media source device with digital format convers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JP5482254B2 (ja) 2009-11-05 2014-05-07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送信装置、通信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US8977107B2 (en) * 2009-12-31 2015-03-10 Sandisk Technologies Inc.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resuming playback of content
CN107911684B (zh) * 2010-06-02 2020-06-23 麦克赛尔株式会社 接收装置和接收方法
US20120079606A1 (en) * 2010-09-24 2012-03-29 Amazon Technologies, Inc. Rights and capability-inclusive content selection and delivery
JP2012080309A (ja) * 2010-10-01 2012-04-19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コンテンツ受信機
US8941724B2 (en) 2010-10-01 2015-01-27 Hitachi Maxell Ltd. Receiv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0993A (ko) * 1998-04-24 1999-11-15 전주범 위성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사용자별 시청모드 설정 및 운영방법
KR20110000515A (ko) * 2009-06-26 2011-01-0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계승 통신 관리 장치
KR20110034198A (ko) * 2009-09-28 2011-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3d 영상신호 표시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 특허문헌 1 : 일반사단법인 IP텔레비전 포럼, IP텔레비전 규정 VOD 사양 IPTVFJ STD-0002 1.2판, 2012년 4월 16일 발행.
비 특허문헌 2 : 디지털 텔레비전 정보화연구회,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 기능사양 스트리밍 기능사양서 코덱 편, 1.2판, 2010년 12월 21일 발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36252B1 (en) 2016-12-21
EP2736252A1 (en) 2014-05-28
JPWO2013014880A1 (ja) 2015-02-23
WO2013014880A1 (ja) 2013-01-31
MX2013005444A (es) 2013-07-29
CN103262558B (zh) 2017-03-01
WO2013014880A8 (ja) 2013-05-02
EP2736252A4 (en) 2015-04-29
JP6048835B2 (ja) 2016-12-21
US20130024898A1 (en) 2013-01-24
CA2815106A1 (en) 2013-01-31
KR101965806B1 (ko) 2019-04-04
CN103262558A (zh) 2013-08-21
US9106962B2 (en) 201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806B1 (ko) 콘텐츠 재생장치, 콘텐츠 재생방법, 콘텐츠 재생프로그램 및 콘텐츠 제공시스템
JP7280408B2 (ja) 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US8074244B2 (en)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887246B1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및 프로그램
KR100956825B1 (ko) 프리뷰 컨텐츠 수신방법 및 iptv 수신기
US7200857B1 (en) Synchronized video-on-demand supplemental commentary
KR20170074866A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TW201246930A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program, and broadcasting system
KR102499231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WO2013061851A1 (ja) 受信装置、受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40064711A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Using Cached Assets
WO2008055402A1 (fr) Procédé, système, dispositif et boîtier décodeur pour afficher des informations de multiples chaînes sur un même écran
KR20100039496A (ko) Iptv 수신기 및 상기 iptv 수신기의 채널 변경 방법
KR102640835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533674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628917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JP5537968B2 (ja) 中継サーバ
KR101243476B1 (ko) 프리뷰 컨텐츠의 전송 시스템 및 방법과, 그의 수신장치 및방법
KR20090047832A (ko) 방송 수신기 및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80075798A (ko) 컨텐츠 링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22183550A (ja) 受信装置、クライアント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10991B1 (ko) 실시간 방송 시청 중 타임 쉬프트 기능을 사용 시 시청자 선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4097A (ko) 클라우드 환경에서 녹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90111973A (ko) Ftp 방식을 이용한 iptv 서비스에 있어서i-프레임을 이용하여 콘텐츠의 재생 지점을 선택할 수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