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6819A -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6819A
KR20140036819A KR1020120103410A KR20120103410A KR20140036819A KR 20140036819 A KR20140036819 A KR 20140036819A KR 1020120103410 A KR1020120103410 A KR 1020120103410A KR 20120103410 A KR20120103410 A KR 20120103410A KR 20140036819 A KR20140036819 A KR 20140036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lexibility
bending
electrical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욱
박성미
정경희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3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6819A/ko
Publication of KR20140036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3Trunk, e.g., chest, back, abdomen, h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 타입의 밴드 센서를 구비하는 의복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밴드 센서를 구비하는 의복은 의복의 형상의 변형을 인식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의 밴드 센서; 및 상기 밴드 센서를 상기 의복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밴드 센서를 구비하는 의복에 따르면, 밴드의 길이 또는 형상 변형에 따라 변하는 저항값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밴드 센서를 의복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 방법 및 시스템{A Measurement Device, method and system used for Body Side Flexibility}
본 발명은 체력측정평가 종목 중 하나인 유연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목 중 몸통 옆면 유연성 데이터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데이터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측정자가 신체의 굽힘의 각도나 굽힘 시간 등을 직접 측정하는 경우 그 정확성에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또한 측정을 위해서는 별도의 측정자가 필요하므로, 측정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측정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밴드 센서를 이용하여 손쉽게 정확하게 그리고 편리하게 사용자의 유연성을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상체의 굽힘에 따른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의 형상의 변형을 인식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기 전도성의 밴드 센서; 및 상기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화고 상기 사용자의 유연성 측정을 위한 서버에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상체의 좌우 굽힘 정도 및 굽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굽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는, 상기 밴드 센서가 발생시킨 상기 전기적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데이터 수집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는, 상기 밴드 센서를 상기 의복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밴드 센서는, 길이 또는 형상이 변화함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도전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층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도전성 섬유, 또는 도전성 매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부;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굽힘 정보를 생성하는 산술 논리 연산부(ALU: Arithmetic Logic Unit); 및 상기 굽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RF(Radio-Freqeuncy)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는 상기 디저털화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유연성에 관한 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유연성 측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상체의 굽힘에 따른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의 형상의 변형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굽힘 정보를 생성하는 유연성 측정 장치; 상기 굽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유연성에 관한 결과를 산출하는 서버; 및 상기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유연성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상체의 굽힘에 따른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의 형상의 변형을 인식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기 전도성의 밴드 센서; 및 상기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화고 상기 사용자의 유연성 측정을 위한 서버에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는, 상기 밴드 센서가 발생시킨 상기 전기적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데이터 수집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는, 상기 밴드 센서를 상기 의복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부;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굽힘 정보를 생성하는 산술 논리 연산부(ALU: Arithmetic Logic Unit); 및 상기 굽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RF(Radio-Freqeuncy)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유연성 측정 방법은 사용자의 상체의 굽힘에 따른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의 형상의 변형을 인식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 단계; 및 상기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화고 상기 사용자의 유연성 측정을 위한 서버에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 제어 단계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 변환 단계;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굽힘 정보를 생성하는 굽힘 정보 산출 단계; 및 상기 굽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밴드 센서를 구비하는 의복을 통해 신체의 움직임 변화를 거부감 없이 측정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몸통 옆면의 유연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통 옆면 유연성 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잘못된 운동 방법을 분석하고, 올바른 운동 방법에 대한 솔루션(Solution)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유연성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유연성 측정 시스템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의 일측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유연성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사용자 유연성 측정 방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유연성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유연성 측정 시스템은 유연성 측정 장치(100), 서버(200), 사용자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유연성 측정 시스템은 인간의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체력 측정 종목 중 유연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학생체력측정평가(PAPS: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종목 중 하나인 유연성 종목 중 몸통 옆면 유연성 데이터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유연성 측정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유연성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의 상체의 굽힘에 따른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의 형상의 변형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굽힘 정보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조끼형태의 의복(10)을 착용하게 되며, 의복(10)은 사용자의 상체에 밀착된다. 따라서 의복(10)은 사용자의 상체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며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된다. 유연성 측정 장치(100)는 이때의 의복(10)의 형상의 변형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상체가 신체 중심을 기준으로 얼마나 굽었는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굽힘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나아가 굽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유연성 측정 장치는 밴드 센서(110), 제어부(120)를 더 포함한다. 밴드 센서(110)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상체의 굽은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사용자의 상체의 굽힘에 따른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의 형상의 변형을 인식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의복에 고정된 밴드 센서(110)는 사용자의 상체 움직임과 같이 길이 또는 형상이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도전층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밴드 센서(110)는 외부 상황에 따라 길이 내지는 형상이 변화될 수 있고, 도전층의 저항값은 상기 밴드 센서의 길이 내지는 형상의 변화에 따라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상황은, 예를 들어 밴드 센서(110)가 의복에 적용되었을 때, 의복 착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밴드가 늘어나거나, 오므라드는 상황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밴드 센서(110)는 의복(10)에 직접 적용되어, 신체 활동에 따라 오므라지거나 늘어지게 되며, 그러한 밴드 센서(110)의 물리적 변화를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센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밴드 센서는 아날로그 타입 신체 정보를 획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도전층은 외부의 조건에 따라 길이 내지는 형상이 변화하게되고, 이러한 물리적인 변화는 도전층 저항값 변화와 긴밀한 관계가 있는 재료이어야 한다. 특히, 도전층은 길이 변화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전기가 흐르는 경로가 길어질 경우 저항이 증가하고, 경로의 폭이 좁아질 수록 저항이 증가하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도전층은 예를 들어 금속 분말, 이온성 재료가 코팅된 도전성 섬유(conductive textile), 도전성 매쉬(conductive mesh), 도전성 탄성 고무가 가능하다.
특히, 도전성 섬유가 바람직한데, 도전성 섬유의 경우 외력에 의하여 길게 늘어질 경우 저항이 증가하며, 외력이 제거될 경우 원래의 값으로 복원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전층은 길이, 형상 변형에 의하여 저항값이 변경되어야 하는 소재로서, 전선과 같이 저항이 낮은 전기 전도성 소재이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항값이 높다. 이러한 저항의 변화를 통하여 밴드 센서는 의복 형상의 변형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100)는, 상기 밴드 센서(110)가 발생시킨 상기 전기적 신호를 수집하여 제어부(120)에 전달하는 데이터 수집 벨트(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벨트(130)는 상술한 밴드 센서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또한 전기적 신호의 전달을 위해 도전성의 물질을 포함하게 된다.
나아가 밴드 센서(110)를 상기 의복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밴드 센서(110)를 의복에 고정시킨다는 것은 밴드 센서(110)를 의복에 결합시키거나 또는 밴드 센서(110)를 포함하는 유연성 측정 장치를 의복에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밴드 센서(110)(또는 벤드 센서를 포함하는 유연성 측정 장치(100))는 고정구(112)를 통해 의복과 결합되며, 도 3과 같이 외복(10)이 휘어지지 않은 경우 밴드 센서(110)는 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도 4와 같이 의복(10)이 휘어지는 경우 밴드 센서(110)는 이에 따라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연성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된 의복(10) 및 이에 결합된 밴드 센서(110)가 신체의 굽힘에 따라 휘어지는 것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해석하여 신체의 굽힘 정도, 굽힘 시간을 유연성 측정의 자료로 이용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의복(10)의 일면에 대하여 밴드 센서(110)가 형성되며, 밴드 센서(110)를 고정하는 고정구(112)가 밴드 센서(110)의 일면에 형성된다. 고정구는 밴드 센서의 상면에 형성되나, 변형에 따라 밴드 센서(110)의 내부에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포함되는 구조로서 밴드 센서(110)와 의복(10)을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고정구(110)는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구는 상술한 밴드 센서측의 고정구(110)으로서 밴드 센서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2 고정구(미도시)는 의복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밴드 센서는 대응되는 위치의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의 결합에 의해 의복의 일면에 고정된다.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의 결합에 의해 상기 밴드 센서를 의복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본 실시에에서 제1 고정구가 제1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 고정구는 제1 형상에 대응되는 제2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대응되는 형상이란 제1 및 제2 형상이란, 예를 들어 단추로 형성되며 결합 가능하도록 제1 고정구가 볼록 단추의 제1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 고정구는 오목 단추의 제2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벨크로(Velcro)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제1 고정구가 갈퀴와 같은 형태의 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 고정구는 고리 형태의 면으로 형성되어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학생체력측정평가 종목 중 유연성 종목 중 몸통 옆면 유연성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동작은 도 5 및 도 6과 같다. 도 5와 같이 사용자는 한 팔은 몸통쪽에 붙이고 다른 한 팔을 귀 옆에 붙인 기본 자세에서 도 6과 같이 몸통을 좌, 우로 각각 최대한 굽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연성 측정을 위해서는 도 5에서 6과 같은 자세로 상체를 옆으로 굽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120)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20)는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화고 상기 사용자의 유연성 측정을 위한 서버에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를 전송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부(122), 산술 논리 연산부(ALU: Arithmetic Logic Unit) (124), RF(Radio-Freqeuncy)통신부(126)를 포함한다.
ADC(122)부는 전기 전도성의 밴드 센서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화한다. ADC부(122)는 좌우측 밴드 센서에서 발생한 아날로그 좌우측 신호를 입력 받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산술 논리 연산부(124)는 디지털화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굽힘 정보를 생성한다. 디지털화된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팔은 몸통쪽에 붙이고 다른 한 팔을 귀 옆에 붙인 상태에서 몸통을 좌, 우로 각각 최대한 굽혔을 때 측정 결과로서 굽힘 정보를 생성해 낸다. 이때 굽힘 정보는 몸통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 우 굽힘각도, 굽힘시간을 포함한다.
RF통신부(126)는 굽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유연성에 관한 결과를 생성하는 서버에 전송한다. 서버로의 전송은 RF모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200)는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100)로부터 굽힘 정보를 입력 받고 유연성 결과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연성 결과는 측정된 굽힘 정보를 평가하여 산정되는 개인별 유연성 등급과 같은 개인별 정보 및 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굽힘 정보를 통해 산출되는 통계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부가적으로 유연성 결과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력 수준별 필요 운동을 처방할 수 있다. 나아가 유연성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서버에서 생성된 유연성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해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유연성을 측정하는 사용자와 동일한 사용자 또는 유연성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연성을 평가하는 평가자 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300)는 서버에서 생성된 유연성 결과를 사용자 또는 평가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유연성 측정 시스템에서 유연성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연성 측정 방법은 신호 발생 단계(S100) 및 신호 제어 단계(S200)를 포함한다.
신호 발생 단계(S100)는 사용자의 상체의 굽힘에 따른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의 형상의 변형을 인식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의 신체의 굽힘에 따라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의 형상이 변형되게 되고(S110), 밴드 센서는 굽힘 정도를 인식하고((S110)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S130).
신호 제어 단계(S200)는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상기 사용자의 유연성 측정을 위한 서버에 디지털화된 신호를 전송한다.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S210)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어느 정도 굽혀졌나를 나타내는 굽힘 정보를 생성한다(S220). 생성된 굽힘 정보를 유연성 측정 서버로 전송한다(S230).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는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로부터 굽힘 정보를 입력 받고 유연성 결과를 산출(S310)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320).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사용자의 상체의 굽힘에 따른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의 형상의 변형을 인식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기 전도성의 밴드 센서; 및
    상기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화고 상기 사용자의 유연성 측정을 위한 서버에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상체의 좌우 굽힘 정도 및 굽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굽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는,
    상기 밴드 센서가 발생시킨 상기 전기적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데이터 수집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는,
    상기 밴드 센서를 상기 의복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센서는,
    길이 또는 형상이 변화함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도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도전성 섬유, 또는 도전성 매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부;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굽힘 정보를 생성하는 산술 논리 연산부(ALU: Arithmetic Logic Unit); 및
    상기 굽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RF(Radio-Freqeuncy)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디저털화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유연성에 관한 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
  9. 사용자의 상체의 굽힘에 따른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의 형상의 변형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굽힘 정보를 생성하는 유연성 측정 장치;
    상기 굽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유연성에 관한 결과를 산출하는 서버; 및
    상기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유연성 측정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상체의 굽힘에 따른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의 형상의 변형을 인식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기 전도성의 밴드 센서; 및
    상기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화고 상기 사용자의 유연성 측정을 위한 서버에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유연성 측정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측정 장치는,
    상기 밴드 센서가 발생시킨 상기 전기적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데이터 수집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유연성 측정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측정 장치는,
    상기 밴드 센서를 상기 의복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유연성 측정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부;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굽힘 정보를 생성하는 산술 논리 연산부(ALU: Arithmetic Logic Unit); 및
    상기 굽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RF(Radio-Freqeuncy)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유연성 측정 시스템.
  14. 사용자의 상체의 굽힘에 따른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의 형상의 변형을 인식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 단계; 및
    상기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화고 상기 사용자의 유연성 측정을 위한 서버에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유연성 측정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 단계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 변환 단계;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굽힘 정보를 생성하는 굽힘 정보 산출 단계; 및
    상기 굽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유연성 측정 방법.
KR1020120103410A 2012-09-18 2012-09-18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36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410A KR20140036819A (ko) 2012-09-18 2012-09-18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410A KR20140036819A (ko) 2012-09-18 2012-09-18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819A true KR20140036819A (ko) 2014-03-26

Family

ID=50645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410A KR20140036819A (ko) 2012-09-18 2012-09-18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68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448A (ko) * 2017-03-07 2018-09-1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근전도 측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41758A (ko) 2022-09-23 2024-04-01 김도완 건축물 자동 도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448A (ko) * 2017-03-07 2018-09-1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근전도 측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41758A (ko) 2022-09-23 2024-04-01 김도완 건축물 자동 도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9900B2 (ja) ユーザの姿勢をモニタするための装置
US9261967B2 (en) Gesture recognition system
EP3513713A1 (en) Wearable mobile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biological signal with the same
CN105706148A (zh) 可穿戴电子设备
KR20150123254A (ko) 제스처-기반 제어를 위해 근활성도 센서 신호와 관성 센서 신호를 결합하는 방법 및 기기
CN105004453B (zh) 一种智能压力垫的压力监测方法及监测系统
JP2017120224A (ja) 内部温度測定装置、リスト装着型装置及び内部温度測定方法
KR101087135B1 (ko)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 및 방법
KR20140036819A (ko)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63595A (ko) 전기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무구속 움직임 측정 장치 및 방법
US20180225988A1 (en) Sign language gesture determination systems and methods
KR20140069621A (ko) 사용자 유연성 측정 장치, 방법 및 시스템
JP2018138127A (ja) センサ装置および製品
CN107468254A (zh) 智能康复装置、智能康复手套及其信号处理方法
US20210318759A1 (en) Input device to control a computing device with a touch pad having a curved surface configured to sense touch input
US10095317B2 (en) System for hand gesture detection
KR101771927B1 (ko)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비접촉 인터페이싱 장치 및 방법
US20240111363A1 (en) Virtual reality glove having tension detector
KR101723076B1 (ko)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비접촉 인터페이싱 장치 및 방법
US20230070753A1 (en) Monitoring fit of wearable devices
CN113874814A (zh) 可穿戴的人机联接装置及可利用此联接装置执行的方法
TWI740253B (zh) 智慧防駝系統
KR20130013093A (ko) 전도성 소재를 이용한 손가락 동작 인식 장갑 및 그 방법
JP7462610B2 (ja) 身体の少なくとも二つの部分のトポグラフィを推定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230404433A1 (en) Neck movement meas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