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845A - 에너지 보존을 갖는 연속적인 데이터 전달 - Google Patents

에너지 보존을 갖는 연속적인 데이터 전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845A
KR20140035845A KR1020130109757A KR20130109757A KR20140035845A KR 20140035845 A KR20140035845 A KR 20140035845A KR 1020130109757 A KR1020130109757 A KR 1020130109757A KR 20130109757 A KR20130109757 A KR 20130109757A KR 20140035845 A KR20140035845 A KR 20140035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esentation
presentation rate
rat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1780B1 (ko
Inventor
케빈 비 스탠튼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35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buffer management, e.g. video decoder buffer or video display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81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temporal resolution, e.g. by frame ski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0/00Solving problems of bandwidth in disp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디바이스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는 적어도 제 1 제시 레이트 및 제 2 제시 레이트를 포함하는 상이한 제시 레이트에서 사용자에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임계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데이터를 제시하고, 이어서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제시 레이트는 수신된 데이터의 유형을 위해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보다 느린 레이트일 수 있고, 이는 디바이스가 디바이스 메모리 내에 수신된 데이터의 일부를 버퍼링하게 할 수 있다. 일단 버퍼링된 데이터의 양이 메모리 내의 임계 레벨에 도달하면, 디바이스는 이어서 제 2 제시 레이트로 증가할 수 있다(예를 들어, 수신된 데이터의 유형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된 제시 레이트).

Description

에너지 보존을 갖는 연속적인 데이터 전달{CONTINUOUS DATA DELIVERY WITH ENERGY CONSERVATION}
최신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표준 음성 통신을 상당히 초과하는 능력을 갖는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다양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정보의 전송 및 수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음성, 텍스트, 데이터, 멀티미디어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통신하는 능력은 예를 들어 대인 상호 작용(예를 들어, 이메일, 메시징, 소셜 미디어 등), 비즈니스, 생산성, 게임, 쇼핑 등에 관련된 새로운 기능성의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도입을 허용한다. 그 결과, 간단한 셀룰러 핸드셋이 큰 어레이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능력을 갖는 강력한 다목적 모바일 플랫폼으로 진화되어 왔다.
이전의 애플리케이션들은 이메일, 메시징, 뉴스 피드 등과 같은 기본 통신 기능성에 관련되었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들은 디바이스 내에 다양한 특징을 끌어내는 능력을 갖고 급속하게 더 진보되어 왔다. 예를 들어, 몇몇 애플리케이션은 이제 데이터를 "스트리밍"(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원격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트리밍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제시를 위한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정보와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기능성을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는 이들의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음악을 청취하고,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영화를 시청하고, 프레젠테이션, 모임, 회의 등을 보고, 듣거나 참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보존을 갖는 연속저인 데이터 전달을 위해 구성된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버퍼링과 제시 레이트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관계에 대한 구성 변화의 효과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버퍼링과 제시 레이트 사이의 다른 관계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보존을 갖는 연속적인 데이터 전달을 위한 예시적인 동작의 흐름도.
청구된 요지의 다양한 실시예의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이 이어짐에 따라,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어질 것이지만, 다수의 대안, 수정 및 변경이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현존하는 기술은 데이터 스트리밍을 용이하게 할 수 있지만, 단지 특정 제약 내에서만 이 동작을 지원한다. 일 관점에서, 최대 성능(예를 들어,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를 위한 최선의 경험)은 수신되자마자 스트리밍된 데이터의 제시를 개시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의 동작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리소스(예를 들어, 배터리 전력)에 상당한 스트레인을 부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제시에 앞서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는 것(예를 들어, 데이터의 버퍼링)은 디바이스 리소스를 보존하는 것을 도울 수 있지만, 데이터의 제시가 지연되게 한다. 이 지연 또는 지연 시간은 디바이스 고장으로 보일 수도 있어, 사용자가 데이터 스트리밍을 재시도하게 하고(더 많은 디바이스 리소스를 허비함) 또는 사용자가 디바이스 성능에 불만족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에너지 보존을 갖는 연속적인 데이터 전달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초기에, 용어가 이어지는 설명을 위한 명확성을 제공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리밍"은 원격 소스로부터 디바이스로의 데이터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전달로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가능한 전송 레이트를 갖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자기, 광학 또는 고체 상태 저장 구성 요소) 내의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얻는 것은 본 명세서에 있어서 스트리밍으로 고려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인터-IC 사운드(I2S) 입력, 디지털 비주얼 인터페이스(DVI) 입력,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입력 등을 경유하여 디바이스에 접속된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은 본 명세서에 있어서 스트리밍으로서 고려될 것이다. 디바이스는 또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인터넷-액세스 가능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스트리밍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콘텐츠와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리밍된 멀티미디어 정보의 "제시"는 스트리밍된 데이터로부터 비디오 콘텐츠를 표시하고 그리고/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는 수신된 데이터를 위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보다 느린 제시 레이트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고, 이어서 수신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메모리 내에 저장된 후에 더 빠른 제시 레이트로 전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스트리밍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디바이스 내에서 활성화될 수 있는데, 이는 적어도 몇몇 정보가 디바이스 내에서 버퍼링될 때까지 정상보다 약간 느린 레이트로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제시하도록 즉시 시작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에 있어서 지연 시간은, 데이터 제시가 스트리밍 기능이 활성화된 직후에 개시되지만 디바이스 내의 전력이 여전히 활성화시에 또한 개시된 버퍼링에 기초하여 보존될 수 있기 때문에 최소이다. 특히, 데이터 스트리밍의 활성화로부터 데이터의 버퍼링은 대량의 데이터가 동시에 프로세싱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디바이스 프로세싱 리소스가 신속하게 동작하게 하여 전력 절약 모드에서 장시간 기간 소요될 수 있게 하여,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동안에 디바이스 내의 전체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적어도 통신 모듈, 메모리 모듈 및 데이터 제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예를 들어, 원격 소스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어서 메모리 모듈 내에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제시 모듈은 하나 초과의 제시 레이트(예를 들어, 재생 속도)를 사용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가 적어도 제 1 제시 레이트 또는 제 2 제시 레이트를 사용하여 제시될 수 있는 경우에, 제 1 제시 레이트 또는 제 2 제시 레이트에서의 데이터의 제시는 예를 들어 임계 조건에 의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제시 모듈은 임계 조건의 발생까지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데이터를 제시하고, 이어서 임계 조건의 발생 후에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일한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임계 조건은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일 수 있다. 임계 조건은 또한 데이터가 디바이스 내에 수신되는 접속의 품질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제시 모듈은 제 2 제시 레이트보다 작은(예를 들어, 느린)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데이터의 제시는 데이터가 메모리 모듈에 축적되게(예를 들어, 버퍼링되게) 할 수 있다. 충분한 데이터가 버퍼링될 때(예를 들어, 임계 조건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제시는 제 2 제시 레이트로 증가될 수 있다. 더 낮은 제시 레이트에서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은 몇몇 데이터가 메모리 모듈 내에서 여전히 버퍼링되게 하면서 낮은 지연 시간을 허용한다(예를 들어, 데이터 스트리밍을 활성화한 직후에 데이터가 제시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와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 사이의 차이는 제시를 청취하고, 시청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관찰하는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지각 불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제시되는 레이트는 디바이스 하드웨어 내에(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모듈 내에) 통합된 기능성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시 모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디바이스 하드웨어가 예를 들어 임계 조건의 발생에 기초하여 제 1 제시 레이트 또는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위의 제시 레이트 제어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전반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보존을 갖는 연속적인 데이터 전달을 위해 구성된 예시적인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102) 및 데이터 소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의 예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Android
Figure pat00001
운영 체제(OS), iOS
Figure pat00002
, Blackberry
Figure pat00003
OS, Palm
Figure pat00004
OS, Symbian
Figure pat00005
OS 등에 기초하는 셀룰러 핸드셋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iPad
Figure pat00006
, Galaxy Tab
Figure pat00007
, Kindle Fire
Figure pat00008
, Microsoft Surface
Figure pat00009
등과 같은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Intel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된 저전력 칩셋을 포함하는 Ultrabook
Figure pat00010
, 넷북,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통상적인 고정형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예를 들어, 호스트(104), 통신 모듈(114) 및 데이터 제시 모듈(118)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4) 및 데이터 제시 모듈(118)은 호스트(104)로부터 분리되지만 그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 모듈의 하나 또는 모두는 호스트(104) 내에 합체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시스템(100)에서, 디바이스(102)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예를 들어, 통신 모듈(114)을 경유하여] 적어도 데이터 소스(120)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소스(120)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디바이스(102)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원격 위치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소스(12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디바이스(102)에 데이터(예를 들어,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인터넷을 경유하여 액세스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서버일 수 있다.
호스트(104)는 예를 들어, 프로세싱 모듈(106), 메모리 모듈(108), 전원 모듈(110),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12)[통신 모듈(114)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6)[통신 모듈(114)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모듈(106)은 개별 구성 요소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단일 구성 요소로[예를 들어, 시스템-온-칩(SOC) 구성으로] 구체화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코어 및 임의의 프로세서-관련 지원 회로(예를 들어, 브리징 인터페이스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프로세서는 Pentium, Xeon, Itanium, Celeron, Atom, Core i-시리즈 제품군의 것들을 포함하는 Intel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다양한 x86-기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원 회로의 예는 프로세싱 모듈(106)이 상이한 버스 상에서 상이한 속도로 디바이스(102)에서 동작할 수 있는 다른 시스템 구성 요소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칩셋(예를 들어, Intel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Northbridge, Southbridg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원 회로와 통상적으로 연관된 기능성의 일부 또는 모두는 또한 SOC 아키텍처(예를 들어, Intel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Sandy Bridge SOC 집적 회로)에서와 같은 프로세서와 동일한 물리적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싱 모듈(106)은 디바이스(102) 내의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프로세싱 모듈(106)이 데이터 판독, 데이터 기록, 데이터 프로세싱, 데이터 공식화, 데이터 컨버팅, 데이터 변환 등에 관련된 액티비티를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예를 들어, 명령, 데이터 등)는 메모리 모듈(108)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모듈(106)은 수신된 데이터가 제시되는 레이트(예를 들어, 렌더링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갖고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 모듈(108)은 고정 또는 제거 가능 포맷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를 포함할 수 있다. RAM은 예를 들어 정적 RAM(SRAM) 또는 동적 RAM(DRAM)과 같은 디바이스(102)의 동작 중에 정보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ROM은 디바이스(102)가 활성화될 때 명령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바이오스 메모리, 전자 프로그램 가능 ROM(EPROM)과 같은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플래시 등과 같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고정 및/또는 제거 가능 메모리는 플로피 디스크,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자기 메모리, 고체 상태 플래시 메모리(예를 들어, eMMC 등)와 같은 전자 메모리, 제거 가능 메모리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예를 들어, uSD, USB 등), 콤팩트 디스크-기반 ROM(CD-ROM) 등과 같은 광학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모듈(108)은 프로세싱 모듈(106)에 의해 취해진 동작을 경유하여 또는 대안적으로 직접 인터-모듈 상호 작용을 경유하여 액세스될 수 있다[예를 들어, 데이터는 메모리 모듈(108)로부터 판독되거나 그에 기록될 수 있음]. 예를 들어, 직접 메모리 액세스(DMA)는 디바이스(102) 내의 다른 모듈[예를 들어, 모듈(110 내지 118)]이 메모리 모듈(108)로부터 직접 판독되고 그리고/또는 직접 기록될 수 있는 기술이다.
전원 모듈(110)은 내부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 및/또는 외부 전원(예를 들어, 전력 그리드, 전기 기계 또는 태양 발전기 등) 및 동작을 위해 요구되는 전력을 디바이스(102)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관련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12)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는 통신 모듈(114)을 위한 패킷 라우팅 및 다른 제어 기능을 취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이더넷, 범용 직렬 버스(USB), 파이어와이어, I2S, DVI, HDMI 등과 같은 직렬 및 병렬 유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밀접 근접도 무선 매체[예를 들어, RF 식별(RFID)과 같은 무선 주파수(RF) 또는 근거리 통신(NFC) 표준, 적외선(IR), 광학 문자 인식(OCR), 자기 문자 감지 등에 기초하여], 단거리 무선 매체[예를 들어, 블루투스,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Wi-Fi 등] 및 장거리 무선 매체(예를 들어, 셀룰러, 위성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12)은 통신 모듈(114)에서 활성인 무선 통신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12)은 예를 들어 전송을 대기하는 메시지의 상대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통신 모듈(114)을 위한 액티비티를 스케쥴링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6)은 예를 들어 다양한 입력 메커니즘(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스위치, 버튼, 노브, 키보드, 스피커, 터치 감응식 표면, 이미지를 캡처하고 그리고/또는 근접도, 거리, 모션, 제스처 등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 및 출력 메커니즘(예를 들어, 스피커, 디스플레이, 조명/점멸 지시기, 진동, 모션 등을 위한 전기 기계적 구성 요소)과 같은 디바이스(102)와 사용자가 상호 작용하게 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6)은 데이터 제시 모듈(118)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거나 가능하게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제시 모듈(118)은 메모리 모듈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예를 들어 프로세서9106)를 경유하여 또는 DMA와 같은 기술을 통해 메모리 모듈(108)과의 직접 상호 작용을 경유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6)에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경유하여 디바이스(102)의 사용자에 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제시 모듈(118)은 디바이스(102)가 데이터 소스(1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하게 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는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콘텐츠와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기초로 수신될 수 있다. 데이터 제시 모듈(118)은 이어서 멀티미디어 정보가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모듈(116)의 하나 이상의 요소를 경유하여 디바이스(102)의 사용자에 제시되게 할 수 있다[예를 들어, 비디오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고, 오디오는 디바이스(102)에 접속된 디바이스 스피커 또는 다른 오디오 재생 장치를 통해 재생될 수 있는 등임]. 멀티미디어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시되게 할 때에, 데이터 제시 모듈(118)은 콘텐츠가 제시되는 속도(예를 들어, 레이트), 비디오의 외관, 오디오의 볼륨 및 다양한 다른 제시의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모듈(106)이 데이터 제시 레이트 제어 기능성을 통합할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실시예에서, 데이터 제시 모듈(118)의 일부 또는 모두는 프로세싱 모듈(106)이 제 1 제시 레이트 또는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 소프트웨어로서(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부분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버퍼링과 제시 레이트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차트(2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차트(200)는 좌측 수직축 상의 버퍼링된 데이터의 양[예를 들어, 메모리 모듈(108)에 저장된 데이터] 및 우측 수직축 상의 데이터가 제시되는 레이트[예를 들어, 데이터 제시 모듈(118)에 의해]와 관한 수평축 상의 시간을 도시한다. 인터리빙된 일점쇄선("점쇄선")은 버퍼링된 데이터의 양에 대응하고, 반면에 제시 레이트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차트(200) 내의 버퍼링된 데이터 및 제시 레이트 라인은 실제 축적대로 도시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링된 데이터와 제시 레이트 사이의 상대 거동을 표현하기 위해 단지 예로서 제공된 것이라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데이터의 수신이 디바이스(102)에서 개시될 때(예를 들어, 시간 0에), 수신된 데이터는 "정상" 레이트(예를 들어, 수신된 콘텐츠의 유형의 제시되는 통상의 레이트)보다 작은 제 1 제시 레이트(202)에서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가 수신되면, 비디오의 렌더링 레이트는 통상의 비디오 렌더링 레이트에 비해 5 퍼센트(5%) 감소될 수 있다. 비디오 렌더링의 레이트는 또한 다른 레이트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예를 들어, 레이트의 실제 감소는 수신되는 데이터의 유형, 어떻게 수신된 데이터가 이용되는지 등에 대응할 수 있음). 예를 들어, 레이트의 감소 목표는 사용자의 시청 및/또는 청취 경험을 상당히 변경하지 않으면서 디바이스 내에 전력을 절약하는 것일 수도 있다. 제시 레이트의 작은 감소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분간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낮은 제시 레이트(202)의 결과로서, 버퍼링된 데이터가 축적되기 시작하여, 사전 결정된 임계 조건 레벨(204)로 상승할 수 있다. 임계 조건 레벨(204)은 예를 들어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함으로써 보존될 에너지의 양과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제공된 감소된 성능 사이의 타협에 기초할 수 있다. 그러나, 임계 조건 레벨(204)은 단지 이 목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가 다른 기준에 기초하는 임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임계 조건 레벨(204)은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2)의 조건, 스트리밍 데이터 등에 따라 가변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임계치는 데이터가 수신되는 접속의 불안정성(예를 들어, 지터)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데이터 제시에 대한 불안정성의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임계 조건 레벨(204)은 접속의 불안정성이 감퇴하거나 해결될 때까지 제시 레이트를 낮게(예를 들어, 제 1 제시 레이트로)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3G/4G 무선 링크를 통해 스트리밍하면, 임계 조건 레벨(204)은 또한 초기 제시 레이트 및/또는 미래의 콘텐츠의 수신에 대한 불확실성 및/또는 미래의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는 레이트에 기초할 수 있다. "언더플로우"의 가능성(예를 들어, 제시 레이트보다 낮은 레이트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에 의한)은 콘텐츠의 초기 제시가 스트리밍된 데이터의 수신 직후에 발생할 수 있으면 높을 수 있다. 네트워크 링크가 매우 손실성일 수 있는 경우에(예를 들어, 몇몇 무선 접속), 시작시에 제시 레이트를 감소시킴으로써 언더플로우의 가능성을 낮추고 이어서 적절한 양의 데이터가 가능한 네트워크 문제점을 고려하기 위해 버퍼링된 후에 제시 레이트를 상승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버퍼의 데이터의 양이 시간 순간 206에 대응하는 임계 조건 레벨(204)에 도달할 때, 제시 레이트는 점진적으로 증가되기 시작할 수 있다. 제시 레이트는 시간 경과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될 수 있어,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제시 레이트 사이의 지각된 차이가 사용자에 대해 최소화된다. 시간 순간 206에 시작하여 제시 레이트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은 저장된 데이터가 메모리로부터 소비되는 레이트를 유사하게 증가시킬 것이고, 그 결과 데이터가 버퍼링되는 레이트가 시간 순간 206에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시간 순간 208에, 제시 레이트는 제 2 제시 레이트(210)에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정상" 제시 레이트(예를 들어, 수신된 데이터의 유형이 통상적으로 제시되는 제시 레이트)일 수 있다. 버퍼링된 데이터의 양은 212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레벨로 유지될 수 있어, 프로세싱 모듈(106)이 활성 모드에 진입하고, 제시를 위한 준비시에 데이터의 큰 청크를 프로세싱하고, 이어서 전력 절약 모드로 복귀하게 하는데, 이는 디바이스(102) 내의 전력을 보존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제시 모듈(118)은 프로세싱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고[예를 들어, DMA를 경유하여 메모리 모듈(108)로부터 직접], 제 2 제시 레이트(21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6)의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더 큰 정확도가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시에 요구될 수도 있고, 따라서 제시 레이트 감소는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정보 유형에 기초하여, 사용자 구성에 기초하여(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력 보존에 비해 "고품질" 제시를 자동으로 선택함) 자동으로 제한될 수 있다. 제시 레이트 감소가 단지 약간의 강하만이 제시 레이트에 실현되도록(예를 들어, 302에 도시된 실선) 제한되는 예가 도 3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음악 공연이 가수, 악기에 의한 반주의 목적으로 스트리밍되면, 음악 공연이 고품질 방식으로 제시되도록 레이트 감소량을 제한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레이트가 감소되게 하는 것은 스트리밍된 음악 공연의 피치, 인토네이션 등을 약간 변경할 수 있고, 반주자의 실제 연주 및/또는 학습 프로세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디바이스(102)는 단지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제한된 리소스만을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메모리 모듈(108) 내의 프리 메모리]. 그 결과, 제시 레이트 감소량을 한정하는 것은 제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예를 들어, 네트워크 지연 또는 지터가 제시시에 중단을 유발할 수 있음), 이는 디바이스(102) 내의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과장하지 않기 위해 또한 요구될 수도 있다.
제시 레이트 감소량을 한정하는 이유에 무관하게, 제시 레이트 감소를 제한하는 가능한 효과는 304에 실선으로 도시된 데이터 버퍼링의 변화에 도시되어 있다. 더 높은 제시 레이트는 더 만은 수신된 데이터를 소비할 것이고, 따라서 데이터는 더 느리게 버퍼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시 레이트는 더 긴 시간 동안(예를 들어, 시간 순간 306까지) 감소된체로 유지될 수 있고 여기서 이어서 정상 제시 레이트까지 상승될 수 있다(예를 들어, 시간 순간 308). 이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은 더 큰 제시 정확도를 야기할 수 있지만, 제시의 안정성은 더 긴 시간 기간 동안[예를 들어, 버퍼가 시간 순간 308에 일정한 레벨(212)에 도달할 때까지] 네트워크 접속 문제점에 더 취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이한 방식으로 제 1 제시 레이트(202)로부터 제 2 제시 레이트(210)로 제시 레이트를 증가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인 제시 레이트 상승의 예가 도 4에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수신이 디바이스(102)에서 시작한 직후에, 제시 레이트는 제 2 제시 레이트(210)(예를 들어, 정상 제시 레이트)가 402에서 얻어질 때까지 포물선 레이트 증가로 제 1 제시 레이트(202)로부터 증가하기 시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데이터가 버퍼링되는 레이트는 초기에 높을 수 있지만, 버퍼링된 데이터가 402에서 일정한 레벨(212)에 도달할 때까지 제시 레이트의 함수로서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물선 레이트 증가의 장점은 제시 레이트로의 변화가 일정하고 평활한 것이고, 이는 제시를 관찰할 때 사용자가 이들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더 어렵게 할 수도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서, 2개 초과의 제시 레이트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시 레이트는 시스템(100)의 구성에 기초하여 초기의 최저속 레이트로부터 최고속(예를 들어, 정상) 레이트로 임의의 수의 제시 레이트를 통해 통과할 수 있다. 2개 초과의 제시 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102)의 능력에 의존할 수 있다. 2개 초과의 제시 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은 예를 들어 레이트 증가를 더 점진적이게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지각된 제시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를 들어 불안정한 데이터 스트림 조건을 고려하도록 데이터의 제시를 제어하기 위한 더 많은 융통성을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제 2 제시 레이트(예를 들어, 정상 제시 레이트)로 증가한 후에 제시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유형의 네트워크 링크로부터 다른 네트워크 링크로(예를 들어, 3G에서 WLAN) 변경, 네트워크 링크의 불안정성의 검출 등은 가능한 언더플로우를 고려하기 위해 버퍼링된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킬 필요성을 지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시 레이트는 디바이스(102) 내에 버퍼링된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감소될 수 있다. 이는 디바이스(102)가 제시를 정지시키고 대기 또는 "버퍼링" 스크린 등을 표시하는 현존하는 디바이스에 대조적으로 데이터 언더플로우가 발생하더라도 제시를 계속할 수 있다. 게다가, 제시 레이트의 변화는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안정성, 조건 등의 변화를 감지함에 따라 정상 제시 레이트와 더 낮은 제시 레이트 사이에서 계속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시 레이트의 감소는 알고리즘 프로세싱의 사용을 통해 최소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프로세싱 알고리즘은 오디오 정보의 피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오디오 정보(예를 들어, 음악, 비디오 사운드 트랙 등)의 "템포"를 변화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현재 사용중인 알고리즘의 예는 "어메이징 슬로우 다우너(Amazing Slow Downer)"이다. 이 기술은 제시 레이트를 감소하는 효과를 차단하도록 이용될 수 있어, 제시의 품질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데이터 버퍼링이 발생하게 한다. 그 결과,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유도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실제로 정상 레이트보다 느리게 제시되는 동안 사용자에게 완전히 정상인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보존을 갖는 연속적인 데이터 전달을 위한 예시적인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동작 500에서 데이터 수신이 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이 디바이스에서 활성화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어서 수신된 데이터를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제시하도록 구성된다(예를 들어,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스트리밍하는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는 동작 502에서 제 1 제시 레이트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초기에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제시 레이트는 예를 들어 수신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디바이스의 메모리 내에서 버퍼링될 수 있게 하는 감소된 제시 레이트일 수 있다. 동작 504에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링된 데이터의 양이 사전 결정된 레벨에 도달했는지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버퍼링된 데이터가 임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 수신된 데이터는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계속 제시될 수 있다. 다르게는, 버퍼링된 데이터가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동작 506에서, 수신된 데이터는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제시 레이트는 수신된 데이터 유형의 데이터가 통상적으로 디바이스 상에 제시되는 제시 레이트일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동작을 도시하고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동작의 모두가 다른 실시예를 위해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제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동작 및/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동작은 임의의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지만, 여전히 본 발명에 완전히 따른다. 따라서, 하나의 도면에 정확하게 도시되지 않은 특징 및/또는 동작에 관련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주 및 내용 내에서 간주된다.
본 명세서의 임의의 실시예에 사용될 때, 용어 "모듈"은 임의의 전술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또는 회로를 칭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상에 기록된 소프트웨어 패키지, 코드, 명령, 명령 세트 및/또는 데이터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펌웨어는 메모리 디바이스 내에 하드 코딩된(예를 들어, 비휘발성) 코드, 명령 또는 명령 세트 및/또는 데이터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회로"는 본 명세서의 임의의 실시예에 사용될 때, 예를 들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유선 회로, 프로그램 가능 회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개별 명령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세서, 상태 머신 회로 및/또는 프로그램 가능 회로에 의해 실행된 명령을 저장하는 펌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은 집합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예를 들어 집적 회로(IC), 시스템 온-칩(SoC),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서버, 스마트폰 등과 같은 더 큰 시스템의 부분을 형성하는 회로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동작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을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그 위에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서버 CPU, 모바일 디바이스 CPU 및/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동작은 하나 초과의 상이한 물리적 위치에서 프로세싱 구조와 같은 복수의 물리적 디바이스를 가로질러 분배될 수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저장 매체는 임의의 유형의 탠저블 매체,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학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콤팩트 디스크 재기록 가능(CD-RW) 및 자기 광학 디스크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디스크, 반도체 디바이스, 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ROM), 동적 및 정적 RAM과 같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플래시 메모리, 고체 상태 디스크(SSD),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보안 디지털 입력출력 카드(SDIO) 카드, 자기 또는 광학 카드 또는 전자 명령을 저장하기 위해 적합한 임의의 유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프로그램 가능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너지 보존을 갖는 연속적인 데이터 전달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디바이스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사용자에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는 적어도 제 1 제시 레이트 및 제 2 제시 레이트를 포함하는 상이한 제시 레이트에서 사용자에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임계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데이터를 제시하고, 이어서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제시 레이트는 수신된 데이터의 유형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보다 느린 레이트일 수 있고, 이는 디바이스가 디바이스 메모리 내에 수신된 데이터의 일부를 버퍼링하게 할 수 있다. 일단 버퍼링된 데이터의 양이 메모리 내의 임계 레벨에 도달하면, 디바이스는 이어서 제 2 제시 레이트(예를 들어, 수신된 데이터의 유형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된 제시 레이트)로 증가될 수 있다.
이하의 예가 다른 실시예에 속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적어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과,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모듈과, 적어도 제 1 제시 레이트 및 제 2 제시 레이트를 포함하는 상이한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제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수신된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이 비디오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 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데이터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통신 모듈에 수신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데이터 제시 모듈이 임계 조건이 발생할 때까지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고, 이어서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임계 조건이 메모리 모듈에 수신된 데이터의 양인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임계 조건이 통신 모듈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접속을 위한 품질에 기초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제 1 제시 레이트가 제 2 제시 레이트보다 작은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와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 사이의 차이가 제시를 시청하는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실질적으로 지각 불가능한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프로세싱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 제시 모듈은 프로세싱 모듈이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게 하고 이어서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방법이 제시된다. 방법은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디바이스 메모리 내에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적어도 제 1 제시 레이트 및 제 2 제시 레이트를 포함하는 상이한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방법은, 수신된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이 비디오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 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방법은, 데이터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수신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방법은, 수신된 데이터가 임계 조건이 발생할 때까지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제시되고, 이어서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제시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예시적인 방법은, 임계 조건이 디바이스 메모리 내에 수신된 데이터의 양인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예시적인 방법은, 임계 조건이 데이터가 디바이스에 수신되는 접속을 위한 품질에 기초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방법은, 제 1 제시 레이트가 제 2 제시 레이트보다 작은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예시적인 방법은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와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 사이의 차이가 제시를 시청하는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실질적으로 지각 불가능한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디바이스 및 데이터 소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시되고, 시스템은 상기 예시적인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를 수행하도록 배열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예시적인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를 수행하도록 배열된 칩셋이 제시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것에 응답하여,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예시적인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복수의 명령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 가능 매체가 제시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에너지 보전을 갖는 연속적인 데이터 전달을 위해 구성된 디바이스가 제시되고, 디바이스는 상기 예시적인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를 수행하도록 배열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시스템이 상기 예시적인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그 위에 저장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가 제시된다. 디바이스는 적어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과,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모듈과, 적어도 제 1 제시 레이트 및 제 2 제시 레이트를 포함하는 상이한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제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수신된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이 비디오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 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데이터 제시 모듈이 임계 조건이 발생할 때까지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고, 이어서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임계 조건이 메모리 모듈에 수신된 데이터의 양인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임계 조건이 통신 모듈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접속을 위한 품질에 기초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제 1 제시 레이트가 제 2 제시 레이트보다 작고,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와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 사이의 차이가 제시를 시청하는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실질적으로 지각 불가능한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방법이 제시된다. 방법은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디바이스 메모리 내에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적어도 제 1 제시 레이트 및 제 2 제시 레이트를 포함하는 상이한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방법은, 수신된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이 비디오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 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방법은, 수신된 데이터가 임계 조건이 발생할 때까지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제시되고, 이어서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제시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예시적인 방법은, 임계 조건이 디바이스 메모리 내에 수신된 데이터의 양인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예시적인 방법은, 임계 조건이 데이터가 디바이스에 수신되는 접속을 위한 품질에 기초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방법은, 제 1 제시 레이트가 제 2 제시 레이트보다 작고,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와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 사이의 차이가 제시를 시청하는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실질적으로 지각 불가능한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디바이스 및 데이터 소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시되고, 시스템은 상기 예시적인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를 수행하도록 배열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예시적인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를 수행하도록 배열된 칩셋이 제시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것에 응답하여,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예시적인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복수의 명령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 가능 매체가 제시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적어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과,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모듈과, 적어도 제 1 제시 레이트 및 제 2 제시 레이트를 포함하는 상이한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제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수신된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이 비디오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 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데이터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데이터 제시 모듈이 임계 조건이 발생할 때까지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고, 이어서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임계 조건이 메모리 모듈에 수신된 데이터의 양인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임계 조건이 통신 모듈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접속을 위한 품질에 기초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제 1 제시 레이트가 제 2 제시 레이트보다 작은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와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 사이의 차이가 제시를 시청하는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실질적으로 지각 불가능한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디바이스는 프로세싱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 제시 모듈은 프로세싱 모듈이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게 하고 이어서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디바이스 메모리 내에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적어도 제 1 제시 레이트 및 제 2 제시 레이트를 포함하는 상이한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방법은, 수신된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이 비디오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 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방법은, 데이터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수신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방법은, 수신된 데이터가 임계 조건이 발생할 때까지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제시되고, 이어서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제시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예시적인 방법은, 임계 조건이 디바이스 메모리 내에 수신된 데이터의 양인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예시적인 방법은, 임계 조건이 데이터가 디바이스에 수신되는 접속을 위한 품질에 기초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방법은, 제 1 제시 레이트가 제 2 제시 레이트보다 작은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예시적인 방법은,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와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 사이의 차이가 제시를 시청하는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실질적으로 지각 불가능한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이 제시된다. 시스템은 디바이스 내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디바이스 메모리 내에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과, 적어도 제 1 제시 레이트 및 제 2 제시 레이트를 포함하는 상이한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시스템은, 수신된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은 비디오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 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시스템은, 데이터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수신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시스템은, 수신된 데이터가 임계 조건이 발생할 때까지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제시되고, 이어서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제시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예시적인 시스템은, 임계 조건이 디바이스 메모리 내에 수신된 데이터의 양인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예시적인 시스템은, 임계 조건이 데이터가 디바이스에 수신되는 접속을 위한 품질에 기초하는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시스템은, 제 1 제시 레이트가 제 2 제시 레이트보다 작은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예시적인 시스템은,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와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 사이의 차이가 제시를 시청하는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실질적으로 지각 불가능한 것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이용되어 있는 용어 및 표현은 한정이 아니라 설명의 견지에서 사용된 것이고, 이러한 용어 및 표현의 사용시에 도시되고 설명된 특징(또는 그 부분)의 임의의 등가물을 배제하는 어떠한 의도도 없고, 다양한 수정이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이 인식된다. 이에 따라, 청구범위는 모든 이러한 등가물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100: 시스템 102: 디바이스
104: 호스트 106: 프로세싱 모듈
108: 메모리 모듈 110: 전원 모듈
112: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 114: 통신 모듈
116: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118: 데이터 제시 모듈
120: 데이터 소스

Claims (25)

  1. 적어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모듈과,
    적어도 제 1 제시 레이트(presentation rate) 및 제 2 제시 레이트를 포함하는 상이한 제시 레이트에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present)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제시 모듈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은 비디오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 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시 모듈은, 임계 조건이 발생할 때까지 상기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고, 이어서 상기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조건은 상기 메모리 모듈에 수신된 데이터의 양인
    디바이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조건은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접속을 위한 품질에 기초하는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시 레이트는 상기 제 2 제시 레이트보다 작은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시 레이트에서의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와 상기 제 2 제시 레이트에서의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 사이의 차이는 상기 제시를 시청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지각 불가능한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제시 모듈은 상기 프로세싱 모듈이 상기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게 하고 이어서 상기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0.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디바이스 메모리 내에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적어도 제 1 제시 레이트 및 제 2 제시 레이트를 포함하는 상이한 제시 레이트에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는 단계는 비디오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 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수신되는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임계 조건이 발생할 때까지 상기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제시되고, 이어서 상기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제시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조건은 상기 디바이스 메모리 내에 수신된 데이터의 양인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조건은 상기 데이터가 상기 디바이스에 수신되는 접속을 위한 품질에 기초하는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시 레이트는 상기 제 2 제시 레이트보다 작은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시 레이트에서의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와 상기 제 2 제시 레이트에서의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 사이의 차이가 상기 제시를 시청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지각 불가능한
    방법.
  18. 명령어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저장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과,
    디바이스 메모리 내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과,
    적어도 제 1 제시 레이트 및 제 2 제시 레이트를 포함하는 상이한 제시 레이트에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는 동작을 야기하는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제시하는 동작은 비디오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 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수신되는
    시스템.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임계 조건이 발생할 때까지 상기 제 1 제시 레이트에서 제시되고, 이어서 상기 제 2 제시 레이트에서 제시되는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조건은 상기 디바이스 메모리 내에 수신된 데이터의 양인
    시스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조건은 상기 데이터가 상기 디바이스에 수신되는 접속을 위한 품질에 기초하는
    시스템.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시 레이트는 상기 제 2 제시 레이트보다 작은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시 레이트에서의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와 상기 제 2 제시 레이트에서의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제시 사이의 차이는 상기 제시를 시청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지각 불가능한
    시스템.
KR1020130109757A 2012-09-14 2013-09-12 에너지 보존을 갖는 연속적인 데이터 전달 KR101521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616,823 2012-09-14
US13/616,823 US20140082504A1 (en) 2012-09-14 2012-09-14 Continuous data delivery with energy conserv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845A true KR20140035845A (ko) 2014-03-24
KR101521780B1 KR101521780B1 (ko) 2015-05-20

Family

ID=4908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757A KR101521780B1 (ko) 2012-09-14 2013-09-12 에너지 보존을 갖는 연속적인 데이터 전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082504A1 (ko)
EP (1) EP2709371A1 (ko)
JP (1) JP2014059866A (ko)
KR (1) KR101521780B1 (ko)
CN (1) CN103685229A (ko)
TW (1) TWI6328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3115B2 (en) * 2014-07-25 2016-09-13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circuit card insertion tracking
JP6421920B2 (ja) * 2014-09-03 2018-11-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JP6391532B2 (ja) * 2015-05-20 2018-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430463A (zh) * 2015-11-30 2016-03-23 四川诚品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公共交通车载电视的播放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5311B2 (ja) * 2002-06-03 2007-06-06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配信システム
CN103037254B (zh) * 2004-06-07 2016-07-13 斯灵媒体公司 个人媒体广播系统
US20060092918A1 (en) * 2004-11-04 2006-05-04 Alexander Talalai Audio receiver having adaptive buffer delay
JP5123472B2 (ja) * 2005-03-09 2013-01-2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
JP2008005392A (ja) * 2006-06-26 2008-01-10 Kddi Corp 通信端末装置およびバッファ制御方法
US7817557B2 (en) * 2006-08-29 2010-10-19 Telesector Resources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buffering audio/video data
EP2180708A1 (en) * 2008-10-22 2010-04-28 TeliaSonera AB Method for streaming media playback and terminal device
US8978077B2 (en) * 2009-02-23 2015-03-10 Qualcomm Incorporated Video content presentation
JP2011049640A (ja) * 2009-08-25 2011-03-10 Nec Access Technica Ltd ファクシミリ受信装置、ファクシミリ受信方法およびファクシミリ受信プログラム
JP2012109810A (ja) * 2010-11-17 2012-06-07 Panasonic Corp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携帯電話及び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780B1 (ko) 2015-05-20
EP2709371A1 (en) 2014-03-19
JP2014059866A (ja) 2014-04-03
US20140082504A1 (en) 2014-03-20
TW201419900A (zh) 2014-05-16
TWI632816B (zh) 2018-08-11
CN103685229A (zh)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25906B (zh) 扩展语音识别的周期的方法和产品以及信息处理设备
US20170269673A1 (en) Power-gating media decoder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KR101770932B1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상시 연결형 오디오 제어
JP6883119B2 (ja) オーディオ透かしによるキーフレーズ検出
KR101882399B1 (ko) 액티비티 협력을 위한 동반 애플리케이션
JP2019185011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をウェイクアップする処理方法、装置及び記憶媒体
WO2018082412A1 (zh) 电子设备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400024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mage data for presentation on a display
RU261908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множества видео
US201700832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mory frequency using feed-forward compression statistics
US9806795B2 (en) Automated earpiece cache management
CN107045383B (zh) 通过监视移动应用的活动来延长电池寿命的系统和方法
US10007613B2 (en) Reconfigurable fetch pipeline
WO2019227308A1 (zh) 一种从音视频文件中选择音轨的方法及装置
KR101521780B1 (ko) 에너지 보존을 갖는 연속적인 데이터 전달
US20190012186A1 (en) Determining a startup condition in a dormant state of a mobile electronic device to affect an initial active state of the device in a transition to an active state
CN111383634B (zh) 根据基于声音的机制停用智能显示设备的显示器的方法及系统
TWI772438B (zh) 用於計算設備中的動態緩衝器大小設定的系統和方法
US20240064362A1 (en) Playing media content in response to triggers
US9978375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phonetic data
WO2022188152A1 (en) Reduced-latency speech processing
CN117251585A (zh) 基于用户存在的媒体管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