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620A -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620A
KR20140035620A KR1020120102075A KR20120102075A KR20140035620A KR 20140035620 A KR20140035620 A KR 20140035620A KR 1020120102075 A KR1020120102075 A KR 1020120102075A KR 20120102075 A KR20120102075 A KR 20120102075A KR 20140035620 A KR20140035620 A KR 20140035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glass
glass window
protective devic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889B1 (ko
Inventor
윤병욱
김상훈
이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2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889B1/ko
Priority to EP13184195.9A priority patent/EP2709283B1/en
Priority to US14/026,974 priority patent/US9231640B2/en
Priority to CN201310418052.6A priority patent/CN103685627B/zh
Publication of KR20140035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부합하면서도, 글라스 케이스 및 내외부에 실장된 부품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휴대단말의 견고성과 미려함을 제고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는 휴대단말의 일면에 수용되며 글라스로 구비되는 글라스 윈도우 및 상기 휴대단말의 타면에 수용되며 글라스로 구비되는 글라스 케이스를 포함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윈도우의 테두리를 따라 수용되고, 일부가 상기 글라스 윈도우의 표면과 동시에 접하는 접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가 0도 이상인 제1 주변 보호부 및 상기 글라스 케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수용되고, 일부가 상기 글라스 케이스의 표면과 동시에 접하는 접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가 0도 이상인 제2 주변 보호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A PROTECTIV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부합하면서도, 글라스 케이스 및 내외부에 실장된 부품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휴대단말의 견고성과 미려함을 제고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 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어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는 데이터 입출력 장치, 스피커 장치, 마이크 장치, 안테나 장치 등을 필수적으로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 장치(10)는, 최근 보급이 확장되고 있는 스마트폰으로서, 이동 중에 기지국을 통해 일반전화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와 통화할 수 있는 휴대폰 기능과 무선 인터넷이 접속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 지원 기능을 통합시킨 휴대통신단말기이다.
상기 컴퓨터 지원 기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휴대단말(10)의 앞 면 전면(全面)이 거의 액정(12)으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액정(12)을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이나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액정의 자체 강도를 높여야 한다.
즉, 스마트폰은 여타 다른 휴대폰과는 달리 컴퓨터 지원기능이 디스플레이되는 액정(12) 자체가 스마트폰의 기능을 구현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장기간 깨끗하면서도 외부충격에 견딜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스마트폰의 액정(12)은 통상 유리판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 폰은 액정이 유리판으로 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폰의 내부 및 외부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못하다.
때문에 스마트 폰의 낙하 등에 의한 세트 외관 전면에 강한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 타격을 적절히 흡수하고 분산할 수 있는 외관 설계가 없어, 인가된 충격이 모두 스마트 폰의 커버 케이스와 메인부인 디스플레이 영역 및 내부 부품으로 전달되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전달된 충격에 의한 내부 부품과 커버 케이스의 파손에 대비하여, 스마트 폰 내부에 특화된 보강 구조가 별도로 설치되는 방법도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휴대단말의 두께 및 부피 등을 증가시켜 휴대단말의 소형화, 경량화 추세에 제약을 주게 된다.
따라서 휴대단말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부합하면서도, 휴대단말의 커버 케이스 및 내외부에 실장된 부품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휴대단말의 견고성과 미려함을 제고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의 개발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의 내외부에 실장된 부품 및 외부 케이스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단말을 보호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부합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의 견고성과 미려함을 제고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는 휴대단말의 일면에 수용되며 글라스로 구비되는 글라스 윈도우 및 상기 휴대단말의 타면에 수용되며 글라스로 구비되는 글라스 케이스를 포함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윈도우의 테두리를 따라 수용되고, 일부가 상기 글라스 윈도우의 표면과 동시에 접하는 접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가 0도 이상인 제1 주변 보호부 및 상기 글라스 케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수용되고, 일부가 상기 글라스 케이스의 표면과 동시에 접하는 접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가 0도 이상인 제2 주변 보호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장치는,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일면에 수용되고, 테두리가 중앙보다 낮은 삼차원 곡면의 글라스로 구비되는 글라스 윈도우부와,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타면에 수용되고, 테두리가 중앙보다 낮은 삼차원 곡면의 글라스로 구비되는 글라스 케이스부 및 상기 글라스 윈도우부 및/또는 글라스 케이스부의 테두리를 감싸고,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모서리에 대면하는 부분이 상기 글라스 윈도우부 및/또는 글라스 케이스부의 만곡점보다 돌출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주변 보호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는 휴대단말에 수용되고, 테두리가 중앙보다 낮은 삼차원 곡면 형태의 글라스로 구비되는 글라스 윈도우 및 글라스 케이스를 포함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윈도우부 및/또는 글라스 케이스부의 테두리를 감싸고,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모서리에 대면하는 부분이 상기 글라스 윈도우부 및/또는 글라스 케이스부의 만곡점보다 돌출된 제1 보호부 및 상기 글라스 윈도우부 및/또는 글라스 케이스부의 상면에 수용되고, 이에 수용된 표면보다 돌출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 보호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는, 휴대단말이 낙하 또는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여 휴대단말의 내외부에 실장된 부품, 윈도우 및 케이스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단말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부합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의 견고성과 미려함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단말의 전면, 배면 및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의 일부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글라스 케이스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글라스 케이스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케이스에 구비된 제2 돌출 보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케이스에 구비된 제2 돌출 보호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은 터치스크린을 가지고,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액세서리는 휴대 단말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휴대 단말의 부속품으로써 예컨대, 터치스크린에 터치를 위한 펜, 헤드폰, 키패드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용 보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래 설명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휴대단말은, 태블릿 PC, 이동 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단말기, EDGE(Enhanced Data GSM Envisonment)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단말기 및 ATM(Automated Teller Machine)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글라스 윈도우에 수용되는 제1 주변 보호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의 일부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글라스 케이스가 수용된 상기 휴대단말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에 수용된 글라스 윈도우(102)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라스 윈도우(102)는 휴대단말의 전면(前面)에 수용될 수 있다. 글라스 윈도우의 하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기타 입출력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글라스 윈도우(102)는, 테두리가 중앙보다 낮은 삼차원 곡면 형태의 글라스(glass)로 구비될 수 있다.
글라스 윈도우(102)는, 무기물 혹은 화합물로 코팅될 수 있다.
또는, 글라스 윈도우(102)는, 강화유리, 광학 성질을 가지는 고분자 필름 및 판재 그리고 이들의 복합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휴대단말이 낙하 또는 충돌 시 충격에 의한 글라스 케이스(202)의 균열(crack) 및 내부에 구비된 부품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분자 필름이 연필경도 H 내지 B로 코팅될 수 있다.
제1 주변 보호부(101)는, 상기 휴대단말의 모서리(104)에 대면하는 일부가 글라스 윈도우(102)의 표면보다 돌출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주변 보호부(101)에 대해서는 이하 참조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주변 보호부(101)는 에이 비 에스(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A), 폴리카보네이트(PC), 변성 폴리옥사이드(M-PRO), 폴리 부틸렌테레프 탈레이트(PBT), 폴리이미드(PI),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케톤(PEK), 액정폴리 에스테르(LCP), 교대배열 폴리프로필렌(SPS), 러버(rubber), 실리콘, 고무, 금속, 무기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성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주변 보호부(101)는, 글라스 윈도우(102)의 테두리를 둘러싸고, 일부가 글라스 윈도우(102)의 표면과 동시에 접하는 접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θ)가 0도 내지 10도인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표면이 곡면인 글라스 윈도우(102)의 만곡점과 상기 휴대단말의 모서리에 대면하는 제1 주변 보호부(101)의 네 모서리(104)에 동시에 접하는 접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θ)가 0도 내지 10도인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주변 보호부(101)는 일부가 글라스 윈도우(102)의 표면과 동시에 접하는 접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θ)가 -10도 내지 0도인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표면이 곡면인 글라스 윈도우(102)의 만곡점과 상기 휴대단말의 모서리(104)를 제외한 변에 대면하는 일부(101)에 동시에 접하는 접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θ)가 -10도 내지 0도인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주변 보호부(101)는 두께가 0.3mm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주변 보호부는(101)는 상기 휴대단말의 측면 둘레를 따라 글라스 윈도우(102)가 연장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제1 주변 보호부(101)는 글라스 윈도우(102)의 주요 재질의 Young's Modulus가 80Gpa일 때, 상기 휴대단말의 측면을 따라 더 구비된 구조일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주변 보호부(101)는 휴대단말의 모서리 부분(104)이 글라스 윈도우(102)의 표면보다 돌출되게 구비됨으로써, 휴대단말이 낙하 또는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여 글라스 윈도우(102) 및 휴대단말 내에 실장된 부품들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윈도우에 구비된 제1 돌출 보호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글라스 윈도우(102)는 글라스 윈도우(102)의 표면보다 소정 높이 돌출되어, 상기 휴대단말의 낙하 또는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제1 돌출 보호부(103, 104)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 돌출 보호부(103, 104)는 글라스 윈도우(102)의 표면보다 0.05mm 이상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제1 돌출 보호부(103, 104)는 글라스 케이스(201)의 표면보다 0.3mm 이하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출 보호부(103, 104)가 0.3mm 사이즈 이상으로 돌출되면, 제1 돌출 보호부(103, 104)가 외부와의 마찰에 의해 분리되거나 손상될 위험이 있으며, 외관상 미적 품질을 떨어뜨리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 구현한 제1 돌출 보호부(103, 104)의 사이즈는 휴대단말 보호 장치로서의 성능 구현과 외관상의 미려함을 상승시키는 임계적 의의가 있다.
제1 돌출 보호부(103, 104)는 글라스 윈도우(102)의 일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되거나 체결되어 고정된 패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제1 돌출 보호부(103, 104)는 글라스 윈도우(102) 표면의 일부 자체가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제1 돌출 보호부(103, 104)는 글라스 윈도우(102)의 일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 자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장치는 예를 들어, 음성 출력장치(103)로 구비될 수 있고 또는, HARD/SOFT 및 HOME KEY와 같은 입력장치(104)로 구비될 수 있으며, 커버 윈도우부(102) 상에 구비되는 이외의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휴대단말에 구비된 입출력 장치 자체를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돌출 보호부(103, 104)로 이용하면, 휴대단말 보호를 위한 장치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정을 단순화하여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장치를 활용함으로써, 설치를 위해 추가적으로 면적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휴대단말의 레이아웃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을 보호하는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휴대단말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제고할 수 있다.
또는, 제1 돌출 보호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 케이스의 일부에 노출된 상기 휴대단말의 리시버(receiver), 스피커, 카메라, 마이크, 각종 센서를 포함한 전기물 중 적어도 하나의 상위에 구비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제1 돌출 보호부는 글라스 윈도우(102)의 일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돌출부(500) 및 돌출부(500)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가장자리가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비된 브라켓(530)과 이에 대면하는 글라스 윈도우(102)의 하면 사이에 고정된 고정부(51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리시버(RCV) 상위에 구비되는 제1 돌출 보호부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리시버 외에 휴대단말의 다른 입출력 장치 또는 내부부품 상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1 돌출 보호부의 고정부(510)는, 이에 대면하는 글라스 윈도우(102)의 하면에 접착제, 테이프 또는 체결 구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제1 돌출 보호부(103, 104)는 글라스 윈도우(102)의 일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 자체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입출력 장치란, 예를 들어 영상 입력 장치(203)로 구비될 수 있고, 영상 입력 장치(203) 외의 글라스 윈도우(102) 상에 구비되는 어떠한 장치일 수 있다.
제1 돌출 보호부(103, 104)는 두께 0.3mm 이하의 합금 혹은 두께 0.5mm이상의 사출물, 강체 또는 저압축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압축성 재질은 경도가 쇼어(Shore) 경도계 기준 Shore A 75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돌출 보호부(103, 104)는, 에이 비 에스(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A), 폴리카보네이트(PC), 변성 폴리옥사이드(M-PRO), 폴리 부틸렌테레프 탈레이트(PBT), 폴리이미드(PI),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케톤(PEK), 액정폴리 에스테르(LCP), 교대배열 폴리프로필렌(SPS), 러버(rubber), 실리콘, 고무, 금속, 무기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성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는 휴대단말의 글라스 윈도우에 소정 높이로 돌출된 제1 돌출 보호부를 구비함으로써, 예를 들어 휴대단말이 낙하 또는 충돌 시 제1 돌출 보후부가 먼저 충격을 흡수하여, 글라스 윈도우가 균열되거나 내부 부품이 파손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글라스 케이스에 수용되는 제2 주변 보호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글라스 케이스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글라스 케이스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은, 상기 휴대단말의 일부에 수용되는 글라스 케이스(202) 및 제2 주변 보호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글라스 케이스(202)는, 휴대단말의 윈도우가 구비되는 전면(前面)을 제외한 일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수용되어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 소장된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글라스 케이스(202)는 테두리가 중앙보다 낮은 삼차원 곡면 형태의 글라스(glass) 또는 평면 형태의 글라스로 구비될 수 있다.
글라스 케이스(202)는 무기물 또는 화합물로 코팅될 수 있다.
글라스 케이스(202)는, 강화유리, 광학 성질을 가지는 고분자 필름 및 판재 그리고 이들의 복합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휴대단말이 낙하 또는 충돌 시 충격에 의한 글라스 케이스(202)의 균열(crack) 및 내부에 구비된 부품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분자 필름이 연필경도 H 내지 B로 코팅될 수 있다.
제2 주변 보호부(400)는, 상기 휴대단말의 모서리(401)에 대면하는 일부가 글라스 케이스(202)의 표면보다 돌출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주변 보호부(400)에 대해서는 이하 참조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주변 보호부(400)는 에이 비 에스(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A), 폴리카보네이트(PC), 변성 폴리옥사이드(M-PRO), 폴리 부틸렌테레프 탈레이트(PBT), 폴리이미드(PI),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케톤(PEK), 액정폴리 에스테르(LCP), 교대배열 폴리프로필렌(SPS), 러버(rubber), 실리콘, 고무, 금속, 무기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성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주변 보호부(400)는, 글라스 케이스(202)의 테두리를 둘러싸고, 일부가 글라스 케이스(202)의 표면과 동시에 접하는 접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θ)가 0도 내지 10도인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표면이 곡면인 글라스 케이스(202)의 만곡점과 상기 휴대단말의 모서리(401)에 대면하는 제2 주변 보호부(400)의 네 모서리(401)에 동시에 접하는 접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θ)가 0도 내지 10도인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주변 보호부(402)는 일부가 글라스 케이스(202)의 표면과 동시에 접하는 접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θ)가 -10도 내지 0도인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표면이 곡면인 글라스 케이스(202)의 만곡점과 상기 휴대단말의 모서리를 제외한 변에 대면하는 일부(402)에 동시에 접하는 접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θ)가 -10도 내지 0도인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주변 보호부(400)는 두께가 0.3mm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주변 보호부는(4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측면 둘레를 따라 글라스 케이스(302)가 연장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제2 주변 보호부(400)는 글라스 케이스(302)의 주요 재질의 Young's Modulus가 80Gpa일 때, 상기 휴대단말의 측면을 따라 더 구비된 구조일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주변 보호부(400)는 휴대단말의 모서리 부분(401)이 글라스 케이스(202)의 표면보다 돌출되게 구비됨으로써, 휴대단말이 낙하 또는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여 글라스 케이스(202) 및 휴대단말 내에 실장된 부품들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케이스에 구비된 제2 돌출 보호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케이스에 구비된 제2 돌출 보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휴대단말을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글라스 케이스(201)와 동일한 부호의 부품은 그 역할 및 구조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케이스(201)는, 일부에 글라스 케이스(201)의 표면보다 소정 높이 돌출되어, 휴대단말의 낙하 또는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제2 돌출 보호부(203, 204)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2 돌출 보호부(203, 20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 케이스(201)의 표면보다 0.05mm 이상으로 돌출(b)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제2 돌출 보호부(203, 204)는 글라스 케이스(201)의 표면보다 0.05mm 이상, 0.3mm 이하로 돌출(b)될 수 있다.
제2 돌출 보호부(203, 204)가 0.3mm 사이즈 이상으로 돌출되면, 제2 돌출 보호부(203, 204)가 외부와의 마찰에 의해 분리되거나 손상될 위험이 있으며, 외관상 미적 품질을 떨어뜨리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 구현한 제2 돌출 보호부(203, 204)의 사이즈는 휴대단말 보호 장치로서의 성능 구현과 외관상의 미려함을 상승시키는 임계적 의의가 있다.
한편, 제2 돌출 보호부(203, 204)는 글라스 케이스(201)의 일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되거나 체결되어 고정된 패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제2 돌출 보호부(203, 204)는 글라스 케이스(201) 표면의 일부 자체가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제2 돌출 보호부(203, 20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 케이스의 일부에 노출된 상기 휴대단말의 리시버(receiver), 스피커, 카메라, 마이크, 각종 센서를 포함한 전기물 중 적어도 하나의 상위에 구비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는, 제2 돌출 보호부는 도 6에 도시된 제1 돌출 보호부의 구조와 동일하게, 글라스 케이스의 일부에 노출된 상기 휴대단말의 리시버(receiver), 스피커, 카메라, 마이크, 각종 센서를 포함한 전기물 중 적어도 하나의 상위에 구비되는 구조일 수 있다.
제2 돌출 보호부(203, 204)는 두께 0.3mm 이하의 합금 혹은 두께 0.5mm이상의 사출물, 강체 또는 저압축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압축성 재질은 경도가 쇼어(Shore) 경도계 기준 Shore A 75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돌출 보호부(203, 204)는, 에이 비 에스(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A), 폴리카보네이트(PC), 변성 폴리옥사이드(M-PRO), 폴리 부틸렌테레프 탈레이트(PBT), 폴리이미드(PI),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케톤(PEK), 액정폴리 에스테르(LCP), 교대배열 폴리프로필렌(SPS), 러버(rubber), 실리콘, 고무, 금속, 무기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성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는 휴대단말의 글라스 케이스에 소정 높이로 돌출된 제2 돌출 보호부를 구비함으로써, 예를 들어 휴대단말이 낙하 또는 충돌 시 제2 돌출 보후부가 먼저 충격을 흡수하여, 글라스 윈도우가 균열되거나 내부 부품이 파손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는, 휴대단말이 낙하 또는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여 휴대단말의 내외부에 실장된 부품, 윈도우 및 케이스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단말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부합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의 견고성과 미려함을 제고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1: 제1 주변 보호부 302: 글라스 케이스
102: 글라스 윈도우 103, 105: 제1 돌출 보호부
202: 글라스 케이스 203, 204: 제2 돌출 보호부
400: 제2 주변 보호부 500: 돌출부
510: 고정부 530: 브라켓

Claims (44)

  1. 휴대단말에 수용되고, 테두리가 중앙보다 낮은 삼차원 곡면 형태의 글라스로 구비되는 글라스 윈도우 및 글라스 케이스를 포함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윈도우의 테두리를 따라 수용되고, 일부가 상기 글라스 윈도우의 표면과 동시에 접하는 접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가 0도 이상인 제1 주변 보호부; 및
    상기 글라스 케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수용되고, 일부가 상기 글라스 케이스의 표면과 동시에 접하는 접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가 0도 이상인 제2 주변 보호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 보호부는,
    상기 휴대단말의 모서리에 대면하는 일부가 상기 글라스 윈도우의 표면보다 돌출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 보호부는,
    상기 글라스 윈도우의 만곡점과 상기 휴대단말의 모서리에 대면하는 일부에 동시에 접하는 접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가 0도 내지 10도인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 보호부는,
    상기 글라스 윈도우의 만곡점과 상기 휴대단말의 모서리를 제외한 변에 대면하는 일부에 동시에 접하는 접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가 -10도 내지 0도인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변 보호부는,
    상기 휴대단말의 모서리에 대면하는 일부가 상기 글라스 케이스의 표면보다 돌출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변 보호부는,
    상기 글라스 케이스의 만곡점과 상기 휴대단말의 모서리에 대면하는 일부에 동시에 접하는 접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가 0도 내지 10도인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변 보호부는,
    상기 글라스 케이스의 만곡점과 상기 휴대단말의 모서리를 제외한 변에 대면하는 일부에 동시에 접하는 접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가 -10도 내지 0도인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주변 보호부는,
    두께가 0.3 mm 이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주변 보호부는,
    에이 비 에스(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A), 폴리카보네이트(PC), 변성 폴리옥사이드(M-PRO), 폴리 부틸렌테레프 탈레이트(PBT), 폴리이미드(PI),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케톤(PEK), 액정폴리 에스테르(LCP), 교대배열 폴리프로필렌(SPS), 러버(rubber), 실리콘, 고무, 금속, 무기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성 물질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주변 보호부는,
    상기 글라스 윈도우 또는 글라스 케이스의 주요 재질의 Young's Modulus가 80Gpa일 때, 상기 휴대단말의 측면 둘레를 따라 더 구비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윈도우는,
    상기 글라스 윈도우의 일부에 수용되고, 상기 글라스 윈도우의 표면보다 소정 높이 돌출되어, 상기 휴대단말의 낙하 또는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제1 돌출 보호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보호부는,
    상기 글라스 윈도우의 표면보다 0.05mm 이상으로 돌출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보호부는,
    상기 글라스 윈도우의 일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되거나 체결된 패드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보호부는,
    상기 글라스 윈도우 자체의 표면 일부가 돌출된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보호부는,
    상기 글라스 윈도우의 일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 자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보호부는,
    상기 글라스 윈도우의 일부에 노출된 상기 휴대단말의 카메라, 마이크, 각종 센서, 리시버 중 적어도 하나의 상위에 구비되는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보호부는,
    상기 글라스 윈도우의 일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가장자리가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비된 브라켓과 이에 대면하는 상기 글라스 윈도우의 하면 사이에 고정된 고정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보호부의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에 대면하는 상기 글라스 윈도우의 하면에 접착제, 테이프 또는 체결 구조에 의하여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보호부는,
    두께 0.3mm 이하의 합금 혹은 두께 0.5mm 이상의 사출물, 강체 또는 저압축성 재질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축성 재질은,
    경도가 쇼어(Shore) 경도계 기준 Shore 75 A 이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보호부는,
    에이 비 에스(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A), 폴리카보네이트(PC), 변성 폴리옥사이드(M-PRO), 폴리 부틸렌테레프 탈레이트(PBT), 폴리이미드(PI),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케톤(PEK), 액정폴리 에스테르(LCP), 교대배열 폴리프로필렌(SPS), 러버(rubber), 실리콘, 고무, 금속, 무기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성 물질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케이스의 일부에 수용되고, 상기 글라스 케이스의 표면보다 소정 높이 돌출되어, 상기 휴대단말의 낙하 또는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제2 돌출 보호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 보호부는,
    상기 글라스 케이스의 표면보다 0.05mm 이상으로 돌출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 보호부는,
    상기 글라스 케이스의 일부에 적어도 하나 부착되거나 체결된 패드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 보호부는,
    상기 글라스 케이스 자체의 표면 일부가 돌출된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 보호부는,
    상기 글라스 케이스의 일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 자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 보호부는,
    상기 글라스 케이스의 일부에 노출된 상기 휴대단말의 리시버, 스피커, 카메라, 마이크, 각종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상위에 구비되는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 보호부는,
    상기 글라스 케이스의 일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가장자리가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비된 브라켓과 이에 대면하는 상기 글라스 케이스의 하면 사이에 고정된 고정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 보호부의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에 대면하는 상기 글라스 케이스의 하면에 접착제, 테이프 또는 체결구조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 보호부는,
    두께 0.3mm 이하의 합금 혹은 두께 0.5mm 이상의 사출물, 강체 또는 저압축성 재질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축성 재질은,
    경도가 쇼어 (Shore) 경도계 기준 Shore A 75 이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3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 보호부는,
    에이 비 에스(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A), 폴리카보네이트(PC), 변성 폴리옥사이드(M-PRO), 폴리 부틸렌테레프 탈레이트(PBT), 폴리이미드(PI),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케톤(PEK), 액정폴리 에스테르(LCP), 교대배열 폴리프로필렌(SPS), 러버(rubber), 실리콘, 고무, 금속, 무기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성 물질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윈도우는,
    하부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기타 입출력 장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3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윈도우는,
    무기물 혹은 화합물로 코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3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윈도우는,
    강화유리, 광학 성질을 가지는 고분자 필름 및 판재 그리고 이들의 복합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윈도우는,
    상기 휴대단말이 낙하 또는 충돌 시 충격에 의한 글라스 윈도우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분자 필름이 연필경도 H 내지 B로 코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케이스는,
    강화유리, 광학 성질을 가지는 고분자 필름 및 판재 그리고 이들의 복합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3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케이스는,
    상기 휴대단말이 낙하 또는 충돌 시 충격에 의한 균열(crack)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분자 필름이 연필경도 H 내지 B로 코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3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케이스는,
    무기물 혹은 화합물로 코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케이스는,
    상기 글라스 윈도우를 수용하는 상기 휴대단말의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수용되어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소자를 보호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4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케이스는,
    테두리가 중앙보다 낮은 삼차원 곡면 형태 또는 평면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42. 휴대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일면에 수용되고, 테두리가 중앙보다 낮은 삼차원 곡면의 글라스로 구비되는 글라스 윈도우부;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타면에 수용되고, 테두리가 중앙보다 낮은 삼차원 곡면의 글라스로 구비되는 글라스 케이스부; 및
    상기 글라스 윈도우부 및/또는 글라스 케이스부의 테두리를 감싸고,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모서리에 대면하는 부분이 상기 글라스 윈도우부 및/또는 글라스 케이스부의 만곡점보다 돌출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주변 보호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보호부는,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네 개의 모서리에 대면하는 부분의 높이가 최대점인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44. 휴대단말에 수용되고, 테두리가 중앙보다 낮은 삼차원 곡면 형태의 글라스로 구비되는 글라스 윈도우 및 글라스 케이스를 포함하는,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윈도우부 및/또는 글라스 케이스부의 테두리를 감싸고,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모서리에 대면하는 부분이 상기 글라스 윈도우부 및/또는 글라스 케이스부의 만곡점보다 돌출된 제1 보호부; 및
    상기 글라스 윈도우부 및/또는 글라스 케이스부의 상면에 수용되고, 이에 수용된 표면보다 돌출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 보호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용 보호장치.
KR1020120102075A 2012-09-14 2012-09-14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KR101994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075A KR101994889B1 (ko) 2012-09-14 2012-09-14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EP13184195.9A EP2709283B1 (en) 2012-09-14 2013-09-12 Protective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14/026,974 US9231640B2 (en) 2012-09-14 2013-09-13 Protective device for mobile terminal
CN201310418052.6A CN103685627B (zh) 2012-09-14 2013-09-13 用于移动终端的保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075A KR101994889B1 (ko) 2012-09-14 2012-09-14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620A true KR20140035620A (ko) 2014-03-24
KR101994889B1 KR101994889B1 (ko) 2019-07-01

Family

ID=4921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075A KR101994889B1 (ko) 2012-09-14 2012-09-14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31640B2 (ko)
EP (1) EP2709283B1 (ko)
KR (1) KR101994889B1 (ko)
CN (1) CN103685627B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107A (ko) * 2015-02-06 2016-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005755A (ko) * 2015-07-06 2017-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글래스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819381B2 (en) 2015-10-14 2017-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rotective member
US10091884B2 (en) 2015-11-18 2018-10-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a reinforcing member for improved durability
KR20190038725A (ko) * 2017-09-29 2019-04-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WO2019164186A1 (ko) * 2018-02-23 2019-08-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10470319B2 (en) 2016-06-24 2019-11-05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an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20055534A (ko) 2020-10-26 2022-05-0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단계분석 및 예측제어가 가능한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의족 시스템
US11404655B2 (en) 2018-03-30 2022-08-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5388A1 (en) * 2013-03-15 2014-09-18 New Concepts Development Corp. Apparatus for protecting electronic devices
CN104394680A (zh) * 2014-10-13 2015-03-04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制作方法及电子设备
EP3054657B1 (en) * 2015-02-06 2019-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cover
US10051096B2 (en) 2015-02-06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pack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EP3054656B1 (en) 2015-02-06 2021-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using,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housing
US10056204B2 (en) 2015-02-06 2018-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 butto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ES2954487T3 (es) 2015-02-06 2023-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vo electrónico que incluye pantalla con área doblada
US9907193B2 (en) * 2015-07-06 2018-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glass cover and methods for fabricating same
KR102590928B1 (ko) 2017-01-09 2023-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EP3504946B1 (en) * 2017-01-23 2022-08-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sings of electronic devices
CN107520685B (zh) * 2017-09-28 2019-06-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玻璃外壳加工方法及玻璃外壳
KR102538545B1 (ko) * 2017-12-15 2023-06-01 구글 엘엘씨 모바일 통신 장치 커버 유리
US10939570B2 (en) * 2018-08-13 2021-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KR102498253B1 (ko) * 2018-08-13 2023-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전자 장치
US20220046361A1 (en) * 2020-08-07 2022-02-10 Apple Inc. Mobile device having a tubular microphone integrated into a cover assembly
CN113055512B (zh) * 2021-03-30 2023-03-21 甘肃平凉迪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手机玻璃盖板
CN113518140B (zh) * 2021-09-07 2021-12-28 南昌龙旗信息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165A (ko) * 2002-11-22 2004-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기호 확대장치
KR100664217B1 (ko) * 2005-09-08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엘시디 조립체
KR20100137681A (ko) * 2009-06-23 2010-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20110261513A1 (en) * 2010-04-22 2011-10-27 Gihoon Tho Mobile display device and window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display device
KR101146602B1 (ko) * 2011-08-24 2012-05-14 이희성 터치스크린 패널의 커버 윈도우 구조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9084A (ja) * 1999-03-10 2000-09-22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型電子機器及びその表示部構造
US7609512B2 (en) * 2001-11-19 2009-10-27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electronic device
CN101274498A (zh) * 2007-03-30 2008-10-0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壳体及其制造方法
US20080316687A1 (en) * 2007-06-06 2008-12-25 Richardson Curtis R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2329071B (zh) * 2010-07-13 2013-10-0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曲面视窗玻璃的成型方法
US8824140B2 (en) * 2010-09-17 2014-09-02 Apple Inc. Glass enclosure
KR101001752B1 (ko) * 2010-09-17 2010-12-15 박한종 스마트폰용 보호장치
CN201812109U (zh) * 2010-10-15 2011-04-27 广州垣广机电设备有限公司 液晶显示设备的屏幕保护装置
US20120320501A1 (en) * 2010-12-17 2012-12-20 Andrew Ackloo Protective cover
TW201316888A (zh) * 2011-10-07 2013-04-16 Taer Inno Co Ltd 行動通訊裝置保護框架
US20130102368A1 (en) * 2011-10-20 2013-04-25 Shanyao Lee Battle Phone Case
US20130113348A1 (en) * 2011-11-09 2013-05-09 Case-Mate, Inc. Ruggedized cas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202435728U (zh) * 2011-12-17 2012-09-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保护壳
CN202435446U (zh) * 2011-12-28 2012-09-1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屏幕结构
US8688176B2 (en) * 2012-02-10 2014-04-01 Htc Corporation Components with mechanically-bonded plastic and methods for forming such components
US20130271897A1 (en) * 2012-04-12 2013-10-17 Jamie Limber Functional case for wireless devic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165A (ko) * 2002-11-22 2004-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기호 확대장치
KR100664217B1 (ko) * 2005-09-08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엘시디 조립체
KR20100137681A (ko) * 2009-06-23 2010-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20110261513A1 (en) * 2010-04-22 2011-10-27 Gihoon Tho Mobile display device and window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display device
KR101146602B1 (ko) * 2011-08-24 2012-05-14 이희성 터치스크린 패널의 커버 윈도우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107A (ko) * 2015-02-06 2016-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005755A (ko) * 2015-07-06 2017-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글래스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819381B2 (en) 2015-10-14 2017-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rotective member
US10091884B2 (en) 2015-11-18 2018-10-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a reinforcing member for improved durability
US10470319B2 (en) 2016-06-24 2019-11-05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an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90038725A (ko) * 2017-09-29 2019-04-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124119A (ko) * 2017-09-29 2022-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1775121B2 (en) 2017-09-29 2023-10-03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WO2019164186A1 (ko) * 2018-02-23 2019-08-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190101738A (ko) * 2018-02-23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11404655B2 (en) 2018-03-30 2022-08-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20055534A (ko) 2020-10-26 2022-05-0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단계분석 및 예측제어가 가능한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의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09283B1 (en) 2014-12-17
US20140080552A1 (en) 2014-03-20
KR101994889B1 (ko) 2019-07-01
US9231640B2 (en) 2016-01-05
CN103685627A (zh) 2014-03-26
EP2709283A1 (en) 2014-03-19
CN103685627B (zh) 2018-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5620A (ko) 휴대단말용 보호 장치
US8469189B2 (en) Housing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3582476B1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US10168743B2 (en) Casing and frame for touch display apparatus
EP3716007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screen
US8482697B2 (en) Protecting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3582475B1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AU2012203939A1 (en) Case or attachment f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EP3346359B1 (en) Display assembly,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20090158793A1 (en) Key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US20160034003A1 (en) Electronic device
CN110557483A (zh) 一种伸缩机构及移动终端
KR20110011234U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US8254099B2 (en) Housing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055683B2 (en) Hermetic seal
JP4889781B2 (ja) 携帯端末装置
WO2019144718A1 (en) Frame assembly,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109068516B (zh) 电子装置及其壳体组件
KR200462634Y1 (ko) 가압고정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794470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KR200470206Y1 (ko) 모바일폰 케이스
KR200214685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충격 방지 장치
KR20060123962A (ko) 휴대 단말기의 엘씨디 모듈
KR20130126460A (ko) 착탈식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7790260B2 (en) Window for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