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6460A - 착탈식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착탈식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6460A
KR20130126460A KR1020130016509A KR20130016509A KR20130126460A KR 20130126460 A KR20130126460 A KR 20130126460A KR 1020130016509 A KR1020130016509 A KR 1020130016509A KR 20130016509 A KR20130016509 A KR 20130016509A KR 20130126460 A KR20130126460 A KR 20130126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unting
mounting member
fastening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진
손영욱
윤병욱
정상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892,086 priority Critical patent/US9223339B2/en
Publication of KR20130126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4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17Embedded application
    • G06F2212/171Portable consumer electronics, e.g. mobile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장착 부재; 상기 장착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을 선택적으로 감싸게 제공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단부에 연결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보호 커버가 장착 부재에 의해 하우징의 측면 또는 배면 가장자리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착탈식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PORTABLE TERMINAL WITH DETACHABLE PROTECTION COVER}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폐하는 커버가 착탈식으로 제공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통신 또는 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속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기술 및 정보통신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서비스 영역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초기의 이동통신 서비스는 상대방 호출,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 등에 한정되었으나, 점차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 게임 등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과 같은 금융 서비스 등 그 서비스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사용자들도 점차 청소년 계층으로부터 노년층에 이르기까지 일반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강화되고,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이 통상적인 개인용 컴퓨터의 성능에 근접한 휴대용 단말기가 상용화되었다. 따라서 이동 중에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인터넷이나 동영상 감상, 더 나아가서는 사무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아울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물리적인 스위치들로 이루어지는 자판을 대체하면서,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되면서도 확장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성과 휴대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게 되었다. 터치 스크린은 화면상에 자판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만 자판 기능을 활성화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고가의 휴대용 단말기들은 별도의 보호 커버에 결합되어 보호된다. 즉, 별도의 커버와 같은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일상적인 사용환경에서 긁힘, 충격 등으로 인한 외관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에 보호 커버(21)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에 보호 커버(21)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 또는 바(bar)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10)는 별도의 보호 커버(21)를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단말기(1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되며, 제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인접하게 조도센서나 카메라 모듈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어폰,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와 접속하거나 저장 매체 등을 장착하기 위한 접속 홀(13)들이 측면에 제공되어 있으며, 전원 키나 음량 조절 키 또한 상기 단말기(10)의 측면에 제공된다. 상기 단말기(10)의 배면에는 피사체 촬영을 위한 추가의 카메라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보호 커버(21)는 상기 단말기(10)의 배면을 감싸면서 상기 단말기(10)의 측면 또는 전면의 가장자리에 결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보호 커버는 실리콘이나 우레탄, 피혁과 같은 유연한 재질, 합성수지와 같은 강성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되며, 충격을 흡수하면서도 단말기와의 견고한 결합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합성수지 재질의 프레임과 유연한 재질을 조합하여 제작되기도 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 커버(21)는 상기 단말기(10)의 배면과 측면의 일부분을 감싸게 결합하며, 상기 단말기(10)의 배면 상에 위치되는 촬영용 개구(23)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단말기(10)의 배면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의 촬영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 커버(21)가 상기 단말기(10)의 측면을 감싸게 결합하더라도, 상기 보호 커버(21)는 상기 접속 홀(13)들을 개방하는 형상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말기의 배면과 측면 및 전면까지 감싸는 보호 커버가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태블릿 PC와 같이, 휴대용이면서도 대형 화면을 갖춘 단말기는 고성능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 스크린을 탑재하고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디스플레이용 윈도우의 표면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단말기의 배면과 측면을 감싸게 결속되면서 단말기의 전면을 개폐하는 덮개 부재가 추가로 제공된 형태의 보호 커버를 사용자들이 구매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단말기의 배면과 전면까지 감싸는 구조의 보호 커버는 휴대시 단말기 전체의 두께와 무게를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보호 커버는 단말기의 배면을 감싸게 결합하므로, 외관상 다른 제품과의 차별성을 드러내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착탈식 배터리 커버가 제공된 단말기라면, 이러한 착탈식 배터리 커버에 덮개 부재를 연결한 구조를 구현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덮개 부재가 결합된 배터리 커버와 그렇지 않은 배터리 커버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반면에, 배터리를 단말기 내부로 내장하여, 사용자가 교체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호 목적으로만 보호 커버를 필요로 한다 하더라도, 단말기의 배면까지 감싸는 구조의 보호 커버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즉, 평판형 또는 바형 단말기로서 배터리 내장형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만 사용하고자 하더라도, 단말기와 보호 커버의 결속 구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배면까지 감싸는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 불가피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외관 디자인을 드러내 다른 제품과의 차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형 배터리 커버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착탈하기 용이한 구조의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 커버를 결합하더라도 두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장착 부재;
상기 장착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을 선택적으로 감싸게 제공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단부에 연결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서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착탈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장착 부재가 착탈되는 부분에 인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선택적으로 감싸게 제공된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형성되는 장착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장착 홈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착탈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장착 홈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서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장착 홈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 홀들; 및 상기 장착 부재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 돌기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 돌기들이 각각 상기 체결 홀들 중 하나에 결속되어 상기 장착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 홈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체결 홀들은 상기 장착 홈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체결 돌기들은 상기 장착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 돌기들 각각의 외측면이 상기 체결 홀에 직접 결속되며, 상기 장착 부재의 일측에 위치된 상기 체결 돌기들의 외측면과 상기 장착 부재의 타측에 위치된 상기 체결 돌기들의 외측면은 상기 장착 부재의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멀어지게 경사진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및 상기 장착 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결속 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속 리브가 상기 장공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장착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결속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상기 장공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결속 리브; 및 상기 장착 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결속 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결속 리브가 상기 제1 결속 리브의 단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장공에 삽입, 결속되어 상기 장착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결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홀; 및 상기 장착 부재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슬라이드 레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레버가 상기 슬라이드 홀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결속되어, 상기 장착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결속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장착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결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는 상기 장착 부재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장착 홈에 결합하는 더미 부재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장착 홈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 홀들; 및 상기 더미 부재의 내측면에서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체결 홀들 중 하나와 각각 맞물리는 체결 돌기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 돌기들 각각의 외측면이 상기 체결 홀에 직접 결속되며, 상기 더미 부재의 일측에 위치된 상기 체결 돌기들의 외측면과 상기 더미 부재의 타측에 위치된 상기 체결 돌기들의 외측면은 상기 더미 부재의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멀어지게 경사진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더미 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분리 홈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과 대면한 상태로 경사지게 위치되어 평면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을 경사지게 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의 어느 한 측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이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거치된 때, 상기 마찰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의 어느 한쪽 모서리가 평면에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단말기는 상기 덮개 부재의 가장자리에 제공되는 부가 장치 결합용 수용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형성된 장착 홈;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각각 제공되는 장착 부재와 더미 부재;
상기 장착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을 선택적으로 감싸게 제공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단부에 연결된 덮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부재와 더미 부재 중 하나가 상기 장착 홈에 결합하며, 상기 장착 부재가 상기 장착 홈에 결합한 때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폐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장착 홈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 홀들; 및 상기 장착 부재와 더미 부재 각각의 내측면에서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체결 홀들 중 하나와 각각 맞물리는 체결 돌기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 돌기들 각각의 외측면이 상기 체결 홀에 직접 결속된다.
이때, 상기 장착 부재와 더미 부재 각각의 일측에 위치된 상기 체결 돌기들의 외측면과 상기 더미 부재의 타측에 위치된 상기 체결 돌기들의 외측면은 상기 장착 부재와 더미 부재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멀어지게 경사진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 부재와 더미 부재 각각의 일단에 형성된 분리 홈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덮개 부재의 가장자리에 제공되는 부가 장치 결합용 수용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의 어느 한 측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마찰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의 어느 한쪽 모서리가 평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을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장착 홈 상에 위치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장착 부재와 더미 부재 각각에 형성된 촬영용 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촬영용 개구가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정렬된 상태로 상기 장착 부재 또는 더미 부재가 상기 장착 홈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말기 구조에서, 상기 장착 홈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서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장착 부재가 상기 장착 홈에 결합한 때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장착 홈과 인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한쪽 측면을 감싸게 위치된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의 한쪽 측면에 위치되는 접속 홀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홀들은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덮개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의 전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장착 부재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는 상기 장착 부재와 더미 부재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장착 부재 또는 더미 부재가 상기 단말기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단말기의 배면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단말기를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는 상기 장착 홈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홀은 상기 장착 부재 또는 더미 부재에 의해 은폐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보호 커버가 장착 부재에 의해 하우징의 측면 또는 배면 가장자리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단말기의 휴대성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호 커버를 결합하더라도 하우징의 배면의 외관을 드러나게 하여 다른 제품과의 차별성을 부각시킬 수 있으며, 보호 커버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만을 개폐하는 구조의 보호 커버만 결합하여 단말기를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보호 커버가 분리된 상태에서 보호 커버의 장착 부분을 은폐하는 더미 부재를 결합한다면, 보호 커버를 장착하지 않고도, 또는 통상적인 보호 커버, 즉, 단말기의 배면과 측면을 감싸는 구조의 보호 커버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보호 커버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 보호 커버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에 마찰 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장착 부재가 하우징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커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장착 부재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 부재가 하우징의 전면을 폐쇄한 모습을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장착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되는 더미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더미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더미 부재가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더미 부재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더미 부재가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 내지 도 26은 각각 도 7에 도시된 장착 부재의 변형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 더미 부재가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9와 도 30은 도 2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 보호 커버가 결합한 모습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
도 31은 도 29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2와 도 33은 도 29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이 개방된 모습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
도 34는 도 27에 도시된 보호 커버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하우징(101)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 보호 커버(102)를 구비한다. 이때, 보호 커버(102)는 상기 하우징(101)에 직접 착탈되는 장착 부재(121), 상기 하우징(101)의 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125) 및 상기 덮개 부재(125)를 상기 장착 부재(121)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12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하우징(101)의 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에 인접하게 조도센서나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에 인접하게 설치된 카메라 모듈은, 사용자가 화상 통화를 하거나 자신을 촬영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1)의 전면 또는 측면에는 스피커 폰 홀이나 마이크로 폰 홀이 형성되어 음향의 입출력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1)의 측면에는 저장 매체의 장착이나 외부 기기 연결을 위한 다수의 접속 홀(113)들이 형성되고, 전원 키나 음량 조절 키와 같은 물리적인 키들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하우징(101)의 배면에 설치되는 또 다른 카메라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1)의 배면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 촬영을 위한 것이며, 상기 단말기(100)에 적절한 프로그램과 통신할 수 있는 상태라면 상기 하우징(101)의 배면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증강 현실 기능 등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1)의 또 다른 측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접속 홀(113)들이 형성된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 부재(13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보호 커버(102)에 의해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거치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마찰 부재(139)가 평면에 지지되어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의 상기 단말기(1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마찰 부재(139)는 상기 하우징(101)의 측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서, 그 길이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 커버(102)는 상기 장착 부재(121), 연결 부재(123) 및 덮개 부재(125)로 이루어져 있다.
도 11과 도 12를 더 참조하면, 상기 장착 부재(121)는 상기 하우징(1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1)에는 장착 홈(115)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 부재(121)가 결합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장착 홈(115)은 상기 하우징(101)의 배면에서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101)의 길이 방향으로, 즉, 상기 하우징(101)의 일측 가장자리의 모서리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 부재(121)에는 촬영용 개구(1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1)의 배면에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경우, 상기 장착 부재(121)에 의해 보호되면서 상기 촬영용 개구(127)를 통해 촬영 경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장착 부재(121)의 내측면에는 체결 돌기(131)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 돌기(131)들은 상기 장착 부재(12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일측에 위치된 체결 돌기(131)들과 타측에 위치된 체결 돌기(131)들은 각각 서로 대향하는 외측면에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 홈(115)에는 상기 체결 돌기(131)들과 상응하는 체결 홀(117)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 홀(117)들은 상기 장착 홈(115)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장착 홈(1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상기 장착 부재(121)가 상기 장착 홈(115)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체결 돌기(131)들은 상기 체결 홀(115)들 중 하나에 각각 맞물리며, 상기 체결 돌기(131)들 각각의 외측면,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들이 상기 체결 홀(117)의 내부에 직접 결속된다.
상기와 같은 체결 구조를 가지는 장착 부재(121)를 상기 하우징(101)으로부터 분리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장착 부재(121)는 그 일단에 형성된 분리 홈(13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리 홈(133)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손톱이나 클립 등을 이용하여 상기 장착 부재(121)를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01)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장착 부재(121)의 일측에 위치된 돌출부들과 타측에 위치된 돌출부들은 상기 장착 부재(121)의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멀어지게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기에서 더미 부재(221)를 통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연결 부재(123)는 상기 덮개 부재(125)를 상기 장착 부재(121)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덮개 부재(125)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부재(123)의 일단은 상기 장착 부재(121)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장착 부재(121)가 합성수지 재질로, 연결 부재(123)가 실리콘, 우레탄, 고무 등의 재질로 제작된다면, 융착에 의해 상기 연결 부재(123)를 상기 장착 부재(121)의 내측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장착 부재(121)가 상기 하우징(101)에 결합했을 때, 상기 연결 부재(123)는 상기 하우징(101)의 한 측면,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 부재(121)가 장착된 위치에 인접하는 측면을 감싸게 제공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장착 부재(121)가 장착된 위치에 인접하는 상기 하우징(101)의 한 측면에는 상기 접속 홀(113)들이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 홀(113)들은 상기 연결 부재(12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덮개 부재(125)는 상기 연결 부재(123)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01) 상에서 회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개폐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 커버(102), 구체적으로는 상기 덮개 부재(125)가 상기 하우징(101)을 평면에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게 지지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 부재(125)가 상기 하우징(101)의 배면에 대면하면서 경사지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 부재(125)의 한 모서리와 상기 하우징(101)의 한 측면이 각각 평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찰 부재(139)를 설치하여 상기 하우징(101)이 미끄러지지 않게 한 것과 마찬가지로, 평면에 지지되는 상기 덮개 부재(125)의 한 모서리 또한 상기 마찰 부재(139)와 동일한 재질로 마감한다면, 상기 덮개 부재(125)가 평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100)를 평면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동영상 등을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보호 커버(102)에 제공되는 수용 부재(12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 부재(129)는 예를 들면, 스타일러스 펜(119)과 같은 부가 장치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119)은 정전식 터치 기능을 탑재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119)을 상기 수용 부재(129)에 결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수용 부재(129)에 스타일러스 펜(119)을 결합한 구성만을 예시하고 있으나, 리본이나 벨크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 부재(129)를 구성한다면, 헤드 셋 등을 휴대할 때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단말기(100)는 더미 부재(2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커버(102)를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자는 상기 더미 부재(221)를 상기 장착 홈(115)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더미 부재(221) 또한 상기 하우징(10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더미 부재(221)는 상기 장착 부재(121)와 유사하게, 체결 돌기(231)들과 분리 홈(233), 촬영용 개구(227)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더미 부재(221)는 보호 커버(102)를 분리한 상태로 상기 단말기(100)를 사용하거나 휴대할 때 사용하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 부재(123)의 두께만큼 상기 하우징(101) 상에서 상기 장착 부재(121)보다 더 낮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더미 부재(221)에 형성된 체결 돌기(231)들은 상기 장착 부재(121)에 형성된 체결 돌기(131)들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과 도 17을 비교해 보면, 상기 장착 부재(121)와 상기 장착 홈(115) 사이에 상기 연결 부재(123)가 개재되므로, 상기 연결 부재(123)를 지나 상기 체결 홀(117)에 결속되는 상기 장착 부재(121)의 체결 돌기(131)들이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더미 부재(221)의 외측면은 상기 하우징(101)의 배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고 있지만, 상기 장착 부재(121)의 외측면은 상기 하우징(101)의 배면으로부터 다소 돌출된다. 하지만, 상기 장착 부재(121)가 상기 하우징(101)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1mm 이내로 제한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상기 단말기(100)의 두께 증가는 억제하면서도 상기 보호 커버(102)를 상기 하우징(101)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더미 부재(221)의 체결 돌기(231)들 또한, 상기 더미 부재(221)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외측면에 돌출부(235)들이 형성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돌출부들이 상기 체결 홀(117)들과 직접 결속된다. 이때, 상기 더미 부재(221)의 일측에 위치된 돌출부(235)들과 타측에 위치된 돌출부(235)들은 상기 더미 부재(221)의 일단, 다시 말해서, 상기 분리 홈(23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멀어지게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235)가 경사진 형상은 사용자가 상기 더미 부재(221)를 상기 하우징(101)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견고한 결속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부재(121)에 형성된 돌출부들 또한 경사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장착 부재(121)를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견고한 결속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와 도 18을 참조하면, 경사진 형상으로 인하여, 상기 돌출부(235)들은 상기 분리 홈(233)에 근접할수록 약한 결속력을 제공하며, 상기 분리 홈(23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강한 결속력을 제공할 것임은 자명하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 홈(233)이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01)에서 분리되기 시작하면, 상기 돌출부(235)의 결속력이 약한 부분으로부터 상기 체결 홀(117)에서 이탈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235)의 일부분이 상기 체결 홀(117)에서 이탈하면, 상기 체결 돌기(231)들이 변형되면서 상기 돌출부(235) 전체가 상기 체결 홀(117)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 홈(133)으로부터 'A1'으로 지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할 경우, 3kgf 이내의 힘에 의해 상기 장착 부재(121)나 더미 부재(221)가 상기 하우징(101)으로부터 분리되었다. 반면에, 힘을 가하는 방향이나 지점에 따라서 상기 장착 부재(121)나 더미 부재(221)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예를 들어, 상기 더미 부재(221)의 중앙 부분, 구체적으로, 상기 촬영용 개구(227)에 인접한 영역에서 'A2'로 지시된 화살표 방향으로는 10kgf 이상의 힘이 작용해야만 상기 더미 부재(221)가 상기 하우징(101)으로부터 분리되었으며, 'A3'로 지시된 화살표 방향으로는 29kgf 이상의 힘이 작용해야만 상기 더미 부재(221)가 상기 하우징(101)으로부터 분리되었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 돌기(131, 231)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 돌기(131, 231)들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부(235)들을 각각 특정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상기 장착 부재(121)와 더미 부재(221)를 상기 하우징(101)에 견고하게 결합하면서도, 사용자가 분리하는 것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6은 각각 상기 장착 부재(121)와 더미 부재(221)들을 상기 하우징(101)에 결합하는 변형된 구조들을 예시하고 있다.
도 19와 도 2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333a)과, 장착 부재(121)와 더미 부재(221)에 각각 형성된 결속 리브(331a)를 이용한 결속 구조를 개시한다. 상기 장공(333a)은 상기 하우징(101)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결속 리브(331a) 또한 상기 하우징(10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속 리브(331a)의 단부는 그 폭이 더 넓게 형성되도록 언더컷(under cut) 구조로 제작된다. 상기 장공(333a)의 단면 형상 또한 상기 결속 리브(331a)의 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구조로 제작된다. 상기 결속 리브(331a)는 상기 하우징(101)의 길이 방향, 즉, 상기 장공(333a)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장공(333a)의 일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장착 부재(121)를 상기 하우징(101)에 결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속 리브(331a)가 언더컷 구조이며, 상기 장공(333a) 또한 상기 결속 리브(331a)와 상응하는 형상이므로, 상기 결속 리브(331a)는 그 연장된 방향을 따라서만 상기 장공(333a)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21과 도 22는 하우징(101)에 장공(333b)과 제1 결속 리브(335)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 부재(121)와 더미 부재(221)에는 제2의 결속 리브(331b)를 각각 형성한 구조이다. 상기 제1 결속 리브(335)는 상기 장공(333b)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언더컷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 부재(121) 또는 더미 부재(221)가 상기 하우징(101)에 결합했을 때, 상기 제2 결속 리브(331b)는 상기 제1 결속 리브(335)의 단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장공(333b)에 삽입된다. 상기 제2 결속 리브(331b) 또한 언더컷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장공(333b)의 단면을 상기 제2 결속 리브(331b)의 단면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면, 도 19와 도 20에 도시된 변형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결속 리브(331b)는 상기 장공(333b)의 일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장공(333b)과 결합하게 될 것이다. 도 21과 도 22에 도시된 구조는, 상기 제2 결속 리브(331b)가 상기 장공(333b)에 수용되기는 하나 상기 장공(333b)과 결속된다기 보다 언더컷 구조의 상기 제1 결속 리브(335)의 단부를 감싸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장착 부재(121)나 더미 부재(221)를 상기 하우징(101)에 결합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21과 도 22에 도시된 결속 구조에서 상기 제2 결속 리브(331b)는 상기 장공(333b)이 연장된 방향으로 삽입되거나,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부재(121)나 더미 부재(221)를 상기 하우징(101)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장공(333b)에 강제로 삽입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구조는 상기 하우징(101)에 슬라이드 홀(333c)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 부재(121)와 더미 부재(221)에는 각각 슬라이드 레버(331c)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구조를 예시한다. 상기 슬라이드 레버(331c)는 일측으로 연장된 결속편(331d)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 홀(333c)은 내벽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결속홀(333d)을 구비한다. 상기 장착 부재(121) 또는 더미 부재(221)가 하우징(101)에 위치되면, 상기 슬라이드 레버(331c)가 상기 슬라이드 홀(333c) 내에 수용된다. 상기 슬라이드 레버(331c)가 상기 슬라이드 홀(333c)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결속편(331d)이 상기 결속홀(333d)에 맞물려 상기 장착 부재(121) 또는 더미 부재(221)를 상기 하우징(101)에 결합하게 된다.
한편, 도 23 내지 도 24에 도시된 구조에서 상기 슬라이드 레버(331c)는 직선 이동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상기 슬라이드 레버(331c)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하우징(101)의 외측면에서는 슬라이드 레버와 결속편에 상응하는 형상의 개구가 형성되며, 이러한 형상의 개구 내측벽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결속홀을 형성하여 슬라이드 레버의 회전에 의해 결속편이 결속홀로 진입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슬라이드 레버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도 26에 도시된 변형 예는, 하우징(101)에 나사홀(333e)을 형성하고 스크루(screw)와 같은 체결 부재(331e)를 이용하여 상기 장착 부재(121) 또는 더미 부재(221)를 상기 하우징(101)에 직접 체결, 결속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손톱이나 동전 등 공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체결 부재(331e)를 조작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장착 부재(121)와 더미 부재(221)를 하우징(101)에 결속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상술한 변형 예들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7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400)의 구성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400)를 설명함에 있어, 선행 실시 예의 구조와 동일하거나 선행 실시 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해서는 도면의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27 내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400)는 평판형 또는 바형의 단일 하우징(401)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401)의 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11)는 터치스크린 기능이 탑재되어, 입력 장치의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상기 단말기(400)는 보호 커버(402)와 더미 부재(521)를 구비하는데, 상기 보호 커버(402)의 일부분을 이루는 장착 부재(421)와 상기 더미 부재(521) 중 하나가 상기 하우징(401)의 배면에 제공된 장착 홈(415)에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장착 홈(415)은 상기 하우징(401)의 배면에서 일측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401)의 배면에서 일정 깊이만큼 함몰되어 상기 더미 부재(521) 또는 장착 부재(421)를 수용한다. 상기 단말기(400)에 제공되는 접속 홀들 중 일부는 상기 장착 홈(415)에 형성될 수 있다. 선행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단말기(400) 또한 다수의 접속 홀들을 구비하게 된다. 대체로, 개인용 컴퓨터, 충전기 등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 커넥터나, 이어폰 등의 음향 입/출력 장치 접속을 위한 이어 잭 등은 상기 하우징(401)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401)의 측면에 위치하는 접속 홀들은 선행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보호 커버(402)의 연결 부재(423)에 의해 개폐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메모리 카드와 같은 저장 매체를 결합하기 위한 접속 홀(413)들이 상기 장착 홈(415)에 형성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접속 홀(413)들은 상기 장착 홈(415)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장착 홈(415)에 결합하는 상기 장착 부재(421) 또는 더미 부재(521)에 의해 은폐된다.
한편,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부재(421)는 돌출부(431)를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더미 부재(521) 또한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 부재(421)가 상기 장착 홈(415)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431)는 상기 하우징(401)의 배면에서 돌출된다. 상기 장착 부재(421) 또는 더미 부재(521)가 상기 하우징(401)의 배면에 일측에 위치하므로, 상기 하우징(401)을 책상 등의 평면에 위치했을 때 상기 돌출부(431)는 상기 평면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경사지게 위치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단말기(400)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장착 홈(415)에는 카메라 모듈(417)이나 카메라 모듈을 위한 조명 장치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더미 부재(521)와 장착 부재(421)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417)의 촬영 경로를 제공하는 촬영용 개구(427, 527)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장착 홈(415)에 조명 장치가 제공된 경우, 상기 더미 부재(521)와 장착 부재(421)에는 조명용 개구 또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상기 장착 부재(421)를 상기 장착 홈(415)에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장착 부재(421)에는 체결 돌기(441)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 홈(415)에는 상기 체결 돌기(441)들과 상응하는 체결 홀(419; 27에 도시됨)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더미 부재(521) 또한 상기 체결 홀(419)들에 상응하는 체결 돌기들을 구비한다. 이로써, 상기 장착 부재(421)와 더미 부재(521)는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401),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 홈(415)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커버(402)는 상기 연결 부재(423)를 통해 상기 장착 부재(421)에 연결된 덮개 부재(425)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 부재(421)가 상기 장착 홈(415)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 부재(425)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에 터치스크린 기능이 탑재된다면, 상기 하우징(401)의 전면에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등의 각종 센서가 장착된다. 예를 들면, 음성 통화 등을 위해 상기 단말기(400)를 인체에 접근했을 때, 근접 센서는 이를 감지하고 터치스크린 기능을 비활성화하게 된다. 조도 센서는 상기 단말기(400)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의 밝기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화상 통화 등을 위해, 상기 하우징(401)의 전면에도 별도의 카메라 모듈이나 마이크로 폰 모듈, 스피커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입/출력 장치들은 대체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되지만, 특히, 스피커 폰 모듈의 경우, 착신 벨 등의 음향을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 커버(402),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 부재(425)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일부의 입/출력 장치는 개방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덮개 부재(425)에는 개구부(429)가 형성되어 있다. 도 30은 상기 덮개 부재(425)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429)를 통해 상기 하우징(401) 전면의 일부분이 개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입/출력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장치라면, 상기 개구부(429)를 통해 노출되는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 고유의 외관 디자인을 드러나게 하면서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호 커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더미 부재를 이용해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보호 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각종 접속 홀들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이물질에 의한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휴대용 단말기 101: 하우징
102: 보호 커버 121: 장착 부재
123: 연결 부재 125: 덮개 부재

Claims (31)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장착 부재;
    상기 장착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을 선택적으로 감싸게 제공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단부에 연결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서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착탈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장착 부재가 착탈되는 부분에 인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선택적으로 감싸게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형성되는 장착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장착 홈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착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서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 홀들; 및
    상기 장착 부재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 돌기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 돌기들이 각각 상기 체결 홀들 중 하나에 결속되어 상기 장착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체결 홀들은 상기 장착 홈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체결 돌기들은 상기 장착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들 각각의 외측면이 상기 체결 홀에 직접 결속되며,
    상기 장착 부재의 일측에 위치된 상기 체결 돌기들의 외측면과 상기 장착 부재의 타측에 위치된 상기 체결 돌기들의 외측면은 상기 장착 부재의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멀어지게 경사진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및
    상기 장착 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결속 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속 리브가 상기 장공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장착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결속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상기 장공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결속 리브; 및
    상기 장착 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결속 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결속 리브가 상기 제1 결속 리브의 단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장공에 삽입, 결속되어 상기 장착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결속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홀; 및
    상기 장착 부재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슬라이드 레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레버가 상기 슬라이드 홀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결속되어, 상기 장착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결속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장착 홈에 결합하는 더미 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 홀들; 및
    상기 더미 부재의 내측면에서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체결 홀들 중 하나와 각각 맞물리는 체결 돌기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 돌기들 각각의 외측면이 상기 체결 홀에 직접 결속되며,
    상기 더미 부재의 일측에 위치된 상기 체결 돌기들의 외측면과 상기 더미 부재의 타측에 위치된 상기 체결 돌기들의 외측면은 상기 더미 부재의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멀어지게 경사진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분리 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과 대면한 상태로 경사지게 위치되어 평면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을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어느 한 측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이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거치된 때, 상기 마찰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의 어느 한쪽 모서리가 평면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의 가장자리에 제공되는 부가 장치 결합용 수용 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9. 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형성된 장착 홈;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각각 제공되는 장착 부재와 더미 부재;
    상기 장착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을 선택적으로 감싸게 제공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단부에 연결된 덮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부재와 더미 부재 중 하나가 상기 장착 홈에 결합하며, 상기 장착 부재가 상기 장착 홈에 결합한 때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폐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 홀들; 및
    상기 장착 부재와 더미 부재 각각의 내측면에서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체결 홀들 중 하나와 각각 맞물리는 체결 돌기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 돌기들 각각의 외측면이 상기 체결 홀에 직접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와 더미 부재 각각의 일측에 위치된 상기 체결 돌기들의 외측면과 상기 더미 부재의 타측에 위치된 상기 체결 돌기들의 외측면은 상기 장착 부재와 더미 부재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멀어지게 경사진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와 더미 부재 각각의 일단에 형성된 분리 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3.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의 가장자리에 제공되는 부가 장치 결합용 수용 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4.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어느 한 측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마찰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의 어느 한쪽 모서리가 평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을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거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5.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 상에 위치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장착 부재와 더미 부재 각각에 형성된 촬영용 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촬영용 개구가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정렬된 상태로 상기 장착 부재 또는 더미 부재가 상기 장착 홈에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6.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서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장착 부재가 상기 장착 홈에 결합한 때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장착 홈과 인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한쪽 측면을 감싸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한쪽 측면에 위치되는 접속 홀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홀들은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8.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의 전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장착 부재에 인접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0.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와 더미 부재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장착 부재 또는 더미 부재가 상기 단말기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단말기의 배면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1.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홀은 상기 장착 부재 또는 더미 부재에 의해 은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30016509A 2012-05-11 2013-02-15 착탈식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301264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92,086 US9223339B2 (en) 2012-05-11 2013-05-10 Portable terminal with detachable protection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50005 2012-05-11
KR1020120050005 2012-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460A true KR20130126460A (ko) 2013-11-20

Family

ID=4985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509A KR20130126460A (ko) 2012-05-11 2013-02-15 착탈식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64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701U (ko) * 2016-01-20 2017-07-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와치에 탈부착 가능한 액세서리 및 이를 부착한 와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701U (ko) * 2016-01-20 2017-07-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와치에 탈부착 가능한 액세서리 및 이를 부착한 와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5072E1 (en)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20120305422A1 (en) Portable device protector case
EP2640042A1 (en) Waterproof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101066162B1 (ko) 바-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TW201436691A (zh) 可攜式電子裝置之殼體結構
US9602914B2 (en) Porting audio using a connector in a small form factor electronic device
US9223339B2 (en) Portable terminal with detachable protection cover
KR101418154B1 (ko) 스피커유닛을 구비하는 단말기
KR20140036700A (ko) 이동단말기 후면 커버
EP1748628B1 (en) Slim portable terminal
KR200455692Y1 (ko) 배터리커버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200452011Y1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100758824B1 (ko) 절첩식 정보 처리 장치
KR101978211B1 (ko) 이동단말기
KR101461004B1 (ko)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2406222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03963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스피커 장치
US8249677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130126460A (ko) 착탈식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50075561A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1918989B1 (ko) 이동 단말기
US8073507B2 (en) Communication device
KR200476384Y1 (ko) 분리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502008B1 (ko) 휴대 단말기
KR101201923B1 (ko) 터치입력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