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381A - 비압축성 유체를 옮기기 위한 메커니즘 및 서보 보조식 회전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비압축성 유체를 옮기기 위한 메커니즘 및 서보 보조식 회전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381A
KR20140035381A KR1020137031841A KR20137031841A KR20140035381A KR 20140035381 A KR20140035381 A KR 20140035381A KR 1020137031841 A KR1020137031841 A KR 1020137031841A KR 20137031841 A KR20137031841 A KR 20137031841A KR 20140035381 A KR20140035381 A KR 20140035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sel
vessels
rotation
rotation mechanism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콜라 마시모 마시모
Original Assignee
니콜라 마시모 마시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콜라 마시모 마시모 filed Critical 니콜라 마시모 마시모
Publication of KR20140035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10Alleged perpetua mobilia
    • F03G7/104Alleged perpetua mobilia continuously converting gravity into usable power
    • F03G7/107Alleged perpetua mobilia continuously converting gravity into usable power using an unbalance for increasing torque or saving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10Alleged perpetua mobil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3/00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anipulator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메커니즘(1)은 폐쇄 회로 연통 상태의 베슬들 사이에서 유체를 전달하며, 가변 체적 베슬(4e, 4c)들은 유체 연통 상태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커니즘은 회전 메커니즘이고 베슬들은 지지부(12)에 대하여 피봇되는 아암(2)에 힌지 연결된다. 아암의 정지/시작 위치(AP)에서, 가장 높은 베슬(4e)들은 팽창 상태에 있고 베슬들이 이들 자체가, 팽창된 베슬(4e)이 아래에 그리고 압축된 베슬(4c)이 위에 있는 역전된 위치들에 있게 될 때까지 중력으로 인한 아암(2)의 회전을 야기한다. 팽창/압축 수단(8)은 중력 효과의 결과로서 베슬들 상에 작용하며, 따라서 유체가 최하부 베슬로부터 최상부 베슬로 옮겨지는 것을 야기한다. 유체 전달은 최초 상태의 회복 및 아암 및 베슬들의 새로운 회전을 유도하고, 팽창된 베슬은 하방으로 그리고 압축된 베슬은 상방으로 가게된다. 베슬들은 아암 회전을 돕기 위해 진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슬들은 모멘텀을 증가시키기 위해 아암의 회전 축선을 향하여 그리고 이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 유체는 따라서 작업자로부터의 임의의 동작의 필요 없이 하나의 베슬로부터 다른 베슬로 전달된다.

Description

비압축성 유체를 옮기기 위한 메커니즘 및 서보 보조식 회전 메커니즘 {MECHANISM FOR SHIFTING INCOMPRESSIBLE FLUID AND SERVO ASSISTED ROTATING MECHANISM}
본 발명은 유체 또는 비점착성(incoherent) 재료를 하나의 베슬로부터 다른 베슬로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며, 이 베슬들은 상이한 높이들로 놓이며 폐쇄 회로 연통 상태에 있다. 특히 메커니즘은 하부 베슬로부터 더 높은 베슬로 유체를 옮기기 위해 중력을 활용한다. 예컨대, 메커니즘은 상이한 높이들에 있는 2 개의 베슬들 사이에 유체를 옮기는 것을 요구하는 임의의 분야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많은 메커니즘들이 베슬로부터 더 높은 위치에 놓인 다른 베슬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해 오랜 시간에 걸쳐 연구되어왔지만, 최신의 메커니즘들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작업자 또는 기계적 액추에이터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을 가하는 것이 요구된다. 중력을 활용할 수 있는, 완전히 자주적이며 간단한 메커니즘이 높게 평가될 것이다. 가능하게는 이러한 중력은 기계적 에너지로 및 가능하게는 다른 형태들의 에너지로 전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의 적어도 일부를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압축성 유체(예컨대, 액체)를 주어진 높이에 있는 하나의 위치로부터 더 높은 위치로, 중력을 활용하여 전달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체는 폐쇄 회로로 연결된 2 개의 베슬들 내에 담겨있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2 개의 베슬들의 상대 위치는 그 후 바뀌어져서, 전달되는 재료(예컨대 유체)의 운동을 역전시키고, 따라서 메커니즘의 주기적 운동 및, 예컨대 하나의 베슬로부터 다른 베슬로의 재료의 주기적 전달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동작을 최소화하는 임의의 분야(펌프들, 기계적 리프터들, 등)에 가능하게는 사용되는 크라운 휠(crown wheel)을 회전하는데 필요한 힘을 발생시키면서, 하나의 베슬로부터 다른 베슬로 재료를 전달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크라운 휠 회전은 예컨대 전력을 발생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베슬들은 대안적으로는 상이한 높이들에 놓이고, 메커니즘 그 자체는 베슬들을 옮기기 위해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고 가능하게는 또한 작업자의 임의의 동작을 최소화하는(또는 가능하게는 없애는) 임의의 분야(펌프들, 기계적 리프터들 등과 같은)를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쇄 회로 연통 상태로 유체를 담고 있는 베슬들 사이에서 옮겨지는 중량을 활용하도록 디자인되는 서보 보조식 회전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의 작업을 위해 지구 중력을 활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자 또는 기계적 액추에이터의 임의의 동작을 감소하거나, 또는 가능하게는 없앨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상기 언급된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최소한의 개수의 부품들을 포함하고, 가장 낮은 보수를 요구하는, 구조 및 기능이 간단한, 합리적인 구성을 갖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및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청구되는 것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제 1 베슬로부터 제 1 베슬에 대하여 더 높은 높이에 놓이는 적어도 제 2 베슬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메커니즘은 : 제 1 및 제 2 가변 체적 베슬들; 및 압축/팽창 수단을 포함하며, 적어도 제 1 및 제 2 베슬은 폐쇄 회로 유체 연통 상태에 있고, 적어도 제 2 베슬은 적어도 제 1 베슬에 대하여 뒤집혀서 위치되고, 상기 압축/팽창 수단은 각각의 베슬에 커플링되어 일시적으로 적어도 제 1 베슬을 압축하고 적어도 제 2 베슬을 팽창하도록 작용하여, 적어도 제 1 베슬은 압축 작용을 받고 적어도 제 2 베슬을 팽창 작용을 받으며, 따라서 유체가 적어도 제 1 베슬로부터 적어도 제 2 베슬로 옮겨지는 것을 야기하며; 상기 압축/팽창 수단은 중력에 의해 활성화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압축/팽창 수단은 각각의 베슬에 커플링되는 추(weight)를 포함하고, 추는 적어도 제 1 베슬 상에 압축 작용을 행하고 적어도 제 2 베슬 상에 팽창 작용을 행한다. 가변 체적 베슬들은 예컨대 가요성 기밀 컨테이너 내측에 놓이는 동심의 강성 실린더들에 의해 구성된다. 실린더들은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이하의 것들 : 금속성 재료, 구멍이 있는 금속 시트, 플라스틱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인, 지구 중력에 의해 야기되는 팽창력 및 압축력에 저항할 수 있는 충분히 강성인 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메커니즘을 지지하는 회전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적어도 제 1 및 제 2 가변 체적 베슬들은 상이한 높이들에 대안적으로 위치되고, 적어도 제 1 및 제 2 가변 체적 베슬들은 상기 회전 메커니즘에 힌지 연결되어 이들은 폐루프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경로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들을 유지하고, 회전 메커니즘은 : 회전 메커니즘에 대한 정지/시작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팽창/압축 수단은 대안적으로 회전 메커니즘에 의해 취해지는 위치에 따라 적어도 제 1 및 제 2 베슬들을 팽창/압축하도록 작용하여, 회전 사이클의 끝에서, 정지/시작 위치에 있는 회전 메커니즘에 의해, 가장 높은 베슬은 팽창 작용을 받고 가장 낮은 베슬은 압축 작용을 받게 되며, 따라서 유체가 가장 낮은 베슬로부터 가장 높은 베슬로 옮겨지는 것을 야기하며, 이는 정지 수단의 해제에 후속하여 경로를 따른 베슬들의 회전을 결정하고, 따라서 중력 효과로 인하여 팽창된 베슬을 하방으로 그리고 압축된 베슬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초기 상태를 회복하며; 가변 체적 베슬들은 회전 동안 메커니즘 회전을 돕기 위해 진동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슬들은, 이들이 팽창 상태에 있을 때, 폐루프 경로에 대하여 외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회전 축선으로부터 멀어지고, 이들이 압축 상태에 있을 때에는, 폐루프 경로에 대하여 내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회전 축선에 가까워져서, 이들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모멘텀을 증가시키고 상방으로 이동할 때 모멘텀을 감소시킨다.
또한 회전 메커니즘은 상기 회전 메커니즘의 회전 동안, 베슬들을 해제하기 위해 가변 체적 베슬들 상에 작용하는 잠금/잠금 해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어서, 베슬들은 회전 메커니즘의 회전을 돕기 위해, 그리고 회전 메커니즘이 정지/시작 위치에 있을 때, 예컨대 팽창/압축 수단의 작용을 촉진하고 가장 낮은 베슬로부터 가장 높은 베슬로의 유체 옮김을 촉진하기 위해 베슬들을 제 위치에 잠그기 위해 진동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슬 지지 시스템 상에 작용하는 정지 수단은 자기 또는 전자기 또는 기계적 기기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회전 메커니즘은 하나 이상의 아암을 포함하며, 이 아암은 중앙 위치에서 지지부에 대하여 피봇되어, 정지 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정지/시작 위치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 평면 내에 동축으로 회전하고, 가변 체적 베슬들은 상기 아암의 대향 단부들 중 하나에 각각 힌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아암은 그의 무게 중심(또는 중력 중심)에 위치되는 허브에 의해 지지부에 연결되고, 지지부는 받침대 또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이들 위에 하나 또는 2 개의 직립부들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장착,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회전 메커니즘은 하나 이상의 아암을 포함하며, 이 아암은 중앙 위치에서 지지부에 대하여 피봇되어, 상기 정지 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정지/시작 위치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 평면 내에 동축으로 회전하고, 하나 이상의 아암의 각각의 단부는 각각의 단부로부터 각각의 아암의 중심을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안내 수단을 포함하고, 가변 체적 베슬들은 하나 이상의 아암의 각각의 대향 단부들에서 제 1 안내 수단과 슬라이딩 맞물림 상태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암은 실질적으로 "Z" 형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주변 레일을 포함하는 방사상의 이동 수단이 제공되며, 이에 의해 가변 체적 베슬들은 슬라이딩 맞물림 상태에 있다.
유리하게는 하나 이상의 주변 레일은 회전의 하향 측을 향하여, 그리고 하방으로 그의 중심이 오프셋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주변 레일의 상부 부분은 약간 평탄화되어, 올라가는 압축된 베슬은 폐루프 경로의 최상부 지점에 도달하지 않는다.
제 2 안내 수단이 또한 바람직하게는 올라가는 압축된 베슬의 경로를 따라 위치되고, 제 2 안내 수단은 하나 이상의 아암의 피봇 지점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곡선의 외형을 가지며, 올라가는 동안 하나 이상의 압축된 베슬이 곡선의 외형 상에 놓여서 슬라이딩하는 방식으로 위치되어, 하나 이상의 압축된 베슬은 뒤집히는 동안 제 2 안내 수단의 곡선의 외형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하나 이상의 아암은 그의 무게 중심에 위치되는 허브에 의해 지지부에 연결되고, 지지부는 받침대 또는 베이스로 구성되며, 이들 위에 하나 또는 2 개의 직립 구조물들이 상기 아암의 양쪽 측들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장착, 배열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아암들은 2 개 또는 3 개 이상이며; 이들은 지지부에 연결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각각의 베슬은 양쪽의 아암들의 대응하는 단부들에 힌지 연결되고, 2 개의 주변 레일들이 베슬들의 방사상의 이동을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아암의 단부들은 안내 수단이 연장하는 길이부를 따라 또는 길이부의 일부를 따라 곡선이다.
제 1 안내 수단은 하나 이상의 아암의 각각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만들어진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회전 메커니즘들은 바람직하게는 회전의 끝에서 하나 이상의 팽창된 베슬을 회전하기 위해 뒤집힘 수단을 포함하여, 베슬들은 최초 구성으로 복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회전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전력을 발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후에,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쇄 유체 회로로 연결되는 2 개의 가변 체적 베슬들을 갖는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커니즘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메커니즘을 정지/시작 위치에서(이후에 참조되는 것과 같이) 그의 본질적으로 척도를 벗어나,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메커니즘의 회전 단계의 연속적인 양상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 특히 도 4 는 그의 작업 사이클의 시작의 바로 앞선 위치에 있는 도 3 의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는 정지/시작 위치로부터 한 라운드의 절반의 완료 후에, 특징 모멘트 내의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은 이후에 설명되는 것과 같은, 진동이 끝나고 회전이 역전될 때, 특징 모멘트로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은 이후에 더 잘 규정되는 것과 같은, 뒤집힘 특징 단계로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메커니즘의 상세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는 시스템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베슬들(유체 컨테이너들)이 가변 아암 길이에 위치 가능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 내지 도 12 는 하나의 작업 사이클 동안 3 개의 특징 위치들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 은 도 10 내지 도 12 의 실시예의 측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양 도면에는 지지 구조물이 제공되고,
도 14 는 치수들 및 중량들의 예를 갖는 작동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 및 도 1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도 1 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메커니즘(1)에서, 2 개의 가변 체적 베슬(4e 및 4c)들은 폐쇄 회로로 연결되고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폐쇄 회로는 이들 사이에 유체 연통을 가능하게 하는 가요성 파이프(10)를 포함한다. 2 개의 베슬들은 예컨대 가요성 기밀 컨테이너(예컨대 고무 컨테이너) 내에 담겨있는 동심의 강성 실린더들을 포함하는 가변 체적 실린더들이다.
2 개의 베슬(4e 및 4c)들은 이들을 상이한 높이로 유지하는 강성 구조물에 의해 지지된다. 도 1 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이러한 강성 구조물은 허브(3)를 통하여 지지부(도시되지 않음)에 대하여 피봇되는 S 형상 아암이다. 아암의 회전을 방지하는 정지 수단이 또한 도시되지 않았다.
가변 체적 실린더들의 예가 도 2 에 나타나 있다. 특히, 실린더(41)들은 중력(예컨대 지구 중력)에 의해 야기되는 팽창 및 압축 응력에 저항할 수 있는 충분히 강성인 재료로 만들어진다. 예컨대, 실린더들은 금속성 재료, 예컨대, 구멍이 있는 금속 시트, 또는 대안적으로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외부 컨테이너(42)에 대하여, 2 개의 컨테이너들 및 이들을 연결하는 파이프(10)로 만들어지는, 폐쇄 유압 회로의 액체 기밀성을 보장한다면, 고무 또는 다른 불투과성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베슬의 가요성은, 압축으로 인하여 액체가 파이프를 통하여 밀어 넣어지는 것, 및 팽창으로 인하여 파이프로부터 빼내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후에 더 명백하게 될 것과 같이, 액체가 전달될 때 베슬들 중 하나(가장 낮은 베슬)는 압축을 받고 다른 베슬은 팽창을 받는다.
도 1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베슬들 중 하나는 팽창 상태(4e, "e" 는 팽창(expanded)을 의미)에 있고, 다른 하나는 압축 상태(4c, "c" 는 압축(compressed)을 의미)에 있다. 추(8)가 각각의 가변 체적 베슬(4e 및 4c)에 제공되고 : 추(8)들 상의 중력의 작용을 고려하면, 이러한 추들은 베슬(4e) 상에 압축력을 베슬(4c) 상에 견인력(traction force)을 행한다. 최초 단계에서, 2 개의 추(8)들의 작용은 예컨대 정지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균형이 맞춰지며 이 정지 수단은 중력 중심(정상적으로 지구 중심)을 향하는 추의 자연적인 이동을 방지한다. 정지 수단이 비활성화될 때 2 개의 추(8)들의 조합된 작용은 방향(B)을 따라 팽창된 베슬(4e)을 밀어내고 압축된 베슬(4c)을 끌어당기며, 이는 베슬들에 담겨 있는 유체가, 파이프(10)를 통하여 하부 베슬(4e)로부터 더 높은 베슬(4c)로 흐르는 것을 야기한다. 압축/팽창 단계의 끝에서, 2 개의 베슬들의 상태는 바뀌어질 것이고, 도 3 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하부 베슬은 압축되고 더 높은 베슬은 팽창된다.
여기서 설명된 예에서 베슬들 내의 유체는 물, 바람직하게는 공기 없이 유입된 물일 수 있다.
당업자는, 유체들이 가능하게는 필요한 보조 기기들의 제공에 의해, 실질적으로 물과 유사한 필요한 비압축성 및 유체 특징들을 갖는다면, 유체는 다른 유체, 점성 액체 또는 비점착성 재료들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동일한 방식으로, 정확히 유체 재료가 아니라, 일부 통상적인 유체 매크로 특징들을 갖는 재료(예컨대, 다수의 비압축성 미세 구체들)가 대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하부 베슬로부터 유체를 밀어내고 상부 베슬 내의 유체를 끌어당기기 위해 필요한 중량은 공식 :
중량 > Psf*Vc/2*Sc/Ssc
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값을 반드시 초과해야 하며,
Sc 는 베슬 섹션의 면적;
Ssc 는 컬럼 섹션의 면적;
Vc/2 는 절반의 컬럼 체적(컬럼 길이/2);
Psf 는 유체의 비중이다.
상기 공식은 다양한 직경들을 갖는 링크 연결된 베슬들에서의 유체 정역학에 참조되는 공지된 파스칼 법칙으로부터 비롯된다.
본 예에서 팽창된 베슬(4e)의 함량은 약 2.5 리터이며, 압축된 베슬(4c)의 함량은 약 0.5 리터이며; 추(8)들은 10.5 ㎏ 의 질량을 갖는 금속 플레이트들이다. 상부 베슬과 하부 베슬 사이의 높이의 차이는 약 2000 ㎜ 이다.
하부 위치로부터 더 높은 위치로 유체(또는 유체형) 재료를 옮기기 위한 상기 설명된 메커니즘은 몇몇의 상이한 목적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이러한 메커니즘은, 유체가 그 동안 하부 베슬로부터 더 높은 베슬로 부분적으로 이동되는 압축/팽창 단계 후에, 최초 상태들이 재설정되고, 팽창된 베슬(4e)(도 3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제 더 높은 위치에 있음)이 하부 위치로 되게 하는, 더 복잡한 메커니즘에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이클은 압축/팽창 단계로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러한 메커니즘의 가능한 실행을 나타낸다. 메커니즘(1)은 폐루프 경로를 따른 회전을 위해,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2 개의 가변 체적 베슬들 또는 컨테이너(4e, 4c)들을 갖는다(차이는 도 3 의 구성에서 팽창된 베슬(4e)이 이제 더 높은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 특히, 예의 구성에서, 메커니즘은 실질적으로 자전거 페달 중 하나와 유사한 형상을 취하고 실질적으로 "Z" 와 같은 형상의 아암(2)을 포함하며, 그의 단부들에서 2 개의 베슬(4e, 4c)들이 놓이며; 컨테이너들은 파이프(여기서 도시되지 않음, 하지만 도 1 에 설명된 파이프(10)와 실질적으로 유사)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아암은 그의 무게 중심에 위치되는 허브(3)에 의해 지지부에 연결된다.
지지부는 받침대 또는 베이스(11)로 구성되며 여기에 2 개의 직립부(12)들이 장착되고,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되며, 그 중 단지 하나를 도 3 에서 볼 수 있다. 다른 도면들(예컨대, 상기 설명된 도 1)에서, 지지부는 명쾌함을 위해 생략되었다.
외부적으로는, 직립부들에 대하여, 자전거 체인 휠들과 유사하게, 하나 또는 2 개의 크라운 휠(13)들이 놓인다(단지 그 중 하나를 도 2 에서 볼 수 있으며, 명쾌함의 이유로 다른 도면들에서는 생략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적 사안들의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나타날 것과 같이, 다른 동등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단지 예로서, 지지부는 단일 직립부(또는 복수의 직립부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2 개 초과의 크라운 휠들이 사용되거나 또는 단지 하나의 크라운 휠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직립부는 이 목적을 위해 적절한 임의의 다른 스탠드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아암(2) 및 체인 휠(13)들은 허브에 의해 연결된다(자전거와 마찬가지, 여기서 이는 소위 "중앙 이동(central movement)"에 의해 발생).
특히, 아암은 플라이휠 메커니즘을 통하여 크라운 휠(들)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아암의 회전 운동은 일방 방식으로 크라운 휠들에 전달되고, 이점들이 분명하게 얻어지며 이는 이후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정지 수단(7)(도 3 에 개략적으로 나타남)들은 베이스(11) 상에 장착되고 이중 임무를 수행하며 : 이들은 아암이 정지/시작 위치(AP)에 있을 때, 아암 진동 운동을 정지시키고, 이들은 아암이 정지/시작 위치로부터 시작하는 그 이후의 절반의 회전을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아암(2)을 해제한다. 정지 수단은, 가능한 실시예에서 아암(2)을 정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수직 진동 아암을 포함한다. 진동 아암이 화살표 및 문자 R 에 의해 표시된 것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이는 아암을 해제하고, 아암은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 에 파선 17 에 의해 표시된 것과 같이, 다른 위치에서 아암(2) 상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다른 종류들의 정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방금 설명된 것과 같은 정지 수단은 분명하게는 이러한 메커니즘의 많은 가능한 실시예들의 단지 일부이며, 단지 요구 사항은 베슬들의 변화된 중량 상태들(즉,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채움)에 따라 아암 회전을 정지 및 대안적으로는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후의 도면들에서 정지 수단은 명쾌함을 위해 일반적으로는 나타내지 않는다.
가변 체적 베슬(4e, 4c)들은 파이프(10)(일부 도면들에서 또한 나타나지 않음)를 통하여 유체 연통 상태에 있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가요성 기밀 컨테이너들 내측에 담겨 있는 동심의 강성 실린더들로 만들어진다.
가변 체적 베슬(4e, 4c)들 양쪽은 회전 메커니즘에 힌지 연결되고, 특히 이들은 아암(2)의 대향 단부들의 하나에 또는 그 근처에 각각 힌지 연결된다. 특히, 이들은 단부들의 코너 중 하나와 힌지 연결되며, 특히 외부 코너, 즉 아암(2)의 회전 축선으로부터 더 먼 코너와 힌지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슬들은 이러한 경로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들에 위치되면서 폐루프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아암에 대한 정지/시작 위치는 정지 수단(7)에 의해 결정된다. 가변 체적 베슬들 상에 작용하며, 아암의 회전 동안, 베슬들을 해제하도록 디자인되어, 베슬들을 이러한 상태로, 예컨대 외부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잠금/잠금 해제 수단(6)이 제공된다.
이러한 특징은 반경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아암의 회전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에 의해 팽창된 베슬은 회전하며, 즉 이러한 길이는 증가하고, 따라서 각도 모멘트가 증가하며 더 큰 관성 효과가 얻어지고 생성된다.
실제로, 이러한 사실은 지주(fulcrum)를 저항력을 향하여 옮기고 따라서 구동력 효과를 증가시킨다.
역으로, 아암이 정지/시작 위치에 있을 때(도 1, 도 3), 잠금/잠금 해제 수단(6)은, 대신 해제되는 팽창/압축 수단의 작용을 촉진시키고, 팽창되는 가장 낮은 베슬로부터, 압축되는 가장 높은 베슬로의 유체의 전달을 촉진시키기 위해 이러한 위치로 베슬들을 잠근다.
자기, 전자기, 기계적(예컨대, 스냅 수단)일 수 있는, 잠금/잠금 해제 수단은 단지 개략적으로 표시되고 상세하게 나타나지 않는데, 이들은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베슬(4e)들 중 하나는 팽창되고 유체로 가득 차는 반면 다른 베슬은 압축되고 더 적은 양의 유체를 담고 있어서, 정지/시작 위치에서, 경로를 따른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된 팽창된 베슬(4e)은 상기 정지 수단의 해제에 후속하여 경로를 따른 아암 및 베슬들의 회전을 결정하며, 따라서 중력의 효과(또는 임의의 다른 동등한 힘의 효과, 예컨대 지구 중력 효과를 모방하는 원심력의 환경)로 인하여 팽창된 베슬을 하방으로 그리고 압축된 베슬을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회전 단계의 연속적인 양상들은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다.
회전 단계 동안 팽창된 베슬(4e)에 의해 도달되는 가장 높은 위치에서 베슬은 뒤집혀 회전되고, 뒤집힘 수단(9)이 제공되며 이는 가변 체적 베슬들 및 팽창/압축 수단을 이들이 상기 잠금/잠금 해제 수단의 잠금 작용을 받는 위치로 돌아가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7 에 나타낸 것과 같은, 뒤집힘 수단은 그 후의 곡선의 그리고 직선 섹션(91 및 92)들로 연장하는 트랙 레일, 또는 트랙 이중 레일을 포함하며, 이들은 서로 마주하며 실린더가 이들과 적절하게 위치된 하나 또는 2 개의 가로 연장부(48)들에 의해 접촉하게 될 때 실린더의 뒤집힘을 야기하는 형상을 갖는다.
트랙 레일 또는 트랙 이중 레일을 따른 슬라이딩으로 인한 마찰을 무시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볼 베어링들 또는 다른 수단이 구비된 가로 연장부(48)들은 트랙 레일 또는 트랙 이중 레일이, 반시계 방향(WA)(도 6 및 도 7 참조)으로의 아암의 후진 진동 동안 이들에 의해 운행하는 경로와 교차하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시계 방향(WO)으로의 전진 진동 동안, 트랙 레일의 말단 부분은 실린더를 지나가게 하는, 실린더(4e)의 밀어 넣음 하에서, 상방으로 진동하도록 만들어진다.
뒤집힘 수단 작용은 당업자에게 명확한 것으로 보이며, 그의 최종 결과는 실린더(4e)를 수직 위치로 설정하고, 아암(2) 상에 놓으며, 시작 상태들, 즉 도 1 에 도시된 상태(압축/팽창 단계 전)로 회복시킨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시계 방향(WO)으로 규정될 수 있는, 제 1 방향으로의 아암 회전은, 추 운동에 의해, 진동의 최하부 지점을 침입한 후에, 팽창된 베슬이 대향하는 측 상의 최상부 위치에 도달할 때 끝나게 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베슬은 원심력에 인한, 진동, 예컨대 외부 방향의 진동을 수행하고, 아암은 후진 하방 운동, 즉 반시계 방향(도 6 및 도 7)의 운동을 시작한다. 이러한 단계에서, 베슬 뒤집힘 수단(9)이 개입하고, 이는 후진 하방 운동 동안 베슬을 가로막으며, 베슬을 뒤집고 베슬이 아암에 대하여 최초 위치로 돌아가게 한다.
가로 연장부(48)들은 뒤집힘 레일 트랙의 섹션(91 및 그 후 92)들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팽창된 실린더(4e)의 상부 부분을 파지하여, 이 실린더가 뒤집히는 것을 야기한다.
팽창된 실린더(4e)가 아암(2)에 대항하여 접하게 되자마자, 잠금/잠금 해제 수단(6)이 개입하며, 이는 실린더를 그 위치로 잠근다.
방금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또한 다른 베슬, 즉 압축된 베슬(4c)이, 그의 진동의 결과로서, 시작 상태(도 1)에서와 같이, 아암(2) 상에 놓이는 위치를 잠시 취하며, 그 후 잠금/잠금 해제 수단에 의해 이러한 위치로 잠금되며, 최초 구성을 회복한다.
회전 단계의 끝에서 베슬(4e)을 뒤집기 위해,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예컨대(도면들에 나타나지 않음), 각각의 때에 팽창된 베슬(4e)에 뒤집힘을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 회전을 부여하도록 디자인되는 모터와 같은 동력 수단이 베슬들의 힌지들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는 팽창된 베슬(4e)이 그의 진동을 역전할 때의 순간에 활성화될 수 있고, 따라서 베슬이 진동 운동을 완료하고 뒤집혀지게 한다. 진동 역전을 검출하는 센서와 같은 수단이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모터는 예컨대 회전 메커니즘의 출력 샤프트에 연결되는 발전기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에 의해 동력이 공급될 수 있다.
예컨대 기계적인, 다른 수단이 모터 대신에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리프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각각의 베슬의 힌지에 연결될 수 있어서, 팽창된 베슬(4e)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반시계 방향(WA)으로 진동할 때, 과도한 에너지는 스프링을 로드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그 후 베슬의 탄성 반응에 의해 나중에 베슬을 돕는다.
유리하게는, 스프링 및 모터 양쪽은 회전 메커니즘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다른 기계적 수단이 동일한 작용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수단은 가능하게는 공지되어 있거나 당업자에 의해 쉽게 구상될 수 있다.
뒤집힘 수단 작용은 당업자에게 명확한 것으로 보이고, 그의 최종 결과는 실린더(4e)를 수직 위치로 설정하고, 아암(2) 상에 놓이게 한다.
도 1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베슬들의 팽창/압축 작용을 얻기 위해, 팽창/압축 수단(8)이 제공되며, 이는 아암(2)에 의해 취해지는 위치에 따라 대안적으로 베슬(4e, 4c)을 팽창/압축하도록 작용한다.
도 1 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압축 팽창 단계에서 아암의 정지/시작 위치(AP)에서, 가장 높은 베슬은 팽창 작용을 받지만, 가장 낮은 베슬은 압축 작용을 받으며, 따라서 유체가 가장 낮은 베슬로부터 가장 높은 베슬로 옮겨지는 것을 야기한다.
이후에 더 명백하게 될 것과 같이, 이러한 작용은 각각의 때에 최초 상태를 회복하기 위해 회전 단계의 끝에서 반복될 것이다.
팽창/압축 수단(8)은 밀기/견인 수단을 포함하며, 이들은 베슬(4e, 4c)들에 연결되며, 그의 관련 베슬 연결 지점의 위치에 따라서, 즉 베슬 위에서(압축) 또는 베슬 아래에서(팽창), 중력의 작용에 의해 대안적으로는 팽창/압축 수단을 밀고/끌어당기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위치는 아암(2)의 회전에 후속하여 변화한다.
본 예에서, 밀기/견인 수단은 베슬들에 접합되고 베슬들을 하방으로 밀거나 또는 베슬들을, 다시 하방으로 끌어당기도록 작용하는 중질 매스들을 포함한다. 팽창/압축 수단(8)은 아암(2)의 회전 동안 이들의 위치로 잠금될 수 있어서, 이들의 작용은 단지 시작/정지 위치(AP)에서만 발생한다. 팽창/압축 수단(8)의 위치를 잠그기 위해 대응하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도면들에 나타나지 않지만, 이들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구상될 수 있다.
여기서 나타나지 않은,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체적 베슬들은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안에서 관련된 플런저들이 실린더의 밖으로 연장하는 관련 스템(stem)들과 슬라이딩한다.
팽창/압축 수단은 스템들 상에 작용하도록 만들어진다.
도 8 에 나타낸 다른 가능한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체적 베슬들은 실절적으로 3 개의 부품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
- 실질적으로 가요성 컨테이너(43)로 만들어지며, 2 개의 플레이트(44)들 사이에 끼워지는 실제 베슬;
- 아암의 단부에 연결되고 컨테이너에 체결되는 플레이트;
- 컨테이너의 대향하는 부품에 체결되고 압축 또는 팽창 작용을 수행하기 위해, 로드(45)들을 따라 슬라이딩하지 않는 다른 플레이트.
본 발명의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커니즘의 본질적인 특징은 2 개의 상이한 단계들로 중력을 활용하는 것이다. 상기 설명된 압축/팽창 단계는 회전 단계에 후속하며, 정지 수단이 아암이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부 베슬이 하부 베슬보다 충분히 더 큰 중량을 갖는 것으로 추정될 때, 상부 베슬은 중력 중심(예컨대 지구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하고 따라서 아암(2)의 회전을 야기한다.
이러한 때에, 압축/팽창 단계는 다시 시작되고, 잠금/잠금 해제 시스템은 베슬들을 정상 위치(steady position)들로 유지하고, 정지 수단은 정지/시작 위치에서 아암을 정지된 채로 유지하며, 중력은 압축 수단(예컨대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에 의해 최하부 베슬 상에 작용(이를 압축시킴)하는 동안 동시에 중력은 최상부 베슬 팽창 수단(예컨대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에 의해 최상부 베슬을 끌어당긴다(이를 팽창시킴).
이러한 2 개의 작용들의 조합된 효과는 액체가 최하부 베슬로부터 최상부 베슬로 이동하는 것을 야기하고, 결과적으로 중량이 또한 전달된다.
베슬 압축/팽창 단계의 끝에서, 압축 수단은 정지 수단의 해제를 야기한다. 동시에, 유압 폐쇄 메커니즘은 베슬로부터 다른 베슬로의 유체 연통을 절단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그 후 액체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회전 단계의 끝에서 반드시 재개방되어야만 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폐쇄/개방 메커니즘은 압축 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중량 작용에 의해 이용 가능 및 이용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때에, 정지 수단(7)은 메커니즘이 회전이 없게 하는 동안 잠금/잠금 해제 수단(6)은 외부 방향으로 진동하는 팽창된 베슬(4e)을 잠금 해제하고,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이동이 회전 단계에 의해 다시 시작되며, 베슬들은 역전된 위치들에 있다.
2 번의 팽창/압축 단계들 및 2 번의 회전 단계들 후에, 교대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베슬들이 이들의 최초 위치들을 취할 것이다.
소위 팽창/압축 단계 및 회전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본 예에서 도시된 것일 필요는 없으며 : 이들은 쉽게 역전될 수 있고, 즉 이들은 회전 단계에 의해 시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베슬들은 단지 진동할 뿐만 아니라, 또한 이들이 팽창된 상태에 있을 때, 폐루프 경로에 대하여 외부 방향으로 또한 이동되어 회전 축선으로부터 멀어지고, 이들이 압축된 상태에 있을 때 폐루프 경로에 대하여 내부 방향으로 그리고 회전 축선에 더 가깝게 이동된다.
베슬들의 이러한 운동은 이들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모멘텀을 더 증가시키고 이들이 상방으로 이동할 때 모멘텀을 더 감소시킨다.
베슬들은, 중력 작용으로 인하여, 메커니즘이 정지/시작 위치에서 정지될 때 외부 방향으로 그리고 내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는 도 9 에서 예시적인 실시예의 형태로 볼 수 있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7 에 나타낸 것과 같이, 회전 메커니즘은 실질적으로 제 1 클래스 레버이며, 여기서 지주는 구동력(4e)과 저항력(4c) 사이에 놓인다.
절반의 회전 후에 다른 절반의 회전이 일어나게 하기 위해, 2 개의 힘들이 역전되는 것이 필요하며 : 저항력은 구동력이 되어야만 하며 구동력은 저항력이 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결과를 얻기 위해, 추(또는 매스)가 하부 위치의 컨테이너로부터 상부 위치의 컨테이너로 옮겨지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정지 수단을 해제하고 새로운 절반의 회전을 시작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계는 추를 하부 컨테이너로부터 상부 컨테이너로 옮기기 위해 지구의 중력을 활용한다.
양쪽이 중력(또는 자기장과 같이, 유사한 효과를 갖는 다른 힘)에 의해 야기되는, 이러한 밀림들의 조합된 작용들은 최하부 베슬로부터 최상부 베슬로의 액체(또는 그의 일부)의 전달을 초래하며, 상기 설명된 절반의 회전은 반복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하부 베슬로부터 더 높은 베슬로의 유체 전달 작용은, 구동력 및 저항력의 역전을 얻도록 추의 일부가 전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것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단계가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나타낸다.
회전 메커니즘은 : 구조적 부품에 관하여 금속 또는 금속 합금 또는 목재(아암들, 지지부 및 잠금 시스템); 베슬들에 대한 불투과성 및 압축성 특징들을 갖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또는 다른 재료(예컨대 원통형, 유체 역학 또는 기계적 아암들에서의 구동력으로서 이용되는 오일 압력 피스톤들)와 같은 몇몇의 타입들의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으며; 연결 파이프들은 고무 또는 플라스틱 메탈 또는 불투과성 특징들을 갖는 다른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베슬들을 만들기 위해 재료를 선택할 때, 비구동 구성요소들, 즉 유체 및 추들을 제외한 임의의 구성요소의 매스가 가능한 한 많이 제한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과도한 추가적인 중량은 기계 성능들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몇몇의 대안들 또는 추가의 실시예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로서, 도 9 는 가능한 대안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며 베슬의 위치는 아암의 단부 부분들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이러한 경우, 중앙 요소와 예각을 형성함) 무게 중심으로부터 베슬의 거리는 가변적이며; 이러한 방식으로 지주는 시스템의 저항력을 향하여 옮겨질 수 있고, 따라서 기계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른 가능한 해결책은 회전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소위 "이지 크랭크(easy-crank)"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 10 내지 도 12 에 나타나 있고, 여기서 베슬(104c, 104e)들은(회전 단계 동안) 아암의 운동 동안 메커니즘의 회전 축선에 대하여 이동되고; 세부적으로는, 베슬(104e) 및 베슬(104c)은 내려가는 동안 외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올라가는 동안 내부 방향으로 각각 이동된다.
특히, 예의 구성에서, 메커니즘은 한 쌍의 아암(102)들을 포함하며, 그의 단부들에 베슬(104e, 104c)들이, 이후에 더 잘 설명되는 방식으로 힌지 연결된다. 각각의 아암(102)은 한 쌍의 연결된 베슬(104e 및 104c)을 갖는다. 도 10 에서 단지 하나의 아암(102) 및 한 쌍의 베슬(104e 및 104c)들을 볼 수 있지만, 도 13 은 2 개의 아암들을 볼 수 있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3 에서 지지 구조물(115)이 나타나 있지만, 도 10 내지 도 12 에서 이는 명쾌함을 위해 보이지 않는다. 물론 메커니즘은 단지 하나의 아암(102)에 의해 또는 3 또는 그 초과의 아암(102)들 및 대응하는 쌍의 베슬(104e 및 104c)들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베슬들은 더 명쾌함을 위해 도 10 내지 도 12 에서 나타내지 않은, 이전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된 것과 같이 파이프에 의해 함께 링크 연결된다.
아암(102)들은 이들의 중심에서, 허브 또는 허브들(103)에 의해, 명쾌함을 위해 나타내지 않은 고정 지지부에 대하여 피봇되어, 이들은 상호 동축 관계로, 실질적으로 수직 평면들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설명이 항상 한 쌍의 아암들을 참조하지만,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필요한 수정들의 제공에 의해, 단지 하나의 아암 또는 2 개 초과의 아암들이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아암들은 예컨대 또한 나타내지 않은 출력 축에, 가능하게는 플라이휠 메커니즘의 삽입에 의해 또한 나타내지 않은 크라운 휠(들)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아암(102)들의 회전 운동은 일방 방식으로 크라운 휠(들)에 전달되고, 명백한 이점들이 따라서 얻어지며 이는 이후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후에, 아암들의 회전은 도 12 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항상 시계 방향(W)인 것으로 가정될 것이며, 이는 단지 예일 뿐이다.
정지 수단(이전에 기재된 실시예들과 유사하고 도 10 내지 도 12 에는 나타나지 않음)은 적절한 위치, 예컨대 아암들을 위해 의도된 정지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선택적으로는, 장치 수단은 도 10 에 표시된 것과 같이 단지 아암을 시작/정지 위치에 정지시킬 때에, 상이한 위치에 또한 장착될 수 있다.
정지 수단은 이중 임무를 수행하며 : 이들은 아암들이 정지/시작 위치(NAP)에 있을 때 아암들의 운동을 정지시키고, 이들은 아암들이 정지/시작 위치로부터 시작하는 그 이후의 절반의 회전에 걸쳐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아암(102)들을 해제한다.
정지 수단은 여기서 설명되지 않는데, 이는 이들이 단지 베슬들의 변화된 중량 상태들(즉,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채움)에 따라 아암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대안적으로는 가능하게 하는 요구사항을 갖는, 임의의 종류일 수 있기 때문이다.
가변 체적 베슬(104e, 104c)들 양쪽은 회전 메커니즘에 힌지 연결되고, 특히 이들은 각각 아암(102)들의 대향 단부들에 또는 그 근처에 힌지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아암들에는 허브(103)를 중심으로 하는 동기적 회전이 도입되며 베슬(104c, 104e)들은 폐루프 경로를 따라 취해지고 이러한 경로에 대하여 항상 대향하는 위치들에 위치된다.
각각의 베슬(104c, 104e)의 연결 힌지(107)는 베슬의 외부 코너에 위치되며 이는 아암들의 회전 축선으로부터 더 먼 코너를 의미한다. 롤러(106)들이 각각의 베슬의 다른 코너에 체결되며, 그 이유는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각각의 아암(102)의 각각의 단부는 길이방향 안내 수단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허브(103)를 향하여 각각의 아암(102)의 대응하는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슬롯(105)을 포함한다.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안내 수단이 대신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베슬(104c, 104e)과 관련 아암들 사이의 연결 힌지(107)는 2 개의 아암들의 한 쌍의 마주하는 슬롯(105)들과 슬라이딩 맞물림 상태에 있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베슬은 아암의 회전 축선 즉 허브(103)를 향하여 그리고 이로부터 멀어져서 슬롯(105)들을 따라 방사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메커니즘은 실질적으로 원형 형상을 갖는, 2 개의 주변 레일(110)들에 의해 형성되는 방사상의 이동 수단을 또한 포함하며, 그의 임무는 베슬(104e, 104c)들의 방사상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동축이며 동일한 직경을 갖는, 주변 레일들은 메커니즘의 측을 향하여 아암(102)들의 허브에 대하여 오프셋된 중심(109)을 가지며 가변 체적 베슬들은, 도 10 의 시계 방향(W)들로의 아암들의 예시적인 회전 방향을 고려하면, 위로부터 하방으로, 즉 우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주변 레일들의 중심은 또한 하방으로 오프셋된다.
결과적인 우측 하방 오프셋 거리는 슬롯(105)들의 길이의 절반보다 더 크지 않다.
각각의 베슬(104c, 104e)과 관련 아암들 사이의 연결 힌지(107)는 또한 주변 레일(110)들과 슬라이딩 맞물림 상태에 있다. 그의 결과로서, 아암들이 시계 방향(W)으로 회전할 때, 베슬(104c, 104e)들은 원형 폐루프 경로를 따라 이동할 뿐만 아니라, 이들은 또한 베슬들이 위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방사상으로 외부 방향으로 이동되며, 베슬들이 아래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내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베슬들의 이러한 상호적 방사상의 운동의 이점은 베슬들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모멘텀을 더 증가시키고 베슬들이 상방으로 이동할 때 모멘텀을 더 감소시키는 것이다.
베슬들 중 하나(104e)는 팽창되고 유체로 가득하지만 다른 베슬은 압축되고 더 적은 양의 유체를 담고 있어서, 중력 효과(또는 임의의 다른 동등한 힘의 효과, 예컨대 원심력이 지구 중력 효과를 모방하는 환경)로 인하여, 정지/시작 위치에서 폐루프 경로를 따라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되는 팽창된 베슬은, 정지 수단의 해제에 후속하여, 폐루프 경로를 따른 아암들 및 베슬들의 회전을 야기한다.
하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팽창된 베슬(104e)은, 주변 레일(110)들의 효과로 인하여 또한 외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는 팽창된 베슬(104e)에 의해 아암들 상에 가해지는 힘의 모멘텀을 증가시키고, 아암들의 회전을 개선한다. 역으로, 상방으로 이동하는 압축된 베슬(104c)은 또한 메커니즘의 중심을 향하여, 아암 회전 축선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는 압축된 베슬을 위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힘의 값을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아암들은 실질적인 시계 방향 회전 효과의 개선을 갖는 제 1 타입 레버로서 작동한다.
베슬들의 팽창/압축 작용을 얻기 위해,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팽창/압축 수단(108)이 제공된다. 압축/팽창 단계는 실질적으로 이전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상세하게는, 아암들의 정지/시작 위치(NAP)에서, 가장 높은 베슬은 팽창 작용을 받지만, 가장 낮은 베슬은 압축 작용을 받으며, 따라서 압축/팽창 단계 동안 유체가 가장 낮은 베슬로부터 가장 높은 베슬로 옮겨지는 것을 야기한다(도 10).
이러한 작용은 각각의 때에 최초 상태를 회복하는 목적을 갖는다.
안내 요소(111)(예컨대 곡선의 플레이트)가 올라가는 압축된 베슬(104c)의 경로를 따라 위치된다. 안내 요소(111)는 아암(102)들의 회전 축선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곡선의 외형을 갖는다. 안내 요소(111)는 올라가는 동안 압축된 베슬(104c)이 곡선의 외형 상에 놓여서 슬라이딩하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얻어지는 효과는 압축된 베슬(104c)의 중량의 일부가 특히 압축된 베슬(104c)이 뒤집히는 폐루프 경로의 최상부 섹션에서, 롤러(106)들을 통하여 안내 요소(111)의 곡선의 외형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내려가는 팽창된 베슬(104e)은 반드시 아암들로부터 매달리는 압축된 베슬(104c)의 중량을 단지 상쇄해야만 한다. 이는 메커니즘의 회전 프로세스를 더 개선하고 훨씬 더 큰 힘이 팽창된 베슬(104e)에 의해 아암들 상에 가해진다.
가능한 변형은 아암들의 단부들이 도 13 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슬롯(105)들이 연장하는 길이의 일부 또는 길이를 따라 곡선이라는 사실을 포함한다. 이는 아암들의 회전 동안 베슬들의 방사상의 운동을 개선하고 매끄럽게 한다.
일련의 개선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개선에 따르면, 주변 레일(110)들의 상부 부분은 약간 평탄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올라가는 압축된 베슬(104c)은 폐루프 경로 내의 최상부 지점에 도달할 필요가 없고, 이러한 점에서 회전 프로세스를 더 쉽게 만든다. 따라서, 팽창된 베슬(104e)은 아암들 상에 더 큰 힘을 가할 수 있는데, 압축된 베슬(104c)의 상방 이동의 특정한 길이에 균형을 맞출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팽창된 베슬(104e)의 관성이 상부 압축된 베슬(104c)로 물을 변위시키기 위해 팽창된 베슬이 뒤집어지게 하기에 하방 이동의 끝에서 충분하지 않은 경우, 추가의 개선들이 도입된다.
로프(113)가 허브(103)와 베슬(104c)들 사이에 놓일 수 있으며, 이러한 로프는 베슬(104e)이 내려가는 각각의 때에 아암(102)들에 대하여 특정한 각도를 넘어서 회전하지 않는 길이를 갖는다. 이 결과로서, 아암들이 시작/정지 위치(NAP)에 도착할 때, 베슬(104c)은 로프가 없을 때보다 더 작은 각도에 걸쳐서만 회전되어야만 한다.
다른 가능한 개선(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음)은 베슬들의 힌지들에 연결되는, 뒤집힘을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 회전을 각각의 때에 팽창된 베슬(104e)에 부여하도록 디자인되는 모터와 같은,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동력 수단을 포함한다. 모터는 팽창된 베슬(104e)이 그 진동을 역전할 때에 활성화될 수 있고, 따라서 베슬이 진동 운동을 완료하고 뒤집어지게 한다. 진동 역전을 검출하는 센서와 같은,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수단이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모터는 예컨대 회전 메커니즘의 출력 샤프트에 연결되는 발전기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에 의해 동력이 공급될 수 있다.
예컨대 기계적인, 다른 수단이 모터 대신에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리프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각각의 베슬의 힌지에 연결될 수 있어서, 팽창된 베슬(104e)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진동할 때, 과도한 에너지는 스프링을 로드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그 후 베슬 탄성 반응에 의해 나중에 베슬을 돕는다.
유리하게는, 스프링 및 모터 양쪽은 회전 메커니즘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다른 기계적 수단이 동일한 작용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수단은 가능하게는 공지되어 있거나 당업자에 의해 쉽게 구상될 수 있다.
뒤집힘 수단 작용은 당업자에게 명확한 것으로 보이고, 그의 최종 결과는 실린더(104e)를 수직 위치로 설정하고, 아암(102) 상에 놓이게 한다.
단지 예로서, 가능한 실행들을 제한하려는 어떠한 의도 없이, 도 14 는 몇몇 치수들(㎜) 및 작동 실시예의 중량들을 나타낸다.
도 15 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그리고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전달은 아암 대신 체인(213)에 의해 이루어지고 베슬(204)들은 서로 작동식으로 링크 연결되고 제 1 레일(210)들을 따라 인도되는 각각의 운반대(carriage)들에 힌지 연결된다(베슬과 체인 사이의 연결(215) 뿐만 아니라 운반대(214)들은 도 15 상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이들은 도 16 에 개략적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경우, 제 1 레일(210)들은 상향 및 하향 부분들에서 평탄화되어, 2 개의 수직 직선 경로 길이부들을 형성하고, 이는 상부 및 하부 반원형 경로 길이부들을 연결한다.
외부 레일(211)이 제공되며 이는 하향 수직 직선 경로 길이부, 하부 반원형 경로 길이부(272b) 및 상향 수직 직선 경로 길이부를 외부적으로 따른다.
팽창된 베슬(204)이 하향 수직 직선 경로 길이부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할 때, 하향 수직 직선 경로 길이부의 입구에서, 상부 반원형 경로 길이부를 따라 위치되는 압축된 베슬로 물을 전달하기 위해(이전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향 수직 직선 경로 길이부의 입구에서, 정지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이 팽창된 베슬은 외부 레일(211)에 의해 직립 위치로 유지된다.
베슬(204)들은, 상부 반원형 경로 길이부와 동심이며, 곡선의 플레이트(212) 위에서 슬라이딩하도록 디자인되는 가로 연장부들을 가지며, 상부 반원형 경로 길이부를 따라 뒤집힌다. 효과는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에서의 안내 수단(111)과 동일하다.
다시 말하면, 도 14 에 나타낸 메커니즘은 상이한 높이들에 대안적으로 위치되는 가변 체적 베슬들 사이의 유체 또는 비점착성 재료의 전달을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설명될 수 있고, 베슬들은 서로 폐쇄 회로 연통 상태에 있고 주기적으로 압축/팽창되어 압축 하의 베슬로부터 팽창 하의 베슬로 유체 또는 비점착성 재료를 전달하며, 메커니즘은 :
- 2 개 이상의 가변 체적 베슬들,
- 팽창/압축 수단을 포함하고,
2 개 이상의 가변 체적 베슬들은 유체 연통 상태에 있으며, 서로 작동식으로 링크 연결되는 각각의 운반대들에 힌지 연결되고 폐루프 레일을 따라 운행하여 이 베슬들은 상기 경로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들을 유지하면서 폐루프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정지/시작 위치는 정지 수단에 의해 운반대들에 대하여 결정되고, 팽창 상태에 있는 상기 베슬들 중 하나는 압축 상태에 있는 상기 베슬들 중 다른 하나보다 더 많은 양의 유체를 담고 있어서, 정지/시작 위치에서, 경로를 따라 가장 높은 팽창된 베슬은 상기 정지 수단의 해제에 후속하여 상기 경로를 따라 운행하게 하고, 따라서 중력의 효과로 인하여 팽창된 베슬은 하방으로 그리고 압축된 베슬은 상방으로 이동하며,
팽창/압축 수단은 운반대들에 의해 취해지는 위치에 따라 상기 베슬들을 대안적으로는 팽창/압축하도록 작용하여, 회전 사이클의 끝에서 정지/시작 위치들에서의 운반대들을 갖는, 가장 높은 베슬은 팽창 작용을 받지만, 가장 낮은 베슬은 압축 작용을 받으며, 따라서 유체가 가장 낮은 베슬로부터 가장 높은 베슬로 옮겨지는 것을 야기하여, 최초 상태를 회복하며,
가변 체적 베슬들은 운반대들이 상기 가변 체적 베슬들의 운동을 돕기 위해 상기 폐루프 레일을 따라 운행하는 동안 진동하며 이들은 위에서 하방으로 그리고 아래에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설명된 메커니즘에서, 폐루프 레일은 바람직하게는 2 개의 수직 직선 경로 길이부들을 포함하고, 이는 상부 및 하부 반원형 경로 길이부들을 연결한다. 또한 메커니즘은 하향 수직 직선 경로 길이부, 하부 반원형 경로 길이부 및 부분적으로는 상향 수직 직선 경로 길이부를 외부적으로 따라 제공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어서, 하향 수직 직선 경로 길이부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팽창된 베슬은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직립 위치로 유지된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메커니즘은 곡선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이는 상부 반원형 경로 길이부와 동심이며, 상부 반원형 경로 길이부를 따라 뒤집히는 동안 그 위에서 상기 베슬들이 슬라이딩한다. 또한 베슬들은 상기 플레이트 위에서 슬라이딩하도록 디자인되는 가로 연장부들을 가질 수 있다.
이전의 문단들에서 본 발명의 메커니즘이 특별한 실행 세부사항들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많은 다른 변형예들이 이후에 청구되는 것과 같은 메커니즘을 얻기 위해 가능하다. 또한 "베슬들"의 의미 뿐만 아니라 "유체"의 의미는 넓은 의미로 취해져야 하며 : 동일한 메커니즘을 상이한, 하지만 동등한 구성요소들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단지 예를 들자면, 중력에 의해 당겨지는 한 쌍의 추들에 의해 더 낮은 레벨에서 더 높은 레벨로 밀려지는 유체의 기능은 2 개의 회전 휠들 주위에 랩핑된 체인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중량의 압력은 2 개의 휠들의 회전을 야기하며 더 낮은 휠로부터 언랩핑(unwrapping)되고 더 높은 휠 상에서 랩핑된다.

Claims (24)

  1. 적어도 제 1 베슬로부터 상기 제 1 베슬에 대하여 더 높은 높이에 놓이는 적어도 제 2 베슬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 제 1 및 제 2 가변 체적 베슬들; 및
    - 압축/팽창 수단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제 1 및 제 2 베슬은 폐쇄 회로 유체 연통 상태에 있고, 적어도 제 2 베슬은 적어도 제 1 베슬에 대하여 뒤집혀서 위치되고,
    상기 압축/팽창 수단은 각각의 베슬에 커플링되어 일시적으로 적어도 제 1 베슬을 압축하고 적어도 제 2 베슬을 팽창하도록 작용하여, 적어도 제 1 베슬은 압축 작용을 받고 적어도 제 2 베슬을 팽창 작용을 받으며, 따라서 유체가 적어도 제 1 베슬로부터 적어도 제 2 베슬로 옮겨지는 것을 야기하고;
    상기 압축/팽창 수단은 중력에 의해 활성화되는,
    메커니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팽창 수단은 각각의 베슬에 커플링되는 추를 포함하고, 상기 추는 적어도 제 1 베슬 상에 압축 작용을 그리고 적어도 제 2 베슬 상에 팽창 작용을 행하는,
    메커니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체적 베슬들은 가요성 기밀 컨테이너 내측에 놓이는 동심의 강성 실린더들에 의해 구성되는,
    메커니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들은 지구 중력에 의해 야기되는 팽창력 및 압축력에 저항할 수 있는 충분히 강성인 재료로 만들어지는,
    메커니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들은 이하 : 금속성 재료, 구멍이 있는 금속 시트, 플라스틱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로 만들어지는,
    메커니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메커니즘을 지지하는 회전 메커니즘으로서,
    적어도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 체적 베슬들은 상이한 높이들에 대안적으로 위치되고, 적어도 제 1 및 제 2 가변 체적 베슬들은 상기 회전 메커니즘에 힌지 연결되어 이들은 폐루프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경로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들을 유지하고, 회전 메커니즘은 :
    - 상기 회전 메커니즘에 대한 정지/시작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지 수단을 더 포함하며;
    팽창/압축 수단은 대안적으로 회전 메커니즘에 의해 취해지는 위치에 따라 적어도 제 1 및 제 2 베슬들을 팽창/압축하도록 작용하여, 회전 사이클의 끝에서, 정지/시작 위치에 있는 회전 메커니즘에 의해, 가장 높은 베슬은 팽창 작용을 받고 가장 낮은 베슬은 압축 작용을 받게 되며, 따라서 유체가 가장 낮은 베슬로부터 가장 높은 베슬로 옮겨지는 것을 야기하며, 이는 정지 수단의 해제에 후속하여 경로를 따른 베슬들의 회전을 결정하고, 따라서 중력 효과로 인하여 팽창된 베슬을 하방으로 그리고 압축된 베슬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초기 상태를 회복하며; 그리고,
    상기 가변 체적 베슬들은 회전 동안 메커니즘 회전을 돕기 위해 진동하는,
    회전 메커니즘.
  7.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및 제 2 베슬들은, 이들이 팽창 상태에 있을 때 회전 축선으로부터 멀어져 가는 폐루프 경로에 대하여 외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들이 압축 상태에 있는 동안에 회전 축선에 더 가까이 가는 폐루프 경로에 대하여 내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이들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모멘텀을 증가시키고 상방으로 이동할 때 모멘텀을 감소시키는,
    회전 메커니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슬들은 내려가는 동안 외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올라가는 동안 내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 메커니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잠금/잠금 해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잠금 해제 수단은 상기 회전 메커니즘의 회전 동안, 베슬들을 해제하기 위해 가변 체적 베슬들 상에 작용하여, 베슬들은 회전 메커니즘의 회전을 돕기 위해, 그리고 회전 메커니즘이 정지/시작 위치에 있을 때, 예컨대 팽창 압축 수단의 작용을 촉진하고 가장 낮은 베슬로부터 가장 높은 베슬로의 유체 옮김을 촉진하기 위해 베슬들을 제 위치에 잠그기 위해 진동하는,
    회전 메커니즘.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슬 지지 시스템 상에 작용하는 정지 수단은 자기 또는 전자기 또는 기계적 기기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회전 메커니즘.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중앙 위치에서 지지부에 대하여 피봇되어, 정지 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정지/시작 위치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 평면 내에 동축으로 회전하고, 상기 가변 체적 베슬들은 상기 아암의 대향 단부들 중 하나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회전 메커니즘.
  12.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그의 무게 중심에 위치되는 허브에 의해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는 받침대 또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이들 위에 하나 또는 2 개의 직립부들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장착, 배열되는,
    회전 메커니즘.
  13. 제 6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중앙 위치에서 지지부에 대하여 피봇되어, 상기 정지 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정지/시작 위치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 평면 내에 동축으로 회전하고, 하나 이상의 아암의 각각의 단부는 각각의 단부로부터 각각의 아암의 중심을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안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체적 베슬들은 하나 이상의 아암의 각각의 대향 단부들에서 제 1 안내 수단과 슬라이딩 맞물림 상태에 있는,
    회전 메커니즘.
  14. 제 6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실질적으로 "Z" 형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회전 메커니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주변 레일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가변 체적 베슬들이 슬라이딩 맞물림 상태에 있는 방사상의 이동 수단이 제공되는,
    회전 메커니즘.
  16. 제 15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주변 레일은 회전의 하향 측을 향하여, 그리고 하방으로 그의 중심이 오프셋되는,
    회전 메커니즘.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주변 레일의 상부 부분은 약간 평탄화되어, 올라가는 압축된 베슬은 폐루프 경로 내의 최상부 지점에 도달하지 않는,
    회전 메커니즘.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올라가는 상기 압축된 베슬의 경로를 따라 위치되는 제 2 안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안내 수단은 하나 이상의 아암의 피봇 지점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곡선의 외형을 갖고 올라가는 동안 하나 이상의 압축된 베슬이 곡선의 외형 상에 놓여서 슬라이딩하는 방식으로 위치되어, 하나 이상의 압축된 베슬은 뒤집히는 동안 제 2 안내 수단의 곡선의 외형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회전 메커니즘.
  19.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아암은 그의 무게 중심에 위치되는 허브에 의해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는 받침대 또는 베이스로 구성되며, 이들 위에 하나 또는 2 개의 직립 구조물들이 상기 아암의 양쪽 측들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장착, 배열되는,
    회전 메커니즘.
  20. 제 15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 개 이상의 아암들이 지지부에 연결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각각의 베슬은 양쪽의 아암들의 대응하는 단부들에 힌지 연결되고, 2 개의 주변 레일들은 베슬들의 방사상의 이동을 위해 제공되는,
    회전 메커니즘.
  21. 제 15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아암의 단부들은 안내 수단이 연장하는 길이부를 따라 또는 길이부의 일부를 따라 곡선인,
    회전 메커니즘.
  22. 제 15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 수단은 하나 이상의 아암의 각각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만들어진 슬롯을 포함하는,
    회전 메커니즘.
  23. 제 6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베슬들이 최초 구성으로 복귀되도록 상기 회전의 끝에서 하나 이상의 팽창된 베슬을 회전시키기 위해 뒤집힘 수단을 더 포함하는,
    회전 메커니즘.
  24. 제 6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의 회전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전력 발생 방법.
KR1020137031841A 2011-05-05 2012-05-04 비압축성 유체를 옮기기 위한 메커니즘 및 서보 보조식 회전 메커니즘 KR201400353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64950 2011-05-05
EP11164950.5 2011-05-05
PCT/EP2012/058317 WO2012150353A1 (en) 2011-05-05 2012-05-04 Mechanism for shifting incompressible fluid and servo assisted rotating mechanis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381A true KR20140035381A (ko) 2014-03-21

Family

ID=46085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841A KR20140035381A (ko) 2011-05-05 2012-05-04 비압축성 유체를 옮기기 위한 메커니즘 및 서보 보조식 회전 메커니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40070543A1 (ko)
EP (1) EP2705249A1 (ko)
JP (1) JP2014513764A (ko)
KR (1) KR20140035381A (ko)
AU (1) AU2012251617A1 (ko)
CA (1) CA2834439A1 (ko)
EA (1) EA201391435A1 (ko)
MX (1) MX2013012843A (ko)
WO (1) WO2012150353A1 (ko)
ZA (1) ZA2013082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3749B2 (en) 2014-08-01 2019-04-09 Kevin M. BARRETT Wave energy generation devic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9587722B2 (en) * 2014-08-01 2017-03-07 Kevin M. BARRETT Pivoting arm for kinetic energy generation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ES2947759A1 (es) * 2022-02-10 2023-08-18 Diez Pedro Magaz Central hidroeléctrica rotativa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41870A (fr) * 1921-10-01 1922-08-02 Mouvement hydro-pneumatique
US4045181A (en) * 1976-12-27 1977-08-30 Monsanto Company Apparatus for zone refining
US5372474A (en) * 1993-10-08 1994-12-13 Miller; Charles J. Gravity-assisted rotation device
FR2718194A1 (fr) * 1994-03-31 1995-10-06 Jeantet Stephane Capteur d'énergie perpétuelle.
US6764275B1 (en) * 2002-06-28 2004-07-20 Dennis L. Carr Fluid displacement rotational assembly
US20040247459A1 (en) * 2003-06-09 2004-12-09 Elliott Steven W.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gravitational force to energy
JP3105668U (ja) * 2003-08-22 2004-11-25 株式会社日本パイプコンベヤ研究所 動力発生装置
US7314105B2 (en) * 2004-09-16 2008-01-01 Arvinmeritor Technology, Llc Electric drive axle assembly with independent dual motors
DE102008053215A1 (de) * 2008-10-25 2010-04-29 Zoltan Schafar Maschine zur Umwandlung der Gewichtskraft in eine Drehbeweg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34439A1 (en) 2012-11-08
US20140070543A1 (en) 2014-03-13
JP2014513764A (ja) 2014-06-05
ZA201308250B (en) 2014-08-27
AU2012251617A1 (en) 2013-11-21
MX2013012843A (es) 2014-04-30
EA201391435A1 (ru) 2014-04-30
WO2012150353A1 (en) 2012-11-08
EP2705249A1 (en)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03281B (zh) 可折离或可折叠椭圆健身器
KR20140035381A (ko) 비압축성 유체를 옮기기 위한 메커니즘 및 서보 보조식 회전 메커니즘
US20100148517A1 (en) Pendulum mechanism a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same
CN112746939A (zh) 强旋转单边极重另边极轻承重受力机主体装置
WO2015177804A1 (en) A leverage assembly for energy generation
WO2003076798A1 (en) Buoyancy-activated motor
WO2005019644A1 (ja) 動力発生装置
JP5974225B2 (ja) エネルギー発生機
JP7296464B2 (ja) 慣性エネルギー貯蔵方法
US5961296A (en) Vacuum-generating apparatus by applying torricelli's vacuum
CN110454339A (zh) 一种具有流体调压作用的惯性储能装置及储能方法
US10167856B2 (en) Utilization of moment of inertia and lever for mechanical gain
RU2797686C2 (ru) Способ накопления энергии на основе инерции
WO2013147648A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гравиход"
CA2437599A1 (en) Buoyancy-activated motor
RU2280513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аправленных механических колебаний, способ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направленных механических колебаний в однонаправленное прерывистое поступательное движение, способ управляем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 заданном направлении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их способов
NL1043856B1 (nl) Apparaat om zonder wind en zon energie op te wekken.
CN219416429U (zh) 亚临界汽轮机震颤检测装置
GB2527064A (en) A reaction producing device that makes use of gyroscopic rotation to reset a reactive mass
RU2520703C2 (ru) Механизм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возвратно-поступатель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в колебательное движение ведомого звена
Szyszkowski et al. Inflatable booms and pneumatic hinges: An application in deployment of satellite sensors
TW416886B (en) Pneumatic balance weight device
WO1986007233A2 (en) The counter balance applicater
BE424991A (ko)
ITUB20159598A1 (it) Motore idraul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