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613A - 프리캐스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파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파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613A
KR20140034613A KR1020120101167A KR20120101167A KR20140034613A KR 20140034613 A KR20140034613 A KR 20140034613A KR 1020120101167 A KR1020120101167 A KR 1020120101167A KR 20120101167 A KR20120101167 A KR 20120101167A KR 20140034613 A KR20140034613 A KR 20140034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block
head
precast block
pre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제국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1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4613A/ko
Publication of KR20140034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가 일정한 높이를 갖고 열과 행을 이루도록 지반에 설치됨과 아울러, 기설치된 파일(300)의 두부에 설치되는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파일(300)의 파일 철근(11)이 삽입되도록 하부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파일 철근용 삽입공(161); 폭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시에 상호 맞물리는 횡결합부(120);를 포함하는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수고와 비용을 줄이면서도, 수화열로 인한 균열의 발생 우려가 없고, 파일의 두부정리작업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파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PRECASTING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OUND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파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파일 기초구조물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1)의 상부에 기초저판(2)이 형성되고, 그 위에 기둥(3) 등의 상부구조물이 설치되는 구성이 일반적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시공을 모두 현장타설 방식에 의해 수행하였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거푸집의 설치,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에 많은 수고와 비용이 소요된다.
둘째, 기초저판(2)은 규모가 큰 콘크리트 구조물(매스 콘크리트)이므로, 과도한 수화열로 인한 균열의 발생이 문제된다.
셋째, 기초저판의 시공 전 파일의 두부정리작업이 필요하다.
기제조된 파일을 지반에 관입하는 경우, 파일의 관입 심도를 설계 심도와 정확히 일치하게 하기 어려우므로, 지면 위로 파일의 두부가 어느 정도 높이로 노출되는 것을 피할 수 없고, 과도하게 노출된 파일의 두부는 이를 파쇄하는 공정(두부정리작업)이 필요한데, 이에 많은 수고와 비용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수고와 비용을 줄이면서도, 수화열로 인한 균열의 발생 우려가 없고, 파일의 두부정리작업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프리캐스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파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가 일정한 높이를 갖고 열과 행을 이루도록 지반에 설치됨과 아울러, 기설치된 파일(300)의 두부에 설치되는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파일(300)의 파일 철근(11)이 삽입되도록 하부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파일 철근용 삽입공(161); 폭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시에 상호 맞물리는 횡결합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을 제시한다.
저면에 상기 파일(300)의 두부가 삽입되도록 함몰형성된 파일 두부 삽입부(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일 철근용 삽입공(161)은 상기 파일 두부 삽입부(160)의 내부 영역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횡결합부(120)는 상기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의 폭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면(121a)을 갖는 돌부(121); 이웃하는 프리캐스팅 블록의 단차면(121a)에 얹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면(122a)을 갖고 그 폭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 홈부(122);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에는 그 폭방향을 따라 쉬스공(140)이 관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쉬스공(140)은 상기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의 가로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로방향 쉬스공(141)과, 상기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의 세로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세로방향 쉬스공(142);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방향 쉬스공(141)과 세로방향 쉬스공(142)은 각각 상이한 높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중에 관입 설치된 파일(300); 상기 파일(300)의 두부에 설치된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 상기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과 결합하여 설치되도록, 폭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시에 상호 맞물리는 상기 횡결합부(120)를 구비한 프리캐스팅 블록(100);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 다수가 지반의 상면에 열과 행을 이루도록 설치됨으로써 형성된 파일 기초구조물을 함께 제시한다.
상기 프리캐스팅 블록(100)은 높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시에 상호 결합하는 종결합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결합부(130)는 상기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의 상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철(凸)부(131); 상기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의 하면에 이웃하는 프리캐스팅 블록의 철(凸)부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요(凹)부(132);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파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프리캐스트 방식에 의해 상기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을 제조하는 프리캐스팅 블록 제조단계; 지중에 파일(300)을 관입하는 파일 관입단계; 상기 파일 철근(11)이 상기 파일 철근용 삽입공(161)에 삽입되도록, 상기 파일(300)의 상부에 상기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을 설치하는 단계; 지반(1)에 상기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을 상기 횡결합부(120)의 단차면(121a)이 상호 접촉됨과 아울러, 열과 행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프리캐스팅 블록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블록을 이용한 파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을 함께 제시한다.
상기 파일(300)의 두부가 상기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의 저면에 함몰형성된 파일 두부 삽입부(160)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파일 철근(11)이 상기 파일 두부 삽입부(160)의 내부 영역에 형성된 상기 파일 철근용 삽입공(161)에 삽입되도록, 상기 파일(300)의 상부에 상기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캐스팅 블록(100)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평탄하게 하는 프리캐스팅 블록 상면 정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결합부(130)의 요(凹)부(132)와 철(凸)부(131)가 상호 접촉되도록 상기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프리캐스팅 블록 적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상기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이 상호 결합하도록, 상기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에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쉬스공(140)에 긴장재를 설치하는 긴장재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고와 비용을 줄이면서도, 수화열로 인한 균열의 발생 우려가 없고, 파일의 두부정리작업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프리캐스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파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도 1은 종래의 파일 기초구조물의 구성도.
도 2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파일 기초구조물의 제1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파일 기초구조물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파일 기초구조물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파일 기초구조물의 제3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프리캐스팅 블록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프리캐스팅 블록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프리캐스팅 블록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파일 기초구조물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은 기본적으로 복수개가 일정한 높이를 갖고 열과 행을 이루도록 지반에 설치됨과 아울러, 기설치된 파일(300)의 두부에 설치되는 구성을 취한다.
이는 특히, 파일(300)의 파일 철근(11)이 삽입되도록 하부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파일 철근용 삽입공(161); 폭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시에 상호 맞물리는 횡결합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이용한 파일 기초구조물은, 지중에 관입 설치된 파일(300); 파일(300)의 두부에 설치된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도 2,5,6);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과 결합하여 설치되도록, 폭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시에 상호 맞물리는 횡결합부(120)를 구비한 프리캐스팅 블록(100)(도 6,7,8);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 다수가 지반의 상면에 열과 행을 이루도록 설치됨으로써 형성된다(도 3,4).
이러한 파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프리캐스트 방식에 의해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을 제조한다.
지중에 파일(300)을 관입하여 설치하는데, 프리캐스팅 부재의 항타 방식, 현타 방식 기타 어떠한 방식을 취하더라도 관계없다.
파일 철근(11)이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의 파일 철근용 삽입공(161)에 삽입되도록, 파일(300)의 상부에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을 설치한다.
지반(1)에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을 횡결합부(120)의 단차면(121a)이 상호 접촉됨과 아울러, 열과 행을 이루도록 설치하여 기초저판을 형성한다.
이후, 다수의 블록(100,100a)에 의해 형성된 기초저판의 상부에 기둥(200) 기타의 상부구조물을 설치한다(도 4).
즉, 파일(300)을 설치하고 그 위에 기초저판을 형성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은 현장타설방식을 취하는 대신,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 다수를 결합설치하는 방식을 취한 것이다.
프리캐스팅 블록(100)과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은 상호 결합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횡결합부(120) 등)을 취하지만,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은 하부의 파일(300)과 결합하기 위하여 파일 철근용 삽입공(161)이 추가로 형성된 구성을 취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프리캐스팅 블록(100)을 현장에서 바로 설치하여 기초저판을 형성하므로, 종래와 같은 거푸집 공정 등이 필요없고, 수화열로 인한 균열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둘째, 파일의 두부정리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제조된 파일(300)을 지반에 관입하는 경우, 파일(300)의 관입 심도를 설계 심도와 정확히 일치하게 하기 어려우므로, 지면 위로 파일(300)의 두부가 어느 정도 높이로 노출되는 것을 피할 수 없고, 과도하게 노출된 파일(300)의 두부는 이를 파쇄하는 공정이 필요하다(두부정리작업).
이로 인하여 파일(300)의 두부는 일정하지 않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은데, 본 발명에 의한 공법을 적용하는 경우, 위 두부정리작업을 마친 상태의 파일(300)의 두부에 맞도록,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의 파일 두부 삽입부(160)를 형성하여 파일(300)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두부정리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파일(300)의 두부가 삽입되도록,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의 저면에 파일 두부 삽입부(160)가 함몰형성되고, 그 내부 영역에 파일 철근용 삽입공(161)이 형성된 구성을 취하는 경우, 더욱 안정적인 파일과의 결합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도 5).
이하,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의 상호 결합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은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구조로서, 육면체의 측면에 횡결합부(120)가 돌출 및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다(도 6).
이를 통해,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 복수개가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안정적으로 기둥의 기초저판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횡결합부(120)는,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의 폭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면(121a)을 갖는 돌부(121); 이웃하는 프리캐스팅 블록의 단차면(121a)에 얹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면(122a)을 갖고 그 폭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 홈부(122);로 구성되는 것이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바람직하다(도 6,8).
지반 조건에 따라, 프리캐스팅 블록(100)의 적층 구조가 요구되는 경우(기초저판의 두께가 두꺼워야 하는 경우),프리캐스팅 블록(100)은 높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시에 상호 결합하도록 종결합부(130)가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8).
구체적으로 이러한 종결합부(130)는, 프리캐스팅 블록(100)의 상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철(凸)부(131); 프리캐스팅 블록(100)의 하면에 이웃하는 프리캐스팅 블록의 철(凸)부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요(凹)부(132);로 구성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의 저면에는 파일 두부 삽입부(160)가 함몰형성되므로, 위 요(凹)부(132) 구조는 파일(300)과 결합하지 않는 프리캐스팅 블록(100)에만 형성될 수 있다.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에 그 폭방향을 따라 쉬스공(140)이 관통 형성되는 경우, 이를 통해 긴장재를 설치하고 긴장한 후 정착하여, 다수의 프리캐스팅 블록(100)의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도 6 내지 8).
구체적으로 쉬스공(140)은, 프리캐스팅 블록(100)의 가로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로방향 쉬스공(141)과, 프리캐스팅 블록(100)의 세로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세로방향 쉬스공(142);을 포함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다수의 프리캐스팅 블록(10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기초저판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긴장재에 의한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다(도 6).
이때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긴장재의 상호 저촉을 피하기 위해서는, 가로방향 쉬스공(141)과 세로방향 쉬스공(142)이 각각 상이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캐스팅 블록(100)들의 상면이 편평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겠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프리캐스팅 블록(100)들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평탄하게 한 후, 다음 공정(기둥의 설치 등)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철근 11 : 파일 철근
100 : 프리캐스팅 블록 100a :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
120 : 횡결합부 121 : 돌부
122 : 홈부 130 : 종결합부
131 : 철(凸)부 132 : 요(凹)부
140 : 쉬스공 160 : 파일 두부 삽입부
161 : 파일 철근용 삽입공 300 : 파일

Claims (13)

  1. 복수개가 일정한 높이를 갖고 열과 행을 이루도록 지반에 설치됨과 아울러, 기설치된 파일(300)의 두부에 설치되는 블록으로서,
    상기 파일(300)의 파일 철근(11)이 삽입되도록 하부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파일 철근용 삽입공(161);
    폭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시에 상호 맞물리는 횡결합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
  2. 제 1항에 있어서,
    저면에 상기 파일(300)의 두부가 삽입되도록 함몰형성된 파일 두부 삽입부(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일 철근용 삽입공(161)은 상기 파일 두부 삽입부(160)의 내부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결합부(120)는
    상기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의 폭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면(121a)을 갖는 돌부(121);
    이웃하는 프리캐스팅 블록의 단차면(121a)에 얹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면(122a)을 갖고 그 폭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 홈부(1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에는 그 폭방향을 따라 쉬스공(140)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쉬스공(140)은
    상기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의 가로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로방향 쉬스공(141)과,
    상기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의 세로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세로방향 쉬스공(142);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방향 쉬스공(141)과 세로방향 쉬스공(142)은 각각 상이한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
  6. 지중에 관입 설치된 파일(300);
    상기 파일(300)의 두부에 설치된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
    상기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과 결합하여 설치되도록, 폭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시에 상호 맞물리는 상기 횡결합부(120)를 구비한 프리캐스팅 블록(100);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 다수가 지반의 상면에 열과 행을 이루도록 설치됨으로써 형성된 파일 기초구조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팅 블록(100)은
    높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시에 상호 결합하는 종결합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기초구조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종결합부(130)는
    상기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의 상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철(凸)부(131);
    상기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의 하면에 이웃하는 프리캐스팅 블록의 철(凸)부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요(凹)부(1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기초구조물.
  9. 제 6항의 파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프리캐스트 방식에 의해 상기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을 제조하는 프리캐스팅 블록 제조단계;
    지중에 파일(300)을 관입하는 파일 관입단계;
    상기 파일 철근(11)이 상기 파일 철근용 삽입공(161)에 삽입되도록, 상기 파일(300)의 상부에 상기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을 설치하는 단계;
    지반(1)에 상기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을 상기 횡결합부(120)의 단차면(121a)이 상호 접촉됨과 아울러, 열과 행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프리캐스팅 블록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블록을 이용한 파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300)의 두부가 상기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의 저면에 함몰형성된 파일 두부 삽입부(160)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파일 철근(11)이 상기 파일 두부 삽입부(160)의 내부 영역에 형성된 상기 파일 철근용 삽입공(161)에 삽입되도록, 상기 파일(300)의 상부에 상기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블록을 이용한 파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팅 블록(100)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평탄하게 하는 프리캐스팅 블록 상면 정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블록을 이용한 파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종결합부(130)의 요(凹)부(132)와 철(凸)부(131)가 상호 접촉되도록 상기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프리캐스팅 블록 적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블록을 이용한 파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이 상호 결합하도록, 상기 프리캐스팅 블록(100) 및 파일 두부용 프리캐스팅 블록(100a)에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쉬스공(140)에 긴장재를 설치하는 긴장재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블록을 이용한 파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20101167A 2012-09-12 2012-09-12 프리캐스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파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40034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167A KR20140034613A (ko) 2012-09-12 2012-09-12 프리캐스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파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167A KR20140034613A (ko) 2012-09-12 2012-09-12 프리캐스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파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613A true KR20140034613A (ko) 2014-03-20

Family

ID=50644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167A KR20140034613A (ko) 2012-09-12 2012-09-12 프리캐스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파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46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510A (ko) * 2016-12-08 2018-06-18 오석환 수상 교각 시공 방법 및 그 시공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510A (ko) * 2016-12-08 2018-06-18 오석환 수상 교각 시공 방법 및 그 시공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760B1 (ko) 돌출리브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 방법
KR101301081B1 (ko)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74827B1 (ko) 프리캐스트 벽 패널을 이용하는 수중 연속 구조물 및 이의 가설 공법
US8925282B2 (en)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US9695558B2 (en)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KR10076039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그를 이용한 슬래브의시공방법
KR20120105093A (ko) 울타리 설치용 기초콘크리트의 울타리지주 고정구조
KR20140061032A (ko) 벽면장식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캐스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JP5229913B2 (ja) 法面補強工法
KR101370102B1 (ko) 현장타설형 팽이파일 및 그 시공방법
JP2018188851A (ja) 鋼コンクリート複合構造および鋼コンクリート複合構造の施工方法
KR20080025107A (ko) 개량형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40034613A (ko) 프리캐스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파일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196461B1 (ko) 다각형 단위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아치 블록조립체 제작방법
KR101492066B1 (ko) 기둥의 기초공법
JP2013181277A (ja) コンクリート組立構造体
EP2931976B1 (en)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KR20130073577A (ko) 널말뚝식 복합 모듈러 교대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331449B1 (ko) 기초공사용 프리캐스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기초시공 방법
JP2014169551A (ja) 構造物基礎建設用ブロック
JP5830068B2 (ja) 法面補強工法
JP5964672B2 (ja) 躯体構造及び躯体の構築方法
KR10128748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방음벽 기초 구조물 설치 공법
JP5344419B2 (ja) 擁壁用背面ブロック、擁壁の構築方法及び擁壁
KR101202796B1 (ko) 변단면을 이용한 개착 타입 터널 시공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시공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929

Effective date: 201511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0100607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929

Effective date: 2015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