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772A -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33772A KR20140033772A KR1020120100064A KR20120100064A KR20140033772A KR 20140033772 A KR20140033772 A KR 20140033772A KR 1020120100064 A KR1020120100064 A KR 1020120100064A KR 20120100064 A KR20120100064 A KR 20120100064A KR 20140033772 A KR20140033772 A KR 201400337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generating means
- sterilizing
- sterilization
-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55—Heating or coo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정수하는 정수생성수단; 상기 정수생성수단과 연결되고,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만드는 살균수생성수단; 상기 정수생성수단 및 상기 살균수생성수단이 수용되고, 개폐가능한 케이스; 및 상기 정수생성수단 및 상기 살균수생성수단과 연결되고, 정수 또는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를 구현하여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동시에 정수 및 살균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를 공급하는 장치로는, 정수를 위한 필터를 포함한 구성들을 모두 하나의 본체에 구비한 일체형 정수기 외에도 필터만을 싱크대 하부의 수도관과 연결하고 필터에서 정수된 물은 싱크대로 공급되는 구성의 언더싱크형 정수기가 있다.
종래의 언더싱크형 정수기는 정수를 위한 필터만 싱크대 하부에 설치하고, 필터를 통과한 물은 싱크대의 급수꼭지로 토출되므로 차지하는 공간이 적고 필터교체가 용이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언더싱크형 정수기는 정수만을 공급하여 기능이 단순한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일체형 정수기는 공간상 제약이 없으므로 복수개의 필터, 온수조, 냉수조, 전해조 등을 모두 하나의 본체에 넣어 정수 외에도 다양한 기능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기능수를 제공하는 일체형 정수기는 차지하는 공간이 크고 구조가 복잡하며 필터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써, 적은 공간을 차지하고 필터교체가 간편한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온의 살균수를 제공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살균수 생성 효율을 향상시킨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싱크대에 살균수 및 고온의 살균수를 제공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정수하는 정수생성수단; 상기 정수생성수단과 연결되고,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만드는 살균수생성수단; 상기 정수생성수단 및 상기 살균수생성수단이 수용되고, 개폐가능한 케이스; 및 상기 정수생성수단 및 상기 살균수생성수단과 연결되고, 정수 또는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생성수단은 외부수원과 연결되어 원수가 유입되는 제1필터부; 및 상기 제1필터부를 통과한 물을 정수하는 제2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필터부는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부는 역삼투압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살균수생성수단은 상기 제1필터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필터부의 유출구에 설치되는 제1전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전환밸브는 각각 상기 살균수생성수단 및 상기 제2필터부와 연결되어 제1필터부를 통과한 물을 상기 살균수생성수단 또는 상기 제2필터부로 흐르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수생성수단은 복수 개의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생성수단을 통과한 물을 상기 살균수생성수단 또는 상기 공급수단으로 흐르게 하는 제2전환밸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수생성수단과 상기 공급수단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살균수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가열수단은, 원통형의 히터; 상기 히터를 수용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와 상기 히터 사이에 형성되고, 살균수가 유동하는 스파이럴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파이럴 유로와 연통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내부에 형성되고 살균수가 유동하는 내부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럴 유로의 일단은 상기 내부유로의 일단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살균수생성수단 또는 상기 공급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수생성수단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양극와 음극이 서로 대향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전극;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양극에 연결되는 제1전극단자; 상기 하우징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음극에 연결되는 제2전극단자;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의 폭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전극과 접촉하고, 상기 전극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이격된 적어도 세 개의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를 서로 연결하고, 상호 이격된 두 개의 제2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상기 제2부재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전극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극단자와 상기 제2전극단자는 상기 전극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은 각각 적어도 하나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 주위를 감싸는 씰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싱크대 하부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공급수단은 싱크대에 설치되어 싱크대에 정수와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싱크대에 설치된 개수대로 정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공급코크; 상기 공급코크에 설치된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공급코크로 정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공급관은 상기 싱크대의 급수배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생성장치와 살균수생성장치가 수용되는 케이스와 정수 및 살균수를 외부에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분리하여 적은 공간을 차지하면서 정수 뿐 아니라 살균수와 같은 기능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수단에 스파이럴 유로를 형성하여 살균수를 온수조에 저장하지 않고도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살균수생성수단의 정수유로방향에 대해 전극의 폭보다 스페이서의 폭이 크게 형성되고 스페이서의 제1부재가 유로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므로 효율이 증대되고 살균수생성수단의 부피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살균수와 같은 기능수를 싱크대에 바로 공급하여 조리시나 세척시 필요한 살균수를 저온이나 고온으로 편리하게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가 싱크대에 설치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살균수생성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살균수생성수단의 평면 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살균수생성수단의 전극단자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2에 도시한 가열수단의 사시도,
도 7는 도 6에 도시한 가열수단의 측단면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수단의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 및 케이스에 수용되는 구성의 전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케이스 및 케이스에 수용되는 구성의 후면 사시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가 싱크대에 설치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살균수생성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살균수생성수단의 평면 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살균수생성수단의 전극단자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2에 도시한 가열수단의 사시도,
도 7는 도 6에 도시한 가열수단의 측단면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수단의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 및 케이스에 수용되는 구성의 전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케이스 및 케이스에 수용되는 구성의 후면 사시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및 기능>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가 싱크대에 설치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는 정수생성수단(100), 살균수생성수단(200), 가열수단(300), 케이스(400), 공급수단(500), 밸브(610), 펌프(620), 제1전환밸브(630) 및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정수생성수단(100)은 외부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에 함유된 이물질 및 각종 유해물질 등을 일정 수준으로 제거한다. 이러한 정수생성수단(100)은 제1필터부(110), 제2필터부(120), 저수조(130)를 포함한다.
제1필터부(110)는 세디먼트(sediment) 필터(111), 선카본(pre-carbon) 필터(112) 및 멤브레인(membrane) 필터(113)를 포함한다. 세디먼트 필터(111)는 부유물질, 모래, 녹 등 비교적 큰 찌꺼기와 불순물을 제거하고, 선카본 필터(112)는 농약성분, 발암물질 등과 같은 휘발성 유기물질을 제거하고 염소성분을 제거한다. 멤브레인 필터(113)로는 전해물질을 여과하지 않는 한외여과막(sultrafiltrarion) 필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세디먼트 필터(111), 선카본 필터(112) 및 멤브레인 필터(1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례대로 연결된다. 그리고 세디먼트 필터(111)와 선카본 필터(112) 사이에는 외부수원(10)에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밸브(610)가 설치된다.
제2필터부(120)는 역삼투압(reserve osmosis) 멤브레인 필터(121)와 후카본(post-carbon) 필터(122)를 포함한다.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21)는 제1필터부(110)를 통과하며 정수된 물에 삼투압 이상의 압력을 가하여 물을 여과한다. 후카본 필터(122)는 유입되는 물의 냄새 등을 제거하고 물맛을 향상시킨다.
저수조(130)는 상술한 제2필터부(120)에 의해 여과된 물을 저장한다. 저수조(130)는 후술할 공급수단(500)에 연결되고, 펌프(620)에 의해 공급수단(500)으로 정수를 공급한다.
상술한 정수생성수단(100)에 포함된 세디먼트 필터(111), 선카본 필터(112), 맴브레인 필터(113),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121) 및 후카본 필터(122)는 정수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구성의 필터라도 좋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살균수생성수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살균수생성수단의 평면 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살균수생성수단의 전극단자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살균수 생성수단(2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살균수 생성수단(200)은 제1필터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제1필터부(110)에서 여과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력 있는 살균수를 생성한다. 여기서 살균수란 차아염소산 등과 같은 살균력 있는 이온이나 염을 포함한 물을 말한다. 이러한 살균수 생성수단(200)은 하우징, 전극, 스페이서(230), 제1전극단자(241), 제2전극단자(미도시), 밀착부재(243), 유입구(251), 유출구(252), 가이드부재(260) 및 씰링부재(261)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살균수 생성수단(200)의 외관을 형성하고, 후술할 살균수 생성수단(200)의 구성품들을 수용하여 보호하는 용기이다. 이러한 하우징은 제1하우징판(211)과 제2하우징판(212)이 서로 결합하여 내부에 수용공간(216)을 형성한다. 제1하우징판(211)과 제2하우징판(212)은 형상이 동일하다. 제1,2하우징판(211, 212)은 상호 결합을 위해 맞닿는 모서리부가 소정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제1,2하우징판(211, 212)은 서로 대향하여 결합하여 수용공간(216)을 형성하는 함몰부를 포함한다. 이때 모서리부와 접한 함몰부에는 후술할 스페이서(230)가 배치되는 안착홈(213)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하우징판(211)과 제2하우징판(212)은 서로 대향하여 결합하여 수용공간(216)을 형성하며, 모서리부는 서로 맞닿아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하우징은 내부가 비어있는 직육면체 형상이다. 다만, 하우징은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할 구성품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상술한 하우징에는 수용공간(216)으로 물을 공급하는 유입구(251)와 수용공간(216)에서 물을 배출하는 유출구(252)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251)와 유출구(252)는 모두 제1하우징판(211)에 구비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두 제2하우징판(212)에 구비될 수도 있고, 유입구(251)가 제1하우징판(211)에 구비되고 유출구(252)가 제2하우징판(212)에 구비되거나 그 반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입구(251)와 유출구(252)는 소정간격(A) 이격되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251)와 유출구(252) 사이의 간격(A)은 전극의 폭(B)보다 길게 배치되어 유입구(251)를 통해 수용공간(216)으로 들어온 물이 전극과 충분히 접촉한 후 유출구(252)로 배출되게 한다.
전극은 수용공간(216)에 수용되고, 염소이온(Cl-)이 녹아있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HClO) 등을 생성하여 물속에 있는 세균을 살균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농도는 0.2~0.3ppm 정도로 미미하기 때문에 인체에 영향은 없이 살균만 하게 된다. 이러한 전극은 티타늄(Ti)으로 만들어진 판을 이리듐(Ir) 또는 루테늄(Ru)으로 코팅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양극(221)과 음극(222)에는 각각 두 개의 관통공(223)이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부에 일렬로 형성된다. 관통공(223)은 각각 후술할 가이드부재(260)가 관통하는 구멍이다. 또한 전극의 폭(B)은 후술할 스페이서(230)의 폭보다 작다. 이때 양극(221)과 음극(222) 각각의 폭(B)은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물의 유로 방향을 따라 대략 잰 길이를 뜻한다. 이러한 양극(221)과 음극(222)은 서로 대향하고 이격되어 전극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호 이격되고 대향하는 전극의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페이서(230)는 양극(221)과 음극(22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여 양극(221)과 음극(222)이 서로 접촉하지 않게 한다. 이러한 스페이서(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221)과 음극(222) 사이에 구비되고, 세 개의 제1부재(231a, 231b, 231c)와 두 개의 제2부재(232a, 232b)를 포함한다. 제1부재는 전극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며, 제1부재의 길이는 전극의 폭(B)보다 길다. 이러한 세 개의 제1부재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부재는 전극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며, 상술한 제1부재를 서로 연결한다. 이러한 두 개의 제2부재 중 하나는 제1부재의 일단을 가로질러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는 제1부재의 타단을 가로질러 연결한다. 이렇게 두 개의 제2부재는 서로 제1부재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스페이서(230)의 폭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페이서(2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가 전극을 가로질러 양극(221)과 음극(222) 사이에 배치되고, 제2부재는 전극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극(222), 스페이서(230), 양극(221)이 차례로 적층되며, 제1부재의 길이가 전극의 폭(B)보다 길기 때문에 제1부재는 전극과 접촉하나 제2부재는 전극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의 측면은 유로의 방향으로 전극의 폭(B)보다 스페이서(230)의 폭이 길게 되어 있어서, 제2부재(232a,232b)가 전극과 접촉하지 않게 되어 전극의 유효면적이 증가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1부재(231a, 231b, 231c)의 길이가 전극의 폭(B)보다 길어서 제2부재(232a,232b)에 의해 유로가 차단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스페이서(230)에 별도의 엠보싱이 없더라도 유로가 형성되어, 엠보싱이 없어지는 차이만큼 양극(221)과 음극(222)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전극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제1전극단자(241)와 제2전극단자는 전극에 외부전원을 연결한다. 제1전극단자(241)는 양극(2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판(211)을 관통한다. 제2전극단자(미도시)는 음극(2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미도시되었으나 제2하우징판(212)을 관통한다. 이때, 제1전극단자(241)와 제2전극단자는 각각 양극(221)과 음극(222)의 중심부에 연결된다.
밀착부재(243)는 제1전극단자(241)가 양극(221)과 접촉하는 주변에 구비된다. 또한 미도시되었으나 밀착부재는 제2전극단자가 음극(222)과 접촉하는 주변에 구비된다. 이러한 밀착부재(243)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형상이다. 이러한 밀착부재(243)는 제1전극단자(241)의 일단을 감싸 결합되며 제2전극단자에도 이와 마찬가지로 결합된다. 이러한 밀착부재(243)는 제1하우징판(211)과 제2하우징판(212)에 고정되어 전극을 가압한다. 즉, 살균수생성수단(200)의 조립이 완료되면, 밀착부재(243)는 하우징에 의해 눌려져서 양극(221)과 음극(222)을 상호 근접하도록 가압하는 것이다. 또는 밀착부재(243)는 제1전극단자(241) 또는 제2전극단자 중 하나에만 구비되어 양극(221) 또는 음극(222)을 가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측면은, 제1전극단자(241)와 제2전극단자가 전극의 중심부에 위치하므로 밀착부재(243) 역시 전극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따라서 밀착부재(243)가 전극의 중심부를 가압하게 되어 전극의 중심부가 볼록하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다만, 밀착부재(243)에 의해 양극(221)과 음극(222) 사이가 좁아지더라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재(243)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부재(231b)를 배치함으로써 양극(221)과 음극(222) 간의 접촉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밀착부재(243)를 구비하여 하우징과 제1,2전극단자의 결합부에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가이드부재(260)는 원형막대 형상으로 전극에 형성된 관통공(223)을 관통한다. 또한 가이드부재(260)는 제1하우징판(211)과 제2하우징판(212)에 결합된다.
씰링부재(261)는 소정 두께를 갖는 링 형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260)가 관통한다. 이러한 씰링부재(261)는 관통공(223)에 끼워져 가이드부재(260)와 전극을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측면은, 살균수생성수단(200)의 조립시에 가이드부재(260)에 의해 전극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조립할 수 있어서,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의 살균수생성수단(200)은 다음과 같은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과정을 가진다.
제2하우징(212)에 제2전극단자와 밀착부재를 삽입하고, 가이드부재(260)와 씰링부재(261)를 장착한다. 이때, 제2하우징(212)의 함몰부는 가이드부재(260) 일단을 삽입할 수 있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장착된 가이드부재(260)를 관통공(223)에 끼워 음극(222)을 장착한다. 이때 씰링부재(261)도 관통공(223)에 끼워지며 음극(222)은 가이드부재(26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고정된 음극(222) 위에 스페이서(230)를 장착한다. 이때, 스페이서(230)는 안착홈(213)에 의해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장착된다. 다음으로, 양극(221)의 관통공(223)을 가이드부재(260)에 끼워 양극(221)을 장착한다. 그 후, 제1전극단자(241)와 밀착부재(243)를 삽입한 제1하우징판(212)을 장착하여 살균수생성장치(200)의 조립을 완료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은 살균수 생성수단(20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 등과 같은 인체에 무해하고 살균력이 있는 이온이나 염이 포함된 물을 생성하는 어떠한 구성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만드는 공지의 전해조를 사용하여도 좋다.
제1전환밸브(630)는 제1필터부(110)에서 여과된 정수를 살균수 생성수단(200) 또는 제1필터부(110)로 선택적으로 흐르게 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필터부(110)의 정수 유출구에 제1전환밸브(630)가 구비되고, 제1전환밸브(630)는 살균수 생성수단(200)의 유입구(251) 및 제2필터부(120)의 유입구와 각각 연결된다. 이때, 제1전환밸브(630)는 삼방밸브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가열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가열수단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가열수단(300)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열수단(300)은 살균수생성수단(200)에서 공급된 살균수를 가열하여 후술할 공급수단(500)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가열수단(300)은 몸체(310), 밀착스프링(320) 및 히터(330)를 포함한다.
몸체(310)는 가열수단(3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밀착스프링(320)과 히터(330)를 수용한다. 이러한 몸체(310)는 본체(311), 본체(311) 일측에 구비된 연결관(312), 본체(311) 상부에서 히터(330)를 본체(311)에 결합시키는 체결부(313)를 포함한다. 본체(311)는 대략 시험관 형상의 관이다. 연결관(312)은 본체(311)의 상단 일측에 구비된다. 또한 연결관(312)은 살균수생성수단(200)의 유출구(252)와 연결되어, 도 6 및 도 7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살균수가 유입되는 관이다. 체결부(313)는 본체(311)의 상단과 결합하여 본체(311)의 상단 개구에 삽입된 히터(330)를 고정한다.
이러한 몸체(310)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외면에 단열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밀착스프링(320)은 코일형상으로, 본체(311) 내부에 종방향으로 삽입되어 스파이럴 유로(301)를 형성한다. 밀착스프링(320)은 내경이 후술할 히터(330)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히터(330)의 외면에 밀착고정된다. 스파이럴 유로(301)는 밀착스프링(320)에 의해 본체(311) 측벽과 히터(330) 사이를 나선형으로 구획하여 형성된다.
히터(330)는 내부유로(331)가 형성된 원형의 관 형상이다. 히터(330) 외면에는 본체(311)와 체결부(313) 사이에 끼워지는 플랜지(332)가 더 형성된다. 플랜지(332)에 의해 히터(330)는 몸체(310)에 고정되고, 히터(330)의 하부와 본체(311)의 하부는 소정거리 이격된다. 히터(330)의 상단부는 공급수단(500)과 연결되어 가열된 살균수를 공급수단(500)으로 배출하는 배출부로 기능한다. 이러한 히터(330)는 원통형의 전기히터이다.
이러한 구성을 바탕으로 도 6 및 도 7에 화살표로 도시된 살균수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312)으로 유입된 살균수는 스파이럴 유로(301)를 따라 몸체(310)의 하부까지 유동하면서 히터(330)에 의해 가열된다. 몸체(310)의 하부에 도달한 살균수는 히터(330)의 내부유로(331) 하부로 유입되고, 내부 유로(331)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한다. 내부 유로(331)의 상단까지 유동한 살균수는 약 80℃ 내지 85℃까지 가열될 수 있으며 히터(330)의 상단부에서 공급수단(500)으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측면은, 스파이럴 유로(301)에 의해 물과 히터(330)의 열교환 면적이 증가되어 가열수단을 소형으로 제작가능하다. 또한, 히터(330)에 내부 유로(331)가 형성되어 살균수가 재차 가열되므로 온수조 없이도 단시간 내에 높은 온도의 살균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밀착스프링(320)을 동일한 피치를 갖도록 형성하여, 스파이럴 유로(301)를 흐르는 물의 유동속도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물의 유동속도가 일정하므로 히터(330)의 특정 영역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보일링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수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수단(300')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수단(300)과 동일하며, 살균수생성수단(200) 및 공급수단(500)과의 연결관계가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수단(300')은 연결관(312)이 공급수단(500)과 연결되어 살균수를 공급수단으로 배출하며, 히터(230)의 상단부는 살균수생성수단(200)의 유출구(252)와 연결되어 살균수가 유입된다.
이러한 구성을 바탕으로 도 8에 화살표로 도시된 살균수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330)의 상단부에서 내부유로(331)로 유입된 살균수는 내부유로(331)를 따라 몸체(310)의 하부까지 유동하면서 히터(330)에 의해 가열된다. 몸체(310)의 하부에 도달한 살균수는 스파이럴 유로(301)의 하부로 유입되고, 스파이럴 유로(301)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한다. 스파이럴 유로(301)의 상단까지 유동한 살균수는 약 80℃ 내지 85℃까지 가열될 수 있으며, 연결관(312)에서 공급수단(500)으로 배출된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 및 케이스에 수용되는 구성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케이스 및 케이스에 수용되는 구성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케이스(4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케이스(400)는 상술한 정수생성수단(100), 살균수생성수단(200), 가열수단(300)과 그 연결을 위한 배관과 밸브들(610, 630), 펌프(620) 등을 수용하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대의 하부공간에 장착된다. 이러한 케이스(400)는 케이스 본체(410), 케이스 뚜껑(420) 및 내부 판(430)을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410)는 케이스(400)의 기본 외관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 본체(410)는 일측면에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이다.
케이스 뚜껑(420)은 케이스 본체(410)의 개구를 개폐한다. 이러한 케이스 뚜껑(420)은 개구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외력으로 여닫을 수 있다.
내부 판(430)은 케이스 본체(410)의 내부공간을 두 부분으로 구획하고, 상술한 구성 중 적어도 일부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판(430)은 개구와 케이스 본체(410)의 후면부 사이를 가로막아, 내부공간을 개구를 통해 접근가능한 전면공간과 그렇지 않은 후면공간으로 나눈다. 전면공간에는 제 1필터부(110)와 제2필터부(120)가 구비되어 각 필터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후면공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수생성수단(200), 가열수단(300), 저수조(130), 펌프(620)가 구비되며, 미도시되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성을 연결하는 배관 및 필요한 부품들이 구비된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케이스(40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교체가 필요한 필터는 케이스(400)의 전면공간에 배치하고, 살균수생성수단(200)이나 가열수단(300)과 같이 사람 등이 접촉하여 전기감전이나 화상 등의 우려가 있는 구성은 후면공간에 배치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살균수생성수단(200)은 종래의 전해조보다 양극과 음극의 간격이 줄어들어 소형화되었고, 가열수단(300)은 열교환면적이 상승하여 온수조 없이 고온의 살균수를 제공하므로 살균수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전해조 및 온수조를 구비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케이스(400)의 후면공간이 작아지므로 싱크대의 하부에 부착이 용이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효과가 있다.
공급수단(500)은 공급코크(510), 조작부(520) 및 공급관(530)을 포함한다. 공급코크(5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취수코크로, 개수대(700)에 정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한다. 조작부(5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공급코크(510)로 정수, 실온의 살균수 및 고온의 살균수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조작부(5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코크(510) 일단에 구비된다. 공급관(530)은 저수조(130) 및 가열수단(300)과 각각 연결되어 정수, 실온의 살균수 또는 고온의 살균수를 공급코크(510)로 공급하는 통로이다. 이러한 공급관(530)은 싱크대의 급수배관이다. 즉, 외부수원(10)인 수도전과 싱크대의 취수코크를 연결하는 싱크대의 급수배관을 공급관(530)으로 사용한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싱크대에 이미 설치된 급수배관과 취수코크를 사용하여 싱크대에 설치가 간편하고, 제조원가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는, 싱크대의 급수배관을 공급관(530)으로 사용하고, 싱크대에 기설치된 취수코크는 조작부(520)가 구비된 공급코크(510)로 교체하여 설치가 간편하다. 즉, 싱크대의 기존배관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간편하며 공간활용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400)를 포함한 정수 및 살균수 생성을 위한 구성은 싱크대 하부에 간편하게 설치되며, 정수 및 살균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인 공급코크 또는 공급관은 싱크대의 종래 구성을 이용하거나 일부를 교체하여 구성되므로 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정수 및 살균수를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제어수단(미도시)은 저수조(130)의 수위를 감지하여 일정 수위 이상으로 낮아지면 정수를 저수조(130)에 보충한다. 또한, 제어수단은 정수모드, 살균수모드, 고온의 살균수모드, 잠금모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수단은 정수보충모드, 정수모드, 살균수모드, 고온의 살균수모드, 잠금모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수단은 상술한 조작부(520)와 연결되어 조작부(520)의 조작상태에 따라 정수모드, 살균수모드, 고온의 살균수모드 및 잠금모드를 실행한다.
정수보충모드는 저수조(130)의 수위를 감지한다. 수위가 기결정된 수위보다 낮으면 밸브(610)를 열고 제1전환밸프(630)를 제2필터부(120)로 개방하여 정수를 저수조(130)에 보충한다. 정수가 저수조(130)의 기결정된 수위까지 보충되면 밸브(610)를 잠궈 정수가 더이상 보충되지 않도록 한다.
정수모드는 조작부(520)의 레버가 정수모드에 위치하면 펌프(620)에 전원이 인가되고, 저수조(130)에 저장되어 있는 정수가 공급관(530)을 통해 공급구(510)로 토출된다.
살균수모드는 조작부(520)의 레버가 살균수모드에 위치하면 밸브(610)를 열고, 제1전환밸프(630)를 살균수생성수단(200)으로 개방하고, 살균수생성수단(200)에 전원을 인가하고, 가열수단(300)에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는다. 또한 살균수모드는 살균수생성수단(300)으로 유입되는 유량을 감지하고, 유량에 따라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살균수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러한 살균수모드는 사용자가 원하는 차아염소산 농도를 갖는 살균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술한 조작부(520)에는 차아염소산 농도입력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고온의 살균수모드는 조작부(520)의 레버가 고온의 살균수모드에 위치하면 밸브(610)를 열고, 제1전환밸프(630)를 살균수생성수단(200)으로 개방하고, 살균수생성수단(200)과 가열수단(300)에 각각 전원을 인가한다. 또한 고온의 살균수모드는 살균수생성수단(200)으로 유입되는 유량을 감지하고, 유량에 따라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살균수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러한 고온의 살균수모드는 사용자가 원하는 차아염소산 농도를 갖는 살균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고온의 살균수모드는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살균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3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살균수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상술한 조작부(520)에는 온도입력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잠금모드는 조작부(520)의 레버가 정수모드에서 잠금모드로 전환된 경우 펌프(620)의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잠금모드는 조작부(520)의 레버가 살균수모드에서 잠금모드로 전환된 경우 살균수생성수단(200)의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잠금모드는 조작부(520)의 레버가 고온의 살균수모드에서 잠금모드로 전환된 경우 살균수생성수단(200) 및 가열수단(300) 각각의 전원을 차단한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싱크대에서 간편하게 조작부(520)의 레버를 조절하여 정수 뿐 아니라 살균수 및 고온의 살균수를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급수공간이 필요없이 싱크대에 장착된 공급코크(510)에서 기능수가 토출되므로 설겆이나 행주, 싱크대 청소를 살균수를 이용해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싱크대에는 조작부(520) 또는 공급코크(510)와 조작부(520)만 설치되고, 케이스(400)는 싱크대의 하부공간에 설치되므로 싱크대에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 작업이 쾌적하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는 정수생성수단(100'), 살균수생성수단(200), 가열수단(300), 케이스(400), 공급수단(500'), 밸브(610), 펌프(620), 제2전환밸브(640) 및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정수생성수단(100')은 외부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에 함유된 이물질 및 각종 유해물질 등을 일정수준으로 제거한다. 이러한 정수생성수단(10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각각 같은 세디먼트 필터(111), 선카본 필터(112), 멤브레인 필터(113) 및 후카본 필터(212)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밸브(61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세디먼트 필터(111)와 선카본 필터(112)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수원(10)으로부터 원수를 정수생성수단(100')으로 공급한다.
살균수생성수단(200) 및 가열수단(300)의 각 구성과 상호간의 연결관계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다른 실시예의 가열수단(300')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전환밸브(640)는 정수생성수단(100')에서 여과된 정수를 살균수 생성수단(200) 또는 공급수단(500')으로 선택적으로 흐르게 한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환밸브(640)는 정수생성수단(100')에서 여과된 정수의 유출구에 구비되고, 살균수 생성수단(200)의 유입구(251) 및 공급수단(500')과 각각 연결된다. 이때, 제2전환밸브(640)는 삼방밸브이다.
펌프(620)는 제2전환밸브(640)와 공급수단(500') 사이에 구비되어 정수를 펌핑한다.
케이스(4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케이스(400)의 전면공간에는 상술한 바와 다르게 세디먼트 필터(111), 선카본 필터(112), 멤브레인 필터(113) 및 후카본 필터(212)가 설치된다. 또한 후면공간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다르게 저수조(130)가 설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보다 케이스(400)의 부피가 더 작은 효과가 있다.
공급수단(500')은 공급콕크(510), 조작부(520') 및 공급관(530)을 포함한다. 공급코크(510)의 구성과 기능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조작부(520')는 싱크대 상부 벽면에 고정되며, 복수개의 제어버튼(521)을 포함한다. 제어버튼(521)은 각각 정수모드, 살균수모드 및 고온의 살균수모드를 위한 제어버튼이다. 또한 제어버튼(521)을 두번째로 누르면 잠금모드가 실행된다. 공급관(530)은 정수생성수단(100') 및 가열수단(300, 300')과 각각 연결되어 정수, 실온의 살균수 또는 고온의 살균수를 공급코크(510)로 공급하며, 구성과 기능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제어수단(미도시)은 정수모드, 살균수모드, 고온의 살균수모드, 잠금모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수단은 상술한 조작부(520)와 연결되어 조작부(520)의 조작상태에 따라 정수모드, 살균수모드, 고온의 살균수모드 및 잠금모드를 실행한다.
정수모드는 사용자가 정수용 제어버튼을 한번 누르면, 밸브(610)를 열고, 제2전환밸브(640)가 공급수단(500')쪽 유로를 개방하고, 펌프(620)에 전원이 인가되어 정수가 공급구(510)에 공급된다.
살균수모드는 사용자가 살균수용 제어버튼을 한번 누르면, 밸브(610)를 열고, 제2전환밸브(640)가 살균수생성수단(200)쪽 유로를 개방하고, 살균수생성수단(200)에 전원을 인가하고, 가열수단(300)에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는다. 또한 살균수모드는 살균수생성수단(300)으로 유입되는 유량을 감지하고, 유량에 따라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살균수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러한 살균수모드는 사용자가 원하는 차아염소산 농도를 갖는 살균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작부(520)는 사용자가 원하는 차아염소산 농도를 입력하는 농도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온의 살균수모드는 사용자가 고온의 살균수용 제어버튼을 한번 누르면, 밸브(610)를 열고, 제2전환밸브(640)가 살균수생성수단(200)쪽 유로를 개방하고, 살균수생성수단(200)과 가열수단(300)에 각각 전원을 인가한다. 또한 고온의 살균수모드는 살균수생성수단(200)으로 유입되는 유량을 감지하고, 유량에 따라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살균수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러한 고온의 살균수모드 역시 상술한 농도입력부에서 입력된 특정 차아염소산 농도를 갖는 살균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고온의 살균수모드는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살균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3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살균수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조작부(520)는 사용자가 원하는 살균수의 온도를 입력하는 온도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모드는 사용자가 정수용 제어버튼을 한번 더 누르면 펌프(620)의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잠금모드는 사용자가 살균수용 제어버튼을 한번 더 누르면, 살균수생성수단(200)의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잠금모드는 사용자가 살균수용 제어버튼을 한번 더 누르면, 살균수생성수단(200) 및 가열수단(300) 각각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외부수원 100 : 정수생성수단
110 : 제1필터부 120 : 제2필터부
130 : 저수조 200 : 살균수 생성수단
211 : 제1하우징판 212 : 제2하우징판
213 : 안착홈 216 : 수용공간
221 : 양극 222 : 음극
223 : 관통공 230 : 스페이서
241 : 제1전극단자 243 : 밀착부재
251 : 유입구 252 : 유출구
260 : 가이드부재 261 : 씰링부재
300 : 가열수단 301 : 스파이럴 유로
310 : 몸체 320 : 밀착스프링
330 : 히터 331 : 내부유로
400 : 케이스 410 : 케이스 본체
420 : 케이스 뚜껑 430 : 내부 판
500 : 공급수단 510 : 공급코크
520 : 조작부 521 : 제어버튼
530 : 공급관 610 : 밸브
620 : 제1전환밸브 630 : 펌프
640 : 제2전환밸브 700 : 개수대
110 : 제1필터부 120 : 제2필터부
130 : 저수조 200 : 살균수 생성수단
211 : 제1하우징판 212 : 제2하우징판
213 : 안착홈 216 : 수용공간
221 : 양극 222 : 음극
223 : 관통공 230 : 스페이서
241 : 제1전극단자 243 : 밀착부재
251 : 유입구 252 : 유출구
260 : 가이드부재 261 : 씰링부재
300 : 가열수단 301 : 스파이럴 유로
310 : 몸체 320 : 밀착스프링
330 : 히터 331 : 내부유로
400 : 케이스 410 : 케이스 본체
420 : 케이스 뚜껑 430 : 내부 판
500 : 공급수단 510 : 공급코크
520 : 조작부 521 : 제어버튼
530 : 공급관 610 : 밸브
620 : 제1전환밸브 630 : 펌프
640 : 제2전환밸브 700 : 개수대
Claims (16)
-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정수하는 정수생성수단;
상기 정수생성수단과 연결되고,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만드는 살균수생성수단;
상기 정수생성수단 및 상기 살균수생성수단이 수용되고, 개폐가능한 케이스; 및
상기 정수생성수단 및 상기 살균수생성수단과 연결되고, 정수 또는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생성수단은, 외부수원과 연결되어 원수가 유입되는 제1필터부; 및 상기 제1필터부를 통과한 물을 정수하는 제2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수생성수단은 상기 제1필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부를 통과한 물을 상기 제2필터부 또는 상기 살균수생성수단으로 흐르게 하는 제1전환밸브;를 더 포함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부는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부는 역삼투압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생성수단은 복수 개의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생성수단을 통과한 물을 상기 살균수생성수단 또는 상기 공급수단으로 흐르게 하는 제2전환밸브;를 더 포함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생성수단과 상기 공급수단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살균수생성수단에서 배출된 살균수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더 포함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원통형의 히터;
상기 히터를 수용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와 상기 히터 사이에 형성되고, 살균수가 유동하는 스파이럴 유로;를 포함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파이럴 유로와 연통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내부에 형성되고 살균수가 유동하는 내부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럴 유로의 일단은 상기 내부유로의 일단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살균수생성수단 또는 상기 공급수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수단.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생성수단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양극와 음극이 서로 대향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전극;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양극에 연결되는 제1전극단자;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음극에 연결되는 제2전극단자;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전기분해된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의 폭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전극과 접촉하고, 상기 전극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이격된 적어도 세 개의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를 서로 연결하고, 상호 이격된 두 개의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의 상호 이격 거리는 상기 전극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단자와 상기 제2전극단자는 상기 전극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싱크대 하부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공급수단은 싱크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싱크대에 설치된 개수대로 정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공급코크;
상기 공급코크에 설치된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공급코크로 정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포함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버튼;을 포함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싱크대의 급수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0064A KR101437995B1 (ko) | 2012-09-10 | 2012-09-10 |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0064A KR101437995B1 (ko) | 2012-09-10 | 2012-09-10 |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3772A true KR20140033772A (ko) | 2014-03-19 |
KR101437995B1 KR101437995B1 (ko) | 2014-09-05 |
Family
ID=50644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0064A KR101437995B1 (ko) | 2012-09-10 | 2012-09-10 |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7995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3158A (ko) * | 2014-12-30 | 2016-07-12 | 코웨이 주식회사 | 수처리장치 |
KR101706560B1 (ko) * | 2016-10-11 | 2017-02-16 | (주)이에스피이엔지 | 스파이럴 살균기 |
KR20170079100A (ko) * | 2015-12-30 | 2017-07-10 | 코웨이 주식회사 | 수처리장치 |
EP3699368A1 (en) | 2019-02-22 | 2020-08-26 | LG Electronics Inc. | Liquid dispensing device |
EP3699366A1 (en) | 2019-02-22 | 2020-08-26 | LG Electronics Inc. | Liquid dispensing device |
EP3699367A1 (en) | 2019-02-22 | 2020-08-26 | LG Electronics Inc. | Liquid dispensing device |
KR20200132806A (ko) * | 2019-02-22 | 2020-1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워터 디스펜싱 장치 |
KR20210095101A (ko) * | 2020-11-17 | 2021-07-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워터 디스펜싱 장치 |
US11105011B2 (en) * | 2015-02-02 | 2021-08-31 | Hci Cleaning Products, Llc | Chemical solution production |
US12037272B2 (en) | 2019-05-17 | 2024-07-16 | Lg Electronics Inc. |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7570B1 (ko) | 2020-01-28 | 2022-08-29 | 주식회사 대자연코리아 | IoT를 활용한 살균수 제조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77657A (ja) * | 2003-12-22 | 2005-07-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
KR100590834B1 (ko) | 2005-01-14 | 2006-06-19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역삼투압 정수기의 생활용수를 활용한 이온수 시스템 |
KR100666720B1 (ko) * | 2005-07-01 | 2007-01-09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냉이온수기 |
KR20090003954A (ko) * | 2007-07-06 | 2009-01-12 | (주) 중원 | 이온 정수기 |
-
2012
- 2012-09-10 KR KR1020120100064A patent/KR10143799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3158A (ko) * | 2014-12-30 | 2016-07-12 | 코웨이 주식회사 | 수처리장치 |
US11105011B2 (en) * | 2015-02-02 | 2021-08-31 | Hci Cleaning Products, Llc | Chemical solution production |
KR20170079100A (ko) * | 2015-12-30 | 2017-07-10 | 코웨이 주식회사 | 수처리장치 |
KR101706560B1 (ko) * | 2016-10-11 | 2017-02-16 | (주)이에스피이엔지 | 스파이럴 살균기 |
EP4089242A1 (en) | 2019-02-22 | 2022-11-16 | LG Electronics Inc. | Liquid dispensing device |
EP3699367A1 (en) | 2019-02-22 | 2020-08-26 | LG Electronics Inc. | Liquid dispensing device |
KR20200102800A (ko) * | 2019-02-22 | 2020-09-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워터 디스펜싱 장치 |
KR20200132806A (ko) * | 2019-02-22 | 2020-1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워터 디스펜싱 장치 |
EP3699366A1 (en) | 2019-02-22 | 2020-08-26 | LG Electronics Inc. | Liquid dispensing device |
AU2020201284B2 (en) * | 2019-02-22 | 2021-12-02 | Lg Electronics Inc. | Liquid dispensing device |
US11279610B2 (en) | 2019-02-22 | 2022-03-22 | Lg Electronics Inc. | Liquid dispensing device |
EP3699368A1 (en) | 2019-02-22 | 2020-08-26 | LG Electronics Inc. | Liquid dispensing device |
US11549243B2 (en) | 2019-02-22 | 2023-01-10 | Lg Electronics Inc. | Liquid dispensing device |
US11827540B2 (en) | 2019-02-22 | 2023-11-28 | Lg Electronics Inc. | Liquid dispensing device |
US11866317B2 (en) | 2019-02-22 | 2024-01-09 | Lg Electronics Inc. | Liquid dispensing device |
US12037272B2 (en) | 2019-05-17 | 2024-07-16 | Lg Electronics Inc. |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KR20210095101A (ko) * | 2020-11-17 | 2021-07-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워터 디스펜싱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37995B1 (ko) | 2014-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7995B1 (ko) |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 |
US6458257B1 (en) | Microorganism control of point-of-use potable water sources | |
JP6150897B2 (ja) | 水素水製造装置 | |
KR102653122B1 (ko) | 전해수 생성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소수 서버와 투석액 조제용수의 제조장치 | |
KR100858971B1 (ko) | 살균장치를 구비한 중앙정수시스템, 그 중앙정수시스템의살균방법 및 청소방법 | |
KR101734194B1 (ko) |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 |
US20180370831A1 (en) | Water treatment device | |
KR100704955B1 (ko) | 정수기 | |
TW503220B (en) | Microorganism control of point of use potable water sources | |
KR20090047585A (ko) | 저수조 및 수 라인을 자동으로 소독하는 정수기 및 그정수기의 소독방법 | |
CN206127025U (zh) | 净水器 | |
KR100634760B1 (ko) | 과전위전극 전해셀을 이용한 살균산화수 제조장치 | |
KR100859373B1 (ko) | 정수기의 물 배출구 살균장치 | |
WO2009038293A2 (en) | Water purifier having apparatus for sterilizing tank and apparatus for sterilizing tank of water purifier | |
WO2012063583A1 (ja) | 浄水装置および浄水装置の消毒殺菌方法 | |
KR101564266B1 (ko) | 정수기의 전해조 | |
KR20130024534A (ko) | 플라즈마 살균세척기능을 지닌 정수기 | |
JP2007014888A (ja) | 消毒装置 | |
KR20090096268A (ko) | 전해조를 구비한 정수기 | |
KR101564594B1 (ko) | 살균수와 알칼리수의 동시공급이 가능한 이온수기 | |
CN215479921U (zh) | 水处理设备 | |
KR101649650B1 (ko) | 정수기 | |
JPH10174973A (ja) | 連続通水式電解水生成装置の洗浄・殺菌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機構を備えた電解水生成装置並びにこれに使用される流路切換弁装置 | |
KR101849076B1 (ko) | 살균기능을 가진 수처리기기 | |
JPH10277554A (ja) | 水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