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761A -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조작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31761A KR20140031761A KR1020120098491A KR20120098491A KR20140031761A KR 20140031761 A KR20140031761 A KR 20140031761A KR 1020120098491 A KR1020120098491 A KR 1020120098491A KR 20120098491 A KR20120098491 A KR 20120098491A KR 20140031761 A KR20140031761 A KR 201400317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part
- moving
- sliding groove
- base
- sli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6—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slidable in a plane in one direction and pivotable around an axis located in the sliding plane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52—Controlling, signalling or testing correct functioning of a switch
Landscapes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조작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이동부, 및 제2방향으로 제1이동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제2이동부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며 조작할 수 있도록 자유도 높은 조작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제2이동부를 미세하게 이동시키며 정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밀도 높은 조작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제2이동부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며 조작할 수 있도록 자유도 높은 조작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제2이동부를 미세하게 이동시키며 정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밀도 높은 조작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구비되는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다양한 종류의 전자장치들이 존재하며, 이들 각각은 소정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LCD와 같은 고정된 디스플레이 형태의 출력 장치와, 예컨대 스위치, 버튼, 키, 다이얼, 조이스틱, 내비게이션 패드와 같이 기계적으로 조작되거나 예컨대 터치 패드 및 터치 스크린과 같이 전기적으로 조작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46504호(2000년 7월 25일 공개, 발명의 명칭 : 버튼기능을 가진 스틱이 부착된 리모콘 송신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자장치를 정밀하고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는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작장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이동부; 및 제2방향으로 상기 제1이동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이동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1슬라이딩홈이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홈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이동부와 상기 제2이동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2슬라이딩홈이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슬라이딩홈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제1이동부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제2이동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방향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작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방향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이동부; 및 상기 제1이동부에 상기 제1방향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제1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이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이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슬라이딩돌기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홈이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슬라이딩홈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홈에 지지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제1이동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이동부의 타측에는 제2슬라이딩홈이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이동부에는 상기 제2슬라이딩홈에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2슬라이딩홈에는 상기 제2슬라이딩홈에 지지되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제2이동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제2이동부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며 조작할 수 있도록 자유도 높은 조작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제2이동부를 미세하게 이동시키며 정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밀도 높은 조작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이동부 조작이 베이스부를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회전신호 입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작 및 그에 따른 신호입력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를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제1방향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제2방향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제1방향 및 제2방향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를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제1방향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제2방향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제1방향 및 제2방향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작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를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장치(100)는 케이스부(110)와, 베이스부(120)와, 제1이동부(130) 및 제2이동부(14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10)는 베이스부(120)와 제1이동부(130) 및 제2이동부(140)를 수용한다. 케이스부(11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5)가 결합된 상태의 케이스부(11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베이스부(120)와 제1이동부(130) 및 제2이동부(14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부호생략)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케이스(111)의 내부에는 상부관통공(112)이 형성되어 제2이동부(140)가 이를 통해 케이스부(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하부케이스(115)의 내부에는 하부관통공(116)이 형성되어 베이스부(120)가 이를 통해 케이스부(1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와 같은 케이스부(110)는 제1이동부(130) 및 제2이동부(140)의 이동 공간이 확보되도록 제1이동부(130) 및 제2이동부(140)의 지름보다 긴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120)는 내부에 중공(부호생략)이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120)는 케이스부(110)에 수용되며, 하부케이스(115)에 결합되어 케이스부(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120)는 돌출부(121)를 구비한다. 돌출부(121)는 베이스부(12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하부케이스(115)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출부(121)는 하부케이스(115)의 내부에 형성된 하부관통공(116)에 삽입되어 하부관통공(116)의 내측내주면(117)과 맞물리며, 베이스부(120)는 돌출부(121)와 하부케이스(115) 간의 맞물림을 매개로 하부케이스(115)에 결합된다.
아울러, 베이스부(120)는 그 외주면이 하부케이스(115)의 외측내주면(118)과 맞물리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120)는 돌출부(121) 부분이 하부케이스(115)의 내측내주면(117)과, 외주면 부분이 하부케이스(115)의 외측내주면(118)과 각각 이격이 발생되지 않게 맞물리는 상태로 하부케이스(115)와 결합된다.
이러한 베이스부(120)는 외력에 의해 케이스부(110)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부케이스(115) 상에 맞물려 결합된다. 이러한 베이스부(120)는 제1이동부(130) 및 제2이동부(140)의 이동시, 다른 요소의 이동으로 인한 개입 없이 제1이동부(130) 및 제2이동부(140)의 이동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작 과정에서의 오차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조작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베이스부(12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120)는 제1이동부(130)의 이동방향인 제1방향(a) 및 제2이동부(140)의 이동방향인 제2방향(b)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베이스부(120)는 조작장치(100)가 설치되는 전자장치(미도시)와의 회전 가능한 결합에 의해 전자장치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베이스부(120)와 전자장치 간의 회전 가능한 결합은 베이스부(120)나 전자장치 간의 직접적인 결합 뿐 아니라, 케이스부(110)나 제1이동부(130) 또는 제2동부(140)와 전자장치 간의 회전 가능한 결합을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구성 간의 회전 가능한 결합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제1방향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이동부(130)는 베이스부(120)에 인접되게 배치된다. 제1이동부(130)는 내부에 중공(부호생략)이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부(1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스부(110)에 수용된다.
제1이동부(130)는 베이스부(120)에 베이스부(120)의 회전방향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제1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120)와 제1이동부(130) 간의 이동 가능한 결합은 제1슬라이딩돌기(125)와 제1슬라이딩홈(131)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베이스부(120)와 제1이동부(130) 중 어느 하나에는 제1슬라이딩홈(131)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1슬라이딩돌기(125)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슬라이딩돌기(125)는 베이스부(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슬라이딩돌기(125)는 제1이동부(130)와 대면하는 측에 구비되며, 제1이동부(13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슬라이딩홈(131)은 제1이동부(130)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슬라이딩홈(131)은 베이스부(120)와 대면하는 제1이동부(130)의 일측에 구비된다. 제1슬라이딩홈(131)은 제1방향(a)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이동부(130)의 제1방향(a)으로의 이동을 안내한다.
제1슬라이딩홈(131)에는 제1슬라이딩돌기(125)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슬라이딩돌기(125)는 제1슬라이딩홈(131)에 삽입되는 형태로 제1슬라이딩홈(1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슬라이딩돌기(125)와 제1슬라이딩홈(131) 간의 이동 가능한 결합에 의해, 제1이동부(1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부(120)에 결합된다.
도 7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제2방향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이동부(140)는 제1이동부(130)에 인접되게 배치된다. 제2이동부(140)는 내부에 중공(부호생략)이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이동부(13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스부(110)에 수용된다.
제2이동부(140)는 제1이동부(130)에 제1방향(a)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제2방향(b)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이동부(130)와 제2이동부(140) 간의 이동 가능한 결합은 제2슬라이딩홈(135)과 제2슬라이딩돌기(145)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이동부(130)와 제2이동부(140) 중 어느 하나에는 제2슬라이딩홈(135)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2슬라이딩돌기(145)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슬라이딩홈(135)은 제1이동부(130)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2슬라이딩홈(135)은 제2이동부(140)와 대면하는 제1이동부(130)의 타측에 구비된다. 제2슬라이딩홈(135)은 제2방향(b)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제2이동부(140)의 제2방향(b)으로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슬라이딩돌기(145)는 제2이동부(140)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2슬라이딩돌기(145)는 제1이동부(130)와 대면하는 제2이동부(140)에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슬라이딩돌기(145)는 제2슬라이딩홈(13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슬라이딩돌기(145)는 제2슬라이딩홈(135)에 삽입되는 형태로 제2슬라이딩홈(13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2슬라이딩돌기(145)와 제2슬라이딩홈(135) 간의 이동 가능한 결합에 의해, 제2이동부(14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b)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이동부(130)에 결합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a)으로 이동된 제1이동부(130) 또는 제2방향(b)으로 이동된 제2이동부(1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15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귀부(150)는 제1탄성부재(151) 및 제2탄성부재(15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탄성부재(15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딩홈(131)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탄성부재(151)는 제1슬라이딩홈(131)에 삽입되는 제1슬라이딩돌기(125)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구비된다. 각 제1탄성부재(151)는 일측 단부가 제1슬라이딩돌기(125)와 인접되게 배치되고, 타측 단부가 제1슬라이딩홈(131)에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제1탄성부재(15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a)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는 제1슬라이딩돌기(125)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제1이동부(130)를 이동시키는 외력이 사라지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제1슬라이딩돌기(125) 및 제1이동부(1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탄성부재(15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슬라이딩홈(135)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2탄성부재(155)는 제2슬라이딩홈(135)에 삽입되는 제2슬라이딩돌기(145)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구비된다. 각 제2탄성부재(155)는 일측 단부가 제2슬라이딩돌기(145)와 인접되게 배치되고, 타측 단부가 제2슬라이딩홈(135)에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제2탄성부재(15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b)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는 제2슬라이딩돌기(145)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제2이동부(140)를 이동시키는 외력이 사라지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제2슬라이딩돌기(145) 및 제2이동부(1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제1방향 및 제2방향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작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는 제2이동부(140)의 상부면이 상부케이스(111)의 내부에 형성된 상부관통공(112)을 통해 케이스부(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다.
케이스부(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2이동부(140)의 상부면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접촉하면서 조작할 수 있는 접촉면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케이스부(110)의 외주면을 검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잡은 상태에서, 검지손가락으로 제2이동부(140)의 상부면을 가압하면서 제2이동부(140)를 제1방향(a) 및 제2방향(b)으로 조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이동부(140)의 이동은 제2이동부(140)의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미도시)에 의해 입력신호로 변환되고, 이러한 입력신호는 전자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신호로 전송될 수 있다. 감지수단은 제2이동부(140)의 변위를 제2이동부(140)와 접촉되어 감지하는 접촉식 방식일 수도 있고, 제2이동부(140)와 직접 접촉되지 않고 감지하는 비접촉 방식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이동부(140)의 이동은 비접촉 방식의 감지수단인 자기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입력신호로 변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자기센서를 이용한 변위 및 이동 감지 구성은 당업자가 충분히 구현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2이동부(140)를 원하는 방향 및 거리만큼 조작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동부(140)를 제1방향(a)으로 조작할 경우, 제2이동부(140)는 제1이동부(130) 상에서 제1방향(a)으로 직접 이동되지는 않지만, 베이스부(120) 상에서 이동되는 제1이동부(130)에 의해 제1이동부(130)와 함께 제1방향(a)으로 이동된다.
이때, 사용자는 제1이동부(130)의 이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제2이동부(140)를 원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조작장치(100)를 조작함으로써 전자장치에 제1방향(a)으로의 이동신호를 원하는 이동거리만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이동부(140)를 제2방향(b)으로 조작할 경우, 제2이동부(140)는 제1이동부(130) 상에서 제2방향(b)으로 직접 이동된다.
이때, 사용자는 제2이동부(140)의 이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제2이동부(140)를 원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조작장치(100)를 조작함으로써 전자장치에 제2방향(b)으로의 이동신호를 원하는 이동거리만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제1이동부(130) 및 제2이동부(140)의 제1방향(a) 이동 및 제2방향(b)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부(130)의 제1방향(a) 이동거리와 제2이동부(140)의 제2방향(b) 이동거리의 조절에 의해 다양한 위치로 자유자재로 조작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장치(100)는, 제2이동부(140)의 조작 과정에서 회전 이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1이동부(130)와 제2이동부(140)의 직선방향 이동만을 이용하여 제2이동부(140)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조작장치(100)는 제1방향(a) 및 제2방향(b) 이동, 즉 직선방향으로의 이동과, 이러한 직선방향의 이동 성분을 합성하여 곡선, 대각선 방향 등과 같은 다양한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는, 제1이동부(130)와 제2이동부(140)의 직선방향으로의 이동을 이용하여 조작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제2이동부(140)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며 조작할 수 있도록 자유도 높은 조작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제2이동부(140)를 미세하게 이동시키며 정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밀도 높은 조작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는 그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의 조작 부분인 제2이동부(140)의 회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제2이동부(140) 조작이 베이스부(110)를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회전신호 입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조작 및 그에 따른 신호입력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조작장치 110 : 케이스부
111 : 상부케이스 112 : 상부관통공
115 : 하부케이스 116 : 하부관통공
117 : 내측내주면 118 : 외측내주면
120 : 베이스부 121 : 돌출부
125 : 제1슬라이딩돌기 130 : 제1이동부
131 :
111 : 상부케이스 112 : 상부관통공
115 : 하부케이스 116 : 하부관통공
117 : 내측내주면 118 : 외측내주면
120 : 베이스부 121 : 돌출부
125 : 제1슬라이딩돌기 130 : 제1이동부
131 :
Claims (7)
-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이동부; 및
제2방향으로 상기 제1이동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이동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1슬라이딩홈이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홈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부와 상기 제2이동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2슬라이딩홈이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슬라이딩홈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제1이동부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제2이동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방향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방향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이동부; 및
상기 제1이동부에 상기 제1방향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제1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이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이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슬라이딩돌기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홈이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슬라이딩홈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홈에 지지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제1이동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이동부의 타측에는 제2슬라이딩홈이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이동부에는 상기 제2슬라이딩홈에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2슬라이딩홈에는 상기 제2슬라이딩홈에 지지되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제2이동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8491A KR101381611B1 (ko) | 2012-09-05 | 2012-09-05 | 조작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8491A KR101381611B1 (ko) | 2012-09-05 | 2012-09-05 | 조작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1761A true KR20140031761A (ko) | 2014-03-13 |
KR101381611B1 KR101381611B1 (ko) | 2014-04-04 |
Family
ID=5064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8491A KR101381611B1 (ko) | 2012-09-05 | 2012-09-05 | 조작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161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8164B1 (ko) * | 2019-04-04 | 2020-08-26 | (주)코텍 | 동작 장치 |
WO2020204379A1 (ko) * | 2019-04-04 | 2020-10-08 | (주)코텍 | 동작 장치 |
KR20200117820A (ko) * | 2019-04-04 | 2020-10-14 | (주)코텍 | 동작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44223A (ko) * | 2001-01-12 | 2001-06-05 | 박창복 | 대문잠금장치 |
KR100923097B1 (ko) * | 2008-01-15 | 2009-10-22 | (주)이우테크놀로지 | X선 촬영장치 |
-
2012
- 2012-09-05 KR KR1020120098491A patent/KR10138161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8164B1 (ko) * | 2019-04-04 | 2020-08-26 | (주)코텍 | 동작 장치 |
WO2020204378A1 (ko) * | 2019-04-04 | 2020-10-08 | (주)코텍 | 동작 장치 |
WO2020204379A1 (ko) * | 2019-04-04 | 2020-10-08 | (주)코텍 | 동작 장치 |
KR20200117820A (ko) * | 2019-04-04 | 2020-10-14 | (주)코텍 | 동작 장치 |
AU2020254139B2 (en) * | 2019-04-04 | 2023-01-05 | Kortek Corporation | Operating device |
US11835981B2 (en) | 2019-04-04 | 2023-12-05 | Kortek Corporation | Operating device |
US11839809B2 (en) | 2019-04-04 | 2023-12-12 | Kortek Corporation | Operat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81611B1 (ko) | 2014-04-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8246459B2 (en) | Mouse | |
JP5962597B2 (ja) | 操作装置 | |
US20110037695A1 (en) | Ergonomic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pointing function | |
EP3133628B1 (en) | Input apparatus | |
CN109612360B (zh) | 测量仪器 | |
US20200209908A1 (en) | Pointing device | |
KR101381611B1 (ko) | 조작장치 | |
JP2014052664A (ja) | 操作子及び操作装置 | |
KR100802456B1 (ko) | 고정형 마우스 | |
US20140327657A1 (en) | Input device for touch interface | |
KR101099030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 |
WO2014171409A1 (ja) | スイッチ装置 | |
JP2018009985A (ja) | クランプセンサおよび測定装置 | |
KR100632114B1 (ko) | 이동통신단말기용 방향입력장치 | |
JP4276493B2 (ja) | 入力装置 | |
KR101190381B1 (ko) | 햅틱 스위치 장치 | |
WO2010020986A2 (en) | An ergonomic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pointing function | |
JP4913673B2 (ja) | 多方向操作スイッチ | |
JP2016049889A (ja) | シフトチェンジャー | |
JP2012089405A (ja) | スイッチ装置 | |
JP4022304B2 (ja) | 座標入力装置 | |
JPH04148408A (ja) | キースイツチおよびキーボード入力装置 | |
JP3194492B2 (ja) | X−y方向入力装置 | |
JP2009129065A5 (ko) | ||
KR101106766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