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092A - 원액기용 착즙모듈 - Google Patents

원액기용 착즙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092A
KR20140031092A KR1020130059549A KR20130059549A KR20140031092A KR 20140031092 A KR20140031092 A KR 20140031092A KR 1020130059549 A KR1020130059549 A KR 1020130059549A KR 20130059549 A KR20130059549 A KR 20130059549A KR 20140031092 A KR20140031092 A KR 20140031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juice
processing
contain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130059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1092A/ko
Publication of KR20140031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092A/ko
Priority to PCT/KR2014/002522 priority patent/WO201415792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루에 의해서 즙과 찌꺼기를 분리하도록 재료가 파쇄 또는 압착되는 공간을 감싸는 망체의 변형과 흔들림을 억제하는 원액기용 파쇄모듈에 관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크게 용기 내부에 위치하여 즙과 찌꺼기를 분리하는 망체와 그 용기 내부에 위치하여 재료를 착즙하는 착즙스크루, 그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며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되, 그 투입구와 연통하는 하부에는 재료를 안내하여 파쇄되도록 하는 가공안내부가 형성된 뚜껑, 그 착즙스크루의 상단에 가공안내부와 대응하여, 재료를 가공안내부의 안으로 밀어내면서 파쇄하는 가공날이 형성된 가공스크루 및 그 착즙스크루와 가공스크루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연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은 스크루 상부에 형성된 가공스크루와 가공안내부에 의해서 재료가 가공스크루와 가공안내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스크루에 의해서 착즙되기 이전에 파쇄가공됨과 동시에 무르게 변형됨으로써, 스크루와 재료의 상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망체의 부하가 줄어드는바, 망체의 변형 내지 흔들림이 억제되어 망체의 파손과 소음이 억제됨과 동시에 스크루와 망체의 마모 또한 억제하여 이물질이 첨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액기용 착즙모듈 {JUICER MODULE FOR JUICE}
본 발명은 원액기용 착즙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스크루에 의해서 재료가 파쇄 또는 압착되는 공간에서 즙과 찌꺼기를 분리하는 망체의 변형과 흔들림을 억제하는 원액기용 착즙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원액기는 몸체와, 몸체 상에 탑재되는 착즙모듈을 포함한다. 착즙모듈은 착즙 공간을 갖는 용기와, 용기 내로 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갖춘 뚜껑과, 용기 내에서 재료를 착즙하는 스크루와, 즙과 찌꺼기를 분리하는 망체를 포함한다.
몸체는 스크루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구동모터의 축은 착즙모듈 내 스크루에 접속된다. 종래의 원액기는 스크루가 착즙 가능한 크기로 재료가 절단되어야 한다.
한 예로, 한국특허등록 제10-0793852호는 스크루의 중심축으로부터 최상단의 측면으로 돌출된 스크루 날에 의해서 재료를 절단 또는 절삭하도록 구성된 원액기 기술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 기술은 재료가 절단 또는 절삭된 재료가 망체의 공간에서 파쇄와 압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스크루에 의해서 망체에 압착되거나 하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재료가 파쇄 및 착즙이 이루어 짐으로써, 재료가 단단하고 클수록 망체의 변형 내지 흔들리는 빈도가 높은 실정이다.
이러한 망체의 변형 내지 흔들림은 그 변형으로부터 망체의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망체의 채공이 변형되어 균질의 착즙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흔들림으로부터 어느 한쪽이 치우쳐짐으로써 반대쪽의 스크루와 망체가 접하면서 작동하여 마모와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12-0111445호에는 상기 원액기의 망체를 스크루의 하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구성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망체의 부하가 존재한다.
또한, 한국특허등록 제10-0966607호는 스크루 상부면 전체에 강판을 설치하여 착즙 직전에 재료를 파쇄하는 원액기 기술을 개시한다.
하지만 강판을 이용한 파쇄는 원액기 고유의 저속이 아닌 고속에 의해서 이루어져야하는 문제점을 가지며, 강판의 고속에 의해서 재료가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자가 큰 힘으로 재료를 강판에 압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딱딱하거나 큰 재료를 압착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파쇄 가공을 하여 다소 무르게 함과 동시에 재료의 크기를 작게 하여, 스크루의 파쇄 및 압착시에 발생하는 망체의 변형 및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위치하여 즙과 찌꺼기를 분리하는 망체와 그 용기 내부에 위치하여 재료를 착즙하는 착즙스크루, 그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며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되, 그 투입구와 연통하는 하부에는 재료를 안내하여 파쇄되도록 하는 가공안내부가 형성된 뚜껑, 그 착즙스크루의 상단에 가공안내부와 대응하여, 재료를 가공안내부의 안으로 밀어내면서 파쇄하는 가공날이 형성된 가공스크루 및 그 착즙스크루와 가공스크루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연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크루 상부에 형성된 가공스크루와 가공안내부에 의해서 재료가 가공스크루와 가공안내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스크루에 의해서 착즙되기 이전에 파쇄가공됨과 동시에 무르게 변형됨으로써, 스크루와 재료의 상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망체의 부하가 줄어드는바, 망체의 변형 내지 흔들림이 억제되어 망체의 파손과 소음이 억제됨과 동시에 스크루와 망체의 마모 또한 억제하여 이물질이 첨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액기용 파쇄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액기용 파쇄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쇄모듈의 뚜껑을 위에서 아래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취해진 뚜껑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를 따라 취해진 뚜껑의 단면도.
도 6는 도 1에 도시된 파쇄모듈의 일부로서 가공스크루를 상단에 일체로 구비한 스크루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A-A'와 B-B'에 대한 부분 종단면도.
도 9는 도 7의 C-C'와 D-D'에 대한 부분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스크루에 의해서 즙과 찌꺼기를 분리하도록 재료가 파쇄 또는 압착되는 공간을 감싸는 망체의 변형과 흔들림을 억제하는 원액기용 파쇄모듈에 관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크게 용기(100) 내부에 위치하여 즙과 찌꺼기를 분리하는 망체(200)와 그 용기(100) 내부에 위치하여 재료를 착즙하는 착즙스크루(300), 그 용기(1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410)가 형성되되, 그 투입구(410)와 연통하는 하부에는 재료를 안내하여 파쇄되도록 하는 가공안내부(600)가 형성된 뚜껑(400), 그 착즙스크루(300)의 상단에 가공안내부(600)와 대응하여, 재료를 가공안내부(600)의 안으로 밀어내면서 파쇄하는 가공날(510)이 형성된 가공스크루(500) 및 그 착즙스크루(300)와 가공스크루(500)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연동부(7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액기용 파쇄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액기용 파쇄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쇄모듈의 뚜껑을 위에서 아래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취해진 뚜껑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를 따라 취해진 뚜껑의 단면도이고, 도 6는 도 1에 도시된 파쇄모듈의 일부로서 가공스크루를 상단에 일체로 구비한 스크루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A-A'와 B-B'에 대한 부분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C-C'와 D-D'에 대한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원액기용 파쇄모듈은 내부에 착즙 공간을 포함하고 외부면 일측 및 타측에 즙배출구(101) 및 찌꺼기 배출구(102)가 형성된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 내부에 설치되어 착즙시 발생한 재료의 찌꺼기로부터 즙을 분리하는 망체(200)와, 상기 망체(200) 내부에 설치되어 재료를 착즙하는 착즙스크루(300) 및 상기 용기(100)의 상단에 설치되되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410)가 형성된 뚜껑(400)을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파쇄모듈은 상기 용기(100)의 즙배출구(10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개폐수단이 적용될 수 있고, 개폐수단으로는 코크밸브가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코크밸브는 상기 즙배출구(101)를 전진 또는 후퇴하는 밸브체를 포함하되, 그 밸브체의 선단이 상기 즙배출구(101)를 향해 배향된 구조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크밸브는 밸브체에 의해 상기 즙배출구(101)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즙 배출 꼭지를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것들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찌꺼기 배출구(102)에는 패킹(미도시)이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한 압착 및 배출도를 조율할 수 있으며, 이 패킹 하부에 사용자에 의해서 조절되어 패킹의 하부면을 지지하여 완전 밀폐 또는 부분밀폐가 가능하도록 실시될 수도 있다.
상기 가공스크루(500)는 이하 설명될 연동부(700)에 의해서 착즙스크루(300)의 상단에 결합하여 상부를 향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상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폭을 가지면서 나선 형태로 연장된 가공날(510)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가공스크루(500)는 재료의 측면을 가공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하 설명될 가공안내부(600)와 상호작용하여 재료를 파쇄 가공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가공스크루(500) 상단 정점에는 상기 착즙스크루(300)의 중심축(310)이 형성되며, 이러한 중심축(310)은 착즙스크루(300) 및 가공스크루(500)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에는 무방하며, 상기 가공날(510)을 도와 재료를 더 효과적으로 파쇄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보조 가공날(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부(700)는 착즙스크루(300)의 상부 면에 하나 이상의 키(710)가 돌출형성되고, 가공스크루(500)의 하부 면에는 키(710)와 대응하는 키홈(720)이 형성되어 키(710)에 키홈(720)이 삽입되어 착즙스크루(300) 또는 가공스크루(500) 중에서 어느 하나가 회전하더라도 연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연동부(700)는 이하 설명된 관(800)과 이격공간(900)의 구성과 연계하여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는 가공스크루(500)에 의해서 착즙스크루(300)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한정한 것일 뿐, 단순히 착즙스크루(300) 또는 가공스크루(500) 중에서 어느 하나가 회전하더라도 연동하도록 하기위해서는 종래의 착즙스크루(300)와 모터의 샤프트(10)가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형성된 착즙스크루(300)의 각형축공(미도시)과 샤프트(10)의 끝단에 형성된 각형축(미도시)으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연동부(700)는 외접기어(미도시)로 구성되어 착즙스크루(300)와 가공스크루(50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서로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뚜껑(400)은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410)가 형성되고, 그 투입구(410)와 연통하되, 상기 가공스크루(500)를 수용하도록 용기(100)와 결합되는 면으로부터 위로 오목하게 형성된 가공안내부(600)를 하부 면에 포함하고, 그 가공안내부(600)는 상기 가공스크루(500)에 대응되게 상단 정점을 향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가공안내부(600)는 이하 설명될 가공스크루(500)의 가공날(510)이 삽입되며, 그 가공스크루(500)와 협력하여 상기 투입구(410)를 통해 투입된 재료가 파쇄 가공된다.
그리고 상기 가공안내부(600)의 상단 정점에는 상기 착즙스크루(300)의 중심축(310)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공안내부(600)의 내면, 특히, 안쪽의 측면은 상기 투입구(410)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가공날(510)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가공스크루(500)의 가공날(510)과 점점 더 인접하도록 형성된 제1가공안내면(610)이 구성되어, 재료가 가공날(510)에 의해서 외부로 밀려날 때에 재료는 가공안내부(600)의 내면에 의해서 저지되고, 그 가공날(510)이 재료의 측면을 파고들면서 가공안내부(600)의 안쪽으로 점점 말려들어가도록 함과 동시에 재료가 파쇄가공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1가공안내면(610)은 가공스크루(500)의 가공날(510)과 상호작용하여, 재료를 가공날(510)로 강제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재료를 밀어넣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파쇄가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재료가 가공안내부(600)에 말려 들어감에 따라서 착즙스크루(300)를 하부로 압박하는 힘이 발생하여, 재료의 찌꺼기가 스크루의 하부 면과 용기의 바닥면 사이로 침투하여 발생하는 스크루의 상부이동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제1가공안내면(610)에는 파쇄 가공성을 더욱 좋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파쇄날(630)이 추가로 형성되며, 이 파쇄날(630)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가공안내면(61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길게 연장된 채, 상부에서 하부로 향할수록 상기 가공날(510)과 점점 더 인접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공안내부(600)의 한쪽 내면에는 투입구(410)와 연장되어 가공스크루(500)의 중심 쪽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한 재료안내면(6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투입구(410)로 투입된 재료가 재료안내면(620)의 경사에 의해서 가공스크루(500) 쪽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재료의 측면이 자연스럽게 가공스크루(500)의 가공날(510)에 의해서 상기 제1가공안내면(610)과 가공날(510)의 상호작용이 발생하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재료안내면(620)은 투입구(410)과 연장되지 않고, 단순히 투입구 하단에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400)에 형성된 투입구(410)를 통하여 투입된 재료가 가공스크루(500)와 가공안내부(600)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파쇄가공되어 파쇄된 다수의 조각들과 다져진 상태처럼 다소 무르게 변형된 후에, 기존의 착즙스크루(300)로 이동되어 착즙이 이루어 지도록 구성된 것으로써, 투입된 재료는 재료안내면(620)에 의해서 가공스크루(500)로 이동되고, 이렇게 이동된 재료의 측면이 가공날(510)에 의해서 제1가공안내면(610)을 따라서 가공안내부(600) 안쪽으로 이동되되, 가공날(510)과 제1가공안내면(610) 사이의 공간이 서서히 좁아짐에 따라서 재료가 그 제1가공안내면(610)과 가공날(510) 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때, 회전하는 가공날(510)이 재료의 측면을 파고들어가면서 재료의 측면을 가공안내부(600) 안쪽으로 밀면서 재료의 측면 일부를 파쇄하게 되고, 이렇게 밀린 재료는 제1가공안내면(610)에 의해서 가공스크루(500)의 중심 쪽으로 압박되면서 다시 되돌아오는 가공날(510)이 재료의 측면을 파고들어 상기와 같은 작용이 반복되어 파쇄가공이 이루어지는 가공스크루(500)와 가공안내부(600)의 상호작용이 진행된다.
이렇게 파쇄가공된 재료의 조각들은 착즙스크루(300)로 자연스럽게 이동된 후에 본격적인 착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재료가 가공스크루(500)와 가공안내부(600)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파쇄가공됨과 동시에 무르게 변형됨으로써, 착즙스크루(300)와 재료의 상태에 따라서 발생하는 망체(200)의 부하가 줄어드는바, 망체(200)의 변형 내지 흔들림이 억제되어 망체(200)의 파손과 소음이 억제됨과 동시에 착즙스크루(300)와 망체(200)의 마모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원액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재료의 크기를 결정하는 착즙스크루(300) 상부의 반경보다 큰 지름을 가진 재료(통 사과 등)를 사용자가 손질하지 않고도 원활한 착즙이 이루어질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재료를 절삭하기 위해서 기존 착즙스크루(300)의 반경을 확장하지 않고도 실시될 수 있도록, 투입구(410)의 하단은 상기 착즙스크루(300)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하되, 큰 크기의 재료가 충분히 투입될 수 있는 큰 하단 폭(W; 또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가공스크루(500)의 높이 또한 투입된 재료를 수용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도록 투입구(410)의 하단 폭(W)과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기존 원액기의 착즙스크루(300)가 절삭가능한 지름을 가진 재료보다 큰 재료를 사용하기 위해서 그 착즙스크루(300)의 상단 반경(또는 지름)을 확장하여 제품을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면적을 늘려야 하는 점에서 확연한 차이점이 있다.
즉, 종래의 원액기는 큰 재료를 사용하기 위해서 원액기 전체의 크기를 확장하여야 하는 반면, 본 발명은 가공스크루(500)의 높이만을 확장하는 것만으로 실시될 수 있고, 이는 제조원가가 낮고, 원액기의 설치면적이 확장되지 않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가공안내부(600)에는 상기 재료의 측면을 압박하는 제1가공안내면(610)과 달리, 재료의 상부를 압박하여 재료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뚜껑(400)의 하부 공간은 원형의 홈으로 구성하되, 하부 면에 가공스크루(50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투입구(410)의 하단 영역에서부터 나선형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되, 가공스크루(5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된 제2가공안내면(6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2가공안내면(640)은 상기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가공스크루(500)와 달리, 평판 형태로 형성되되, 재료의 하부를 파쇄하도록 상부 면에 하나 이상의 가공날(510)이 형성된 또 다른 가공스크루(500)와 함께 실시되는 것으로, 재료가 가공스크루(500) 상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제1가공안내면(610)과 같이 가공스크루(500)와 상호작용하되, 제2가공안내면(640)은 재료의 상부를 압박하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면과 같이, 제1가공안내면(610)을 대신하여도 무방하고, 도 10과 같이 제1가공안내면(610) 및 재료안내면(620)과 함께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이러한 구성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여도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가공안내부(600)에는 상기 재료안내면(620)을 대신하여 투입구(410)의 하단 영역의 뚜껑(400) 측면에 압착구멍(420)을 형성하고, 그 압착구멍(420)에 삽입되어 재료를 가공스크루(500)로 밀어 넣을 수 있는 누름봉(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누름봉(430)은 투입구(410)로 투입된 재료를 가공스크루(500)로 압착하여 부분적으로 순차적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고, 누름봉(430)과 압착구멍(420)의 구성은 상기 제1가공안내면(610)과 제2가공안내면(640)과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되어도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도 12와 같이, 모터(미도시)의 샤프트(10)가 삽입되는 용기(100)의 바닥면 중심에는 그 샤프트(10)를 보호하는 원형의 관(800)이 형성되되, 그 관(800)은 착즙스크루(300)의 상부로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착즙스크루(300)와 가공스크루(500) 사이의 연동부(700)의 키(710)가 더 돌출되어 이격공간(900)을 더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착즙스크루(300)의 중심에는 기존의 회전축(미도시)을 대신하여 관(800)에 삽입되도록 천공되고, 가공스크루(500)에는 관(300) 내부에 위치하는 샤프트(10)와 연결되도록 회전축(미도시)이 구성되되, 그 회전축(미도시)의 하단에는 샤프트(10)와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은 모터(미도시)에 의해서 가공스크루(700)가 회전되되, 상기 연동부(700)에 의해서 착즙스크루(300)가 회전되며, 뚜껑(100)으로 투입된 재료는 가공스크루(500)에 의해서 가공된 후, 착즙스크루(300)에 의해서 착즙이 이루어져 즙과 찌꺼기가 망체(200)에 의해서 분리되되, 착즙시에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서 찌꺼기 및 잔류하는 즙이 착즙스크루(300) 하부와 용기(100)의 바닥면 사이로 유입되면, 압력에 의해서 즙과 찌꺼기는 관(800)과 착즙스크루(300)의 유격공간을 따라서 착즙스크루(300) 상부로 이동된 후, 이격공간(800)에 의해서 망체(200) 내부의 착즙스크루(300) 상부에서 하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압력에 의한 즙 또는 찌꺼기가 자연스럽게 재 착즙이 이루어짐으로써, 망체(200)에 의해서 걸러지지 못한 즙이 완전히 배출되고, 즙 또는 찌꺼기가 누수 될 수 있는 용기(100)의 샤프트(10)가 관통되는 위치가 착즙스크루(300)의 상단이 됨으로써, 착즙스크루(300) 하단에서 발생하는 착즙압력으로부터 즙 또는 찌꺼기가 샤프트(10)가 관통하는 관(800) 내부로 유입되어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관(800)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착즙스크루(300)의 천공되는 지름이 관(80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거나, 천공된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즙 또는 찌꺼기가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구성하여 실시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100 : 용기 200 : 망체
300 : 착즙스크루 400 : 뚜껑
420 : 압착구멍 430 : 누름봉
500 : 가공스크루 600 : 가공안내부
610 : 제1가공안내면 620 : 재료안내면
640 : 제2가공안내면 700 : 연동부
710 : 키 720 : 키홈
800 : 관 900 : 이격공간

Claims (6)

  1. 용기 내부에 위치하여 즙과 찌꺼기를 분리하는 망체와;
    상기 용기 내부에 위치하여 재료를 착즙하는 착즙스크루;
    상기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며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되, 그 투입구와 연통하는 하부에는 재료를 안내하여 파쇄되도록 하는 가공안내부가 형성된 뚜껑;
    상기 착즙스크루의 상단에 가공안내부와 대응하여, 재료를 가공안내부의 안으로 밀어내면서 파쇄하는 가공날이 형성된 가공스크루 및;
    상기 착즙스크루와 가공스크루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연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액기용 착즙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착즙스크루의 상부 면에 하나 이상의 키가 돌출형성되고, 가공스크루의 하부 면에 키와 대응하는 키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액기용 착즙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용기의 바닥면에는 착즙스크루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관이 더 형성되고, 착즙스크루와 가공스크루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가공스크루의 회전이 연동부에 의해서 착즙스크루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액기용 착즙모듈.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안내부는 상기 투입구에서부터 상기 가공스크루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가공스크루의 측면과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그 가공스크루에 의해서 밀리는 재료의 측면이 압박되어 파쇄되도록 하는 제1가공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액기용 착즙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공안내부는 가공스크루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되, 재료의 상부가 압박되어 파쇄되도록 가공스크루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가공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액기용 착즙모듈.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공안내부는 상기 투입구 하단부에 가공스크루의 중심축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재료를 가공날과 접하도록 이동시키는 재료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액기용 착즙모듈.
KR1020130059549A 2013-03-25 2013-05-27 원액기용 착즙모듈 KR20140031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549A KR20140031092A (ko) 2013-05-27 2013-05-27 원액기용 착즙모듈
PCT/KR2014/002522 WO2014157925A1 (ko) 2013-03-25 2014-03-25 원액기용 착즙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549A KR20140031092A (ko) 2013-05-27 2013-05-27 원액기용 착즙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092A true KR20140031092A (ko) 2014-03-12

Family

ID=50643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549A KR20140031092A (ko) 2013-03-25 2013-05-27 원액기용 착즙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10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615B1 (ko) * 2014-12-17 2016-02-12 김화식 푸드 균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615B1 (ko) * 2014-12-17 2016-02-12 김화식 푸드 균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140B1 (ko) 원액기용 착즙모듈
KR101300464B1 (ko) 원액기용 착즙 모듈
KR20120012040A (ko)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0858333B1 (ko) 대용량 착즙기
KR20120016532A (ko)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674175B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기
KR20140031087A (ko) 원액기용 파쇄모듈
CN110670677A (zh) 一种厨余垃圾处理器
KR20140031092A (ko) 원액기용 착즙모듈
KR101373048B1 (ko) 원액기용 파쇄모듈
KR20140031095A (ko) 원액기용 착즙모듈
KR20140031090A (ko) 원액기용 파쇄모듈
KR101832622B1 (ko) 디스포저
KR101373073B1 (ko) 원액기용 착즙모듈
KR100611302B1 (ko) 착즙분쇄기
KR100635807B1 (ko) 다목적 녹즙기
KR102511027B1 (ko) 이중투입구조 착즙모듈 및 스크류
KR102503265B1 (ko) 이중투입구조 착즙모듈 및 스크류
KR101010912B1 (ko) 전기녹즙기
KR200494673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KR101373079B1 (ko) 원액기용 착즙모듈
KR20140031093A (ko) 원액기용 착즙모듈
EP2608709B1 (de) Vorrichtung mit verminderter haft- und gleitreibung
KR200497404Y1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KR20230002196U (ko)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