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745A - 다공성 촉매 분리막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성 촉매 분리막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745A
KR20140030745A KR1020120097279A KR20120097279A KR20140030745A KR 20140030745 A KR20140030745 A KR 20140030745A KR 1020120097279 A KR1020120097279 A KR 1020120097279A KR 20120097279 A KR20120097279 A KR 20120097279A KR 20140030745 A KR20140030745 A KR 20140030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metal powder
porous catalyst
nickel metal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4340B1 (ko
Inventor
홍성창
김성수
이상문
권동욱
원종민
박광희
Original Assignee
박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희 filed Critical 박광희
Priority to KR1020120097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340B1/ko
Publication of KR20140030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5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configuration
    • B01J35/58Fabrics or filaments
    • B01J35/59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4Palla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55Nick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1Physical properties of the active metal ingred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8Heat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촉매 분리막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니켈 금속 분말과 금속 또는 세라믹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와, (b) 혼합물을 가압하여 성형하는 단계 및 (c) 성형물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촉매 분리막의 제조 방법과, 니켈 금속 분말과 YSZ 및 팔라듐이 일체로 압축 성형된 다공성 촉매 분리막을 제공하여 메탄-수증기 개질 반응 및 수증기 복합 개질반응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공성 촉매 분리막과 그 제조 방법{Porous catalytic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다공성 촉매 분리막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리막에 촉매 기능을 부여하여 메탄-수증기 개질 반응 및 수증기 복합 개질 반응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공성 촉매 분리막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해 새로운 에너지원인 수소 에너지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수소의 생성 방법으로는 천연가스(메탄)의 수증기 개질 반응이 가장 합리적인 기술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종래부터 메탄과 수증기의 반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또한, 최근 고유가 시대를 맞이하여 천연가스를 이용한 합성석유 제조기술 개발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GTL (Gas-To-Liquid)은 천연가스를 화학적으로 가공하여 액체 상태의 석유제품을 제조하는 기술 및 그 제품을 통칭하는 것으로 최종 제품이 액상이므로 기존 가스전 개발 방식이 갖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GTL 공정은 합성가스 생산 공정과 Fischer-Tropsch 공정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합성가스 생산 공정은 전체 공정의 약 60%의 비용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방법은 크게 메탄의 수증기 개질반응(steam reforming of methane), 산소를 이용한 메탄의 부분산화반응(partial oxidation of methane) 또는 메탄의 이산화탄소 개질반응(carbon dioxide of methane)으로 대별될 수 있다. 아래에는 상술한 개질반응들을 각각 나타내었다.
[반응식 1] 메탄의 수증기 개질 반응
CH4 + H2O ↔ 3H2 + CO △H = 226 kJ/mol
[반응식 2] 메탄의 부분 산화 반응
CH4 + 0.5O2 ↔ 2H2 + CO △H = -44 kJ/mol
[반응식 3] 메탄의 이산화탄소 개질 반응
CH4 + CO2 ↔ 2H2 + 2CO △H = 261 kJ/mol
여기서, 상술한 각 개질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CO와 H2의 적절한 비는 후단 공정인 F-T 합성공정에서 요구되는 비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제조되어야 한다. 예컨대, GTL의 대표적 생산품인 메탄올의 경우 F-T 공정으로 유입되는 합성가스의 비(H2/CO 몰비)가 2인 것이 화학 양론적인 수치이며, 아래에는 이처럼 합성가스로부터 메탄올 합성이 이루어지는 반응식을 나타내었다.
[반응식 4] 메탄올 합성 반응
CO + 2H2 ↔ CH3OH △H = -90.8 kJ/mol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F-T 공정으로 유입되는 합성가스의 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개질반응들이 혼합된 형태로 운용되기도 한다. 예컨대, 메탄의 부분산화반응과 메탄의 수증기 개질반응이 혼합된 자연개질반응(auto-thermal reforming) 및 삼중개질반응(tri-reforming)이라고도 불리우는 부분산화, 수증기 개질, 이산화탄소 개질이 혼합된 반응이 잘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수증기 개질과 이산화탄소 개질이 혼합된 개질반응의 경우 생성물인 H2와 CO가 2:1로 배출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oo K.Y, Roh H.S, Jung U.H, Seo D.J, Seo Y.S, Yoon W.L. Combined H2O and CO2 reforming of CH4 over nano-sized Ni/MgO-Al2O3 catalysts for synthesis gas production for gas to liquid (GTL): Effect of Mg/Al mixed ratio on coke formation. Catal. Today 2009;146:166-71]. CSCRM (Carbon dioxide and Steam Combined Reforming of Methane)으로 알려진 이 반응은 CO나 H2의 추가 공급 없이 F-T 공정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메탄의 수증기 개질 반응 및 수증기 복합 개질 반응에서는 열역학적 한계로 인한 평형 전환율이 존재하는데, 촉매를 사용한 일반적인 반응기로는 이를 극복하기가 불가능하다.
이에, 열역학적 평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분리막 반응기가 제안되고 있다. 분리막 반응기는 촉매와 분리막이 동시에 설치된 반응기이다. 즉, 분리막 반응기는 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는 촉매와, 이러한 촉매 반응에 의한 생성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분리막이 동시에 존재하여 반응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 때, 생성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속도가 빠를수록, 대상 반응에 대한 촉매의 활성이 우수할수록 반응기 전체의 효율 향상 폭은 크며, 이러한 원리에 의해 반응의 열역학적 평형 이상의 전환율을 획득할 수도 있다. 상술한 메탄 개질 반응들의 생성물은 모두 H2와 CO이다. 따라서 생성물인 H2 또는 CO를 반응물인 CH4, CO2 그리고 H2O보다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는 분리막이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면 현재의 촉매 반응기 시스템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탄 개질 반응들은 GTL 뿐 아니라 연료전지의 연료개질기, H2 발생 plant 등 H2를 생성해야 하는 site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CO와 H2 중 선택적으로 분리가 쉬운 쪽은 H2 이다. 현재까지 이와 관련한 매우 많은 연구 및 개발이 발표되어 왔다. 이러한 H2 분리막은 크게 치밀형과 다공형으로 구별된다. 구체적으로, 치밀형 분리막은 Pd 또는 Pd-alloy가 주된 성분으로 H2 이온의 전도 및 확산에 의해 분리가 진행되기 때문에 높은 선택도를 얻을 수 있는 반면 단위면적당 H2의 투과량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 이에 반해 다공성 분리막은 기공 크기에 따른 가스 확산에 의해 분리가 진행되므로 비교적 낮은 선택도와 높은 H2 투과량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Lee 등[Dong-Wook Lee, Sang-Jun Park, Chang-Yeol Yu, Son-Ki Ihm, Kew-Ho Lee, Study on methanol reforming-inorganic membrane reactors combined with water-gas shift rea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membrane performance and methanol conversion, Journal of Membrane Science 316 (2008) 63-72]에 따르면 치밀형 분리막이 적용된 분리막 반응기 시스템보다는 다공성 분리막이 반응기에 적용될 경우 보다 큰 활성 증진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H2/N2 선택도가 3에 가까운(투과량이 1.3× 10-3 mol/m2 sec Pa일 경우) 매크로 포러스한 특성을 보이는 분리막이 적용되었을 때 성능 향상이 가장 월등하였다. 이는 분리막 반응기에서는 분리막의 선택도보다는 투과량이 더욱 중요한 인자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Lee 등이 발표한 매크로 포러스 분리막은 상용 지지체의 복잡한 보완을 통해 제조되므로 간편한 제조 방법을 가진 유사 성능의 제품 개발은 그 파급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까지 연구 또는 개발된 다공성 분리막은 대부분 세라믹 또는 유리계이다. 이러한 분리막들은 성능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실링, 접합 또는 모듈화의 어려움으로 인해 실제 공정에 적용하기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어 상술한 분리막 반응기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한편, 공개특허 제10-2006-0007626호에는 금속 시스템으로서 서로 다른 니켈 분말 및 Al 코팅을 통하여 선택도가 매우 우수한 분리막의 제조법이 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제조된 분리막의 H2 선택도가 약 30에 달할 정도로 우수하고, 금속 재질의 성분으로 적용성 및 응용성에 큰 장점이 있다. 하지만 복잡한 전처리 과정과 원재료 선정, 높은 H2 선택도가 수반하는 낮은 투과량 때문에 분리막 반응기에 사용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술한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예의주시하여 분리막 반응기에 적용 가능하도록 성능이 적합하고 제조방법이 매우 간소한 금속 기반 다공성 촉매 분리막 소재에 대한 연구를 거듭한 끝에 본 발명에 이르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소의 생성을 위한 메탄-수증기 개질 반응 및 수증기 복합 개질 반응에 있어서 수소의 투과량과 메탄 전환율 및 열전달 효율을 동시에 향상시켜 개질 반응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공성 촉매 분리막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a) 니켈 금속 분말과 금속 또는 세라믹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와, (b) 혼합물을 가압하여 성형하는 단계 및 (c) 성형물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분리막에 촉매 기능이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촉매 분리막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금속 또는 세라믹 물질은 나노 크기의 YSZ, Y2O3, 또는 Ti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서 입자 크기가 상기 니켈 금속 분말의 기공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a) 단계에서 팔라듐이 더 첨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금속 또는 세라믹 물질의 녹는점은 상기 니켈 금속 분말의 녹는점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a) 단계는 볼밀링 또는 어트리션 밀링을 이용하여 30분 이상 실시되는 건식밀링 공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b) 단계는 15.78MPa 이상의 압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c) 단계는 환원가스가 포함된 분위기에서 800~950℃ 이상의 온도로 1~3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a) 단계 내지 (c) 단계를 통해 제조된 다공성 촉매 분리막을 연마하여 표면 거칠기 및 기공 구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니켈 금속 분말과 YSZ 및 팔라듐이 일체로 압축 성형된 다공성 촉매 분리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또는 세라믹 분말을 기초로 한 다공성 촉매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재가 적용된 분리막 반응기를 이용하여 메탄 개질 반응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탄의 개질 반응 및 수증기 복합 개질 반응 이외에도 H2가 생성물로서 포함되는 다양한 반응, 예컨대, WGS, 하이드로 카본 개질, 알코올류 개질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예 1~3에 따라 제조된 분리막의 기공 및 표면 특성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예 3 및 비교제조예 1~4에 따라 제조된 분리막의 기공 및 표면 특성을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예 3에 따라 제조된 분리막의 투과 성능 및 선택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예 3에 따라 제조된 분리막이 적용된 분리막 반응기의 성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분리막이 적용된 분리막 반응기의 성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분리막이 적용된 분리막 반응기의 성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제조예 3에 따라 제조된 분리막이 적용된 분리막 반응기의 성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메탄-수증기 개질 반응 및 수증기 복합 개질 반응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공성 촉매 분리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니켈 금속 분말과 금속 또는 세라믹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와, 혼합물을 성형하는 단계 및 성형물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 이하 각 공정에 대해 차례대로 설명하도록 한다.
최초, 니켈 금속 분말과 금속 또는 세라믹 물질을 밀링 공정을 통해 혼합한다. 이 경우, 니켈 금속 분말의 입자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3~5㎛인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 또는 세라믹 물질의 입자 크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니켈 금속 분말의 기공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금속 또는 세라믹 물질의 전구체는 분말이나 용액 형태로 니켈 금속 분말의 중량 기준으로 0.01~1중량% 혼합된다. 또한, 밀링 공정은 니켈 금속 분말과 금속 또는 세라믹 물질이 충분히 혼합될 수 있도록 볼밀링이나 어트리션 밀링을 이용하여 30분 이상 실시되며, 이 경우 바인더는 일체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금속 또는 세라믹 물질의 전구체로 nano sized YSZ, nano sized Y2O3, nano Ti 분말, nano Ti in mineral oil 등과 같이 니켈 금속의 녹는점(1455℃)보다 높은 녹는점(YSZ: 2600℃, Y2O3: 2425℃, Ti: 1668℃)을 가지고, 니켈 금속 분말의 기공 크기보다 입자 크기가 작은 성분을 사용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녹는점과 입자 크기를 갖는 금속 또는 세라믹 물질을 이용하면 높은 녹는점으로 인해 후술하는 열처리 과정에서 니켈 금속 분말의 응집(agglomeration) 또는 신터링(sinter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작은 입자 크기로 인해 분리막 기공의 응집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기공 제어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단계로, 니켈 금속 분말과 금속 또는 세라믹 물질의 혼합물을 가압 성형한다. 이 경우, 성형은 15.78MPa 이상의 압력 하에서 이루어지며, 바인더의 첨가 유무는 제한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성형물을 열처리하면 다공성 촉매 분리막이 완성된다. 구체적으로, 열처리는 H2, CH4 등 환원가스가 포함된 분위기에서 800~950℃ 이상의 온도로 1~3시간 동안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열처리하면 성형체의 기계적 강도와 내열성이 강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적으로 다공성 촉매 분리막의 기공과 분리막 표면의 거칠기 정도를 제어하기 위해 Polishing(연마) 공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Polishing 공정은 두 단계로 나뉘어질 수 있는데, 첫번째로 앞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촉매 분리막을 폴리싱 테이블에 연마사포를 이용하여 전처리 연마공정을 수행하고, 두번째 공정으로 Polishing Disc와 Diamond suspension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160RPM으로 0.5~1시간 동안 최종 Polishing 공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Polishing을 하면 성형체의 표면 공극을 막아 생성물의 선택도가 우수해지며, 기계적 강도와 내열성이 강화되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촉매 분리막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를 위한 것에 불과하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니켈 금속 분말을 별도의 금속이나 세라믹의 첨가 없이 15.78MPa의 압력으로 성형한 후 100% H2 가스를 이용하여 950℃에서 열처리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니켈 금속 분말과 티타늄 나노 분말(평균 수십 나노미터)을 건식 볼밀링으로 1시간 동안 충분히 혼합한 후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성형 및 열처리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니켈 금속 분말과 YSZ 나노 분말(평균 30 나노미터 이하) 0.5wt%를 건식 볼밀링으로 1시간 동안 충분히 혼합한 후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성형 및 열처리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1
니켈 금속 분말과 YSZ 나노 분말(평균 30 나노미터 이하) 0.1wt%를 건식 볼밀링으로 1시간 동안 충분히 혼합한 후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성형 및 열처리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2
니켈 금속 분말과 YSZ 나노 분말(평균 30 나노미터 이하) 1wt%를 건식 볼밀링으로 1시간 동안 충분히 혼합한 후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성형 및 열처리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3
니켈 금속 분말과 YSZ 나노 분말(평균 30 나노미터 이하) 5wt%를 건식 볼밀링으로 1시간 동안 충분히 혼합한 후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성형 및 열처리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4
니켈 금속 분말과 YSZ 나노 분말(평균 30 나노미터 이하) 10wt%를 건식 볼밀링으로 1시간 동안 충분히 혼합한 후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성형 및 열처리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제조예 1
니켈 금속 분말과 YSZ 나노 분말(평균 30 나노미터 이하) 0.5wt% 및 Pd 0.1wt%를 건식 볼밀링으로 1시간 동안 충분히 혼합한 후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성형 및 열처리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3에 따른 분리막의 기공 및 표면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SEM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로부터 제조예 1의 경우 극심한 금속 agglomeration 현상이 나타난 반면 제조예 2, 3의 경우에는 기공들이 잘 발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제조예 3 및 비교제조예 1~4에 따른 분리막의 기공 및 표면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SEM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로부터 YSZ 함량이 증가할수록 기공들이 잘 발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YSZ 함량이 1wt% 이상일 경우, 즉, 비교제조예 2(도 2의 (c)), 비교제조예 3(도 2의 (d)) 및 비교제조예 4(도 2의 (e))의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극심히 감소하는 경향이 발생하여 촉매 분리막 소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YSZ가 0.5wt%의 함량을 가지는 제조예 3(도 2의 (a))의 경우가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의한 H2 분리막의 H2 분리 성능 및 메탄 개질 반응에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제조예 3에 의해 제조된 분리막의 H2, CO, CO2, CH4의 투과량 및 선택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은 단일가스의 투과량을 각각 별도로 수행하였으며, 투과된 량을 바탕으로 선택도가 계산되었다. 이 경우, 선택도 및 투과량에 대한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투과량(permeance) 계산식:
Figure pat00001
선택도(selectivity) 계산식:
Figure pat00002

H2가 CH4보다 투과되는 속도가 빠르다면, 그리고 H2가 CO, CO2 보다 투과되는 속도가 빠르다면 본 발명에 의한 소재가 분리막 반응기에 적용되어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왜냐하면 메탄 개질 반응의 생성물인 H2가 다른 가스들에 비해 선택적으로 빠르게 이동하기 때문에 정반응 속도가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으로부터 제조예 3의 경우 H2 투과량 및 선택도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
제조예 3에 따라 제조된 촉매 분리막을 분리막 반응기로 구성하여 메탄의 수증기 개질 반응에 대한 성능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은 반응온도 800℃, 공간속도 3,000~16,000 h-1, S/C는 1의 조건으로 운전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반응의 대조군으로 본 발명에 의한 촉매 분리막이 적용되지 않은, 즉, 촉매(상용 촉매)만이 적용된 반응기가 사용되었다. 도 4로부터 촉매만이 사용된 반응기에 비해 촉매 분리막 소재가 적용된 반응기의 메탄 전환율이 월등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성능 증진을 위해 Pd를 첨가한 실시제조예 1의 경우 반응온도 800℃, 공간속도 52,000 h-1, S/C는 3의 조건으로 운전한 결과 제조예 3보다 모든 온도 영역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리포밍 촉매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Ni/Al2O3 촉매를 이용하여 CH4/CO2/H2O 비에 따른 메탄 전환율과 반응 후 생성되는 H2/CO 비를 확인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F-T 공정으로의 적용을 위해서는 반응 후 생성되는 H2/CO 비는 2가 되어야 하며, 이 때 Ni/Al2O3 파우더 촉매의 메탄 전환율은 75%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에, 제조예 3에 따라 제조된 촉매 분리막을 분리막 반응기로 구성하여 수증기 복합 개질 반응의 성능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이 경우, 수증기 복합 개질 반응은 반응온도 800℃, 공간속도 15,000 h-1, 메탄/이산화탄소/수증기 비 1/0.25/0.75의 조건으로 운전하였다. 각 반응의 대조군으로 본 발명에 의한 분리막이 적용되지 않은, 즉, 촉매(상용 촉매)만이 적용된 반응기가 사용되었다. 도 7로부터 촉매만이 사용된 반응기에 비해 분리막이 동시에 적용된 반응기의 메탄 전환율이 월등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촉매 분리막은 H2의 높은 투과속도에 의해 기존 반응기의 성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소량의 금속을 첨가하여 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특히, 분리막의 H2 투과 성능을 결정짓는 기공 특성은 나노 크기의 금속 및 세라믹 분말에 의해 결정되는 매우 독특한 특성을 설명한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에 의할 경우 H2가 생성물로 포함된 반응(수증기 개질반응, 수증기 복합 개질반응)의 성능을 증진할 수 있는 촉매 분리막 소재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a) 니켈 금속 분말과 금속 또는 세라믹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와;
    (b) 혼합물을 가압하여 성형하는 단계; 및
    (c) 성형물을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분리막에 촉매 기능이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촉매 분리막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또는 세라믹 물질은 나노 크기의 YSZ, Y2O3, 또는 Ti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서 입자 크기가 상기 니켈 금속 분말의 기공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촉매 분리막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팔라듐이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촉매 분리막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또는 세라믹 물질의 녹는점은 상기 니켈 금속 분말의 녹는점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촉매 분리막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볼밀링 또는 어트리션 밀링을 이용하여 30분 이상 실시되는 건식밀링 공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촉매 분리막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15.78MPa 이상의 압력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촉매 분리막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환원가스가 포함된 분위기에서 800~950℃ 이상의 온도로 1~3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촉매 분리막의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내지 (c) 단계를 통해 제조된 다공성 촉매 분리막을 연마하여 표면 거칠기 및 기공 구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촉매 분리막의 제조 방법.
  9. 니켈 금속 분말과 YSZ 및 팔라듐이 일체로 압축 성형된 다공성 촉매 분리막.
KR1020120097279A 2012-09-03 2012-09-03 다공성 촉매 분리막의 제조 방법 KR101424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279A KR101424340B1 (ko) 2012-09-03 2012-09-03 다공성 촉매 분리막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279A KR101424340B1 (ko) 2012-09-03 2012-09-03 다공성 촉매 분리막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745A true KR20140030745A (ko) 2014-03-12
KR101424340B1 KR101424340B1 (ko) 2014-07-31

Family

ID=5064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279A KR101424340B1 (ko) 2012-09-03 2012-09-03 다공성 촉매 분리막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3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770A1 (ko) * 2017-06-12 2018-12-20 주식회사 대화알로이테크 금속분말사출성형과 단축 압축성형을 이용한 다공성 금속 지지체 제조방법
KR20190143593A (ko) * 2018-06-21 2019-12-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메탄화 촉매기능을 가진 다공성 니켈 지지체를 이용한 Pd계 금속 치밀 수소투과 분리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974B1 (ko) 2004-07-20 2006-08-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공성 수소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92532A (ko) * 2008-02-27 2009-09-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 분리용 금속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770A1 (ko) * 2017-06-12 2018-12-20 주식회사 대화알로이테크 금속분말사출성형과 단축 압축성형을 이용한 다공성 금속 지지체 제조방법
KR20190143593A (ko) * 2018-06-21 2019-12-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메탄화 촉매기능을 가진 다공성 니켈 지지체를 이용한 Pd계 금속 치밀 수소투과 분리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340B1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eng et al. Ni x Co y Nanocatalyst Supported by ZrO2 Hollow Sphere for Dry Reforming of Methane: Synergetic Catalysis by Ni and Co in Alloy
Gong et al. Lanthanum and cerium co-modified Ni/SiO2 catalyst for CO methanation from syngas
Hafizi et al. Hydrogen production via chemical looping steam methane reforming process: Effect of cerium and calcium promoters on the performance of Fe2O3/Al2O3 oxygen carrier
Al-Swai et al. Syngas production via methane dry reforming over ceria–magnesia mixed oxide-supported nickel catalysts
Rahemi et al. Syngas production from reforming of greenhouse gases CH4/CO2 over Ni–Cu/Al2O3 nanocatalyst: Impregnated vs. plasma-treated catalyst
Yang et al. Steam CO2 reforming of methane over La1− xCexNiO3 perovskite catalysts
US9511351B2 (en) Catalysts for use in steam reforming processes
Han et al. Highly active and anticoke Ni/CeO2 with ultralow Ni loading in chemical looping dry reforming via the strong metal–support interaction
CN103596671B (zh) 金属负载的二氧化硅基催化膜反应器组件
Khalighi et al. High catalytic activity and stability of X/CoAl2O4 (X= Ni, Co, Rh, Ru) catalysts with no observable coke formation applied in the autothermal dry reforming of methane lined on cordierite monolith reactors
Haag et al. Beneficial effects of the use of a nickel membrane reactor for the dry reforming of methane: Comparison with thermodynamic predictions
KR102075627B1 (ko) 메탄화 촉매기능을 가진 다공성 니켈 지지체를 이용한 Pd계 금속 치밀 수소투과 분리막
KR101541129B1 (ko) Gtl 공정에서 메탄의 수증기/co2 복합 개질 방법
Kang et al. Mixed and autothermal reforming of methane with supported Ni catalysts with a core/shell structure
Pati et al. Facile integration of core–shell catalyst and Pd-Ag membrane for hydrogen production from low-temperature dry reforming of methane
KR101424340B1 (ko) 다공성 촉매 분리막의 제조 방법
Song et al. Catalytic decomposition of methane for controllable production of carbon nanotubes and high purity H2 over LTA zeolite-derived Ni-based yolk-shell catalysts
Li et al. Fabrication of hierarchical Co/MgO catalyst for enhanced CO2 reforming of CH4 in a fluidized‐bed reactor
Ji et al. Enhancement of hydrogen clean energy production from greenhouse gas by in-situ hydrogen separation with a cobalt-silica membrane
Wang et al. Membrane reactors for hydrogen production from coal
Lee et al. Improving carbon tolerance of Ni-YSZ catalytic porous membrane by palladium addition for low temperature steam methane reforming
Chen et al. Hydrothermally synthesized tremella-like monometallic Ni/SiO2 for effective and stable dry reforming of methane (DRM) to syngas
JP2023544675A (ja) 水素化方法
Lim et al. Unlocking exceptional diffusion of porous Ni@ SiO2 nanocapsule catalysts for enhanced dry reforming of methane
Kalai Dry reforming of methane: catalyst development and thermodynamic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