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456A -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456A
KR20140030456A KR1020120095192A KR20120095192A KR20140030456A KR 20140030456 A KR20140030456 A KR 20140030456A KR 1020120095192 A KR1020120095192 A KR 1020120095192A KR 20120095192 A KR20120095192 A KR 20120095192A KR 20140030456 A KR20140030456 A KR 20140030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unit
wall module
power
integrate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8076B1 (ko
Inventor
장철용
정학근
채수용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95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07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0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모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벽체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을 형성하는 벽체 모듈에 있어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의 외기쪽 면에 위치하면서 외기에서 상기 배터리부로 유입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벽체 모듈 내에 배터리를 포함시킴으로써 배터리를 벽체에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빌딩에서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Battery integrated wall module}
본 발명은 벽체 모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벽체 모듈에 관한 것이다.
분산 전원에서 생산한 전력 중 소비되지 않은 전력은 계통으로 내 보낼 수도 있고, 에너지 저장 장치 등에 저장할 수도 있다. 소비되지 않은 전력을 계통으로 보낼 것인지 에너지 저장 장치 등에 저장할지의 여부는 계통에서의 전력 단가와 연관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에 화석 에너지가 점차 고갈되어 가면서 전력 단가가 올라가고 있는 상황에서 분산 전원에서 생산한 전력 중 소비되지 않은 전력을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저장하려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에 따라 그 외적도 달라지는데, 배터리의 경우 통상적으로 배터리 용량이 증가할수록 그 외적도 비례하여 증가한다. 그러한 관계의 연장선상에서, 분산 전원에서 생산하는 전력량이 증가할수록 배터리의 용량도 증가하고 이에 따라 배터리의 외적도 커지게 된다.
그런데, 도심에 위치한 빌딩 같은 곳에서는 이렇게 커져가는 배터리를 수용할 마땅한 공간이 없다. 현재 분산 전원과 연계되어 있든 아니면 비상용 등으로 설치되어 있든 빌딩에서 배터리는 대부분 전기실과 같은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런 경우 빌딩에서의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빌딩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배터리를 포함하는 벽체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을 형성하는 벽체 모듈에 있어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의 외기쪽 면에 위치하면서 외기에서 상기 배터리부로 유입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벽체 모듈 내에 배터리를 포함시킴으로써 배터리를 벽체에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빌딩에서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의 외형도이다.
도 2는 펠티에 효과에 따라 온도 조절 장치에서 열이 한 쪽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묘사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외장재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의 외형도이다.
도 4는 배터리부와 온도 조절 장치가 전력선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해 주는 소켓을 포함하는 배터리부와 온도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배터리부가 다른 배터리부와 전력선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해 주는 소켓을 포함하는 배터리부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태양광 발전부, 단열재 및 배터리부가 전력선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해 주는 소켓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부, 단열재 및 배터리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의 외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100)은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부(120), 배터리부(120)의 외기쪽(180) 면에 위치하면서 외기에서 배터리부(120)로 유입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110) 및 배터리부(120)의 내기쪽(190) 면에 위치하면서 배터리부(120)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장치(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에는 에어컨, 난방기 등과 같은 내기 온도 조절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부(120)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장치(130)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부(120)는 내기와의 직접적인 열 교환을 통해 온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냉각의 경우 공냉식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배터리부(12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고 이러한 배터리 셀들을 보호하기 위한 배터리 보호 회로, 그리고 배터리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등을 포함하고 있는 배터리 패키지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외에도 배터리부(120)는 전력 변환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으면서 다른 상태에 있는 전기 에너지(예를 들어, 배터리 전압보다 높거나 낮은 전압의 전기 에너지 혹은 AC 전압을 가진 전기 에너지)를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
배터리부(120)는 통신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배터리부(120)에 포함되어 있는 배터리 셀들의 상태를 외부에서 파악하기 위해서는 외부 장치에서 배터리부(120)로부터 여러 가지 정보를 받을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배터리부(120) 내부에 포함되어 있은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배터리부(120)에 BMS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 BMS를 통해 배터리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정보를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유선 통신을 이용할 수도 있고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배터리부(120)는 각종 센서를 더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배터리가 안전하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배터리부(120)는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 센서는 전기 회로와 연결되어 배터리부(120)에 포함되어 있는 BMS와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온도 센서는 전기 회로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배터리부(120)는 또한 전류 센서, 전압 센서 등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배터리부(120) 내의 배터리 셀에 대하여 적정한 충전 전류와 적정한 배터리 전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배터리부(120)가 전류 센서 혹은 전압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부(120)는 배터리 셀로서 리튬 계열 배터리 셀을 사용하는 것이 용량단 외적이 작기 때문에 공간 활용상 바람직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납축 전지 등 다른 배터리 셀을 사용하여도 된다.
배터리부(120)의 외기쪽(180) 면에는 단열재(110)가 위치한다. 단열재(1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배터리는 적정한 온도에서 안전하게 작동하며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는 폭발과 같은 위험성이 있고, 또한 너무 낮은 온도에서는 제대로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단열재(110)는 배터리부(120)의 외기쪽(180)에 위치하면서 여름과 같이 외기가 높은 온도 상태에 있을 때 그 외기로부터 유입되는 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같은 원리로서 단열재(110)는 겨울과 같이 외기가 아주 낮은 온도 상태에 있을 때 그 외기로부터 유입되는 냉열(냉기)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단열재(110)는 열전도율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재(110)는 열전도율을 낮추기 위해 다공질이 되도록 만들 수 있다.
단열재(110)로는 코르크, 펠트, 거품고무, 석면, 유리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배터리부(120)의 내기쪽(190) 면에는 온도 조절 장치(130)가 위치한다. 온도 조절 장치(130)는 배터리부(120)의 온도를 조절한다.
배터리는 작동 중에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열들은 적절히 배출되어 배터리가 과열되지 않도록 해야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온도 조절 장치(130)이다. 또한 배터리는 저온에서 성능이 떨어지는데, 배터리부(120)가 저온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경우, 온도 조절 장치(130)가 배터리부(120)로 열을 공급하여 배터리부(120)가 적정한 온도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온도 조절 장치(130)는 공냉식 방식의 장치일 수 있다. 공냉식 방식의 장치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송풍기이다. 온도 조절 장치(130)는 송풍기를 구비하면서 배터리부(120)의 온도 조절을 위해 내기의 공기를 배터리부(120)로 공급할 수도 있으며, 또는 배터리부(120)에서 내기쪽(190)으로 바람이 불어나가게 할 수 있다.
온도 조절 장치(130)는 수냉식 방식의 장치일 수도 있다. 온도 조절 장치(130)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관과 이러한 유체를 수송할 수 있는 모터를 더 포함하고 있으면서 이러한 관을 통해 저온 혹은 고온의 유체를 통과시켜 배터리부(120)의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온도 조절 장치(130)는 저항열을 이용한 히터 방식의 장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온도 조절 장치(130)가 배터리부(120)의 온도를 올려주는 역할만 수행할 수도 있는데, 겨울과 같이 너무 저온 상태에 있는 경우 온도 조절 장치(130)는 저항에 전력을 공급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열을 이용하여 배터리부(120)의 온도를 올릴 수 있다.
온도 조절 장치(130)는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배터리부(12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열전 소자는 열과 전기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효과를 이용한 소자를 의미하게 되는데, 이러한 열전 소자를 이용하면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여 대상이 되는 장치에서 흡열 혹은 발열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열전 소자의 대표적인 예로서 펠티에(Peltier)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온도 조절 장치(130)는 펠티에 소자를 이용하여 배터리부(120)와 내기의 열을 교환함으로써 배터리부(12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펠티에 소자는 펠티에 효과를 이용한 전자 소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서 펠티에 효과는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을 짝지어 전류를 흐르게 하면 한 접점은 발열하고, 다른 한 접점은 흡열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도 2는 펠티에 효과에 따라 온도 조절 장치에서 열이 한 쪽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묘사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부(120)의 내기쪽(190)에 온도 조절 장치(130)가 위치하고 있으며, 온도 조절 장치는 펠티에 소자부(210)를 포함하고 있다. 펠티에 소자부(210)의 상부와 하부는 다른 금속으로 되어 있고, 이러한 금속에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전류 공급원이 펠티에 소자부(210)에 포함되어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펠티에 소자부(210)에서 펠티에 효과에 따라 펠티에 소자부(210)의 외기쪽(180) 접점에서는 흡열이 일어나고 있고, 펠티에 소자부(210)의 내기쪽(190) 접점에서는 발열이 일어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온도 조절 장치(130)는 배터리부(120)의 열을 내기로 내 보낼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펠티에 소자부(210)의 전력 공급원의 전압 형태가 도 2 (a)에서 도시된 펠티에 소자부(210)의 전력 공급원의 전압 형태와 반대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 (b)의 펠티에 소자부(210)는 도 2 (a)의 펠티에 소자부(210)와 전류의 방향이 다른 것이다. 이에 따라 펠티에 소자부(210)의 내기쪽(190) 접점에서는 흡열이 일어나고 있고, 펠티에 소자부(210)의 외기쪽(180) 접점에서는 발열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온도 조절 장치(130)는 배터리부(120)로 내기의 열을 공급해 줄 수 있다.
도 3은 외장재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100)의 외형도이다.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100)은 단열재(110)의 외기쪽(180) 면에 위치하면서 벽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재(340)로는 대리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배터리부(120)와 온도 조절 장치(130)가 전력선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해 주는 소켓을 포함하는 배터리부(120)와 온도 조절 장치(13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부(120)는 내기쪽(190)으로 전원 출력 소켓(410)을 더 포함하고, 온도 조절 장치(130)는 전원 출력 소켓(410)과 결합되는 전원 입력 소켓(420)을 더 포함하며, 온도 조절 장치(130)는 전원 입력 소켓(420)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온도 조절 장치(130)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펠티에 소자부(210)를 이용한 장치, 저항열을 이용한 히터 방식의 장치, 송풍기를 구비한 공냉식 장치 등은 온도 조절 장치(130)로서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이러한 온도 조절 장치(130)의 전력을 배터리부(120)로부터 바로 받을 수 있다면 별도의 배선이 필요없어 설치가 용이해 진다.
온도 조절 장치(130)는 배터리부(1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각각 전원 입력 소켓(420)과 전원 출력 소켓(410)을 구비할 수 있는데, 도 4는 이러한 전원 입력 소켓(420)과 전원 출력 소켓(410)의 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원 출력 소켓(410)은 돌출되어 있고, 전원 입력 소켓(420)은 내삽되어 있어 결합시 배터리부(120)와 온도 조절 장치(130)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배터리부(120)가 다른 배터리부(120)와 전력선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해 주는 소켓을 포함하는 배터리부(120)들의 사시도이다.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100)은 모듈 단위로 구성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100)을 결합하여 벽체를 구성할 수 있다. 건물의 한 쪽 벽면 전체를 하나 이상의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100)을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건물의 한 쪽 벽면의 일부를 하나 이상의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100)을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여러 개의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100)을 결합시키기 위해 배터리부(120)는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한 측면에 연결 소켓(510, 520, 530, 540)을 더 포함하고 다른 배터리부(120)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좌하단의 제1 배터리부는 우측 측면에 내삽형 연결 소켓(540)을 포함하고 있고, 도 5의 우하단의 제2 배터리부는 좌측 측면에 돌출형 연결 소켓(530) 및 상측 측면에 돌출형 연결 소켓(510)을 포함하고 있고, 도 5의 우상단의 제3 배터리부는 하측 측면에 내삽형 연결 소켓(520)을 포함하고 있다.
연결 소켓을 통해 배터리부(120)들은 병렬로 연결되게 되는데, 배터리부(120)들이 병렬로 연결되게 되면 연결되는 배터리부(120)의 개수에 상관없이 일정한 출력 전압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태양광 발전부, 단열재 및 배터리부가 전력선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해 주는 소켓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부, 단열재 및 배터리부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태양광 발전부(610), 단열재(110), 배터리부(120)는 결합하여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의 일부를 구성하게 되는데, 도 3을 참조할 때, 태양광 발전부(610)는 외장재(340)를 대체하여 그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100)이 단열재(110)의 외기쪽(180) 면에 위치하고 태양과 패널을 포함하면서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부(610)를 더 포함할 때, 태양광 발전부(610)는 단열재 방향(내기쪽 방향(190))으로 제1 전원 출력 소켓(620)을 더 포함하고 단열재(110)는 제1 전원 출력 소켓(620)과 결합되는 제1 전원 입력 소켓(620)과 결합되는 제1 전원 입력 소켓(630)을 더 포함하고, 단열재(110)는 또한 배터리부(120) 방향(내기쪽 방향(190))으로 제2 전원 출력 소켓(640)을 더 포함하고 배터리부(120)는 제2 전원 출력 소켓(640)과 결합되는 제2 전원 입력 소켓(650)을 더 포함하며 배터리부(120)는 제2 전원 입력 소켓(650)을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부(610)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100)이 태양광 발전부(610), 단열재(110), 배터리부(120) 및 온도 조절 장치(130)을 구비하고 각각의 장치들(610, 110, 120, 130)이 소켓을 통해 전력을 공유하게 되는 경우, 태양광 발전부(610)에서 생산된 전력이 배터리부(120)에 저장되고 배터리부(120)의 온도는 배터리부(1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온도 조절 장치(130)가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어 별도의 외부 배선없이 공간을 최적으로 사용하여 발전 및 에너지 저장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건물의 벽면을 형성하는 벽체 모듈에 있어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배터리부의 외기쪽 면에 위치하면서 외기에서 상기 배터리부로 유입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의 외기쪽 면에 위치하면서 벽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재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의 내기쪽 면에 위치하면서 상기 배터리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열전 소자는 펠티에 소자이고,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상기 펠티에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부와 내기의 열을 교환함으로써 상기 배터리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내기쪽으로 전원 출력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상기 전원 출력 소켓과 결합되는 전원 입력 소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상기 전원 입력 소켓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한 측면에 연결 소켓을 더 포함하고 다른 배터리부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의 외기쪽 면에 위치하고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면서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부는 상기 단열재 방향으로 제1 전원 출력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는 상기 제1 전원 출력 소켓과 결합되는 제1 전원 입력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는 상기 배터리부 방향으로 제2 전원 출력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제2 전원 출력 소켓과 결합되는 제2 전원 입력 소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제2 전원 입력 소켓을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
KR1020120095192A 2012-08-29 2012-08-29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 KR101388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192A KR101388076B1 (ko) 2012-08-29 2012-08-29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192A KR101388076B1 (ko) 2012-08-29 2012-08-29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456A true KR20140030456A (ko) 2014-03-12
KR101388076B1 KR101388076B1 (ko) 2014-04-29

Family

ID=50642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192A KR101388076B1 (ko) 2012-08-29 2012-08-29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0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89388A1 (en) * 2023-03-10 2024-09-19 Dion Warren Nicholas Insulated building panel element and building pane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4573A (ja) * 1992-02-18 1993-09-10 Canon Inc バッテリ・パック
JPH08172211A (ja) * 1994-12-16 1996-07-02 Ykk Architect Prod Kk 太陽電池付壁パネル
JP2010037881A (ja) * 2008-08-07 2010-02-18 Idemitsu Kosan Co Ltd 建材および建築物
KR20110006055A (ko) * 2009-07-13 2011-01-20 주식회사 프로파워 저온형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076B1 (ko)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90329T3 (es) Instalación doméstica de energía y método de operación para operar una instalación doméstica de energía
US7919204B2 (en) Thermal control of a flow cell battery
KR101526389B1 (ko) 전기차용 배터리의 열관리 장치
CN108431512A (zh) 太阳能空气冷却器
ES2955972T3 (es) Aparato de calefacción que integra una batería y un inversor para inyectar energía desde la batería a la fuente de alimentación eléctrica
KR101385776B1 (ko) 복합 에너지 제어를 통한 냉, 난방 시스템
JPWO2011068151A1 (ja) 蓄電ユニットおよび発電システム
EP3151357A1 (en) Solar powerpack
JP2013226012A (ja) 蓄電池システム
JP6137189B2 (ja) 蓄電システム
CN104729111A (zh) 新型便携移动太阳能储热式热风供暖器
KR101388076B1 (ko)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
CN210007948U (zh) 用于led灯具的供电装置及照明系统
JP2010133661A (ja) 空調・発電装置
JP6062699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及びこれを備える蓄電システム
KR101233883B1 (ko)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대체에너지 전용 냉.온풍기
JP3179585U (ja) 温度調節装置
JP5301604B2 (ja) 車両用駆動電源装置
KR200412634Y1 (ko) 태양광 발전장치를 이용한 창문 난방용 블라인더형 커텐
KR101852161B1 (ko) 태양광 발전, 축전 및 절체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발전, 축전 및 절체 방법
KR20120086756A (ko) 태양전지와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비(非)축전방식 차량용 냉난방 장치
KR102639780B1 (ko) 에너지 저장장치
CN204494850U (zh) 新型便携移动太阳能储热式热风供暖器
KR20140006636A (ko) 배터리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 신재생 난방 시스템.
US20240023294A1 (en) Energy stora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