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883B1 -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대체에너지 전용 냉.온풍기 - Google Patents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대체에너지 전용 냉.온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883B1
KR101233883B1 KR1020100047107A KR20100047107A KR101233883B1 KR 101233883 B1 KR101233883 B1 KR 101233883B1 KR 1020100047107 A KR1020100047107 A KR 1020100047107A KR 20100047107 A KR20100047107 A KR 20100047107A KR 101233883 B1 KR101233883 B1 KR 101233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power
hot
ai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7545A (ko
Inventor
원하홍
Original Assignee
원하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하홍 filed Critical 원하홍
Priority to KR1020100047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883B1/ko
Publication of KR20110127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88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대체에너지 전용 냉온풍기로 상용전력을 사용하는 기존의 제품과 달리 청정 그린에너지인 태양광 및 풍력을 동력원으로 하는 친환경 기기로서, 풍력 및 태양광 전기에너지를 동력화하여 냉풍 및 온풍을 발생시키는 제품으로, 냉매 및 전열장치를 이용하는 기존제품들과는 달리 태양광 발전을 통하여 발생된 직류전원을 인가하여 사용하며, 또한 외부기온에 따라 자동으로 냉풍 및 온풍으로 변환할 수 있고, 냉매 및 전열장치를 이용하지 않는 냉온기 발생모듈 등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을 통해 생성된 직류전원을 인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직류전원수신부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 외부센서를 통하여 자동으로 냉온기의 생성이 가능한 냉온기 발생부, 그리고 동력장치(모터)와 송풍기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냉매의 사용하지 않아 프레온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고, 친환경 청정 전력의 사용을 활성화하여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환경오염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대체에너지 전용 냉.온풍기{A hot and cool air equipment}
본 발명은 태양광의 대체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대체전력 전용 냉온풍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도반도체 및 저항체를 이용한 냉.온기 발생모듈을 통한 냉.온풍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용전력을 사용하는 기존의 제품과 달리 청정 그린에너지인 태양광을 동력원으로 하는 친환경 기기로서, 태양광 전기에너지를 동력화하여 냉풍 및 온풍을 발생시키는 제품으로, 냉매 및 전열장치를 이용하는 기존제품들과는 달리 태양광 발전을 통하여 발생된 직류전원을 인가하여 사용하며, 또한 외부기온에 따라 자동으로 냉풍 및 온풍으로 변환할 수 있고, 열전반도체를 사용하여 냉매 및 전열장치를 이용하지 않는 냉온기 발생모듈 등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현재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냉.온풍발생기는 에어콘이거나 또는 선풍기 또는 히타등을 사용하여 발열과 여기에 송풍기에 의한 온풍을 발생시키게 되는 전열기구로 구분되어지는 데 이러한 것들은 모두 상용전력을 사용함으로서 현재 전세계적으로 요구되는 그린에너지의 열망에 위배됨은 물론 이러한 상용전력의 사용은 결국 불주의에 의한 화재등의 위험은 물론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하게 되어 대체에너지에 의한 다양한 냉.온풍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열전도반도체를 이용한 에어컨 등에 대한 기술(또는 특허)등이 기존에 존재하였으나, 태양광의 대체전력을 사용한 전용제품은 현재까지 상용화되지 않고 있으며, 또한 열전도반도체의 특성을 고려한 냉기(풍)생성장치는 존재하고 있으나, 냉풍과 온풍을 동시에 생성토록 하는 장치는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는 열전반도체의 특성을 극성을 변화토록 함으로서 온기와 냉기를 얻을 수 있으나 그러한 냉온기의 생성기술과 태양광의 발생전력을 인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어기술 등이 접목되기 위한 복합적인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용전력을 사용하는 기존의 제품과 달리 청정 그린에너지인 태양광을 동력원으로 하는 친환경 기기로서, 태양광 전기에너지를 동력화하여 냉풍 및 온풍을 발생시키는 제품으로, 냉매 및 전열장치를 이용하는 기존제품들과는 달리 태양광 발전을 통하여 발생된 직류전원을 인가하여 사용하며, 또한 외부기온에 따라 자동으로 냉풍 및 온풍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을 통해 생성된 직류전원을 인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직류전원수신부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 외부센서를 통하여 자동으로 냉온기의 생성이 가능한 냉온기 발생부, 그리고 송풍기와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장치(모터)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매를 사용하지 않아 프레온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고, 친환경 청정 전력의 사용을 활성화하여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줄여 환경오염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것이다.
또한 실내에서의 온도조절이 자동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짐으로서 에어콘이나 전열기구를 사용할 경우에 실내의 온도를 손쉽게 도달토록 함으로서 에너지의 절약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1 및 도1a는 본 발명의 기본배치구조도.
도2는 본 발명의 외관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모듈의 상부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이 모듈의 하부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열전반도체의 외관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모듈에서 온냉시 왓트저항의 전류흐름의 변환상태를 도시한 회로블럭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구조는 솔라셀(10)에서 태양광 발전을 통해 생성된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되어 솔라셀(10)에서의 과 전원이 발생되거나 또는 축전지를 사용할 경우에 축전지에 과전원이 충전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능을 갖는 직류전원수신부(20)와 상기 직류전원수신부(20)에서 발생되는 직류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타(30)와 상기 모타(30)의 구동에 의하여 바람을 발생토록 하는 송풍기(40)와 상기 송풍기(40)에서 발생된 바람에 의하여 극성의 변환으로 냉기와 온기를 발생토록 하는 냉.온기 모듈(50)과 상기 냉.온기 모듈(50)에서 온기와 냉기로 극성이 자동으로 변환되도록 하기 위한 외부센서로 이루어진 감지기(70)로 구성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냉.온기 모듈(50)은 극성이 자동으로 변환되어지는 열전반도체(51)를 매개로 하여 상층으로는 다수개의 방열핀(52)이 일정한 간격으로 직립되어 있는 방열판(53)을 형성하고, 상기 방열판(53)의 방열핀(52)의 사이에는 왓트저항(60)을 장착하여 온풍을 발생할 경우에 냉온기모듈(50)에서 부족한 온기를 보완토록 함으로서 원하는 온풍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왓트저항(60)은 본 발명에서는 세라믹 저항을 사용하면서 10W를 사용하여 부족한 온기를 발생토록 하고, 방열판(53)의 하층으로도 왓트저항(60a)을 장착함으로서 충분한 온풍이 발생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왓트저항(60,60a)은 방열판(53)에 장착되어지는 것과 실외로 장착되어지는 왓트저항(61)으로 구분되어 냉기를 얻고자 할 경우에 발생되는 열기를 실외에 장착되어지는 왓트저항(61)에 소비토록 하여 냉.온기모듈(50)에서의 쿨러의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때 냉기와 온기를 얻기 위하여 극성이 변환될 경우에는 이러한 왓트저항(60,61)에 걸리게 되는 전원도 변환되어지면서 온기와 냉기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왓트저항(60,60a)의 장착은 병렬로 방열핀(52)의 일정간격마다 형성토록 함으로서 온기의 발생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솔라셀(10)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설치되는 유리창에 실크인쇄로 코팅한 후 레이저 가공에 의하여 직류전원을 얻기 위한 패턴을 구현하게 됨으로서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실외에서 들여다 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고, 유리창에 직접 실크인쇄로 패턴으로 구현토록 함으로서 종래의 솔라셀에서 사용되는 벡시트의 사용이 없어 솔라셀의 수명을 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온기와 냉기의 발생이 자동으로 발생됨으로 실내의 온도를 높이거나 내리기 위하여 별도의 조작이 불필요하고, 에어컨으로 실내온도을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실내온도 보다 낮은 냉풍이 발생됨으로 순식간에 실내온도를 낮추게 되는 것이어서 에어콘의 가동시간이 단축되고, 올리고자 할 경우에도 실내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온풍이 발생토록 함으로서 순식간에 온도를 올릴 수가 있게 됨으로 상용전력의 사용도 절약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송풍기(40)와 냉.온풍발생기(50)의 조립구조도 송풍기(40)에서 송풍되어지는 바람이 직접 냉.온기 모듈(50)의 방열핀(52)의 사이로 들어오면서 바람이 부드럽게 배출토록 함으로서 별다른 저항이 없어 모타(30)의 부하를 줄이게 됨으로서 저전력에 의한 구동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냉.온풍발생기는 리모콘이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ON,OFF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태양광으로 전원을 얻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다양한 천연에너지인 풍량에 의하여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솔라셀 20: 직류전원수신부
30: 모타 40: 송풍기
50: 냉.온기 모듈 51: 열전반도체
52: 방열핀 53: 방열판
60: 왓트저항 70: 감지기

Claims (6)

  1. 솔라셀(10)에서 태양광 발전을 통해 생성된 전원을 수신하는 직류전원수신부(20)와, 상기 직류전원수신부(20)에는 직류전원수신에 의하여 작동되는 모타와 냉.온기모듈(50)및 감지기(7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능을 갖추고, 직류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타(30)의 구동에 의하여 바람을 발생토록 하는 송풍기(40)와 상기 송풍기(40)에서 송풍되는 바람에 의하여 냉풍과 온풍을 발생토록 하는 냉.온기 모듈(50)과 상기 냉.온기 모듈이 온기 또는 냉기로 극성이 자동으로 변환되도록 하기 위한 감지기(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냉.온기모듈(50)은 극성이 자동으로 변환되어지는 열전반도체(51)를 매개로 하여 상층으로는 다수개의 방열핀(52)이 일정한 간격으로 직립되어 있는 방열판(53)을 형성하고, 상기 방열핀 사이의 공간에는 부족한 온기를 보완하기 위한 왓트저장(60)을 장착하는 한편,
    상기 왓트저항은 방열판(53)에 장착되어지는 왓트저항(60)과 실외로 장착되어지는 왓트저항(61)으로 구분되어 냉기를 얻고자 할 경우에는 발생되는 열기를 실외에 장착되어지는 왓트저항에 소비되도록 하여 냉.온기 모듈에서의 쿨러의 기능을 가지도록 하고,
    더불어 상기 왓트저항(60,61)은 극성의 변화에 따라 걸리게 되는 전원도 변환되어지면서 온기 또는 냉기를 얻도록 되어 있는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대체에너지 전용 냉.온풍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라셀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유리창에 실크패턴의 방식으로 직접구현토록 한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대체에너지 전용 냉.온풍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냉.온기모듈(50)의 방열핀이 관통된 방향으로 송풍토록 되어 모타의 부하를 줄이게 된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대체에너지 전용 냉.온풍기
KR1020100047107A 2010-05-19 2010-05-19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대체에너지 전용 냉.온풍기 KR101233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107A KR101233883B1 (ko) 2010-05-19 2010-05-19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대체에너지 전용 냉.온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107A KR101233883B1 (ko) 2010-05-19 2010-05-19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대체에너지 전용 냉.온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545A KR20110127545A (ko) 2011-11-25
KR101233883B1 true KR101233883B1 (ko) 2013-02-15

Family

ID=45396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107A KR101233883B1 (ko) 2010-05-19 2010-05-19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대체에너지 전용 냉.온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8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105B1 (ko) * 2013-08-20 2015-08-06 (주)글로셈 냉방기 및 온풍기 기능을 구비한 천정 조명용 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9144A (zh) * 2015-03-13 2015-06-24 江门市蓬江区吉迩特实业有限公司 一种太阳能制冷装置
CN106839226A (zh) * 2017-03-29 2017-06-13 虞扬 基于物联网的半导体冷暖节能环保新风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180A (ko) * 2001-01-11 2001-05-07 서영욱 태양전지와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모듈형 공기조화기
KR20030063595A (ko) * 2002-01-23 2003-07-31 보텍스 세마이콘덕터 열전반도체 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냉난방 장치
KR20030085781A (ko) * 2002-05-02 2003-11-07 고석철 고온 초전도체를 사용한 전자 냉/온풍기 장치
JP2007166721A (ja) 2005-12-12 2007-06-28 Hikita Kogyo Kk 発電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180A (ko) * 2001-01-11 2001-05-07 서영욱 태양전지와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모듈형 공기조화기
KR20030063595A (ko) * 2002-01-23 2003-07-31 보텍스 세마이콘덕터 열전반도체 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냉난방 장치
KR20030085781A (ko) * 2002-05-02 2003-11-07 고석철 고온 초전도체를 사용한 전자 냉/온풍기 장치
JP2007166721A (ja) 2005-12-12 2007-06-28 Hikita Kogyo Kk 発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105B1 (ko) * 2013-08-20 2015-08-06 (주)글로셈 냉방기 및 온풍기 기능을 구비한 천정 조명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545A (ko) 201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6740B1 (en) Solar aircooler
CN106876512B (zh) 太阳能电池板的通风散热系统及方法
KR101233883B1 (ko)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대체에너지 전용 냉.온풍기
CN102331054A (zh) 一种太阳能半导体空调
CN203613672U (zh) 太阳能冷热墙
CN104456785A (zh) 一种太阳能中央空调
CN112484323B (zh) 相变蓄热型特朗勃墙系统
CN105042739A (zh) 一种多功能热电空调扇
CN210007948U (zh) 用于led灯具的供电装置及照明系统
JP5378018B2 (ja) 給湯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101542105B1 (ko) 냉방기 및 온풍기 기능을 구비한 천정 조명용 램프
CN101839554A (zh) 一种太阳能空调热水器一体化装置
CN211933342U (zh) 一种景区用座椅
KR200412634Y1 (ko) 태양광 발전장치를 이용한 창문 난방용 블라인더형 커텐
CN207021274U (zh) 太阳能电池板的通风散热系统
CN202281329U (zh) 一种太阳能半导体空调
CN104214875A (zh) 一种半导体空调
CN202177272U (zh) 太阳能半导体电冰箱
CN203718997U (zh) 一种空调
CN212278678U (zh) 一种户外柜光伏制冷系统
CN211739255U (zh) 一种基于干旱地区的新型供暖供电蓄能装置
CN217004945U (zh) 一种热水器电子阳极绝缘供电结构
JP5046339B2 (ja) 小型の温風・冷風機
KR20170075636A (ko) 열전 소자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발열 및 냉각 시스템
KR200277795Y1 (ko) 태양전지모듈과 열전냉온소자모듈 및 온도센서를 구비한냉난방 겸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