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918A - 상산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산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918A
KR20140029918A KR1020120096321A KR20120096321A KR20140029918A KR 20140029918 A KR20140029918 A KR 20140029918A KR 1020120096321 A KR1020120096321 A KR 1020120096321A KR 20120096321 A KR20120096321 A KR 20120096321A KR 20140029918 A KR20140029918 A KR 20140029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sential oil
composition
extract
oil extr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남
Original Assignee
김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남 filed Critical 김경남
Priority to KR1020120096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9918A/ko
Publication of KR20140029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91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산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항스트레스 활성을 가지는 상산나무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하는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상산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Natural Fragrance Composition Having Functionalities Using an Essential Oil Extract of Orixa japonica}
본 발명은 상산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경제가 발달하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외모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더불어 외모를 가꾸기 위한 화장품, 향수 등 제품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 중 향수는 향료를 일정 비율로 알콜 등에 배합시킨 제품으로서, 향기를 발산시키기 위하여 신체의 일부분이나 옷에 뿌려 사용하는 제품이다.
향수의 주요 성분인 향료는 천연 향료와 화학 합성 향료로 구분할 수 있는데, 현재 대부분의 향수 제품은 화학 합성 향료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화학 합성 향료는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친화감을 주지 못하고, 또 향을 오래 지속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첨가제가 알러지 반응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최근에는 식물로부터 얻은 천연 정유를 이용한 향수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최근 향수 제품에 대한 소비 경향이 단순 향의 발산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기능성까지 갖춘 제품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기능성을 가지면서도 우수한 향을 가지는 식물 정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한편 상산나무는 낙엽이 지는 활엽관목으로서 한국에서는 전라도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민간에서는 해열 작용이 있고 학질(말라리아), 두통과 음주로 인한 식욕 부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살선충 활성(한국 공개특허 제2009-0102136호), 항염증 활성(한국 공개특허 제2011-0036317호), 항히스타민 활성(한국 공개특허 제2011-0068923호) 등이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항스트레스 활성을 가지는 상산나무 정유 추출물의 향료로서의 용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산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산나무 가지와 잎으로부터 얻어진 상산나무 정유이 동물실험 및 관능평가를 통하여 항스트레스 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향취도 평가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일 측면에 있어서 상산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 또는 상산나무 잎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향료 조성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능성"은 상산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 또는 상산나무 잎 정유 추출물이 가지는 생리 활성 중 아래의 실험예에서 확인된 항스트레스 활성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항스트레스"는 정신적 스트레스의 완화의 의미로서 심신 안정 유도 효과 및/또는 정신적 스트레스의 의한 피로의 회복 효과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그 유효성분인 상산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 또는 상산나무 잎 정유 추출물을,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구체화되는 제품 형태에 따라 0.000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01 중량% 내지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001 중량% 내지 0.5 중량%의 범위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에서 향료 조성물이 구체화되는 제품 형태는 비누, 화장품, 입욕제 등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바디 로션, 샴푸, 헤어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발한 억제제, 스킨 로션, 스킨 크림, 방취제, 향수(스프레이제 또는 훈증제), 립스틱, 립크림, 입욕제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제품은 혈행 촉진제, 소염제, 보습제, 수렴제, 무기 염, 유기 염, 오일성 성분, 계면활성제, 생약류, 색소, 향료, 황, 탕화(sinter deposit), 살균제 등과 같은 각종 부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메이크업 제품, 스킨 로션, 스킨 크림 등의 화장품 제형의 피부 외용제로 사용되는 경우(이하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가 일반적일 것인데, 이 경우에는 이들 화장품 제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무기 분말 및 유기 분말(예: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수지)을 들 수 있다. 특히 그러한 분말로서는 활석, 견운모, 운모, 카올린, 실리콘 수지, 나일론 등이 우수한 감촉으로 인해 바람직하다. 이들 분말의 평균 입자 크기는 0.1 내지 15㎛, 특히 1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사용시 감촉을 고려할 때, 상기 분말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1 내지 60중량 %, 특히 5 내지 25중량 %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또한 오일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사용시 감촉 면에서 바람직한 오일성 물질에는 아보카도유, 스바키유, 터틀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소맥배아유, 대두유, 조조바유, 땅콩유, 코코아 버터, 라놀린, 액체 파라핀, 스쿠알란, 스쿠알렌, 바셀린,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실리콘 오일 등이 있다. 이러한 오일성 물질의 바람직한 함량 범위는 0.1 내지 20 중량%, 특히 1 내지 10 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알콜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알콜에는 에틸 알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소르비톨 등이 있다. 알콜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시 감촉 면에서, 알콜은,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1 내지 30 중량%, 특히 1 내지 20 중량%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기타 기능성 물질들 예컨대 보습제, 소염제, 미백제, 자외선 흡수제, 살균제, 제한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임의의 제품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로션, 유액, 크림, 분말, 찜질약, 팩, 마사지제, 젤, 페이스트, 스프레이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상산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 또는 상산나무 잎 정유 추출물이 항스트레스 활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입욕제에 혼입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유효성분인 상산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 또는 상산나무 잎 정유 추출물은 입욕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바람직하게는 0.00001 중량 내지 1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0.1 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입욕제에 혼입되어 사용되는 경우 그 입욕제는 목욕물에 0.015 내지 15 ppm의 농도로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
입욕제는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상산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 또는 상산나무 잎 정유 추출물 이외에 무기 염, 유기산, 오일성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무기 염으로서는 염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붕사, 황산나트륨, 황화나트륨, 세스퀴탄산나트륨, 질산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인산나트륨,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염화칼륨, 황화칼륨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무기 염은 입욕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으로 입욕제에 첨가될 수 있다.
유기산으로서는 석신산, 푸마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유기산은 입욕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1 내지 50 중량%의 범위로 입욕제에 첨가될 수 있다.
오일성 성분으로서는 왁스, 탄화수소,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콜, 에스테르, 실리콘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입욕제는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성분들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로서는 (a) 붕산, 메타규산, 규산 무수물과 같은 무기산, (b) 회향풀, 은행, 생강, 감귤 껍질, 쥐오줌풀 뿌리, 박하, 인삼, 귀리 등의 생약재 분말, (c) 콜타르 염료, 클로로필, 리보플라빈, 사프플라워, 안트라퀴논와 같은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확인된 천연 색소, (d)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D, 비타민 E 등의 비타민류, (e) 황, 운모 분말, 백토 분말, 황토 분말, 쌀겨 탄화물, 살균제, 방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입욕제는 과립, 정제, 액제, 산제 등의 임의의 성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상산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 또는 상산나무 잎 정유 추출물이 동물실험과 관능평가 모두에서 항스트레스 활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상산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 또는 상산나무 잎 정유 추출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은 앞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바디 로션, 샴푸, 헤어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발한 억제제, 스킨 로션, 스킨 크림, 방취제, 향수(스프레이제 또는 훈증제), 립스틱, 립크림, 입욕제 등으로 제형될 수 있으며, 특히 스킨 로션 등의 화장품, 향수, 입욕제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항스트레스 활성을 갖는 기능성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향료 조성물은 화장품 제형의 피부 외용제 또는 입욕제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상산나무 가지와 잎으로부터의 정유 추출
<실시예 1> 상산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의 제조
상산나무 가지의 건조 분말과 그 건조 분말 5배 중량의 물을 플라스크에 넣고, 이 플라스크를 증류기에 연결한 상태에서 70~80℃에서 4~8 시간 동안 가열하고, 생성된 기체를 증류기 내부의 냉각관을 통해 냉각시켜 오일 성분이 포함된 액을 획득하였다. 여기서 사용한 증류기는 용매 분리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장치로서, 시료와 용매를 혼합하여 가열할 때 생성되는 기체를 증류기 내부에 있는 냉각관을 통해 액체화시켜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획득한 액을 분별깔대기에 넣고 물층과 오일층으로 분리한 후, 분리한 오일층을 여과하여 최종적으로 오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산나무 잎 정유의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산나무 잎 정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항스트레스 활성 확인 및 향취도 평가
<실험예 1> 항스트레스 활성 확인 실험
<실험예 2-1> 항스트레스 활성 동물실험
상기 각 실시예 추출물의 항스트레스 활성을 동물실험을 통하여 대표적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졸(Cortisol) 분비 억제 효능을 확인하여 평가하였다.
실험동물은 5 주령의 Rat(Wistar)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시작 전까지 물과 사료(AIN-93G)를 충분히 제공하며 5마리씩 분리 사육하여 2주간 시험환경에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시료는 사료에 3%(w/w)의 농도로 혼합하여 자유급식 방법으로 2주간 사육하였고, 스트레스는 구속 우리(cage)를 사용하여 혈액 채취 전 5시간 동안 구속 스트레스를 가하였으며, 그 후 혈액을 채취하여 코르티졸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아래의 [표 1]에서 음성대조군은 비스트레스 대조군이고, 양성대조군은 스트레스 대조군이며, 실험군은 스트레스를 가하기 전 상기 각 실시예의 추출물을 사료에 혼합하여 투여한 군이다.
코르티졸 혈중 농도 변화
구분 혈중 코르티졸의 농도(㎍/dℓ)
음성대조군 5.14±1.26
양성대조군 43.42±7.63
<실시예 1>의 정유 추출물 26.74±5.94
<실시예 2>의 정유 추출물 21.92±8.03
상기 [표 1]의 결과는 상기 각 실시예의 정유 추출물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졸의 혈중 농도를 저하시킴을 보여준다.
<실험예 2-2> 항스트레스 활성 관능평가
상기 각 실시예에서 제조된 정유 추출물의 항스트레스 효과를 관능평가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관능평가는 15세 이상 40세 이하의 총 50명의 관능평가 요원을 2그룹으로 나누고, 1주일 동안 1일 1회씩 자신이 거주하는 공간에 상기 각 실시예의 정유 추출물을 분무시킨 후에 향기 요법에 의하여 스트레스 완화 효과(심신 안정 여부)를 설문 조사 방식으로 평가하여 이루어졌다.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항스트레스 관능평가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효과 있음 21 18
그저 그렇다 4 4
효과 없음 0 3
합계 25 25
상기 [표 2]의 결과는 <실시예 1>의 정유 추출물의 25명 중 21명이 효과있다고 응답하였고 <실시예 2>의 정유 추출물의 경우 25명 18명이 효과있다고 응답하여 상기 <실험예 1-1>의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실험예 3> 향취도 평가 관능 시험
<실시예 1>의 정유 추출물 및 <실시예 2>의 정유 추출물에 대해서 관능평가 요원 50명을 2그룹으로 나누고 손 등에 2방울 떨어뜨리고 발산된 향에 대해서 아래의 기준에 따라 향의 강도, 상쾌한 정도 및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고 결과를 평균값으로 하여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향의 강도>
5점: 매우 강하다.
4점: 강하다.
3점: 보통이다.
2점: 약하다.
1점: 매우 약하다.
<상쾌한 정도>
5점: 매우 강하다.
4점: 강하다.
3점: 보통이다.
2점: 약하다.
1점: 매우 약하다.
<만족도>
5점: 매우 만족한다.
4점: 만족한다.
3점: 보통이다.
2점: 나쁘다.
1점: 매우 나쁘다.
향취도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
구분 향의 강도 상쾌한 정도 만족도
<실시예 1>의 정유 추출물 3.68 4.20 4.36
<실시예 2>의 정유 추출물 3.76 4.12 4.32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조하여 보면, 향의 강도는 두 가지 정유 추출물 모두 보통과 강함의 중간 정도로 평가되었으며, 상쾌한 정도와 만족도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어 상기 항스트레스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에 대체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Claims (6)

  1. 상산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 또는 상산나무 잎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은 항스트레스 활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입욕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향수 조성물이고 그 향수 조성물은 스프레이제 제형 또는 훈증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향료 조성물.
  6. 상산나무 가지 정유 추출물 또는 상산나무 잎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1020120096321A 2012-08-31 2012-08-31 상산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 KR201400299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321A KR20140029918A (ko) 2012-08-31 2012-08-31 상산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321A KR20140029918A (ko) 2012-08-31 2012-08-31 상산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918A true KR20140029918A (ko) 2014-03-11

Family

ID=5064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321A KR20140029918A (ko) 2012-08-31 2012-08-31 상산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99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778B1 (ko)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비누
JP6921440B2 (ja) アザミ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メラニン生成促進用組成物
RU2735917C2 (ru) Композиция
US20140248370A1 (en) Enhancement Composition
WO2008140665A2 (en) Cosmetic composition
KR101723845B1 (ko) 천연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천연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09155227A (ja) 生体組織修復促進薬剤
CN107519046A (zh) 一种防脱固发生发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434449B1 (ko) 비자나무 잎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항스트레스성 천연 항료 조성물
CN108721193A (zh) 一种可食用保健口红
TWI554287B (zh) A deodorant containing a polyol
CN109310724A (zh) 一种用于皮肤和/或头发护理和/或治疗的组合物
JP6359850B2 (ja) 抗糖化剤
CN105853272A (zh) 一种护肤卸妆水
RO120171B1 (ro) Produse cosmetice şi pentru igienă, procedeu de obţinere şi procedeu de aplicare a acestora
RU2180214C1 (ru) Крем-скраб
CN105012184A (zh) 一种用于调理角质肌肤的化妆品组合物
JP2004217583A (ja) 痩身用皮膚外用剤
KR20140029918A (ko) 상산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향료 조성물
Jadhav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liquid shampoo
JP6175216B2 (ja) 関節炎の予防・治療剤
CN105726360A (zh) 一种卸妆液及其制备方法
KR20190023860A (ko) 특정 배합비를 갖는 천연 오일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US20190282490A1 (en) Nopal Cactus infused Natural Deodorant
KR20040080007A (ko) 핵산을 함유하는 미용비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