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897A -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 Google Patents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897A
KR20140029897A KR1020120096110A KR20120096110A KR20140029897A KR 20140029897 A KR20140029897 A KR 20140029897A KR 1020120096110 A KR1020120096110 A KR 1020120096110A KR 20120096110 A KR20120096110 A KR 20120096110A KR 20140029897 A KR20140029897 A KR 20140029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arrageenan
lambda carrageenan
hydrogel
hydroge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봉세
추예원
정성호
Original Assignee
추봉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봉세 filed Critical 추봉세
Priority to KR1020120096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9897A/ko
Publication of KR20140029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람다 카라기난을 이용하여 밀착력이 우수한 하이드로겔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처방상의 람다 카라기난을 사용하여 밀착력이 우수한 하이드로겔을 개발하여 얼굴 전용패치 및 부분패치용으로 응용할 수 있는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람다 카라기난으로 0.05~5.0중량%, 겔화고분자인 한천, 카파 카라기난, 아이오타 카라기난, 로거스트빈검, 겔란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 0.5wt% 내지 5.0wt%, 생선 돔 비늘에서 추출한 해양성 콜라겐 물질 0.5~10.0중량%, 보습제인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5.0wt% 내지 20.0wt%, 겔 강도를 조절하는 1가 양이온 물질인 포타슘 알지네이트, 포타슘 클로라이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 0.04~1.0중량%, 금속이온 봉쇄제인 디소듐이디티에이 물질 0.02~0.1중량%, 가용화제인 폴리소르베이트 20 물질인 0.1~1.0중량%, 조합향료 물질 0.02~0.5중량%, 보존제인 메칠파라벤, 페녹시에탄올 물질 0.2~0.6중량%, 정제수 56.8~93.57중량%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HIGH ADHESIVE HYDROGEL COMPOSITION CONTAINING LAMBDA CARRAGEENAN}
본 발명은 람다 카라기난을 이용하여 밀착력이 우수한 하이드로겔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처방상의 람다 카라기난을 사용하여 밀착력이 우수한 하이드로겔을 개발하여 얼굴 전용패치 및 부분패치용으로 응용할 수 있는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카라기난은 수십년 동안 유용한 식품 성분으로서 알려져 있다. 염(salt) 과 당(sugar)은 단순하게 식품 성분으로 사용되어지나, 카라기난은 기술적으로 다소 복잡한 정제과정 및 합성과정을 거쳐 시장에서 구입할 수 있는 상태로 여러 가격대로 상이하게 수 십종으로 판매되고 있다. 홍조강(Rhodophyceae : 일명 홍조류)에 속하는 돌가사리과(Gigartinaceae), 솔리에리아과(Solieriaceae), 부챗살과(Phyllophoraceae), 및 가시우무과(Hypneaceae)등의 천연 해조류 계통으로부터 수성 추출하여 카라기난을 얻는다. 카라기난의 세가지 주요 형태는 이오타, 카파, 람다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람다 및 카파 카라기난은 통상 동일한 식물(plant)에서는 함께 생겨나지 않지만, 다양한 종을 함께 수확함으로, 추출은 통상 카파 및 람다의 혼합물을 평균 카파 약 70%, 람다 약 30%의 비율로 수득한다. 유체마 스피노섬(Euchema Spinosum)은 추출물로서 또는 가공한 해초로서 이오타-카라기난을 생산하는 해조류원이다. 해조류는 통상 해초 형태와 모래, 염, 돌 및 습도의 함량을 토대로 하여 판매되며, 기능성 규격(specification)을 토대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카라기난 제조업자들은 바람직한 규격을 얻기 위해 임의의 공정 조정이 필요한지 어떤지 알아보기 위하여 각 해조류 선저을 시험하고 추출 가능한 카라기난의 품질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카라기난은 표준화 카라기난 또는 비 표준화 카라기난으로서 시장에서 입수 가능하다. 바람직한 규격에 도달하기 위하여 상이한 순수 카라기난 배치(batch)를 블렌딩 하거나(교차 블렌딩) 또는 하나 이상의 카라기난 배치를 염류(KCl, NaCl 및 CaCl2) 및 당류(사카롯스, 덱스트로스, 말토덱스트린, 락토스)등의 기타 성분과 함께 블렌딩 하여 표준화를 이룬다.
카라기난은 1,4-알파-D-링키지(linkage) 뿐 아니라 1,3-베타-링키지에 의해 연결된 갈락토스 단위로 이루어진 교대 단위(alternating unit)의 당 골격을 가진 선형 폴리사카라이드라는 일반 구조적 특징의 수용성 검이다. 이오타, 카파, 람다의 기본성질은 에스테르 설페이트기의 개수 및 위치의 형태에 따라 나뉘어 진다. 이오타-카라기난은 대략적으로 32중량%의 에스테르 설페이트 및 30중량%의 3,6 무수-(anhydro)-D-갈락토스를 함유한다. 대조적으로, 카파-카라기난은 32중량%의 에스테르 설페이트 및 35중량%의 3,6무수-D-갈락토스를 함유한다. 분자량은 100,00 내지 500,000 Dalton의 범위이다.
하이드로 겔은 상처 또는 병변용 드레싱,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로서 사용되어지는데 이때는 친수성-흡습성 중합체의 건조된 하이드로겔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합체성 탄수화물의 동결 건조된 하이드로 겔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 처럼 하이드로 겔은 그동안 주로 생체 약물 전달 체계 또는 피부의 상처 치유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졌으나, 최근에는 이를 화장품에 응용한 하이드로 겔이 개발되는 추세이다.
카라기난 중 겔화 상태의 카라기난(카파 또는 이오타)은 비-겔화 전구첼서 생(生) 해초에 의하여 생합성된 다음, 3,6-무수갈락토스 링의 생성을 촉매화하는 효소인 덱킨카제(dekinkase)의 작용에 의하여 겔화 형태가 된다. 이오타-카라기난은 단지 유체마 스피노섬(Euchema Spinosum)으로부터 생산되며, 칼슘 이온(Ca++) 과 가장 강력한 겔을 생성한다.
상처치유 등의 목적으로 개발되는 하이드로 겔은 추가의 외상, 치유 과정을 늦추는 환경적요인 또는 이들 모두로부터 상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주로 다당류인 글루코만난 및 갈락토만난등을 포함하는 만난을 사용하는데, 이는 식물성 검 형태의 갈락토만난은 식품 조직의 조절을 위해 결합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몇 가지 만난은 상당한 치료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화장품 등에 사용되는 하이드로 겔은 스킨 케어, 피부미용, 피부 치료 등의 분야에 적용하고 있다. 주로 가지형 겔화 고분자, 전해형 고분자 등을 적절히 섞어 제품의 형태에 맞게 개발한다. 이는 친화성이 큰 하이드로 겔로서 피부로 약물의 전달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지형 겔화 고분자로서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구아껌, 로카스트 빈 껌 및 플루로닉등이며, 전해형 겔화 고분자로서는 아가, 알긴, 카라기난, 잔탄 및 겔란 등을 사용한다. 이들은 적절한 온도에서 배합과 보습제등의 성분을 추가로 배합하여 피부의 친밀도, 미용 효과 등을 높일 수 있다.
화장품의 하이드로 겔에 사용되는 이와 같은 고분자 즉, 검류 등은 식물이나 미생물에 존재하는 고무질 물질, 식물이나 미생물에서 분비되는 고무질 물질들과 점액 물질들로 외관상의 점도가 크며, 특유한 성질을 가진 다당류를 말한다. 검은 구조적으로 친수(극성) 또는 소수성(비극성)의 고분자 중량을 가지는 분자들이며 보통 콜로이드 특성을 나타내며 적당한 용매의 사용하에서 낮은 농도에서도 겔을 형성하거나 고점도 분산액 또는 용액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 검이라고하면 냉수 또는 열수에서 분산하여 점성이 있는 용액을 만드는 식물 또는 미생물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를 말한다. 그 종류로는 식물 조직의 고무질 물질(Plant exudate gums), 해조에서 삼출된 고무질 물질(Seaweed gums), 식물 종자에서 삼출된 고무질 물질(Seed gums), 전분 및 셀룰로스 유도체(Starch and cellulose dervaties), 미생물 유래 고무질 물질(Microbial gums)등으로 나눌 수 있다.
카라기난은 600년전 County Carragheen 남 IRELAND 해변의 주민들이 Irish moss 를 추출한 것을 시작으로 1837~1871년 당시의 irish moss 의 분리 정제에 관한 특허 문언에서 carrageen 또는 carrageenan 이라는 말이 처음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오늘날 카라기난은 식품에서 치약, 공기청향제, 공업서스펜션까지 수백가지 제품에 쓰인다. 홍조류(red seaweed)에서 만들어지는 카라기난은 β-1,3 결합으로 연결된 β-D-galactose와 α-1,4 결합으로 연결된 α-D-galactose를 반복 단위로 하는 galactan 류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자연상태와는 달리 상업적 목적을 위하여 알칼리 처리가 필요하며, 알칼리 처리에 따라 카파(Kappa-type)타입, 로타타입(lota-type), 람다타입(Lambda-type)등으로 구조적인 변화의 차이가 나타난다. 카파 카라기난은 단단한 겔을 형성하고 람다 카라기난은 겔을 형성하지 못하며 로타카라기난은 바나고체의 젤라틴과 유사한 겔(semi-gel)을 형성한다.
로거스트 빈 검(Locust bean gum)은 스페인, 이태리, 모로코, 터키, 포르투갈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다년생 콩과 식물(Ceratonia siliqua, carob tree, ever green tree)의 종자에서 얻어지는 다당류로서 열매의 배유 부분을 분쇄하거나 LBG 분말을 물에 녹여 용해하고, 여과 후 그의 다당류를 알코올 류의 침전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구조는 갈락토만난으로 {만노스 4 unit당 갈락토스 1unit}되어 있다. 분자량이 약 31만의 백색 또는 약간의 황갈색의 분말, 과립상으로 되어 있다. 냉수에는 잘 녹지 않고 약 80℃ 에서 잘 녹고 점액질 상태가 된다. Ph 3.5~9.0에서 점도가 잘 형성되며 염, 마그네슘, 무기산 또는 산화제에 의해 점도가 떨어진다. 카라기난 또는 산탄검과 혼용하여 사용하였을 때에 탄력있는 겔을 형성한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한천이나 카라기난 그리고 로거비스트 검등과 보습제, pH조절제, 금속이온봉쇄제등을 혼합하고 적절한 1가 내지 2가 양이온을 이용하여 겔화시켜 사용한다.
이처럼 하이드로 겔 조성물은 많은 양의 용매(물을 포함한 수용성 물질의 용매들)를 흡착(흡수)했다가 배출하는 특성 즉, 이수(離水)현상(water release)이 제각기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이수현상으로 인해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밀착력은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글리세린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다량의 글리세린을 사용하게 되어 사용시 글리세린으로 인한 끈적임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밀착력이 얼마나 개선되었는지에 대한 정확한 결과를 수치로 나타낸 것은 없다.
화장품 시장에서 최근에는 밀착력이 우수한 하이드로겔 제품을 요구하고 있다.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여러가지 다른 수용성 원료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밀착력의 평가방식이 수치로 나타내지 못하였으며, 필요없이 많은 수용성 원료를 첨가함으로 인해 불필요한 사용 이질감이 나타나기도 한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이드로겔의 밀착력을 높히기 위해서는 그 제조 특성상 고온에서 오랜 시간 동안에 경도를 유지해 줄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것에 있다.
하이드로겔의 밀착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확인하기 위해서 검류의 함량과 혼합배율에 따라 하이드로겔 제형을 만든 다음 이에 밀착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원료들을 대상으로 실험하면서 고밀착성을 가지면서 하이드로겔의 고유 특성의 변함이 없는 하이드로겔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람다 카라기난, 겔화고분자인 한천, 카파 카라기난, 아이오타 카라기난, 로거스트빈검, 겔란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 생선 돔 비늘에서 추출한 해양성 콜라겐 물질, 보습제인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 겔 강도를 조절하는 1가 양이온 물질인 포타슘 알지네이트, 포타슘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 금속이온 봉쇄제인 디소듐이디티에이 물질, 가용화제인 폴리소르베이트 20 물질, 조합향료 물질, 보존제인 메칠파라벤 또는 페녹시에탄올 물질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람다 카라기난은 0.05~5.0중량%이고, 상기 겔화고분자는 0.5wt% 내지 5.0wt%, 상기 콜라겐 물질은 0.5~10.0중량%, 상기 보습제는 5.0wt% 내지 20.0wt%, 상기 겔 강도를 조절하는 1가 양이온 물질은 0.04~1.0중량%, 상기 금속이온 봉쇄제는 0.02~0.1중량%, 상기 가용화제는 0.1~1.0중량%, 상기 조합향료는 0.02~0.5중량%, 상기 보존제는 0.2~0.6중량% 및 상기 정제수는 56.8~93.57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얼굴 마스크 미용팩, 눈 미용팩, 코 미용팩, 입술 미용팩 또는 얼굴의 볼 미용팩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미용팩은 지지체가 없는 하이드로겔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사용된 람다 카라기난의 경우 그 함량에 따라 하이드로겔의 밀착력에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고, 고온의 제조공정상 시간 경과에 따라서도 밀착력이 일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겔의 밀착력에 효과를 나타내는데에 있어서 람다 카라기난이 매우 우수한 소재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하이드로겔은 하이드로겔 얼굴 마스크 및 눈가, 볼, 이마 또는 입술 부분 등의 부분패치 분야에서도 밀착력이 우수한 하이드로겔 패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밀착력 실험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밀착력과 경시 변화 관계를 나타낸 실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성분, 성분비에 따른 실험예 및 그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하이드로겔 겔 제형은 람다 카라기난을 접목시킨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제조한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조성물은 람다 카라기난으로 0.05~5.0중량%, 겔화고분자인 한천, 카파 카라기난, 아이오타 카라기난, 로거스트빈검, 겔란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 0.5wt% 내지 5.0wt%, 생선 돔 비늘에서 추출한 해양성 콜라겐 물질 0.5~10.0중량%, 보습제인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5.0wt% 내지 20.0wt%, 겔 강도를 조절하는 1가 양이온 물질인 포타슘 알지네이트, 포타슘 클로라이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 0.04~1.0중량%, 금속이온 봉쇄제인 디소듐이디티에이 물질 0.02~0.1중량%, 가용화제인 폴리소르베이트 20 물질인 0.1~1.0중량%, 조합향료 물질 0.02~0.5중량%, 보존제인 메칠파라벤, 페녹시에탄올 물질 0.2~0.6중량%, 정제수 56.8~93.57중량%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조성물 중에서 검류인 한천, 카파 카라기난, 아이오타 카라기난, 로거스트 빈 검, 겔란검등은 그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에서 0.5wt 내지 5wt% 이며, 이는 총 배합함량 기준에서 그 함량이 0.5wt% 미만일 경우 겔의 경도가 나타나지 않으며, 그 함량이 3wt% 이상의 경우 겔의 경도가 너무 높아 상품적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그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에서 0.5wt 내지 5wt%로 설정된다.
상술한 조성물 중에서 보습제인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의 경우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에서 그 함량이 5wt% 내지 20wt% 이며, 이는 총 배합량 기준에서 그 함량이 5wt%미만일 경우 겔 마스크가 얼굴에 부착될 때에 쉽게 떨어지는 즉, 밀착력이 떨어지고, 그 함량이 20wt% 이상일 경우 겔 마스크 사용 후의 얼굴에 끈적임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하이드로 겔의 밀착력 및 끈적임을 고려하여 총 중량 기준에서 그 함량이 5wt% 내지 20wt%가 타당하다.
상술한 조성물 중에서 킬레이트제인 디소듐이디티에이 0.02wt% 내지 0.1wt%, 겔화 고분자인 셀룰로오스 검 0.1wt% 내지 0.5wt%, 1가 양이온 물질인 포타슘 알지네이트, 포타슘 클로라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 0.01wt% 내지 0.1wt%는 제품의 안정성과 제품 경도에 영향을 준다.
상술한 조성물 중에서 방부제인 메칠파라벤, 페녹시에탄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0.2wt% 내지 0.6wt%, 가용화제인 폴리소르베이트 20 으로 0.05wt%, 조합향료 0.02wt% 내지 0.1wt%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미생물에 의한 외부 오염으로부터 막아주며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인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겔의 밀착력이 매우 우수한 하이드로겔로서 적절한 혼합과 적합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람다 카라기난을 혼합 처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밀착력의 주원료로 람다 카라기난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은 기존의 망사 타입의 하이드로겔과는 매우 차별화된다. 우선, 하이드로겔의 지지체 역할을 하는 망사가 없기 때문에 겔 자체로 탄력과 강도를 유지해 줌과 동시에 겔 자체로만 패치제형을 만들기 위해 본 출원인이 자체적으로 처방을 개발하여 충진시 온도 80~90도 사이에서 겔 내용물을 매우 유동성 있게 유지함과 동시에 냉각시 겔의 탄성도가 나타나도록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아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5개의 샘플을 제작하여 각각의 샘플을 통한 밀착력 실험을 행한다.
5개의 샘플은 기본적으로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지지체 역할을 하는 망사가 없이 겔 자체로 탄력과 강도를 유지해주는 패치형태로 제작되며, 각각의 성분은 동일하지만 밀착력 실험을 위해 람다 카라기난 성분 비율만을 달리하게 된다.
하기 [표 1]에서 나타낸 5가지 처방으로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만든다.
Figure pat00001
위 [표 1]에서와 같이 Sample.No.A1 ~ Sample.No.A5 까지 총 5가지 처방을 이용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만들었다.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A, B상을 차례로 HOMO 믹서용 가마에 투입, 실온에서부터 교반하여 약 80℃~90℃ 까지 서서히 교반하여 온도를 올려 충분히 교반하여 분산시킨다.
충분히 분산 확인 후 실온하에 C상을 교반한 후에 믹서용 가마에 투입, 서서히 교반하여 분산시키다.
충분히 분산 확인 후 D상을 믹서용 가마에 투입, 서서히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용해 확인 후 E, F상을 차례로 투입, 교반하여 준다.
약 5~10분 교반한 후에 코팅기기를 이용하여 일정두께의 하이드로겔을 만들어 약 30℃까지 냉각하여 겔화된 하이드로겔을 만들었다.
하이드로겔 면적을 가로 5cm, 세로 3cm로 하고 평균 무게는 10g으로 하여 코팅된 하이드로겔을 잘라낸 다음 이에 대한 밀착력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밀착력 실험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표 1]의 처방에 따른 5가지 샘플의 하이드로겔을 만들고 이를 경사진 유리면에 부착시키어 경시 변화에 따른 밀착력을 측정한 결과 람다 카라기난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겔의 밀착력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조하면, Sample No.A1의 경우 밀착력이 현저히 감소하다가 약 30분 경부터는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Sample No.A2 및 Sample No.A3는 15분 경과시 Sample No.A4 및 Sample No.A5에 비해 밀착력이 떨어지나, 람다 카라기난이 들어가지 않은 Sample No.A1에 비해 밀착력의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5개의 시료는 15분 내지 30분이 경과할 때까지는 급한 경사를 이루며 밀착력이 감소하면서, 30분 경과후 부터는 대부분 완만한 경사로 60분이 경과할 때까지 밀착력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Sample No.A1의 경우는 15분에서 30분 경과시까지 급경사를 이루며 밀착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그 이후로는 완만한 곡선을 유지하면서 밀리는 것을 알 수 있다.
Sample No.A2의 경우는 Sample No.A1과 마찬가지의 패턴을 그리고 있는데, 다만 밀착력에 있어서는 Sample No.A1에 비해 13 내지 20% 정도의 밀착력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Sample No.A3의 경우도 Sample No.A1과 마찬가지의 패턴을 그리고 있는데, 다만 밀착력에 있어서는 Sample No.A1에 비해 30 내지 45% 정도, Sample No.A2에 비해 12.5 내지 25% 정도의 밀착력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Sample No.A4의 경우는 밀착력에 있어서 Sample No.A1에 비해 60 내지 65% 정도, Sample No.A2에 비해 50 내지 60% 정도, Sample No.A3에 비해 43 내지 45% 정도의 밀착력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Sample No.A5의 경우는 밀착력에 있어서 Sample No.A1에 비해 85% 정도, Sample No.A2에 비해 75 내지 80% 정도, Sample No.A3에 비해 65 내지 75% 정도, Sample No.A4에 비해 60 내지 75% 정도의 밀착력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람다 카라기난은 단단한 겔을 형상하지 못하지만 겔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카라기난 및 로거스트빈검 및 한천의 겔 조직에 람다의 에스테르 설페이트기의 개수 및 위치의 형태가 겔조직에 영향을 미쳐 겔의 밀착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다.
위와 같이 밀착력 실험을 도 2 내지 도 6의 실험 사진을 보면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밀착력과 경시 변화 관계를 나타낸 실험 사진이다.
도 2는 Sample No.A1에 대한 경시변화에 따른 밀착력을 보인 사진이며, 도 3은 Sample No.A2에 대한 경시변화에 따른 밀착력을 보인 사진이고, 도 4는 Sample No.A3에 대한 경시변화에 따른 밀착력을 보인 사진이며, 도 5는 Sample No.A4에 대한 경시변화에 따른 밀착력을 보인 사진이고, 도 6은 Sample No.A5에 대한 경시변화에 따른 밀착력을 보인 사진이다.
각각의 사진속에 눈금은 실제 한칸이 1cm인 모눈 종이에 유리판을 붙인 상태에서 최초 같은 0cm 위치에서 15분 경과시 마다 촬영된 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6의 결과는 도 1에 도시된 그래프와 그 결과치가 일치한다.
즉, 5개의 시료는 15분 내지 30분이 경과할 때까지는 급하게 밀리는 현상을 보이고(밀착력의 급격 감소), 30분 경과후부터는 대부분 완만하게 밀리는 현상을 보이며 60분이 경과할 때까지 밀착력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Sample No.A2는 Sample No.A1에 비해 13 내지 20% 정도의 밀착력 개선, Sample No.A3는 Sample No.A2에 비해 12.5 내지 25% 정도의 밀착력 개선, Sample No.A4는 Sample No.A3에 비해 43 내지 45% 정도의 밀착력 개선, Sample No.A5는 Sample No.A4에 비해 60 내지 75% 정도의 밀착력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밀착력 개선 효과를 단순한 수치로 계산하여 백분율로 표현한 것은 이론적인 수치로서 활용이 가능하며, 단지 그 밀착력의 백분율에 큰 의미를 두기 보다는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람다 카라기난을 얼마나 함유시키는 지에 따라 확연하게 차이가 있음은 명백함을 알 수 있는 실험이다. 즉, 람다 카라기난은 단단한 겔을 형상하지 못하지만 겔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카라기난 및 로거스트빈검 및 한천의 겔 조직에 람다의 에스테르 설페이트기의 개수 및 위치의 형태가 겔조직에 영향을 미쳐 겔의 밀착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사용된 람다 카라기난의 경우 그 함량에 따라 하이드로겔의 밀착력에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고, 고온의 제조공정상 시간 경과에 따라서도 밀착력이 일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하이드로겔의 밀착력에 효과를 나타내는데에 있어서 람다 카라기난이 매우 우수한 소재임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 얼굴 마스크 및 눈가 또는 볼, 이마, 입술 부분등의 부분패치 분야에서도 밀착력이 우수한 하이드로겔을 만들 수 있는 매우 우수한 소재임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람다 카라기난, 겔화고분자인 한천, 카파 카라기난, 아이오타 카라기난, 로거스트빈검, 겔란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 생선 돔 비늘에서 추출한 해양성 콜라겐 물질, 보습제인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 겔 강도를 조절하는 1가 양이온 물질인 포타슘 알지네이트, 포타슘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 금속이온 봉쇄제인 디소듐이디티에이 물질, 가용화제인 폴리소르베이트 20 물질, 조합향료 물질, 보존제인 메칠파라벤 또는 페녹시에탄올 물질 및 정제수로 이루어지는,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람다 카라기난은 0.05~5.0중량%이고, 상기 겔화고분자는 0.5wt% 내지 5.0wt%, 상기 콜라겐 물질은 0.5~10.0중량%, 상기 보습제는 5.0wt% 내지 20.0wt%, 상기 겔 강도를 조절하는 1가 양이온 물질은 0.04~1.0중량%, 상기 금속이온 봉쇄제는 0.02~0.1중량%, 상기 가용화제는 0.1~1.0중량%, 상기 조합향료는 0.02~0.5중량%, 상기 보존제는 0.2~0.6중량% 및 상기 정제수는 56.8~93.57중량%로 이루어지는,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얼굴 마스크 미용팩, 눈 미용팩, 코 미용팩, 입술 미용팩 또는 얼굴의 볼 미용팩으로 활용되는,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KR1020120096110A 2012-08-31 2012-08-31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KR20140029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110A KR20140029897A (ko) 2012-08-31 2012-08-31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110A KR20140029897A (ko) 2012-08-31 2012-08-31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897A true KR20140029897A (ko) 2014-03-11

Family

ID=5064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110A KR20140029897A (ko) 2012-08-31 2012-08-31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98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311B1 (ko) * 2016-11-03 2017-04-10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초음파 검사용 수용성 하이드로겔 패드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패드 제조방법
KR102159522B1 (ko) * 2019-03-22 2020-09-24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고분자를 이용한 고탄력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286296B1 (ko) * 2020-12-23 2021-08-05 (주)진코스텍 인시츄로 합성된 캡슐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패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311B1 (ko) * 2016-11-03 2017-04-10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초음파 검사용 수용성 하이드로겔 패드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패드 제조방법
KR102159522B1 (ko) * 2019-03-22 2020-09-24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고분자를 이용한 고탄력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286296B1 (ko) * 2020-12-23 2021-08-05 (주)진코스텍 인시츄로 합성된 캡슐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패치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snain et al. Natural polysaccharides in drug delivery and biomedical applications
Dabestani et al. Persian gum: A comprehensive review on its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DE602005002406T2 (de) N-methyl-amide-Derivate von Carboxymethylcellulose, Alginsäure oder Carboxymethylstärke
KR101582660B1 (ko) 방사선을 이용한 콜라겐 함유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제조
Kandar et al. Natural polymers as useful pharmaceutical excipients
US20090317437A1 (en) Cellulose gel formulations
Anurova et al. Review of contemporary gel-forming agents in the technology of dosage forms
Mukherjee et al. Food industry applications of Tara gum and its modified forms
KR20130035362A (ko) 이수 특성에 따른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하이드로 겔 조성물
KR20160146259A (ko) 바이오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EP2841461B1 (en) Gel-like mass comprising natural or synthetic polymer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gel-like mass
Madni et al. Preparation and applications of guar gum composites in biomedical, pharmaceutical, food, and cosmetics industries
KR20140029897A (ko) 람다 카라기난을 함유한 고밀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KR101902272B1 (ko) 피부 온도에 감응하여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Adikwu et al. Biopolymers in drug delivery: recent advances and challenges
KR20130134423A (ko) 칼슘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불투명 하이드로겔 미용팩 조성물
Yenagolla et al. Natural polymers and its applications-a review
Amini Balangu (Lallemantia royleana) seed gum
JP2022081439A (ja) 離水パターン調節充填液を含むハイドロゲルパ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350224A (zh) 一种化妆品用仿真鱼子颗粒及其制备方法
JP6512560B2 (ja) 水溶性ヒアルロン酸ゲ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626712A (zh) 用于护肤品的具有功能性成分的多糖和蛋白质纳米纤维基质
CN107190506A (zh) 蚕丝蛋白整理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612557B1 (en) Lyophilic colloids
CN113712935B (zh) 一种改性植物胶软胶囊囊壳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