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784A -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784A
KR20140029784A KR1020120095436A KR20120095436A KR20140029784A KR 20140029784 A KR20140029784 A KR 20140029784A KR 1020120095436 A KR1020120095436 A KR 1020120095436A KR 20120095436 A KR20120095436 A KR 20120095436A KR 20140029784 A KR20140029784 A KR 20140029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mouthpiece
light source
source array
inser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5669B1 (ko
Inventor
홍기태
홍지인
Original Assignee
메디럭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럭스(주) filed Critical 메디럭스(주)
Priority to KR1020120095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669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6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61N2005/0663Coloured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의 치열(齒列)을 기준으로 치열 안쪽의 제1 내벽부 및 치열 바깥쪽의 제1 외벽부 그리고 상기 제1 내벽부와 제1 외벽부를 연결하는 제1 기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내벽부와 제1 외벽부 및 제1 기저부의 사이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투명 재질의 제1 마우스피스 부재 형성단계와, 상기 제1 마우스피스 부재의 상기 삽입공간 내측에서 상기 제1 내벽부 및 제1 외벽부 그리고 제1 기저부와 각각 접하는 제2 내벽부와 제2 외벽부 및 제2 기저부를 포함하여 상기 삽입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내벽부와 제2 외벽부 및 제2 기저부의 사이에 치아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투명 재질의 제2 마우스피스 부재 형성단계와, 상기 제1 마우스피스 부재의 제1 내벽부 및 제1 외벽부를 따라 복수의 발광소자가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단계와, 상기 제1 마우스피스 부재의 삽입공간에 상기 제2 마우스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제1 내벽부와 제2 외벽부 및 제1 기저부의 내면에 상기 제2 내벽부와 제2 외벽부 및 제2 기저부의 외면이 밀착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mouthpice for optical cure}
본 발명은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강 내의 치열(齒列)을 기준으로 치열의 안쪽에서 치열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발광소자 및 치열 바깥쪽에서 치열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발광소자를 통해 치열의 모든 치아 및 각 치아의 전체 면에 비교적 균일한 세기의 광을 조사할 수 있고 또한 발광소자의 전체나 일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광 치료용 마우스 피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용 분야에서 치아 미백은 오랜 세월 동안 인간의 관심 대상이었으며, 최근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미용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추세에 맞춰 치아 미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즉, 사람의 치아는 약물, 선천적 요인, 담배, 음식의 색소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본래 색깔로부터 변질되어 누렇거나 검게 변하며, 따라서 이렇게 변색된 치아를 다시 본래의 하얀 상태로 되돌리는 것은 미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다시 말해 통상 사람의 하얀 치아는 상대방에게 깨끗한 이미지를 주는 동시에 본인 스스로도 자신의 외모에 대해 더 만족감을 느끼게 한다.
이와 같은 치아 미백의 초기 형태는 치약에 치아 미백제를 소량 함유시켜 이를 통한 양치 시 칫솔질을 통해 미백 기능이 얻어지는 매우 단순한 형태였고, 이는 치약의 본래 기능 유지를 위해 미백제의 량이 매우 적음에 따라 치아 표면에 침착된 착색성분 등을 잘 제거하지 못하는 기능적 한계를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보다 효과적인 치아 미백을 위해 치과에서 미백제 패드나 레이저를 이용하는 전문적인 시술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발광형 치아 미백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상기 발광형 치아 미백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발광형 치아 미백장치는 광 활성제를 함유한 미백제를 치아에 도포 후 그 위에 광을 조사하여 광 활성제를 통해 미백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활성화 된 미백제를 통해 치아에 미백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발광형 치아 미백장치의 일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발광형 치아 미백장치(10)는 케이스(11) 및 케이스(11)에 내장되는 발광유닛(도시 생략) 그리고 마우스 피스(13)와 투명 패킹부(1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발광형 치아 미백장치(10)는 마우스 피스에 광 활성제 및 미백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치아에 착용되고, 이어서 케이스 내의 발광유닛이 동작되면, 발광유닛에서 방출되는 광이 투명 패킹부를 통해 마우스 피스의 광 활성제에 투과되면서 활성화된 광 활성제를 통해 미백제가 활성화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발광형 치아 미백장치는 치아를 기준으로 전방의 한 지점에서 하나 또는 소수의 광원을 통해 마우스 피스 전체를 조명하는 형태이므로, 광원의 광이 마우스 피스의 모든 부위를 동일 세기로 조명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마우스 피스의 부분 별로 현저히 다른 세기로 조명하게 된다. 예를 들어 치아의 앞니와 대응되는 마우스 피스 영역에는 비교적 강한 세기로 광이 조명되는 반면에, 구강 안쪽의 어금니 등에 대응되는 마우스 피스 영역에는 매우 약한 세기로 광이 조명된다.
그리고 이는 마우스 피스에 도포된 전체 광 활성제의 활성 정도가 균일하지 못하고, 따라서 마우스 피스에 도포된 전체 미백제의 활성 정도가 균일하지 못하면서 전체 치아에 동일한 강도의 미백 작용이 제공되는 못하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73379호 『치아 미백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0632802호 『치주질환 치료 및 예방용 마우스피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구강 내의 치열(齒列)을 기준으로 치열의 안쪽에서 치열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발광소자 및 치열 바깥쪽에서 치열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발광소자를 통해 치열의 모든 치아 및 각 치아의 전체 면에 비교적 균일한 세기의 광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치열의 모든 치아에 미백 및 광 치료 기능을 비교적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광 치료용 마우스 피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우스피스의 내측에 매립 상태로 설치된 발광소자의 전체나 일부를 마우스피스의 재조립 가능한 분해를 통해 새것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교체 후 기존 발광소자 및 마우스피스는 그 재조립을 통해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광 치료용 마우스 피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은, 구강의 치열(齒列)을 기준으로 치열 안쪽의 제1 내벽부 및 치열 바깥쪽의 제1 외벽부 그리고 상기 제1 내벽부와 제1 외벽부를 연결하는 제1 기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내벽부와 제1 외벽부 및 제1 기저부의 사이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투명 재질의 제1 마우스피스 부재 형성단계와, 상기 제1 마우스피스 부재의 상기 삽입공간 내측에서 상기 제1 내벽부 및 제1 외벽부 그리고 제1 기저부와 각각 접하는 제2 내벽부와 제2 외벽부 및 제2 기저부를 포함하여 상기 삽입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내벽부와 제2 외벽부 및 제2 기저부의 사이에 치아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투명 재질의 제2 마우스피스 부재 형성단계와, 상기 제1 마우스피스 부재의 제1 내벽부 및 제1 외벽부를 따라 복수의 발광소자가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단계와, 상기 제1 마우스피스 부재의 삽입공간에 상기 제2 마우스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제1 내벽부와 제2 외벽부 및 제1 기저부의 내면에 상기 제2 내벽부와 제2 외벽부 및 제2 기저부의 외면이 밀착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마우스피스 부재의 삽입공간에 상기 제2 마우스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제1 내벽부와 제2 외벽부 및 제1 기저부의 내면에 상기 제2 내벽부와 제2 외벽부 및 제2 기저부의 외면이 밀착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마우스피스 부재와 제2 마우스피스 부재가 결합된 마우스피스의 상기 제1 마우스피스 부재 및 제2 마우스피스 부재 간 연결 영역에 인체에 무해한 밀폐 기능의 마감재가 도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감재가 도포되는 단계는 상기 마감재로써 실리콘이 도포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마우스피스 부재의 제1 내벽부 및 제1 외벽부를 따라 복수의 발광소자가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단계는, 밴드 형태의 제1 연성회로기판(FPCB) 및 제2 연성회로기판에 복수의 발광소자가 각각 간격을 유지하며 실장된 제1 광원어레이 부재 및 제2 광원어레이 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광원어레이 부재 및 제2 광원어레이 부재를 상기 제1 내벽부의 내면 및 상기 제1 외벽부의 내면을 따라 각각 배치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광원어레이 부재 및 제2 광원어레이부재는 연성의 전기접속밴드를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마우스피스 부재에 형성된 삽입구를 통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내벽부의 내면 및 제1 외벽부의 내면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광원어레이 부재 및 제2 광원어레이 부재는 각각 어금니 및 어금니 주변 치아의 측면 그리고 어금니 뒤쪽의 잇몸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제1 보조 광원어레이 부재 및 제2 보조 광원어레이 부재를 각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내의 치열(齒列)을 기준으로 치열의 안쪽에서 치열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발광소자 및 치열 바깥쪽에서 치열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발광소자를 통해 치열의 모든 치아 및 각 치아의 전체 면에 비교적 균일한 세기의 광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치열의 모든 치아에 미백 및 광 치료 기능을 비교적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우스피스의 내측에 매립 상태로 설치된 발광소자의 전체나 일부를 마우스피스의 재조립 가능한 분해를 통해 새것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교체하고, 이에 따라 기존 발광소자 및 마우스피스는 그 재조립을 통해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발광형 치아 미백장치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용 마우스 피스 제조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용 마우스 피스 제조방법에서 제1 마우스피스 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용 마우스 피스 제조방법에서 제2 마우스피스 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용 마우스 피스 제조방법에서 제1 광원어레이 부재 및 제2 광원어레이 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용 마우스 피스 제조방법에서 제1 마우스피스 부재와 제2 마우스피스 부재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용 마우스 피스 제조방법에서 제1 마우스피스 부재와 제2 마우스피스 부재가 결합 후 마감재를 통해 마감 처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 제조방법은 단계(S110)에서 제1 마우스피스 부재(100)가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 마우스피스 부재(100)에 대해 설명하면, 제1 마우스피스 부재(100)는 구강의 치열(齒列)을 기준으로 치열 안쪽의 제1 내벽부(110) 및 치열 바깥쪽의 제1 외벽부(120)그리고 제1 내벽부(110)와 제1 외벽부(120)를 연결하는 제1 기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1 내벽부(110)와 제1 외벽부(120) 및 제1 기저부(130)의 사이에 삽입공간(140)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삽입공간(140)은 후술될 제2 마우스피스 부재(200)를 내측에 결합시키는 용도이다. 그리고 제1 마우스피스 부재(100)는 인체에 무해한 투명 재질로 형성된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단계(S120)에서 제2 마우스피스 부재(200)가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제2 마우스피스 부재(200)에 대해 설명하면, 제2 마우스피스 부재(200)는 제1 마우스피스 부재(100)의 삽입공간(140) 내측에서 제1 내벽부(110) 및 제1 외벽부(120) 그리고 제1 기저부(130)와 각각 접하는 제2 내벽부(210)와 제2 외벽부(220) 및 제2 기저부(230)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2 마우스피스 부재(200)는 제1 마우스피스 부재(100)의 삽입공간(140)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제2 마우스피스 부재(200)는 인체에 무해한 투명 재질로 형성된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단계(S130)에서 제1 마우스피스 부재(100)의 제1 내벽부(110) 및 제1 외벽부(120)를 따라 복수의 발광소자(312,313)가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광원어레이 부재(310) 및 제2 광원어레이 부재(320)가 제1 내벽부(110) 및 제1 외벽부(120)를 따라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제1 광원어레이 부재(310) 및 제2 광원어레이 부재(320)는 각각 밴드 형태의 제1 연성회로기판(311, FPCB) 및 제2 연성회로기판(321)에 복수의 발광소자(312,322)가 각각 간격을 유지하며 실장되어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광원어레이 부재(310) 및 제2 광원어레이 부재(320)는 연성의 전기접속밴드(330)를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마우스피스 부재(100)에 형성된 삽입구(150)를 통해 제1 마우스피스 부재(100)의 삽입공간(140)에 삽입 후 제1 내벽부(110)의 내면 및 제1 외벽부(120)의 내면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원어레이 부재(310) 및 제2 광원어레이 부재(320)는 각각 어금니 및 어금니 주변 치아의 측면 그리고 어금니 뒤쪽의 잇몸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제1 보조 광원어레이 부재(313) 및 제2 보조 광원어레이 부재(323)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들은 적색광을 방출하는 것과 청색광을 방출하는 두 종류로 나뉘며, 청색광을 방출하는 램프는 치아 미백을 포함한 치아 치료에 사용되는 것이고, 또한 이러한 청색광을 방출하는 램프는 구강의 앞쪽 치아 9~10개 정도의 치료를 주된 기능이 있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청색광을 방출하는 램프는 제1 연성회로기판 및 제2 연성회로기판의 중간정도되는 위치까지 실장된다. 그리고 적색광을 방출하는 램프는 잇몸질활의 치료를 주된 기능으로 하며, 이러한 적색광을 방출하는 램프는 제1 연성회로기판 및 제2 연성회로기판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실장된다.
또한, 적색광의 발광소자 및 청색광의 발광소자는 주파수 조정을 통해 그 깜박이는 횟수를 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단계(S140)에서 제1 마우스피스 부재(100)의 삽입공간(140)에 제2 마우스피스 부재(200)가 삽입되고, 이때 제1 마우스피스 부재(100)의 제1 내벽부(110)와 제2 외벽부(120) 및 제1 기저부(130)의 내면에 제2 마우스피스 부재(200)의 제2 내벽부(210)와 제2 외벽부(220) 및 제2 기저부(230)의 외면이 밀착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은 단계(S130)를 통해 제1 광원어레이 부재(310) 및 제2 광원어레이 부재(320)를 삽입공간(140)에 삽입시킨 후 제1 내벽부(110)의 내면 및 제1 외벽부(120)의 내면에 각각 배치시킨 제1 마우스피스 부재(100)와 제2 마우스피스 부재(200)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제1 마우스피스 부재(100)의 삽입공간(140)에 제2 마우스피스 부재(200)가 삽입되어 두 마우스피스 부재(100,200) 간에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에 따라 제1 광원어레이 부재(310)는 제1 마우스피스 부재(100)의 제1 내벽부(110) 및 제2 마우스피스 부재(200)의 제2 내벽부(210) 사이에서 견고히 지지되는 동시에 제2 광원어레이 부재(320)는 제1 마우스피스 부재(100)의 제1 외벽부(120) 및 제2 마우스피스 부재(200)의 제2 외벽부(220) 사이에서 견고히 지지된다. 또한 이렇게 지지된 제1 광원어레이 부재(310) 및 제2 광원어레이 부재(320)는 각각 전원 인가시 그 발광소자(312,322)가 동작하여 투명한 제2 마우스피스 부재(200)를 통해 치아 삽입공간(240) 내측으로 광을 조사한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단계(S150)에서 제1 마우스피스 부재(100)와 제2 마우스피스 부재(200)가 결합된 마우스피스의 상기 제1 마우스피스 부재(100) 및 제2 마우스피스 부재(200) 간 외부에 노출된 연결 영역에 인체에 무해한 밀폐 기능의 마감재(400)가 도포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면부호 400이 마감재를 나타낸 것이며, 본 실시예서는 이러한 마감재(400)로서 실리콘이 사용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도 2 내지 도 7의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은 구강 내의 치열(齒列)을 기준으로 치열의 안쪽에서 치열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발광소자 및 치열 바깥쪽에서 치열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발광소자를 통해 치열의 모든 치아 및 각 치아의 전체 면에 비교적 균일한 세기의 광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치열의 모든 치아에 미백 및 광 치료 기능을 비교적 균일하게 제공하는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를 제공케 한다.
또한, 마우스피스의 내측에 매립 상태로 설치된 발광소자의 전체나 일부를 마우스피스의 재조립 가능한 분해를 통해 새것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교체하고, 이에 따라 기존 발광소자 및 마우스피스는 그 재조립을 통해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를 제공케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제1 마우스피스 부재 110 : 제1 내벽부
120 : 제1 외벽부 130 : 제1 기저부
140 : 삽입공간 150 : 삽입구
200 : 제2 마우스피스 부재 210 : 제2 내벽부
210a,220a : 투과공 220 : 제2 외벽부
230 : 제2 기저부 240 : 치아 삽입공간
310 : 제1 광원어레이 부재 311,321 : 연성회로기판
312,322 : 발광소자 313 : 제1 보조 광원어레이 부재
320 : 제2 광원어레이 부재 323 : 제2 보조 광원어레이 부재
330 : 전기접속밴드 400 : 마감재

Claims (6)

  1. (a) 구강의 치열(齒列)을 기준으로 치열 안쪽의 제1 내벽부 및 치열 바깥쪽의 제1 외벽부 그리고 상기 제1 내벽부와 제1 외벽부를 연결하는 제1 기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내벽부와 제1 외벽부 및 제1 기저부의 사이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투명 재질의 제1 마우스피스 부재 형성단계;
    (b) 상기 제1 마우스피스 부재의 상기 삽입공간 내측에서 상기 제1 내벽부 및 제1 외벽부 그리고 제1 기저부와 각각 접하는 제2 내벽부와 제2 외벽부 및 제2 기저부를 포함하여 상기 삽입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내벽부와 제2 외벽부 및 제2 기저부의 사이에 치아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투명 재질의 제2 마우스피스 부재 형성단계;
    (c) 상기 제1 마우스피스 부재의 제1 내벽부 및 제1 외벽부를 따라 복수의 발광소자가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단계;
    (d) 상기 제1 마우스피스 부재의 삽입공간에 상기 제2 마우스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제1 내벽부와 제2 외벽부 및 제1 기저부의 내면에 상기 제2 내벽부와 제2 외벽부 및 제2 기저부의 외면이 밀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마우스피스 부재와 제2 마우스피스 부재가 결합된 마우스피스의 상기 제1 마우스피스 부재 및 제2 마우스피스 부재 간 연결 영역에 인체에 무해한 밀폐 기능의 마감재가 도포되는 (e)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마감재로써 실리콘이 도포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밴드 형태의 제1 연성회로기판(FPCB) 및 제2 연성회로기판에 복수의 발광소자가 각각 간격을 유지하며 실장된 제1 광원어레이 부재 및 제2 광원어레이 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광원어레이 부재 및 제2 광원어레이 부재를 상기 제1 내벽부의 내면 및 상기 제1 외벽부의 내면을 따라 각각 배치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어레이 부재 및 제2 광원어레이부재는 연성의 전기접속밴드를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마우스피스 부재에 형성된 삽입구를 통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내벽부의 내면 및 제1 외벽부의 내면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어레이 부재 및 제2 광원어레이 부재는 각각 어금니 및 어금니 주변 치아의 측면 그리고 어금니 뒤쪽의 잇몸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제1 보조 광원어레이 부재 및 제2 보조 광원어레이 부재를 각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
KR1020120095436A 2012-08-30 2012-08-30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 KR101425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436A KR101425669B1 (ko) 2012-08-30 2012-08-30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436A KR101425669B1 (ko) 2012-08-30 2012-08-30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784A true KR20140029784A (ko) 2014-03-11
KR101425669B1 KR101425669B1 (ko) 2014-07-31

Family

ID=50642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436A KR101425669B1 (ko) 2012-08-30 2012-08-30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6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36591A1 (es) * 2014-11-18 2015-05-26 Sara PASTOR GÓMEZ Dispositivo fotodinámico de tratamiento e higiene buca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1776A1 (en) * 2003-07-14 2007-02-08 Hidenari Sakaguchi Medical light emitting device
JP2005342072A (ja) * 2004-06-01 2005-12-15 Futek Inc マウスピース
CA2726322C (en) * 2010-03-18 2019-01-15 Jonathan B. Levine Mouthpiece that adjusts to user arch sizes and seals from oxygen exposure and methods for effecting an oral treatment
KR20120079828A (ko) * 2012-06-29 2012-07-13 메디럭스(주) 세척기 복합형의 이동식 치주질환 광치료 장치 및 그 작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36591A1 (es) * 2014-11-18 2015-05-26 Sara PASTOR GÓMEZ Dispositivo fotodinámico de tratamiento e higiene buc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669B1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4098B2 (ja) 光硬化デンタルシステム
JP6161826B2 (ja) 歯のホワイトニング装置
TWI610663B (zh) 調整以符合使用者牙拱的大小並且密封以防止氧暴露的咬嘴及其使用方法
CA2514203C (en) Dental whitening apparatus
US20060019214A1 (en) Compact tooth whitening device
US20070003905A1 (en) Tooth whiten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whitening teeth using an intra-oral light generating device
KR101478118B1 (ko)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
TW201735875A (zh) 具有導光功用的牙套
KR101728957B1 (ko) 치아 미백기
KR101453520B1 (ko) 치아 미백 장치
KR20150002011A (ko) 마우스피스
KR101425669B1 (ko)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
JPWO2005004745A1 (ja) 医療用発光装置
JP2021511114A (ja) 発光口腔内デバイス
KR101611987B1 (ko) 다기능 치아 미백장치
KR20150032685A (ko) 마우스피스
KR101728956B1 (ko) 치아 미백기
TWM357961U (en) Light-guided engage apparatus of occludator
TWM566557U (zh) 口腔保健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