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956B1 - 치아 미백기 - Google Patents

치아 미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956B1
KR101728956B1 KR1020150125365A KR20150125365A KR101728956B1 KR 101728956 B1 KR101728956 B1 KR 101728956B1 KR 1020150125365 A KR1020150125365 A KR 1020150125365A KR 20150125365 A KR20150125365 A KR 20150125365A KR 101728956 B1 KR101728956 B1 KR 101728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user
irradiator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8575A (ko
Inventor
이동율
우재희
경민수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5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956B1/ko
Priority to PCT/KR2016/008869 priority patent/WO2017039175A1/ko
Publication of KR20170028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Abstract

본 발명은 광조사기에 형성된 통기구를 통해 광원에서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킴은 물론 사용자의 불쾌감이 없이 원활한 산소 공급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본체부가 C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한 치아 미백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치아 미백기는, 치아 미백용 광을 조사하는 광원이 구비된 광조사기 및 상기 광조사기의 일측에 장착 가능한 개구기를 포함하는 광조사부를 구비한 치아 미백기로서, 상기 광조사기에는 통기구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치아 미백기{APPARATUS FOR TEETH WHITENING}
본 발명은 치아 미백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조사기에 형성된 통기구를 통해 광원에서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킴은 물론 사용자의 불쾌감이 없이 원활한 산소 공급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본체부가 C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한 치아 미백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미백은 변색된 치아의 색조를 원래의 색조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한다.
즉, 치아는 선천적 요인, 또는 식생활 습관이나 흡연 여부 등에 따른 후천적 요인으로 인해 변색이 될 수 있는데, 치아 미백은 이렇게 변색된 치아의 색조를 원래의 색조로 회복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미용 분야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아 미백도 미용의 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현대인들의 삶의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치아 미백은 더욱 각광받고 있는 서비스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편, 치아 미백이 시작된 초기에는, 가장 단순한 형태로서 치아 미백제가 소량 함유된 치약을 사용하여 칫솔질에 의해 미백효과를 얻도록 하였으나, 치약에 함유된 미백제의 양이 너무 적어, 치아 표면에 침착된 착색성분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효과적인 미백 치료를 위해, 치과에서 미백제 패드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치아 미백을 할 수 있지만, 치과에서의 치아 미백은 오랜 기간 주기적으로 통원치료를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고가의 치료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치과에서의 치아 미백의 경우, 치아 미백시 치아미백대상자가 침구에 앉거나 누워 장시간 동안 동일한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데, 치아 미백을 시행하는 동안 신체 일부를 움직일 수 없어 오랜 시간 동안 상당한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비용은 적게 들면서 처치가 간편하고, 효과도 탁월한 절충적 대안으로서 미백용 패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미백용 패치는 저농도의 카르복사이드나 과산화물을 기반으로 한 미백제 성분을 함유한 연고제가 표면에 도포된 제품으로서, 미백 성분이 충분하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해 미백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사용지침에 따라 치아의 앞뒤 면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치료 준비가 끝나기 때문에 누구나 간단히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미백용 패치는 치아에 부착되는 점착 부분이 수용성이므로 장시간 사용 시 입 주위 근육의 움직임으로 인해 원래의 부착위치에서 이탈하게 되는데, 연고 부분이 잇몸이나 혀 또는 구강점막을 자극하거나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한 것이 발광형 치아 미백장치로서, 상기 발광형 치아 미백장치는 광활성제를 함유한 미백제를 치아에 도포하고, 활성광선을 조사함으로써 치아 미백이 이뤄지도록 하였다.
상술한 발광형 치아 미백장치의 일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453520호 또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525123호에 치아 미백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상기 치아 미백 장치는, 구강에 삽입되어 치아에 밀착되는 개구기와, 상기 개구기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치아 미백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은, 치아 미백을 위한 치아 미백용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출이 어려운 구조로 이뤄져 있어서, 장시간 치아 미백 장치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선행기술에는 구강착용부에 통기수단이 형성되어 산소가 공급되도록 하였지만, 사용자가 호흡을 하는 중, 특히, 날숨에 의해 숨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통기수단을 통해 배출된 기체가 사용자의 입 주면으로 분사되어 사용자의 불쾌감을 증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발광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키면서도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치아 미백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53520호(등록일자 2014년10월15일)
한국 등록특허 제10-1525123호(등록일자 2015년05월27일)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조사기에 형성된 통기구를 통해 광원에서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킴은 물론 사용자의 불쾌감이 없이 원활한 산소 공급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본체부가 C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한 치아 미백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아 미백기는, 치아 미백용 광을 조사하는 광원이 구비된 광조사기 및 상기 광조사기의 일측에 장착 가능한 개구기를 포함하는 광조사부를 구비한 치아 미백기로서, 상기 광조사기에는 통기구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기구는, 들숨 또는 날숨에 의한 기체 흐름을 통해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열을 방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기구의 일측은 상기 개구기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의 타측은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지 않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기구의 타측은 상기 개구기가 장착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조사기는, 상기 통기구를 형성하는 부싱부가 형성된 후면커버 및 상기 후면커버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환형의 전면커버; 및 일측면에 상기 광원이 구비되어 상기 후면커버와 전면커버의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부싱부에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광원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원기판의 광원을 보호하도록 상기 광원기판의 일측면을 커버하며, 상기 부싱부에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보호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원의 점등을 제어하고,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본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광조사기는 상기 본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조사기는 상기 본체부와 유선으로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광원의 점등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휴대용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광조사기에 형성된 통기구를 통해 광원에서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킴은 물론 사용자의 불쾌감이 없이 원활한 산소 공급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광조사기에 점등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본체부가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C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휴대가 간편하여 치아 미백을 하는 중에도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기를 구성하는 광조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기를 구성하는 광조사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기를 구성하는 광조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조사부(100)와 본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조사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치아를 향하여 치아 미백용 광(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을 조사하는 부분이다.
상기 광조사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미백용 광을 조사하는 LED 광원(L)이 구비된 광조사기(110)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뤄져 상기 광조사기(110)의 일측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개구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조사기(110)는 통기구(H)를 형성하기 위한 부싱부(111A)가 형성된 후면커버(111), 상기 후면커버(111)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환형의 전면커버(112), 일측면에 LED 광원(L)이 구비되어 상기 후면커버(111)와 전면커버(112)의 사이에 장착되는 광원기판(113), 및 상기 광원기판(113)의 광원(L)을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광원기판(113)의 일측면을 커버하는 보호필름(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면커버(111)는 내부 중앙 부분에 장방형의 부싱부(111A)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부싱부(111A)에 의해 상기 광조사기(110)의 전후부를 관통하는 통기구(H)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커버(112)는 대략 직사각의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광원기판(113)이 상기 후면커버(111)와 상기 전면커버(112)의 사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후면커버(111)의 전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면커버(112)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LED 광원(L)에서 조사된 치아 미백용 광이 사용자의 치아를 향하여 조사될 수 있다.
상기 광원기판(113)은 사용자의 치아로 치아 미백용 광을 조사하기 위한 LED 광원(L)이 구비된 기판으로서, 광원기판(113)에 실장된 LED 광원(L)은 다양한 색상과 조도를 갖는 LED가 적용될 수 있으며, 중앙 부분에는 상기 부싱부(111A)가 삽입되는 관통구(113h)가 형성된다.
상기 보호필름(114)은 상기 LED 광원(L)이 구강 내의 습한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광원(L)을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기판(113)의 표면에 구비되며, 중앙 부분에는 상기 부싱부(111A)가 삽입되는 관통구(114h)가 형성된다. 상기 보호필름(114)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광조사기(110)는, LED 광원(L)을 통해 치아 미백용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LED 광원(L)은 일반적으로 빛이 20% 정도이고, 열이 80% 정도이며, 구강 내에 삽입되는 점을 고려하면 방열의 필요성이 있다.
상술한 광조사기(110)의 경우에, 상기 후면커버(111)에 형성된 부싱부(111A)에 의해 통기구(H)가 형성되며, 이러한 통기구(H)를 통해 상기 LED 광원(L)의 방열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통기구(H)의 일측은 상기 개구기(120)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H)의 타측은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지 않는 방향, 예를 들어, 상기 개구기(120)가 장착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날숨 시에도 체내에서 배출된 기체가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통기구(H)의 방향과 관련된 특성은, 상기 부싱부(111A)의 형상 변형이나 상기 후면커버(111)와 전면커버(112)의 형상 변형을 통해 상기 통기구(H)의 형성 방향이 다양한 방향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기구(H)는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광조사부(100)를 착용하여 치아 미백을 하면서 호흡하는 과정의 기체(G) 흐름, 즉, 들숨 또는 날숨에 의한 기체(G) 흐름을 통해 상기 광원(L)에서 발생한 열을 방출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날숨 시, 체내에서 배출된 기체(G)가 상기 통기구(H)를 통해 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LED 광원(L)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기체(G)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어 방출됨에 따라 상기 LED 광원(L)의 냉각이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들숨 시, 산소가 포함된 외부의 기체(G)가 상기 통기구(H)를 통해 체내로 유입되며, 이를 통해 미백제가 도포된 치아에 산소가 공급되어 광촉매의 미백 기능이 촉진될 수 있고, 상기 LED 광원(L)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기체(G)와 함께 체내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LED 광원(L)의 냉각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광조사기(110)는 상기 본체부(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조사기(110)에 본체부(200)와 유선으로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115)이 구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광원기판(113)에 실장된 LED 광원(L)의 점등을 제어하고, 상기 LED 광원(L)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광원기판(11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모듈, 상기 광원기판(113)에 점등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모듈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200)에는 상기 광조사기(110)의 케이블(115)이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20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202)를 통해 상기 케이블(115)로 점등제어신호와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커넥터(202)가 복수로 구성되어 점등제어신호와 전원을 별도로 분리하여 공급할 수도 있고, 본체부(200)의 일측에는 광원기판(113)의 점등제어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버튼(201)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본체부(2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C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외에도, 팔찌형, 목걸이형 등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할 수만 있다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본체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200')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본체부(200)가 휴대용 단말(200')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을 통하여 상기 광원기판(113)에 점등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휴대용 단말(200')에 장착된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12h는 환형홈이고, 120h는 개구부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광조사부
110:광조사기
120:개구기
200:본체부

Claims (11)

  1. 치아 미백용 광을 조사하는 광원이 구비된 광조사기 및 상기 광조사기의 일측에 장착 가능한 개구기를 포함하는 광조사부를 구비한 치아 미백기로서,
    상기 광조사기는,
    외부로 연통되는 통기구를 형성하는 부싱부가 형성된 하나의 커버와,
    상기 커버의 전면에 장착되며 상기 통기구와 연통하도록 환형홈이 형성된 다른 하나의 커버와,
    상기 부싱부가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주변에는 상기 광원이 구비되고 상기 하나의 커버와 상기 다른 하나의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광원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구기에는 상기 환형홈 및 통기구와 연통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부싱부는 일측이 외부로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타측이 사용자의 날숨 또는 들숨에 대응하는 방향에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날숨 또는 들숨이 직접적으로 상기 통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의 타측은 상기 개구기가 장착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기판의 광원을 보호하도록 상기 광원기판의 일측면을 커버하며, 상기 부싱부에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보호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점등을 제어하고,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본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광조사기는 상기 본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기는 상기 본체부와 유선으로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광원의 점등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휴대용 단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기.
KR1020150125365A 2015-09-04 2015-09-04 치아 미백기 KR101728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365A KR101728956B1 (ko) 2015-09-04 2015-09-04 치아 미백기
PCT/KR2016/008869 WO2017039175A1 (ko) 2015-09-04 2016-08-12 치아 미백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365A KR101728956B1 (ko) 2015-09-04 2015-09-04 치아 미백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575A KR20170028575A (ko) 2017-03-14
KR101728956B1 true KR101728956B1 (ko) 2017-04-21

Family

ID=5818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365A KR101728956B1 (ko) 2015-09-04 2015-09-04 치아 미백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8956B1 (ko)
WO (1) WO20170391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60620B2 (ja) * 2017-11-21 2020-03-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歯漂白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332Y1 (ko) * 2007-05-03 2008-10-31 강창현 치아미백용 광선조사기
US20110189626A1 (en) * 2010-01-29 2011-08-04 Engineered Cosmetic Solutions, LLC Teeth whitening system,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KR101453520B1 (ko) * 2013-06-04 2014-10-23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치아 미백 장치
KR101478118B1 (ko) * 2013-09-05 2014-12-31 (주)푸로맥스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016Y1 (ko) * 2005-12-21 2006-03-22 안승만 휴대용 치아미백기
KR101525123B1 (ko) 2014-08-29 2015-06-03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치아 미백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332Y1 (ko) * 2007-05-03 2008-10-31 강창현 치아미백용 광선조사기
US20110189626A1 (en) * 2010-01-29 2011-08-04 Engineered Cosmetic Solutions, LLC Teeth whitening system,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KR101453520B1 (ko) * 2013-06-04 2014-10-23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치아 미백 장치
KR101478118B1 (ko) * 2013-09-05 2014-12-31 (주)푸로맥스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9175A1 (ko) 2017-03-09
KR20170028575A (ko)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957B1 (ko) 치아 미백기
JP6161826B2 (ja) 歯のホワイトニング装置
CA2514203C (en) Dental whitening apparatus
TWI610663B (zh) 調整以符合使用者牙拱的大小並且密封以防止氧暴露的咬嘴及其使用方法
TWI484944B (zh) 牙齒美白裝置
US8591227B2 (en) Mouthpiece that adjusts to user arch sizes and seals from oxygen exposure
KR101750383B1 (ko) 치아 미백 장치
US8029278B1 (en) Intra-oral whitening device
US20110076636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ntal whitening
KR101478118B1 (ko)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
US20060019214A1 (en) Compact tooth whitening device
US20070003905A1 (en) Tooth whiten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whitening teeth using an intra-oral light generating device
US20070054233A1 (en) Device for dental care and whitening
WO2010098761A1 (en) Intra-oral whitening device
US20110091835A1 (en) Mouthpiece that adjusts to user arch sizes and seals from oxygen exposure
US20080113313A1 (en) Self contained composition enhancing dental tray
US20070020584A1 (en) Dental treating process using a treatment agent, dental tray, and a catalytic source
WO2010098764A1 (en) Mouthpiece that adjusts to user arch sizes and seals from oxygen exposure
KR101453520B1 (ko) 치아 미백 장치
KR101728956B1 (ko) 치아 미백기
KR200406685Y1 (ko) 착탈식 마우스피스를 구비한 발광형 치아 미백장치
ES2910996T3 (es) Medio de iluminación alargado con al menos una fuente de luz que emite luz en el rango de luz azul
KR101778716B1 (ko) 치아 미백 장치
KR101611987B1 (ko) 다기능 치아 미백장치
US20060061986A1 (en) Toothbrush for bleaching tee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