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716B1 - 치아 미백 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미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716B1
KR101778716B1 KR1020160017635A KR20160017635A KR101778716B1 KR 101778716 B1 KR101778716 B1 KR 101778716B1 KR 1020160017635 A KR1020160017635 A KR 1020160017635A KR 20160017635 A KR20160017635 A KR 20160017635A KR 101778716 B1 KR101778716 B1 KR 101778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supply
whitening
light
light ir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6353A (ko
Inventor
우재희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7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716B1/ko
Publication of KR20170096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아 미백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전원을 이용하여 치아 미백용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어 치아에 밀착되는 구강 착용부를 포함하고, 광조사부는, 구강 착용부와 결합 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 미백 장치{APPARATUS FOR TEETH WHITENING}
본 발명은 치아 미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백제가 도포된 치아에 광을 조사하여 광촉매를 통한 치아 미백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치아 미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웰빙(Well-being)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있다. 산업화로 인해 사람들은 물질적인 풍요를 누리게 되었고, 이에 따라 이제는 무엇을 먹고 사느냐 보다는 어떻게 하면 보다 나은 삶을 누릴 수 있을까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이렇듯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사람들은 자신의 삶을 보다 아름답게 가꾸기 위한 방법으로 자신의 외적인 모습을 아름답게 변화시키고자 노력한다. 그 중 한 가지 예로, 자신의 치아를 하얗게 만드는 치아 미백이 있으며, 이는 자신과 상대하는 사람들에게 깨끗한 이미지를 줄 수 있다.
치아 미백이 시작된 초기에는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 치아 미백제가 소량 함유된 치약을 사용하여 양치 시 칫솔질에 의해 미백효과를 얻는 것이었다.
그러나 치약에 함유된 미백제의 양이 너무 적어 치아 표면에 침착된 착색성분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었다.
보다 효과적인 미백 치료를 위해 치과에서 미백제 패드나 레이저를 이용하는 전문적인 시술을 받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미백 효과에 있어서는 탁월하나, 장기간 주기적으로 통원치료를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고가의 치료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용은 적게 들면서 처리가 간편하고, 효과도 탁월한 절충적 대안으로서 미백 패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 미백용 패치는 저농도의 카르복사이드나 과산화물을 기반으로 한 미백제 성분을 함유한 연고제가 표면에 도포된 제품으로서, 미백 성분이 충분하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해 미백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사용 지침에 따라 치아의 앞, 뒷면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치료 준비가 끝나기 때문에 누구나 간단히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미백용 패치는 치아에 부착되는 점착 부분이 수용성이므로 장시간 사용 시 입 주위 근육의 움직임으로 인해 원래의 부착위치에서 이탈하게 되는데, 연고 부분이 잇몸이나 혀 또는 구강 점막을 자극하거나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개발된 것이 치아 미백 장치이다. 이 치아 미백 장치는 구강에 삽입되어 치아에 광을 조사하는 개구기와, 상기 개구기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형성된 본체로 구성되었다.
다만, 종래의 치아 미백 장치는 본체의 전원 스위치를 눌러야하는 불편함과 사용자가 개구기를 착용하기 전에 전원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LED 광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눈부심이 발생될 소지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치아 미백 장치는 미백 진행 시 미백 과정에 대한 안내가 없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또한, 종래의 치아 미백 장치의 개구기는, 그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치아에 미백제를 도포한 후 구강에 착용되었다. 이 경우, 치아에 도포된 치아 미백제가 치아 이외의 구강 내부/입술 등에 묻어 미백 전에 미백제가 제거되는 문제점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치아 미백 장치의 전원 공급 수단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이 어려운 형상으로 구현되어, 사용 시 사용자의 주머니 등에 보관되었다. 이 경우, 전원 공급 수단과 개구기를 연결하는 유선 케이블 때문에, 사용자의 움직임에 제약을 두어 사용 시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또한, 종래의 치아 미백 장치는 광의 조사에 따라 발생된 열의 방출이 어려운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시간 치아 미백 장치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개구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호흡을 하는 중, 특히, 날숨에 의해 숨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배출된 공기가 사용자의 입 주변으로 분사되어 사용자의 불쾌감을 증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조사부와 구강 착용부의 결합 시, 상기 광조사부가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백의 진행 과정에 대한 안내를 수행하는 치아 미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 미백용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와, 사용 시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는 구강 착용부가 서로 자력에 의해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치아 미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 공급부가 사용 시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에 걸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스트랩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강 착용부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광조사부 및/또는 구강 착용부의 결합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홈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홀 및 상기 통기홈이 공기 흐름의 통로를 형성하는 치아 미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을 이용하여 치아 미백용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어 치아에 밀착되는 구강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구강 착용부와 결합 시, 상기 광을 조사한다.
그리고,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구강 착용부와의 결합 여부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광 조사를 제어하는 광조사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조사 제어부는, 상기 구강 착용부와 미결합 시, 상기 연결을 통하여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강 착용부와 결합 시, 상기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결합 여부를 알리는 센싱 신호를 상기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구강 착용부의 결합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광조사부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는,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구강 착용부의 미결합 시, 상기 광조사부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구강 착용부의 결합 시, 상기 광조사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센싱 신호를 기초로 미백의 시작, 미백의 중지, 미백의 재시작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센싱 신호를 기초로 미백의 진행 시간 및 미백의 남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미백의 시작, 미백의 중지, 미백의 재시작 중 적어도 하나를 안내하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산출된 시간을 기초로 미백의 진행 시간 및 미백의 남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안내하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모듈을 구비한 전원 공급부 본체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에 걸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랩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자력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스트랩의 양 끝단 중 하나는 상기 자력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부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구강 착용부는 자력에 의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조사부 및/또는 상기 구강 착용부의 결합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구강 착용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구강 착용부의 관통홀 및 상기 통기홈은 상기 사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에 따른 공기 흐름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광조사부와 구강 착용부의 결합 여부를 센싱하고, 결합 시에만 광조사부가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전원 공급부의 전원 스위치, 전원 버튼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광조사부와 구강 착용부가 결합되기 전에는 LED 광을 조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개구기 착용 전, LED 광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눈부심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미백의 시작, 미백의 중지, 미백의 재시작, 미백의 진행 시간 및 미백의 남은 시간 등을 안내함으로써, 미백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광조사부와 구강 착용부가 서로 자력에 의해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 시 먼저 구강 착용부를 구강에 삽입하여 입을 벌린 상태로 고정시키고, 이 후 치아에 미백제를 도포하며, 이 후 광조사부를 구강 착용부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치아 미백제를 보다 원활하게 치아에 도포할 수 있게 되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고정된 구강 착용부 근처로 광조사부를 이동시켜 자력의 영향권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구강 착용부와 광조사부를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구강 착용부와 광조사부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부가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에 착용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여 치아 미백을 하는 중에도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개구기에 형성된 통기구를 통해 광원에서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킴은 물론 사용자의 불쾌감이 없이 원활한 산소 공급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구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조사부와 구강 착용부의 결합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조사부와 구강 착용부의 탈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구기의 공기 통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 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시의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해, 도면은 일반적 구성 방식을 도시하고,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유사한 참조부호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아 미백 장치(1000)는 개구기(100) 및 전원 공급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기(100)는 사용 시 사용자의 구강에 착용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개구기(100)는 사용자의 입을 벌려 고정시키고,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며, 사용자의 치아에 광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기(100)는 전원 공급부(200)의 전원을 이용하여 치아 미백용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110) 및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는 구강 착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00)는 개구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200)는 치아 미백용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200)는 광원 점등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개구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광조사부(110)는 상기 광원 점등 제어 신호에 따라 광을 조사하거나 또는 광을 조사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20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구현되어, 전원 잔량이 부족하면 충전 전류를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200)는 개구기의 하우징 내측에 구비된 내부 전원(internal power source)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전원은 하우징 내부에서 탈착 가능하거나 또는 탈착 불가능할 수도 있다.
또는, 전원 공급부(200)는 개구기의 하우징 외측에 배치된 외장 배터리와 같이 외부 전원(external power source)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만약, 전원 공급부(200)가 외부 전원으로 구현되는 경우, 개구기(100)와 전원 공급부(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200)가 외부 전원으로 구현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2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치아 미백 장치(1000)에서, 광조사부(110)는 구강 착용부(120)와 결합 시에만,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광 조사 제어 과정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치아 미백 장치(1000)는 개구기(100) 및 전원 공급부(200)를 포함하고, 개구기(100)는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를 포함하며, 광조사부(110)는 센싱부(130), 광 조사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의 결합 여부를 센싱하고, 결합 여부를 알리는 센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130)는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의 결합 방식에 따라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광조사부(110) 및 구강 착용부(120) 각각은 자력 부재를 구비하여, 광조사부(110) 및 구강 착용부(120)는 자력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싱부(130)는 광조사부(110) 및 구강 착용부(120)의 자력 결합을 감지하는 자력 결합 감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조사부(110) 및 구강 착용부(120) 중 하나에는 체결 후크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걸림홈이 구비되어, 광조사부(110) 및 구강 착용부(120)는 후크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싱부(130)는 체결 후크에 의하여 걸림홈에 가해지는 압력을 기초로 후크 결합 여부를 감지하는 압력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일 뿐, 센싱부(130)는 상술한 예시 외에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부(200)와 개구기(100)가 유선/무선으로 연결된 경우, 또는 전원 공급부(200)와 개구기(100)가 유선/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200)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 공급 버튼이 눌러진 경우, 전원 공급부(200)는 개구기(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광 조사 제어부(140)는 센싱부(130)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광 조사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싱부(130)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의 미결합으로 판단되면, 광 조사 제어부(140)는 유선/무선 연결을 통하여 전원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광조사부(110)가 광을 조사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광 조사 제어부(140)는 유선/무선 연결을 통하여 전원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이 광원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130)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의 결합으로 판단되면, 광 조사 제어부(140)는 유선/무선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광조사부(110)가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광 조사 제어부(140)는 유선/무선 연결을 통하여 전원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이 광원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치아 미백 장치(1000)는 개구기(100) 및 전원 공급부(200)를 포함하고, 개구기(100)는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조사부(110)는 센싱부(130)를 포함하고, 전원 공급부(200)는 전원 공급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도 2을 기초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의 결합 여부를 센싱하고, 결합 여부를 알리는 센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광조사부(110)는 센싱부(130)에서 생성된 결합 여부를 알리는 센싱 신호를 유선/무선 연결을 통하여 전원 공급부(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부(200)는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가 결합된 경우에만 광조사부(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원 공급부(200)는 센싱 신호를 기초로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의 결합 여부를 판단하고, 광조사부(11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된 센싱 신호를 기초로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의 미결합으로 판단되면, 전원 공급 제어부(230)는 광조사부(110)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원 공급부(200)와 개구기(100)가 유선/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된 경우, 전원 공급 제어부(230)는 유선/무선 연결을 통한 광조사부(11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원 공급부(200)와 개구기(100)가 유선/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200)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 공급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도, 전원 공급 제어부(230)는 유선/무선 연결을 통한 광조사부(11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센싱 신호를 기초로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의 결합으로 판단되면, 전원 공급 제어부(230)는 광조사부(110)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원 공급부(200)와 개구기(100)가 유선/무선 연결을 통하여 연결된 경우, 전원 공급 제어부(230)는 유선/무선 연결을 통하여 광조사부(110)로의 전원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원 공급부(200)와 개구기(100)가 유선/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전원 공급부(200)와 개구기(100)가 유선/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200)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 공급 버튼이 눌러진 경우, 전원 공급 제어부(230)는 유선/무선 연결을 통하여 광조사부(110)로의 전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도 2 내지 3에 따르면,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의 결합 시에만, 광조사부(110)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전원 공급부(200)의 전원 스위치, 전원 버튼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가 결합되기 전에는 LED 광을 조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개구기(100) 착용 전, LED 광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눈부심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치아 미백 장치(100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안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 기능을 수행하는 안내부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안내부(500)는 판단부(510), 산출부(520), 출력부(53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510)는 센싱부(130)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미백의 시작, 미백의 중지, 미백의 재시작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200)와 개구기(100)가 유선/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가 결합되면, 판단부(510)는 미백의 시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백의 시작으로 판단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가 분리되면, 판단부(510)는 미백의 중지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미백의 중지로 판단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가 결합되면, 판단부(510)는 미백의 재시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산출부(520)는 센싱부(130)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미백의 진행 시간 및 미백의 남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카운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출부(520)는 판단부(510)에서 미백의 시작으로 판단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팅하여 미백의 진행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최적의 미백을 위한 총 미백 시간이 설정된 경우, 산출부(520)는 산출된 미백의 진행 시간과 총 미백 시간을 기초로 미백의 남은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출력부(530)는 치아 미백 과정의 안내를 위한 안내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부(530)는 판단부(510)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미백의 시작, 미백의 중지, 미백의 재시작 중 적어도 하나를 안내하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530)는 산출부(520)에서 산출된 시간을 기초로 미백의 진행 시간 및 미백의 남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안내하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530)는 디스플레이부와 오디오 출력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로, 전원 공급부(200)의 하우징 또는 개구기(100)의 하우징에 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는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로, 전원 공급부(200) 또는 개구기(100)에 구비된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부(500)를 구성하는 판단부(510), 산출부(520) 및 출력부(530)의 전부는, 바람직하게는, 전원 공급부(20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안내부(500)를 구성하는 판단부(510), 산출부(520) 및 출력부(530)의 전부는, 개구기(10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판단부(510), 산출부(520) 및 출력부(530)의 일부는 전원 공급부(200)에 구비되고, 다른 일부는 개구기(100)에 구비될 수 있다. 만약, 판단부(510) 및 산출부(520)가 개구기(100)에 구비되고, 출력부(530)가 전원 공급부(200)에 구비되는 경우, 개구기(100)는 유선/무선 연결을 통하여 전원 공급부(200)에 미백의 시작, 미백의 중지, 미백의 재시작, 미백의 진행 시간 및 미백의 남은 시간을 알리고, 전원 공급부(200)는 미백의 시작, 미백의 중지, 미백의 재시작, 미백의 진행 시간 및 미백의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백의 시작, 미백의 중지, 미백의 재시작, 미백의 진행 시간 및 미백의 남은 시간 등을 안내함으로써, 미백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100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 미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개구기(100)와 전원 공급부(200)는 케이블(300)을 통하여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개구기(100)와 전원 공급부(200) 중 적어도 하나는 케이블(300)이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공급부(200)는 케이블(300)을 통하여 개구기(100)에 점등 제어 신호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20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모듈, 예를 들어 배터리, 배터리 충전 회로 등을 구비한 전원 공급부 본체(210),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에 걸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스트랩(2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 본체(210)의 일측에는 점등 제어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211)을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버튼(211)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개구기(100)의 광조사부(110)는 광을 조사하거나 또는 광을 조사하지 않을 수 있다.
스트랩(220)은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에 걸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을 수 있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220)은 목에 걸 수 있는 길이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일 뿐, 그 길이를 가변함으로써, 팔찌형, 발찌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신체에의 착용 편의를 위하여, 스트랩(220)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원 공급부 본체(2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트랩(220)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자력 부재(22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 본체(210)의 스트랩(220) 결합 부분에는 자력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랩(220)의 양 끝단 중 하나는 자력에 의해 전원 공급부 본체(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치아 미백 장치(1000)의 사용 시, 사용자는 스트랩(220)의 일 끝단을 전원 공급부 본체(210)로부터 떨어뜨려 자신의 신체 중 일부에 쉽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착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스트랩(220)의 일 끝단을 전원 공급부 본체(210)에 부착시켜 자신의 신체 중 일부에 스트랩(220)을 걸 수 있기 때문에, 치아 미백을 하는 중에도 자유로운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구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구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다. 도 7 내지 8을 참조하면, 개구기(100)는 전원 공급부(200)의 전원을 이용하여 치아 미백용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110) 및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는 구강 착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조사부(110)는 광원(L)을 구비하고, 구강 착용부(120)의 관통홀을 통하여 치아에 미백용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광조사부(110)는 타원형,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광조사부(110)는 후면 커버(111), 상기 후면 커버(111)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환형의 전면 커버(112), 일측면에 LED 와 같은 광원(L)이 구비되어 상기 후면 커버(111)와 전면 커버(112)의 사이에 장착되는 광원 기판(113), 및 상기 광원 기판(113)의 광원(L)을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광원 기판(113)의 일측면을 커버하는 보호필름(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커버(112)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광원 기판(113)이 후면 커버(111)와 전면 커버(112)의 사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후면 커버(111)의 전면부에 장착되고, 전면 커버(112)의 개구부를 통해 광원(L)에서 조사된 치아 미백용 광이 사용자의 치아를 향하여 조사될 수 있다.
여기서, 후면 커버(111) 및 전면 커버(112)는 합성 재질, 플라스틱(예, ABS, 폴리카보네이트), 세라믹, 목재, 금속(예, 광택 알루미늄(polished aluminum)), 금속 합금(예, 철재(steel), 스테인레스 강(stainless steel), 티타늄(titanium) 또는 마그네슘(magnesium) 기반의 합금들)과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적합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원 기판(113)은 사용자의 치아로 치아 미백용 광을 조사하기 위한 LED 광원(L)이 구비된 기판으로서, 광원 기판(113)에 실장된 LED 광원(L)은 다양한 색상과 조도를 갖는 LED가 적용될 수 있다.
보호 필름(114)은 LED 광원(L)이 구강 내의 습한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광원(L)을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 기판(113)의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보호 필름(114)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한편, 구강 착용부(120)는 치아 및 잇몸에 직접 접촉되므로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재질이 바람직하고, 치아 전반의 외면을 감싸도록 호형으로 굴곡져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강 착용부(120)의 중앙 부분에는 관통홀(125)이 형성될 수 있고, 관통홀(125)은 구강 착용부(120)의 정면 및 배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125)은 광조사부(110)의 광원(L)이 사용자의 치아에 조사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125)은 광조사부(110) 및/또는 구강 착용부(120)의 통기홈과 결합하여, 광의 조사에 따라 발생된 열의 방출을 위한 통로, 사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에 따른 공기 흐름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구강 착용부(120)는 사용자의 잇몸에 밀착되는 밀착 부재(121), 상기 광조사부(110)의 커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부재(123), 및 밀착 부재(121)와 결합 부재 사이(123)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입술이 거치되는 거치 부재(12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강 착용부(120)는 사용자의 구강 삽입시 이빨로 물 수 있도록 밀착 부재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두 개의 물림 부재(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광조사부(110)의 복수의 면 중 사용 시 구강 착용부(120)와 결합하는 결합면에는 자력을 제공하는 자력 부재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강 착용부(120)의 복수의 면 중 사용 시 광조사부(110)와 결합하는 결합면에는 자력을 제공하는 자력 부재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는 서로 자력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조사부와 구강 착용부의 결합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결합 부재(123)의 결합면에는 자력을 제공하는 제1 자력 부재(126-1,126-2,126-3,126-4)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자력 부재(126-1,126-2,126-3,126-4)는 결합 부재(123)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 커버(112)의 결합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116-1,116-2,116-3,116-4)이 형성되고, 삽입홈(116-1,116-2,116-3,116-4)의 내측으로 제1 자력 부재(126-1,126-2,126-3,126-4)와 결합 가능한 제2 자력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1 자력 부재(126-1)는 제2-1 자력 부재와 자성 결합하여 제1 삽입홈(116-1)에 삽입되고, 제1-2 자력 부재(126-2)는 제2-2 자력 부재와 자성 결합하여 제2 삽입홈(116-2)에 삽입되며, 제1-3 자력 부재(126-3)는 제2-3 자력 부재와 자성 결합하여 제3 삽입홈(116-3)에 삽입되고, 제1-4 자력 부재(126-4)는 제2-4 자력 부재와 자성 결합하여 제4 삽입홈(116-4)에 삽입될 수 있다. 즉,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는 서로 자력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 자력 부재의 개수, 자력 부재의 형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자력 부재의 개수, 자력 부재의 돌출, 인입 여부는 자성 결합을 위한 구조의 구현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계 변경 가능하다.
한편,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의 자력에 의한 탈착 구조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조사부와 구강 착용부의 탈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구강 착용부(120)를 구강에 삽입하여 입술을 거치 부재(122)에 거치하여 입을 벌린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입이 벌린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원활하게 치아 미백제를 치아에 도포할 수 있다.
치아 미백제의 도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광조사부(110)를 구강 착용부(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고정된 구강 착용부(120) 근처로 광조사부(110)를 이동시켜 자력(400)의 영향권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구강 착용부(120)와 광조사부(110)를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구강 착용부(120)와 광조사부(110)를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구강 착용부(120)의 중앙 부분에는 관통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 커버(112)의 결합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홈(117-1,117-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부재(123)의 결합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홈(127-1,127-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홈(117-1,117-2,127-1,127-2)은 사용자의 날숨 시 체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통기홈(117-1,117-2,127-1,127-2)은 결합면의 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면 커버(112)의 결합면의 좌측에는 제1 통기홈(117-1)이 형성되고, 우측에는 제2 통기홈(117-2)이 형성되며, 결합 부재(123)의 결합면의 좌측에는 제3 통기홈(127-1)이 형성되고, 우측에는 제4 통기홈(127-2)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제1 통기홈(117-1) 및 제3 통기홈(127-1)은 공기의 흐름을 위한 제1 통로를 형성하고, 제2 통기홈(117-2) 및 제4 통기홈(127-2)은 공기의 흐름을 위한 제2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 통기홈의 개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통기홈의 개수는 통기를 위한 구조의 구현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계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도 9에서, 통기홈의 위치는 사용자의 날숨 시 체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통기홈의 위치는 통기를 위한 구조의 구현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계 변경 가능하다.
한편,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가 자력에 의해 결합되면, 관통홀(125)과 상기 통기홈은 광의 조사에 따라 발생된 열의 방출을 위한 통로, 사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에 따른 공기 흐름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구기의 공기 통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광조사부(110)와 구강 착용부(120)가 자력에 의해 결합되면, 제1 통기홈(117-1)과 제3 통기홈(127-1)이 결합되어 형성된 제1 통로, 제2 통기홈(117-2)과 제4 통기홈(127-2)이 결합되어 형성된 제2 통로 및 관통홀(125)에 의하여 형성된 제3 통로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통로, 제2 통로 및 제3 통로는 서로 연결되어, 광의 조사에 따라 발생된 열의 방출을 위한 통로, 사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에 따른 공기 흐름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구기(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날숨에 따른 공기(G)는 상기 통로를 통하여 외부에 배출되고, 사용자의 들숨에 따른 공기(G)는 상기 통로를 통하여 사용자의 폐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공기 통로는 사용자가 개구기(100)를 착용하여 치아 미백을 하면서 호흡하는 과정의 들숨 또는 날숨에 의한 공기(G) 흐름을 통해 상기 광원(L)에서 발생한 열을 방출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날숨 시, 체내에서 배출된 공기(G)가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하여 배출 되는데, 이때, 상기 LED 광원(L)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공기(G)와 함께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LED 광원(L)의 냉각이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들숨 시, 산소가 포함된 외부의 공기(G)가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해 체내로 유입되며, 이를 통해 미백제가 도포된 치아에 산소가 공급되어 광촉매의 미백 기능이 촉진될 수 있고, 상기 LED 광원(L)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공기(G)와 함께 체내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LED 광원(L)의 냉각이 이뤄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기에 형성된 통기구를 통해 광원에서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킴은 물론 사용자의 불쾌감이 없이 원활한 산소 공급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1000 : 치아 미백 장치 100 : 개구기
110 : 광조사부 111 : 후면 커버
112 : 전면 커버 113 : 광원 기판
114 : 보호 필름 120 : 구강 착용부
121 : 밀착 부재 122 : 거치 부재
123 : 결합 부재 124 : 물림 부재
130 : 센싱부 140 : 광 조사 제어부
200 : 전원 공급부 210 : 전원 공급부 본체
220 : 스트랩 230 : 전원 공급 제어부
500 : 안내부 510 : 판단부
520 : 산출부 530 : 출력부

Claims (14)

  1.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어 치아에 밀착되는 구강 착용부; 및
    상기 전원을 이용하여 치아 미백용 광을 조사하고,상기 구강 착용부와의 결합 여부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광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구강 착용부와 결합 시, 상기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광 조사를 제어하는 광조사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조사 제어부는,
    상기 구강 착용부와 미결합 시, 상기 연결을 통하여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강 착용부와 결합 시, 상기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결합 여부를 알리는 센싱 신호를 상기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구강 착용부의 결합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광조사부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는,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구강 착용부의 미결합 시, 상기 광조사부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구강 착용부의 결합 시, 상기 광조사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센싱 신호를 기초로 미백의 시작, 미백의 중지, 미백의 재시작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센싱 신호를 기초로 미백의 진행 시간 및 미백의 남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미백의 시작, 미백의 중지, 미백의 재시작 중 적어도 하나를 안내하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산출된 시간을 기초로 미백의 진행 시간 및 미백의 남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안내하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모듈을 구비한 전원 공급부 본체;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에 걸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자력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스트랩의 양 끝단 중 하나는 상기 자력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부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구강 착용부는 자력에 의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 및/또는 상기 구강 착용부의 결합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구강 착용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구강 착용부의 관통홀 및 상기 통기홈은 상기 사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에 따른 공기 흐름의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장치.
KR1020160017635A 2016-02-16 2016-02-16 치아 미백 장치 KR101778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635A KR101778716B1 (ko) 2016-02-16 2016-02-16 치아 미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635A KR101778716B1 (ko) 2016-02-16 2016-02-16 치아 미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353A KR20170096353A (ko) 2017-08-24
KR101778716B1 true KR101778716B1 (ko) 2017-09-14

Family

ID=59758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635A KR101778716B1 (ko) 2016-02-16 2016-02-16 치아 미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603B1 (ko) * 2019-01-15 2020-04-06 주식회사 제노스 치아 미백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123B1 (ko) * 2014-08-29 2015-06-03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치아 미백 장치
KR101527727B1 (ko) 2015-04-08 2015-06-11 이정교 치아 미백장치
JP2015229089A (ja) 2014-06-08 2015-12-21 ナノオプテック有限会社 ホワイトニング用マウスピース型led照射装置
KR101650845B1 (ko) 2015-05-28 2016-08-24 주식회사 굿닥터스 다목적 의료용 광조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9089A (ja) 2014-06-08 2015-12-21 ナノオプテック有限会社 ホワイトニング用マウスピース型led照射装置
KR101525123B1 (ko) * 2014-08-29 2015-06-03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치아 미백 장치
KR101527727B1 (ko) 2015-04-08 2015-06-11 이정교 치아 미백장치
KR101650845B1 (ko) 2015-05-28 2016-08-24 주식회사 굿닥터스 다목적 의료용 광조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603B1 (ko) * 2019-01-15 2020-04-06 주식회사 제노스 치아 미백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353A (ko)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383B1 (ko) 치아 미백 장치
JP6064127B2 (ja) 歯のホワイトニングの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JP6161826B2 (ja) 歯のホワイトニング装置
TWI484944B (zh) 牙齒美白裝置
KR101728957B1 (ko) 치아 미백기
KR101497619B1 (ko) 얼굴과 목을 광자극할 수 있는 피부미용장치
US20200253465A1 (en) Lighted Bite Block
JP6703996B2 (ja) ユーザの換気を管理するための装置
US20080113313A1 (en) Self contained composition enhancing dental tray
KR20210002808U (ko) 공기 살균 보호 커버
KR101453520B1 (ko) 치아 미백 장치
KR101778716B1 (ko) 치아 미백 장치
US20240024711A1 (en) Body-worn air-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of deactivating pathogens
US20080147149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abilization of eye during eye surgery
KR101728956B1 (ko) 치아 미백기
WO20100409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hitening teeth
KR101611987B1 (ko) 다기능 치아 미백장치
US20160242872A1 (en) Oral insert
KR101469176B1 (ko) 미소 교정 기구
KR102237743B1 (ko) 머리장착용 탄성밴드가 구비된 슬라이드 led형 전자 마스크
CN213216837U (zh) 一种口腔治疗中携带挡板的护龈口镜
CN212325450U (zh) 一种无挂绳式口罩
KR102188594B1 (ko) 머리장착용 탄성밴드가 구비된 전자 마스크
KR102548569B1 (ko) 스마트 마스크
KR102352405B1 (ko) 친환경 다기능 전자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