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808U - 공기 살균 보호 커버 - Google Patents

공기 살균 보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808U
KR20210002808U KR2020210001755U KR20210001755U KR20210002808U KR 20210002808 U KR20210002808 U KR 20210002808U KR 2020210001755 U KR2020210001755 U KR 2020210001755U KR 20210001755 U KR20210001755 U KR 20210001755U KR 20210002808 U KR20210002808 U KR 202100028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flow
intake
exhaust
cover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663Y1 (ko
Inventor
체-헝 린
Original Assignee
체-헝 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체-헝 린 filed Critical 체-헝 린
Publication of KR202100028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8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6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84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protection for the eyes, e.g. using shield or vi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8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cup 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살균 보호 커버는 본체와 공기흐름 퓨리파이어를 포함한다. 본체는 수용 공간을 갖고, 공기흐름 퓨리파이어는 하우징, 공기흐름 하우징 및 광 살균 유닛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흡기단, 배기단 및 공기흐름 채널을 갖고, 흡기단 또는 상기 배기단은 본체와 연결되고, 공기흐름 채널은 흡기단과 배기단에서 개방되고, 공기흐름 채널은 수용 공간을 외부 대기와 연결한다. 공기흐름 구동 유닛은 흡기단, 배기단 또는 공기흐름 채널에 설치된다. 광 살균 유닛은 적어도 일부분 공기흐름 채널 사이에 광학적 차폐가 없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Description

공기 살균 보호 커버{AIR STERILIZATION MASK}
본 발명은 보호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능동적인 공기흐름을 발생시켜 공기를 유도하고, 해당 공기를 살균하는 보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도시와 같이 인구가 밀집된 지역에서 인플루엔자 및 결핵과 같은 호흡기 감염성 질환의 확산 위험이 크게 증가하였다. 비말이나 에어로졸과 같은 공기 중 감염원을 예방하기 위해, 고글과 수술용 마스크와 같은 의료용 개인 보호 장비(PPE)가 병원, 검역소, 심지어 일상 생활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개인 보호 장비 중에서, 간단한 것들은 공기 중의 감염원을 제한적으로만 차단 가능하며, 완벽한 보호가 가능하고 완전하게 밀봉 가능한 보호 장비라도 부드럽게 호흡할 수 없는 등의 불편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개인 보호 장비의 대부분은 일회용이거나 소모품이 장착되어 있어 재사용이 어렵고, 자원을 낭비하게 되어 사용자의 착용 비용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살균 효과를 유지하는 동시에 부드러운 호흡과 같은 착용감을 유지하고, 소모품 비용 절감 등은 이러한 장비가 개선해야 할 문제점이 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흐름 퓨리파이어에 의해 능동적인 기류를 발생시켜 살균 보호 커버 내외부의 공기흐름의 순환을 유도하고, 공기흐름 퓨리파이어의 광 살균 기능을 이용하여 순한된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 보호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살균 보호 커버 내부의 습하고 무더움 등의 불편함을 방지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살균 효과를 유지하고, 소모품 교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살균 보호 커버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 본체; 및 공기흐름(airflow) 퓨리파이어(purifier)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흐름 퓨리파이어는, 흡기단, 배기단 및 공기흐름 채널을 갖는 하우징 - 해당 흡기단 또는 해당 배기단은 해당 본체와 연결되고, 해당 공기흐름 채널은 해당 흡기단과 해당 배기단에서 개방되고, 해당 공기흐름 채널은 해당 수용 공간을 외부 대기와 연결함 -; 해당 흡기단, 해당 배기단 또는 해당 공기흐름 채널에 설치되는 공기흐름 구동 유닛; 및 적어도 일부분 해당 공기흐름 채널 사이에 광학적 차폐가 없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광 살균 유닛;을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 개시한 살균 보호 커버에 따르면, 공기흐름 퓨리파이어는 흡기단 또는 배기단이 본체에 설치되는 방법을 통해 능동적 공기흐름의 방향을 변경하여, 살균할 공기가 먼저 공기흐름 채널을 통과하고, 광 살균 유닛에 의해 소독 살균된 후에 보호 커버 본체에 진입 또는 배출하도록 하여, 살균 효과를 달성하고 감염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호흡을 부드럽게 유지하게 하여, 더 나은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1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의 다른 사용 방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3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3의 살균 보호 커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3의 살균 보호 커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4의 살균 보호 커버의 정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개시하여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허 출원범위 및 그 균등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예1]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1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의 입체 분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의 다른 사용 방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살균 보호 커버(10)는 본체(100),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 고정 장치(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0)는 얼굴의 입, 코 부위를 덮는 마스크 구조이지만, 안면 마스크, 헤드 마스크 등의 형태로도 제작할 수 있다. 본체(100)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110)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0)는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되지 않고, 본체(100)와 사용자의 피부 사이에 틈새가 있어, 수용 공간(110)이 외부 환경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10)의 작동 모드에 대해서는 뒤에 다시 서술한다.
본체(100)는 유리 및 금속 등과 같은 단단한 재료 또는 탄성 수지 등 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체(100)는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어, 사용자가 본 발명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10)를 착용하더라도, 사용자의 외모가 가려지지 않아 표정을 알 수 있고, 입술 모양으로 판독이 가능하고, 심지어 얼굴 화장 또한 표현할 수 있으며, 복면 금지법을 시행하는 국가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0)는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를 설치하기 위한 본체 고정 구조(101)를 갖는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사 구조를 예로 들었지만, 그 상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버클 구조 또는 클램핑 구조와 같은 종래의 고정 수단에 의해서도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하우징(210),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 및 광 살균 유닛(230)을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흡기단(211), 배기단(212) 및 공기흐름 채널(213)을 갖는다. 흡기단(211) 또는 배기단(212)은 본체(100)와 연결되고, 공기흐름 채널(213)은 흡기단(211)과 배기단(212)에서 개방되고, 공기흐름 채널(213)은 수용 공간(110)을 외부 대기와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210)은 상부 덮개(214), 상부 하우징(215), 하부 하우징(216) 및 하부 덮개(217)를 포함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덮개(214), 상부 하우징(215), 하부 하우징(216) 및 하부 덮개(217)는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상부 하우징(215)은 하부 하우징(216)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부 덮개(214)와 하부 덮개(217)는 각각 상부 덮개 고정 구조(2142), 하부 덮개 고정 구조(2175)를 갖는다. 상부 덮개 고정 구조(2142)와 하부 덮개 고정 구조(2175)는 각각 고정을 위한 본체 고정 구조(101)와 매칭될 수 있다. 흡기단(211)에 의해 본체(100)에 연결될 때, 상부 덮개(214)는 상부 덮개 고정 구조(2142) 및 본체 고정 구조(101)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본체(100)에 연결될 수 있다. 배기단(212)에 의해 본체(100)에 연결될 때, 하부 덮개(217)는 하부 덮개 고정 구조(2175) 및 본체 고정 구조(101)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본체(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덮개(214)는 상부 덮개 고정 구조(2142) 외에 상부 개구(2141)를 더 갖는다. 상부 하우징(215)은 서로 연결되는 상부 공간(2151) 및 전원 잭(2152)을 갖는다. 하부 하우징(216)은 하부 공간(2161)을 갖는다. 하부 덮개(217)는 하부 개구(2171)를 갖는다. 상부 개구(2141), 상부 공간(2151), 하부 공간(2111) 및 하부 개구(2171)는 순차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공기흐름 채널(213)을 형성한다.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과 광 살균 유닛(230)은 상부 공간(2151)에 위치하며,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은 광 살균 유닛(230)보다 상부 덮개(214)에 더 가깝다. 하부 공간(2161)과 광 살균 유닛(230) 사이에는 광학적 차폐가 없으므로, 이를 통해 하부 공간(2161)이 충분한 광을 조사받을 수 있도록하여 살균을 진행할 수 있다.
하부 덮개(217)는 하부 덮개부(2172) 및 차폐 시트(2173)를 더 포함한다. 하부 개구(2171)는 하부 덮개부(2172)에 위치한다. 차폐 시트(2173)는 하부 덮개부(2172)와 이격된 방식으로 하부 덮개부(2172)에 설치되고, 차폐 시트(2173)는 하부 개구(2171)를 차폐한다. 이런 식으로 구조화함으로써, 자외선이 하부 개구(2171)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덮개(217)는 하부 덮개부(2172) 및 필터(2174)를 포함한다. 하부 개구(2171)는 하부 덮개부(2172)에 위치한다. 필터 (2174)는 전체 하부 개구(2171)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하부 덮개부(2172)에 설치되어, 공기흐름이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를 떠나기 전 필터(2174)를 통과해야하는 것을 보장한다. 필터(2174)는 필터 스크린 또는 필터 스폰지 등과 같은 잘 알려진 필터 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자외선에 의해 제거될 수 없는 병원체를 필터(2174) 상에 남게 하여, 자외선이 지속적으로 필터(2174)를 조사하여 살균을 진행할 수 있다.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은 흡기단(211), 배기단(212) 또는 공기흐름 채널(213)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3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은 상부 하우징(215) 및 상부 공간(2151)에 설치된다.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은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의 흡기단(211)(즉 상부 개구(2141)측)에서 유입된 공기를 하우징(210) 내의 공기흐름 채널(213)로 유도하여, 배기단(212)에서 빠져나가도록 구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은 하나의 팬이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은 또한 이온풍 발생 장치 등과 같은 공기흐름을 구동하는 다른 수단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은 상부 공간(2151) 내에 위치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은 하부 공간(2111), 상부 덮개(214) 또는 하부 덮개(217)에도 위치하여, 공기흐름 채널(213)을 통해 공기흐름을 구동할 수 있다.
광 살균 유닛(230)은 예를 들어 전원, 회로 및 발광 소자를 갖는 회로 어셈블리이다. 본 실시예에서, 광 살균 유닛(230)은 배터리, 구동 회로가 있는 회로 기판, 자외선 램프, 충전 커넥터 등 부품의 자외선 조사 장치를 포함한다. 광 살균 유닛(230)은 적어도 일부분 공기흐름 채널(213) 사이에 광학적 차폐가 없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광 살균 유닛(230)은 방출되는 자외선이 하부 공간(2161)에 직접 조사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 (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광 살균 유닛 (230)은 전원 잭(2152)으로 연장되고 전원 잭(2152)으로부터 노출되는 충전 커넥터(231)를 갖는다. 충전 커넥터(231)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DC 플러그, USB 플러그 및 마이크로 USB 플러그 등 잘 알려진 전원 공급 단자를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통합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전원 잭(2152)에서 노출된 충전 커넥터(231)를 통해 외부 전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력을 사용하여 광 살균 유닛(230) 및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을 구동할 수 있고, 또는 광 살균 유닛(230)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 살균 유닛(230)은 상부 공간(2151) 내에 설치되지만, 자외선이 살균을 위해 공기흐름 채널(213)의 적어도 일부를 조사할 수 있는 한, 광 살균 유닛(230)은 차폐 시트(2173)와 같은 곳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하부 하우징(216)의 중간 부분 또는 주변 표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부 하우징(215)에 위치한 전원 잭(2152)은 충전 커넥터(231)를 수용하고 노출할 수 있는 한, 상부 덮개(214), 하부 하우징(216) 또는 하부 덮개(217)에도 대응 설치될 수 있다.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상부 덮개 고정 구조(2142) 또는 하부 덮개 고정 구조(2175)가 본체 고정 구조(101)와 연결되어 본체(100)와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흡기단(211)에 의해 본체(100)와 연결될 수 있고(도 1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배기단(212)에 의해 본체(100)와 연결될 수 있다(도 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 보호 커버(10)는 흡기 정화 모드와 배기 정화 모드를 갖는다. 본체를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의 흡기단(211) 또는 배기단(212)에 연결함으로써, 살균 보호 커버(10)를 흡기 정화 모드 또는 배기 정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흡기 정화 모드에서는,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가 배기단(212)에 의해 본체(100)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외부에서 살균 보호 커버(10)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소독하여, 사용자가 호흡할 수 있도록 한다. 배기 정화 모드에서는,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가 흡기단(211)에 의해 본체(100)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외부로 내쉬는 공기를 소독한다.
고정 장치(300)는 본체(100)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본체(100)와 연결되고, 사용자가 착용한 부위에 본체(100)를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300)는 본체 양측의 한 쌍의 매달린 스트립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벨트, 후크, 벨크로 테이트(Velcro Tape) 등과 같은 다른 잘 알려진 고정 수단일 수 있으며, 귀걸이형, 머리걸이형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1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10)의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가 작동하면,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은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의 흡기단(211)(즉, 상부 개구(2141)측)에서 하우징(210) 내의 공기 채널(213)로 공기를 유도하고, 공기는 상부 공간(2151)을 통과하고 하부 공간(2111)에서 자외선에 의해 살균되고, 배기단(212)(즉, 하부 개구(2171)측)로부터 배출된다. 이를 통해, 유도한 공기를 먼저 살균한 후, 다시 공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공간으로 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본체(100)와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배치형 공기 살균기로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215)은 하부 하우징(21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상부 하우징(215) 위의 부분은 휴대용 자외선 조사 장치로서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10)의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흡기 정화 모드에서,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을 통해 외부 환경의 공기를 흡기단(211)(즉 상부 개구(2141)측)으로부터 흡입한다. 공기는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로 유입되어 살균된 후, 배기단(212)(즉 하부 개부(2171)측)으로부터 수용 공간(110)으로 진입되어 사용자가 숨을 쉬도록 한다. 또한,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가 공기를 수용 공간(110)으로 인도하여 수용 공간(110)이 외부 대기 환경에 비해 양압을 가지기 때문에, 수용 공간(110)의 공기는 본체(100)와 사용자 사이의 틈새에서 외부 환경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이를 통해, 부드러운 호흡 등 편안함을 유지하는 동시에 살균 효과 또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흡기 정화 모드는 외부 병원체에 감염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대중 교통을 이용하거나 카운터에서 상담하거나 의사에게 진료를 보는 등 불특정 다수와 접촉해야 하는 경우에 외부 공기를 먼저 살균 정화한 후 체내로 흡입하고자 하는 건강한 사용자에게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병원체를 운반할 수 있는 외부 공기는 사용자와 접촉하기 전 살균되는 것을 보장한다.
배기 정화 모드에서,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을 통해 수용 공간(11) 내의 공기를 흡기단(211)(즉 상부 개구(2141)측)으로부터 흡입한다. 공기는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로 유입되어 살균된 후, 배기단(212)(즉 하부 개부(2171)측)으로부터 외부 환경으로 배출된다. 또한,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가 공기를 수용 공간(110)으로부터 배출하여 수용 공간(110)이 외부 대기 환경에 비해 음압을 가지기 때문에, 외부 환경의 공기는 본체(100)와 사용자 사이의 틈새에서 본체(100) 내의 수용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진입되어 사용자가 숨을 쉬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능동적 공기흐름을 이용하여 공기 순환 방향을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내쉬는 공기를 포함하는 수용 공간의 공기를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로 인도하여 살균한 후 다시 외부 환경으로 배출하고, 사용자가 숨을 쉴 수 있도록 틈새에서 본체(100) 내부의 수용 공간(110)으로 외부 공기가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부드러운 호흡 등 편안함을 유지하는 동시에 살균 효과 또한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배기 정화 모드는 주변 사람들에 자신에 의해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외부 환경으로 배출하기 전에 내쉬는 공기를 살균하고 정화하고자 하는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흡기 정화 모드에 대한 이전 설명에서 설명한 적용 상황 외에도,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압 격리 병동에 머물 수 없는 경우를 더 포함하고, 병원체를 보유한 공기가 외부 환경으로 배출되기 전에 살균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기 정화 모드 및 배기 정화 모드에서는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를 하나만 설치하거나 2개 이상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10)는 사용자와 밀착하는 상태로 만들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살균 보호 커버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의 개수는 2개이고, 살균 보호 커버는 흡배기 정화 모드를 더 갖는다. 흡배기 정화 모드에서, 하나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배기단(212)(하부 덮개(217))을 통해 본체(100)에 연결되고, 다른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흡기단(211)(상부 덮개(214))을 통해 본체(100)에 연결된다. 도 1의 전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을 통해 외부 환경의 공기를 상부 개구(2141)로부터 흡입하고, 공기를 우측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로 유입되도록 하여 살균을 진행한 후, 사용자가 숨을 쉴 수 있도록 수용 공간(110)으로 진입하게 한다. 한편, 좌측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공기흐름 구동 유닛(200)을 통해 수용 공간(110)의 공기를 상부 개구(2141)로부터 흡입하고, 좌측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 내로 전송하여 살균을 진행한 후, 하부 개구(2171)로부터 외부 대기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능동적 기류는 본체(100) 내부의 공기 순환을 구동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통해 밀착으로 인한 습하고 무더움 등의 불편함을 방지하고, 부드러운 호흡 등 편안함을 유지하는 동시에 살균 효과 또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110)을 진출하는 공기는 살균되기 때문에, 상기 흡배기 정화 모드는 앞서 설명한 흡기 정화 모드 및 배기 정화 모드의 다양한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가 본체(100)의 양측에 설치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체(100)의 정면, 아래 등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로 본 발명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의 형상은 입방체, 직육면체, 각주 등 다른 다면체일 수도 있다.
[실시예2]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2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2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20)는, 본체(100)가 서로 연결되는 입-코 부분(120)및 눈-이마 부분(130)(입-코 부분(120)은 사용자 얼굴의 입과 코 부위에 대응하고, 눈-이마 부분(130)은 사용자 얼굴의 양눈과 이마 부위에 대응함)을 포함하고, 수용 공간(110)이 서로 연결되는 입-코 수용 공간(111)과 눈-이마 수용 공간(112)을 포함하는 것 외에, 나머지 구조는 공기 살균 보호 커버(101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중, 입-코 수용 공간(111)은 해당 입-코 부분(12)에 의해 정의되고, 눈-이마 수용 공간(112)은 눈-이마 부분(130)에 의해 정의되고,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입-코 부분(120)에 설치되고, 공기흐름 채널(213)은 입-코 수용 공간(111)과 연결된다.
상기 구조의 차이점 외에도, 흡기 정화 모드, 배기 정화 모드 또는 사용자와 밀착된 경우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20)의 작동은 실시예1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10)와 동일하다. 이를 통해, 생성된 능동적인 공기흐름을 이용하여 본체(100) 내부의 공기 순환을 구동하여 습하고 무더움 등의 불편함을 방지하고, 부드러운 호흡 등 편안함을 유지하는 동시에 살균 효과 또한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3]
이하,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3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3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의 정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3의 살균 보호 커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3의 살균 보호 커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3의 살균 보호 커버(30)에서, 본체(100)는 입-코 부분(120), 눈-이마 부분(130), 2개의 측면 부분(140, 150) 및 정수리-후두 부분(160)을 포함한다. 입-코 부분은(120)은 사용자 얼굴의 눈-코 부위와 대응하고, 눈-이마 부분(130)은 사용자 얼굴의 양눈과 이미 부위에 대응하고, 정수리-후두 부분(140)은 사용자의 정수리 및 머리 뒷부분과 대응하고, 2개의 측면 부분은 각각 사용자의 얼굴 양측의 귀를 포함한 얼굴 측면 부위와 대응한다. 해당 2개의 측면 부분(140, 150)은 입-코 부분(120)의 반대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눈-이마 부분(130)의 반대 양측은 정수리-후두 부분(160)의 반대 양측과 공동으로 수용 공간(110)을 형성한다. 수용 공간(110)은 서로 연결되는 입-코 수용 공간(111), 눈-이마 수용 공간(112) 및 정수리-후두 수용 공간(113)을 포함하고, 입-코 수용 공간(111)은 입-코 부분(120)에 의해 정의되고, 눈-이마 수용 공간(112)은 눈-이마 부분(130)에 의해 정의되고, 정수리-후두 수용 공간(113)은 2개의 측면 부분(140, 150) 및 정수리-후두 부분(160)에 의해 공동으로 정의된다. 측면 부분(140)에는 장착홈(141)과 흡배기홀(142)이 있고, 측면 부분(150)에는 장착홈(151)과 흡배기홀(152)이 있다. 장착홈(141, 151)은 입-코 수용 공간(111)과 연결되고, 장착홈(141)과 장착홈(151)은 서로 마주본다.
또한, 본체(100)는 2개의 측면 부분(140, 150), 입-코 부분(120) 및 정수리-후두 부분(160)에 의해 공동으로 형성되는 탈착용 개구(190)를 더 포함한다. 탈착용 개구(190)는 정수리-후두 수용 공간(113)과 서로 연결된다.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의 수는 2개이고, 2개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각각 장착홈(141, 151)에 위치하고, 2개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 각자의 공기흐름 채널(213)은 각각 흡배기홀(142, 152)과 연결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3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30)에서, 흡배기 정화 모드에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상부 덮개 고정 구조(2142), 하부 덮개 고정 구조(2175)에 의해 측면 부분(140, 150)의 측면 고정 구조(153, 143)와 각각 연결되고(연결 방식은 실시예1 참조 가능), 하부 덮개(217) 또는 상부 더패(214)가 흡배기홀(142, 152)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장착홈(141, 151)에 고정된다.
흡기 정화 모드에서, 도 7a 우측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2개의 측면 부분(140, 150)의 측면 고정 구조(143, 153)를 통해, 상부 덥개(214)가 흡배기홀(142, 152)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측면 부분(140, 150)과 연결되어 장착홈(141, 151)에 고정된다. 이를 통해, 2개의 측면(140, 150)에 위치한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을 통해 흡배기홀(142, 152) 외부의 공기를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 내로 흡입하여, 살균 후 입-코 수용 공간(111), 눈-이마 수용 공간(112) 및 정수리-후두 수용 공간(113)으로 배출하여, 사용자가 숨을 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때 수용 공간(110)은 외부 대기 환경에 비해 양압을 가지기 때문에, 수용 공간(110)의 공기는 기압에 의해 사용자 목 근처의 탈착용 개구(190)에서 외부 환경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배기 정화 모드에서, 도 7a 좌측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2개의 측면 부분(140, 150)의 측면 고정 구조(143, 153)를 통해, 하부 덥개(217)가 흡배기홀(142, 152)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측면 부분(140, 150)과 연결되어 장착홈(141, 151)에 고정된다. 이를 통해, 2개의 측면(140, 150)에 위치한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을 통해 입-코 수용 공간(111), 눈-이마 수용 공간(112) 및 정수리-후두 수용 공간(113)의 공기를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 내로 흡입하고, 살균 후 하부 덮개(217)로부터 배출하여, 흡배기홀(142, 152)을 통해 본체(100)로부터 배출한다. 또한, 이때 수용 공간(110)은 외부 대기 환경에 비해 음압을 가지기 때문에, 외부 공기는 사용자 목 근처의 탈착용 개구(190)에서 수용 공간(110)으로 자연스럽게 진입된다.
이를 통해, 목적에 따라 생성된 능동적인 공기흐름을 이용하여 공기순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고, 부드러운 호흡 등 편안함을 유지하는 동시에 살균 효과 또한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본체(200)의 양측에 설치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정수리-후두 부분(160) 등 다른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의 개수는 2개로 설정하였으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의 개수는 흡배기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 1개만일 수 있고, 모든 모드에서 3개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 살균 보호 커버(30)의 측면 부분(140, 150)은 각각 제1 충전 구멍(170) 및 제2 충전 구멍(180)을 가진다. 제1 충전 구멍(170)과 제2 충전 구멍(180)은 장착홈(141, 151)과 서로 연결되고, 제1 충전 구멍(170)과 흡배기홀(142, 152)의 거리는 제2 충전 구멍(180)과 흡배기홀(142, 152)의 거리보다 크다. 흡기 정화 모드에서, 전원 잭(2152)은 각각 측면 부분(140, 150)의 제2 충전 구멍(180)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배기 정화 모드에서, 전원 잭(2152)은 각각 측면 부분(140, 150)의 제1 충전 구멍(170)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흡배기 정화 모드에서, 전원 잭(2152)은 각각 제2 충전 구멍(180) 및 제1 충전 구멍(170)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이를 통해, 그 어떤 모드에서도 전원 잭(2152)의 반대편의 제1 충전 구멍(170) 또는 제2 충전 구멍(180)을 통해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가 본체(200)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얻거나 충전할 수 있다.
[실시예4]
이하,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4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40)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4의 살균 보호 커버의 도면이다.
공기 살균 보호 커버(40)의 구조는, 개구 배리어(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공기 살균 보호 커버(30)의 구조와 동일하다. 개구 배리어(400)는 탈착용 개구(190) 주위의 본체(100) 상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 배리어(400)는 일 단에 코드락(cord lock)을 사용하여 입구를 막는 구조의 스트립(strip)으로, 개구 배리어(400)를 조임으로써, 탈착용 개구(190) 아래의 구멍이 감소 및 폐쇄되어, 공기 흐름의 탈착용 개구(190)를 통한 수용 공간(110)으로의 진출을 제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구 배리어(400)의 조임 수단은 또한 지퍼, 버튼 또는 벨크로 테이트(Velcro Tape) 등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분리 가능한 형태일 수 있으며, 본체(100)에 개구 배리어(400)를 설치하는 수단은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반복적으로 분리 가능한 수단 외에 접착 고정 등 분리가 불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개구 배리어(400)에 의해 본체(100)와 사용자가 밀착된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40)에서, 흡배기 정화 모드에서, 하나의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를 상부 덮개(214)에 의해 한 측의 장착홈(141 또는 151)과 연결하고, 다른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를 하부 덮개(217)에 의해 다른 한 측의 장착홈(151 또는 141)과 연결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 위치한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을 통해 우착의 흡배기홀(15) 외부의 공기를 상부 개구(2141)로부터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 내로 흡입하고, 살균 후 입-코 수용 공간(111), 눈-이마 수용 공간(112) 및 정수리-후두 수용 공간(113)으로 배출하여, 사용자가 숨을 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좌측에 위치한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는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을 통해 입-코 수용 공간(111), 눈-이마 수용 공간(112) 및 정수리-후두 수용 공간(113)의 공기를 상부 개구(2141)로부터 공기흐름 퓨리파이어(200) 내로 흡입하고, 살균 후 하부 덮개(217)로부터 배출하여, 좌측의 흡배기홀(142, 152)을 통해 외부 대기로 배출한다. 따라서, 공기흐름 구동 유닛(220)에서 생성된 능동적인 공기흐름을 이용하여 본체(100) 내부의 공기 순환을 구동하여 습하고 무더움 등의 불편함을 방지하고, 부드러운 호흡 등 편안함을 유지하는 동시에 살균 효과 또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2, 3, 4의 공기 살균 보호 커버(20, 30, 40)가 흡배기 모드에서 적용 가능한 상황은 실시예1의 흡배기 모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더는 반복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에 따라 살균 보호 커버를 제공할 수 있고, 이는 광 살균 유닛과 공기흐름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보호 커버를 사용하면, 소모품이 없이 자외선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살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살균 보호 커버는 능동적인 공기흐름을 발생시켜 보호 커버 내 공기흐름의 순환을 유도하기 때문에, 내부의 습하고 무더움 등의 불편함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호흡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살균 효과를 유지하는 동시에 착용감을 크게 향상시키고 소모품 등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개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모든 변경 및 개선은 본 발명의 특허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를 참조한다.
30: 공기 살균 보호 커버
100: 본체
111: 입-코 수용 공간
112: 눈-이마 수용 공간
113: 정수리-후두 수용 공간
120: 입-코 부분
130: 눈-이마 부분
140, 150: 측면 부분
141, 151: 장착홈
142, 152: 흡배기홀
160: 정수리-후두 부분
170: 제1 충전 구멍
180: 제2 충전 구멍
190: 탈착용 개구

Claims (12)

  1. 살균 보호 커버에 있어서,
    수용 공간을 구비한 본체; 및
    공기흐름(airflow) 퓨리파이어(purifier);
    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흐름 퓨리파이어는,
    흡기단, 배기단 및 공기흐름 채널을 갖는 하우징 - 상기 흡기단 또는 상기 배기단은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공기흐름 채널은 상기 흡기단과 상기 배기단에서 개방되고, 상기 공기흐름 채널은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 대기와 연결함 -;
    상기 흡기단, 상기 배기단 또는 상기 공기흐름 채널에 설치되는 공기흐름 구동 유닛; 및
    상기 공기흐름 채널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광학적 차폐가 없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광 살균 유닛;
    을 포함하는, 살균 보호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보호 커버는 흡기 정화 모드와 배기 정화 모드를 가지며, 상기 흡기 정화 모드에서 상기 배기단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배기 정화 모드에서 상기 흡기단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살균 보호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보호 커버의 해당 공기흐름 퓨리파이어의 수량은 2개이고, 상기 살균 보호 커버는 흡배기 정화 모드를 가지며, 상기 흡배기 정화 모드에서, 상기 공기흐름 퓨리파이어 중 하나는 상기 배기단을 통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다른 공기흐름 퓨리파이어는 상기 흡기단을 통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살균 보호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 개구를 갖는 상부 덮개;
    상부 공간을 갖는 상부 하우징;
    하부 공간을 갖는 하부 하우징; 및
    하부 개구를 갖는 하부 덮개;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덮개, 상기 상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덮개는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 덮개는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하부 덮개는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 개구, 상기 상부 공간, 상기 하부 공간 및 상기 하부 개구는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흐름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흐름 구동 유닛 및 상기 광 살균 유닛은 상기 상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흐름 구동 유닛은 상기 광 살균 유닛보다 상기 상부 덮개에 더 가까운, 살균 보호 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전원 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 살균 유닛은 충전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전원 잭은 상기 상부 공간에 연결되고, 상기 충전 커넥터는 상기 전원 잭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원 잭에서 노출되는, 살균 보호 커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는 하부 덮개부와 차폐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개구는 상기 하부 덮개부에 위치하고, 상기 차폐 시트는 상기 하부 덮개부와 이격되는 방식으로 상기 하부 덮개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폐 시트는 상기 하부 개구를 차폐하는, 살균 보호 커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는 하부 덮개부와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개구는 상기 하부 덮개부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하부 덮개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개구를 차폐하는, 살균 보호 커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서로 연결되는 입-코 부분과 눈-이마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서로 연결되는 입-코 수용 공간과 눈-이마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입-코 수용 공간은 상기 입-코 부분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눈-이마 수용 공간은 상기 눈-이마 부분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공기흐름 퓨리파이어는 상기 입-코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흐름 채널은 상기 입-코 수용 공간과 연결되는, 살균 보호 커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입-코 부분, 눈-이마 부분, 양 측면 부분 및 정수리-후두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부분은 상기 입-코 부분의 반대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눈-이마 부분의 반대 양측은 상기 정수리-후두 부분의 반대 양측과 공동으로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서로 연결되는 입-코 수용 공간, 눈-이마 수용 공간 및 정수리-후두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입-코 수용 공간은 상기 입-코 부분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눈-이마 수용 공간은 상기 눈-이마 부분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정수리-후두 수용 공간은 상기 측면 부분 및 상기 정수리-후두 부분에 의해 공동으로 정의되고, 상기 측면 부분에는 각각 장착홈과 흡배기홀이 있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입-코 수용 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장착홈은 서로 마주보고, 상기 공기흐름 퓨리파이어의 수는 2개이고, 상기 공기흐름 퓨리파이어는 각각 상기 장착홈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흐름 퓨리파이어의 상기 공기흐름 채널은 각각 상기 흡배기홀과 연결되는, 살균 보호 커버.
  10. 제9항에 있어서,
    개구 배리어(barri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측면 부분, 상기 입-코 부분 및 상기 정수리-후두 부분에 의해 공동으로 형성되는 탈착용 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탈착용 개구는 상기 정수리-후두 수용 공간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개구 배리어는 상기 탈착용 개구 주위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살균 보호 커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보호 커버는 흡기 정화 모드, 배기 정화 모드 및 흡배기 정화 모드를 가지며; 상기 흡기 정화 모드에서 상기 흡기단은 각각 상기 흡배기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측면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배기 정화 모드에서 상기 배기단은 각각 상기 흡배기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측면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흡배기 정화 모드에서 상기 공기흐름 퓨리파이어는 각각 상기 배기단과 상기 흡기단이 상기 흡배기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측면 부분에 연결되는, 살균 보호 커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 개구를 갖는 상부 덮개;
    상부 공간 및 전원 잭을 갖는 상부 하우징 - 상기 전원 잭은 상기 상부 공간과 서로 연결됨 -;
    하부 공간을 갖는 하부 하우징; 및
    하부 개구를 갖는 하부 덮개;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덮개, 상기 상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덮개는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 덮개는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하부 덮개는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 개구, 상기 상부 공간, 상기 하부 공간 및 상기 하부 개구는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흐름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흐름 구동 유닛 및 상기 광 살균 유닛은 상기 상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흐름 구동 유닛은 상기 광 살균 유닛보다 상기 상부 덮개에 더 가깝고, 상기 광 살균 유닛은 충전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충전 커넥터는 상기 전원 잭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원 잭에서 노출되고;
    상기 측면 부분은 각각 제1 충전 구멍 및 제2 충전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제1 충전 구멍과 상기 제2 충전 구멍은 상기 장착홈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충전 구멍과 상기 흡배기홀의 거리는 상기 제2 충전 구멍과 상기 흡배기홀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살균 보호 커버는 흡기 정화 모드, 배기 정화 모드 및 흡배기 정화 모드를 가지며; 상기 흡기 정화 모드에서 상기 상부 덮개는 각각 상기 흡배기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측면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잭은 각각 상기 제2 충전 구멍의 반대편이고; 상기 배기 정화 모드에서 상기 하부 덮개는 각각 상기 흡배기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측면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잭은 각각 상기 제1 충전 구멍의 반대편이고; 상기 흡배기 정화 모드에서 상기 공기흐름 퓨리파이어는 각각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가 상기 흡배기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측면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잭은 각각 상기 제2 충전 구멍 및 상기 제1 충전 구멍의 반대편인, 살균 보호 커버.
KR2020210001755U 2020-06-05 2021-06-04 공기 살균 보호 커버 KR20049566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9207102U TWM602440U (zh) 2020-06-05 2020-06-05 空氣殺菌防護罩
TW109207102 2020-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808U true KR20210002808U (ko) 2021-12-15
KR200495663Y1 KR200495663Y1 (ko) 2022-07-19

Family

ID=7409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755U KR200495663Y1 (ko) 2020-06-05 2021-06-04 공기 살균 보호 커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79421A1 (ko)
EP (1) EP3919090A1 (ko)
JP (1) JP3233512U (ko)
KR (1) KR200495663Y1 (ko)
CN (1) CN215270749U (ko)
TW (1) TWM60244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602440U (zh) * 2020-06-05 2020-10-11 林哲弘 空氣殺菌防護罩
WO2022109630A1 (en) * 2020-11-23 2022-05-27 Quang Ngoc Nguyen Mask apparatus for killing viruses
WO2022194384A1 (de) * 2021-03-19 2022-09-22 Kolbenschmidt Pierburg Innovations Gmbh Schutzmaske mit strahlungsquelle
KR102663782B1 (ko) * 2021-09-01 2024-05-08 (주)알록 마스크 장치
CN114569906B (zh) * 2022-02-14 2022-11-01 温州市中心医院 一种带有防疫中药药包的口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329A (ko) * 2007-10-15 2010-07-14 다이꼬 야꾸힝 가부시끼가이샤 휴대식 흡기살균장치
JP2017025430A (ja) * 2015-07-22 2017-02-02 株式会社トクヤマ 衛生マスクシステム
KR20190138151A (ko) * 2018-06-04 2019-12-12 최재완 웨어러블 광촉매 살균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4954A1 (en) * 2015-10-25 2017-05-04 Wilson John Paul Facial shielding system for protection from environmental hazards
CN111053979A (zh) * 2020-02-14 2020-04-24 齐胜利 一种防病毒传播的大通气口罩
CN111194955A (zh) * 2020-03-11 2020-05-26 深圳市思坦科技有限公司 一种紫外线杀菌口罩
KR102139446B1 (ko) * 2020-04-27 2020-07-29 윤성현 Uv-c led를 이용한 살균기능과 정화기능을 갖추고 재생가능한 위생 마스크
KR102210712B1 (ko) * 2020-05-11 2021-02-02 주식회사 포디믹스 필터 마스크
ES2778000B2 (es) * 2020-05-31 2021-03-11 Villanueva Margarita Gutierrez Mascarilla generadora de aire que aleja los virus y que integra desinfeccion portatil de luz ultravioleta uvc.
TWM602440U (zh) * 2020-06-05 2020-10-11 林哲弘 空氣殺菌防護罩
CN111701159A (zh) * 2020-07-22 2020-09-25 大庆五洲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负压口罩
CN111671187A (zh) * 2020-07-22 2020-09-18 大庆五洲科技有限公司 一种对排气进行消毒、杀菌的口罩
CN112870511A (zh) * 2021-03-23 2021-06-01 威海华菱光电股份有限公司 呼吸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329A (ko) * 2007-10-15 2010-07-14 다이꼬 야꾸힝 가부시끼가이샤 휴대식 흡기살균장치
JP2017025430A (ja) * 2015-07-22 2017-02-02 株式会社トクヤマ 衛生マスクシステム
KR20190138151A (ko) * 2018-06-04 2019-12-12 최재완 웨어러블 광촉매 살균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33512U (ja) 2021-08-12
CN215270749U (zh) 2021-12-24
EP3919090A1 (en) 2021-12-08
TWM602440U (zh) 2020-10-11
US20210379421A1 (en) 2021-12-09
KR200495663Y1 (ko)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5663Y1 (ko) 공기 살균 보호 커버
US11425945B2 (en) Anti-microbial, disinfection chamber respiratory face mask/shield
US20230191169A1 (en) Headpiece, face shield and method of using a headpiece
US20210368877A1 (en) Personal Air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or Blocking Exposure to Airborne Pathogens
US11033060B1 (en) Soft silicone edged cushion for face and oxygen masks with ultraviolet light source
US20220240604A1 (en) Portable protective device for preventing respiratory viruses
CN215024359U (zh) 呼吸装置
WO2021247716A2 (en) Personal air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or blocking exposure to airborne pathogens
KR102359502B1 (ko) 강제 흡배기 기능을 갖는 마스크
CN211798333U (zh) 光触媒杀菌过滤口罩
WO2021187989A1 (en) A face mask, an air treatment unit and a protection system comprising the face mask and the air treatment unit
CN111264943A (zh) 一种套头式风扇降温医用防护面罩
US20220409766A1 (en) Sanitizing face mask
US20220362417A1 (en) Ultraviolet Rays Radiating Personal Protective Eyewear Device
CN213406550U (zh) 一种用于口腔治疗可拆卸式防护面罩
JP6792925B1 (ja) マスク間隙空間へ外部空気を送風する大規模施設用送風システム
KR102358720B1 (ko) 전면형 호흡용 보호구
US20220125985A1 (en) Sanitizing face mask
CN212088241U (zh) 一种套头式风扇降温医用防护面罩
CN213045324U (zh) 防护面罩
KR102548569B1 (ko) 스마트 마스크
SK142023U1 (sk) Ochranná polomaska s UV-C dezinfekciou vzduchu
CN113796600A (zh) 防护面罩及其应用方法
BR102021023143A2 (pt) Dispositivo de proteção facial
KR20220017977A (ko) 전면형 호흡용 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