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275A - 도킹 장치 - Google Patents

도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275A
KR20140028275A KR1020120094161A KR20120094161A KR20140028275A KR 20140028275 A KR20140028275 A KR 20140028275A KR 1020120094161 A KR1020120094161 A KR 1020120094161A KR 20120094161 A KR20120094161 A KR 20120094161A KR 20140028275 A KR20140028275 A KR 20140028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or
housing
fluid
stopper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6254B1 (ko
Inventor
김종해
김원태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4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254B1/ko
Priority to PCT/KR2013/006161 priority patent/WO2014035047A1/en
Priority to CN201380044991.7A priority patent/CN104583895B/zh
Priority to US13/966,976 priority patent/US9192067B2/en
Priority to EP13181736.3A priority patent/EP2703936B1/en
Publication of KR20140028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를 위한 도킹 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일부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로테이터와, 상기 로테이터에 설치되어 상기 로테이터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전자 장치가 장착되기 위한 장치 수용홈이 함께 노출되는 유동체 및 상기 유동체에 설치되어 상기 로테이터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유동체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며, 상기 로테이터가 폐쇄될 때 함께 폐쇄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유동체를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도킹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만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전자 장치를 위한 장착홈을 노출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경우 외부의 이물질이 장치 내부로 침투되지 않으며, 외관이 미려해지기 때문에 제품의 신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킹 장치{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도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전자 통신 산업은 전자 장치 중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급속한 발전을 이끌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셀룰터 폰으로 대별되고 있는 스마트 폰은 상대방과의 통화라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웹서핑, 음악 감상, 영화 감상, 피사체의 동영상, 정지 영상의 촬영, 다른 스마트 폰과의 데이터 송수신 등 다양한 방면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현재도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고자 더욱 새로운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술한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 장치들은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편리하게 휴대하기 위하여 상술한 그 기능들은 점차 다양해지면서 고성능을 유지하는 반면, 단말기의 전체 부피는 점차 슬림화되어 가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전자 장치들과 더불어, 이에 사용되는 주변 기기들 역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음악을 청취하거나 상대방과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블루투스 장치, 전자 장치에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출력되는 스피커 음을 확장시키는 외장형 스피커 장치, 전자 장치를 거치 시키는 거치 장치 등으로 대별될 수 있다.
특히 거치 장치는 일명 '도킹 장치(docking station)'로 불리우며, 전자 장치를 거치시키면서 고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에 적용되고 있다. 대체적으로 이러한 도킹 장치들은 장치의 중앙에 전자 장치를 지지하면서 일부가 삽입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며, 장착홈의 저면에는 컨넥터가 돌출 설치되어 장착되는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컨넥터의 결합으로 상술한 도킹 장치는 전자 장치를 충전시키거나, 함께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장치와 연동되어 전자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을 고품질의 음으로 변환하여 청취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도킹 장치들은 단순히 장치의 외부에 적용되는 전자 장치의 크기에 맞게 컨넥터를 포함한 장치 수용홈이 노출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전자 장치가 장착되지 않을 경우에는 외관이 미려하지 않고,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장치 내부가 오염되며, 결과적으로 도킹 장치가 오동작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치가 수용되는 도킹 바디체 자체가 회전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 커버로 사용되며, 사용될 경우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장치 수용홈이 노출되도록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회전식 도킹 바디체는 자체 회전 구조체 의해 장치를 도킹시키려는 방향으로 가압될 때 자체 회전이 되지 않도록 별도의 잠금 유지 및 해제 장치(예를 들면 도킹 장치의 일면에 구비되는 로킹 버튼 등)를 구비해야하며, 사용자는 상술한 별도의 잠금 유지 및 해제 장치를 조작하여만 상술한 도킹 바디체가 회전되는 불편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 컨넥터 및 전자 장치를 위한 수용홈을 선택적으로 내장시켜 외부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도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조작만으로 전자 장치를 위한 수용홈을 노출시켜 편리하게 도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전자 장치를 위한 도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할 경우에만 전자 장치를 위한 수용홈을 노출시켜 사용함으로써 평상시 외관이 미려하도록 구현되는 도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출된 수용홈에 전자 장치를 장착할 경우 장착홈의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도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 수용홈을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로테이터(도킹 바디체)에서 외력의 위치에 따라 로테이터의 회전에 대한 잠금이 자동으로 유지 및 해제되어 별도의 잠금 장치가 필요없도록 구현되는 도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자 장치를 위한 도킹 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일부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로테이터와, 상기 로테이터에 설치되어 상기 로테이터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전자 장치가 장착되기 위한 장치 수용홈이 함께 노출되는 유동체 및 상기 유동체에 설치되어 상기 로테이터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유동체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며, 상기 로테이터가 폐쇄될 때 함께 폐쇄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유동체를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는 상기 유동체의 양측면에서 상기 전자 장치가 장착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일정 길이의 장공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유동체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장공의 일단으로 가압받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로테이터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유동체에서 돌출된 스토퍼가 가이드되기 위한 제2가이드 슬릿이 형성되되, 상기 제2가이드 슬릿의 상단부는 장공과 평행한 방향으로 걸림부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터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장공의 걸림부 형성 방향으로 가압받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로테이터의 양측면에는 개폐 동작시 상기 스토퍼를 간섭하도록 경사부를 갖는 경사캠이 홈 형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터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동작할 때, 상기 스토퍼를 상기 하우징의 걸림부에서 이탈시키려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전자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으며, 상기 도킹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를 거치시키는 것만으로 동작하는 외장형 스피커 기능, 충전 기능, 데이터 송수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일부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로테이터와, 상기 로테이터에 설치되어 상기 로테이터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전자 장치가 장착되기 위한 장치 수용홈이 함께 노출되는 유동체와, 상기 유동체의 측면에 형성된 장공에 돌출 설치되되 소정의 탄성 수단에 의해 상기 장공의 일측으로 가압받도록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토퍼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슬릿과, 상기 가이드 슬릿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터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스토퍼가 상기 탄성 수단에 의해 가압받으면서 걸리도록 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장착 방향으로 상기 유동체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걸림부 및 상기 로테이터의 측면에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터가 폐쇄되는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스토퍼를 경사면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걸림부에서 이탈시키는 경사캠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를 위한 도킹 장치는 사용할 경우에만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전자 장치를 위한 장착홈을 노출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경우 외부의 이물질이 장치 내부로 침투되지 않으며, 외관이 미려해지기 때문에 제품의 신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착홈의 선택적인 노출 동작만으로 장착홈의 지지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장착홈에 대한 별도의 지지 수단이나 로킹 장치가 불필요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 수용홈을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로테이터에서 외력의 위치에 따라 로테이터의 회전에 대한 잠금이 자동으로 유지 및 해제되어 별도의 잠금 장치가 필요없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장치가 전자 제품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도킹 장치에 전자 장치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도킹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도킹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도킹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 및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도킹 장치의 작동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품(150)에 본 발명에 따른 도키 장치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제품(150)의 상면에 커버(21)가 노출될 수 있도록 장착되며, 그 하측의 하우징은 전자 제품(150)의 내부로 잠입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21)에 설치된 로테이터(3)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후술될 도 2의 상태로 회전하여 전자 장치(100)를 장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전자 제품(150)은 전자 장치를 직립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외장형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는 스피커 도킹 스테이션, 충전 장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등 다양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스마트 폰 포함)를 포함하여 다양한 휴대 가능한 기기에 적용가능할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장치(docking station)(1)는 하우징(2)과 하우징(2)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21) 및 커버(21)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는 방식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테이터(rotator)(3)를 포함한다.
미도시되었으나, 로테이터(3)는 공지의 로킹 장치를 사용하여 한번 눌렀을 때 도 1의 상태를 유지하며, 다시 한번 눌렀을 경우 도 2의 상태처럼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전자 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상태로 개방된다.
따라서, 도킹 장치(1)의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도 1의 상태를 유지하며, 도 2의 상태에서 전자 장치(도 2의 100)를 장착하여 외장 스피커로의 출력, 내장 배터리 팩의 충전 또는 데이터 송수신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하나 이상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하우징(2)의 상부에 커버(21)가 적용되었으며, 커버(21)의 상부에 로테이터(3)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상술한 커버(21) 없이 로테이터(3)의 회전 공간을 상부에 갖는 일체형 하우징(2) 하나만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는 단순히 커버(21)가 로테이터(3)의 돌출 공간만을 마련하기 위한 것일 뿐, 실제로 로테이터(3)를 회전시키고, 가이드하며, 그 이동 거리를 단속하는 구성 요소들은 모두 하우징(2) 내부에 설치되는 것에 기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도킹 장치(1)에 전자 장치(100)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의 상태에서 로테이터(3)의 상면(도 3의 32)을 한번 눌렀을 경우, 로테이터(3)는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자 장치(100)를 수용하기 위한 유동체(4)가 노출된다. 이러한 유동체(4)는 장치 수용홈(도 3의 41)을 노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장치 수용홈(41)에 전자 장치(100)의 하측 일부를 도킹시킴으로써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도 장치 수용홈(41)에는 컨넥터(47)가 돌출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장치 수용홈(41)에 장착시키는 동작만으로 전자 장치의 하측에 설치된 컨넥터 포트에 컨넥터(47)를 접속시키는 동작까지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미도시되었으나, 장착된 전자 장치(100)에 의해 도킹 장치와 함께 구비된 미도시된 주변 기기(예를 들어, 스피커 장치, 데이터 전송 케이블, 충전 케이블 등)에 의해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해당 전자 장치(100)의 기능을 모두 사용한 후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도킹 장치의 로테이터(3)에 설치된 유동체(4)에서 분리시킨 후, 로테이터(3)의 상면(32)을 눌러 도 2의 화살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다시 도 1의 상태 처럼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전자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컨넥터(47)를 하우징(2)으로 내장시켜 외부의 이물질이 도킹 장치(1)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컨넥터 자체도 보호하기 때문에 장치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도킹 장치의 외관 역시 미려해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도킹 장치(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장치(1)는 하우징(2)과, 하우징(2)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정 형상의 개구(211)를 포함하는 커버(21)와, 하우징(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하우징(2)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로테이터(3)와, 로테이터(3)에 설치되어 로테이터(3)의 개방시, 하우징(2)에서 노출되었을 때 함께 노출되는 장치 수용홈(41)을 포함하는 유동체(4)를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동체(4)는 상술한 로테이터(3)와 함께 회전되나, 로테이터(3)에서 자체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로테이터(3)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장치 수용홈(33)에 전자 장치가 수용될 때 그 위치가 고정되며, 로테이터(3)가 회전되어 폐쇄될 때에만 함께 하우징 내부로 유동되는 구성을 갖는다.
로테이터(3)는 몸체(31)의 일측으로 상면(32)이 형성되며, 상면(32)의 반대 방향으로는 유동체 수용홈(33)이 형성된다. 유동체 수용홈(33)과 상면(32)은 일정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로테이터(3)가 하우징(2)에서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유동체 수용홈(33)은 적용되는 전자 장치가 수직 방향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수용되는 전자 장치의 각도에 상응하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로테이터(3)의 상면(32) 하측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34)가 형성되며, 샤프트(34)의 외주에는 샤프트(34)와 함께 회전되도록 회전 기어(35)가 형성 또는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 기어(35)는 미도시되었으나 하우징(22) 내부에 형성되는 댐핑 기어와 맞물려 로테이터(3)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유동체 수용홈(33)의 외부 양측면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36)가 형성되며, 가이드 돌기(36)의 일측에는 경사캠(37)이 형성된다. 상술한 경사캠(37)은 유동체 수용홈(33)에서 홈 형식으로 형성되며, 일단과 타단의 높이가 다른 경사부를 포함한다. 역시, 유동체 수용홈(33)의 양측면에는 장공 형태의 보조 가이드 슬릿(38)이 형성되어, 후술될 유동체(4)의 양측면에 돌출되는 보조 가이드 돌기(43)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하우징(2)의 양 측면(22)에는 로테이터(3)의 샤프트(34)의 양단이 삽입될 수 있는 샤프트 지지홀(24)이 형성됨으로써, 로테이터(3)는 샤프트(34)에 의해 하우징(2)에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로테이터(3)는 샤프트(34)의 양단이 하우징(2)의 양 측면(22)에 형성된 샤프트 지지홀(24)에 삽입되어 이를 회전축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로테이터(3)의 샤프트(34)에는 적어도 하나의 토션 스프링(39)이 설치된다. 토션 스프링(39)은 그 일단이 샤프트(34)를 회전하는 방향으로 지지하고, 타단은 하우징(2)의 지지를 받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술한 로테이터(3)는 토션 스프링(39)에 의해 항상 로테이터(3)를 외측으로 개방시키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가압력을 제공받는다.
또한, 하우징(2)의 양측면(22)에는 제1가이드 슬릿(23)이 종방향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도, 제1가이드 슬릿(23)은 상술한 샤프트(34)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그려지는 궤적의 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로테이터(3)의 가이드 돌기(36)가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가이드 슬릿(23)은 로테이터(3)의 개폐 범위를 결정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로테이터(3)의 가이드 돌기(36)가 하우징(2)의 제1가이드 슬릿(23)의 최상단에 의해 단속받을 경우, 이러한 단속 위치가 로테이터(3)의 최대 개폐 범위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역시, 로테이터(3)의 가이드 돌기(36)가 하우징(2)의 제1가이드 슬릿(23)의 최하단에 의해 단속받을 경우, 이러한 단속 위치가 로테이터(3)의 폐쇄 범위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로테이터(3)의 제1가이드 슬릿(23)의 일측에는 제1가이드 슬릿(23)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제2가이드 슬릿(25)이 형성된다. 이 제2가이드 슬릿(25)은 후술될 유동체(4)에 돌출 설치되는 스토퍼(44)를 가이드 한다. 제2가이드 슬릿(25)은 제1가이드 슬릿(23)과 다르게도 상부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부(251)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후술되겠지만, 로테이터(3)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유동체(4)의 스토퍼(44)가 걸림부(251)에 걸리도록 하여 전자 장치를 유동체(4)의 장치 수용홈(41)에 장착할 때 하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며, 로테이터(3)가 폐쇄될 경우, 스토퍼(44)는 로테이터(3)와 함께 제2가이드 슬릿(25)을 따라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유동체(4) 역시 로테이터(3)와 함께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유동체(4)는 로테이터(1)의 유동체 수용홈(33)에 삽입되어 자체 유동이 가능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유동체(4)의 상부는 전자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장치 수용홈(41)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전자 장치의 하측과 접하며 컨넥터(47)를 지지하는 컨넥터 지지체(46)가 더 설치된다. 컨넥터(47)는 장치 수용홈(41)에서 컨넥터 지지체(46)를 관통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미도시되었으나, 컨넥터(47)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소정의 전기적 연결 수단(예를 들어, FPCB, 세선 케이블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유동체(4)의 양측면에는 수평 방향(전자 장치가 장착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장공(42)이 형성되며, 장공(42)에는 유동체(4)의 내부에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스토퍼(44)의 일부가 돌출된다. 스토퍼(44)는 유동체(4)의 장공(42)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유동체(4)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45)의 지지를 받아 장공(42)의 일방향으로 항상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도, 스토퍼(44)는 상술한 하우징(2)의 제2가이드 슬릿(25)의 걸림부(251)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가압받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프링(45)은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하우징(2)의 상부에는 로테이터(3)가 돌출되어 회전 가능한 개구를 구비한 커버(21)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커버(21)가 없더라도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2)의 자체 구조만으로도 본 발명에 대한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도킹 장치(1)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도킹 장치(1)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장착 관계를 설명하면, 로테이터(3)는 샤프트(34)가 하우징(2)의 샤프트 지지홀(34)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토션 스프링(39)의 일단은 하우징(2)의 내측면의 지지를 받아 로테이터(3)를 항상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로테이터(3)의 가이드 돌기(36)는 하우징(2)의 측면에 종방향으로 일정 곡률반경을 가지며 형성된 제1가이드 슬릿(23)의 안내를 받아 회전될 수 있는데, 이때, 가이드 돌기(36)가 제1가이드 슬릿(23)의 최상단에 의해 단속받을 때(도 4 및 도 5의 경우) 로테이터(3)는 하우징(2)에서 최대한 개방된 상태가 된다.
유동체(4)의 양측면에 형성된 장공(42)으로 돌출된 스토퍼(44)는 하우징(2)의 제2가이드 슬릿(25)에 가이드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의 경우 처럼 로테이터(3)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스토퍼(44)는 유동체(4)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의해 장공(42)의 일측으로 가압받는 상태가 되며, 결과적으로 상술한 스토퍼(44)는 제2가이드 슬릿(25)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부(251)에 걸리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유동체(4)의 장치 수용홈(41)에 전자 장치가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려는 힘을 가하여도 유동체(4)는 로테이터(3)에서 하측으로 밀리지 않고 그 위치가 견고히 유지된다.
또한, 유동체(4)의 양측면에 돌출된 스토퍼(44)는 로테이터(3)의 경사캠(37)의 유동 범위내에서 단속받도록 배치되어, 로테이터(3)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술한 경사캠(37)이 스토퍼(44)를 간섭하도록 하였다.
한편, 유동체(4)가 로테이터(3)의 유동체 수용홈(33)에 장착된다. 이때, 유동체(4)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보조 가이드 돌기(43)는 로테이터(3)의 유동체 수용홈(33)의 양측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보조 가이드 슬릿(38)에 삽입되어 유동체(4)가 로테이터(3)의 유동체 수용홈(33) 내부에서 유동되는 범위를 보조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미도시되었으나, 로테이터(3)와 하우징(2)에는 공지의 로킹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로킹 장치는 로테이터(3)가 사용자에 의해 하우징(2)에서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상술한 토션 스프링(39)에 의해 로테이터(3)를 개방시키려는 가압력을 단속한다. 예를 들어, 로테이터(3)는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한번 눌렀을 경우 로킹이 해제되어 로테이터(3)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로테이터(3)가 폐쇄된 상태에서 다시 한번 눌렀을 경우 그 위치가 유지되도록 로킹될 수 있을 것이다.
역시 미도시되었으나, 하우징(2)에는 별도의 로킹 버튼을 구비하여 로테이터(3)를 폐쇄시켰을 경우 잠기게 되고, 하우징(2)에 구비된 버튼을 눌렀을 경우 로테이터(3)가 개방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도킹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로테이터(3)가 하우징(2)에서 최대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로테이터(3)는 로테이터(3)의 가이드 돌기(36)가 하우징(2)의 제1가이드 슬릿(23)의 최상단부에 의해 단속받을 때까지 개방된다. 또한, 이때 유동체(4)에 돌출된 스토퍼(44)는 하우징(2)의 제2가이드 슬릿(25)의 걸림부(251)에 지속적으로 걸리도록 가압받는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하여 유동체(4)의 장치 수용홈(41)에 전자 장치가 장착되는 동작을 수행하더라도 유동체(4)가 하측으로 밀리지 않는다.
그후, 도 6 및 도 7을 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를 도킹 장치(1)에서 제거하고 난 후 로테이터(3)를 폐쇄시키기 위하여 회전시키면 로테이터(3)의 경사캠(37)은 유동체(4)에 돌출된 스토퍼(44)를 간섭하기 시작한다. 즉, 로테이터(3)의 경사캠(37)의 경사부는 로테이터(3)가 회전함에 따라 스토퍼(44)를 경사캠(37)의 경사부를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 즉, 스프링(45)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압받던 스토퍼(44)는 걸림부(251)를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가이드 슬릿(25)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후, 로테이터(3)의 지속적인 회전에 따른 경사캠(37)의 이동에 의해 스토퍼(44)가 걸림부(251)와 제2가이드 슬릿(25)의 경계 부분을 넘어 제2가이드 슬릿(25)으로 진입하게 되고, 스토퍼(44)는 제2가이드 슬릿(25)을 따라 하강되며, 이로 인하여 경사캠(37)을 따라 유동체(4) 역시 함께 하강하게 된다. 즉, 로테이터(3)가 계속 회전하면 스토퍼(44)에 의해 유동체(4)는 그 위치를 유지하고 로테이터(3)만 어느 정도 회전하며, 그 이후에는 유동체(4) 역시 로테이터(3)와 함께 회전하는 것이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로테이터(3)가 하우징(2)에서 완전히 폐쇄되는 위치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폐쇄된 상태에서 로테이터(3)를 개방시키게 되면 제2가이드 슬릿(25)의 하측에 위치된 스토퍼(44)는 제2가이드 슬릿(25)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된다. 로테이터(3)가 더욱더 회전되면 스토퍼(44)는 제2가이드 슬릿(25)과 연장된 걸림부(251)와 평행한 위치에 놓이게 되며, 이때, 스토퍼(44)는 스프링(45)에 의해 걸림부(251)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3의 위치가 된다. 즉, 스토퍼(44)에 의해 유동체(4)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더욱이, 로테이터(3)가 개방될 때, 로테이터(3)의 유동체 수용홈(33)의 양측면에 형성된 보조 가이드 슬릿(38)에 의해 유동체(4)의 양측면에 돌출된 보조 가이드 돌기(43)가 가이드되어 상승하기 때문에 유동체(4)의 스토퍼(44) 역시 하우징(2)의 제2가이드 슬릿(25)을 타고 상승할 수 있는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1: 도킹 장치 2: 하우징
3: 로테이터 4: 유동체
21: 커버 22: 측면
23: 제1가이드 슬릿 24: 샤프트 지지홀
25: 제2가이드 슬릿 31: (로테이터)몸체
32: 상면 33: 유동체 수용홈
34: 샤프트 35: 회전기어
36: 가이드 돌기 37: 경사캠
38: 보조 가이드 슬릿 39: 토션 스프링
41: 장치 수용홈 42: 장공
43: 보조 가이드 돌기 44: 스토퍼
45: 스프링 46: 컨넥터 지지체
47: 컨넥터 100: 전자 장치

Claims (20)

  1. 도킹 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일부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로테이터;
    상기 로테이터에 설치되어 상기 로테이터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전자 장치가 장착되기 위한 장치 수용홈이 함께 노출되는 유동체; 및
    상기 유동체에 설치되어 상기 로테이터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유동체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유동체를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도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는 상기 로테이터가 폐쇄될 때 함께 폐쇄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구현되는 도킹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된 일정 길이의 제1가이드 슬릿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도킹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는,
    몸체;
    상기 몸체의 후방에 형성되어 로테이터가 하우징에서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적어도 하우징의 면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상면;
    상기 상면과 대향되는 방향에서 상기 유동체가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유동체 수용홈을 포함하는 도킹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 일정 길이의 샤프트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서 형성된 샤프트 지지홀에 삽입됨으로서 로테이터의 회전 동작을 유도하는 도킹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일단은 상기 로테이터가 개방되려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샤프트를 가압하며, 타단은 하우징의 지지를 받도록 토션 스프링이 설치되는 도킹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로테이터가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그 위치를 고정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상기 로테이터를 개방시키는 로킹 장치를 더 포함하는 도킹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적어도 상기 로테이터가 회전되는 각도만큼 회전 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된 댐핑 기어에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로테이터의 개방 속도를 감속시키는 도킹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유동체의 양측면에서 상기 전자 장치가 장착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일정 길이의 장공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유동체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장공의 일단으로 가압받도록 설치되는 도킹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로테이터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유동체에서 돌출된 스토퍼가 가이드되기 위한 제2가이드 슬릿이 형성되되,
    상기 제2가이드 슬릿의 상단부는 장공과 평행한 방향으로 걸림부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터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도킹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장공의 걸림부 형성 방향으로 가압받도록 하는 도킹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의 양측면에는 개폐 동작시 상기 스토퍼를 간섭하도록 경사부를 갖는 경사캠이 홈 형식으로 형성되는 도킹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캠은 상기 로테이터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동작할 때, 상기 스토퍼를 상기 하우징의 걸림부에서 이탈시키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킹 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의 양측면에는 보조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터의 유동체 수용홈에 형성된 일정 길이의 보조 가이드 슬릿에 안착된 후 가이드 되어 그 유동 범위를 제한하는 도킹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수용홈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넥터가 돌출 설치되는 도킹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를 거치시키는 것만으로 동작하는 외장형 스피커 기능, 충전 기능, 데이터 송수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도킹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인 도킹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킹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인 전자 장치.
  20.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일부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로테이터;
    상기 로테이터에 설치되어 상기 로테이터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전자 장치가 장착되기 위한 장치 수용홈이 함께 노출되는 유동체;
    상기 유동체의 측면에 형성된 장공에 돌출 설치되되 소정의 탄성 수단에 의해 상기 장공의 일측으로 가압받도록 설치되는 스토퍼;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토퍼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슬릿;
    상기 가이드 슬릿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터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스토퍼가 상기 탄성 수단에 의해 가압받으면서 걸리도록 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장착 방향으로 상기 유동체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걸림부; 및
    상기 로테이터의 측면에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터가 폐쇄되는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스토퍼를 경사면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걸림부에서 이탈시키는 경사캠을 포함하는 도킹 장치.
KR1020120094161A 2012-08-28 2012-08-28 도킹 장치 KR101966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161A KR101966254B1 (ko) 2012-08-28 2012-08-28 도킹 장치
PCT/KR2013/006161 WO2014035047A1 (en) 2012-08-28 2013-07-10 Docking station
CN201380044991.7A CN104583895B (zh) 2012-08-28 2013-07-10 坞站
US13/966,976 US9192067B2 (en) 2012-08-28 2013-08-14 Docking station
EP13181736.3A EP2703936B1 (en) 2012-08-28 2013-08-26 Docking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161A KR101966254B1 (ko) 2012-08-28 2012-08-28 도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275A true KR20140028275A (ko) 2014-03-10
KR101966254B1 KR101966254B1 (ko) 2019-04-05

Family

ID=49035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161A KR101966254B1 (ko) 2012-08-28 2012-08-28 도킹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92067B2 (ko)
EP (1) EP2703936B1 (ko)
KR (1) KR101966254B1 (ko)
CN (1) CN104583895B (ko)
WO (1) WO20140350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86245B (zh) * 2013-10-03 2017-06-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用於承載電子裝置之承載結構
TWM490673U (en) * 2014-07-02 2014-11-21 shun-qing Li Socket for charging
WO2017002177A1 (ja) * 2015-06-29 2017-01-05 トリニティ株式会社 携帯端末類用回転端子装置及び電気スタンド
CN210838302U (zh) * 2016-10-07 2020-06-23 菲力尔系统公司 电子模块
TWI674498B (zh) * 2018-05-24 2019-10-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設備及卡合機構
US10707632B1 (en) 2019-06-20 2020-07-07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Docking cradle for a computing device having multiple mounting orientations
CN112259999B (zh) * 2020-10-20 2022-02-11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扩展坞
WO2023107192A1 (en) * 2021-12-10 2023-06-15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Reversible charging cradle adapter syste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2041A1 (en) * 1997-09-24 2002-03-14 Harness System Technologies Research, Ltd. Phone holder
US20110028189A1 (en) * 2009-02-20 2011-02-03 Chu-Keng Lin Charging Cradl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4290A (en) * 1988-10-31 1992-09-01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unit attachment device
US6366450B1 (en) 1999-12-09 2002-04-02 Gateway, Inc. Hideaway integrated docking cradle
KR100370613B1 (ko) * 2000-09-28 2003-02-05 김기일 휴대폰 거치 장치
CN2463880Y (zh) * 2001-02-13 2001-12-05 卢贺隆 外接储存媒介的手持计算机装置
JP2003198699A (ja) * 2001-12-26 2003-07-11 Asako Kawada 携帯電話機保持具
US6683786B2 (en) * 2002-01-07 2004-01-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computer docking station with movable electrical interface
US7719830B2 (en) * 2005-05-09 2010-05-18 Apple Inc. Universal docking station for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US7230822B2 (en) 2004-04-30 2007-06-12 Altec Lansing, A Division Of Plantronics, Inc. Compact portable media reproduction system
US7280854B2 (en) 2004-06-15 2007-10-09 Olympus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radle apparatus
US7227747B2 (en) * 2004-10-20 2007-06-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curing computer equipment
US7382611B2 (en) * 2004-11-12 2008-06-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nector protection system
TWI277384B (en) * 2005-08-18 2007-03-21 Asustek Comp Inc Docking station
US7580255B2 (en) * 2005-08-24 2009-08-25 Apple Inc. Docking station for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KR100891770B1 (ko) * 2006-09-19 2009-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스피커 시스템을 구비한 푸쉬 업 타입 휴대 충전 거치대
US20080089547A1 (en) * 2006-10-13 2008-04-17 Klipsch, Llc Digital audio speaker system for digital audio players with motorized drawer mechanism
TWI318095B (en) * 2007-03-30 2009-12-01 Asustek Comp Inc Electronic device bearing
TWI351576B (en) * 2007-08-09 2011-11-01 Benq Corp Height adjustment device with fine tuning of an im
US7643283B2 (en) * 2007-09-07 2010-01-05 Microsoft Corporation Adaptive dock for use with personal media players
US8159818B2 (en) * 2007-10-10 2012-04-17 Tomtom International B.V. D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CN101730967B (zh) 2008-05-02 2014-10-22 诺曼·R·伯恩 泊接台座
JP2010027130A (ja) * 2008-07-17 2010-02-04 Sony Corp 装着機構および出力装置
US8323040B2 (en) * 2008-09-05 2012-12-04 Apple Inc. Docking station with moveable connector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HK1123932A2 (en) * 2008-12-11 2009-06-26 Krongate Ltd Ipod docking in car hifi system with ipod adaptor
CN102758993B (zh) * 2011-04-26 2015-12-1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底座及使用该底座的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2041A1 (en) * 1997-09-24 2002-03-14 Harness System Technologies Research, Ltd. Phone holder
US20110028189A1 (en) * 2009-02-20 2011-02-03 Chu-Keng Lin Charging Cra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254B1 (ko) 2019-04-05
EP2703936A1 (en) 2014-03-05
CN104583895A (zh) 2015-04-29
US9192067B2 (en) 2015-11-17
US20140063703A1 (en) 2014-03-06
CN104583895B (zh) 2018-02-06
WO2014035047A1 (en) 2014-03-06
EP2703936B1 (en) 2018-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254B1 (ko) 도킹 장치
KR101733806B1 (ko) 휴대용 단말기
JP4269185B2 (ja) 携帯端末用クレードル装置
KR10049035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101927201B1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2009033750A (ja) スライディング及びローテーション複合メカニズムとこれを採用した携帯用電子機器
KR100735305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및 그에장착된 외장형 카드 커버 장치
KR20140141972A (ko) 전자 기기의 커버 개폐 장치
US8505167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hinge apparatus
KR100595674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KR100856221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650984B1 (ko) 전자기기용 개폐장치
KR200346612Y1 (ko)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폰
KR100681561B1 (ko) 슬라이딩 및 회전이 가능한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KR1006403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1049958B1 (ko) 틸트힌지모듈 및 이것이 장착된 휴대단말기
KR20050103348A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KR20037676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112642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2 축 힌지 장치
KR10067806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 장치
KR100233059B1 (ko) 핸드폰용 커버 힌지구조
KR100970471B1 (ko) 스윙 힌지모듈
KR20060025760A (ko) 힌지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10028307A (ko) 휴대폰의 힌지장치
KR20080096345A (ko) 2축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