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309A -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309A
KR20140027309A KR1020137031067A KR20137031067A KR20140027309A KR 20140027309 A KR20140027309 A KR 20140027309A KR 1020137031067 A KR1020137031067 A KR 1020137031067A KR 20137031067 A KR20137031067 A KR 20137031067A KR 20140027309 A KR20140027309 A KR 20140027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machine
virtual
clone
user
ca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 요시무라
도시키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인텔리전트윌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리전트윌파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인텔리전트윌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7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7Logical partitioning of resources; Management or configuration of virtualized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2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during program execution, e.g. stack integrity ; Preventing unwanted data erasure; Buffer overflow
    • G06F21/53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during program execution, e.g. stack integrity ; Preventing unwanted data erasure; Buffer overflow by executing in a restricted environment, e.g. sandbox or secure virtual mach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3Assignment of logical groups to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5Configuration of virtualised networks or elements, e.g. virtualised network function or OpenFlow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87Isolation or security of virtual machine inst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7User regis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9Restricted operating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8Restricting access to network management systems or functions, e.g. using authorisation function to access network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4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using virtualisation of network functions or resources, e.g. SDN or NFV e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과제> 가상 머신을 이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이용시킬 수가 있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물리 라우터(11) 상에 제1~제n 가상 라우터(141~14n)를 가상하는 가상 라우터 가상 수단과, 물리 방화벽(12) 상에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을 가상하는 가상 방화벽 가상 수단과, 물리 서버(13) 상에 복수의 가상 머신(161~16n)을 가상하는 가상 머신 가상 수단과, 글로벌 네트워크(171~17n)를 설정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설정 수단과,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를 설정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1 설정 수단과, 가상 머신(161~16n)을 각 이용자에게 할당하는 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을 실행한다.

Description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VIRTUAL MACHINES}
본 발명은 물리 서버 상에 가상된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을 각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가상 서버의 각각을 나타내는 가상 서버 식별자와 이 가상 서버를 분산하여 배치하는 복수의 물리 서버의 각각을 나타내는 물리 서버 식별자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서버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과, 가상 서버 식별자와 가상 서버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 식별자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가상 서버 구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과, 서버 배치 데이터, 가상 서버 식별자 및 그룹 식별자를 기초로 서버 배치 데이터에 따라 배치한 가상 서버 배치의 평가치를 산출하는 스텝과, 산출한 평가치에 따라 가상 서버 배치의 후보를 복수 표시하는 스텝을 구비한 가상 서버 분산 배치 방법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가상 서버 분산 배치 방법은 물리적인 계산기에 대해서 가상적인 계산기를 적절히 배치할 수가 있어 사용자 부문의 손실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8-140240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가상 서버 분산 배치 방법은, 가상 서버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그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에 따라 가상 서버를 각 이용자마다 구분하여 할당하지 못하고, 각 이용자의 가상 서버의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에 대응시키고, 그들 이용자에게 가상 서버를 낭비가 없이 유효하게 이용시킬 수가 없다. 또, 각 가상 서버에 다른 용량을 설정하지 못하고, 용량이 다른 가상 서버를 각 이용자마다 할당할 수가 없기 때문에, 각 이용자의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에 대응시킨 용량이 다른 가상 서버를 그들 이용자에게 이용시킬 수가 없다. 이 가상 서버 분산 배치 방법은, 각 가상 서버의 가동상황을 확인할 수가 없기 때문에, 가상 서버의 이용 효율을 파악하지 못하고, 가상 서버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 머신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그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에 따라 가상 머신을 각 이용자마다 할당할 수가 있어, 가상 머신을 그들 이용자에게 낭비가 없이 유효하게 이용시킬 수가 있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이용자의 그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에 대응시킨 용량이 다른 가상 머신을 각 이용자마다 할당할 수가 있어, 그들 이용자가 용량의 다른 가상 머신을 이용할 수가 있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가상 서버의 가동상황을 확인할 수가 있어, 가상 서버의 이용 효율을 파악할 수가 있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제는, 물리 서버 상에 가상된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을 각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다.
상기 전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특징은,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적어도 1대의 물리 라우터 상에 제1~제n 가상 라우터를 가상하는 가상 라우터 가상 수단과, 적어도 1대의 물리 방화벽 상에 제1~제n 가상 방화벽을 가상하는 가상 방화벽 가상 수단과, 적어도 1대의 물리 서버 상에 복수의 가상 머신을 가상하는 가상 머신 가상 수단과, 제1~제n 가상 라우터와 제1~제n 가상 방화벽을 개별적으로 접속하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설정 수단과, 제1~제n 가상 방화벽과 그들 가상 머신을 접속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1 설정 수단과, 그들 가상 머신을 각 이용자에게 할당하는 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을 가지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례로서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1 설정 수단이 각 1개의 가상 방화벽으로부터 복수의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연출(延出)시키고, 그들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제n 가상 방화벽과 그들 가상 머신을 접속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에서는, 각 1개의 가상 방화벽에 복수의 가상 머신이 연결되어 머신 그룹을 형성하고, 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이, 제1~제n 가상 방화벽에 연결되는 머신 그룹 중, 가장 처리 효율이 높은 머신 그룹에 속하는 가상 머신을 이용자에게 할당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글로벌 네트워크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한 글로벌 네트워크의 주소를 각 가상 머신마다 기억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1 기억 수단과,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1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한 각 가상 머신마다의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출력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1 출력 수단과,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1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한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주소를 각 가상 머신마다 기억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1 기억 수단과,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1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한 각 가상 머신마다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출력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1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가상 머신 가상 수단에 의해 가상한 가상 머신의 용량을 각 가상 머신마다 설정하는 용량 설정 수단과, 설정한 용량을 각 가상 머신마다 기억하는 용량 제1 기억 수단과, 각 가상 머신마다의 용량을 출력하는 용량 제1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한 각 가상 머신마다 소정의 IP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한 IP 주소를 각 가상 머신에 설정하는 IP 주소 제1 설정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한 가상 머신 중에서 불필요한 가상 머신을 삭제하는 가상 머신 제1 삭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이미 가상한 가상 머신과 동일한 가상 머신의 클론을 가상하는 클론 가상 수단과, 제1~제n 가상 방화벽과 클론을 접속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2 설정 수단과, 클론을 각 이용자에게 할당하는 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과, 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한 각 클론마다 소정의 IP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한 IP 주소를 각 클론에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IP 주소 제2 설정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2 설정 수단이, 각 1개의 가상 방화벽으로부터 복수의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연출(延出)시키고, 그들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통해 제1~제n 가상 방화벽과 그들 클론(clone)을 접속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에서는, 각 1개의 가상 방화벽에 복수의 클론이 연결되어 클론 그룹을 형성하고, 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이, 제1~제n 가상 방화벽에 연결되는 클론 그룹 중, 가장 처리 효율이 높은 클론 그룹에 속하는 클론을 이용자에게 할당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각 클론마다 기억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2 기억 수단과,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2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한 각 클론마다의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출력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2 출력 수단과,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2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한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주소를 각 클론마다 기억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2 기억 수단과,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2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한 각 클론마다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출력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2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클론 가상 수단에 의해 가상한 클론의 용량을 각 클론마다 기억하는 용량 제2 기억 수단과, 각 클론마다의 용량을 출력하는 용량 제2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한 클론 중에서 불필요한 클론을 삭제하는 가상 머신 제2 삭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사후에 추가, 변경, 삭제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개변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가상 머신과 상기 클론의 적어도 일방에 콘솔 기능을 설정하는 콘솔 기능 설정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상 머신 및 클론의 용량이 그들에 있어서 사용하는 중앙처리장치의 수이며,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중앙처리장치의 수를 사후에 증감하는 용량 개변 수단을 포함하고, 용량 제1 및 제2 기억 수단이 용량 개변 수단에 의해 증감한 중앙처리장치의 수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기억하고, 용량 제1 및 제2 출력 수단이 용량 개변 수단에 의해 증감한 중앙처리장치의 수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상 머신 및 클론의 용량이 그들의 메모리 크기이며, 용량 개변 수단이 메모리 크기를 사후에 증감하고, 용량 제1 및 제2 기억 수단이 용량 개변 수단에 의해 증감한 메모리 크기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기억하고, 용량 제1 및 제2 출력 수단이 용량 개변 수단에 의해 증감한 메모리 크기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상 머신 및 클론의 용량이 그들에 있어서 사용하는 하드디스크의 수이며, 용량 개변 수단이 하드디스크의 수를 사후에 증감하고, 용량 제1 및 제2 기억 수단이 용량 개변 수단에 의해 증감한 하드디스크의 수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기억하고, 용량 제1 및 제2 출력 수단이 용량 개변 수단에 의해 증감한 하드디스크의 수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상 머신 및 클론의 용량이 그들에 있어서 사용하는 하드디스크 용량이며, 용량 개변 수단이 하드디스크 용량을 사후에 증감하고, 용량 제1 및 제2 기억 수단이 용량 개변 수단에 의해 증감한 하드디스크 용량을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기억하고, 용량 제1 및 제2 출력 수단이 용량 개변 수단에 의해 증감한 하드디스크 용량을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이용자에게 할당한 가상 머신 및 클론의 가동상황을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기억하는 가동상황 기억 수단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의 가동상황을 출력하는 가동상황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상 머신 및 클론의 가동상황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과거 또는 현재의 메모리 이용률이며, 가동상황 기억 수단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메모리 이용률을 시계열로 기억하고,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의 메모리 이용률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메모리 이용률을 시계열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상 머신 및 클론의 가동상황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과거 또는 현재의 중앙처리장치 이용률이며, 가동상황 기억 수단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중앙처리장치 이용률을 시계열로 기억하고,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의 중앙처리장치 이용률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중앙처리장치 이용률을 시계열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상 머신 및 클론의 가동상황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과거 또는 현재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이며, 가동상황 기억 수단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시계열로 기억하고,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시계열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는, 가상 머신 및 클론의 가동상황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가동시간, 마지막 전원 ON 일시, 마지막 전원 OFF 일시이며, 가동상황 기억 수단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가동시간, 전원 ON 일시, 전원 OFF 일시를 기억하고,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의 가동시간, 전원 ON 일시, 전원 OFF 일시를 출력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물리 라우터 상에 가상된 제1~제n 가상 라우터와, 그들 제1~제n 가상 라우터에 접속되어 물리 방화벽(firewall) 상에 가상된 제1~제n 가상 방화벽과, 그들 제1~제n 가상 방화벽에 접속되어 물리 서버 상에 가상된 복수의 가상 머신을 구비하고, 그들 가상 머신을 각 이용자에게 할당하는 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을 실행하기 때문에, 가상 머신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그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에 응하여 각 가상 머신을 자유롭게 할당할 수가 있어, 이용자에게 있어 불필요한 가상 머신이 할당되는 일이 없고, 가상 머신을 그들 이용자에게 최적인 환경에서 낭비가 없이 유효하게 이용시킬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각 이용자가 가상 머신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인터넷을 통해 각종 서비스를 받을 수가 있다.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1 설정 수단이 각 1개의 가상 방화벽으로부터 복수의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연출시키고, 그들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통해 제1~제n 가상 방화벽과 그들 가상 머신을 접속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이용자가 가상 방화벽과 가상 머신을 접속하는 별개 독립의 복수의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보유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각 이용자가 별개 독립의 복수의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다른 목적으로 이용하는 가상 머신이나 가상 머신의 그룹을 만들 수가 있어, 다른 목적으로 이용하는 가상 머신이나 가상 머신의 그룹을 접속하는 복수의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제공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각 1개의 가상 방화벽에 복수의 가상 머신이 연결되어 머신 그룹을 형성하고, 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이 제1~제n 가상 방화벽에 연결되는 머신 그룹 중의 가장 처리 효율이 높은 머신 그룹에 속하는 가상 머신을 이용자에게 할당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가상 머신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그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에 응하여 머신 그룹으로부터 복수의 가상 머신을 이용자에게 할당할 수가 있어, 복수의 가상 머신을 그들 이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이용시킬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가장 처리 효율이 높은 머신 그룹에 속하는 가상 머신을 이용자에게 할당하기 때문에, 시스템에 있어서의 가상 머신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어 가상 머신의 처리 트러블(trouble)을 회피할 수가 있다.
글로벌 네트워크의 주소를 각 가상 머신마다 기억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1 기억 수단과, 각 가상 머신마다의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출력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1 출력 수단과,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주소를 각 가상 머신마다 기억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1 기억 수단과, 각 가상 머신마다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출력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1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각 가상 머신마다의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확인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각 가상 머신이 접속된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파악할 수가 있어, 그들 네트워크나 가상 머신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의 용량을 각 가상 머신마다 설정하는 용량 설정 수단과, 용량을 각 가상 머신마다 기억하는 용량 제1 기억 수단과, 각 가상 머신마다의 용량을 출력하는 용량 제1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각 가상 머신마다 다른 용량을 설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가상 머신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그 이용형태나 이용빈도, 이용방법 등에 응하여 용량이 다른 가상 머신을 자유롭게 할당할 수가 있어, 이용자에게 있어 불필요한 성능을 가지는 가상 머신이나 성능이 불비된 가상 머신이 할당되는 일이 없어, 최적인 용량을 가지는 가상 머신을 그들 이용자에게 이용시킬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각 가상 머신마다의 용량을 출력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각 가상 머신의 용량을 확인할 수가 있어, 가상 머신에 설정된 용량의 적정·부적정이나 가상 머신 필요성을 판단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한 각 가상 머신마다 소정의 IP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한 IP 주소를 각 가상 머신에 설정하는 IP 주소 제1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각 가상 머신에 소정의 IP 주소를 개별적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그들 IP 주소를 사용하여 가상 머신이 인터넷에 접속하고, 각 이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를 받을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그들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측으로부터 각 가상 머신에 액세스(access) 할 수가 있어, 각 이용자마다 할당된 가상 머신을 인터넷을 통한 각종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한 가상 머신 중에서 불필요한 가상 머신을 삭제하는 가상 머신 제1 삭제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각 가상 머신 가운데 불필요하게 된 가상 머신을 자유롭게 삭제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가상 머신의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을 고려하면서 가상 머신의 낭비를 줄일 수가 있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가상 머신을 낭비가 없이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이미 가상한 가상 머신과 동일한 가상 머신의 클론을 가상하는 클론 가상 수단과, 제1~제n 가상 방화벽과 클론을 접속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2 설정 수단과, 클론을 각 이용자에게 할당하는 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과, 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한 각 클론마다 소정의 IP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한 IP 주소를 각 클론에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IP 주소 제2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이미 존재하는 가상 머신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클론(복제)을 자유롭게 복제할 수가 있기 때문에,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가상 머신을 신속하게 작성할 수가 있어, 이용자의 동일 머신의 필요성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가상 머신의 클론에 소정의 IP 주소를 개별적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그들 IP 주소를 사용하여 클론이 인터넷에 접속하고, 각 이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를 받을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그들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측으로부터 가상 머신의 클론에 액세스 할 수가 있어, 가상 머신의 클론을 인터넷을 통한 각종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할 수가 있다.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2 설정 수단이 각 1개의 가상 방화벽으로부터 복수의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연출시키고, 그들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제n 가상 방화벽과 그들 클론을 접속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이용자가 가상 방화벽과 가상 머신을 접속하는 별개 독립의 복수의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보유할 수가 있어, 각 이용자가 별개 독립의 복수의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다른 목적으로 이용하는 클론이나 클론의 그룹을 만들 수가 있어, 다른 목적으로 이용하는 클론이나 클론의 그룹을 접속하는 복수의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제공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각 1개의 가상 방화벽에 복수의 클론이 연결되어 클론 그룹을 형성하고, 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이 제1~제n 가상 방화벽에 연결되는 클론 그룹 중의 가장 처리 효율이 높은 클론 그룹에 속하는 클론을 이용자에게 할당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클론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그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에 응하여 클론 그룹으로부터 복수의 클론을 이용자에게 할당할 수가 있어, 복수의 클론을 그들 이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이용시킬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가장 처리 효율이 높은 클론 그룹에 속하는 클론을 이용자에게 할당하기 때문에, 시스템에 있어서의 클론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어 클론의 처리 트러블을 회피할 수가 있다.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각 클론마다 기억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2 기억 수단과, 각 클론마다의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출력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2 출력 수단과,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각 클론마다 기억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2 기억 수단과, 각 클론마다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출력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2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각 클론마다의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확인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각 클론이 접속된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파악할 수가 있어, 그들 네트워크나 클론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가 있다.
클론 가상 수단에 의해 가상한 클론의 용량을 각 클론마다 기억하는 용량 제2 기억 수단과, 각 클론마다의 용량을 출력하는 용량 제2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각 클론마다의 용량을 출력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각 클론의 용량을 확인할 수가 있어 클론으로 설정된 용량의 적정·부적정이나 클론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한 클론 중에서 불필요한 클론을 삭제하는 가상 머신 제2 삭제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각 클론 가운데 불필요하게 된 클론을 자유롭게 삭제할 수가 있기 때문에, 클론의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을 고려하면서 클론의 낭비를 줄일 수가 있어 시스템에 있어서 클론을 낭비가 없이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사후에 추가, 변경, 삭제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개변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새로운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자유롭게 추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시스템에 있어서의 새로운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이용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가 있기 때문에, 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변경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가 있어 변경된 프라이빗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된 가상 머신이나 클론을 만들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자유롭게 삭제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가상 머신의 클론의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을 고려하면서 불필요한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삭제할 수가 있어,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삭제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과 클론과의 적어도 일방에 콘솔 기능을 설정하는 콘솔 기능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각 가상 머신이나 각 클론에 가상적인 콘솔 기능을 실현할 수가 있어,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통해 각 가상 머신이나 각 클론에 접속된 다른 기기를 콘솔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및 클론의 용량이 그들에 있어서 사용하는 중앙처리장치의 수이며, 중앙처리장치의 수를 사후에 증감하는 용량 개변 수단을 포함하고, 용량 제1 및 제2 기억 수단이 증감한 중앙처리장치의 수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기억하고, 용량 제1 및 제2 출력 수단이 증감한 중앙처리장치의 수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각 이용자의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에 따라 중앙처리장치의 수가 다른 가상 머신이나 클론을 할당할 수가 있고, 이용자에게 있어 불필요한 기능을 가지는 가상 머신이나 클론이 할당되는 일은 없어, 가상 머신이나 클론을 그들 이용자에게 최적인 환경에서 낭비가 없이 유효하게 이용시킬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중앙처리장치의 수를 사후에 증감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에 따라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성능 업(up)이나 성능 다운(down)을 행할 수가 있어, 이용자에게 그 요구에 맞는 가상 머신이나 클론을 이용시킬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설정된 중앙처리장치의 수나 증감한 중앙처리장치의 수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확인할 수가 있어,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중앙처리장치의 수의 적정·부적정을 판단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및 클론의 용량이 그들의 메모리 크기이며, 용량 개변 수단이 메모리 크기를 사후에 증감하고, 용량 제1 및 제2 기억 수단이 증감한 메모리 크기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기억하고, 용량 제1 및 제2 출력 수단이 증감한 메모리 크기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각 이용자의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에 따라 메모리 크기가 다른 가상 머신이나 클론을 할당할 수가 있고, 이용자에게 있어 불필요한 기능을 가지는 가상 머신이나 클론이 할당되는 일은 없어, 가상 머신이나 클론을 그들 이용자에게 최적인 환경에서 낭비가 없이 유효하게 이용시킬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메모리 크기를 사후에 증감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에 따라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성능 업(up)이나 성능 다운(down)을 행할 수가 있어, 이용자에게 그 요구에 맞는 가상 머신이나 클론을 이용시킬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설정된 메모리 크기나 증감한 메모리 크기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확인할 수가 있어,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메모리 크기의 적정·부적정을 판단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및 클론의 용량이 그들에 있어서 사용하는 하드디스크의 수이며, 용량 개변 수단이 하드디스크의 수를 사후에 증감하고, 용량 제1 및 제2 기억 수단이 증감한 하드디스크의 수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기억하고, 용량 제1 및 제2 출력 수단이 증감한 하드디스크의 수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각 이용자의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에 따라 하드디스크의 수가 다른 가상 머신이나 클론을 할당할 수가 있고, 이용자에게 있어 불필요한 기능을 가지는 가상 머신이나 클론이 할당되는 일은 없어, 가상 머신이나 클론을 그들 이용자에게 최적인 환경에서 낭비가 없이 유효하게 이용시킬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하드디스크의 수를 사후에 증감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에 따라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성능 업(up)이나 성능 다운(down)을 행할 수가 있어, 이용자에게 그 요구에 맞는 가상 머신이나 클론을 이용시킬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설정된 하드디스크의 수나 증감한 하드디스크의 수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확인할 수가 있어,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하드디스크의 수의 적정·부적정을 판단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및 클론의 용량이 그들에 있어서 사용하는 하드디스크 용량이며, 용량 개변 수단이 하드디스크 용량을 사후에 증감하고, 용량 제1 및 제2 기억 수단이 증감한 하드디스크 용량을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기억하고, 용량 제1 및 제2 출력 수단이 증감한 하드디스크 용량을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각 이용자의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에 따라 하드디스크 용량이 다른 가상 머신이나 클론을 할당할 수가 있고, 이용자에게 있어 불필요한 기능을 가지는 가상 머신이나 클론이 할당되는 일은 없어, 가상 머신이나 클론을 그들 이용자에게 최적인 환경에서 낭비가 없이 유효하게 이용시킬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하드디스크 용량을 사후에 증감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에 따라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성능 업(up)이나 성능 다운(down)을 행할 수가 있어, 이용자에게 그 요구에 맞는 가상 머신이나 클론을 이용시킬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설정된 하드디스크 용량이나 증감한 하드디스크 용량을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확인할 수가 있어,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하드디스크 용량의 적정·부적정을 판단할 수가 있다.
이용자에게 할당한 가상 머신 및 클론의 가동상황을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기억하는 가동상황 기억 수단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의 가동상황을 출력하는 가동상황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가동상황을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각 가상 머신이나 각 클론의 가동상황을 파악할 수가 있어,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성능 업이나 성능 다운을 적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추가나 삭제를 적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및 클론의 가동상황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과거 또는 현재의 메모리 이용률이며, 가동상황 기억 수단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메모리 이용률을 시계열로 기억하고,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의 메모리 이용률을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메모리 이용률을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각 가상 머신이나 각 클론의 메모리 이용률을 파악할 수가 있어,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메모리의 유지나 메모리의 증감을 적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추가나 삭제를 적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메모리 이용률을 시계열로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메모리 이용률을 시계열에 확인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각 가상 머신이나 각 클론의 메모리 이용률을 월마다나 일마다, 시간마다 파악할 수가 있어,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메모리의 유지나 메모리의 증감을 적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추가나 삭제를 적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및 클론의 가동상황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과거 또는 현재의 중앙처리장치 이용률이며, 가동상황 기억 수단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중앙처리장치 이용률을 시계열로 기억하고,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의 중앙처리장치 이용률을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중앙처리장치 이용률을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각 가상 머신이나 각 클론의 중앙처리장치 이용률을 파악할 수가 있어,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메모리의 유지나 메모리의 증감을 적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추가나 삭제를 적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중앙처리장치 이용률을 시계열로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각 가상 머신이나 각 클론의 중앙처리장치 이용률을 월마다나 일마다, 시간마다 파악할 수가 있어,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중앙처리장치의 유지나 중앙처리장치의 증감을 적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추가나 삭제를 적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및 클론의 가동상황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과거 또는 현재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이며, 가동상황 기억 수단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시계열로 기억하고,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각 가상 머신이나 각 클론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파악할 수가 있어,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유지나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추가, 변경, 삭제를 적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프라이빗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추가나 삭제를 적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시계열로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각 가상 머신이나 각 클론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월마다나 일마다, 시간마다 파악할 수가 있어,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유지나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추가, 변경, 삭제를 적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프라이빗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추가나 삭제를 적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및 클론의 가동상황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가동시간, 마지막 전원 ON 일시, 마지막 전원 OFF 일시이며, 가동상황 기억 수단이 가동시간, 전원 ON 일시, 전원 OFF 일시를 기억하고,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가동시간, 전원 ON 일시, 전원 OFF 일시를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은,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가동시간이나 ON/OFF 일시를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각 가상 머신이나 각 클론의 가동시간이나 ON/OFF 일시를 파악할 수가 있어,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추가, 삭제, 또는 가상 머신이나 클론의 용량의 추가, 변경, 삭제를 적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도 1은 일례로서 나타내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 2는 다른 일례로서 나타내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 3은 다른 일례로서 나타내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 4는 다른 일례로서 나타내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 5는 로그인(log-in)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초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신규 사용자(user) 등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네트워크 정보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가상 머신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가상 머신 용량 개변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클론(clone) 작성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네트워크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네트워크 상세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네트워크 추가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네트워크 변경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네트워크 삭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이벤트(event) 로그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사용자별 이벤트(event) 로그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가동상황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는 머신별 가동상황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3은 머신별 메모리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4는 머신별 CPU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는 프라이빗(private) 네트워크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6은 로그인(log-in)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7은 사용자 초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8은 사용자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9는 사용자 네트워크 상세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0은 사용자별 이벤트(event) 로그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1은 사용자 가동상황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일례로서 나타내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의 구성 개념도인 도 1 등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의 상세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이 시스템(10)은 그것을 관리하는 관리 사업자의 데이터 센터에 설치되고, 후기하는 물리 서버(13) 상에 가상된 가상 머신(161~16n)을 각 이용자(사용자(user))에게 제공한다.
도 1에 나타내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물리적으로 존재(실재)하는 하드웨어와 가상된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물리적인 하드웨어는 1대의 물리 보안 라우터(11)와, 1대의 물리 방화벽(12)과, 1대의 물리 서버(13)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시스템(10)에서는 1대의 물리 방화벽(12)에 1대의 물리 서버(13)가 접속되어 있다. 가상된 하드웨어는 1대의 물리 보안 라우터(11) 상에 가상된 제1~제n 가상 라우터(141~14n)(제1~제n 가상 라우터)와, 1대의 물리 방화벽(12) 상에 가상된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제1~제n 가상 방화벽)과, 1대의 물리 서버(13) 상에 가상된 복수의 가상 머신(161~16n)(가상 서버)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리 보안 라우터(11)와 물리 방화벽(12)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물리 방화벽(12)과 물리 서버(13)는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은 글로벌 네트워크(171~17n)를 통해 제1~제n 가상 라우터(141~14n)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의 시스템(10)에서는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으로부터 각각 1개의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가 연출(延出)되고, 그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에 의해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과 각 가상 머신(161~16n)이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시스템(10)에서는 각 1개의 가상 방화벽에 복수의 가상 머신(클론을 포함)이 연결되어 머신 그룹(클론 그룹을 포함)을 형성하고 있다.
각 이용자는 자기가 보유하는 사용자 서버(191~19n)를 통해 이 시스템(10)이 제공하는 가상 머신(161~16n)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용자는 사용자 서버(191~19n)를 사용하여 인터넷(20)으로부터 이 시스템(10)에 로그인(log in) 하고, 자기가 이용하는 가상 머신(161~16n)을 설정할 수가 있다. 이용자는 가상 머신(161~16n)을 이용하여 인터넷(20)을 통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인터넷(20)을 통해 각종 서비스를 받을 수가 있다.
물리 방화벽(12)이나 물리 서버(13), 사용자 서버(191~19n)는 중앙처리장치(CPU 또는 MPU)와 기억장치(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터이며, 대용량 하드디스크가 내장되어 있다. 사용자 서버(191~19n)에는 입력장치나 디스플레이(23)가 실장되어 있다. 물리 서버(13)나 사용자 서버(191~19n)는 호스트명(host name)과 그 호스트명에 할당하는 IP 주소와의 대응부를 설정하는 DNS 서버 기능, 홈페이지를 공개하기 위해서 필요한 Web 서버 기능, 다른 컴퓨터나 다른 서버로부터의 요구를 받아들여 각종 정보를 읽고 쓰는 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기능, 전자 메일의 송수신용의 메일 서버 기능, 작성된 문장이나 화상 등의 데이터를 모두 보존하여 그들의 데이터를 검색 가능하게 하는 문서 서버 기능 등의 각종 서버 기능을 가진다.
물리 서버(13)나 사용자 서버(191~19n)는 인터넷(20)에 접속 가능하고, 인터넷(20)을 이용함으로써, 불특정 다수의 다른 서버(컴퓨터)에 액세스 또한 로그인 할 수가 있다. 물리 서버(13)나 사용자 서버(191~19n)는 각종 정보(각종 서비스)를 인터넷(20)을 통해 제공할 수가 있고, 각종 정보(각종 서비스)를 인터넷(20)을 통해 받을 수가 있다.
각 가상 머신(161~16n)은, 물리 서버(13)와 마찬가지로, 중앙처리장치(CPU 또는 MPU)와 기억장치(메모리)와 하드디스크를 구비한 컴퓨터이며, DNS 서버 기능, Web 서버 기능, 데이터베이스 서버 기능, 메일 서버 기능, 문서 서버 기능 등의 각종 서버 기능을 가진다. 또한, 그들 가상 머신(161~16n)은 독립된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에 의해 동작하는 논리적인 컴퓨터이다. 가상 머신(161~16n)은 인터넷(20)에 접속 가능하고, 인터넷(20)을 이용함으로써, 불특정 다수의 다른 서버(컴퓨터)에 액세스 또한 로그인 할 수가 있다. 각 가상 머신(161~16n)은 각종 정보(각종 서비스)를 인터넷(20)을 통해 제공할 수가 있고, 각종 정보(각종 서비스)를 인터넷(20)을 통해 받을 수가 있다.
이 시스템(10)에서는 그들 가상 머신(161~16n) 중의 1대 또는 다수대가 관리용 머신(21)(관리용 가상 머신)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관리용 머신(21)에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도시하지 않음), 디스플레이(22)나 프린터(도시하지 않음) 등의 출력장치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상 머신(161~16n)을 관리용 머신(21)으로서 사용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물리 관리용 서버(관리용 컴퓨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물리 방화벽(12)에 접속하고, 그 물리 관리용 서버를 관리용 머신(21)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관리용 머신(21)은 이 시스템(10)의 관리자가 조작하고, 시스템(10)이 실행하는 각종 수단을 감시함과 아울러, 각 이용자에게 제공된 가상 머신(161~16n)을 감시한다.
그들 가상 머신(161~16n)이나 사용자 서버(191~19n)의 하드디스크에는 로그인 ID 및 패스워드와 로그인 ID 및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이용자 번호, 이용자명(법인명(대표자명을 포함), 개인명), 소속부과(所屬部課), 직무, 주소(법인 주소, 개인 주소), 전화번호, FAX 번호, 메일 주소 등의 이용자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관리용 머신(21)에는 로그인 ID 및 패스워드와 로그인 ID 및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관리 사업자 번호, 관리 법인명(대표자명을 포함), 법인 주소, 전화번호, FAX 번호, 메일 주소 등의 관리 사업자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도 2는 다른 일례로서 나타내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관리 사업자가 데이터 센터에 물리 서버(13)를 증설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에 있어서, 물리적인 하드웨어는 1대의 물리 보안 라우터(11)와, 1대의 물리 방화벽(12)과, 복수대의 물리 서버(131~13n)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시스템(10)에서는 각 1대의 물리 방화벽(12)에 복수대의 물리 서버(131~13n)가 접속되어 있다. 가상된 하드웨어는 1대의 물리 보안 라우터(11) 상에 가상된 제1~제n 가상 라우터(141~14n)와, 1대의 물리 방화벽(12) 상에 가상된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과, 복수대의 물리 서버(131~13n) 상에 가상된 복수의 가상 머신(161~16n)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리 보안 라우터(11)와 물리 방화벽(12)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물리 방화벽(12)과 그들 물리 서버(131~13n)는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도 2의 시스템(10)에 있어서, 물리 방화벽(12) 상에 가상된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은 글로벌 네트워크(171~17n)를 통해 물리 보안 라우터(11) 상에 가상된 제1~제n 가상 라우터(141~14n)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2의 시스템(10)에서는 제1~제n 가상 방화벽 그들 물리 서버(131~13n)로부터 복수 라인(2개 이상)의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가 연출(延出)되고, 그들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에 의해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과 각 가상 머신(161~16n)이 접속되어 있다. 시스템(10)에서는 각 1개의 가상 방화벽에 복수의 가상 머신(클론을 포함)이 연결되어 머신 그룹(클론 그룹을 포함)을 형성하고 있다. 물리 보안 라우터(11)나 물리 방화벽(12), 물리 서버(131~13n), 가상 머신(161~16n), 사용자 서버(191~19n)는 도 1의 시스템(10)의 그들과 동일하다.
도 3은 다른 일례로서 나타내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관리 사업자가 데이터 센터에 물리 보안 라우터(11)나 물리 방화벽(12), 물리 서버(13)를 증설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에 있어서,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하드웨어는 복수대의 물리 보안 라우터(111~11n)와, 각 물리 보안 라우터(111~11n)에 대응하는 복수대의 물리 방화벽(121~12n)과, 각 물리 방화벽(121~12n)에 대응하는 복수대의 물리 서버(131~13n)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의 시스템(10)에서는 각 1대의 물리 방화벽(121~12n)에 각 1대의 물리 서버(131~13n)가 접속되어 있다. 가상된 하드웨어는 그들 각 물리 보안 라우터(111~11n) 상에 가상된 제1~제n 가상 라우터(141~14n)와, 그들 각 물리 방화벽(121~12n) 상에 가상된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과, 그들 각 물리 서버(131~13n) 상에 가상된 복수의 가상 머신(161~16n)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리 보안 라우터(111~11n)와 물리 방화벽(121~12n)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물리 방화벽(121~12n)과 그들 물리 서버(131~13n)는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도 3의 시스템(10)에 있어서, 각 물리 방화벽(121~12n) 상에 가상된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은 글로벌 네트워크(171~17n)를 통해 각 물리 보안 라우터(111~11n) 상에 가상된 제1~제n 가상 라우터(141~14n)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3의 시스템(10)에서는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으로부터 각각 1개의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가 연출(延出)되고, 그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에 의해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과 각 가상 머신(161~16n)이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시스템(10)에서는 각 1개의 가상 방화벽에 복수의 가상 머신(클론을 포함)이 연결되어 머신 그룹(클론 그룹을 포함)을 형성하고 있다. 물리 보안 라우터(111~11n)나 물리 방화벽(121~12n), 물리 서버(131~13n), 가상 머신(161~16n), 사용자 서버(191~19n)는 도 1의 시스템(10)의 그들과 동일하다.
도 4는 다른 일례로서 나타내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관리 사업자가 데이터 센터에 물리 보안 라우터(11)나 물리 방화벽(12), 물리 서버(13)를 증설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에 있어서,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하드웨어는 복수대의 물리 보안 라우터(111~11n)와, 각 물리 보안 라우터(111~11n)에 대응하는 복수대의 물리 방화벽(121~12n)과, 각 물리 방화벽(121~12n)에 대응하는 복수대의 물리 서버(131~13n)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시스템(10)에서는 각 1대의 물리 방화벽(121~12n)에 복수대의 물리 서버(131~13n)가 접속되어 있다. 가상된 하드웨어는 그들 각 물리 보안 라우터(111~11n) 상에 가상된 제1~제n 가상 라우터(141~14n)와, 그들 각 물리 방화벽(121~12n) 상에 가상된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과, 그들 각 물리 서버(131~13n) 상에 가상된 복수의 가상 머신(161~16n)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리 보안 라우터(111~11n)와 물리 방화벽(121~12n)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물리 방화벽(121~12n)과 그들 물리 서버(131~13n)는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도 4의 시스템에 있어서, 각 물리 방화벽(121~12n) 상에 가상된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은 글로벌 네트워크(171~17n)를 통해 각 물리 보안 라우터(111~11n) 상에 가상된 제1~제n 가상 라우터(141~14n)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4의 시스템(10)에서는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으로부터 복수 라인(2개 이상)의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가 연출(延出)되고, 그들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에 의해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과 각 가상 머신(161~16n)이 접속되어 있다. 시스템(10)에서는 각 1개의 가상 방화벽에 복수의 가상 머신(클론을 포함)이 연결되어 머신 그룹(클론 그룹을 포함)을 형성하고 있다. 물리 보안 라우터(111~11n)나 물리 방화벽(121~12n), 물리 서버(131~13n), 가상 머신(161~16n), 사용자 서버(191~19n)는 도 1의 시스템(10)의 그들과 동일하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관리용 서버(21))은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메모리에 격납된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따라 이하의 각 수단을 실행한다. 시스템(10)은 물리 라우터(11, 111~11n) 상에 제1~제n 가상 라우터(141~14n)를 가상하는 가상 라우터 가상 수단을 실행하고, 물리 방화벽(12, 121~12n) 상에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을 가상하는 가상 방화벽 가상 수단을 실행한다. 시스템(10)은 물리 서버(13, 131~13n) 상에 복수의 가상 머신(161~16n)을 가상하는 가상 머신 가상 수단을 실행하고, 제1~제n 가상 라우터(141~14n)와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을 개별적으로 접속하는 글로벌 네트워크(171~17n)를 설정하고, 글로벌 네트워크(171~17n)를 통해 제1~제n 가상 라우터(141~14n)와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을 연결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설정 수단을 실행한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과 그들 가상 머신(161~16n)을 접속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를 설정하고,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를 통해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과 그들 가상 머신(161~16n)을 연결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1 설정 수단을 실행하고, 그들 가상 머신(161~16n)을 각 이용자에게 할당하는 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을 실행한다. 또한, 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한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소정의 IP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한 IP 주소를 각 가상 머신(161~16n)에 설정하는 IP 주소 제1 설정 수단을 실행한다.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1 설정 수단에서는, 도 2, 4에 나타내듯이, 각 1개의 가상 방화벽(151~15n)으로부터 복수의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를 연출시키고, 그들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를 통해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과 그들 가상 머신(161~16n)을 접속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은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에 연결되는 머신 그룹 중의 가장 처리 효율이 높은 머신 그룹에 속하는 가상 머신(161~16n)을 이용자에게 할당한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글로벌 네트워크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한 글로벌 네트워크(171~17n)의 주소를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기억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1 기억 수단을 실행하고,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1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한 각 가상 머신마다의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출력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1 출력 수단을 실행한다. 시스템(10)은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1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한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의 주소를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기억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1 기억 수단을 실행하고,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한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출력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1 출력 수단을 실행한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이미 가상한 가상 머신(161~16n)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가상 머신(161~16n)의 클론(복제)을 가상하는 클론 가상 수단을 실행하고,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과 가상 머신(161~16n)의 클론을 접속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를 설정하고,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를 통해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과 클론을 연결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2 설정 수단을 실행한다. 시스템(10)은 그들 클론을 각 이용자에게 할당하는 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을 실행하고, 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한 각 클론마다 소정의 IP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한 IP 주소를 각 클론에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IP 주소 제2 설정 수단을 실행한다.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2 설정 수단에서는, 도 2, 4에 나타내듯이, 각 1개의 가상 방화벽(151~15n)으로부터 복수의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를 연출시키고, 그들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를 통해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과 그들 클론을 접속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은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에 연결되는 클론 그룹 중의 가장 처리 효율이 높은 클론 그룹에 속하는 클론을 이용자에게 할당한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글로벌 네트워크의 주소를 각 클론마다 기억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2 기억 수단을 실행하고,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2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한 각 클론마다의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출력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2 출력 수단을 실행한다. 시스템(10)은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2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한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의 주소를 각 클론마다 기억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2 기억 수단을 실행하고,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2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한 각 클론마다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출력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2 출력 수단을 실행한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가상 라우터(141~14n)와 가상 방화벽(151~15n)을 접속하는 글로벌 네트워크(171~17n)를 사후(글로벌 네트워크(171~17n)의 초기설정 후)에 추가, 변경, 삭제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개변 수단을 실행한다.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1 기억 수단에서는 추가, 변경된 글로벌 네트워크(171~17n)의 주소를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기억하고,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2 기억 수단에서는 추가, 변경된 글로벌 네트워크(171~17n)의 주소를 각 클론마다 기억한다.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1 출력 수단에서는 추가, 변경된 글로벌 네트워크의 주소를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출력하고,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2 출력 수단에서는 추가, 변경된 글로벌 네트워크의 주소를 각 클론마다 출력한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가상 방화벽(151~15n)과 가상 머신(161~16n) 및 클론을 접속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를 사후(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의 초기설정 후)에 추가, 변경, 삭제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개변 수단을 실행한다.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1 기억 수단에서는 추가, 변경된 프라이빗 네트워크(171~17n)의 주소를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기억하고,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2 기억 수단에서는 추가, 변경된 프라이빗 네트워크(171~17n)의 주소를 각 클론마다 기억한다.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1 출력 수단에서는 추가, 변경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출력해,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2 출력 수단에서는 추가, 변경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각 클론마다 출력한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가상 머신 가상 수단에 의해 가상한 가상 머신(161~16n)의 용량을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설정하는 용량 설정 수단을 실행하고, 설정한 용량을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기억하는 용량 제1 기억 수단을 실행함과 아울러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의 용량을 출력하는 용량 제1 출력 수단을 실행한다. 시스템(10)은 클론 가상 수단에 의해 가상한 클론의 용량을 각 클론마다 기억하는 용량 제2 기억 수단을 실행하고, 각 클론마다의 용량을 출력하는 용량 제2 출력 수단을 실행한다.
가상 머신(161~16n)이나 클론의 용량에는, 각 가상 머신(161~16n)이나 클론에 있어서 사용하는 중앙처리장치(CPU 또는 MPU)의 수, 각 가상 머신(161~16n)의 메모리 크기, 각 가상 머신(161~16n)에 있어서 사용하는 하드디스크의 수, 각 가상 머신(161~16n)에 있어서 사용하는 하드디스크 용량, 사용하는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가상 머신(161~16n)이나 클론의 용량을 사후(용량의 초기설정 후)에 개변하는 용량 개변 수단을 실행한다. 용량 제1 기억 수단에서는 개변한 가상 머신(161~16n)의 용량을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기억하고, 용량 제2 기억 수단에서는 개변한 클론의 용량을 각 클론마다 기억한다. 용량 제1 출력 수단에서는 가상 머신(161~16n)의 개변한 용량을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출력해, 용량 제2 출력 수단에서는 클론의 개변한 용량을 각 클론마다 출력한다.
가상 머신(161~16n)이나 클론의 용량의 개변에는 가상 머신(161~16n)이나 클론의 중앙처리장치의 수를 사후에 증감하는 경우, 가상 머신(161~16n)이나 클론의 메모리 크기를 사후에 증감하는 경우, 가상 머신(161~16n)이나 클론의 하드디스크의 수를 사후에 증감하는 경우, 가상 머신(161~16n)이나 클론의 하드디스크 용량을 사후에 증감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운영체제를 변경하는 경우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한 가상 머신(161~16n) 중에서 불필요한 가상 머신(161~16n)을 삭제하는 가상 머신 제1 삭제 수단을 실행하고, 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한 클론 중에서 불필요한 클론을 삭제하는 가상 머신 제2 삭제 수단을 실행한다. 시스템은, 가상 머신과 클론과의 적어도 일방에 콘솔 기능을 설정하는 콘솔 기능 설정 수단을 실행한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이용자에게 할당한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가동상황을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및 각 클론마다 기억하는 가동상황 기억 수단을 실행하고,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가동상황을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및 각 클론마다 출력하는 가동상황 출력 수단을 실행한다. 가상 머신(161~16n) 및 클론의 가동상황에는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과거 또는 현재의 메모리 이용률이 있다. 가동상황 기억 수단에서는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메모리 이용률을 시계열로 기억한다. 가동상황 출력 수단에서는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메모리 이용률을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및 각 클론마다 출력함과 아울러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메모리 이용률을 시계열로 출력한다.
가상 머신(161~16n) 및 클론의 가동상황에는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과거 또는 현재의 CPU(MPU를 포함) 이용률(중앙처리장치 이용률)이 있다. 가동상황 기억 수단에서는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CPU 이용률을 시계열로 기억한다. 가동상황 출력 수단에서는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CPU 이용률을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및 각 클론마다 출력함과 아울러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CPU 이용률을 시계열로 출력한다.
가상 머신(161~16n) 및 클론의 가동상황에는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과거 또는 현재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이 있다. 가동상황 기억 수단에서는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시계열로 기억한다. 가동상황 출력 수단에서는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및 각 클론마다 출력함과 아울러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시계열로 출력한다.
가상 머신(161~16n) 및 클론의 가동상황에는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가동시간,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마지막 전원 ON 일시,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마지막 전원 OFF 일시가 있다. 가동상황 기억 수단에서는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가동시간,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전원 ON 일시,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전원 OFF 일시를 기억한다. 가동상황 출력 수단에서는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가동시간,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전원 ON 일시, 각 가상 머신(161~16n) 및 각 클론의 전원 OFF 일시를 출력한다.
도 5는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로그인(log-in)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6은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초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신규 사용자(user) 등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8은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그것들 도 및 이하에 나타내는 각 도에서는 각 입력 에리어(area)나 각 표시 에리어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이용자가 신규에 이 시스템(10)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 머신(161~16n)의 이용을 희망하는 경우, 최초로 시스템(10)을 관리하는 관리 사업자의 데이터 센터에 연락한다. 이용자는 사용자명, 대표자명, 전화번호, FAX 번호, 우편 번호, 주소, 메일 주소 등의 사용자정보를 담당자에게 전한다. 연락을 받은 데이터 센터의 담당자는 이용자가 사용을 희망하는 글로벌 네트워크(171~17n)의 수 및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의 수를 묻고, 관리용 머신(21)에 있어서 신규 사용자 등록을 행한다.
관리용 서버(21)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의 아이콘을 클릭하고, 시스템(10)을 기동시키면, 도 5에 나타내는 로그인 화면이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다. 도 5의 로그인 화면에는 관리자 ID입력 에리어(5a), 패스워드 입력 에리어(5b), 로그인 버튼(5c)이 표시된다. 관리 사업자(담당자)는 관리자 ID입력 에리어(5a)에 관리자 ID를 입력하고, 패스워드 입력 에리어(5b)에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로그인 버튼(5c)을 클릭한다.
로그인 버튼(5c)을 클릭하면, 도 6에 나타내는 초기 화면이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다. 도 6의 초기 화면에는 신규 사용자 등록 버튼(6a),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버튼(6b), 네트워크 일람 버튼(6c), 이벤트 일람 버튼(6d), 로그아웃(log-out) 버튼(6e)이 표시된다. 관리 사업자(담당자)는 신규 사용자 등록을 행하는 경우, 신규 사용자 등록 버튼(6a)을 클릭한다. 신규 사용자 등록 버튼(6a)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도 7에 나타내는 신규 사용자 등록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또한, 시스템(10)에서는 물리 라우터(11, 111~11n) 상에 복수의 제1~제n 가상 라우터(141~14n)가 가상되고(가상 라우터 가상 수단), 물리 방화벽(12, 121~12n) 상에 복수의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이 가상되어 있다(가상 방화벽 가상 수단).
도 7의 신규 사용자 등록 화면에는 사용자명 입력 에리어(7a), 수용 클러스터(cluster) 표시 에리어(7b), 대표자 입력 에리어(7c), 패스워드 입력 에리어(7d), 전화번호 입력 에리어(7e), FAX 번호 입력 에리어(7f), 우편 번호 입력 에리어(7g), 주소 입력 에리어(7h), 메일 주소 입력 에리어(7i), 개통 예정일 표시 에리어(7j)가 표시되고, 실행 버튼(7k), 클리어 버튼(7l), 취소 버튼(7m)이 표시된다. 수용 클러스터 표시 에리어(7b)에는 자동적으로 설정된 수용 클러스터(가장 가상 머신수가 적은 클러스터)가 표시된다. 개통 예정일 표시 에리어(7j)에는 사용자 등록을 행한 사용자의 가상 머신 사용 가능일이 표시된다.
관리 사업자(담당자)가 도 7의 신규 사용자 등록 화면의 각 입력 에리어에 필요한 데이터(정보)를 입력하고, 실행 버튼(7k)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함과 아울러, 사용자 NO 및 사용자 ID를 생성하고, 그 사용자 식별자와 각 입력 에리어에 입력된 데이터 및 각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데이터(등록일시 또는 최신 편집일시, 사용자 NO, 사용자 ID를 포함)를 관련지은 상태로 하드디스크에 격납한다. 관리용 머신(21)은 그들을 격납하면,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를 표시한 메일을 이용자의 사용자 서버(191~19n)에 송신함과 아울러, 다시 도 6의 초기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또한, 클리어 버튼(7l)를 클릭하면, 각 입력 에리어에 입력된 데이터가 소거되어 데이터의 입력을 처음부터 다시 한다. 취소 버튼(7m)을 클릭하면, 도 6의 초기 화면으로 돌아간다. 관리 사업자는 신규 사용자 등록에 의해 복수의 이용자를 이 시스템(10)에 등록한다.
다음에, 관리 사업자는 도 6의 초기 화면에 있어서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버튼(6b)을 클릭한다.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버튼(6b)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도 8에 나타내는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도 8의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화면에는 수용 클러스터가 표시된 클러스터 표시 에리어(8a),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8b), 가상 머신수(machine number)가 표시된 가상 머신수의 표시 에리어(8c),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가 표시된 글로벌 어드레스 표시 에리어(8d), 등록일시가 표시된 등록일시 표시 에리어(8e), 최종 편집일시가 표시된 최종 편집일시 표시 에리어(8f),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8g), 사용자의 패스워드가 표시된 사용자 패스워드 표시 에리어(8h), 사용자의 ID가 표시된 사용자 ID 표시 에리어(8i)가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정보 편집 버튼(8j), 네트워크 정보 설정 버튼(8k), 가상 머신 설정 버튼(8l), 가상 머신 일람 버튼(8m), 이벤트 로그 일람 버튼(8n), 가동상황 표시 버튼(8o), 닫음 버튼(8p)이 표시된다. 닫음 버튼(8p)을 클릭하면, 도 6의 초기 화면으로 돌아간다.
등록완료의 사용자정보를 추가, 변경, 삭제하는 경우(개변하는 경우), 관리 사업자는 도 8의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화면의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8b)에 표시된 사용자명 중, 사용자정보의 개변대상의 사용자명을 반전시킨 후, 사용자정보 편집 버튼(8j)을 클릭한다. 사용자정보 편집 버튼(8j)을 클릭하면,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관리용 머신(21)은 사용자정보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사용자정보 편집 화면은 도 7의 신규 사용자 등록 화면과 마찬가지의 화면이며, 등록완료 사용자의 각 데이터가 각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상태에 있다. 관리 사업자는 사용자정보를 개변하는 경우, 각 에리어에 표시된 데이터를 개변한 후, 실행 버튼을 클릭한다. 관리용 머신(21)은 사용자 식별자와 각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데이터(최신 편집일시, 사용자 NO를 포함)를 관련지은 상태로 하드디스크에 격납한다. 관리용 머신(21)은 그들을 격납하면, 다시 도 8의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도 9는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네트워크 정보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등록완료 사용자의 네트워크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 관리 사업자는 도 8의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화면의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8b)에 표시된 사용자명 중, 네트워크 정보를 설정하는 사용자명을 반전시킨 후, 네트워크 정보 설정 버튼(8k)을 클릭한다. 네트워크 정보 설정 버튼(8k)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도 9에 나타내는 네트워크 정보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도 9의 네트워크 정보 설정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9a),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9b), 글로벌 네트워크 입력 에리어, 프라이빗 네트워크 입력 에리어가 표시되고, 실행 버튼(9f), 클리어 버튼(9g), 취소(cancel) 버튼(9h)이 표시된다. 관리 사업자는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9a)나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9b)에 표시된 사용자명 및 사용자 NO를 확인한 후, 이용자가 희망하는 수의 글로벌 네트워크(171~17n)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글로벌 네트워크 입력 에리어 중의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입력 에리어(9c)에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입력(글로벌 네트워크 입력 에리어(9c)의 풀다운 리스트(pull-down list)로부터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선택)한다.
또한, 이용자가 희망하는 수의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입력 에리어 중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입력 에리어(9d)에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입력(프라이빗 네트워크 입력 에리어(9d)의 풀다운 리스트로부터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선택)함과 아울러, 프라이빗 네트워크 입력 에리어 중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ID입력 에리어(9e)에 프라이빗 네트워크 ID를 입력(프라이빗 네트워크 입력 에리어(9e)의 풀다운 리스트로부터 프라이빗 네트워크 ID를 선택)한다.
각 입력 에리어에 주소나 ID를 입력한 후, 실행 버튼(9f)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도시는 하지 않지만, 네트워크 설정 확인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네트워크 설정 확인 화면에는 네트워크 설정 대상의 사용자명, 글로벌 네트워크(171~17n)를 표시한 글로벌 네트워크 표시 에리어,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를 표시한 프라이빗 네트워크 표시 에리어, 설정 확인 버튼, 취소 버튼이 표시된다. 취소 버튼을 클릭하면, 도 8의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화면으로 돌아간다.
설정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사용자 식별자와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관련지은 상태로 하드디스크에 격납함과 아울러(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1 기억 수단), 사용자 식별자와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및 프라이빗 네트워크 ID를 관련지은 상태로 하드디스크에 격납한다(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1 기억 수단). 관리용 머신(21)은 그들을 격납하면, 다시 도 8의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또한, 도 9의 네트워크 정보 설정 화면에 있어서 클리어 버튼(9g)을 클릭하면, 각 입력 에리어에 입력된 데이터가 소거되어 데이터의 입력을 처음부터 다시 한다. 취소 버튼(9h)을 클릭하면, 도 8의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화면으로 돌아간다.
시스템(10)에서는, 도 1~도 4에 나타내듯이, 이용자의 요구에 의해, 글로벌 네트워크(171~17n)를 통해 접속된 복수의 가상 라우터(141~14n) 및 가상 방화벽(151~15n)을 이용자에게 사용시킬 수가 있다. 또, 이 시스템(10)에서는, 도 2~도 4에 나타내듯이, 1개의 가상 방화벽(151~15n)으로부터 이용자가 희망하는 수의 복수의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가 연출(延出)되고, 그들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에 가상 머신(161~16n)이 접속되고, 그들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에 접속된 가상 머신(161~16n)을 이용자에게 사용시킬 수가 있다.
도 10은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가상 머신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용자에게 이용시키는 가상 머신(161~16n)을 설정하는 경우, 관리 사업자는 도 8의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화면의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8b)에 표시된 사용자명 중, 가상 머신(161~16n)을 설정하는 사용자명을 반전시킨 후, 가상 머신 설정 버튼(8l)을 클릭한다. 가상 머신 설정 버튼(8l)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도 10에 나타내는 가상 머신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또한, 관리 사업자는 이용자로부터 사전에 가상 머신(161~16n)의 수 및 가상 머신(161~16n)의 용량(성능)의 희망을 받아들이고 있다.
도 10의 가상 머신 설정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10a),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10b), 머신명 입력 에리어(10c), CPU수(중앙처리장치수) 입력 에리어(10d), 메모리 크기 입력 에리어(10e), 디스크수 입력 에리어(10f), 각 디스크의 디스크 용량 입력 에리어(10g), OS 템플릿(templet) 입력 에리어(10h),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가 표시된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표시 에리어(10i),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가 표시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표시 에리어(10j)가 표시되고, 실행 버튼(10k), 클리어(clear) 버튼(10l), 취소 버튼(10m)이 표시된다.
관리 사업자는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10a)나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10b)에 표시된 사용자명 및 사용자 NO를 확인한 후, 이용자가 희망하는 수의 가상 머신(161~16n)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머신명 입력 에리어(10c)에 1 또는 2이상의 가상 머신명을 입력(머신명 입력 에리어(10c)의 풀다운 리스트로부터 가상 머신명을 선택)하고, CPU수(CPU number) 입력 에리어(10d)에 가상 머신(161~16n)의 CPU수를 입력(CPU수 입력 에리어(10d)의 풀다운 리스트로부터 CPU수를 선택)함과 아울러, 메모리 크기 입력 에리어(10e)에 가상 머신(161~16n)의 메모리 크기를 입력(메모리 크기 입력 에리어(10e)의 풀다운 리스트로부터 메모리 크기를 선택)한다. 또한, 디스크수(disk number) 입력 에리어(10f)에 가상 머신(161~16n)의 디스크수를 입력(디스크수 입력 에리어(10f)의 풀다운 리스트로부터 디스크수를 선택)하고, 디스크 용량 입력 에리어(10g)에 가상 머신(161~16n)의 디스크 용량을 입력(디스크 용량 입력 에리어(10g)의 풀다운 리스트로부터 디스크 용량을 선택)함과 아울러, OS 템플릿(templet) 입력 에리어(10h)에 가상 머신(161~16n)에 사용하는 OS 템플릿을 입력(OS 템플릿 입력 에리어(10h)의 풀다운 리스트로부터 OS 템플릿을 선택)한다.
도 10의 가상 머신 설정 화면에 있어서 각 입력 에리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 후, 실행 버튼(10k)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물리 서버(13, 131~13n) 상에 가상 머신(161~16n)을 생성하고(가상 머신 가상 수단), 생성한 가상 머신(161~16n)의 용량을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설정함과 아울러(용량 설정 수단), 생성한 가상 머신(161~16n)을 이용자에게 할당한다(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 관리용 머신(21)은 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한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소정의 IP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한 IP 주소를 각 가상 머신(161~16n)에 설정한다(IP 주소 제1 설정 수단).
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은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에 연결되는 머신 그룹 중의 가장 처리 효율이 높은 머신 그룹에 속하는 가상 머신(161~16n)을 이용자에게 할당한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가상 머신(161~16n)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그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에 응하여 머신 그룹으로부터 복수의 가상 머신(161~16n)을 이용자에게 할당할 수가 있어, 복수의 가상 머신(161~16n)을 그들 이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이용시킬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가장 처리 효율이 높은 머신 그룹에 속하는 가상 머신(161~16n)을 이용자에게 할당하기 때문에, 시스템(10)에 있어서의 가상 머신(161~16n)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어 가상 머신(161~16n)의 처리 트러블을 회피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161~16n)의 설정이 종료하면, 도 1~도 4에 나타내듯이, 물리 보안 라우터(111~11n) 상에 가상된 제1~제n 가상 라우터(141~14n)와 물리 보안 라우터 121~12 n상에 가상된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이 글로벌 네트워크(171~17n)를 통해 연결된다(글로벌 네트워크 설정 수단). 또한,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과 각 가상 머신(161~16n)이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를 통해 연결된다(프라이빗 네트워크 제1 설정 수단).
관리용 머신(21)은 사용자 식별자와 입력된 머신명이나 CPU수, 메모리 크기, 디스크수, 디스크 용량, OS 템플릿, IP 주소를 관련지은 상태로 하드디스크에 격납한다(용량 제1 기억 수단). 관리용 머신(21)은 그들을 격납하면, 다시 도 8의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또한, 도 10의 가상 머신 설정 화면에 있어서 클리어 버튼(10l)을 클릭하면, 각 입력 에리어에 입력된 데이터가 소거되어 데이터의 입력을 처음부터 다시 한다. 취소 버튼(10m)을 클릭하면, 도 8의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화면으로 돌아간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가상 머신(161~16n)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그 이용형태나 이용빈도, 이용방법 등에 응하여 각 가상 머신(161~16n)을 자유롭게 할당할 수가 있어, 이용자에게 있어 불필요한 가상 머신(161~16n)이 할당되는 일은 없고, 그들 이용자에게 가상 머신(161~16n)을 최적인 환경에서 낭비가 없이 유효하게 이용시킬 수가 있다. 시스템(10)은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다른 용량을 설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가상 머신(161~16n)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그 이용형태나 이용빈도, 이용방법 등에 응하여 용량이 다른 가상 머신(161~16n)을 자유롭게 할당할 수가 있어, 이용자에게 있어 불필요한 성능을 가지는 가상 머신(161~16n)이나 성능이 불비된 가상 머신(161~16n)이 할당되는 일은 없어, 최적인 용량을 가지는 가상 머신(161~16n)을 그들 이용자에게 이용시킬 수가 있다.
도 11은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용자가 할당된 가상 머신(161~16n)(가상 머신(161~16n)의 클론을 포함)을 삭제하는 경우, 관리 사업자는 도 8의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화면의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8b)에 표시된 사용자명 중, 특정의 사용자명을 반전시킨 후, 가상 머신 일람(8m)을 클릭한다. 가상 머신 일람(8m)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도 11에 나타내는 가상 머신 일람 화면(가상 머신(161~16n)의 용량 및 가상 머신(161~16n)의 클론의 용량, 가상 머신(161~16n)이 개변된 용량 및 가상 머신(161~16n)의 클론이 개변된 용량을 포함)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용량 제1 출력 수단, 용량 제2 출력 수단). 또한, 관리 사업자는 이용자로부터 사전에 가상 머신(161~16n)의 삭제의 요구를 받아들이고 있다.
도 11의 가상 머신 일람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11a),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11b), 설정완료 가상 머신명이 표시된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11c), 설정일시가 표시된 설정일시 표시 에리어(11d),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11c)의 가상 머신(161~16n)의 CPU수가 표시된 CPU수의 표시 에리어(11e), 메모리 크기가 표시된 메모리 크기 표시 에리어(11f), 디스크수가 표시된 디스크 수의 표시 에리어(11g), 디스크 용량이 표시된 디스크 용량 표시 에리어(11h), OS 템플릿(templet)이 표시된 OS 템플릿 표시 에리어(11i), 가상 머신이 클론인지를 나타내는 클론 표시 에리어(11j)가 표시된다. 또한, 가상 머신 삭제 버튼(11k), 용량 개변 버튼(11l), 클론 작성 버튼(11m), 콘솔 기능 설정 버튼(11n), 취소 버튼(11o)이 표시된다. 취소 버튼(11o)을 클릭하면, 도 8의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화면으로 돌아간다.
설정완료 가상 머신(161~16n)(가상 머신(161~16n)의 클론)을 삭제하는 경우, 관리 사업자는 도 11의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의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11d)에 표시된 가상 머신명 중, 삭제하는 1 또는 2이상의 가상 머신명을 반전시킨 후, 가상 머신 삭제 버튼(11k)을 클릭한다. 삭제 버튼(11k)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도시는 하지 않지만, 삭제 확인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삭제 확인 화면에는 삭제 대상의 가상 머신명, 삭제 확인 버튼, 취소 버튼이 표시된다. 취소 버튼을 클릭하면, 도 11의 가상 머신 일람 화면으로 돌아간다. 삭제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삭제 대상의 가상 머신(161~16n)이나 클론(IP 주소를 포함)을 하드디스크로부터 삭제한다(가상 머신 제1 삭제 수단, 가상 머신 제2 삭제 수단). 관리용 머신(21)은 가상 머신(161~16n)이나 클론을 하드디스크로부터 삭제한 후, 다시 도 11의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가상 머신(161~16n)이나 클론을 삭제한 후의 가상 머신 일람 화면에는 삭제된 가상 머신(161~16n)이나 클론이 소거되어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할당된 가상 머신(161~16n)이나 가상 머신(161~16n)의 클론 중에서, 불필요하게 된 가상 머신(161~16n)이나 클론을 이용자가 그 요구에 의해 자유롭게 삭제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가상 머신(161~16n)이나 클론의 이용형태나 이용빈도, 이용방법 등을 고려하면서 가상 머신(161~16n)이나 클론의 낭비를 줄일 수가 있어, 최적인 환경에 있어서 가상 머신(161~16n)이나 클론을 낭비가 없이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도 12는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가상 머신 용량 개변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용자가 할당된 가상 머신(161~16n)(가상 머신(161~16n)의 클론을 포함)의 용량을 개변하는 경우, 관리 사업자는 도 11의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의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11d)에 표시된 가상 머신명 중, 용량을 개변하는 가상 머신명을 반전시킨 후, 용량 개변 버튼(11l)을 클릭한다. 개변 버튼(11l)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도 12에 나타내는 가상 머신 용량 개변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도 12의 가상 머신 용량 개변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12a),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12b), 설정완료 가상 머신명이 표시된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12c), 새로운 가상 머신명을 입력하는 가상 머신명 입력 에리어(12d), CPU수가 표시된 CPU수의 표시 에리어(12e), 메모리 크기가 표시된 메모리 크기 표시 에리어(12f), 디스크 용량이 표시된 디스크 용량 표시 에리어(12g), OS 템플릿(templet)이 표시된 OS 템플릿 표시 에리어(12h)가 표시된다. 또한, 디스크수 추가입력 에리어(12i), 추가 디스크의 디스크 용량 입력 에리어(12j), 디스크 삭제 에리어(12k), 개변실행 버튼(12l), 클리어 버튼(12m), 취소 버튼(12n)이 표시된다. 취소 버튼(12n)을 클릭하면, 도 11의 가상 머신 일람 화면으로 돌아간다. 용량 개변에서는 CPU수, 메모리 크기, 디스크수, 디스크 용량, OS 템플릿 중의 적어도 1개를 변경할 수가 있다.
설정완료 가상 머신(161~16n)이나 클론의 용량을 개변하는 경우, 관리 사업자는 도 12의 가상 머신 용량 개변 화면에 있어서, 사용자명이나 사용자 NO, 가상 머신명을 확인한 후, 각 용량을 개변한다. 가상 머신명을 변경하는 경우, 가상 머신명 입력 에리어(12d)에 새로운 머신명을 입력한다. CPU수를 증감하는 경우, CPU수가 표시된 CPU수의 표시 에리어(12e)에 있어서 CPU수를 증감하고, 메모리 크기를 증감하는 경우, 메모리 크기가 표시된 메모리 크기 표시 에리어(12f)에 있어서 메모리 크기를 증감한다. 디스크 용량을 증감하는 경우, 디스크 용량이 표시된 디스크 용량 표시 에리어(12g)에 있어서 디스크 용량을 증감하고, OS 템플릿을 변경하는 경우, OS 템플릿(templet)이 표시된 OS 템플릿 표시 에리어(12h)에 있어서 OS 템플릿을 변경한다.
디스크수(disk number)를 추가하는 경우, 디스크수 추가입력 에리어(12i)에 있어서 추가 디스크수를 지정(디스크수 추가입력 에리어(12i)의 풀다운 리스트로부터 추가 디스크수를 선택)하고, 디스크 용량 입력 에리어(12j)에 추가한 디스크의 디스크 용량을 입력(디스크 용량 입력 에리어(12j)의 풀다운 리스트로부터 디스크 용량을 선택)한다. 디스크를 삭제하는 경우, 디스크 삭제 에리어(12k)에 있어서 삭제하는 디스크를 지정(디스크 삭제 에리어(12k)의 풀다운 리스트(pull-down list)로부터 삭제하는 디스크를 선택)한다.
그들 용량을 개변한 후, 개변실행 버튼(12l)을 클릭한다. 개변실행 버튼(12l)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도시는 하지 않지만, 개변확인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개변확인 화면에는 개변대상의 가상 머신명(머신명을 변경한 경우는 그 머신명)을 표시한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 개변 후의 CPU수, 메모리 크기, 디스크수, 디스크 용량, OS 템플릿을 표시한 용량 표시 에리어, 개변확인 버튼, 취소 버튼이 표시된다. 취소 버튼을 클릭하면, 도 11의 가상 머신 일람 화면으로 돌아간다. 개변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사용자 식별자와 변경된 머신명, 증감된 CPU수, 증감된 메모리 크기, 증감된 디스크수, 증감된 디스크 용량, 변경된 OS 템플릿을 관련지은 상태로 하드디스크에 격납한다(용량 개변 수단). 관리용 머신(21)은 그들을 격납하면, 다시 도 11의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도 13은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클론(clone) 작성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용자가 할당된 가상 머신(161~16n)과 동일한 가상 머신(161~16n)의 클론(복제)을 작성하는 경우, 관리 사업자는 도 11의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의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11d)에 표시된 가상 머신명 중, 클론을 작성하는 가상 머신명을 반전시킨 후, 클론 작성 버튼(11m)을 클릭한다. 클론 작성 버튼(11m)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도 13에 나타내는 클론 작성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도 13의 클론 작성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13a),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13b), 설정완료 가상 머신명이 표시된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13c), CPU수가 표시된 CPU수의 표시 에리어(13d), 메모리 크기가 표시된 메모리 크기 표시 에리어(13e), 디스크수가 표시된 디스크 수의 표시 에리어(13f), 디스크 용량이 표시된 디스크 용량 표시 에리어(13g), OS 템플릿(templet)이 표시된 OS 템플릿 표시 에리어(13h), 가상 머신(161~16n)의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가 표시된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표시 에리어(13i), 가상 머신(161~16n)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가 표시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표시 에리어(13j)가 표시된다. 또한, 클론수(clone number) 입력 에리어(13k), 클론 실행 버튼(13l), 클리어 버튼(13m), 취소 버튼(13n)이 표시된다. 취소 버튼(13n)을 클릭하면, 도 11의 가상 머신 일람 화면으로 돌아간다.
설정완료 가상 머신(161~16n)의 클론을 작성하는 경우, 관리 사업자는 도 13의 클론 작성 화면에 있어서, 사용자명이나 사용자 NO, 가상 머신명, CPU수, 메모리 크기, 디스크수, 디스크 용량, OS 템플릿,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확인한 후, 클론수 입력 에리어에 작성하는 클론의 수를 입력(클론수 입력 에리어의 풀다운 리스트로부터 클론의 수를 선택)하고, 클론 실행 버튼(13l)을 클릭한다.
클론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물리 서버(13, 131~13n) 상에 가상 머신(161~16n)의 클론을 가상하고(클론 가상 수단), 생성한 가상 머신(161~16n)의 클론을 이용자에게 할당한다(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 관리용 머신(21)은 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한 가상 머신(161~16n)의 각 클론마다 소정의 IP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한 IP 주소를 각 가상 머신(161~16n)에 설정한다(IP 주소 제2 설정 수단).
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은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에 연결되는 클론 그룹 중의 가장 처리 효율이 높은 클론 그룹에 속하는 클론을 이용자에게 할당한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클론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그 이용빈도나 이용형태, 이용방법 등에 응하여 클론 그룹으로부터 복수의 클론을 이용자에게 할당할 수가 있어, 복수의 클론을 그들 이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이용시킬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가장 처리 효율이 높은 클론 그룹에 속하는 클론을 이용자에게 할당하기 때문에, 시스템(10)에 있어서의 클론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어 클론의 처리 트러블을 회피할 수가 있다.
물리 서버(13, 131~13n) 상에 클론이 작성되면, 도 1~도 4에 나타내듯이, 물리 보안 라우터(111~11n) 상에 가상된 제1~제n 가상 라우터(141~14n)와 물리 보안 라우터(111~11n) 상에 가상된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이 글로벌 네트워크(171~17n)를 통해 연결된다(글로벌 네트워크 설정 수단). 또한, 제1~제n 가상 방화벽(151~15n)과 가상 머신(161~16n)의 각 클론이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를 통해 연결된다(프라이빗 네트워크 제2 설정 수단).
관리용 머신(21)은 사용자 식별자와 클론원의 가상 머신명 및 클론의 가상 머신명(예를 들어, 머신명+클론 1이나 머신명+클론 2 등)을 관련지은 상태로 하드디스크에 격납하고, 사용자 식별자와 클론의 CPU수나 메모리 크기, 디스크수, 디스크 용량, OS 템플릿, IP 주소를 관련지은 상태로 하드디스크에 격납한다(용량 제2 기억 수단). 또한, 사용자 식별자와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관련지은 상태로 하드디스크에 격납하고(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2 기억 수단),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네트워크 ID를 포함)를 관련지은 상태로 하드디스크에 격납한다(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2 기억 수단). 관리용 머신(21)은 그들을 격납하면, 다시 도 11의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이미 존재하는 가상 머신(161~16n)과 동일한 클론을 만들 수가 있고,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가상 머신(161~16n)을 자유롭게 복사(복제)함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가상 머신(161~16n)(클론)을 신속하게 작성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이용자의 요구에 응하여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가상 머신(161~16n)(클론)을 작성함으로써, 이용자의 가상 머신(161~16n)의 이용형태나 이용빈도, 이용방법 등에 응한 가상 머신(161~16n)의 필요성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다음에, 이용자가 할당된 가상 머신 이용형태에 콘솔 기능을 설정하는 경우, 관리 사업자는 도 11의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의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11d)에 표시된 가상 머신명 중, 콘솔 기능을 설정하는 가상 머신명을 반전시킨 후, 콘솔 기능 설정 버튼(11n)을 클릭한다. 콘솔 기능 설정 버튼(11n)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콘솔 기능 설정 대상의 가상 머신(161~16n)(가상 머신(161~16n)의 클론을 포함)에 콘솔 기능을 설정한다(콘솔 기능 설정 수단).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가상 머신(161~16n)이나 클론에 가상적인 콘솔 기능을 실현할 수가 있어,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를 통해 각 가상 머신(161~16n)이나 각 클론에 접속된 다른 기기를 콘솔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도 14는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네트워크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미 설정된 네트워크의 일람을 표시하는 경우, 관리 사업자는 도 6의 초기 화면에 있어서 네트워크 일람 버튼(6c)을 클릭한다. 네트워크 일람 버튼(6c)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도 14에 나타내는 네트워크의 일람(개변된 네트워크의 일람을 포함)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도 14의 네트워크 일람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14a), 글로벌 네트워크가 표시된 글로벌 네트워크 표시 에리어(14b), 프라이빗 네트워크가 표시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표시 에리어(14c), 인터페이스명이 표시된 인터페이스명 표시 에리어(14d), 클러스터가 표시된 클러스터 표시 에리어(14e), 변경일시가 표시된 변경일시 표시 에리어(14f)가 표시된다(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1 출력 수단,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1 출력 수단,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2 출력 수단,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2 출력 수단). 또한, 네트워크 상세 버튼(14g), 네트워크 추가 버튼(14h), 네트워크 변경 버튼(14i), 네트워크 삭제 버튼(14j), 인쇄 버튼(14k), 닫음 버튼(14l)이 표시된다. 인쇄 버튼(14k)을 클릭하면, 네트워크 일람 화면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일람이 프린터(printer)를 통해 인쇄된다. 닫음 버튼(14l)을 클릭하면, 도 6의 초기 화면으로 돌아간다. 관리 사업자는 도 14의 네트워크 일람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이 시스템(10)에 있어서의 네트워크의 이용상황을 파악할 수가 있다.
도 15는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네트워크 상세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네트워크 일람에 표시된 이용자 중, 특정의 이용자의 네트워크의 상세를 확인하는 경우, 관리 사업자는 도 14의 네트워크 일람 화면의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14a)에 표시된 사용자명 중, 네트워크 상세를 확인하는 사용자명을 반전시킨 후, 네트워크 상세 버튼(14g)을 클릭한다. 네트워크 상세 버튼(14g)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도 15에 나타내는 각 사용자의 네트워크의 상세(개변된 각 사용자의 네트워크의 상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도 15의 네트워크 상세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15a),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15b), 가상 머신명이 표시된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15c), 가상 머신(161~16n)이 클론인지를 나타내는 클론 표시 에리어(15d),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가 표시된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에리어(15e),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가 표시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표시 에리어(15f), 프라이빗 네트워크 ID가 표시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ID 표시 에리어(15g), 인쇄 버튼(15h), 닫음 버튼(15i)이 표시된다(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1 출력 수단,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1 출력 수단,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2 출력 수단,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2 출력 수단). 인쇄 버튼(15h)을 클릭하면, 네트워크 상세 화면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상세가 프린터를 통해 인쇄된다. 닫음 버튼(15i)을 클릭하면, 도 14의 네트워크 일람 화면으로 돌아간다. 관리 사업자는 도 15의 네트워크 상세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각 이용자마다에 있어서의 네트워크의 이용상황을 파악할 수가 있다.
도 16은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네트워크 추가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네트워크 일람에 표시된 이용자 중, 특정의 이용자에 대해 네트워크를 추가하는 경우, 관리 사업자는 도 14의 네트워크 일람 화면의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14a)에 표시된 사용자명 중, 네트워크를 추가하는 사용자명을 반전시킨 후, 네트워크 추가 버튼(14h)을 클릭한다. 네트워크 추가 버튼(14h)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도 16에 나타내는 각 사용자마다의 네트워크 추가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도 16의 네트워크 추가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16a),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16b), 글로벌 네트워크 입력 에리어, 프라이빗 네트워크 입력 에리어, 추가 버튼(16f), 클리어 버튼(16g), 취소 버튼(16h)이 표시된다. 관리 사업자는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16a)나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16b)에 표시된 사용자명 및 사용자 NO를 확인한 후, 이용자가 추가를 희망하는 수의 글로벌 네트워크(171~17n)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글로벌 네트워크 입력 에리어 중의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입력 에리어(16c)에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입력(글로벌 네트워크 입력 에리어(16c)의 풀다운 리스트(pull-down list)로부터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선택)한다.
또한, 이용자가 추가를 희망하는 수의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입력 에리어 중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입력 에리어(16d)에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입력(프라이빗 네트워크 입력 에리어(16d)의 풀다운 리스트로부터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선택)함과 아울러, 프라이빗 네트워크 입력 에리어 중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ID입력 에리어(16e)에 프라이빗 네트워크 ID를 입력(프라이빗 네트워크 입력 에리어(16e)의 풀다운 리스트로부터 프라이빗 네트워크 ID를 선택)한다.
각 입력 에리어에 주소나 ID를 입력한 후, 관리 사업자는 추가 버튼(16f)을 클릭한다. 추가 버튼(16f)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도시는 하지 않지만, 추가 확인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추가 확인 화면에는 사용자명을 표시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표시한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표시 에리어,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표시한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표시 에리어, 추가 확인 버튼, 취소 버튼이 표시된다.
추가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사용자 식별자와 추가된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관련지은 상태로 하드디스크에 격납함과 아울러(글로벌 네트워크 개변 수단), 사용자 식별자와 추가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프라이빗 네트워크 ID를 포함)를 관련지은 상태로 하드디스크에 격납한다(프라이빗 네트워크 개변 수단). 관리용 머신(21)은 그들을 격납하면, 다시 도 14의 네트워크 일람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또한, 도 16의 네트워크 추가 화면에 있어서 클리어 버튼(16g)을 클릭하면, 각 입력 에리어에 입력된 데이터가 소거되어 데이터의 입력을 처음부터 다시 한다. 취소 버튼(16h)을 클릭하면, 도 14의 네트워크 일람 화면으로 돌아간다.
도 17은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네트워크 변경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네트워크 일람에 표시된 이용자 중, 특정의 이용자에 대해 네트워크를 변경하는 경우, 관리 사업자는 도 14의 네트워크 일람 화면의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14a)에 표시된 사용자명 중, 네트워크를 변경하는 사용자명을 반전시킨 후, 네트워크 변경 버튼(14i)을 클릭한다. 네트워크 변경 버튼(14i)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도 17에 나타내는 각 사용자마다의 네트워크 변경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도 17의 네트워크 변경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17a),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17b), 글로벌 네트워크 표시 에리어, 프라이빗 네트워크 표시 에리어, 변경 버튼(17f), 취소 버튼(17g)이 표시된다. 관리 사업자는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17a)나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17b)에 표시된 사용자명 및 사용자 NO를 확인한 후, 변경 대상의 글로벌 네트워크(171~17n)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글로벌 네트워크 표시 에리어 중의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표시 에리어(17c)에 표시된 변경 대상의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변경한다.
또한, 변경 대상의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표시 에리어 중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표시 에리어(17d)에 표시된 변경 대상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변경함과 아울러, 프라이빗 네트워크 표시 에리어 중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ID 표시 에리어(17e)에 표시된 변경 대상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ID를 변경한다.
변경 대상의 네트워크 주소나 네트워크 ID를 변경한 후, 변경 버튼(17f)을 클릭한다. 변경 버튼(17f)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도시는 하지 않지만, 변경 확인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변경 확인 화면에는 사용자명을 표시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 변경된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표시한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표시 에리어, 변경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표시한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표시 에리어, 변경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ID를 표시한 프라이빗 네트워크 ID 표시 에리어, 변경 확인 버튼, 취소 버튼이 표시된다.
변경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사용자 식별자와 변경된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관련지은 상태로 하드디스크에 격납함과 아울러(글로벌 네트워크 개변 수단), 사용자 식별자와 변경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및 프라이빗 네트워크 ID를 관련지은 상태로 하드디스크에 격납한다(프라이빗 네트워크 개변 수단). 또한, 변경전의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프라이빗 네트워크 ID는, 하드디스크로부터 삭제된다. 관리용 머신(21)은 변경 후의 네트워크 주소나 네트워크 ID를 격납하면, 다시 도 14의 네트워크 일람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또한, 도 17의 네트워크 추가 화면이나 추가 확인 화면에 있어서 취소 버튼을 클릭하면, 도 14의 네트워크 일람 화면으로 돌아간다.
도 18은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네트워크 삭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네트워크 일람에 표시된 이용자 중, 특정의 이용자의 네트워크를 삭제하는 경우, 관리 사업자는 도 14의 네트워크 일람 화면의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14a)에 표시된 사용자명 중, 네트워크를 삭제하는 사용자명을 반전시킨 후, 네트워크 삭제 버튼(14j)을 클릭한다. 네트워크 삭제 버튼(14j)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도 18에 나타내는 각 사용자마다의 네트워크 삭제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도 18의 네트워크 삭제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18a),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18b), 글로벌 네트워크 표시 에리어, 프라이빗 네트워크 표시 에리어, 삭제 버튼(18f), 취소 버튼(18g)이 표시된다. 관리 사업자는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18a)나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18b)에 표시된 사용자명 및 사용자 NO를 확인한 후, 글로벌 네트워크 표시 에리어 중의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표시 에리어(18c)에 표시된 삭제 대상의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반전시킨다. 또한, 프라이빗 네트워크 입력 에리어 중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입력 에리어(18d)에 표시된 삭제 대상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반전시킴과 아울러, 프라이빗 네트워크 입력 에리어 중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ID입력 에리어(18e)에 표시된 삭제 대상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ID를 반전시킨다.
삭제 대상의 네트워크 주소나 네트워크 ID를 반전시킨 후, 삭제 버튼(18f)을 클릭한다. 삭제 버튼(18f)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도시는 하지 않지만, 삭제 확인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삭제 확인 화면에는 사용자명을 표시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 삭제 대상의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표시한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표시 에리어, 삭제 대상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표시한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표시 에리어, 삭제 대상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ID를 표시한 프라이빗 네트워크 ID 표시 에리어, 삭제 확인 버튼, 취소 버튼이 표시된다.
삭제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관리용 머신(21)은 삭제 대상의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프라이빗 네트워크 ID를 하드디스크로부터 소거한다(글로벌 네트워크 개변 수단, 프라이빗 네트워크 개변 수단). 관리용 머신(21)은 네트워크 주소 및 네트워크 ID를 삭제하면, 다시 도 14의 네트워크 일람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또한, 도 18의 네트워크 추가 화면이나 삭제 확인 화면에 있어서 취소 버튼을 클릭하면, 도 14의 네트워크 일람 화면으로 돌아간다.
도 19는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이벤트(event) 로그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각 이용자의 가상 머신(161~16n)의 이벤트 로그를 표시하는 경우, 관리 사업자는 도 6의 초기 화면에 있어서 이벤트 로그 일람(6d)을 클릭한다. 이벤트 로그 일람(6d)을 클릭하면, 관리용 서버(21)는 도 19에 나타내는 이벤트 로그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또한, 이벤트 로그란, 가상 머신(161~16n)에 있어서 실시된 이벤트(머신 형태나 머신 상태, 머신 가동상황 등)의 기록이다.
도 19의 이벤트 로그 표시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19a), 이벤트 발생 일시가 표시된 발생 일시 표시 에리어(19b), 가상 머신명이 표시된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19c), 이벤트명이 표시된 이벤트명 표시 에리어(19d), CPU수가 표시된 CPU수의 표시 에리어(19e), 메모리 크기가 표시된 메모리 크기 표시 에리어(19f), 디스크수가 표시된 디스크 수의 표시 에리어(19g), 디스크 용량이 표시된 디스크 용량 표시 에리어(19h), OS 템플릿(templet)이 표시된 OS 템플릿 표시 에리어(10i), 비고 표시 에리어(19j)가 표시된다. 또한, 인쇄 버튼(19k), 사용자별 이벤트 로그 표시 버튼(19l), 닫음 버튼(19m)이 표시된다. 인쇄 버튼(19k)을 클릭하면, 이벤트 로그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이벤트 로그가 프린터를 통해 인쇄된다. 닫음 버튼(19m)을 클릭하면, 도 6의 초기 화면으로 돌아간다. 관리 사업자는 도 19의 이벤트 로그 표시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모두 이용자의 가상 머신(161~16n)에 있어서의 이벤트를 파악할 수가 있다.
이벤트명(event name) 표시 에리어(19d)에 표시되는 이벤트명에는, 신규 가상 머신, 가상 머신 클론, 가상 머신 삭제, 가상 머신 클론 삭제, 가상 머신명 변경, CPU수 증감, 메모리 크기 증감, 디스크수 증감, 디스크 용량 증감, 디스크 삭제,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추가,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변경,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삭제,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추가,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변경,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삭제, 전원 ON, 전원 OFF가 있다. 비고 표시 에리어에 표시되는 비고에는 클론원의 가상 머신명, 변경전의 가상 머신명, 증감 내용이 있다.
도 20은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사용자별 이벤트(event) 로그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의 이벤트 로그 표시 화면의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19a)에 표시된 사용자명 중, 이벤트 로그의 표시 대상의 사용자명을 반전시킨 후, 사용자별 이벤트 로그 표시 버튼(19l)을 클릭하고, 또는 도 8의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화면의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8b)에 표시된 사용자명 중, 이벤트 로그의 표시 대상의 사용자명을 반전시킨 후, 이벤트 로그 표시 버튼(8n)을 클릭하면, 관리용 서버(21)는 도 20에 나타내는 사용자별 이벤트 로그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
도 20의 사용자별 이벤트 로그 표시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20a),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20b), 가상 머신명이 표시된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20c), 이벤트 발생 일시가 표시된 발생 일시 표시 에리어(20d), 이벤트명이 표시된 이벤트명 표시 에리어(20e), CPU수가 표시된 CPU수의 표시 에리어(20f), 메모리 크기가 표시된 메모리 크기 표시 에리어(20g), 디스크수가 표시된 디스크 수의 표시 에리어(20h), 디스크 용량이 표시된 디스크 용량 표시 에리어(20i), OS 템플릿(templet)이 표시된 OS 템플릿 표시 에리어(20j), 비고 표시 에리어(20k)가 표시되고, 또한 인쇄 버튼(20l), 닫음 버튼(20m)이 표시된다. 인쇄 버튼(20l)을 클릭하면, 사용자별 이벤트 로그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이벤트 로그가 프린터를 통해 인쇄된다. 닫음 버튼(20m)을 클릭하면, 도 19의 이벤트 로그 표시 화면으로 돌아간다. 관리 사업자는 도 20의 사용자별 이벤트 로그 표시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각 이용자마다의 가상 머신(161~16n)에 있어서의 이벤트를 파악할 수가 있다.
도 21은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가동상황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관리용 서버(21)는 사용자 식별자와 가상 머신명과 그 가상 머신명의 가상 머신의 가동상황(메모리 이용률, CPU 이용률,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 연월일 및 시간을 포함)을 관련지은 상태로 하드디스크에 격납한다(가동상황 기억 수단). 또, 사용자 식별자와 클론의 가상 머신명과 그 가상 머신명의 클론의 가동상황(메모리 이용률, CPU 이용률,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 연월일 및 시간을 포함)을 관련지은 상태로 하드디스크에 격납한다(가동상황 기억 수단). 도 8의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화면의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8b)에 표시된 사용자명 중, 가동상황의 표시 대상의 사용자명을 반전시킨 후, 가동상황 표시 버튼(8o)을 클릭하면, 관리용 서버(21)는 도 21에 나타내는 사용자별의 가동상황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가동상황 출력 수단).
도 21의 가동상황 표시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21a),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21b), 가상 머신명이 표시된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21c), 머신 상태가 표시된 상태 표시 에리어(21d), 메모리 이용상황이 표시된 메모리 이용상황 표시 에리어(21e), CPU 이용상황이 표시된 CPU 이용상황 표시 에리어(21f),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가 표시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표시 에리어(21g), 최종 전원 ON 일시가 표시된 최종 전원 ON 일시 표시 에리어(21h), 최종 전원 OFF 일시가 표시된 최종 전원 OFF 일시 표시 에리어(21i)가 표시되고, 또한 가상 머신별 가동상황 표시 버튼(21j), 가상 머신별 메모리 이용률 시계열 표시 버튼(21k), 가상 머신별 CPU 이용률 시계열 표시 버튼(21l),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 시계열 표시 버튼(21m), 인쇄 버튼(21n), 닫음 버튼(21o)이 표시된다. 인쇄 버튼(21n)을 클릭하면, 가동상황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각 가상 머신의 가동상황이 프린터를 통해 인쇄된다. 닫음 버튼(21o)을 클릭하면, 도 8의 등록완료 사용자정보 일람 화면으로 돌아간다. 관리 사업자는 도 21의 가동상황 표시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모두 이용자의 가상 머신(161~16n)에 있어서의 가동상황을 파악할 수가 있다.
상태 표시 에리어(21d)에는 가상 머신(161~16n) 상태가 표시되어 상태 표시 에리어(21d)의 ○는 상태가 양호, 상태 표시 에리어(21d)의 △는 상태가 주의, 상태 표시 에리어(21d)의 ×는 상태가 불량을 의미한다. 또한, 신호기와 마찬가지로, 상태가 양호한 경우는 청색 표시, 상태가 주의인 경우는 황색 표시, 상태가 불량인 경우는 적색 표시로 할 수도 있다. 메모리 이용상황 표시 에리어(21e)에는 각 가상 머신(161~16n)에 있어서의 현재의 메모리 이용률이 표시되고, CPU 이용상황 표시 에리어(21f)에는 각 가상 머신(161~16n)에 있어서의 현재의 CPU 이용률이 표시된다. 최종 전원 ON 일시 표시 에리어(21h)에는 각 가상 머신(161~16n)에 있어서의 전원 ON의 최종 일시가 표시되고, 최종 전원 OFF 일시 표시 에리어(21i)에는 각 가상 머신(161~16n)에 있어서의 전원 OFF의 최종 일시가 표시된다.
도 22는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머신별 가동상황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의 가동상황 표시 화면의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21c)에 표시된 머신명 중, 가동상황의 표시 대상의 머신명을 반전시킨 후, 머신별 가동상황 표시 버튼(21j)을 클릭하면, 관리용 서버(21)는 도 22에 나타내는 머신별 가동상황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가동상황 출력 수단).
도 22의 머신별 가동상황 표시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22a),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22b), 가상 머신명이 표시된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22c), 머신 상태가 표시된 상태 표시 에리어(22d), 메모리 이용상황이 표시된 메모리 이용상황 표시 에리어(22e), CPU 이용상황이 표시된 CPU 이용상황 표시 에리어(22f), 가상 머신의 가동시간이 표시된 가동시간 표시 에리어(22g),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이 표시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 표시 에리어(22h), 표시일시가 표시된 표시일시 표시 에리어(22i), 표시일시 입력 에리어(22j), 재표시 버튼(22k)이 표시된다. 또한, 메모리 크기가 표시된 메모리 크기 표시 에리어(22l), CPU수가 표시된 CPU수의 표시 에리어(22m), 디스크수가 표시된 디스크 수의 표시 에리어(22n), 디스크 용량이 표시된 디스크 용량 표시 에리어(22o), 인쇄 버튼(22p), 닫음 버튼(22q)이 표시된다.
인쇄 버튼(22p)을 클릭하면, 머신별 가동상황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머신별 가동상황이 프린터를 통해 인쇄된다. 닫음 버튼(22q)을 클릭하면, 도 21의 가동상황 표시 화면으로 돌아간다. 가동시간 표시 에리어(22g)에는 가상 머신(161~16n)의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가동시간이 표시된다.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 표시 에리어(22h)에는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가상 머신(161~16n)이 접속된 프라이빗 네트워크(181~18n)의 이용률이 표시된다. 표시일시 입력 에리어(22j)에 새로운 표시일시를 입력하고, 재표시 버튼(22k)을 클릭하면, 관리용 서버(21)는 입력된 일시에 있어서의 머신별 가동상황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가동상황 출력 수단). 관리 사업자는 도 22의 머신별 가동상황 표시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에 있어서의 가동상황을 파악할 수가 있다.
도 23은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머신별 메모리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의 가동상황 표시 화면의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21c)에 표시된 머신명 중, 메모리 이용률의 시계열 표시 대상의 머신명을 반전시킨 후, 머신별 메모리 이용률 시계열 표시 버튼(21k)을 클릭하면, 관리용 서버(21)는 도 23에 나타내는 머신별 메모리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가동상황 출력 수단).
도 23의 머신별 메모리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23a),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23b), 가상 머신명이 표시된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23c), 그 가상 머신의 메모리 이용률을 시계열로 표시한 메모리 이용률 그래프(23d), 인쇄 버튼(23e), 닫음 버튼(23f)이 표시된다. 인쇄 버튼(23e)을 클릭하면, 메모리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메모리 이용률이 프린터를 통해 인쇄된다. 닫음 버튼(23f)을 클릭하면, 도 21의 가동상황 표시 화면으로 돌아간다. 메모리 이용률 그래프(23d)에서는 세로축에 메모리 이용률(%)이 표시되고, 가로축에 경과시간이 표시된다. 또한, 경과시간으로서 월마다, 일마다, 시간마다의 어느 것의 표시를 할 수가 있다. 관리 사업자는 도 23의 머신별 메모리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에 있어서의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메모리 이용률을 시계열로 파악할 수가 있다.
도 24는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머신별 CPU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의 가동상황 표시 화면의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21c)에 표시된 머신명 중, CPU 이용률의 표시 대상의 머신명을 반전시킨 후, 머신별 CPU 이용률 시계열 표시 버튼(21l)을 클릭하면, 관리용 서버(21)는 도 24에 나타내는 머신별 CPU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가동상황 출력 수단).
도 24의 머신별 CPU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24a),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24b), 가상 머신명이 표시된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24c), 그 가상 머신의 CPU 이용률을 시계열로 표시한 CPU 이용률 그래프(24d), 인쇄 버튼(24e), 닫음 버튼(24f)이 표시된다. 인쇄 버튼(24e)을 클릭하면, CPU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CPU 이용률이 프린터를 통해 인쇄된다. 닫음 버튼(24f)을 클릭하면, 도 21의 가동상황 표시 화면으로 돌아간다. CPU 이용률 그래프(24d)에서는 세로축에 CPU 이용률(%)이 표시되고, 가로축에 경과시간이 표시된다. 또한, 경과시간으로서 월마다, 일마다, 시간마다의 어느 것의 표시를 할 수가 있다. 관리 사업자는 도 24의 머신별 CPU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에 있어서의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CPU 이용률을 시계열로 파악할 수가 있다.
도 25는 관리용 머신(21)의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된 프라이빗(private) 네트워크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의 가동상황 표시 화면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명 표시 에리어(21g)(또는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21c))에 표시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또는 머신명) 중,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의 표시 대상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또는 머신명)를 반전시킨 후,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 시계열 표시 버튼(21m)을 클릭하면, 관리용 서버(21)는 도 25에 나타내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한다(가동상황 출력 수단).
도 25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25a),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25b),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가 표시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표시 에리어(25c), 그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시계열로 표시한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 그래프(25d), 인쇄 버튼(25e), 닫음 버튼(26f)이 표시된다. 인쇄 버튼(25e)을 클릭하면,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이 프린터를 통해 인쇄된다. 닫음 버튼(25f)을 클릭하면, 도 21의 가동상황 표시 화면으로 돌아간다.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 그래프(25d)에서는 세로축에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이 표시되고, 가로축에 경과시간이 표시된다. 또한, 경과시간으로서 월마다, 일마다, 시간마다의 어느 것의 표시를 할 수가 있다. 관리 사업자는 도 25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에 있어서의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시계열로 파악할 수가 있다.
도 26은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된 로그인(log-in)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27은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된 사용자 초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8은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된 사용자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용자(사용자(user))가 이 시스템(10)을 이용하는 경우, 관리 사업자로부터 메일 송신된 사용자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를 사용하여 시스템(10)에 로그인한다. 사용자 서버(191~19n)를 기동시키고, 이 시스템(10)을 나타내는 아이콘(도시하지 않음)을 클릭하면,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 도 26에 나타내는 로그인 화면이 표시된다. 도 26의 로그인 화면에는 사용자 ID입력 에리어(26a), 사용자 패스워드 입력 에리어(26b), 로그인 버튼(26c)이 표시된다.
이용자는 사용자 ID입력 에리어(26a)에 사용자 ID를 입력하고, 패스워드 입력 에리어(26b)에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로그인 버튼(26c)을 클릭한다. 로그인 버튼(26c)을 클릭하면,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 도 27에 나타내는 사용자 초기 화면이 표시된다. 도 27의 사용자 초기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27a),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27b), 가상 머신 일람 버튼(27c), 네트워크 상세 버튼(27d), 이벤트 표시 버튼(27e), 가동상황 표시 버튼(27f), 로그아웃(log-out) 버튼(27g)이 표시된다.
이용자가 가상 머신 일람 버튼(27c)을 클릭하면,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는 도 28에 나타내는 사용자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이 표시된다(가상 머신(161~16n)의 용량 및 가상 머신(161~16n)의 클론의 용량, 가상 머신(161~16n)이 개변된 용량 및 가상 머신(161~16n)의 클론이 개변된 용량을 포함)(용량 제1 가시화 수단, 용량 제2 가시화 수단, 용량 개변 가시화 수단). 또한, 사용자 서버(191~19n)에는 그 사용자 서버(191~19n)를 보유하는 이용자가 이용하는 가상 머신(161~16n)의 각 데이터만이 표시(가시화)되고, 다른 사용자가 이용하는 가상 머신(161~16n)의 데이터는 비표시(비가시)로 된다.
도 28의 사용자 가상 머신 일람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28a),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28b), 설정완료 가상 머신명이 표시된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28c), 설정일시가 표시된 설정일시 표시 에리어(28d), CPU수가 표시된 CPU수의 표시 에리어(28e), 메모리 크기가 표시된 메모리 크기 표시 에리어(28f), 디스크수가 표시된 디스크 수의 표시 에리어(28g), 디스크 용량이 표시된 디스크 용량 표시 에리어(28h), OS 템플릿(templet)이 표시된 OS 템플릿 표시 에리어(28i), 가상 머신이 클론인지를 나타내는 클론 표시 에리어(28j)가 표시된다. 또한, 가상 머신 사용 버튼(28k), 가상 머신 신규 설정 버튼(28l), 가상 머신 삭제 버튼(28m), 용량 개변 버튼(28n), 클론 작성 버튼(28o), 콘솔 기능 설정 버튼(28p), 닫음 버튼(28q)이 표시된다. 닫음 버튼(28q)을 클릭하면, 도 27의 사용자 초기 화면으로 돌아간다. 이용자는 도 28의 사용자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자기가 이용하고 있는 가상 머신(161~16n)이나 그 가상 머신(161~16n)의 용량을 파악할 수가 있다.
할당된 가상 머신(161~16n)을 이용자가 이용하는 데는 도 28의 사용자 가상 머신 일람 화면에 표시된 가상 머신명 중, 사용을 하는 가상 머신명(복수가능)을 반전시킨 후, 가상 머신 사용 버튼(28k)을 클릭한다. 가상 머신 사용 버튼(28k)을 클릭하면, 반전시킨 가상 머신이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용자는 가상 머신(161~16n)을 이용하여 인터넷(20)을 통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인터넷(20)을 통해 각종 서비스를 받을 수가 있다.
이용자가 신규의 가상 머신(161~16n)을 설정하는 데는 도 28의 사용자 가상 머신 일람 화면에 있어서 가상 머신 신규 설정 버튼(28l)을 클릭한다. 가상 머신 신규 설정 버튼(28l)을 클릭하면, 도 10과 마찬가지의 가상 머신 설정 화면이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된다(도 10 원용). 이용자는 도 10의 가상 머신 설정 화면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각 입력 에리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실행 버튼을 클릭한다.
실행 버튼을 클릭하면, 시스템(10)(관리용 서버(21))은 물리 서버(13, 131~13n) 상에 가상 머신(161~16n)을 가상하고(가상 머신 가상 수단), 가상한 가상 머신(161~16n)의 용량을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설정함과 아울러(용량 설정 수단), 가상 머신(161~16n)을 이용자에게 할당한다(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 관리용 머신(21)은 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한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 소정의 IP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한 IP 주소를 각 가상 머신(161~16n)에 설정한다(IP 주소 제1 설정 수단). 시스템(10)은 사용자 식별자와 입력된 머신명이나 CPU수, 메모리 크기, 디스크수, 디스크 용량, OS 템플릿, IP 주소를 관련지은 상태로 관리용 서버(21)의 하드디스크에 격납한다(용량 제1 기억 수단).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는 다시 도 28의 사용자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이 표시된다. 이용자는 가상 머신(161~16n)의 이용형태나 이용빈도, 이용방법 등에 따라 자기가 이용하는 가상 머신(161~16n)의 대수를 자유롭게 늘릴 수가 있다.
이용자가 가상 머신(161~16n)을 삭제하는 데는 도 28의 사용자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의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28c)에 표시된 가상 머신명 중, 삭제하는 가상 머신명(복수가능)을 반전시킨 후, 가상 머신 삭제 버튼(28m)을 클릭한다. 삭제 버튼(28m)을 클릭하면, 도시는 하지 않지만, 삭제 확인 화면이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된다. 삭제 확인 화면에는 삭제 대상의 가상 머신명, 삭제 확인 버튼, 취소 버튼이 표시된다. 삭제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시스템(10)(관리용 서버(21))은 삭제 대상의 가상 머신(161~16n)(IP 주소를 포함)을 하드디스크로부터 삭제한다(가상 머신 제1 삭제 수단, 가상 머신 제2 삭제 수단).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는 다시 도 28의 사용자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이 표시된다. 이용자는 가상 머신(161~16n)의 이용형태나 이용빈도, 이용방법 등에 따라 자기가 이용하는 가상 머신(161~16n)을 자유롭게 삭제할 수가 있다.
이용자가 가상 머신(161~16n)(가상 머신(161~16n)의 클론을 포함)의 용량을 개변하는 데는 도 28의 사용자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의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28c)에 표시된 가상 머신명 중, 용량을 개변하는 가상 머신명을 반전시킨 후, 용량 개변 버튼(28n)을 클릭한다. 용량 개변 버튼(28n)을 클릭하면, 도 12와 마찬가지의 가상 머신 용량 개변 화면이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된다(도 12 원용). 이용자는 도 12의 가상 머신 용량 개변 화면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순서에 의해 용량을 개변한 후, 개변실행 버튼을 클릭한다.
개변실행 버튼을 클릭하면, 도시는 하지 않지만, 개변확인 화면이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된다. 개변확인 화면에는 개변대상의 가상 머신명(머신명을 변경한 경우는 그 머신명)을 표시한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 개변 후의 CPU수, 메모리 크기, 디스크 용량, OS 템플릿을 표시한 용량 표시 에리어, 개변확인 버튼, 취소 버튼이 표시된다. 개변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시스템(관리용 서버(21))은 사용자 식별자와 변경된 머신명, 증감된 CPU수, 증감된 메모리 크기, 증감된 디스크 용량, 변경된 OS 템플릿을 관련지은 상태로 관리용 서버(21)의 하드디스크에 격납한다(용량 개변 수단).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는 다시 도 28의 사용자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이 표시된다. 이용자는 가상 머신(161~16n)의 이용형태나 이용빈도, 이용방법 등에 따라 자기가 이용하는 가상 머신(161~16n)(가상 머신(161~16n)의 클론을 포함)의 용량을 자유롭게 개변할 수가 있다.
이용자가 가상 머신(161~16n)과 동일한 가상 머신(161~16n)의 클론(복제)을 작성하는 데는 도 28의 사용자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의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28c)에 표시된 가상 머신명 중, 클론을 작성하는 가상 머신명을 반전시킨 후, 클론 작성 버튼(28o)을 클릭한다. 클론 작성 버튼(28o)을 클릭하면, 도 13과 마찬가지의 클론 작성 화면이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된다(도 13 원용). 이용자는 도 13의 클론 작성 화면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클론수를 입력한 후, 클론 실행 버튼을 클릭한다.
클론 실행 버튼을 클릭하면, 도시는 하지 않지만, 클론 확인 화면이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된다. 클론 확인 화면에는 클론원의 가상 머신명이 표시된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 클론의 CPU수, 메모리 크기, 디스크 용량, OS 템플릿을 표시한 용량 표시 에리어, 클론 확인 버튼, 취소 버튼이 표시된다.
클론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시스템(10)(관리용 서버(21))은 물리 서버 상에 가상 머신(161~16n)의 클론을 가상하고(클론 가상 수단), 가상한 가상 머신(161~16n)의 클론을 이용자에게 할당한다(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 관리용 머신(21)은 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한 가상 머신(161~16n)의 각 클론마다 소정의 IP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한 IP 주소를 각 가상 머신(161~16n)에 설정한다(IP 주소 제2 설정 수단).
관리용 머신(21)은 사용자 식별자와 클론원의 가상 머신명 및 클론의 가상 머신명(예를 들어, 머신명+클론 1이나 머신명+클론 2 등)을 관련지은 상태로 하드디스크에 격납함과 아울러, 사용자 식별자와 클론의 CPU수나 메모리 크기, 디스크 용량, OS 템플릿,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IP 주소를 관련지은 상태로 하드디스크에 격납한다(용량 제2 기억 수단).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는 다시 도 28의 사용자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이 표시된다. 이용자는 가상 머신(161~16n)의 이용형태나 이용빈도, 이용방법 등에 따라 자기가 이용하는 가상 머신(161~16n)의 클론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가 있다.
이용자가 할당된 가상 머신(161~16n)이나 클론에 콘솔 기능을 설정하는 경우, 도 28의 사용자 가상 머신 일람 화면의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28c)에 표시된 가상 머신명 중, 콘솔 기능을 설정하는 가상 머신명을 반전시킨 후, 콘솔 기능 버튼(28p)을 클릭한다. 콘솔 기능 버튼(28p)을 클릭하면, 시스템(10)(관리용 머신(21))은 콘솔 기능 설정 대상의 가상 머신(161~16n)이나 클론에 콘솔 기능을 설정한다(콘솔 기능 설정 수단).
도 29는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된 사용자 네트워크 상세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사용자 네트워크의 상세를 표시하는 경우, 이용자는 도 27의 사용자 초기 화면에 있어서 네트워크 상세 버튼(27d)을 클릭한다. 네트워크 상세 버튼(27d)을 클릭하면,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는 도 29에 나타내는 사용자 네트워크 상세 화면(개변된 각 사용자의 네트워크의 상세를 포함)이 표시된다(네트워크 가시화 수단). 또한, 사용자 서버(191~19n)에는 그 사용자 서버(191~19n)를 보유하는 이용자가 할당된 가상 머신(161~16n)이 접속된 네트워크의 상세한 보고가 표시(가시화)되고, 다른 이용자의 네트워크의 자세한 것은 비표시(비가시)로 된다.
도 29의 사용자 네트워크 상세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29a),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29b), 가상 머신명이 표시된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29c), 가상 머신이 클론인지를 나타내는 클론 표시 에리어(29d),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가 표시된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에리어(29e),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가 표시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표시 에리어(29f), 프라이빗 네트워크 ID가 표시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ID 표시 에리어(29g), 인쇄 버튼(29h), 닫음 버튼(29i)이 표시된다. 인쇄 버튼(29h)을 클릭하면, 사용자 네트워크 상세 화면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상세가 프린터를 통해 인쇄된다. 닫음 버튼(29i)을 클릭하면, 도 27의 사용자 초기 화면으로 돌아간다. 이용자는 도 29의 사용자 네트워크 상세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자기가 이용하고 있는 가상 머신(161~16n)의 네트워크 상세를 파악할 수가 있다.
도 30은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된 사용자별 이벤트(event) 로그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사용자별 이벤트 로그를 표시하는 경우, 이용자는 도 27의 사용자 초기 화면에 있어서 이벤트 로그 표시 버튼(27e)을 클릭한다. 이벤트 로그 표시 버튼(27e)을 클릭하면,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는 도 30에 나타내는 사용자별 이벤트 로그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 서버(191~19n)에는 그 사용자 서버(191~19n)를 보유하는 이용자가 할당된 가상 머신(161~16n)의 이벤트 로그만이 표시(가시화)되고, 다른 이용자의 가상 머신(161~16n)의 이벤트 로그는 비표시(비가시)로 된다.
도 30의 사용자별 이벤트 로그 표시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30a),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30b), 가상 머신명이 표시된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30c), 이벤트 발생 일시가 표시된 발생 일시 표시 에리어(30d), 이벤트명이 표시된 이벤트명 표시 에리어(30e), CPU수가 표시된 CPU수의 표시 에리어(30f), 메모리 크기가 표시된 메모리 크기 표시 에리어(30g), 디스크수가 표시된 디스크 수의 표시 에리어(30h), 디스크 용량이 표시된 디스크 용량 표시 에리어(30i), OS 템플릿(templet)이 표시된 OS 템플릿 표시 에리어(30j), 비고 표시 에리어(30k), 인쇄 버튼(30l), 닫음 버튼(30m)이 표시된다. 인쇄 버튼(30l)을 클릭하면, 사용자별 이벤트 로그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이벤트 로그가 프린터를 통해 인쇄된다. 닫음 버튼(30m)을 클릭하면, 도 27의 사용자 초기 화면으로 돌아간다. 이용자는 도 30의 사용자별 이벤트 로그 표시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자기가 이용하고 있는 가상 머신(161~16n)의 이벤트를 파악할 수가 있다.
도 31은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된 사용자 가동상황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사용자 가동상황을 표시하는 경우, 이용자는 도 27의 사용자 초기 화면에 있어서 가동상황 표시 버튼(27f)을 클릭한다. 가동상황 표시 버튼(27f)을 클릭하면,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는 도 31에 나타내는 사용자 가동상황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 서버(191~19n)에는 그 사용자 서버(191~19n)를 보유하는 이용자가 할당된 가상 머신(161~16n)의 가동상황만이 표시(가시화)되고, 다른 이용자의 가상 머신(161~16n)의 가동상황은 비표시(비가시)로 된다.
도 31의 사용자 가동상황 표시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31a),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31b), 가상 머신명이 표시된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31c), 머신 상태가 표시된 상태 표시 에리어(31d), 메모리 이용상황이 표시된 메모리 이용상황 표시 에리어(31e), CPU 이용상황이 표시된 CPU 이용상황 표시 에리어(31f),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가 표시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표시 에리어(31g), 최종 전원 ON 일시가 표시된 최종 전원 ON 일시 표시 에리어(31h), 최종 전원 OFF 일시가 표시된 최종 전원 OFF 일시 표시 에리어(31i)가 표시된다. 또한, 가상 머신별 가동상황 표시 버튼(31j), 가상 머신별 메모리 이용률 시계열 표시 버튼(31k), 가상 머신별 CPU 이용률 시계열 표시 버튼(31l),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 시계열 표시 버튼(31m), 인쇄 버튼(31n), 닫음 버튼(31o)이 표시된다. 인쇄 버튼(31n)을 클릭하면, 사용자 가동상황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가상 머신(161~16n)의 가동상황이 프린터를 통해 인쇄된다. 닫음 버튼(31o)을 클릭하면, 도 27의 사용자 초기 화면으로 돌아간다. 이용자는 도 31의 사용자 가동상황 표시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자기가 이용하고 있는 가상 머신(161~16n)의 가동상황을 파악할 수가 있다.
상태 표시 에리어(31d)에는 가상 머신(161~16n) 상태가 표시된다. 상태 표시 에리어(31d)의 ○는 상태가 양호, 상태 표시 에리어(31d)의 △는 상태가 주의, 상태 표시 에리어(31d)의 ×는 상태가 불량을 의미한다. 또한, 신호기와 마찬가지로, 상태가 양호한 경우는 청색 표시, 상태가 주의인 경우는 황색 표시, 상태가 불량인 경우는 적색 표시로 할 수도 있다. 메모리 이용상황 표시 에리어(31e)에는 각 가상 머신(161~16n)에 있어서의 현재의 메모리 이용률이 표시되고, CPU 이용상황 표시 에리어(31f)에는 각 가상 머신(161~16n)에 있어서의 현재의 CPU 이용률이 표시된다. 최종 전원 ON 일시 표시 에리어(31h)에는 각 가상 머신(161~16n)에 있어서의 전원 ON의 최종 일시가 표시되고, 최종 전원 OFF 일시 표시 에리어(31i)에는 각 가상 머신(161~16n)에 있어서의 전원 OFF의 최종 일시가 표시된다.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의 머신별 가동상황을 표시시키는 경우, 이용자는 도 31의 사용자 가동상황 표시 화면의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31c)에 표시된 머신명 중, 가동상황의 표시 대상의 머신명을 반전시킨 후, 머신별 가동상황 표시 버튼(31j)을 클릭한다. 머신별 가동상황 표시 버튼(31j)을 클릭하면,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는 도 22와 마찬가지의 머신별 가동상황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가동상황 가시화 수단).
머신별 가동상황 표시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 가상 머신명이 표시된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 머신 상태가 표시된 상태 표시 에리어, 메모리 이용상황이 표시된 메모리 이용상황 표시 에리어, CPU 이용상황이 표시된 CPU 이용상황 표시 에리어, 가상 머신의 가동시간이 표시된 가동시간 표시 에리어,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이 표시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 표시 에리어, 표시일시가 표시된 표시일시 표시 에리어, 표시일시 입력 에리어, 재표시 버튼이 표시된다. 또한, 메모리 크기가 표시된 메모리 크기 표시 에리어, CPU수가 표시된 CPU수의 표시 에리어, 디스크수가 표시된 디스크 수의 표시 에리어, 디스크 용량이 표시된 디스크 용량 표시 에리어, 인쇄 버튼, 닫음 버튼이 표시된다(도 22 원용). 이용자는 머신별 가동상황 표시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에 있어서의 가동상황을 파악할 수가 있다.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의 머신별 메모리 이용률을 시계열로 표시시키는 경우, 이용자는 도 31의 사용자 가동상황 표시 화면의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31c)에 표시된 머신명 중, 메모리 이용률의 표시 대상의 머신명을 반전시킨 후, 머신별 메모리 이용률 시계열 표시 버튼(31k)을 클릭한다. 머신별 메모리 이용률 시계열 표시 버튼(31k)을 클릭하면,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는 도 23과 마찬가지의 머신별 메모리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가동상황 가시화 수단). 머신별 메모리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 가상 머신명이 표시된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 그 가상 머신의 메모리 이용률을 시계열로 표시한 메모리 이용률 그래프가 표시되고, 인쇄 버튼, 닫음 버튼이 표시된다(도 23 원용). 이용자는 머신별 메모리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에 있어서의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메모리 이용률을 시계열로 파악할 수가 있다.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의 머신별 CPU 이용률을 시계열로 표시시키는 경우, 이용자는 도 31의 사용자 가동상황 표시 화면의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31c)에 표시된 머신명 중, CPU 이용률의 표시 대상의 머신명을 반전시킨 후, 머신별 CPU 이용률 시계열 표시 버튼(31l)을 클릭한다. 머신별 CPU 이용률 시계열 표시 버튼(31l)을 클릭하면,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는 도 24와 마찬가지의 머신별 CPU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가동상황 가시화 수단). 머신별 CPU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 가상 머신명이 표시된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 그 가상 머신의 CPU 이용률을 시계열로 표시한 CPU 이용률 그래프가 표시되고, 인쇄 버튼, 닫음 버튼이 표시된다(도 24 원용). 이용자는 머신별 CPU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에 있어서의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CPU 이용률을 시계열로 파악할 수가 있다.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시계열로 표시시키는 경우, 이용자는 도 31의 사용자 가동상황 표시 화면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명 표시 에리어(31g)(또는 가상 머신명 표시 에리어(31c))에 표시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또는 머신명) 중,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의 표시 대상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또는 머신명)를 반전시킨 후,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 시계열 표시 버튼(31m)을 클릭한다.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 시계열 표시 버튼(31m)을 클릭하면, 사용자 서버(191~19n)의 디스플레이(23)에는 도 25와 마찬가지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가동상황 가시화 수단).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에는 사용자명이 표시된 사용자명 표시 에리어, 사용자 NO가 표시된 사용자 NO 표시 에리어,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가 표시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표시 에리어, 그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시계열로 표시한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 그래프가 표시되고, 인쇄 버튼, 닫음 버튼이 표시된다. 이용자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 시계열 표시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각 가상 머신(161~16n)마다에 있어서의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시계열로 파악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가상 머신(161~16n)의 메모리 이용률이 각 이용자마다 개별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각 이용자가 각 가상 머신(161~16n)의 메모리 이용률을 파악할 수가 있어, 가상 머신(161~16n)의 메모리의 유지나 메모리의 증감을 적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시스템(10)은 가상 머신(161~16n)의 메모리 이용률을 다른 이용자에게 비가시로 하기 때문에, 다른 이용자에게 가상 머신(161~16n)의 메모리 이용률이 파악되는 일이 없고, 각 이용자의 메모리 이용상황을 비밀로 할 수 있어, 다른 이용자에 있어서의 가상 머신(161~16n)의 메모리의 제멋대로의 증감을 방지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가상 머신(161~16n)의 CPU 이용률이 각 이용자마다 개별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각 이용자가 각 가상 머신(161~16n)의 CPU 이용률을 파악할 수가 있어, 가상 머신(161~16n)의 CPU수의 유지나 CPU수의 증감을 적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시스템(10)은 가상 머신(161~16n)의 CPU 이용률을 다른 이용자에게 비가시로 하기 때문에, 다른 이용자에게 가상 머신(161~16n)의 CPU 이용률이 파악되는 일이 없고, 각 이용자의 CPU 이용상황을 비밀로 할 수 있어, 다른 이용자에 있어서의 가상 머신(161~16n)의 CPU수의 제멋대로의 증감을 방지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가상 머신(161~16n)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이 각 이용자마다 개별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각 이용자가 각 가상 머신(161~16n)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파악할 수가 있어, 가상 머신(161~16n)의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유지나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추가, 삭제를 적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시스템(10)은 가상 머신(161~16n)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다른 이용자에게 비가시로 하기 때문에, 다른 이용자에게 가상 머신(161~16n)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이 파악되는 일이 없고, 각 이용자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상황을 비밀로 할 수 있어, 다른 이용자에 있어서의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제멋대로인 추가나 삭제를 방지할 수가 있다.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10)은 가상 머신(161~16n)의 가동시간이나 ON/OFF 일시가 각 이용자마다 개별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각 이용자가 각 가상 머신(161~16n)의 가동시간이나 ON/OFF 일시를 파악할 수가 있어, 가상 머신(161~16n)의 추가, 삭제, 또는 가상 머신(161~16n)의 용량의 추가, 변경, 삭제를 적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시스템(10)은 가상 머신(161~16n)의 가동시간이나 ON/OFF 일시를 다른 이용자에게 비가시로 하기 때문에, 다른 이용자에게 가상 머신(161~16n)의 가동시간이나 ON/OFF 일시가 파악되는 일이 없고, 각 이용자의 가상 머신(161~16n)의 이용상황을 비밀로 할 수 있어, 다른 이용자에 있어서의 가상 머신(161~16n)의 추가, 삭제, 또는 가상 머신(161~16n)의 용량의 추가, 변경, 삭제를 방지할 수가 있다.
10  가상 서버 제공 시스템
11  물리 보안 라우터 111~11n  물리 보안 라우터
12  물리 방화벽 121~12n  물리 방화벽
13  물리 서버 131~13n  물리 서버
141~14n  제1~제n 가상 라우터
151~15n  제1~제n 가상 방화벽
161~16n  가상 머신 171~17n  글로벌 네트워크
181~18n  프라이빗 네트워크 191~19n  사용자 서버
20  인터넷 21  관리용 머신

Claims (27)

  1. 물리 서버 상에 가상된 가상 머신을 각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적어도 1대의 물리 라우터 상에 제1~제n 가상 라우터를 가상하는 가상 라우터 가상 수단과, 적어도 1대의 물리 방화벽 상에 제1~제n 가상 방화벽을 가상하는 가상 방화벽 가상 수단과, 적어도 1대의 상기 물리 서버 상에 복수의 가상 머신을 가상하는 가상 머신 가상 수단과, 상기 제1~제n 가상 라우터와 상기 제1~제n 가상 방화벽을 개별적으로 접속하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설정 수단과, 상기 제1~제n 가상 방화벽과 그들 가상 머신을 접속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1 설정 수단과, 그들 가상 머신을 각 이용자에게 할당하는 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1 설정 수단이, 각 1개의 가상 방화벽으로부터 복수의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연출시키고, 그들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제n 가상 방화벽과 그들 가상 머신을 접속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에서는, 각 1개의 가상 방화벽에 복수의 가상 머신이 연결되어 머신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이, 상기 제1~제n 가상 방화벽에 연결되는 머신 그룹 중, 가장 처리 효율이 높은 머신 그룹에 속하는 가상 머신을 상기 이용자에게 할당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한 글로벌 네트워크의 주소를 각 가상 머신마다 기억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1 기억 수단과,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1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한 각 가상 머신마다의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출력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1 출력 수단과, 상기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1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한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주소를 각 가상 머신마다 기억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1 기억 수단과, 상기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1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한 각 가상 머신마다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출력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1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상기 가상 머신 가상 수단에 의해 가상한 가상 머신의 용량을 각 가상 머신마다 설정하는 용량 설정 수단과, 설정한 용량을 각 가상 머신마다 기억하는 용량 제1 기억 수단과, 각 가상 머신마다의 용량을 출력하는 용량 제1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상기 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한 각 가상 머신마다 소정의 IP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한 IP 주소를 각 가상 머신에 설정하는 IP 주소 제1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상기 가상 머신 제1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한 가상 머신 중에서 불필요한 가상 머신을 삭제하는 가상 머신 제1 삭제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이미 가상한 가상 머신과 동일한 가상 머신의 클론을 가상하는 클론 가상 수단과, 상기 제1~제n 가상 방화벽과 상기 클론을 접속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2 설정 수단과, 상기 클론을 각 이용자에게 할당하는 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과, 상기 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한 각 클론마다 소정의 IP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한 IP 주소를 각 클론에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IP 주소 제2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2 설정 수단이, 각 1개의 가상 방화벽으로부터 복수의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연출시키고, 그들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제n 가상 방화벽과 그들 클론을 접속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에서는, 각 1개의 가상 방화벽에 복수의 클론이 연결되어 클론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이, 상기 제1~제n 가상 방화벽에 연결되는 클론 그룹 중, 가장 처리 효율이 높은 클론 그룹에 속하는 클론을 상기 이용자에게 할당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각 클론마다 기억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2 기억 수단과, 상기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2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한 각 클론마다의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를 출력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주소 제2 출력 수단과, 상기 프라이빗 네트워크 제2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한 상기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주소를 각 클론마다 기억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2 기억 수단과, 상기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2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한 각 클론마다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를 출력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주소 제2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상기 클론 가상 수단에 의해 가상한 클론의 용량을 각 클론마다 기억하는 용량 제2 기억 수단과, 각 클론마다의 용량을 출력하는 용량 제2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상기 가상 머신 제2 할당 수단에 의해 할당한 클론 중에서 불필요한 클론을 삭제하는 가상 머신 제2 삭제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상기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사후에 추가, 변경, 삭제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크 개변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상기 가상 머신과 상기 클론의 적어도 일방에 콘솔 기능을 설정하는 콘솔 기능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16.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및 상기 클론의 용량이, 그들에 있어서 사용하는 중앙처리장치의 수이며, 상기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수를 사후에 증감하는 용량 개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용량 제1 및 제2 기억 수단이, 상기 용량 개변 수단에 의해 증감한 중앙처리장치의 수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기억하고, 상기 용량 제1 및 제2 출력 수단이, 상기 용량 개변 수단에 의해 증감한 중앙처리장치의 수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및 상기 클론의 용량이, 그들의 메모리 크기이며, 상기 용량 개변 수단이, 상기 메모리 크기를 사후에 증감하고, 상기 용량 제1 및 제2 기억 수단이, 상기 용량 개변 수단에 의해 증감한 메모리 크기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기억하고, 상기 용량 제1 및 제2 출력 수단이, 상기 용량 개변 수단에 의해 증감한 메모리 크기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및 상기 클론의 용량이, 그들에 있어서 사용하는 하드디스크의 수이며, 상기 용량 개변 수단이, 상기 하드디스크의 수를 사후에 증감하고, 상기 용량 제1 및 제2 기억 수단이, 상기 용량 개변 수단에 의해 증감한 하드디스크의 수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기억하고, 상기 용량 제1 및 제2 출력 수단이, 상기 용량 개변 수단에 의해 증감한 하드디스크의 수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및 상기 클론의 용량이, 그들에 있어서 사용하는 하드디스크 용량이며, 상기 용량 개변 수단이, 상기 하드디스크 용량을 사후에 증감하고, 상기 용량 제1 및 제2 기억 수단이, 상기 용량 개변 수단에 의해 증감한 하드디스크 용량을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기억하고, 상기 용량 제1 및 제2 출력 수단이, 상기 용량 개변 수단에 의해 증감한 하드디스크 용량을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20. 제8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이, 상기 이용자에게 할당한 가상 머신 및 클론의 가동상황을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 기억하는 가동상황 기억 수단과,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의 가동상황을 출력하는 가동상황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및 상기 클론의 가동상황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과거 또는 현재의 메모리 이용률이며, 상기 가동상황 기억 수단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메모리 이용률을 시계열로 기억하고, 상기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의 메모리 이용률을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상기 메모리 이용률을 시계열로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및 상기 클론의 가동상황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과거 또는 현재의 중앙처리장치 이용률이며, 상기 가동상황 기억 수단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중앙처리장치 이용률을 시계열로 기억하고, 상기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의 중앙처리장치 이용률을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상기 중앙처리장치 이용률을 시계열로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25.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및 상기 클론의 가동상황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과거 또는 현재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이며, 상기 가동상황 기억 수단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시계열로 기억하고, 상기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의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상기 프라이빗 네트워크 이용률을 시계열로 출력하는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27.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및 상기 클론의 가동상황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가동시간, 마지막 전원 ON 일시, 마지막 전원 OFF 일시이며, 상기 가동상황 기억 수단이, 각 가상 머신 및 각 클론의 상기 가동시간, 상기 전원 ON 일시, 상기 전원 OFF 일시를 기억하고, 상기 가동상황 출력 수단이, 각 가상 머신마다 및 각 클론마다의 상기 가동시간, 상기 전원 ON 일시, 상기 전원 OFF 일시를 출력하는 머신 제공 시스템.
KR1020137031067A 2011-05-24 2012-05-21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KR201400273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15912 2011-05-24
JP2011115912A JP2012243255A (ja) 2011-05-24 2011-05-24 バーチャルマシン提供システム
PCT/JP2012/062889 WO2012161147A1 (ja) 2011-05-24 2012-05-21 バーチャルマシン提供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309A true KR20140027309A (ko) 2014-03-06

Family

ID=4721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067A KR20140027309A (ko) 2011-05-24 2012-05-21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208319A1 (ko)
EP (1) EP2717159A4 (ko)
JP (1) JP2012243255A (ko)
KR (1) KR20140027309A (ko)
CN (1) CN103562867A (ko)
WO (1) WO20121611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267A (ko) * 2019-01-22 2020-07-30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서버를 활용한 빌딩자동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9447B2 (en) * 2012-02-27 2014-09-16 Ca, Inc.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image security in a cloud environment
US9275004B2 (en) * 2012-12-11 2016-03-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ybrid firewall for data center security
TW201426552A (zh) * 2012-12-26 2014-07-01 Hon Hai Prec Ind Co Ltd 虛擬機的登錄介面排序系統及方法
US9135042B2 (en) * 2013-06-13 2015-09-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visioning a secure customer domain in a virtualized multi-tenant environment
US10228958B1 (en) * 2014-12-05 2019-03-12 Quest Softwa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rchiving time-series data during high-demand intervals
JP6447258B2 (ja) * 2015-03-09 2019-01-09 富士通株式会社 管理プログラム、管理方法、および管理装置
CN105357038B (zh) * 2015-10-26 2019-05-07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监控虚拟机集群的方法和系统
US10228961B2 (en) * 2016-06-15 2019-03-12 Red Hat Israel, Ltd. Live storage domain decommissioning in a virtual environment
US11467882B2 (en) * 2018-12-21 2022-10-11 Target Brand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apid deployment of configurable computing resources
US11057348B2 (en) * 2019-08-22 2021-07-06 Saudi Arabian Oil Company Method for data center network segmenta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8700A (ja) * 2001-04-19 2002-10-31 Hitachi Ltd 仮想計算機システムの運用管理情報提供制御方法および仮想計算機システム
JP4018900B2 (ja) * 2001-11-22 2007-12-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仮想計算機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GB2419703A (en) * 2004-10-29 2006-05-0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Isolated virtual overlay infrastructures each having an interface to control interaction with others
US8209408B1 (en) * 2006-05-01 2012-06-26 Vmware, Inc. Multiple virtual machine consoles in a single interface
JP5317010B2 (ja) * 2006-11-24 2013-10-16 日本電気株式会社 仮想マシン配置システム、仮想マシン配置方法、プログラム、仮想マシン管理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JP2008140240A (ja) 2006-12-04 2008-06-19 Hitachi Ltd 仮想サーバ分散配置方法
US20080162709A1 (en) * 2006-12-27 2008-07-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processing application protocol requests
US20100211944A1 (en) * 2007-09-12 2010-08-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4906674B2 (ja) * 2007-10-25 2012-03-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仮想計算機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90112919A1 (en) * 2007-10-26 2009-04-30 Qlayer Nv Method and system to model and create a virtual private datacenter
JP5123641B2 (ja) * 2007-10-31 2013-01-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性能履歴の管理方法および性能履歴の管理システム
JP2010140340A (ja) * 2008-12-12 2010-06-24 Hitachi Ltd 履歴時刻補正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履歴時刻補正装置
US8060617B2 (en) * 2008-12-19 2011-11-15 Cisco Technology, Inc. Reserving network resources during scheduling of meeting event
JP5347648B2 (ja) * 2009-03-30 2013-11-20 富士通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状態出力方法
US8370481B2 (en) * 2009-05-13 2013-02-0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Inventory management in a computing-on-demand system
JP2010271863A (ja) * 2009-05-20 2010-12-02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JP5691390B2 (ja) * 2010-10-25 2015-04-01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969391B (zh) * 2010-10-27 2012-08-01 北京邮电大学 一种支持融合网络业务的云平台及其工作方法
CN101986280A (zh) * 2010-11-29 2011-03-16 浙江大学 虚拟计算系统的自动化测试平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267A (ko) * 2019-01-22 2020-07-30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서버를 활용한 빌딩자동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7159A4 (en) 2015-01-21
WO2012161147A1 (ja) 2012-11-29
EP2717159A1 (en) 2014-04-09
US20140208319A1 (en) 2014-07-24
JP2012243255A (ja) 2012-12-10
CN103562867A (zh)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7308A (ko)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KR20140027309A (ko) 가상 머신 제공 시스템
JP2015172964A (ja) バーチャルマシン提供システム
US8046694B1 (en) Multi-server control panel
CN108492003B (zh) 分配优化的处理自动化进程的系统
US201302832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sources in a virtual machine environment
US2010006404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1411921B2 (en) Enabling access across private networks for a managed blockchain service
JP2009259046A (ja) マスタ管理システム、マスタ管理方法、およびマスタ管理プログラム
WO20130286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irtual infrastructure
JP6414185B2 (ja) 情報処理装置、リソース割り当てシステム、および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
JP2013029994A (ja) サーバー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106845A1 (en) Enabling access across private networks for a managed blockchain service
JP2015022501A (ja) 構築装置、構築方法、及び構築プログラム
WO2015045972A1 (ja) 仮想マシン提供システム
JP2006504177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構成および性能に関する情報のための階層リポジトリ
JP2007299328A (ja) 計算処理方法および計算処理システム
CN111884837A (zh) 虚拟加密机的迁移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JP2017098763A (ja) 管理サーバーおよび管理方法
JP7399364B1 (ja) 情報管理制御装置、情報管理制御システム、情報管理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6910065B2 (en)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requests of clients and setting environments of the clients
JP2021009519A (ja) サービスシステム、情報登録方法
JP2001306775A (ja) 電子機器開発システム及び方法
Costa et al. Attribute based access control in federated clouds: A case study in bionformatics
JP7475204B2 (ja) フォルダ管理装置およびフォルダ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